•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인문"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융합의 시대적 배경

(2)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인문 / 사회 융합기술의 등장 배경 및 목적

미래 기술혁신은 신기술 간 융합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 융합기 술은 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변화를 초래할 전망임 .

융합기술은 차세대 신산업 창출은 물론 , 의료 건강, 안전 , 에너지 환경 등 미래 사회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것임 .

우리나라 산업의 현주소는 주력 산업의 제조 / 생산력 기술 수준은 세계 1-5 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가격 및 기술경쟁력의 격화로 중국을 비롯한 신흥 산업국가들의 추격이 가시화 하고 있는 현실에서 주력 산업의 Re-vi- talization 이 필요한 시점임 . 따라서 기술혁신 성과에 따른 핵심원천기술 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인데 기존의 IT, BT, NT 등 인접 과학기술만의 융합 으로는 기술혁신에 한계가 따름 . ( 지경부 신성장동력 기획단 , 2008. 9.

23)

• 우리나라의 미래를 담보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한국형 기술혁신전략이 필수적임 . 이러한 차세대 기술혁명은 신기술 간 또는 이들과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한 학제 와 산업 간 융합기술 (inter-disciplinary-industry convergence technology) 이 주도 할 것으로

예측됨 .

(3)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2007

년 국가 과학기술위원회에서 확정한 융합기술의 정의는 우리나라의 연구수준 ,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비교 우위에 있는 “

IT, BT, NT

등의 첨단 신기술 간 상승적 결 합을 통해 미래 사회 및 국가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적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경제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로 정의되어 , 타 분야와의 융합 가능성은 배제하 였음 .

차세대 성장동력을 위한 기술혁명은 더 이상 BT, IT, NT 등 신기술 간의 in-bound 결합 , 융합으로 단일 기술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는 관점만으로는 한계가 있음 .

성장동력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인문 / 사회 과학 , 예술분야를 포함 타 분야와의 수평적 , 상승적 결합을 통한 새로운 통섭적 연구환경 조성이 필요한 시점임 .

미국의 공학 한림원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은 21 세기에 추구할

14

개의 “공학적 도전 과제 (Grand Challenges for Engineering)” 를 발표하면 서 (2008. 2. 16.) 20 세기 공학기술이 이루었던 위대한 업적이 가져온 문제점

(dark side)

을 보완하는 의미에서 공학적 고려 이외에 산업분야의 의견을 수렴하여 과제를 선정했다고 공표했음 (http://www.engineeringchallenges.org).

인문 / 사회 융합기술의 등장 배경 및 목적 ( 계속 )

(4)

IT 산업 이후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할 새로 운 신성장동력 기술 부재로 인해 국가 성장 동력의 침체 위기

이러한 침체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 간 융합을 통해 미래 수요 충족과 글로벌 경 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창의적 기술혁명이 필요

차세대 기술혁명은 어느 한 분야 또는 인접 신기술 간의 통합에 그치지 않고 다학제적 특성과 기술발전의 트렌드를 반영해 인문 / 사회 , 에술 영역을 포괄한 동종 , 이종 영 역 간의 상승적 결합

이러한 미래기술에 대한 기술 R&D 는 기 존의 기술중심적 관점에서 벗어나서 인문

사회적 가치

, 예술적 감성을 포함한 새 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함

새로운 기술의 등장 ,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 융합 기술의 등장 , 사회의 변화는 기술에 대한 예측력 또 는 기술도입에 대한 고도의 판단력을 요구함 . 하지만 기존 기술개발 R&D 는기술자체의 논리에 의해 진 행됨 . 따라서 인문 /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방법론이 필요함

인문 / 사회 융합기술의 등장 배경 및 목적 ( 종합 )

(5)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우리에게 닥칠 5 대 미래환경변화

(6)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과학기술의 발전만으로 해결 가능한가 ?

(7)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 전 세계적으로 자원을 통한 국가 간 갈등 , 자연재해의 발생 , 기후 변화 등 에너지 환경 식량 자급자족 분야에서 적절한 문제 해결형 기술 ‧ ‧ 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 인류 사회가 직면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해결형’ R&D 추 진이 필요함 . 따라서 상대적으로 과학적 요소기술 개발 수요에 편중되 어 있는 기존의 in-bound 형태 기술개발 R&D 체계를 개편해야 함 .

 

기존 과학기술 개발

“ 융합형”과학기술 개발

과학기술 내의 문제 해결 (in-bound 방식 )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사회문제 : 물 부족 , 에너지 고갈 , 인구 부 족 등

 

(8)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수요 중심의 문제해결형 R&D 체계의 등장

인바운드식 수요조사

“ 융합형” 수요조사

기술 전문가 중심

다소 폐쇄적

인문 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

Open Research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수요 발굴

기존의 기술 전문가 중심의 폐쇄적인 인바운드식 수요조사에서 벗어나 인문 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 ‧ Open Research 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 수요 발굴이 필요함 . 즉 , 기술 중심의 공 급자 시각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수요 , 사회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요 중심형’ 발굴시스템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함 .

(9)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새로운 R&D 추진체계

NO 주요과제 ( 이슈 ) 중점 추진사항

1

산업 · 사회 생태계 문제 중 심의 R&D 기획

 R&D 실 수혜 계층의 수요와 편의성이 고려된 R&D 추진방향 제시

 달라지는 산업생태계를 반영하고 적용 대상에 따른 R&D 가치까지 고려 필요

 사회 약자 , IT 소외자 등 현 사회문제 해결형 R&D 가 활성화된다면 자연스러운 융합연구가 가능 ( 사회생태계형 R&D)

 대기업 편중에서 벗어난 중소기업 중심의 R&D 도입 ( 산업생태계형 R&D)

2 R&D

단계별 인문사회관점의

활용방안

 R&D기획부터 시장진입까지 R&D 프로세스에서 인문사회 인력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단 계별 가이드 필요

- 이를 통하여 인문사회 인력의 활용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가능

 특히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 를 수행하기 위해선 인문 사회적 검토가 반드시 필 요

- 이종학문간 융합의 한계 극복을 위해서 공동연구가 아닌 프로젝트 사전 기획 및 평가 과정에서의 융합을 통해 시각차를 좁힐 필요

- 또한 , 학문 연구에 있어 hard 한 주제보다는 이종분야의 연구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연구주제 중심의 문화가 확산 될 수 있도록 추진 필요

 아울러 인간과 사회의 미래상에 대한 기술계통 인력의 관심 촉진 필요

3

편안함이 아닌 행복 ( 감동 ) 을 주는 R&D 추진

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과 연관된 근래의 R&D 트랜드는 편리성을 떠나 행복과 감동을 주 는 제품을 요구

 감동을 주는 제품이나 기술개발을 위한 지원 필요

(10)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수요 중심형 R&D 체계와 기술 개발 간의 순환구조 ( 예 )

(11)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수요 중심의 융합기술 개발 생태계

(12)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체계의 등장

(13)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인문 / 사회 예술의 융합과 산업기술

인문학사회학 예술 / 문화

학문

전통 / 주력 거대산업

산업

BT

신기술

IT NT

미래형 자동차 , 환경에너지 녹색기술 , 미래 첨단 교통기술 인공지능 , 인지과학 , 감성공학 , CT

약물전달기술 광 · 전자융합소재

(14)

융합기술의 유형

활용 목적별 분류는 기술간 융합을 통해 경제 · 사회적 파급 및 미래 수요 충족을 위한 신기술 및 신 산업을 창출하는 총 3 개 분야로

대별

융합기술의 유형

(15)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융합에 대한 Two-Culture 간의 상이한 관점 인문 / 사회 배경 융합연구자

ㅇ 공동연구는 유사 과학기술 간에도 어려움 . 그 이유는 연구 대상의 가치나 형식을 판단 하는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임 . 따라서 이러한 기준이 크게 다른 인문 / 사회와 과학 / 기술 간의 융합은 힘들 .

ㅇ 두 분야 간 서로 소통하려면 먼저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선결되어야 함 . 많은 공학도 들이 인문학적 도움에 대한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음 .

ㅇ 두 분야 융합연구에 우선권을 준다는 과제의 경우 어거지로 두 분야 연구자를 끼워 맞추는 인위적 결합이 발생하는데 대부분 인문학 배경의 연구자가 들러리를 서는 경우가 많음 .

ㅇ 서로 다른 배경에서 대학부터 계속 공부하다 융합연구를 목적으로 몇 달간 같이 대화 를 한다고 융합이 저절로 일어나지는 않음 .

ㅇ 이공계 내에서는 지식체계가 같고 사용하는 로직도 같아 서로 융합이 잘 이루어짐 . 하지만 인문 / 사회와 과학 / 기술 간에는 이러한 공통점이 없어 단절의 벽이 생김 .

과학 / 기술 융합연구자들과의 인터뷰 요약 (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 , 2008)

(16)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과학 / 공학 배경 융합연구자

ㅇ 두 분야의 연구자들이 자주 만나 얘기한다고 융합이 이루어지지는 않음 . 각 개인이 상 대방 분야에 대해 깊이 공부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먼저 선행되어야 함 .

ㅇ 두 분야는 서로 다른 지식 , 언어체계에 살고 있음 . 천문학자의 별은 국문학자의 별과 는 다름 .

ㅇ 두 분야 간 소통이 잘 되어 융합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 서로 고정관념만 더 강화 시켜 흩어지는 경우가 많음 . 구체적 연구대상에 따라 융합의 난이도는 달라짐 .

ㅇ 융합연구에서 인문사회의 역할이 전체적으로 작음 . 현재 융합연구의 경우 눈에 잘 띠 는 분야를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 . 그것도 인위적 상태에서 일어나지 융합연구의 저  변이 확충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님 .

ㅇ 학문 사이의 융합은 가장 고차원적인 단계로 처음에는 연구 대상 , 문제나 연구방법이 먼저 융합을 해야 함 . 하지만 학문 자체는 융합이 안되더라도 개인은 융합적 관점을 가지고 있음 ..

융합에 대한 Two-Culture 간의 상이한 관점

과학 / 기술 융합연구자들과의 인터뷰 요약 (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 , 2008)

(17)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넘을 수 없는 벽 ?

(18)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연구추진 체계

(19)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체계와 사회의 대두 연구추진체계 ( 계속 )

(20)

Q & A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r]

‒ 사료생산형은 축산농가가 늘어나면서 조사료나 사일리지 생산을 위해 이루어지는 2모작 재배유형으로, 논에 벼를 재배한 다음 부산물인 볏짚을 조사료로

따라서 농촌다움 보전이나 농촌 난개발 · 저개발 대응 등 농촌의 현재에 대응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농촌계획제도도 계획의 수립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long the Stages of Growth in Korean Ventures,

ICT 의 개념과 요구를 사용자 관점에서 재고한 감성 ICT 가 다양한 산업 부분과 융합하여 감성 융합산업을 형성하고 있으며 창의적 신감성산업으로 불리며 글로벌

따라서 노인의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프 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과학적 문제해결과 과학적 의사소통 등 과학과 교과 역량 강화 교육으 로 미래를 개척하다... 어려워도 지겨워도 성실하게

동원하여 과학 연구와 실용적 목적으로 활동하는 일의 총칭을 뜻한다(두산백과).. 정보 기술(IT) 생명기술(BT) 환경기술(ET) 극미세기술(NT) 분야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