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설의 개념과 기원 1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소설의 개념과 기원 1 1"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소설의 개념과 기원

(2)

소 설 의 개 념

소설이란

1

 소설이라는 명칭이 중국에 맨 처음 나타난 것은 기원전 4세기 경 중국의 전국시대 말년 쯤으로 추정.

 《 莊子》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옛날 “소설”이라는 말은 지금 말하고 있는 서사양식으로서의 소설이 아님은 자명하다. 그 당시 ‘소설’이란 용어는 글자 가 의미하는 그대로 ‘하찮은 이야기’ 일 뿐.

 “소설”이라는 말이 대도( 大達), → 즉 인간에게 있어서 중요한 도리라는 말과 상 대적인 의미로 쓰였다는 것은 당시에 있어서 “소설”이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를 단 적으로 보여줌.

 소설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이 환담 (桓譚) 에 이르러 좀더 구체적이면서도 조금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하찮은 이야기를 꾸며서 그걸 가지고 높은 명성과 훌륭한 명예를 얻으려 하는

것은 대도와는 또한 거리가 먼 일이다.” ( 飾小說以干縣令, 其于大達亦遠矣.)

(3)

소 설 의 개 념

소설이란

1

소설가들은 자질구레하고 짧은 말들을 모아 가까이에서 비유를 취해 단서( 短書) 를 지어서 자기 한 몸을 수양하고 집안을 건사하게 한다. (거기에) 볼 만한 말이 있다.

( 小說家, 合殘叢小語, 近取譬喩, 以作短書, 治身理家, 有可觀之辭.)

▶ 형식적인 면에서는 비유적인 표현이 많고 길이가 짧으며, 내용적인 면에서는 몸 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리는데 보탬이 된다고 하는 것.

▶ 이것은 소설이 단순히 ‘하찮은 이야기’가 아니라 교화적인 기능이 있음을 인정

것이다.

한대( 소설가의 무리는 대개 패관에서 나왔으며, 길거리와 골목의 잡담이나 길거리에서 漢代)의 반고(班固)는 《漢書․藝文志․諸子略》에서

주워듣고 지껄이는 것으로 만든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비록 하찮은 도리라 할

지라도 반드시 볼 만한 것이 있으나, 멀리 나아감에 막힘이 있을까 염려하여 군자들

은 이를 하지 않는다.’ 고 하셨다. 그러나 또한 없어지지도 않는 것이다. 마을의 작은

지혜 있는 자들의 소행이지만 역시 엮어 놓아 잊지 않도록 하려는 것인데 혹 한 마

디 취할 만한 게 있다면 이 또한 나무꾼이나 거리낌이 없는 사람들의 의론이기 때문

이다. …… 제자 10학파 중에서 볼만한 것은 9학파뿐이다.

(4)

소 설 의 개 념

반고

1

 반고는 《 漢書․藝文志》에서 당시 서적을 그 내용에 따라 열 가지 학파( 十家) 로 분류.

 이것은 마치 소설이 당시 학자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었던 것처럼 보임.

 “볼만한 것은 구가뿐( 可觀者九家而已)”이라는 말은 사실상 소설의 가치를 깎아내린 것.

 소설이 열 가지 학파 가운데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

 반고 당시에 이미 소설의 존재와 그 나름대로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었다는 증거.

 고대 중국 문인들은 소설을 그다지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하지 않음.

 이것은 역대로 소설이 정통적인 문학의 반열에 들지 못한 가장 큰 이유.

 소설은 그 당대의 세태를 다양한 소재와 양식으로 표현 → 중국의 전통적인 소설 개념 으로 형성 .

요약하면, 소설은 대단치 않은 이야기나 다양한 잡담거리의 기록을 총칭하였으며,

이야기 형식의 문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5)

소 설 의 기 원

신화( 神話)와 전설(傳說)

2

 신화는 고대인들이 천지만물의 변화를 보면서 가졌을 자연현상과 그것을 주재하는 존재에 대 한 상상력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초월적인 존재로서의 神과 하늘이 부여한 신적인 능력을 소유한 영웅들.

 이야기들을 구전한 것이 전설.

 그 수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줄거리 또한 완전하지 않은 단편적인 것들이 대부분.

 중국에서는 신화들을 집대성한 전문적인 저작이 없고 단지 고대의 여러 문헌에 산재.

 노신(魯迅)은 《중국소설사략(中國小說史略)》에서 중국에 신화가 발달하지 못한 두 가지 이 유를 듬

 자주 범람하는 황하 유역의 가혹한 자연환경이 당시 사람들로 하여금 환상적인 것보다는 실제 적인 것을 중시

 인간이 쉽게 망각하는 존재이기 때문

단편의 신화들은 고대의 여러 문헌들 속에 산재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속에 많이 남아있다. 그리고 《열자(列子)》,《장자(莊子)》,《회남자(淮南子)》,《사기(史記)》,

같 에 어

《산해경( 山海經)》

(6)

소 설 의 기 원

신화( 神話)와 전설(傳說)

2

 신화들 가운데는 천지개벽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이 존재.

 《초사》의 《천문(天問)》에서는 혼돈한 상태로부터 천지가 생겨나게 된 과정을 일련의 물음 을 통해서 밝힘

 《회남자》에서는 혼돈 속에서 陰神과 陽神이 나타나 그들의 노력으로 하늘과 땅이 만들어지 고, 그로부터 음양으로 나뉘고 八方의 위치가 정해지면서 지금의 세계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의 천지창조 신화가 실려 있음.

 唐代 구양순(歐陽詢)의 《예문류취(藝文類聚)》와 宋代 이방(李昉)이 엮은 《태평어람(太平御 覽)》속에 기재된 서정(徐整)의 《삼오역기(三五歷記)》에는 천지 창조자인 반고(盤古)의 신화 가 수록.

 혼돈 속에서 태어난 반고가 자신의 도끼로 혼돈의 세계를 둘로 나누어 하늘과 땅을 만든 것으 로 됨.

 창조주로서의 반고의 신화는 그밖에도 《술이기(述異記)》와 《오운역년기(五運歷年記)》에 서도 나타남.

 반고가 죽은 후에 그의 몸으로부터 산과 구릉, 해와 달, 바람과 구름, 강과 바다, 초목이 생겨 났고, 그 몸에 기생하던 벌레는 인간으로 변했다는 내용.

 인류창조에 관한 신화로서는 《태평어람》속에 기재된 《풍속통(風俗通)》

 女媧가 흙으로 인간을 만든 것으로 됨.

 신화의 흥미로운 점은 인류 창조뿐만 아니라 귀천의 원인까지도 언급 → 신화는 비교적 후대의

흙으로 한 사람 씩 빗는데 너무 힘이 든 女媧는 진흙 속에 끈을 넣고 휘저은 뒤 그것을

탁탁 털어서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을 만들어내었다. 그리하여 손으로 빚어 만든 것은

고귀한 사람이 되고, 끈에 묻은 진흙에서 떨어져 나온 것은 천한 사람이 되었다고 한다.

(7)

소 설 의 기 원

신화( 神話)와 전설(傳說)

2

오랜 옛날 하늘의 네 귀퉁이를 바치던 기둥이 부러지고 구주가 무너졌다. 하늘은 무너져 대지를 완 전히 덮을 수 없었고, 땅은 꺼져서 만물을 온전히 실을 수 없었다. 불길은 혓바닥을 널름거리며 사 그라지지 않았고, 물이 흘러 넘쳐 그치지를 않았다. 맹수들은 선량한 사람들을 잡아먹었고, 사나 운 새들은 늙고 연약한 사람들을 낚아채 갔다. 그리하여 여와는 오색석을 녹여 하늘을 메우고, 큰 자라의 발을 잘라 하늘의 네 귀퉁이를 세웠다. 흑룡을 죽여 기주(중원)를 구하고, 갈대의 재를 쌓아 서 넘치는 물을 막았다. 하늘이 메워지고 네 기둥이 바르게 세워지자 비로소 홍수가 그쳐 기주가 평 화로워졌고, 흉악한 금수들이 죽고 선량한 백성들이 살 수 있게 되었다.

《淮南子․媧冥篇》

 이 신화에서 여와는 인류와 만물의 시조이자 그 구원자로 묘사

 당시 모계 혈통에 의해 유지되던 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한 것

 반고와 여와를 그려내고 있는 신화들 속에 바로 우주와 자연의 기원에 관한 선사인들의 순 수하면서도 기발한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다른 신화에서는 초월적인 힘을 가진 영웅적 존재를 등장시켜 대자연을 정복하고자 했던 그들의 희망을 엿볼 수 있음

 「과보가 태양을 쫓다 (媧父追日)」, 「후예가 태양을 쏘다 (后媧射日)」,「곤과 우가 홍수를 다스리다 (媧禹治水)」,「정위조가 하늘을 메우다 (精媧媧海)」

(8)

소 설 의 기 원

신화( 神話)와 전설(傳說)

2

과보가 태양과 경주를 하였는데 뜨거운 태양의 근처에 다가가자 목이 말랐다. 물이 마시고 싶어 황하와 위수의 물을 마셨다. 황하와 위수의 물로는 부족하여 북쪽으로 대택의 물을 마시 러 갔다가 도착하기도 전에 목이 말라 죽었다. 그의 지팡이를 떨어뜨렸는데 그것이 변하여 등 림이 되었다.

《山海媧․海外北經》

발구산 위에서는 산뽕나무가 많이 자란다. 이곳의 어떤 새는 생김새가 까마귀 같은데 머리에 무늬가 있고 부리가 희며 발이 붉다. 이름을 정위라고 하며 그 이름이 스스로의 울음이 되었 다. 이 새는 본래 염제의 딸로 이름을 여와라고 하였다. 여와는 동해에서 노닐다가 물에 빠져 돌아오지 못했다. 그리하여 정위가 되어 늘 서쪽 산의 나무와 돌을 물어다가 동해를 메우는 것이다.

《山海媧·北次三媧》

《산해경》에 실려 있는 두 신화의 주인공인 과보나 정위는

이상과 신념을 가지고 용감하 게 대자연과 맞서는 선사인들 자신의 불굴의 의지를 형상화한 것

에 다름 아닐 것이다.

신화들 가운데는 자연과의 투쟁뿐만 아니라, 부족간의 분열과 통일, 투쟁과 융합의 역사를 반 영하고 있는 것들도 있다. 그러한 신화로는

「공공이 화가 나서 부주산을 들이받다( 共工

怒媧不周山媧父追日)」,「황제와 치우가 싸우다(黃帝戰蚩尤)」

등을 들 수 있다.

(9)

소 설 의 기 원

신화( 神話)와 전설(傳說)

2

그 후에 공공이 전욱과 제위를 두고 다투다가 화가 나서 부주산을 들이받았다. 하늘 을 바치던 기둥이 무너지고 땅을 지탱하던 끈이 끊어졌다. 하늘이 서북쪽으로 기울 어 해와 달, 별들이 그 곳으로 쏠렸고, 땅은 동남쪽으로 꺼져 냇물과 빗물이 그쪽으 로 흘러들었다.

《列子․媧媧》

 하나의 이야기

 세계와 인간, 그리고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에 대한 나름의 이해이자 해석

 신화에는 공통적으로 우주와 인간, 그리고 만물의 창조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감.

 하지만, 그 신화들의 내용은 같지 않음 →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의 환경과 조건들이 다르 기 때문

 다른 자연의 환경과 조건들은 그것과 맞서 싸우는 인간들로 하여금 그것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들 자신만의 고유한 문화를 만들어내게 함

 신화에는 자신들이 지닌 자연과 그들 고유의 문화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타남

중국 고유의 문화를 반영하는 신화들로는

팔괘를 발명하고 여와와 결혼한 복희씨(伏羲 氏) ․

농사짓는 법을 가르친 신농씨(神農氏:炎帝) , 중국 민족의 시조인 황제(黃帝) 등과 같은 고유한 신 들의 이야기

태양 ․ 달 ․ 별 ․ 바람 ․ 구름 ․ 방향과 같은 것에 대한 이야기는 바로 그들이 맞이했던 자연에 대한 신화이다.

중국인들의 문학적 상상력의 원동력 → 소설을 비롯하여 시가, 희곡 등 후대 문학에 깊은 영향을 미 침

(10)

소 설 의 기 원

우언고사 (寓言故事)

2

 우언은 완전한 형태를 갖춘 소설이라 할 수는 없다.

 많은 문학사에서는 우언을 선진 산문의 범주에 넣고 있음

 우언을 이루고 있는 이야기 자체에 소설적인 의미가 풍부하게 담겨 있음

 이야기를 전개하는 예술적 수법이 후대 소설 창작에 많은 영향을 끼침

 우언은 신화나 전설과 마찬가지로 중국 소설의 기원을 이루는 한 바탕으로 충분히 간주함

 우언이라는 말은《장자》에 처음 보인다.

 “우언” ․ “중언” ․ “치언”은 모두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주지를 다른 사람이나 다른 일에 기탁하 는” 동일한 특징을 갖고 있음

 주로 심오한 철학적 사상을 설득력 있게 주장하기 위하여 사용된 이야기

 그 자체에 이미 어느 정도의 故事性을 구비

 내용상으로도 오락성 ․ 신괴성 ․ 교훈성

 신화나 전설과 함께 중국 소설의 원류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

 “우언이 9할이요, 중언이 7할이며, 치언은 일에 따라 매일 사용한다(寓言十九, 重言十七, 媧言日 出, 和以天倪)” - 《우언편(寓言篇)》

 “천하는 침체되고 혼탁하여 올바른 이론을 펼칠 수가 없다. 그리하여 치언을 끝없이 늘어놓고, 중언으로 진실성을 더하고, 우언을 광범위하게 적용했다(以天下爲沈濁, 不可與莊語, 以媧言爲曼 衍, 以重言爲眞, 以寓言爲廣.)” - 《천하편(天下篇)》

(11)

소 설 의 기 원

우언고사 (寓言故事)

2

우언고사는

《장자》,《맹자(孟子)》,《열자(列子)》,《전국책(戰國策)》,《한비자(韓非子)》,《여씨춘추 (呂氏春秋)》 등에 특징적인 작품이 많다.

「포정해우(媧丁解牛)」(《장자․養生篇》),「우공이산(愚公移山)」(《열자․湯問篇》),「수주 대토(守株待兎)」(《한비자․五媧篇》),「알묘조장(媧苗助長)」(《맹자․離婁章句下》),「제인 유일처일첩(齊人有一妻一妾)」(《맹자․離婁章句下》)

선진의 우언고사들은 漢代의 소설은 물론이고 魏晋南北朝의 志怪 ․ 志人 소설에도 많은 영 향을 미쳤다.

지금까지도 널리 회자되고있는 이야 기들

참조

관련 문서

[r]

따라서 바르게

[r]

나는 우리 집에 많은 로봇을 가지고 있어.. 나는 애완동물 두

[r]

개념원리 중학수학을 통해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를 통해 체험하므로 개념과 원리를 확실히 이해하게 됩 니다.. 그 다음 단계는 개념원리 익힘책인 RPM을 통해

[r]

즉 사각형 ABCD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