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8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2009

(3)
(4)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2009

An Analysis on the contents Related Disabilities in the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s

- focused o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5)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2009

(6)
(7)

목 차

ABSTRACT

서론 .

Ⅰ ……… 1

연구의 필요성

1.

……… 1

연구의 문제

2.

……… 3

이론적 배경 .

Ⅱ ……… 4

장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 4

……… 8

장애이해 교육

3.

……… 10

문학 교과서를 통한 장애 이해교육

4.

……… 13

선행연구

5.

……… 17

연구방법 .

Ⅲ ……… 20

연구 대상

1.

……… 20

내용 분석 기준

2.

……… 21 3

. 연구절차

……… 25

연구결과 .

Ⅳ ……… ……… 26

장애 관련 용어

1.

……… 26

……… 32

장애발생 원인

3.

……… 39

장애인에 대한 인식

4.

……… 43

(8)

결론 및 논의 .

Ⅴ ……… 48

참고문헌 ……… 52

부 록 ……… 55

(9)

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천 단계

< 1> 3 ……… 9

표 2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일람표

〈 〉 ………

20

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의 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기준

< 3>

……

22

표 4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분석 기준

〈 〉

………

24

표 5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용어

〈 〉

………

26

표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용어

< 6> 7

………

31

표 7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장애 유형

〈 〉

……

32

표 8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장애유형7 37

〈 〉 …

표 9 제 차 교육과정과7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 〉

등장인물의 장애유형 비교 ………38 표 10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장애

〈 〉

발생원인 ……… 39 표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의 등장인물의

< 11> 7

장애발생원인 ……… 42 표 12 제 차 교육과정과7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 〉

등장인물의 장애발생 원인 비교……… 42 표 13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에 대한 인식

〈 〉 ……… 44

표 14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에7

〈 〉

대한 인식 ……… 46 표 15 제 차 교육과정과7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 〉

장애인에 대한 인식 ……… 47

(10)

국문초록

년대와 년대 초반에 시작된

1970 1980 우리나라 통합교육이 점차 확대되면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학급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교육부의 . 2015 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71 년 1 개 학급에서 1980 년에

개 학급 년에 개 학급 년에 개 학급 년에

355 , 1990 3,181 , 2000 3,802 , 2010 개 학급 년에 개 학급에 이르기까지 급증하였다 통합교육은

7,792 , 2015 9,868 .

장애학생에게는 물론 비장애학생에게도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선 행연구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장애학생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전형적 발달을 . 하는 또래들과 함께 교육을 받음으로써 또래들의 연령에 적합한 행동을 습득하고 인지 , 의사소통 능력 , 사회성의 발달이 촉진되며 , 비장애학생에게는 그릇된 장애 인식을 개선하도록 도와주고 개인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Odom &

조소이 재인용

McEvoy, 1990; Brown & Bergen, 2002: , 2014 ).

성공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교육현장에서는 비장애학생 대상에게 여러 가지 다양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정규교과 , 시간에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통한 장애이해 교육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연계적인 장애이 . 해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승희, 1994)

. 특히 문학 교과목에서는 장애 인에 대한 바른 인식 개선을 위한 교과내용이 편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인 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갖게 하여 건강하고 성숙한 시민의 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드러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장애 수용 태도 개선을 위한 장애이해 교육 실천을 목표로 하였다 연. 구대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문학 , , ,

(11)

극 문학에서 장애 관련 용어를 추출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장애인의 장애유형을 분류하여 어느 유형의 장애의 내용을 더 많이 다루고 있 는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와 제 차 교육 7 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를 비교하여 장애 관련 내용과 장애 수용 태도가 어 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 장애 관련 용어를 사용한 문학 작품의 수는 총 56편으로 제 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서의 총7 14편과 비교하면 그 작품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장애. 인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 1위는 지체장애

위는 시각장애 위는 정서 행동장애 위는 청각장애 (52%), 2 (21%), 3 · (15%), 4 (6%),

위는 의사소통장애 이었다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는 위

5 (4%) . 7 1

가 지체장애(37%), 2위는 시각장애(17%), 3위는 의사소통장애(15%), 4위는 건강 장애(10%), 5위는 정신지체(7%), 6위는 청각장애 정서 행, · 동장애 학습장애, , 7위 는 자폐성장애(0%)의 순이었다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7 문학교과서에 실린 등장 인물의 장애 발생의 원인을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진 경우는 총, 18편으로 약 58.06%의 비율을 보였고 후 천적으로 장애를 입은 인물을 묘사한 작품은 총 13편으로 약 41.94%의 비율을 보였 다.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 선천적 장애는 약 55%, 후천적 장애는 약 45%로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와 거의 비7 슷한 수준이었다 다음. 으로 장애인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2009 개정 고등 학교 문학교과서에서 장애인을 동정과 자선의 대상 으로‘ ’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높 았는데 이는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공, 7 통된 점이었다 그러나.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이전과 달리 다양화되었 2009

다는 점이 현저하게 눈에 띄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7 교과서의 문학교과서에서는 장애인을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 으로 설정한 작품들이‘ ’ 한 편도 수록되어 있지 않았지만,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는 「착한 사 람 문성현」 등 총 6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장애 인식의 변 화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상의 2009 개정 문학교과서와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비교7 분석결과 공통점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에 관한 내용을 소재로 다루고 있지 않았 다는 점과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장애인의 삶의 자세를 다루는 주제 보다는 장애인 에 대한 비장애인의 시혜적인 내용을 다루는 작품의 수가 더 많다는 점이다 따라. 서 본 연구가

향후 문학교과서의 수정 및 개편 시 다양한 유형의 장애유형을

(12)

작품들이 문학 교과서에 더 많이 수록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근거자료로 사용되

는 바탕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이를 통해 .

비장애인에게 올바른 장애인관을 심어주는 데 도움이 되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편견에 치우친 시각을 조금이, 나마 벗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3)

Abstract

Korea's integrated education started from 1970s and in the early 1980s and as it is expanding,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that support integrated education are increasing as well. According to a statistical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s Annual Report of 2015, from 1 class in 1971 the number of spacial classes increased in number to 355 in 1980, 3,181 in 1990, 3,802 in 2000, 7,792 in 2010 and 9,868 in 2015. There are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at integrated education brings positive outcome not only to disabled students but also to non-disabled students. Disabled students receive education with their classmates who go through conventional development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and learn appropriate behaviors of that age from their classmates. This enhances their re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development of their sociality and allows non-disabled students to enhance wrong perceptions on disabled students. Non-disabled students can also accept the diversities of each individual and their differences, thus having the opportunity to grow into a mature citizen. (Odom & McEvoy, 1990; Brown & Bergen, 2002).

For a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to take place, there are many various programs being proceeded to change perceptions of disabled stud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but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among these are lessons through textbooks during a regular curricular lesson. The reason is that all students can receive a systematic and linked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 literature curriculum, there are many academic curriculum designed to change perceptions of the disabled, and through this students can accept the diversities in others and have positive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m so that they can grow into a mature citizen.

(14)

This research analyzes disability-related materials in a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n 2009 to aim for the practice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ties in order to enhance the attitude towards accepting disabled people.

Research subject are extracted terminologies from classical literature, narrative literature, theater literature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curriculum of 2009, to recognize the degree of perception towards the disabled. Also, the types of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to see what types of disabilities were being dealt with the most. Also, the revised textbooks of 2009 and the 7th high school curricular literature textbooks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changes in disability-related materials and attitudes towards accepting di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59 literary works with disability-related termionology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 books of 2009, which was conspicuously higher than 14 works in the 7th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s.

To categorize the commonly seen disabled people in the works, the most common disability was physical disability (approximately 52%), next was visual handicap (approximately21%), next was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approximately 15%), hearing disorders(approximately6%), and communicational disorders (approximately 4%). In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the most common disability was physical disability (approximately 37%), the second common disability was visual hadicap (approximately 17%), next was communicational disorders (approximately15%), health disorders (10%), intellectual disability (approximately 7%), in 6th place was hearing disorder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learning disorders, and the least common disability was autistic disorders (0%).

After analyzing the reasons of disabilities to innate disabilities and acquired disabilities in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the case of innate disabilities were 18 works, with the ratio of approximately 58.06%, and there were 13 works depicting those with acquired disabilities, with the ratio of approximately 41.94%. In the revised

(15)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of 2009, innate disabilities were approximately 55%, and acquired disabilities were approximately 45%, almost similar to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Next, the perception towards the disabled was analyzed.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 books of 2009, disabled people were mostly seen as subjects to "sympathy and charity", which was the same for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However, the fact that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of 2009, the perceptions towards the disabled have diversified than the past should be recognized. Lastly, there were no works that illustrated disabled people as an always optimistic person in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but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 of 2009, there were 6 works contained such as 「착한 사람 문성현, showing a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related perceptions.

The similarities of the revised literary textbooks of 2009 and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are that they do not deal with more divers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re are more works picturing prejudices of the non-disabled towards the disabled, rather than illustrating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disabled. Consequently, this research could work as a basi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disability types as work material, and also to include more works that depict the disabled as an always optimistic person, should the future literature textbooks be revised. Also, through this, it could contribute for right disabled perceptions for the disabled, and also for the non-disabled to escape from the negative and prejudiced views towards the disabled.

(16)

통합교육이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에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 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한다.’ 라고 정의되어 있다 즉 통합교육은 장. , 애의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동등한 교육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말 한다.

우리나라에서 통합교육이 주창되기 시작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는 장애 유무의 문제 혹은 능력의 이질성을 나타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에 초 점이 맞추어져 통합교육이 논의되었지만 그 이후 통합교육이 점차 확대되면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학급의 수도 점차 증가하여 교육부의 2015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71년 1개 학급에서 1980년에 355개 학급, 1990 년에 3,181개 학급, 2000년에 3,802개 학급, 2010년에 7,792개 학급, 2015년에

개 학급에 이르기까지 급증하였다

9,868 .

통합교육의 정상화 원리와 교육 기회 평등성 보장을 통해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모두는 통합교육에서 여러 가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우선 Odom &

은 장애학생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전형적 발달을 하는 또래들과 함 McEvoy(1990)

께 교육을 받음으로써 또래들의 연령에 적합한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하며 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조소이( , 2014 재인용). Brown 도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비장애 또래를 모방하고 그들과 상호작

& Bergen(2002)

용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하고 인지 의사소통 능력 사회성의 발달이 촉진, , 된다고 하였다 조소이( , 2014 재인용). 비장애학생에게는 그릇된 장애 인식을 개선 하도록 도와주고 개인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성숙한 시민 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점에서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교육에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아직 정착되어 가고 있는 단계로 완전한 통합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여러 사회 영

(17)

역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 특히 장애학생을 단순히 일반 학급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또래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잘 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 교사는 비장애학생의 장애학. 생들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인식 개선 교육 프로 그램을 개발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박승희(1994)는 장애학생에 대한 바른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을 비장애학생이 갖 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애이해 교육방법 중에서 정규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일 반 교육 과정 내에 장애 관련 내용을 삽입하여 실시하는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이현미. (2009)는 정규 교과시간에 사용되는 교과서를 통한 장애이해 교육 은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연계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으며, 비장애학생들에게는 장애인을 일반인과 동등한 인격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장애, 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상황을 알고 개인적으, , 로도 인격적 성숙을 이룰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할 때. 에도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진정으로 장애인과 함께 조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말한다.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중에서 특히 문학 교과서에는 장애인에 대한 바른 인식을 위한 교과 내용이 편성되어 있는데 국어과의 문학교육과정의 목표는 문학 주체로서 작품의 수용과 생산 능력을 기르고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즉 문학교육의 의의는 타인의 다양성. 을 인정하고 긍정적인 상호 관계를 갖게 하여 건강하고 성숙한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안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통해 장애와 장애인식에 관한⋅ 연구들이 다소 있다 김정한. (2005)은 제 차 교육과정의 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7 ⋅ 서에 등재된 144편의 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고 이필란, (2009)은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어와 생활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으며, 곽정한(2011)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검정 국어교과서 23종 권에 나타난 장애관련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선혜영 은 년 개정 교육

92 , (2012) 2007

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관련내용 분석하였다 이현미. (2009)는 국어교과목 중에서도 제 차 교육과정의 심화선택과목인 고등학교 문학교과서7 18종 권을 대상으로 운문문학 수필문학 희곡문학으로 분류하고 장애관련 내용을 분

36 , ,

(18)

석하였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문학교과서가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문학교과

2009 서

속의 장애관련 내용을 재차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에서 장애 관련 용어를 추출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정, , 도를 파악하고 장애인의 장애유형을 분류하여 어느 유형의 장애에 대한 이해를 더, 많이 다루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 서와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를 비교하여 장애 관련 내용과 장애 수7 용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문학교과서의 수. 정 및 개편 시 올바른 장애인식 관련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근거자료를 제시하 는데 있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 , 극 문학을 중심으로 장애 관련 단원의 내용 분석을 하고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7 문학 교과서와 비교하고자 하는 것으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 영역에, , , , 등장하는 장애 관련 용어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 영역에, , , ,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장애 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 영역에, , , ,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장애의 발생 원인은 어떠한가?

넷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에 나타, , , , 나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와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서의 장애 관련 내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9)

이론적 배경 .

장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일반적으로 우리는 어떤 다른 사람을 대할 때 그 대상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그 대상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태도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식은 개인. 의 태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써 어떠한 사물이나 사람에 대한 태도를 결 정할 때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은 그가 처한 환경에서 접촉하게 되는. 모든 사물이나 사람들과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태도를 결정하고 새로운 태도를 형성하며 또한 기존의 태도를 강화하기도 한다 김재복( , 1992; 박경옥, 재인용 또한 인식은 좁은 의미로는 태도의 구성요소로 정의될 수 있으며

2008 ). ,

넓은 의미로는 인식을 태도 그 자체로 보기도 있다 인식은 정확한 정보나 지식에. 따라 태도에 영향을 미쳐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새로운 동기를 유발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인식이 장애인에 대해서 부정적 긍정적일 수 있다 이학범. , ( , 2000).

비장애인이 장애인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이 미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선자, (2007)는 영화 속 장애인의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 해 장애인이론모델 정책 대상 집단의 사회적 구성이론 미디어 프레이밍과정의, , 3 가지 분석틀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장애이론모델로서 대표적인 이론에는 의료적 모. 델과 사회적 모델 등을 들 수 있다 의료적 모델은 개인적 비극 이론 장애는 개인. , 안에 존재하는 개인적 문제라는 관점 의료 전문가의 역할은 신체적 혹은 지적 손, 상에 의한 부정적 결과를 치료하거나 개선시키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며 사회적 모, 델은 사회적 억압이론 장애인이 무능력한 것이 아니라 장애인을 무능력하게 만드, ‘ 는 세상에 살고 있다고 보는 것이 특징이다’ .

정책 대상 집단의 사회적 구성이란 공공정책에 의해 행동방식 및 복지에 영향을‘ 받게 되는 사람들 혹은 집단들의 특성을 문화적으로 결정하는 것과 대중적 이미지 가 형성되는 것 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대상 집단의 사회적 의미와 대중적 이미’ . 지가 어떤 방식으로 구축되느냐에 따라 관련 정책방향결정이 커다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이다 황근( , 2001; 이선자, 2007 재인용). 대표적으로 의존적 집단 모델 소,

(20)

집단모델에서는 장애인을 정치적 약자로서 동시에 정책 대상 집단으로서 사회적 이미지가 회의와 배려의 대상으로 인정되지만 동시에 낙인 또한 피할 수 없는 의 존적 집단으로 보고 있다 소수집단 모델은 장애인의 의존성 무능력과 같은 부정. , 적 고정관념 때문에 제도적으로 차별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그들의 능력을 충분 히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집단임을 강조하는 모델이다 인간적 다양성 모델. 은 장애가 개인 가족 공동체 등 다양한 사회적 수준을 포괄하는 다원적인 문제⋅ ⋅ 로 본다 장애를 이처럼 다원적 관점에서 보게 되면 장애인의 경제적. , ⋅사회적 문⋅ 화적 정치적 삶이 일반인과 평등하게 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중요하다는 것⋅ 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미디어에서의 프레임이란 사회적으로 공유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우‘ , , 리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상징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이나 이슈로 만드는 행위 들 을 말한다 황근’ ( , 2001; 이선자, 2007 재인용). 미디어에서의 장애인 관련 프레 임은 궁극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문제해결의 인식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 다.

이 세 가지 분석틀을 통해 이선자(2007)는 장애인 이미지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첫째 최근 장애인을 주제로 다룬 영화의 대부분은 의료적 모델의 관점에서 벗어, 나지 못하고 있다 즉 장애인의 장애는 현존하는 것보다는 극복하는 것이 더 좋다. , 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둘째 정책 대상 집단의 사회적 구성이론을 통한 분석에서 대부분의 영화는 의존, ‘ 적 집단모델 의 요’ 소를 가지고 있고 간혹 소수집단 모델 에 속하는 영화도 있었다, ‘ ’ . 그러나 소수 집단 모델 에 속한 영화라 할지라도‘ ’ , ‘소수 집단 모델 의 한계에서 밝’ 힌 것과 같이 그들이 소수 집단이라는 것 외에는 그 이상의 시사점을 주지는 못했 다 즉 소수 집단에 속해 있으나 이것이 곧 사회 참여. 가 확대되었거나 사회적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는 이미지는 주지 못하였다 결국 인간적 다양성 모델. ‘ ’ 에 속하는 영화는 없었다.

이와 같은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에 대한 원인에 대해 이익섭(1990)은 다 음과 같은 다섯 가지 이론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곽정한( , 2011 재인용).

(21)

상품 이론 1)

상품 이론(Commodity Theory)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각 개인은 그들이 갖고 있 는 노동력 지식 등을 상품화함으로써 부와 지위를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 가치의 창출과 재창출을 통한 개인의 생산은 그 개인의 시장경제에서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고 자아가 그의 사회적 신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상품이론에 의하면 장애인이 갖고 있는 생산력은 그 절대적인 능력에 비해서 잘 못 판단되거나 낮게 평가되는 것이 대개의 경우이다 현대사회는 생산력의 향상을. 위하여 양질의 노동력과 높은 수익성을 추구하게 되므로 자연히 장애인에 대한 상 품성은 인정받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장애인은 현대사회에 적응할 수 없는 집단으로 보게 된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에서 장애인들은 점점 제외되게 되. 고 자신의 생존을 위해 타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신분으로 절하하게 된다.

편견 이론 2)

편견 이론(Prejudice Theory)은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 문제를 설명함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되어온 것이 장애인들의 능력이나 일상생활 전반에 대한 잘 못된 인식과 장애의 원칙에 대한 비과학적인 미신적 선입견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 이다 이 이론에서는 사회적 노출이나 접촉이 결여된 상태에서 일반 대중이 장애인. 에 대해 갖게 되는 이야기는 결국 이야기나 설화 등을 통한 비과학적이고 미신적 인 인식이 형성되며 장애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이해 부족으로 인해 장애인들은, 사회참여의 균등한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불평등이 장애인에 대한 이해 의 부족을 낳는 악순환의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분리 이론 3)

분리 이론에서는 장애인들이 일반 세계와의 접촉이 적을수록 그들이 갖는 실망 이 적고 장애인 자신들이 참여할 수 없는 주변 일들을 모르면 모를수록 그들이 느 껴야 하는 고통이 적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장애인과 사회가 상호 간에 분리되 는 것은 정상적이고 필연적이라고 하는 이론이다 이러한 분리의 결정은 장애인에. 의해서 먼저 취해질 수도 있고 또한 사회에 의해서 먼저 시작될 수도 있다.

(22)

재활 이론 4)

재활 이론(Rehabilitation Theory)는 장애인을 치료하고 훈련함으로써 사회에 복귀시킬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즉 일반인은 정상이고 장애인은 비정상이기. , 때문에 이 비정상을 가능한 한 교정해야 한다고 보며 장애인은 늘 치료의 대상이 되는 완전치 못한 사람으로 보는 것이다.

정책 부재 이론 5)

국가정책은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정부의 노력이다 따라서 장애인 복지. 정책은 장애인 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행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와 관련된 어떤 문제는 의도적으로 정책적 수립을 보류하. 는 결정이 있을 수 있다 정책 부재 이론. (Policy Absence Theory)은 장애인 복지가 다른 복지 영역에 비해 정치적 비교우위가 낮기 때문에 아무 정책적 노력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이와 같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대한 편견은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Siller은 장애요인분석척도에서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를 다음 의 7가지로 나누었다 서동명( , 1999).

첫째 장애인에 대한 지식이나 철학 없이 장애인 분리교육이나 지역사회에서, 분리를 바라며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무조건적으로 반대하는 태도이다 이 태도는. 장애인 차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둘째 장애와 죄를 동일시하는 왜곡된 태도이며 나아가서는 장애와 반응자 자신, , 의 약점을 동일시하는 태도이다.

셋째 장애인은 심리적으로 왜곡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태, 도이다.

넷째 장애인의 능력에 관한 것으로 신체 어느 기관에 장애를 입으면 그 기관의, 기능이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장애를 가지게 되는데 그것이 개인 능력 전반 에 영향을 준다고 믿는 태도이다.

다섯째 장애인의 편에 서서 장애인을 옹호하는 생각과 느낌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특히 자신은 건강한 자로서 장애인에게 사랑을 베풀어주고 인내하는 입장에 있어야

(23)

한다고 생각하는 권위주의적 태도이다.

여섯째 가까운 관계 특히 친교관계를 거부하는 태도이다 여기에는 장애인과의, , . 결혼 또는 장애아의 입양을 하겠느냐 라는 반응자의 직접적인 감정이 개입되는 문 항도 포함되어 있다.

일곱째 장애인과 접촉할 때 불안 긴장 또는 창피한 감정을 느끼는 태도이다, , . 이것을 측정하는 문항은 장애인과의 사회적 접촉을 피하고 분명한 이유 없이 장애, 인 을 싫어하는 정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에 관한 결 과가 통합된 교실 환경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2005 한국의 특수교육 지표 국립특수교육원 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초 중등학생의 장애인관은 존중의 대상으로

( ) ·

보는 비율이 41.6%, 동정의 대상의 비율이 29.0%, 보호의 대상으로 보는 비율이 격리의 대상이라고 보는 비율이 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학생의 장

27.1%, 2.3% .

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초등학생의 경우 동등한 친구로 보는 비율이 51.4%, 내가 도와주어야 하는 친구로 보는 비율이 19.5%, 장애학생을 만난 적이 없어서 모르겠 다는 비율이 17.3%, 친구로 원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11.8%로 나타났고 중등학생, 의 경우 동등한 친구 46.8%, 장애학생을 만난 적이 없어서 모름 6.0%인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학교 현장. 에서는 비장애학생들로 하여금 장애학생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제공하고 장애의 개념과 장애학생을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도록 장애이해 프로그램 계획과 실천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장애인식은 장애 혹은 장애인에 대한 관점과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국립특수교( 육원, 2002), 장애인을 보고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이는가를 말한다. 김학범 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발전은 인식의 내용과 초점이 시대에 따라 바뀌고 (1988)

다음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하였다.

(24)

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천 단계

< 1> 3

인식변수 1단계 2단계 3단계

시대

1. 전근대 근대 현대- 현대 미래-

산업

2. 농업 기술산업 전자산업

인식

3. 불구자 장애자 정상화

인식의 촛점

4. Stigma 신체적 장애 사회적 장애

신분

5. 하층계급 2차계급 일반화

사회참여

6. 능동적 수동적 사회통합적

현장

7. 지역사회 격리수용 지역사회

직업

8. 전문업 복술 악사- , 특수업 일반업

출처 김학범: (1988).

제 단계에서 장애인은 불구자로 인식되었으며 사회 하층 신분으로 낙인과 함께1 억압받는 존재였다 민족이나 종교적 특수성 때문에 장애인들을 살해하는 경우도. 이때는 다반사였다 흥미로운 것은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살고 있었으며 일반적이. 지 않았지만 직업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제 단계에서는 기술 산업화의 영향으로 물질적 풍요는 나타났지만 능력을 중시2 한 가치관으로 인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격리가 나타났다.

바로 장애인들은 비장애인 중심의 산업구조로부터 분리되어 수용시설이나 특수 병원에서 살게 되었으며, “장애자 라는 제 의 계급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리고” 2 . 전문인의 출현과 더불어 장애인은 모든 것을 이 전문인들에게 맡기게 되는 수동적 사회참여 현상을 나타냈다.

제 단계에서는 사회의 재통합과 아울러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초점이 전화되고3 있다. “장애 라고 하는 것이 재인식되어 세계보건기구” (WHO)는 1980년 국제 장애 분류를 통해 장애의 개념을 의학적 개념 중심에서 벗어나 개인적 사회적 생활중심 개념으로 시야를 넓혀가고 있다 김학범( , 1988).

(25)

장애 이해교육 3.

우리나라는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이 시행되면서 교육현장에」 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물리적인 통합교육이 점점 증가하였다 그러나 올바른. 장애인식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물리적인 통합교육은 오 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따라서 비장애학생들이 긍정적인 장애인식을 형성하도 록 장애 이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연구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주혜영 외. 는 우리나라의 경우 오래전부터 장애인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과 시각이 강 (2003)

했으므로 장애 이해교육에 대한 요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보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 적인 인식 그릇된 인간관은 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따돌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장애 이해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태훈. (2008)은 청소년 기는 아동기에서 청년기로 이동하는 과도기이므로 이 시기에 자아정체감이 형성되 고 도덕성의 발달 사회적 이해력이 생기며 호기심과 모방이 강한 특성을 가지는, , 데 이와 같은 청소년기의 특성은 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장애인식에 대한 절대 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미래의 장애인 문제를 책임져야 할 지금의. 청소년들이 장애인에 대한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갖느냐 하는 것은 향후 장애인 복지의 방향과 정책 결정은 물론 사회적 합의를 형성해 가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올바른 인식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교사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장애 인식 및 태도 개선 전략 2)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학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연구 된 선행연구들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장애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려는 시도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은 다음의 이해 중심 태도 개선 전략과 활 동 중심 태도 개선 전략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홍월정( , 2006 재인용).

(26)

가 이해 중심 태도 개선 전략.

장애에 대한 정보 제공 (1)

와 은 장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은 장 Miler, Armstrong Hagan(1981)

애에 대한 수업이나 강의를 통해 비장애학생에게 장애학생에 대한 인지적인 정보 를 제공하여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편견을 없애 태도를 개선하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Fiedler와 Simpson(1987)은 장애학생이 가진 능력과 문제에 대해 더 많 이 알고 있을수록 더 잘 수용하며 장애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범주적 비범주적 교, 육과정 모두가 비장애학생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 았다.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에 대해 잘 알수록 올바른 인식과 태도 개선 효과를 얻 을 수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강의 방법을 통한 정보 전달은 어렵지 않게 쓰일 수 있어 태도 개선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장애에 대한 정보 제. 공뿐만 아니라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에 대한 관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 동들과 함께 제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장애인들의 능력 소개 (2)

와 은 유명인 중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해 그들의 Jairrels Brazil, Patton(1999)

능력이나 장애를 극복한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것은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게 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우이구 외( , 2004).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 유명해진 사람들이 가진 능력이나 특별한 노력을 새롭 게 알게 되는 것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비장애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능력을 가 지고 있으며 그것을 발휘하고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는 비. 장애학생이 장애학생을 동등한 동료로 느끼고 장애를 개인의 특징으로 축소하여 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장애를 가진 사람이자 유명한 운동선수나 작가 음악가. , , 정치인 역사적 인물들의 이름과 그가 가진 장애유형을 짝 맞추는 방법을 통해 그, 사람이 장애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 여러 요인과 그들의 삶에 대한 토의를 할 수 있다 우이구 외( , 2004).

(27)

집단 토의 (3)

장애 인식개선 교육과 관련하여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할 기회를 주는 것은 태도 개선에 효과적이다. Gottlieb(1980) 은 구조화된 집단토의가 비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적이 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계획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집단토의는 오히려 장애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교사는 토론을 잘 계획, 해서 특별한 질문을 만들고 장애인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켜주어야 한다고 하였, 다 또한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환경을 교사들이 조성해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홍월정( , 2006).

집단토의는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경우 지속적인 변화에 효율적이며 숙, 련된 집단토의는 개인의 가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방승란( , 2007; 조소이, 2014 재 인용). 강의나 영상 자료 등의 제시 외에도 토의는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학 생들의 의견을 서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장애인식 개선 교육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때 혹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중에 적절한 주제나 질문을 제시하면 비장애학, 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동료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비교하는 과정 속에 서 인식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 활동 중심 태도 개선 전략.

장애인과 접촉 경험 제공 (1)

장애인과 접촉 경험을 제공하는 전략은 구조화되지 않은 접촉과 구조화된 접촉 경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장애인과 접촉이 반드시 긍정적인 태도를 수반하지, 않는다는 연구뿐만 아니라 구조화되지 않은 단순한 접촉은 오히려 접촉하지 하지 않은 사람 보다 더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거나 이전의 고정관념을 강화시키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박현숙( , 1999; 홍월정, 2006 재인용).

그러나 학교 환경에서 구조적인 접촉 활동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간접 접촉 활동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정선화. (1993)의 연구에서는 비디 오나 다른 매체를 통한 장애 학생과의 간접 접촉을 태도 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사 용하였는데 이러한 매체를 통한 교수방법이 태도 변화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정 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홍월정( , 2007).

(28)

모의 장애체험 활동 (2)

모의 장애체험은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생의 불편함을 직접 체험해 보는 과정을 통해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학교에서는 시각장애나 청각장애와 같은 감각과 관련된 장애나 지체장애. 체험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안대를 착용하거나 눈을 감고 걷기 눈을 감고 친구에게. , 안내받으며 걷기 귀를 막고 친구가 하는 말 듣기 말을 하지 않고 의사소통하기, , ,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기 부목 등으로 팔이나 다리를 고정하고 걷기 등이 모의 장, 애체험 활동으로 활용된다.

모의 장애체험 활동은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학생의 필요한 것과 경험을 느끼게 함으로써 장애인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모의 장애 체험은 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보여주기도 하나 적응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러나 모의 장애체험을 통한 태도 개선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동정심을 느끼게 할 수도 있으므로 교사는 체험이 일상적인 것이 아니며 단순한 게임으로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제한점들은 보다 실제적인 체험을. 하거나 학생들이 진지하게 참여하도록 이야기하거나 모든 활동이 끝날 때까지 멈 추지 않도록 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Salend, 2001; 조소이, 2014 재인용).

교과서를 통한 장애 이해교육

교과서가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1)

비장애학생들에게 장애학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한 장애교육 중 교과서를 통한 장애 이해 교육은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연계적으로 교 육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 교육을 통해 일반 학생들은 장애인을 일반인. 과 동등한 인격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장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 장애인에게 도움을 줄 상황을 알고 개인적으로도 인격적 성숙을 이룰 수 있다 뿐, . 만 아니라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할 때에도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진 정으로 장애인과 함께 조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이현미( , 2009).

이해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제 조에 따르면 교과용 도서 는 교과서 및 지도2 ‘ ’

(29)

서를 말하며 여기서 교과서 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위하여 사용되는 학생용, ‘ ’ 의 서책 음반 영상 및 전자 저작물 등을 말한다 교과서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 · . 해 교육과정 기준으로 그 내용을 지도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한 학습 자료라 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 지도 내용을 쉽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 며 교수 학습을 촉진시키는 학습 방법의 지침이 되는 학생 도서라고 할 수 있다, · . 즉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수단이 되면서 가르치는 내용인 교육내용이 되 는 것이다 고승식( , 1998). 조경자(1999)는 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가치 체계는 학생 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 양식의 변화에 막대한 영향을 주며 나아가서 국민 전체의 인격이나 가치 체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였다 동일한 교과서를 가. 르치는 경우에도 어떤 내용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받아들이는 방식은 달 라질 수 있으며 교과서에 특정내용을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교사의 수업기술이나 수업방법 또는 교사의 인격적 특성의 영향보다 훨씬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내용을 담는 도구로 사용하는 한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세상을. , 바라보는 안목과 살아가는 방식을 결정지어줄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홍월정( , 2008, 재인용).

전통적으로 국어교육은 국어학과 국문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이것은 국, 어교육의 목표가 국어사용뿐만 아니라 가치관 교육의 내용도 함께 강조되어 왔음 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어과의 문학교육은 작품의 내용과 윤리적 가치 때문에 사회. 적 윤리와 문화 가치관을 가르칠 수 있는 교과이다 국미경, ( , 2005; 이현미, 2009 재인용). 이용재(1995)는 문학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감정 이입을 통해 대리 경험의 세계를 열어 주고 자신과 타인의 세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인식하게 하고 정서를 함양시켜 주며 아울러 이러한 경험의 재구성 및 정리 작업을 함으로써 자, 연히 가치관의 형성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또한 문학 교육은 인생을 무대로 하는. 문학 작품을 두루 읽게 하여 여러 유형의 삶의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감동 에 의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동하게 하여 사회생활의 기, , , 초 능력을 갖게 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인성교육의 근거가 되는 국어과의 문학. 교육은 미성숙 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 독서교육을 통해 올바른 사고력과 창의력

(30)

을 길러주고 간접적인 생활 경험의 폭을 넓혀 주어 바람직한 가치관을 확립하도록, 한다 손정표( , 1999; 이현미, 2009 재인용).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문학 과목 3)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학 부분의 내용 영역과 기준 및 세부 2009

내용을 간단히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문학 내용 영역과 기준 (1)

가 내용 체계.

문학 내용 영역은 문학의 수용과 생산‘ ’,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그리고 문‘ 학과 삶 으로 구분되어 있다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영역 세부 내용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문학과 인접 분야

문학과 매체

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한국 문학과 사회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학과 삶

문학과 자아

문학과 사고

문학과 삶의 다양성

문학과 공동체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31)

나 세부 내용.

문학 영역의 세부 내용을 영역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학기술부( ).

첫째, ‘문학의 수용과 생산 은’ 6개 세부 내용으로 구성된다 자세한 세부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읽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한다.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됨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창작한다.

다양한 매체로 구현된 작품의 창의적 표현 방식과 심미적 가치를 이해한다

⋅ 문학이 예술 인문 사회 등 인접 분야와 맺고 있는 관계를 이해한다, , .

⋅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한다.

⋅ 작품을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발표하여 서로 평가한다, .

둘째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는 크게, 4개의 세부 내용을 가진다.

⋅ 대표적인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에 나타난 전통과 특질을 이해한다.

⋅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한국 문학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통하여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한다.

⋅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한다.

셋째 문학과 삶은, 5개 세부 내용을 가진다.

⋅ 작품의 이해와 감상의 결과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내면화한다. 

⋅ 창의적인 사고를 배양하고 이를 표현한다.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삶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 우리 사회의 다양한 공동체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소통한다.

⋅ 삶의 질을 높이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닌다.

(32)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에 관한 선행연구 1)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장애인관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알기 위해 시대별 문학작 품을 분류하고 그 속에 나타난 장애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한 선행연구들이 많 이 있다 우선 이승희. (1999)는 1990년대 베스트셀러 작품 중에서 장애인을 비유로 언급한 총 49권을 분석하여 장애의 원인 유형 호칭 작품 속 장애 인물이 전달하, , , 는 의미 등을 살펴 1990년대 이전과 이후의 한국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의식 수준 이 어떠한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임혜련. (2001)은 시대별 소설 속에 나타난 장애인 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고전소설과 현대 소설로 분류하고 현대 소설 을 다시 일제시대, 8·15해방 직후, 6·25와 전후 시대, 1960년대와 1970년대 산업 화 시대, 1980년대 이후 최근으로 각각 나누고 각 시대 정부의 특수교육에 대해, , 언급하고 있다 김광순. (2002)는 일제 강점기인 1910년대에서 1940년대까지의 총 편의 한국소설 속에 나타나 있는 직업 교육 사랑과 결혼 사회 활동 등의 생활

29 , , ,

상을 통해 장애인관에 연구하였다. 황용하(2004)는 일제강점기의 1910년대에서 년대까지의 한국소설 속에 나타난 장애인관에 대한 연구에 이어 년에서

1940 1950

년대까지의 한국소설 속에 나타난 장애인관을 연구하였다

1970 .

최선희(2008)는 1980년부터 2007년까지의 한국소설 14편을 2007년 5월 25일 에 공포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을 기초로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장」 , , 애 지체장애 정서 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자폐성장애 발달, , · , , , , , 지체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기타장애와 중복장애를 더하여 분석하였다. 김광분 은 고전문학에서부터 현대문학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학에 나타난 장애 (1996)

인에 대한 장애인 가족⋅친지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반응의. 건수는 자신이 36 ,건 배우자가 32 ,건 부모가 29 ,건 자녀가 13 ,건 형제자매가 11 건 친척이, 0 ,건 친구가 15 ,건 이웃이 37건이었다 배우자와 부모의 반응 건수가. 높게 나왔다는 결과는 곧 장애인의 환경요인으로 배우자와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 을 시사하며 친척의 반응건수가 전혀 없다는 것은 친척이 장애인의 환경요인으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친척의 반응 건수와 달리 이웃의 반응 건수. 는 장애인의 환경요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장애인의 환경요인에 이

(33)

웃의 반응정도가 장애인의 환경요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대별 문학 작품 속에서의 장애 관련 분석 연구와 달리 인간의 심리를 다루는 심리학 이론을 분석 기준으로 삼아 장애인의 삶을 재조명한 연구들도 있는데 김소, 량(1992)은 Maslow의 욕구 위계 단계를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한 인간으로서 장 애인이 갖고 있는 욕구 수준이 어느 단계까지 충족되고 허용되고 있는가를 외국문 학작품과 한국문학작품 속에서 비교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비장 애인의 의식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선배. (2003)는 아들러의 이론을 바탕으 로 인생 스타일에 따라 소설 인물을 유형화하여 분류하고 장애여성의 삶 비장애인, 과의 관계 그리고 그들이 가지는 세계관에 대해 분석 연구하였다, .

중등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에 관한 선행연구 2)

중등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 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들은 대체 로 2005년 이후에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국립특수교육원에서. 2004년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장애인 관련 내용 분석을 연구하기 시작한 영향이다 이필란( , 2009).

우선 김정한(2005)은 중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등재된 소설 20편을 등장인물의 장애 유형 장애 발생의 원인 장애인의 인물 수준 장애인에 대한 인식 소설의 시, , , , 점 장애인의 의식변화 비장애인이 장애인에 대한 의식변화 장애 관련 용어 등의, , , 기준으로 장애인관을 연구하였다 이필란. (2009)은 중학교 국어와 생활 국어 교과 서에 등장하는 장애인 관련 단원을 외형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 였다 외형적 특성의 세부적 내용으로 중학교 국어와 생활 국어 교과서에 등장하는. 장애인 관련 텍스트 유형과 장애인 관련 내용의 학년별 분포 장애인 유형과 원인, , 직업유형 작품 속에서 장애인의 비중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내용적 특성으로, . 는 장애인 지칭 어휘와 장애인 관련 묘사와 서술 장애인의 성격 장애인의 자아인, , 식과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인을 둘러싼 갈등의 원인과 해결 방법, 을 분석하였다.

이현미(2009)은 2003학년도부터 채택된 고등학교 2~3학년에 채택된 문학 교과 서 총 36권을 장애 용어, 장애유형,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선혜영 은 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관련 내용을 (2012) 2007

(34)

텍스트유형 학습형태 장애유형 장애원인 장애관련주제 장애인비중 장애인인식, , , , , , 별로 기준을 삼아 분석 연구하였다 배은희. (2012)은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교과서 44종을 장애관련 내용에 대하여 장애관련 내용 빈도 작품수록, 정도 장애관련 용어를 정리하였고, ,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에 따라 장애」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35)

현행 교육현장에서는 창의와 인성 을 강화하는 내용의‘ ’ 2009 개정 교육 과정 에 맞게 개정된 2009 개정교육과정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다. 2007 개정 고등학 교 문학 상 하‘ ( · )’ 18종 36권의 교과서가 현재 상 하 구분 없는· 11종 교과서로 개편 되었다 따라서. 2015년 현재 고등학교 2 년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는 문학 교과학 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의 문학 교과서는 다음의 표. 〈 2〉에 제 시된 11권의 교과서이다.

표 2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일람표

〈 〉

번호 저자 출판사

1 권영민 방민호 박현수 황재문 정우상 조성임, , , , ,

백남오 신용하 김갑식 김동기 박찬명 장운봉, , , , , ( )주 지학사 2 우한용 박인기 정병헌 최병우 이지훈 조경은, , , , ,

오윤주 황희종, ( )주 비상교과서

3 한철우 박호영 선주원 이상구 김진익 박신영, , , , ,

오택환 이준현, ( )주 비상교육

4 김대용 강황구 권형중 김태우 석은동 신혜영, , , , ,

여승욱 정강욱, ( )주 상문연구사

5 김윤식 김종철 정호웅 안혁 김서윤, , , , ( )주 천재교육 6 정재찬 유성호 김외곤 류수열 조형주 박현선, , , , , ( )주 천재교과서 7 이승원 차충환 김한식 여태천 김지영 김철회, , , , ,

김형수 김지상 방건희, , ( )주 좋은책신사고 8 김창원 최지현 공명철 김영철 김지혜 박준수, , , , ,

윤성원 이돈우 이창현 임한성 정소연 태선경, , , , , ( )주 동아출판 9 박종호 류대성 박소연 송미경 송영민 오세호, , , , ,

주 창비 ( )

(36)

장애 관련 용어 1)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종을 출판사 별로 서정 문학 교술

2009 11 ,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 장르에 속해 있는 모든 작품의 제목 및 본문에 수록된, , 장애 관련 용어를 추출하였다 이때 장애 관련 용어라 함은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 나 장애인이 사용하는 보조기구 장애인 관련 시설 등을 포함하여 이르는 말이다,

이필란

( , 2009).

등장인물의 장애유형 장애 발생의 원인 2)

장애학생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위해서는 우선 비장애학생에게 장애에 대한 기 본적인 특성과 각각의 장애유형에 대한 이해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현. 미(2009)의 제 차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서와7 2009 개정 문학교과서에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이현미(2009)가 사용한 「제 차 교육 과정의 중7 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김정한( , 2005)」에서 추출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문학 작품 속의 등장인물의 장애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장애인 등에 대한 특「 수교육법 시행령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 을 참고하여 문학 교과서에 등장한」 ‘ ’ 장애인의 장애유형을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 정서 행동장애 자폐, , , , · , 성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로 장애유형의, , , , 10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장애영역의 구체적인 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의. <표

과 같다 3> .

10 윤여탁 김만수 조광국 최미숙 임주탁 김은정, , , , ,

유상우 류지은 이참다운, , ( )주 미래엔

11

조정래 정호승 박상률 조현설 진기춘 지범식, , , , , 곽노준 정의창 김민혁 오석균 이봉형 임희종, , , , , 오창렬 이호현 윤난주 곽재구 유문선 김근성, , , , , 강승원 최지성 위성권 문성후 기원서 이석우, , , , , 김형진 강성도 현중권 박병욱 조은희, , , ,

주 해냄에듀 ( )

(37)

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의 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기준

< 3>

장애유형 선정 기준

시각장애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 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 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 학습매체ㆍ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청각장애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청력이 남아 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청각에 의한 교육적 성취가 어려운 사람

정신지체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상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 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지체장애

기능 형태상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몸통을 지탱하거나 팔다리의ㆍ 움직임 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체적 조건이나 상태로 인해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정서 행동장애·

장기간에 걸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특별한 교육, 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

가. 지적 감각적 건강상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상ㆍ ㆍ 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

나 또래나 교사와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 움을 겪는 사람

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라. 전반적인 불행감이나 우울증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 이 있는 사람

마. 학교나 개인 문제에 관련된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자폐성장애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

(38)

장애 발생의 원인 3)

본 연구에서는 장애 발생 원인을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를 파악하였는데 이때, 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장애 발생의 원인이 구체적으로 진술되지 않으면 선천적인 장애로 간주한다 이는 이현미. (2009)의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7 의 장애 관련 내용과 본 연구의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비교분석하기 위함으로 장애 발생 원인의 기준을 공통으로 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 4)

장애인을 소재로 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내용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어 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고자, 하였다 교과서에 나타나 있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와 학. 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과서에 장애인, 이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현미( , 2009).

본 연구에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그 분석 기준을 다음의 표〈 4〉1) 의사소통장애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

가 언어의 수용 및 표현 능력이 인지능력에 비하여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

나 조음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다 말 유창성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라 기능적 음성장애가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학습장애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 인하여 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 (知覺), 기억 문제 해결 등의 학습기능이나 읽기 쓰기 수학, , , 등 학업 성취 영역에서 현저하게 어려움이 있는 사람

건강장애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3개월 이상의 장기입원 또는 통원치료 등 계속적인 의료적 지원이 필요하여 학교생활 및 학업 수행에 어려움 이 있는 사람

발달지체장애

신체 인지 의사소통 사회 정서 적응행동 중 하나 이상의 발달이, , , ㆍ , 또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체되어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영아 및 9세 미만의 아동

(39)

와 같이 하였다. 1번에서 번 항목까지는 우이구 외9 (2004)가 Bogdan과 Biklen(1977)이 제시한 문학 영화, , TV 매체에 나타난 10가지 고정관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분. 석 기준 중 10번 항목의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 은 권택환‘ ’ (2006)의 연구에서 제시 한 장애학생이 일반학생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는 긍정적인 장애인관이 묘사된‘ 건 으로 대체하여 분석하였다’ .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장애인을 소재로 한 사진과 삽화 등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 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표 4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분석 기준

〈 〉

1) 제 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와7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이현미(2009)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장애인에 대한 인식 설 명

동정과 자선의 대상

1. 장애인은 불쌍하고 딱한 처지의 사람들로 비장

애인의 동정과 도움을 제공받아야 하는 이미지 폭력의 대상

2. 장애인이 폭력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

사악하거나 불길한 사람

3. 장애인이 약하거나 불길하며 악인의 역할을 하는, , 이미지

전형적인 분위기 4.

장애인은 장님 음악가 다리 없는 거지 서커스, , 에서의 난쟁이 등과 같이 전형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듯한 이미지

초인적이며 영웅적인 이미지 5.

모든 장애인이 자신의 장애 대신 평범하지 않은 보상능력을 발달시켜야 하며, 장애를 극복해야 하는 이미지

우스꽝스러운 사람

6.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웃음거리 놀림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

자신 스스로가 유일한 적 7.

장애인은 자신의 운명에 대해 매우 고통스러워 하므로, 좌절하고 낙담하며 스스로를 돕기를 거부한 사람이라는 인식

(40)

출처 우이구 외: (2004)와 권택환(2006)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종 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교과서에

2009 11 11

수록되어 있는 문학작품을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 문학 극 문학 영역으로 나, , , 누고 분석기준에 따라 내용들을 분류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문헌연구 및 연수주제 설정

1) : 2015.5.1. ~ 2015.5.31.

자료수집

2) : 2015.6.1. ~ 2015.6.30.

교과서 내용 분석

3) : 2015.7.1. ~ 2015.9.30.

연구보고서 작성

4) : 2015.10.1.~ 2015.11.30.

타인에게 짐이 있는 짐이 되는 8.

부담스러운 사람

장애인은 무능력하며, 다른 사람에게 의존적이 라는 인식 때문에 장애인의 짐을 분담해야만 하는 인물이 장기간 인내를 경험해야 하는 것으 로 나타남

일상생활에 최대한으로 참여 9.

하는 것에 매우 무능한 사람

장애인은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지역사회, 의 일원으로 보지 않는 고정관념

성적으로 비정상적인 사람

10. 성적으로 무능력하거나 성욕도착자로 생각하는

인식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

11. 장애학생이 일반학생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

하는 긍정적인 장애인관이 묘사된 것

참조

관련 문서

이와 같이 최근 청각장애인의 취업률과 기업체의 장애인 고용율도 모두 증 가하고 있고,다른 장애인에 비해 청각장애인은 취업률과 함께 이직율이 높 은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의 성격, 편성 및 운영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고,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직업기초능 력과 어떠한

독도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활용하여 내 가 직접 독도 명칭을 지어보고, 또 어떠한 이유 때문에 그렇게 지었는지 이야기해보자..

먼저,대중음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대중음악의 정의와 종류들을 분류하였고,청 소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대중음악교육의 의의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성격특성이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기 위해 남자 청소년 집단과 여자 청소년 집단으로 분리하여 각 성별 집단에 있

미리 수립한 창작 방법과 아이디어 발상에 따라 작품에서 다 루고자 하는 주제와 소재에 대해 다양한 자료를 조사하여 내용 과 이미지 면에서 풍부한 이야기를

생협의 활동과 사업은 그 경영성과에 따라 조합원과 관련 생산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생협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표현적 특징으로서 문양은 어떠한 형태를 상징화함으로 거칠고 투박하다. 또한 현 세계와는 다른 개인 기억의 산물을 활용하여 환경을 설정하고, 그에 맞춰진 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