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3 23 2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3 23 23"

Copied!
18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5)

Ⅰ. 논 작부체계 개요

1. 작부체계란?

작부체계(Cropping system)란 한 포장에서 여러 작물을 바꾸어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별 재배순서나, 1년 동안 여러 작물을 동일포장에서 조합·배열하여 함께 재배하는 방식

작부체계는 제한된 토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발달하는데, 경지이용률 제고와 곡물(식량)자급률 향상뿐만 아니라 농가 수익성 향상과 노동의 효율적 배분 등 농업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함

‒ 합리적인 작부체계는 농가소득을 보장하면서, 식량증산, 지력유지, 노동력의 효율적 분산, 친환경 농업 등 저투입·지속적 농업을 추구하는 방향

우리나라 작부체계는 동계작물과 하계작물을 순차적으로 조합하거나, 봄작물과 하계 작물, 봄작물과 추계작물을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1년 2모작 재배방식이 발달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벼 논 재배 후 맥류를 심는 미맥 2모작 작부체계가 가장 발달 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가격 경쟁력이 낮은 맥류 재배가 감소하면서 벼 단일작목 위주의 논 재배 확대

논 2모작은 해당지역 재배 환경에 가장 적합한 작물을 선정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최대한 향상하는 것이 중요

‒ 작물의 선택은 해당지역의 기상조건, 토양 비옥도, 재배작물의 수확시기 및 이용형태, 연중 노동력의 안배 등을 고려하여 선택

(6)

2. 현황 및 필요성

가. 경지이용률과 곡물자급률

경지이용률이란, 농경지가 실제로 농사에 얼마나 이용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 1년간 총경지 면적에 대한 실제 이용면적의 비율로 나타냄

‒ 경지이용률 = 경지이용면적/전년도 경지면적×100

‒ 경지이용률은 농촌경제의 생산성과 활력정도를 보여주는데, 이용률이 높을수록 농업 생산 활동이 활발함을 나타냄

우리나라 경지이용률은 2019년 현재 107.2% 수준으로 과거에 비해 활용도가 낮아지고 있음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벼 재배이후 보리, 밀, 양파, 마늘 등 동계작물을 심는 1년 2모작 작부체계가 발달하여 1970년대 중반까지는 경지이용률이 140%를 상회

‒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한해 벼 단작 농사만 짓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100~110% 수준으로 낮아짐

<우리나라 경지이용률 변화 추이>

(7)

‒ 논 경지이용률은 1975년 130.9%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져서 2000년에 106.3%로 떨어진 이후, 2010년 109.9%이후 등락을 보이다가 2019년은 109.6%를 보이고 있음

‒ 밭은 1975년 152.9%로 논보다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져서 2019년은 104.6%임

우리나라 경지이용률(2019)

종류별 경지면적

(㏊)

경지이용면적 (㏊)

경지이용률 (%)

합계 1,532,578 1,643,465 107.2

논 813,503 891,669 109.6

밭 719,075 751,796 104.6

우리나라는 경지이용률을 높여 곡물자급률을 제고하고 농가소득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서는 기술적인 기반확보 필요

‒ 경지이용률 하락은 곡물자급률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지이용률 향상을 통한 경지면적 확보는 곡물자급률 목표치 달성에 필수

<우리나라 경지이용률과 곡물자급률 변화 추이>

(8)

‒ 특히, 우리나라는 논 면적 81만ha(’19) 중 답리작이 가능한 면적은 약 70% 수준인 57만ha로 추정되는데, 벼 이외에 맥류, 조사료, 소득작물 등을 이용한 다양한 작부 체계를 할 경우 벼 단작대비 높은 소득 창출과 더불어 곡물자급률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나. 논 경지이용 현황

논 경지면적은 2019년 총 경지면적의 53.1%인 813,503ha를 차지하며, 그 중 작물이 재배되는 면적은 891,669ha로 109.6%의 경지이용률을 보임

논 경지이용률은 남부지역과 중부지역의 차이가 큰 편이며, 동계기간이 따뜻하여 월동 작물 재배가 유리하고 작물 생육가능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남부지역이 높음

‒ 2019년 기준 전남 127.9%, 경남 122.9%, 전북 121.1%, 경북 101.4%순이며, 충청, 강원, 경기지역은 92~97%수준임

쌀 소비가 줄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논 농업은 대부분 쌀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음

‒ 기계화율이 낮은 밭작물에 비해 벼농사는 소득이 안정적이고 대부분 농작업이 기계화 되어 농가에서 재배 선호도가 높음

* 10a 당 노동시간(’18) : 벼 11.65, 콩 18.8, 양파 97.9, 마늘 126.3, 고추 155.2 ** 농작업 기계화율(’18) : 논농업 98.4%, 밭농업 60.2(파종·이식 : 9.5, 수확 : 26.8)

(9)

지역별 논 경지이용률(2019)

시도별 논 경지면적

(㏊)

논 경지이용면적 (㏊)

논 경지이용률 (%)

합계 813,503 891,669 109.6

서울특별시 151 124 81.8

부산광역시 2,951 2,969 100.6

대구광역시 3,359 4,833 143.9

인천광역시 12,050 10,623 88.2

광주광역시 5,486 6,026 109.8

대전광역시 1,331 1,165 87.5

울산광역시 5,250 5,353 101.9

세종특별자치시 4,202 3,897 92.7

경기도 83,667 78,710 94.1

강원도 32,818 30,189 92.0

충청북도 37,084 35,332 95.3

충청남도 141,954 137,083 96.6

전라북도 125,228 151,609 121.1

전라남도 166,162 212,444 127.9

경상북도 113,249 114,782 101.4

경상남도 78,544 96,524 122.9

제주도 16 8 47.4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 2019년 논 경지 이용면적 891,669ha의 작물별 재배면적 비중을 보면, 벼 88.6%, 사료작물 7.6%, 맥류 4.7%, 채소류 4.5%, 두류 1.5% 순으로 재배됨

‒ 벼 면적비율은 2010년 90.1%에서 2019년 88.5%로 소폭 하락하였고, 채소류 논재배 면적도 6.1%에서 4.5%로 하락함

‒ 최근의 논 타작물 재배 지원정책으로 사료작물은 2010년 4.8%에서 2019년 7.6%로, 두류는 0.8%에서 1.5%로 다소 상승하였음

(10)

논에 재배되는 작물별 재배면적

구 분

2019년 2015년 2010년

재배면적 (㏊)

비율 (%)

재배면적 (㏊)

비율 (%)

재배면적 (㏊)

비율 (%) 논 경지면적 813,503 100 868,452 100 976,775 100 (논 경지이용면적) (891,669) (109.6) (950,644) (109.5) (1,073,442) (109.9)

벼 720,038 88.5 798,043 91.9 879,679 90.1 맥류(보리밀) 37,873 4.7 34,529 4.0 43,851 4.5

두류 12,032 1.5 6,014 0.7 7,456 0.8

잡곡류 2,536 0.3 2,114 0.2 1,276 0.1

서류 4,101 0.5 2,735 0.3 3,976 0.4

채소류 36,380 4.5 49,292 5.7 59,967 6.1

특용약용작물 3,190 0.4 4,762 0.5 4,378 0.4

과수 1,392 0.2 2,241 0.3 2,391 0.2

사료작물 62,064 7.6 38,405 4.4 46,891 4.8

기타작물 10,320 1.3 10,542 1.2 18,977 1.9

기타수원지 1,742 0.2 1,967 0.2 4,600 0.5

휴경 15,701 1.9 13,263 1.5 20,153 2.1

시설작물 10,553 1.3 23,549 2.7 35,137 3.6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논에서 벼와 2모작이 가능한 주요 동계·춘파작물 재배면적은 2019년 12.2만ha으로 2015년 9.5만ha, 2010년 11.1만ha 보다 다소 증가함

‒ 2019년은 사료작물 62,064ha > 보리 35,034ha > 마늘 9,547ha > 양파 8,144ha >

밀 2,839ha > 봄감자 2,045ha 순임

‒ 사료작물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재배면적이 늘면서 증가 추세이고, 밀은 최근 국산밀 소비가 줄면서 재배면적이 크게 축소됨

(11)

논 2모작이 가능한 주요 동계·춘파작물 논 재배면적(ha)

구 분 2019년 2015년 2010년

보리 35,034 26,875 33,657

밀 2,839 7,654 10,194

마늘 9,547 6,644 6,458

양파 8,144 6,824 8,805

사료작물 62,064 38,405 46,891

봄감자 2,045 1,557 1,548

합계 122,512 95,613 111,289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다. 논 작부체계 유형

우리나라 논 이용 2모작 작부체계는 벼 재배여부에 따라 벼 2모작과 타작물 2모작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벼 2모작은 벼 재배 전후에 보리, 밀, 마늘, 양파, 감자 등을 심는 재배양식으로 우리 나라 논 2모작의 대표적 재배유형이며, 최근에는 조사료 생산을 위해 벼 재배 후 동계 작물로 사료작물을 생산하는 축산농가가 크게 늘고 있고, 시설채소를 심고 연작 장애를 막기 위해 반드시 벼를 재배하는 농가도 꾸준히 있음

‒ 타작물 2모작 작부체계는 벼 대신 하계작물로 밭작물이나 원예작물을 재배하고, 다음 작물로 맥류, 마늘·양파, 감자, 사료작물 등을 심는 재배양식이며, 벼 소비감소 추세와 논 타작물 확대정책으로 재배면적이 늘고 작목별 조합도 다양해지는 추세임

(12)

우리나라 대표적 논 이용 2모작 작부체계

구분 5월 6 7 8 9 10 11 12 1 2 3 4월~

5월

벼2모작

논벼 맥류(보리·밀)

논벼 소득작물(양파·마늘·봄감자)

논벼 사료작물(IRG·청보리)

타작물 2모작

벼 이외의 작물

(콩, 옥수수, 참깨, 들깨, 잡곡, 원예작물 등) 맥류(보리·밀) 벼 이외의 작물

(콩, 옥수수, 참깨, 들깨, 잡곡, 원예작물 등) 소득작물(양파·마늘·봄감자) 벼 이외의 작물

(콩, 옥수수, 참깨, 들깨, 잡곡, 원예작물 등) 사료작물(IRG·청보리)

우리나라 논 이용 2모작 작부체계는 경영적인 측면에서 농가의 적용 목적에 따라 크게 식량생산형, 소득작물생산형, 사료작물 생산형 2모작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식량생산형은 우리나라 전통적인 미맥 2모작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논콩 재배가 늘면서 동계맥류(보리·밀)+콩 2모작이 늘고 있음. 단위면적당 수익성 때문에 남부 지역의 대면적 재배 농가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으며,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유형임

‒ 소득작물생산형(소득형)은 수익성 측면에서 월등히 높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작물을 해당 작물 최적시기에 재배한 다음, 소득이 낮은 부작물은 남은 작기에 맞춰 재배하는 유형임. 마늘, 양파, 봄감자, 풋옥수수가 대표적 주작물이며, 수박, 토마토 등 시설 작물 재배 후 벼를 만기 재배하는 농가도 해당됨. 동계월동기간이 따뜻한 남부해안 지대에서는 노지에서 시금치+봄감자+벼 3모작 작부체계도 이루어짐

(13)

‒ 사료생산형은 축산농가가 늘어나면서 조사료나 사일리지 생산을 위해 이루어지는 2모작 재배유형으로, 논에 벼를 재배한 다음 부산물인 볏짚을 조사료로 이용하고 다음 작물로 동계에 사료작물을 생산하는 경우가 대표적임. 최근 논 타작물 재배 지원정책이 추진되면서 하계에 사료용 옥수수나 사료용 벼를 재배한 후 동계에도 사료작물을 생산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음

‒ 기타 유형으로는 지력향상을 위해 녹비작물을 심거나 관광 등을 목적으로 경관작물을 심는 작부체계 유형이 있음

라. 논 작부체계 선택시 핵심 고려사항

(1) 재배여건

재배지역에서 2모작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상환경과 생육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재배적지 선정

‒ 벼가 재배될 경우, 지역에 따라 본답에서 120~150일을 확보 하여야 함(조생, 중생, 중만생종 적절히 선택 필요)

‒ 지역별 최저기온 등을 파악하여 해당 작물이 재배기간 동안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한지 파악하여 함

기상환경은 월동기간이 따뜻한 남부지역이 2모작에 유리하며, 최근 온난화에 따라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지면서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작물 생육 가능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경향

‒ 남부지역은 우리나라 2모작 대부분 유형이 가능하며, 중부는 맥류 및 봄감자와, 중북 부는 사료작물 생산 2모작이 안정적임

(14)

우리나라 논 2모작 주요 작부체계의 지역별 적합성

◆ 작물별 해당지역의 생육 가능온도와 적정 재배시기를 고려한 2모작 작기 연결성 여부에 대한 적합성

평가(노지재배 기준)

∙ ◎ 안정 : 매년 2작물의 2모작 재배가 매우 안정적으로 가능 ∙ ○ 가능 : 적정 품종 선택시 큰 무리 없이 2모작 재배 가능

∙ △ 위험 : 적정 품종 선택시 2모작이 가능하나, 기상여건 등에 따라 매우 불안정 ∙ ✕ 불가 : 2모작 불가능

구분 작 형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벼 중 심 2 모 작

동작물-벼

보리-벼 △ ✕ △ ○ ◎ ◎ ◎ ◎

밀-벼 ✕ ✕ △ △ ○ ◎ ○ ◎

쌀귀리-벼 ✕ ✕ ✕ ✕ ✕ △ ✕ △

유채-벼 ✕ ✕ ✕ △ ○ ◎ △ ◎

월동채소-벼

양파-벼 ✕ ✕ ○ ○ ◎ ◎ ◎ ◎

마늘-벼 ✕ ✕ ○ ○ ◎ ◎ ◎ ◎

시금치-벼 ✕ ✕ ✕ ✕ △ ○ △ ○

시설채소-벼

겨울감자-벼 ✕ ✕ ✕ ✕ △ ○ △ ○

수박-벼 ✕ ✕ ✕ ✕ △ ○ △ ○

토마토-벼 ✕ ✕ ✕ △ △ ○ △ ○

소득작물(춘작) -벼

봄감자-벼 ✕ ✕ △ ○ ○ ◎ ○ ◎

찰옥수수-벼 ✕ ✕ ✕ ✕ △ ○ △ ○

봄배추-벼 ✕ ✕ ✕ ✕ ✕ △ ✕ △

벼-소득작물 (추작)

벼-가을감자 ✕ ✕ ✕ ✕ ✕ △ ✕ △

벼-가을배추 ✕ ✕ ✕ ✕ ✕ △ ✕ △

벼-가을메밀 ✕ ✕ ✕ ✕ ✕ △ ✕ △

조사료작물 -벼

호밀-벼 ○ △ ○ ◎ ◎ ◎ ◎ ◎

IRG-벼 △ ✕ △ ○ ○ ◎ ○ ◎

청보리-벼 △ △ △ ○ ○ ◎ ○ ◎

사료용밀-벼 △ △ △ △ ○ ◎ ○ ◎

봄귀리-벼 ✕ ✕ ✕ △ △ ○ △ ○

(15)

구분 작형

(동·춘작-하작-추작)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논 이 용 타 작 물 2 모 작

식량작물- 식량작물

보리·밀-콩·팥 △ ✕ ○ ○ ◎ ◎ ◎ ◎

보리·밀-찰옥수수·수수 ✕ ✕ △ △ ○ ◎ ○ ◎

보리·밀-고구마 ✕ ✕ △ △ ○ ◎ ○ ◎

보리·밀-들깨 ✕ ✕ △ △ ○ ◎ ○ ◎

유채-콩·고구마·찰옥수수 ✕ ✕ ✕ △ ○ ◎ △ ◎

채소류- 식량작물

마늘·양파-콩·팥 ✕ ✕ ○ ○ ◎ ◎ ◎ ◎

마늘·양파-찰옥수수 ✕ ✕ ○ ○ ◎ ◎ ◎ ◎

마늘·양파-들깨 ✕ ✕ △ △ ○ ◎ ○ ◎

시금치-들깨 ✕ ✕ △ △ ○ ◎ ○ ◎

소득작물- 식량작물

봄감자·옥수수·배추-콩 △ △ ○ ○ ◎ ◎ ◎ ◎

봄감자·옥수수·배추-팥·녹두 △ △ ○ ○ ◎ ◎ ◎ ◎

봄감자·옥수수·배추-들깨 △ △ ○ ○ ◎ ◎ ◎ ◎

봄감자·옥수수·배추-조·수수 △ △ ○ ○ ◎ ◎ ◎ ◎

식량작물- 소득작물

봄감자·옥수수-가을배추·무 △ △ △ ○ ○ ◎ ○ ◎

참깨-배추 △ △ △ ○ ○ ◎ ○ ◎

보리·밀-가을배추 ✕ ✕ ✕ △ △ ○ △ ○

참깨·보리·밀-가을감자 ✕ ✕ ✕ ✕ ✕ ○ ✕ △

식량작물- 식 량 작 물 (메밀)

보리·밀·유채-가을메밀 ✕ ✕ △ △ ○ ◎ ○ ◎

봄감자·옥수수·배추-가을메밀 △ △ ○ ○ ○ ◎ ○ ◎

참깨-가을메밀 △ △ △ ○ ○ ◎ ○ ◎

여름메밀-가을배추 △ △ △ ○ ○ ◎ ○ ◎

소 득 작 물 2기작

찰옥수수 2기작 △ ✕ ○ ○ ○ ◎ ○ ◎

고구마 2기작 ✕ ✕ ✕ ✕ ✕ △ ✕ △

감자 2기작 △ △ ○ ○ ○ ◎ ○ ◎

사료작물- 사료작물

호밀-옥수수 ◎ ◎ ◎ ◎ ◎ ◎ ◎ ◎

IRG-옥수수 △ △ ○ ○ ◎ ◎ ◎ ◎

청보리·밀-옥수수 ○ △ ○ ○ ◎ ◎ ◎ ◎

봄옥수수-가을귀리 △ ✕ △ ○ ○ ◎ ○ ◎

봄귀리·트리티케일-수수류 △ △ ○ ○ ○ ◎ ○ ◎

(16)

(2) 경영적인 측면

농사에 있어서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점은 수익성으로 단작보다 2모작이 소득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

‒ 콩의 경우, 동작물인 맥류와 마늘·양파를 재배한 이후에 재배하는 2모작 작부체계, 또한 초봄에 일찍 옥수수, 감자, 배추 등을 재배한 다음 콩을 재배하는 작부체계도 이용

특히, 2모작을 할 경우 주된 소득원이 될 작물을 어떤 작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는 것이 중요

‒ 주작물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른 재배할 작물의 선택이나 재배방법이 달라 질 수 있으며, 주 소득작물을 선정하지 않고 재배할 경우 때로 원하는 소득을 올리지 못할 수도 있음

(3) 파종 지연 시 대책 수립

2모작에서 앞작물의 수확이 늦어지고 파종(이앙)시기가 강우 등으로 인하여 지연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뒷작물 파종을 못할 수도 있음

‒ 재배지역의 기후조건, 파종적기 등을 고려한 2모작 작부체계의 선택이 필요하지만, 기상여건에 의해 지연이 될 수 있으므로 만파로 인한 수량감소를 대비하여 적절한 대책마련이 필요함

(17)

2·3모작 작부체계시 추정 수익성(최근 3년 작목별 표준소득 적용)

구분  수량

(㎏/10a)

단가 (원/10a)

경영성과(천원/10a) 조수입 경영비 소득 %

벼 단작 521 2,113 991 471 631 100

벼-맥류

벼+겉보리 벼 겉보리

1,003 521482

3,164 2,113 1,051

1,494 991503

767471 296

839631 207

133

벼+밀 벼 밀

940521 419

3,175 2,113 1,062

1,437 991446

741471 270

807631 175

128

벼-채소류

벼+양파 벼 양파

6,833 6,312521

2,642 2,113 529

4,329 3,338991

2,158 1,687471

2,283 1,651631

362

벼+마늘 벼 마늘

1,785 1,264521

5,210 2,113 3,097

4,905 3,914991

2,465 1,994471

2,552 1,920631

404

봄작물-벼

봄감자+벼 봄감자 벼

2,687 2,166 521

3,030 2,113917

2,977 1,986 991

1,642 1,171 471

1,448 816631

229

찰옥수수+벼 찰옥수수 벼

3,568 3,047/개 521

2,660 547/개 2,113

2,666 1,675 991

1,119 648471

1,659 1,027 631

263

벼-사료작물 벼+IRG 벼 IRG

2,085 1,564521

2,257 2,113 144

1,220 991226

675471 204

653631 22

103

벼-시설하우스

벼+가을감자 벼 가을감자

2,162 1,641521

3,475 2,113 1,362

3,227 2,236991

1,719 1,248471

1,619 631987

257

벼+수박 벼 반촉성 수박

5,415 4,894521

3,243 2,113 1,130

6,522 5,531991

2,934 2,463471

3,700 3,068631

586

맥류-두류

쌀보리+콩 쌀보리 콩

585403 182

5,792 1,203 4,589

1,319 485834

554277 277

765208 557

121

밀+콩 밀 콩

601419 182

5,651 1,062 4,589

1,280 446834

547270 277

732175 557

116

청보리-밭작물

청보리+콩 청보리 콩

2,408 2,226 182

4,719 4,589130

1,123 289834

430153 277

693136 557

110

청보리+풋옥수수 청보리 풋옥수수

5,273 2,226 3,047/개

677130 547/개

1,964 1,675289

801153 648

1,163 1,027136

184

3모작 모형

봄감자+벼+시금치 봄감자

벼 시금치

3,798 2,166 1,111521

5,237 2,113917 2,207

5,431 1,986 2,454991

2,632 1,171 471990

2,911 816631 1,464

461

봄감자+들깨+시금치 봄감자

들깨 시금치

3,379 2,166 1,111102

11,523 8,398917 2,208

5,313 1,986 2,454873

2,532 1,171 371990

2,782 816502 1,464

441

* 통계청, 농촌진흥청 최근 3년(’17~’19) 평균 소득자료 활용

(18)

3. 전국 논 이용 작부체계 실태조사 결과(2016년)

본 자료는 전국의 논 이용 작부체계 실태조사 보고서 결과로, 전국의 152개 시군센터 중 국립식량과학원(논이용작물과)의 실태조사에 응답한 106개 농업기술센터의 조사 결과임

‒ 당시 응답 조사된 시군센터 중 2모작이 많이 이루어지는 전남북, 경남북, 충남의 대부분 지역이 포함되어 있어, 우리나라 논을 이용한 작부체계 현황 파악에 유용한 자료임

전국 논 이용 작부체계 실태조사 조사 지역(2016, 식량원)

구 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광역시

시군수(개소) 152 20 18 15 15 14 21 23 18 8

응답수(개소) 106 10 3 6 13 13 20 15 18 8

응답률(%) 70 50 17 40 87 93 95 65 100 100

가. 지역별 논 이용 작부체계 현황

조사된 지역의 논 2모작 작부체계가 이루어지는 면적은 64,162ha로 우리나라 전체 논면적의 약 7.1%를 차지(2015년 기준)하고 있으며 대체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논 작부체계 면적은 남부지역이 중·북부지역의 8배이며 작부체계수도 60개가 더 많으며, 시군별로는 전북이 43개로 가장 많고 전남>경북>경남 순임

‒ 중부지역에서는 충남이 21개로 가장 많은 작부체계가 있고, 논 면적 대비 작부체계 비율은 경남이 22.7%로 전국에서 가장 높음

(19)

전국 논 이용 23모작 작부체계 현황(2016, 식량원 실태조사)

구분 시군 전국 논

면적(㏊)

실태조사 조사 결과 논 2·3모작

면적(㏊)

논 2·3모작 비율(%)

작부체계 유형(개)

남부

전남 185,190 17,304 9.3 35

전북 134,380 12,178 9.1 43

경남 89,803 20,364 22.7 25

경북 126,818 6,611 5.2 31

광주 6,615 480 7.3 2

대구 3,865 113 2.9 1

부산 3,490 117 3.4 2

울산 6,125 64 1.0 2

제주 18 0 - -

소계 556,304 57,231 10.3 141

중·북부

강원 38,979 232 0.6 16

경기 95,680 668 0.7 18

대전 1,606 6 0.4 1

세종 4,785 152 3.2 9

인천 13,445 76 0.6 5

충남 152,677 5,359 3.5 21

충북 44,541 439 1.0 11

서울 176 0 - -

소계 351,889 6,932 2.0 81

전체 - 908,193 64,162 7.1 222(중복포함)

* 전국 152개 시군중 106개 시군기술센터 조사자료 종합 결과임

(20)

나. 논 이용 작부체계 유형 현황

조사된 논을 이용한 총 작부체계 유형은 138 종류로 2모작이 119유형, 3모작은 19 유형이었으며, 2모작은 시설보다 노지 유형이 많았고 3모작은 주로 시설재배로 이루어 졌음

전국 논 이용 작부체계의 23모작 현황 (2016, 식량원 실태조사)

전체 2모작 3모작

138

노지 77 노지 5

시설 42 시설 14

계 119 계 19

논이용 작부체계 중 벼를 이용한 작부체계가 94.9%, 벼를 제외한 타작물 작부체계는 5.1%로 우리나라 논 2모작 작부방식은 벼 중심의 작부체계로 발전해 왔음

주요 작부체계별 재배면적은 전통적인 미맥 작부체계인 보리-벼가 15,993ha로서 전체 2모작 작부체계 중 24.9%를 차지하였으며, 사료작물-벼가 15.5%, 남부지역의 주 소득작물인 마늘, 양파가 각각 11.8, 11.7%로 비슷한 면적을 유지하였음

<전국 논 작부체계 작목 유형별 분포 비율 (2016, 식량원 실태조사)>

(21)

다. 논 이용 작부체계 주요 재배작물

조사된 논의 2·3모작 재배 작물의 수는 총 48작물이었음

‒ 벼 중심 작부체계는 춘계작물이나 동계작물과 작부체계를 이루고, 타작물 작부체계는 다양한 춘파, 추파, 하파 작물이 다양한 형태로 작부체계 구성

‒ 작물별 생산유형은 벼 중심이나 타작물 재배 모두 소득작물이 가장 많았으며 소득 작물은 양파, 마늘, 배추, 수박, 오이, 토마토 등 채소류가 주를 이루었음

전국 논 작부체계 유형별 재배 작물 분포 (2016, 식량원 실태조사)

구분 작기 생산유형 작물명

벼 중심

춘파 (11)

식량작물(2) 감자, 옥수수

소득작물(9) 배추, 봄동, 멜론, 참외, 호박, 수박, 토마토, 양배추, 브로콜리

추·동파 (26)

식량작물(8) 보리, 밀, 맥주보리, 귀리, 호밀, 감자, 콩, 동부

소득작물(15) 양파, 마늘, 배추, 시금치, 수박, 멜론, 대파, 당근, 미나리, 당근, 오이, 양상추, 고추, 쪽파, 택사, 세발나물

사료작물(3) 청보리, IRG, 기타 사료작물

타작물

춘파 (19)

식량작물(5) 콩, 강낭콩, 감자, 옥수수, 메밀

소득작물(14) 수박, 오이, 토마토, 대파, 얼갈이배추, 멜론, 호박, 양배추, 상추, 담배, 배추, 참외, 무, 갓

하파 (27)

식량작물(12) 콩, 팥, 들깨, 옥수수, 씨감자, 율무, 수수, 기장, 조, 참깨, 고구마, 동부

소득작물(14) 오이, 고추, 토마토, 무, 배추, 호박, 당근, 참외, 갓, 양배추, 단무지무, 코스모스, 멜론, 해바라기

사료작물(1) 사료용옥수수

추파 (15)

식량작물(5) 감자, 옥수수, 보리, 귀리, 밀,

소득작물(9) 마늘, 양파, 단호박, 딸기, 상추, 토마토, 시금치, 대파, 멜론 사료작물(1) 청보리

(22)

논 이용 작부체계의 유형은 주로 원예작물인 고소득 작물기반의 소득형,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식량생산형, 조사료 자급률 향상을 위한 조사료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소득형이 38.2%로 가장 많고 식량생산형 33.2%, 조사료형이 28.7%의 순이었음

‒ 대부분의 작부유형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이 벼와 연계한 작부체계로 구성되어 있음

‒ 유형별 주요작물은 소득형은 양파, 마늘, 수박 등이었고 식량생산형은 보리, 밀, 감자, 콩, 옥수수, 조사료형은 IRG, 청보리, 사료용 옥수수 등이었음

전국 논 재배 유형별 벼와 타작물 2모작 비율(2016, 식량원 실태조사)

구분 작부기반 재배면적

(㏊)

비율 (%)

비고 (주요작물)

소득형 (38.2%)

벼 기반 22,542 92.1 양파, 마늘, 수박, 시금치 등 벼 외 타작물 1,939 7.9 수박, 참외, 토마토 등

소계 24,481 100 -

식량생산형 (33.2%)

벼 기반 19,966 93.9 보리, 밀, 감자, 옥수수 등 벼 외 타작물 1,300 6.1 콩, 보리, 감자, 옥수수 등

소계 21,266 100 -

조사료형 (28.7%)

벼 기반 18,406 99.9 IRG, 귀리, 청보리 등 벼 외 타작물 10 0.1 청보리, 사료용 옥수수

소계 18,416 100 -

전체 (100%)

벼 기반 60,912 94.9 벼 외 타작물 3,250 5.1 -

합계 64,162 100

(23)

라. 지역별 논 작부체계

지역별 논 이용 작부체계수는 전라도가 가장 많고 경상도>충청도>경기도>강원도 순 이었으며 전체적으로 벼 중심의 작부체계보다 타작물 작부체계가 더 많았고, 재배면적 대부분이 벼 중심의 작부체계가 많았으나 경기도는 타작물 작부체계 면적이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음

<지역별 벼 2모작과 타작물 2모작 작부체계 수 (2016, 식량원 실태조사)>

<지역별 벼 2모작과 타작물 2모작 비율 (2016, 식량원 실태조사)>

(24)

마. 논 이용 작부체계별 소득

논을 이용한 주요 2모작유형별 평균소득은 식량생산형의 경우 주로 감자를 이용한 작부체계가 소득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봄감자보다는 겨울감자에서 더 높은 소득을 보임

‒ 감자 외 식량생산형에서는 콩과 작부체계를 이룰 때 소득이 높은 편임

소득형은 토마토가 가장 높았고 그 외에 엽채류와 딸기 등이 있었으며 벼와 연계한 2모작 작부체계보다는 소득작물 간의 작부조합이 주를 이룸

사료생산형은 IRG가 가장 높았고 대부분이 벼와 연계한 작부체계가 이루어지고 있음

<식량생산형>

(25)

<소득형>

<사료생산형>

(26)

4. 작물별 재배시기

논 2모작 재배를 고려할 때, 해당지역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파종시기와 수확 시기를 파악하여 두 작물의 2모작 가능여부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함

특히, 소득적인 측면에서 주작물과 부작물을 선정하게 되는데, 주 소득작물의 최대 생산성과 최고 수익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재배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

‒ 식량작물은 과거에는 벼가 가장 높은 소득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두류, 서류, 풋옥수수 등도 높은 수익성 보여 논 재배가 늘어남

‒ 원예작물은 동계작물인 마늘, 양파가 가장 많이 재배되는데, 소득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 2모작 재배시 주작물이 되는 경우가 많음

‒ 사료작물은 동계에는 조사료용 맥류(청보리, 호밀 등)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가, 하계에는 사일리지용 옥수수와 총체사료용 벼가 주로 재배되는데 부작물인 경우가 많음

벼의 경우, 생육기간이 다른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품종이 다양하기 때문에 2모작에 적합한 품종 선택의 폭이 넓은 편임

대부분의 하계작물은 서리 내리는 시기를 벗어난 5월부터 10월 사이에 노지 생육이 가능하지만, 해당 작물의 최대 수량성과 좋은 품질을 보여주는 지역별 재배적기는 차이가 있음

※ 본 자료에는 2모작 작부체계 적용농가가 각 작물의 재배적기에 최대한 근접하는 재배법을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논 재배가 되고 있는 작물들의 지역별 파종기와 수확기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음

(27)

가. 식량작물

이앙기

지역 지대 이앙기(월.일) 최적 이앙기(월.일)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

중부

중북부 내륙평야지(춘천, 영천) 6.4~6.10 5.18~5.24 5.15~5.21 6.7 5.21 5.18 중부 평야지(수원, 화성, 청원) 6.9~6.14 5.27~6.2 5.15~5.21 6.12 5.30 5.18 중간지(철원) 5.21~5.27 5.8~5.14 - 5.24 5.11 - 중산간지(제천) 5.19~5.25 5.8~5.14 - 5.22 5.11 - 해안지(남양, 강릉) 6.2~6.8 5.20~5.26 5.10~5.17 6.5 5.23 5.13

호남

평야지(익산, 대전, 예산, 김제, 나주) 6.13~6.19 6.3~6.10 5.27~6.5 6.16 6.7 6.1 중간지(임실) 6.5~6.11 5.28~6.3 5.25~6.1 6.8 5.31 5.28 해안지(계화, 해남) 6.15~6.21 6.9~6.15 6.1~6.7 6.18 6.12 6.4

영남

평야지(밀양, 대구, 진주) 6.13~6.19 6.11~6.17 6.5~6.11 6.16 6.14 6.8 중간지(안동, 함양) 5.28~6.4 5.21~5.27 5.19~5.25 6.1 5.24 5.22

중산간지(상주) 5.25~6.1 5.14~5.20 5.10~5.17 5.28 5.17 5.13 냉조풍지(영덕) 5.11~5.17 5.9~5.15 5.7~5.13 5.14 5.12 5.10

출수기와 수확기

출수기 품종 생태형 출수 후 일수 수확기

7월 하순~8월 상순 극조생종 40일 9월 상순~9월 중순

8월 상순 조생종 40~45일 9월 중순

8월 중순 중생종 45~50일 9월 하순~10월 상순

8월 하순 중만생종 또는 만식 50~55일 10월 상순~10월 중하순

(28)

맥류 밀·보리

지 대 파종적기

평야지(표고 100m 이하) 중산간지(표고 100~200m) 수확기

중부내륙지대(이천) 10.1~10.10 9.25~10.5

6월 상순

~ 6월 하순 동해안북부지대(강릉) 10.15~10.25 10.10~10.20

소백서부내륙지대(대전) 10.15~10.25 10.10~10.20 중서부평야지대(서산) 10.15~10.25 10.10~10.20 노령소백산간지대(임실) 10.10~10.20 10.5~10.15

5월 하순

~ 6월 상순 차령남부지대(전주, 군산) 10.20~10.30 10.15~10.25

호남내륙지대(광주) 10.25~11.10 10.20~11.5 남서해안지대(해남) 10.25~11.10 10.20~11.5 영남내륙산간지대(안동) 10.5~10.15 10.1~10.10 영남내륙지대(밀양) 10.20~10.30 10.15~10.31 노령동서내륙지대(산청) 10.15~10.30 10.10~10.31 영남분지지대(대구) 10.20~10.30 10.15~10.31 동해안중부지대(영덕) 10.20~10.30 10.15~10.31 남부해안지대(남해) 10.25~11.10 10.20~11.5 동해안남부지대(포항) 10.25~11.10 10.20~11.5

* 태백고령지대(대관령), 중북부내륙지대(철원), 소백산간지대(제천), 태백준고랭지대(봉화)는 재배 부적합지역

귀리

재배유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봄재배 남부 2월 하순 6월 하순~7월 중순

중북부 3월 상중순 6월 하순~7월 상순

가을재배 남부(익산,밀양) 10월 중순~11월 상순 5월 하순~6월 중순

(29)

두류

- 품종별

재배지역 품종별 파종기 파종한계기 수확기

중부 중만생종 6월 상순 6월 하순 10월 중순

조생종(단기성) 6월 7월 상순 10월 상중순

남부 중만생 6월 상중순 7월 중순 10월 하순

조생종(단기성) 6월~7월 7월 하순 10월 중하순

- 재배유형별

재배유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콩 단작 중북부 5월 하순~6월 상순 10월 상중순

남부 6월 상중순 10월 중하순

콩+동계작물 남부 6월 중하순 10월 중순

봄감자+콩 중부 6월 하순 10월 하순

남부 6월 하순~7월 상순 10월 하순

봄옥수수+콩 남부 6월 하순 10월 하순

콩(단기성)+마늘 남해안 6월 상순 9월 상순

재배지역 파종기

알맞은시기 한계기 수확기

중북부 6월 중순~하순 7월 상순 10월 상순~중순

남부 6월 중순~7월 상순 7월 중순 10월 중순~하순

녹두

재배지역 파종기

알맞은시기 한계기 수확기

중부 6월 중하순 7월 중순 8월 중순~9월 중순

남부(전남,경남) 6월 하순 7월 하순 9월 하순~11월 상순

완두

재배유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춘파재배 남부 2월 5월 하순~6월 상순

중부 3월 하순~4월 상순 6월 상순 이후 추파재배(노지 비닐멀칭) 남부 11월 중순~12월 상순 다음 해 5월 중순

(30)

유지작물 들깨(종실)

재배유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직파재배 중북부 6월 상순 9월 중순~10월 상순

남부 6월 상순~하순 9월 중순~10월 중하순

육묘이식재배 중북부 5월 중순 파종

(6월 중순 정식) 9월 중순~10월 상순

참깨

재배유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단작 전남·경남 4월 하순~5월 상순 8월 하순~9월 상순

그 외 5월 상순~6월 상순 8월 하순~9월 상순 2모작(맥후작) 남부 맥류 수확 후 바로~6월 상순 9월 상순~9월 중순

땅콩

재배유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무피복재배 중부 5월 상순 9월 중순~하순

남부 4월 하순~5월 상순 10월 상순~중순

비닐피복재배

경기·강원·충청 4월 중순~하순 10월 상순~중순

전라·경상 4월 중순 10월 중순~하순

제주 4월 중순 10월 하순~11월 상순

유채

재배유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가을재배

(채유용) 남부 10월 상순 (종자수확)다음 해 6월 중순

(잎수확) 11월, 다음 해 3월 봄재배

(경관용)

남부 2월 하순 개화기(5월 상순) 이후

중부 3월 상순 개화기(5월 중순) 이후

(31)

서류 감자

재배유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봄재배

남부해안지방 2월 중순~3월 상순 6월 상순~6월 중순 남부평야지대 3월 상순~3월 중순 6월 중순~6월 하순 중부평야지대 3월 하순~4월 하순 6월 하순~7월 상순

여름재배

중부준고랭지대 4월 상순~4월 중순 7월 중순~8월 중순 고랭지대 4월 하순~5월 상순 9월 중순~9월 하순

가을재배

중부지방 7월 중순 10월 상순~11월 상순

제주도, 남부지방 8월 하순 11월 상순~11월 하순

겨울재배 제주도, 남부도서지방 12월 중순~1월 중순 4월 상순~5월 중순

겨울시설재배 남부지방 12월 중순~1월 중순 4월 중순~5월 상순

고구마

재배유형 작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조기재배

비닐개량 멀칭재배

남부 4월 상순~중순 7월 하순~8월 중순

중북부 4월 중순~하순 8월 상순~중순

비닐터널 재배 남부 4월 상순 7월 하순~8월 상순

비닐하우스 재배 남부 3월 중순~하순 6월 하순~7월 중순

보통기 재배 -

남부 5월 상순~중순 9월 하순~10월 중순 중북부 5월 중순~하순 9월 중순~10월 상순

만기재배 -

남부 6월 중순~7월 상순 10월 하순 중북부 6월 중순~6월 하순 10월 하순

(32)

잡곡류 옥수수

재배유형 작형 재배지역 파종기 이식기 수확기

극조기재배 비닐하우스 재배 충남 이남 2월 상순~중순 2월 하순~

3월 상순

5월하순~

6월 상·중순 조기재배 비닐터널 재배 충남 이남 3월 상순~중순 4월 상순 6월 중순~하순

반촉성재배 비닐피복 재배 충남 이남 4월 상순 직파 7월 상순~중순

보통직파재배 적기 무피복 재배 전국 4월 중순 직파 7월 하순~

8월 상순

비가림재배 비닐하우스 재배 전국 6월 상순 직파 9월 상순~중순

가을재배 노지재배 충남 이남 7월 상순~중순 직파 9월 하순~

10월 상순

수수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남부평야지(밀양) 6월 상순~하순 9월 하순~10월 중순

서남부해안지(고창) 5월 하순~6월 하순 9월 중순~10월 상중순

중부내륙평야지(괴산) 6월 상순~중순 9월 중순~10월 상중순

조·기장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남부평야지(밀양) 6월 상순~중순 9월 하순~10월 중순

서남부해안지(고창) 5월 하순~6월 중순 9월 상중순

중부내륙평야지(괴산) 6월 상순~중순 10월 상순~중순

메밀

재배생태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여름메밀

중북부 4월 하순~5월 상순 7월 상순~중순

남부 4월 상순~중순 6월 하순~7월 상순

제주 3월 하순~4월 상순 6월 중순~하순

가을메밀

중북부 7월 중순~하순 10월 상순~중순

남부 8월 상순~중순 10월 하순~11월 중순

제주 8월 하순~9월 상순 11월 하순~12월 상순

(33)

나. 원예작물

양념 채소류 양파

숙기 지역 구분 파종기 수확기

조생종

경남 파종 8월 중순

4월 중하순

정식 10월 상순~중순

전남 파종 8월 하순

4월 상순~5월 상순

정식 10월 중순

전북 파종 8월 중순

4월 중순~5월 상순

정식 10월 상순

중부 파종 8월 하순~9월 상순

5월 상순~하순

정식 10월 상순~중순

제주 파종 8월 하순

3월 하순~5월 상순

정식 10월 중순

중생종

경남 파종 9월 상순

5월 중순~6월 중순

정식 10월 하순

전남 파종 9월 상순

5월 상순~6월 중순 정식 10월 하순~11월 상순

전북 파종 8월 하순

5월 상순~6월 중순

정식 10월 중순

중부 파종 8월 상순~중순

5월 상순~6월 상순

정식 10월 상순

제주 파종 9월 상순~중순

5월 상순~6월 중순

정식 11월 상순

만생종

경남 파종 9월 상순

6월 중순

정식 11월 상순

전남 파종 9월 상순~중순

6월 중순~하순

정식 11월 상순

전북 파종 9월 상순

6월 중하순

정식 10월 하순

중부 파종 8월 하순

6월 상순~하순

정식 10월 하순

제주 파종 9월 중순

5월~6월

정식 11월 중순

(34)

마늘

품종명 생태형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서산종 한지형 중부해안 10월 중순~하순 6월 하순

의성종 한지형 중부내륙 10월 중순~하순 6월 하순

단양종 한지형 중부내륙 10월 중순~하순 6월 하순~7월 상순

제주종 난지형 제주도 8월 하순~9월 상순 6월 상순

해남종 난지형 남부해안 8월 하순 6월 상순

남도마늘 난지형 남부 9월 하순 6월 상순~중순

대서마늘 국난지형 남부 9월 하순 5월 중순

자봉마늘 국난지형 제주도 8월 하순 4월 중순

고추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노지조숙재배

남부 1월 하순~2월 중순 4월 하순~5월 상순

6월 상중순~8월 상순

중부 2월 상순~하순 5월 상순~중순

터널조숙재배 - 1월 중하순~2월 상중순 4월 상중순~중하순 6월 상중순~9월 상순

비가림재배

남부

1월 상순~하순

3월 하순~4월 중순

6월 상순~10월 중순

중산간지 4월 상순

촉성재배 남부 10월 중순 11월 하순~12월 다음 해 2월 상순~6월 중순

반촉성재배

남부

12월 상중순

다음 해 2월 상순~3월 상순

2월 하순~6월 하순

중부 다음 해 2월 상순

(1~2개월 가온 필요)

억제재배 - 8월 중순~하순 10월 상순~중순 11월 상순~다음 해 2월 중순

(35)

과채류 토마토

재배유형 지대별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촉성재배 전국 8월 상중순 9월~11월 ~다음 해 6월

반촉성재배 (저온기 육묘)

남부 10월 하순~11월 하순 12월 하순~다음 해 1월 하순 3월~7월 하순

중부 1월 상순 3월 상순~하순 6월 상순~하순

억제재배

(고온기 육묘) 전국 5월~8월 6월~9월 8월~12월

방울토마토

지역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경기 12월~다음 해 2월 2월~4월 4월~7월

강원 4월 상순 4월 상순 7월 상순

충북 10월~12월 다음 해 1월~2월 3월~6월

충남 8월~10월 10월~11월 12월~다음 해 5월

전북 8월~10월 10월~11월 12월~다음 해 6월

전남 8월~10월 9월~12월 11월~다음 해 6월

경북 8월~9월 9월~다음 해 1월 10월~다음 해 9월

경남 7월 하순 8월 하순 10월 하순~다음 해 7월

제주 7월 하순 8월 하순 10월 하순~다음 해 5월

부산 9월~10월 상순 10월~11월 중순 11월 하순~다음 해 6월 하순

대구 11월 상순 다음 해 1월 상순 3월 중순~6월 상순

광주 7월 중순 8월 하순 10월 상순~

대전 9월 중순 12월 상순 다음 해 2월 하순~6월 하순

울산 8월 중순 9월 하순 11월~다음 해 7월

(36)

수박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촉성재배 남부 11월 하순~12월 상순 다음 해 1월 중순~하순 3월 하순~4월 하순

반촉성재배

남부 12월 중순~하순 다음 해 1월 중순~2월 상순 4월 하순~6월 상순

중부 1월 상순 2월 상순~3월 6월 상순~7월

터널조숙재배

(온상 육묘) 남부·중부 2월 하순~3월 하순 4월 상순~하순 7월 중순~하순 노지재배

(온·냉상 육묘) 전국 4월 상순~5월 상순 5월 상순~하순 8월 상순~9월 상순 하우스억제재배 남부 7월 하순~8월 상순 8월 하순~9월 상순 11월 상순~12월 하순

참외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촉성재배 남부 11월 중순~12월 중순 12월 하순~다음 해 1월 하순 3월 하순~4월 중순 반촉성재배 남부·중부 1월 상순~2월 중순 2월 중순~3월 하순 5월 상순~6월 중순 터널조숙재배 남부·중부 3월 상순~4월 상순 4월 중순~5월 상순 6월 하순~7월 상순 노지재배 남부·중부 4월 하순~5월 상순 5월 하순~6월 상순 7월 중순~8월 중순 비가림억제재배남부 주산지

(성주 등) 6월 상·중순 7월 상·중순 9월

하우스억제재배남부 주산지

(성주 등) 7월 하순~8월 상순 8월 하순~9월 상순 10월 하순~1월 상순

멜론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봄재배(무가온) 남부, 중부 12월 하순~다음 해 2월 1월~3월 중순 3월~5월 상순

여름재배 중부 4월~6월 5월~7월 8월~9월

가을재배(무가온) 남부 6월~8월 7월~9월 10월~12월

겨울재배(난방) 남부 9월~11월 10월~12월 다음 해 1월~3월

(37)

딸기

재배형태 지역 육묘기 정식기 수확기

촉성재배 전국 3월 하순~9월 상순 9월 중순~하순 10월 하순~다음 해 5월 상순

초촉성재배 전국 3월 하순~8월 하순 8월 하순 10월 중순~다음 해 5월 상순

반촉성재배 전국 4월 중순~9월 하순 9월 하순~10월 중순 다음 해 1월 하순~5월 중순

억제재배 전국 5월 상순~10월 하순 8월 하순~9월 상순 9월 하순~10월 하순

여름재배 해발

700m 이상 5월 상순~하순 6월 상순~하순 8월 상순~11월 중순

노지재배 전국 3월 중순~9월 9월 중하순~10월 상순 다음 해 5월 하순~6월 상순

오이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촉성재배 남부 10월 하순~12월 중순 12월 상순~1월 하순 2월 중순~4월 상순

반촉성재배 중부 이북 1월 상순~2월 중순 2월 하순~4월 상순 4월 중순~5월 중순

터널조숙재배 남부 3월 상순~중순 4월 상순~중순 5월 중순~하순

노지재배 전국 4월 상순~5월 상순 5월 상순~하순 6월 상순~하순

노지억제재배 준고랭지 5월 상순~6월 하순 6월 중순~7월 하순 7월 중순~8월 하순

시설억제재배 남부 7월 중순~8월 중순 8월 중순~9월 하순 9월 상순~10월 상순

(38)

엽채류 배추

작형 지역 파종기 수확기

가을 조기 재배 경기북부 7월 중순~8월 상순 9월 하순~10월 중순

가을재배 전국 8월 중순 10월 하순~11월 중순

늦가을 재배 남부해안 8월 하순~9월 상순 11월 상순~12월 상순 월동재배 남부해안, 제주도 8월 하순~9월 중순 1월 상순~2월 하순 하우스재배 남부, 중부 11월 중순~1월 중순 3월 상순~5월 상순

터널재배 전국 1월 하순~2월 중순 5월 상순~5월 하순

봄노지 재배 전국 3월 상순~4월 하순 6월 상순~7월 상순

준고랭지 재배 해발 400~600m 4월 하순~7월 중순 7월 상순~9월 상순 고랭지 재배 해발 600~800m 5월 중순~7월 상순 7월 하순~10월 상순

양배추

재배형태 지대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봄재배 전국 3월~4월 4월~5월 7월~8월

여름재배 해발 400~800m 5월~6월 6월~7월 9월

가을재배 전국 7월 8월 10월~11월

월동재배 제주, 남해안 9월 10월 다음 해 3월~5월

시금치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수확기

봄재배 남부 2월 상순~5월 하순 3월 중순~7월 상순

여름재배 해발 800m 이상 6월 상순~8월 하순 7월 상순~10월 상순

가을~겨울재배 호남 해안,

영남 해안 9월 중순~11월 하순 10월 상순~다음 해 3월 하순

(39)

근채류

작형 지역 파종기 수확기

하우스 남부 11월 하순~12월 3월 하순~4월

중부 1월 중순~2월 4월~5월 상순

터널 남부 2월 중순~하순 5월

중부 2월 하순~3월 중순 5월 하순~6월 상순

노지봄무

남부 3월 중순~하순 5월 중순~하순

중부 4월 상순~중순 6월

북부 4월 중순~하순 6월 하순~7월 상순

여름무

고랭지 4월 하순~5월 7월~8월 상순

고랭지 6월~7월 8월~9월

남부해안 6월~7월 8월~9월

가을무

북부 7월 중순~8월 상순 9월 상순~10월

중부 7월 하순~8월 중순 9월 하순~11월 상순

남부 8월 상순~9월 상순 11월~12월

월동무 제주도 9월 12월~3월

당근

재배형태 지역 파종기 수확기

봄재배 전국 3월~5월 6월~8월

여름재배 해발 600m 이상 4월~5월 8월~9월

가을재배 전국 7월~8월 10월~11월

노지월동재배 제주 7월~8월 12월~다음 해 3월

하우스재배 부산, 남해안, 제주 12월~다음 해 1월 4월~5월

터널재배 부산, 남해안, 제주 1월~2월 5월~6월

(40)

다. 사료작물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

재배생태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봄 파종

중북부 3월 상순~중순 6월 상순

중부 2월 하순~3월 상순 5월 하순

남부 2월 중순~하순 5월 중하순

가을 파종

중북부(조파 권장) 9월 중하순~30일 다음 해 5월

중부(조파 또는 산파) 9월 하순~10월 5일 다음 해 5월 남부(조파 또는 산파) 10월 상순~중순 다음 해 5월

청보리

재배지역 파종기

알맞은시기 한계기 수확기

경기북부·강원 9월 하순~10월 상순 10월 중순 다음 해 5월 중순~하순

경기남부·충북 10월 상순 10월 중순 다음 해 5월 중순~하순

충남·전북·경북 10월 상순~중순 10월 하순 다음 해 5월 중순~하순

전남·경남 10월 중순 10월 하순 다음 해 5월 중순~하순

귀리

재배유형 지대별 파종기 수확기

봄재배

남부 3월 초 5월 중순~6월 중하순

중북부 3월 상중순 5월 중순~6월 중하순

가을재배 전국 8월 중하순 10월 중순~11월

(41)

옥수수(사일리지용)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남부평야지 4월 상순~중순 8월 상순~중순

중·북부지역 4월 중순~하순 8월 상순~하순

산간지 5월 상순~중순 9월 상순~중순

호밀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알맞은시기 한계기 청예·건초용 사일리지용

경기북부·강원 9월 하순~10월 상순 10월 상중순 다음 해 4월 하순 다음 해 5월 상순~중순 경기남부·충북 10월 상순~중순 10월 중순 다음 해 4월 하순 다음 해 5월 상순~중순 충남·전북·경북 10월 중순 10월 중하순 다음 해 4월 중순~하순 다음 해 5월 상순~중순 전남·경남 10월 중순~하순 11월 초 다음 해 4월 중순~하순 다음 해 5월 상순~중순

라. 특용작물

담배

지역 파종기 이식기 수확기

충북 2월 하순 4월 상순 6월~8월 하순

전북 2월 상순 3월 상순 6월 중순~8월 중순

전남 2월 상순 3월 중하순 6월 상순~7월 하순

(42)
(43)

Ⅱ. 벼 중심 작부체계 기술

1. 남부지역(영남, 호남)

가. 식량생산형 (1) 벼-보리

개요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이고 전통적인 논 2모작 작부체계 유형으로 경지이용률 향상과 농가소득 증대에 중요

남부지역 대부분 지역에서 벼 재배 후 보리 2모작 적용이 가능하며, 가을에 잦은 강우로 파종이 어려울 경우 봄 파종도 가능

작부체계 재배력

벼-보리(가을파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보리 보리

* 보리 수확 : 5월 하순, 벼 이앙 : 6월 상순, 벼 수확 및 밀 파종 : 10월 중·하순

(44)

벼-보리(봄파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보리

* 보리 파종 : 2월 중순, 보리 수확 : 6월 중순, 벼 이앙 : 6월 하순, 벼 수확 : 10월 하순

작부체계 적용사례(경남, 전·남북)

재배법

작기 작물 품종 파종(정식)기

(월.일)

재식거리 (cm)

시비량 (N-P-K, ㎏/10a)

수확기 (월.일) 동계 보리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10월하순

~11월초 휴립산파 9.5-7.4-3.9 5월하~6월상

하계 벼 조·중생종 6월상·중순 30×14 9-4.5-5.7 10월상·중순

영·호남 남부지역에서 가능하고 보리수확 후 벼 중만생종 품종 재배도 가능

안전재배의 기본조건은 적기파종이므로 지역별로 알맞은 때에 파종작업을 마치는 일은 보리 수량증대에 중요한 요인이며, 월동전 잎이 5~6매 나올 수 있을 때가 그 지역의 알맞은 파종적기임

‒ 적기보다 아주 일찍 뿌릴 경우 파종량을 약 40%정도 줄이고 씨뿌림 시기가 적기보다 늦어질수록 기준량보다 20~30% 종자량을 늘릴 것

가을보리 파종기 강우 및 벼 수확시기 지연으로 적기파종이 어려울 경우 2월 중순부터 보리를 파종하고 6월 중순에 수확한 후 벼를 6월 하순에 이앙 (춘파보리는 청보리 재배가 바람직)

(45)

※ 보리 파성별 주요 품종

맥종 파성별 주요품종

쌀보리 흰찰, 재안찰, 풍산찰 - 진주, 보석찰, 조아찰, 누리찰, 다한, 자수정찰

겉보리 큰알보리1호, 새올, 황금찰,

혜양 혜강, 혜다 큰알, 서둔찰, 혜당, 보안찰, 다향 청보리 영양, 조미 선우, 유호 상원, 우호, 유연, 소만, 다미, 유한,

녹향 - 가을파종은 Ⅰ·Ⅱ·Ⅲ 모두 가능, 봄파종은 Ⅰ·Ⅱ만 가능

경제성 분석

답리작 맥종별 소득성(전남, 2016) (단위 : 천원/10a)

작부체계

보리 전체

수량

(㎏) 조수입 경영비 소득 수량

(㎏) 조수입 경영비 소득 조수입 경영비 소득

벼 단작 - - - - 510 777 382 395 - - 395

보리-벼 360 342 193 149 444 817 330 487 1,159 523 636 맥주보리-벼 467 455 275 180 500 938 379 559 1,393 654 739

답리작 겉보리 소득성 (농산업경영과, 2015)

구분 벼단작 겉보리-벼

조수입 1,075 1,690

경영비 431 719

소득 643 1,021

소득지수 100 159

자료출처 :

다양한 논 이용 재배기술 (농촌진흥청, ’15), 답리작 작물재배 확대방안 심포지엄(국립식량 과학원, ’15), 논 이용 이모작 작부체계 사례집(농촌진흥청, ’15),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농촌진흥청, ’16)

(46)

(2) 벼-밀 개요

남부지역 평야지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해 향후 벼와 밀 2모작 확대 필요성 증대

밀 수확시기가 보리보다 1주일 이상 늦기 때문에 벼는 조생종이나 중생종 품종 선택이 2모작 적응성에 유리

작부체계 재배력

벼-밀(가을파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상 중 하

* 벼 품종 : 조・중생종

작부체계 적용사례(밀양)

재배법

작기 작물 품종 파종(정식)기

(월.일)

재식거리 (cm)

시비량 (N-P-K, ㎏/10a)

수확기 (월.일) 동계 밀 조경, 금강 등 10월하~11월상순 휴립산파 9.5-7.4-3.9 6월중

하계 벼 조중생종 6월중하순 30×14 9-4.5-5.7 10월중

파종기는 월동 전 본엽이 4~5매가 자라도록 제때 파종하여 파종깊이가 2~3cm로 유지 되면 월동 중 보온효과가 큼

파종한계기는 적기보다 10일 정도 늦은시기이며 파종기가 늦어지면 추위에 가장 약한 시기가 이유기(주간엽수 3~4개)와 겹쳐서 얼어 죽기 쉬움. 또한 분얼이 늦어져 유효 수수가 적어 수량이 감소하고 성숙기가 늦어 후작물 심기가 늦어짐

(47)

파종시기가 늦어질 때는 파종량을 20~30% 늘려주고 파종깊이도 1~2cm 더 깊게 해주어 동해를 예방하여야 함

밀-벼 2모작 소득 (’16~’18, 밀양)

작부체계 수량 (㎏/10a) 소득 (천원/10a)

합계

밀-벼 417 614 303 764 1,067

* 밀 수확 및 벼 이앙 : 6월 하순, 벼 수확 및 밀 파종 : 10월 중·하순

※ 벼 이앙기에 따른 추파밀 적응성

지역 지대 벼 재배 (월,일) 밀 재배 (월.일)

품종 이앙기 수확기 파종기 수확기 적응성

호남

평야지 조생종 6.15 9.25 10.10 6.12 △

중생종 6.15 10.15 10.20 6.12 △

중간지 조생종 6.15 10.5 10.10 6.20 ×

중생종 6.15 10.12 10.17 6.20 ×

해안지 조생종 6.20 10.8 10.13 6.15 ○

중생종 6.20 10.20 10.25 6.15 ○

영남

평야지 조생종 6.20 9.25 10.10 6.15 ○

중간지 조생종 6.15 10.7 10.12 6.20 ×

중생종 6.15 10.30 11.5 6.20 ×

냉조풍지 (영덕)

조생종 6.15 10.8 10.13 6.20 ×

중생종 6.15 10.30 11.5 6.25 ×

자료출처 :

답리작 작물재배 확대방안 심포지엄(국립식량과학원, ’15), 식량원 시험연구보고서(’18), 다양한 논 이용 재배기술(’15)

(48)

참고

벼-맥류 2모작의 벼 기후지대별 벼와 맥종별 적응성

지 대 벼 2모작 이앙기 (월, 일)

맥종별 파종 1월 최저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평균기온 태백고령지대

(대관령)

조생종(6.15) ☓ ☓ ☓ ☓

-12.6℃

중만생(6.15) ☓ ☓ ☓ ☓

태백준고령지대 (봉화)

조생종(6.15) ☓ ☓ ☓ ☓

-10.3℃

중만생(6.15) ☓ ☓ ☓ ☓

소백산간지대 (제천)

조생종(6.15) ☓ ☓ ☓ ☓

-11.2℃

중 생(6.15) ☓ ☓ ☓ ☓

노령소백산간지대 (임실)

조생종(6.15) ○ ☓ ☓ △

-7.6℃

중만생(6.15) △ ☓ ☓ △

영남내륙산간지대 (안동)

조생종(6.15) △ ☓ ☓ △

-6.6℃

중만생(6.15) △ ☓ ☓ △

중북부내륙지대 (철원)

조생종(6.15) ☓ ☓ ☓ ☓

-11.4℃

중만생(6.15) ☓ ☓ ☓ ☓

중부내륙지대 (이천)

조생종(6.15) ☓ ☓ ☓ △

-8.5℃

중만생(6.15) ☓ ☓ ☓ ☓

소백서부내륙지대 (대전)

조생종(6.15) ○ ○ ☓ ○

-5.4℃

중만생(6.15) ☓ ☓ ☓ ☓

노령동서내륙지대 (산청)

조생종(6.15) ○ ○ ☓ ○

-4.7℃

중만생(6.15) ○ ☓ ☓ ☓

호남내륙지대 (광주)

조생종(6.15) ◎ ◎ ○ ◎

-3.1℃

중만생(6.15) ◎ ◎ ○ ◎

영남분지지대 (대구)

조생종(6.20) ◎ ◎ ○ ○

-3.6℃

중만생(6.15) ◎ ◎ ○ △

영남내륙지대 (밀양)

조생종(6.20) ◎ ◎ ○ ○

-5.8℃

중만생(6.15) ◎ ◎ ○ ○

중서부평야지대 (서산)

조생종(6.15) ○ △ ☓ △

-6.3℃

중만생(6.15) ○ ☓ ☓ ☓

차령남부지대 (전주,군산)

조생종(6.15) ◎ ◎ △ ○

-4.6℃

중만생(6.15) ○ ○ ☓ ○

남서해안지대 (해남)

조생종(6.20) ◎ ◎ ◎ ◎

-3.2℃

중만생(6.20) ◎ ◎ ◎ ○

남부해안지대 (남해)

조생종(6.20) ◎ ◎ ◎ ◎

-2.4℃

중만생(6.15) ◎ ◎ ◎ ○

동해안북부지대 (강릉)

조생종(6.15) ○ ○ ○ ○

-3.2℃

중만생(6.15) ☓ ☓ ☓ ☓

동해안중부지대 (영덕)

조생종(6.15) ○ ○ ☓ △

-3.6℃

중만생(6.15) △ △ ☓ ☓

동해안남부지대 (포항)

조생종(6.20) ◎ ◎ ○ ○

-2.0℃

중만생(6.15) ○ △ △ △

※ 적응성 : ◎ 아주양호, ○ 양호, △ 작기조절로 가능, ☓ 불가

(49)

참고

벼+맥류 2모작의 권역별 벼와 맥종별 적응성

지역 지대 벼(월,일)

맥종 맥류(월,일) 1월 최저 품종 이앙기 출수기 수확기 파종기 수확기 평균기온

중부

중북부내륙

(춘천) 조생종 6.15 8.21 9.29

겉보리 10.5(☓) 6.12

-9.9℃

쌀·맥주보리 ☓ ☓

밀 10.5~ 6.20 평야지

(수원) 조생종 6.15 8.22 9.30

겉보리 10.5~ 6.12

-7.4℃

쌀·맥주보리 ☓

밀 10.5~ 6.20

해안지 (서산)

조생종 6.15 8.24 10.5

겉보리 10.10~ 6.10

-6.3℃

쌀보리 10.10~ 6.10

맥주보리 ☓ ☓

밀 10.10~ 6.20

중만생 6.15 8.30 10.20

겉보리 10.25~ 6.15

-6.3℃

쌀보리 ☓ ☓

맥주보리 ☓ ☓

밀 10.25~ 6.25(☓)

호남

평야지 (김제,익산)

조생종 6.15 8.20 9.25

겉보리 10.10~ 6.7

-5.4℃

쌀보리 10.10~ 6.7 맥주보리 10.10~ 5.25

밀 10.10~ 6.12

중만생 6.15 8.24 10.15

겉보리 10.20~ 6.7 쌀보리 10.20~ 6.7 맥주보리 10.20~ 5.25

밀 10.20~ 6.12

중간지 (임실)

조생종 6.15 8.26 10.5

겉보리 10.10~ 6.15

-7.6℃

쌀보리 ☓ ☓

맥주보리 ☓ ☓

밀 10.10~ 6.20(☓)

중만생 6.15 8.31 10.12

겉보리 10.17~ 6.15

쌀보리 ☓ ☓

맥주보리 ☓ ☓

밀 10.17~ 6.20(☓)

참조

관련 문서

여전히 거 친 말투를 쓰긴 했지맊, 표정이나 행동 어딘가에서 나름대로 배려나 다정함을 내비치는 일이 잦아졌다.. 용과 기린이 눈을 뜨고

Figure 23-8 Calibration curve used to estimate the molecular mass of an unknown protein by molecular exclusion chromatography..

EU산업을 대표하는 자의 실질적 피해에 대한 증거제출 23. 회원국대표로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에서 노래 부르며 춤을 췄던 알프스의 평원을 닮았다.. 곰배령은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reaction mixture, e.g., hydrogenation of ethene to ethane, a gas phase reaction, in the presence of a solid catalyst such as palladium, platinum... The

그리고 이러한 지구시대적 변혁에 임하여 이 시대에 대한 새로운 각성과 전향적 인식을 토대로 하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여력 전부를 재투자하는 등,

[r]

Ex) Although most people experience social shyness at one time or another, an individual with a social phobia experiences extreme self-consciousness.. Although는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