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허먼 멜빌의『베니토 세레노』에서 나타난 지성적 분노의 양면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허먼 멜빌의『베니토 세레노』에서 나타난 지성적 분노의 양면성"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허먼 멜빌의『베니토 세레노』에서 나타난 지성적 분노의 양면성

1)

강영돈2)3)

Ⅰ. 서론

Ⅱ. 노예제를 중심으로 한 남북의 대립

Ⅲ. 지성적 분노의 양면성

Ⅳ. 결론

◁ 목차 ▷

1) 이 논문은 2018년도 동양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2) 동양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2)

<Abstract>

Ambilaterality of Intellectual Anger in Herman Melville’s Benito Cereno

Kang, Youngd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anger experience of characters from the anger-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he framework of the American industrial and social structure around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nd to explain why they can not coexist with each other. This paper explores the anger in the dark times that American society is facing based on the slave revolt on Benito Cereno written by Herman Melville. It shows that human interrelation can develop into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balanced ideal society than dichotomous prejudice system in the closed structure of an industrial society. As Melvill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s, this paper tries to propose a vision of an affluent society when we have a balanced communication and a harmonious life with people.

<Key Words> anger experience, the slavery, slave insurrection, The Civil War, wireless coexistence

Ⅰ. 서론

(3)

19세기 중엽 미국의 문예사조의 태동기에 나다니엘 호손 (Nathaniel Hawthorne, 1804~1864)과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 로 손꼽히는 허먼 멜빌(Herman Melville, 1819~1891)은 그의 최고 걸작품인『모비딕』(Moby-Dick, 1851)을 통해 인간의 어두운 일 면과 본질적인 존재의 실체에 대한 비극적인 면을 표현했다. 멜빌 은 그의 초기 작품 『타이피』(Typee, 1846)와『오무우』(Omoo:

A Narrative Adventures in the South Seas, 1847)를 포함해서 그의 대표작품 중의 하나인 『필경사 바틀비, 월가의 이야기』

(Bartleby, The Scrivener: A Story Of Wall Street, 1853)에서 계층 간의 차별, 인종 간의 차별, 그리고 인간소외 등의 주제를 작품에 담고 있다. 그는 물질세계를 중시하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 으로 황폐화되어가는 인간성 상실의 문제와 인간관계의 본질의 의미를 추구하고자 했다. 멜빌은 그와 동시대에 활동한 호손 (Hawthorne)에게 보낸 서신에서 자신의 소설에는 “흥미위주의 내 용보다는 인간관계의 본질의 의미 있는 주제를 담겠다”(Melville, 1967: 551)라고 자신의 결심을 밝힌 바가 있다.

이러한 주제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은『모비 딕』이다. 그러나『모비딕』은 멜빌이 전달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 심에 대한 경계, 인간관계의 의미 등에 대한 고찰보다는 출판 당 시에 ‘고래학’으로 분류되면서 세간에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가 사망한 지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컬럼비아대학의 영문학 교수였 던 위버(Raymond M. Weaver 1888-1948)에 의해 그의 작품이 재 평가 되면서 멜빌은 독자들의 호평과 주목을 끌게 된다.『모비 딕』처럼 그의 생전에 독자들의 인정을 받지 못한 또 다른 작품 은『베니토 세레노』(Benito Cereno, 1855)이다.

『베니토 세레노』는 ‘노예선 반란’이라는 예민한 주제를 다뤘 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중편 소설인『베니토 세레노』는 1855년 노예제 폐지를 주장한 주요잡

(4)

지사인 푸트남스 월간지(Putnam's monthly magazine)에 세 차례 에 걸쳐 기고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70년이 지난 시점인 1924년 에 인종간의 대립의 골이 깊이지는 시점에 다시 출판되면서 세간 에 관심을 받게 되었다. 멜빌은 출판당시에 이 작품을 높이 평가 했는데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그의 생각이 옳았음이 드러나기 시 작했다. 미국의 단편소설 작가인 오브라이언(Edward J. O'Brien, 1890~1941)은 미국의 중단편소설 베스트 15편을 선정하면서 『베 니토 세레노』를 “미국 문학사 가운데 가장 훌륭한 작 품”(Simmonds, 2001)이라고 평가했다. 그 이후로 평론가들은 다 양한 시각에서 많은 비평을 내놓았다.

『베니토 세레노』는 국내에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를 지속 하고 있다. 박인찬(2002)은 『베니토 세레노』를 탈식민주의 관점 에서 타자와 침묵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전개했다. 정혜옥(2005)은 이 작품을 통해서 멜빌이 미국사회를 비판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김옥례(1996)는 반영극적인 기법을 통해서『베니토 세레노』

를 연구했고, 김은향(2014)은 이 작품을 북부 백인들의 노예 해적 질에 대한 것을 멜빌이 고발한 것이라는 시각에서 연구했다. 또한 해외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이『베니토 세레노』에 대한 연구를 지 속하고 있다. 게일라드(Gaillard, 1972)는『베니토 세레노』에 대한 연구에서 멜빌이 우리 시대에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무엇인가의 수수께끼 문제를 풀듯이 작품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는 관 점에서 논했고, 스커더(Scudder, 1928)는 멜빌의『베니토 세레 노』와 델라노 대위의 항해와 관련된 점에 초점을 두어 연구했다.

또한 베럿(Barrett, 2011)은 멜빌이『베니토 세레노』를 가볍게 그 러면서도 무겁게 주제를 터치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외에 도 하버드(Harvard, 2014)와 홀슬리(Horsley, 1991)와 같은 비평가 들은 이 작품에 나타난 인종적 갈등, 상징, 역사 등을 다양한 시 각에서 연구를 시도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멜빌의 작품이 많은 서평가들로부터 재평가

(5)

의 대상으로 관심을 받게 된 이유는 19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미 국의 정치 및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세기 중엽에 미국은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정부의 팽창주의 정책과 경제발전 이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노예제 존폐의 갈등 문제로 가장 격렬하게 대립하는 시기였다.

급속도로 성장한 산업의 발달은 정치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인종간의 갈등으로 인한 인디언 전쟁, 영 토 확장 정책으로 인한 멕시코 전쟁, 흑인 노예문제로 인한 남북 전쟁 등으로 정치사회적으로 상흔이 여전히 첨예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더욱이 영국을 시작으로 노예제도를 불법으로 규정한 유럽 국 가들과 달리 1850년대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노예제도가 급속하게 팽창하게 된다. 당시 미국 사법부에서는 공식적인 재판의 과정을 거쳐 노예제도를 합법화하고 흑인 노예에 대한 비인도적이고 비 합리적인 의도행위로 흑인을 학대하는 것을 묵인하게 된다(이창 신, 2011: 83). 아메리카 대륙은 정치적으로 민주주의 이념, 경제 적으로 자본주의 제도, 사회적으로 정의와 평등사회, 그리고 사상 으로 합리주의를 실현하는 명분하에 합법적인 노예제도로 흑인을 희생시키게 된다.

멜빌은 미국 사회의 불합리한 사회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극복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정부의 팽창주의 정책에 따른 계층 간의 갈등, 노예제도, 그리고 흑인과 백인간의 차별 등의 사회적 문제점들에서 인간의 본질적 의미를 추구하려 는 것이 그의 작품세계의 주축을 이룬다. 멜빌은 미국의 문예부흥 시대에 미국사회를 공포의 굴레에 휩싸이게 했던 ‘흑인노예 반란 사건’을 소재로 한 『베니토 세레노』 작품을 통해, 신흥 제국으 로 급부상한 미국의 식민팽창정책과 인종차별정책 등의 시대적 상황을 심도 있는 시각을 가지고 예리하게 비판했다.

『베니토 세레노』는 실존 인물인 아마사 델라노(Amasa

(6)

Delano, 1763-1823) 선장이 자신의 항해 기록을 담은 『항해일 지』(A Narrative of Voyages, 1817)를 소재로 하였다. 1817년 보 스톤에서 출간된 『항해일지』는 메사츄세츠(Massachusetts) 덕 스버리(Duxbury) 출신인 델라노 선장이 태평양과 여러 섬들을 실 제로 항해하면서 경험한 노예선 반란에 대한 페루법정의 재판을 다룬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멜빌이『항해일지』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델라노 선장이 인종차별에 대한 진실과 다르게 인도주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전혀 없다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는 사실적으로 기록된 『항해 일지』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첨예한 내용을 허구화하여, 인간을 짓누르는 억압의 실체와 진실의 탐구로 『베니토 세레노』를 완 성시켰다.

『베니토 세레노』는 미국 남북전쟁(1861-1865)이 발발하기 몇 해 전에 흑인 노예제도에 대한 이념적 대립과 논쟁이 가장 치열 했던 1850년대를 전후하여 흑인과 백인 간의 대립을 중심으로 쓴 작품이다. 이 소설은 노예제도폐지를 위해 거세게 일어난 북미지 역을 중심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한 척의 노예선상에서 흑인 배부(Babo)를 중심으로 일어난 흑인반란사건의 전개를 펼치고 있다. 바다에 표류중인 미 확인 배 산 도미니크호(San Dominick)를 발견한 델라노(Delano) 선장은 조그만 보트인 로버(Rover)로 표류중인 산 도미니크호에 승선하여 노예선 내부의 세계를 알게 된다. 바다에 표류 중인 산 도미니크호는 문명의 세상과 동떨어진 세계라고 할 수 있다.

델라노 선장은 산도미니크 노예선이 항해 중에 폭풍과 열병으 로 백인선원과 흑인노예가 죽었다고 인지한다. 순진하고 낙천적인 델라노 선장은 병자처럼 힘이 없고 뭔가 수상한 세레노(Cereno) 선장을 만나고, 세레노 선장을 극진하게 보살피는 배부, 그리고 흑인노예들과 몇 안 되는 백인 선원들을 보면서 불안한 느낌은 있었지만, 배안의 진상은 알아채지 못한다.

(7)

델라노 선장은 산도미니크 호의 이상한 점이 있긴 하지만 큰 문제는 없다고 판단하여 일정량의 식량과 물을 제공하고 떠나려 고 한다. 그 순간, 세레노 선장이 델라노 선장의 보트로 뛰어 내 리면서 산 도미니크호에서 흑인 배부를 중심으로 봉기와 노예반 란으로 상당수의 백인 선원들이 살해되었음이 밝혀진다(Melville, 1967: 283).

델라노 선장은 흑인들에 의해 일어난 반란임을 알고, 산 도미니 크호를 탈환하고 주동자인 배부를 체포하여 재판에 넘긴다. 그리 고 3개월 후 세레노 선장은 수도원에서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다.

『베니토 세레노』의 비극적 결말은 인간을 노예화시키는 문명 세력에 대해 적극 대항하고, 그 영향력에서 탈출하고자하는 세레 노 선장과 흑인 노예들의 분노와 반란의 여정으로 압축할 수 있 다. 다시 말해서 인종주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없는 상황에서 실제 기록이 내포하고 있듯이 인종주의가 결국에는 인간성 상실 로 고착되는 비극적 상황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베니토 세레노』는 노예선에서 일어난 흑인반란사건이라는 주제임에도, 실상 반란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생했는지에 대한 언급 없이 반란사건 이후의 이야기로서, 3인칭 화자인 델라노 선 장의 시각에서 흑인 노예들과 백인선원들이 공존하고 있는 세계 를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 속의 주인공은 베니토 세레노 선장이 지만, 실상 흑인 배부가 사건의 중심에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사건의 전개는 델라노 선장과 흑인 배부 에 의해 펼쳐지고 있다.

멜빌은『모비딕』,『필경사 바틀비』등 그의 작품에서 주인공을 정면에 내세우는 경향이 있는데, 『베니토 세레노』에서는 작가를 대신하여 주인공이 아닌 델라노 선장을 화자로 등장시켰다. 그는 델라노의 여정에서 비춰진 사회모순을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이상적인 삶의 길을 배부의 삶을 통해 제시하고자 했다.

이 작품에서 노예선상에서 발생했던 노예반란사건은 화자인 델

(8)

라노(Amasa Delano) 선장을 비평의 중심축으로 흑인 노예 배부 (Babo)와 세레노(Benito Cereno) 선장간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중심인물들의 분노의 경험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분노의 의미 가 부각된다.

분노경험은 “자신이 신뢰하고 의지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상처의 영향이 일반적”(클라우디아, 2017: 83)이나, 이 작품에서 드러난 것처럼 오랜 세월동안 어느 한쪽이 자유 의지가 아닌 강 제적 예속에서도 분노를 경험하게 된다.

『베니토 세레노』에서 흑인 노예 배부는 문명세계의 노예제도 로 부터 벗어나고자 자유를 위해 끓어오르는 분노를 가지고 있었 다. 그러나 제 3의 인물인 델라노 선장의 등장으로 배부는 분노의 감정을 표현하지 않는 숨겨진 분노를 가지고 있다. 배부의 분노 의 양면성은 세레노 선장의 비극적 선택의 죽음에서도 볼 수 있 다. 다시 말해서 세레노 선장은 노예선상에서 흑인폭동으로 인한 백인 선원들의 죽음과 사건을 진압하지 못한 선장의 무기력함에 서 오는 분노와 죽음에 대한 공포로 인한 두려움으로 자책하면서 억눌려진 침묵의 분노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멜빌은 『베니토 세레노』에서 인종간의 문제나 혹은 흑인노예 반란에 대해서 어떠한 분명한 의견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노예 선에서 일어난 흑인노예반란사건에 대해 명백하게 해석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점, 그리고 등장인물에 대한 시대적, 사회적 배경과 당시의 사실적 기록들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은 『베 니토 세레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즉 미국의 정치문화의 굴레에서 흑인 노예들의 정체성과 자연 과 인종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다(김옥례, 2018; 배 윤기, 2006; 황문수 2013). 백인중심의 문명사회의 풍토에서 인종 간의 내부적 갈등, 흑백간의 대립의 문제는 대부분의 연구의 주제 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베니토 세레노』에 대한 등장인물들 의 분노의 양상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인간의 상호관계에 역점을

(9)

둔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등장인물들의 가려진 다양한 분노의 경험을 분 노심리학적 시각에서 고찰해 보고, 이들이 상호공존의 관계가 가 능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문명사회가 지위나 신분, 혹은 서로 다른 피부색깔 등의 우열관계로 나누는 이분법적 편견은 인종간의 갈등이나 대립의 양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분법적 편견 체계의 범위를 넘어 타자를 포용하는 열린 세계를 고찰하고, 시대를 초월하여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상호관계에서 발전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 시하고자 한다.

Ⅱ. 노예제를 중심으로 한 남북의 대립

19세기를 전후한 노예제도는 이념의 갈등으로 빚어진 국란과 분열을 치루면서 신흥 제국의 탄생과 함께 미국의 통일의 역사를 만들었다. 『베니토 세레노』의 선장 델라노와 흑인 노예 배부에 관해 논의를 전개하기 전에 작품이 쓰인 시대적 상황과 그에 따 른 신흥 제국인 미국 흑인 노예제를 중심으로 한 남북 간의 관계 에 대한 행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흑인 노예 수입은 17세기 초엽인 1619년에 네덜란드 노 예상인이 카리브해에서 스페인 화물로부터 탈취한 20명의 아프리 카 흑인을 버지니아(Virginia)의 한 담배 농장에 판매한 것을 시 초로 하여, 1670년에는 노예제도를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면서 흑인 노예제도가 합법화되었다(장메이메, 1998). 이때부터 흑인에 대한 억압과 차별, 그리고 인종간의 갈등으로 얼룩지게 한 미국의 흑인역사가 시작되었다.

이와 같이 15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대략 300년 동안 “노 예무역”(마커스 레디커, 2018)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송된

(10)

흑인은 대략 1,000만 명이 넘어서는 것으로 추계하고 있다. 이 추 산은 서 아프리카와 서인도제도 사이의 노예무역 항로인 ‘중간항 로’(middle passage)를 중심으로 노예선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 서 사망한 흑인들을 제외된 수치다.

1619년 아프리카 흑인이 미국 동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버지 니아주의 제임스타운에 기항하여 처음으로 수입된 이후 흑인노예 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미국 남부에서는 면화나 담배 등을 재배하는데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었지만, 대부분 소규모 농장들로 서 노예를 사거나 유지 및 관리하는데 많은 자본이 필요했다. 즉 미국 남부지역에서는 노예제를 도입하기 전에는 노예제도를 반대 했다. 18세기 말인 1794년 엘리 위트니(Eli Whitney)가 면화 열매 에서 솜과 씨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조면기(Cotton Gin)를 발명 한 이후 남부지역의 목화산업에 대변혁을 일으켰다.

미국의 목화산업은 영국의 산업혁명에 따른 목면 수요의 급증 을 중심으로 전 유럽으로 확대되고 목화수요도 급속도로 늘어나 면서 많은 노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다시 말해서 소규모 면화 농장이 대규모사업으로 탈바꿈하면서, 만성적으로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던 미국 남부지역의 지배계층들은 양질의 노동력을 흑인에게서 발견하였다. 그들은 자국의 일꾼 대신 저렴하게 부릴 수 있는 흑인 노예를 아프리카에서 대량으로 사들였다. 그들은 흑 인들의 자유의 기회를 박탈하고 종신토록 예속할 수 있도록 노예 를 만드는 조치를 취하였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를 창간한 베네트(James Gordon Bennett, 1795~1872)가 지적하였듯이, 당시에 아프리카 흑 인들은 백인 노동자나 인디언과는 달리 노동 조건에 많은 장점이 있다는 것이 강조되었다. 우선 그들은 신체적으로 튼튼하여 사망 률이 현저히 낮았으며, 다른 백인 노동자의 품삯으로 종신토록 부 릴 수 있었다. 흑인은 특유의 피부색으로 백인 사회로 잠적해 살 수 없는 점과 도망칠 경우가 희박하다는 큰 이점이 있었다. 또한

(11)

미국사회에서는 흑인들을 보호해 주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다. 더욱이 흑인이 공급되는 측면에서도 거의 무제한으로 충 당할 수 있는 길도 열려 있었다.

많은 흑인 노예들은 목화나 담배와 같은 남부 지역의 플랜테이 션(plantation)이라 불리는 대농장에서 일했다. 그들은 남부의 식 민지 법에 따라 결혼, 재산, 소유, 그리고 자유가 존재하지 않은 불법제도에서 살아가야만 했다. 17세기부터 아메리카 대륙에 끌려 온 아프리카 흑인들은 짐승처럼 매매되는 신분이었다.

노예들은 혹독한 노동에 시달려야 했고, 농장의 작업감독에 의 해 감시를 받아야 했고, 살인적인 구타를 당해야만 했고, 게으름 을 피우는 기색을 보이면 채찍질을 당하는 등 가차 없는 가혹한 처벌을 받아야 했다. 더욱이 언제라도 다른 곳으로 팔려날 수 있 으므로 그들의 가족과의 생이별이 일상적으로 발생했다(장메이메, 1998).

당시의 노예들은 “나도 인간이다. 자유를 달라”고 외치다가 손 과 발이 쇠사슬에 묶인 채로 매를 맞는가 하면 등가죽이 완전히 피범벅이가 되는 등 잔혹함을 겪어야 했다. 흑인 노예들은 분노를 억누르며 참혹한 현실을 체념한 채 살고 있었다. 흑인들은 저항만 이 인간임을 증명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실패할 것임 을 알면서도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저항으로 투쟁하였다.

노예 봉기와 반란사건은 1699년부터 약 150년 동안 55건의 흑 인 봉기가 노예선에서 발생하였다(Lincoln, 1969: 27). 미국의 독 립혁명인 18세기 중반에서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직전까지의 기간 에 노예가 45만 명에서 400만 명으로 늘어나면서 흑인들의 반란 의 가능성도 갈수록 증대되었다. 미국 남부의 농장지역들은 흑인 노예들이 자신들의 생존권을 위해 백인 지배계층들과 투쟁하였던 각축장이었다. 수적으로 열세인 그들은 자신들의 자유와 인간다움 을 위해 백인주인들과 싸워야 했다.

1799년 카리브해 연안의 산토 도밍고(Santo Domingo)에서 흑

(12)

인 봉기와 반란의 성공적인 사례는 미국 남부지역의 지배계층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그 파장은 1831년 버지니아 사우스햄튼 (Southampton)에서 자신의 주인을 비롯한 백인 70여명을 잔혹하 게 살해한 냇 터너(Nat Turner) 반란사건(김영미, 2007: 33)을 비 롯하여 1839년 카브리해를 운항하던 스페인 노예무역선 아미스타 드호(Amistad) 반란사건, 1841년의 크레올호(Creole) 사건 등으로 이어지고, 19세기 중반 미국의 노예반란도 더욱 빈번해졌으며 많 은 백인들은 노예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었다.

18세기 중엽 이전에는 대부분의 노예들이 일정량의 작업을 거 부하거나 부분적인 파괴, 혹은 탈출 등의 일반적인 투쟁의 형태 (Zinn, 1999: 175; Oates, 1976: 52)를 보였으나, 멜빌이『베니토 세레노』를 출판한 시점을 전후하여 조직적이고 이념적인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멜빌의 생애 동안 미국은 팽창주의 정책으로 보스턴 지역을 중 심으로 한 동부 해안의 작은 연합체가 태평양 연안 개척으로 아 메리카 전 대륙을 지배하는 초강국으로 성장하였다. 그 과정에서 미국의 경제 발달은 엄청난 물질적 풍요로움과 사회 발전을 이룩 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산업화는 급속한 산업의 성장, 팽창주의 정책, 내부적 갈등으로 정치적, 사회적으로 많은 부작용을 낳기도 하였 다. 남부와 북부의 지역적으로 또는 경제적으로 격차를 더욱 심화 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는 바로 노예제도였다. 북부지역은 기후나 토양 등 대규모 농장보다는 산업발달에 필요한 상공업에 의존하 였다. 고속 성장에 들어선 북부의 급속한 산업화는 많은 신규 노 동력이 필요했다.

남부정부는 노예제도가 남부의 경제적 토대를 유지해 주는 한 부분이라고 믿었고, 북부정부는 그 제도로 인해서 남부는 후진성 을 면치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실상 남부 사람들 가운데 극히 일 부의 대농장주가 노예를 소유하였다. 소농장주나 가난한 자작농들

(13)

은 노예를 소유하지 못했는데, 이들이 노예제도를 찬성하는 데는 약간의 설명이 필요하다. 흑인 노예가 해방되면 소농장주들은 토 지를 놓고 경쟁을 벌이게 될 것을 두려워했다. 그들은 노예의 존 재로 인해 상대적으로 본인들의 사회적 지위가 상층을 형성할 수 있었지만, 노예제도 폐지는 그들의 우월적인 지위를 잃게 될 것임 이 명백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1830년대를 기점으로 노예제를 둘러싼 지역적 분파주의 가 형성되었고, ‘노예제 폐지론’의 기운이 점차 커져갔다. 1830년 이전에는 농장주가 스스로 감독과 관리하는 이른바 ‘족장 체계’가 일반적이었으나, 대규모 면화 생산 시스템 도입으로 노예를 관리 하고 감독하는 전문 감독자가 나타났다.

이런 노예제도는 인간의 자유를 짓밟는 불합리한 제도가 될 수 밖에 없었다. 북부지역에서 주장하고 있는 노예제도의 가장 큰 비 판은 노예주나 감독관이 노예에 대한 태도의 문제가 아니라, 남에 게 양도할 수 없는 권리가 존재하는데도 노예제도는 이러한 권리 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더 큰 문제였다.

남부의 대부분의 주들은 연방정부에서 탈퇴하고, 비극적인 남북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인종간의 평등에 도달하는 험난한 길이었다. 남북전쟁은 노예제 존폐를 중심으로 발발한 것으로, 북 군의 승리는 북부 흑인들의 사기를 고취시켰고 남부지역 노예들 의 협력도 한 몫을 했다.

남북전쟁이 한참 진행되고 있었던 1863년 미국 대통령 링컨 (Abraham Lincoln, 1809~1865)은 연방정부에 대항하던 남부 연합 정부에 대해 노예해방선언(Emancipation Proclamation)을 정식으 로 선포하였다. 이 선언은 남북전쟁에서의 전략적 의도가 있었는 데, 남부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남부의 여러 주들의 연방정부로의 조기복귀의 목적이 있었다(김형곤, 2007: 81). 그러나 이 선언이 선포된 당시에는 단 한 명도 노예가 해방되지 못했다. 이후 이 선 언은 연방정부의 건국이념인 자유와 평등에 큰 힘이 되었고, 미국

(14)

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헌법에 보장된 이 선포는 미국 행정부가 노예들의 지유를 인정 하고 지키겠다는 의미이며, 링컨은 “그들이 진정한 자유를 얻고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때 그들을 억압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것이다”(Emancipation Proclamation)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대통령은 허용된 조건에 따라 그들이 적정한 임금을 받기 위해 열심히 노동할 것과 자격 요건을 갖춘 자는 군대에 입대하여 요 새나 진지의 주둔을 포함하여 여러 지역에 배치되거나 모든 종류 의 군함에도 배치될 것임을 선언하였다.

노예폐지운동(Abolition Movement, 1783~1888)은 이미 유럽에 서 시작되었고, 흑인 노예 해방을 위해 일으킨 운동으로 영국에서 가장 먼저 일어났다. 18세기 후반에 전 세계적으로 노예무역 자체 가 금지된 상황이었다. 영국의 산업화로 자본주의 시대가 시작되 면서 값싼 많은 노동력의 필요에 따라 1838년 노예제가 폐지되었 고, 10년 뒤에 프랑스에서도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미국도 유럽처럼 북부지역의 산업의 발달이 진행되면서 노동자 확보의 필요성에 의해 노예해방을 주장하였다. 미국은 19세기 초 노예무역이 폐지된 후 1865년에 각 주로부터 비준을 받아 전면적 인 노예 해방이 가능해졌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1826)은 인권존중 조항을 미국 독립선언문 첫 머리에서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고, 창조주는 몇 가지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했으며 그 권리 중 에는 생명과 자유와 행복추구가 있다”(“All Men Are Created Equ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고 강조했다. 그는 노예제도 에 적극 반대하고, 미국 내의 모든 사람은 평등해야 한다는 생각 을 펼쳤다.

Ⅲ. 지성적 분노의 양면성

(15)

인간이면 누구나 경험하는 보편된 감정 중의 하나는 분노 경험 이다. 당시의 흑인들은 분노의 감정을 억제하여 자신들의 분노를 백인문명사회에 드러내놓지 않고 혼자서 참고 묻어두려고 노력했 다. 그러나 마음에 내재된 분노는 인종간의 갈등의 골을 깊어지게 하고 자신들의 마음을 하소연하듯이 어느 순간에 폭발한다.『베니 토 세레노』에서 드러나듯이 흑인 배부는 자유를 되찾기 위해 백 인사회에 강렬히 저항함으로서 분노를 표출한다.

분노는 괴로움과 동격인 감정표현으로서 자기 심리학적 시각에 서 자신의 내면의 정체성과 감정조절의 실패로 발전한다(Golden, 2003). 더욱이 억압에 의한 분노 경험은 평상시에 정상인처럼 행 동하고 사고하지만, 위기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감정을 표출한다.

억압된 감정 경험은 내부의 기억체계에 보존된 상태로 남아서 행 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김용희, 2004: 15). 흑인의 분노 경험은 본질적으로 식민지 지역에서 극에 달한다.

이 작품에서 분노의 양상은 흑인 배부가 백인들의 폭력과 차별 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분노에 대한 통제력을 억제할 수 없는 상 황으로 표출된다. 분노 경험의 근원은 “인간의 상호관계에서 서로 이해관계가 동반되지 않을 때 발생”(이수진, 2016: 162)한다.『베 니토 세레노』에서 분노의 양상은 표출되어진 분노와 내재적으로 묻어놓은 지성적 분노로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분노의 감정 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인 성향이나 사회적인 상황 등의 요인에 의해 올라오는 분노를 누구나 다 표출하지는 않는다. 이것 을 지성적 분노라고 할 때, 작품 속의 인물들은 어떤 분노를 표출 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작품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그런데 지성적 분노는 원인과 상황에 따라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흑인 노예 배부는 자유를 향한 투혼으로 폭동을 주도하여 분노를 표출하고, 그에 대한 재판의 법정에서는 그의 분 노를 침묵하는 양면성을 보인다. 세레노 선장의 경우에도 폭동으

(16)

로 인해 진압당한 상황에서 그리고 법정에서 그의 분노를 표출하 지 않는 지성적 분노의 일면을 보이지만, 델라노 선장에게 구조를 요청하는 분노의 몸짓이나 죽음으로 자신의 분노를 표출하는 양 면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지성적 분노의 양면성을 규명하기 위 해서는 선장 델라노와 세레노, 그리고 흑인 노예 배부의 상호간의 대립과 갈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실제인물인 델라노 선장의

『항해일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델라노 선장의『항해일지』는 1805년을 배경으로 선상에서의 체험담과 실제로 일어난 일을 바탕으로 기록한 선상일지이다. 멜 빌은 이 기록의 제 18장을 『베니토 세레노』의 스토리를 구성하 는데 이용하였다. 그는 『항해일지』에서의 1805년도의 시간적 배 경을 1799년으로 바꾸고, 선상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배의 이름을 트라이얼호(Tryal)에서 산도미니크(San Dominick)호로 수정하여 작품을 만들어냈다. 여기에서 멜빌은 상당히 의미가 있는 메타포 (metaphor)를 작품에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니토 세레노』의 시간적배경과 공간적 배경은 당시의 대단한 사건을 연상하게 한다. 즉 1799년 최초의 흑인 폭동이 일어났는데 그 지역의 이름이 산토 도밍고(Santo Domingo)이다.

산토 도밍고는 카리브해의 관문이자 주요도시중의 하나로서 스 페인의 지배를 받다가 1697년부터 프랑스에 양도되어 프랑스의 지배를 받고 있는 지역이다. 이곳에서 엄청난 노예반란 폭동이 일 어났고 흑인노예들이 자유의 승리를 이끌어낸 의미 있는 장소이 다.

이러한 맥락에서『베니토 세레노』의 시간과 공간이 1799년 산 도미니크호라는 점과 사건의 발생내용이 선상 노예반란 사건이라 는 점, 그리고 흑인 배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산도미니크호에서 백인선장 세레노와 백인 선원들을 제압했다는 점은 멜빌이 분명 히 의도한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 배경의 메타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베니토 세레노』는 멜빌이 의도를 가지고 배에서 발생

(17)

한 흑인노예 반란사건과 진술서를 기반으로 페루법정의 재판을 다룬 작품이다(Hayford, MacDougall, and Tanselle, 1987: 582).

산토 도밍고 섬은 로마황제 찰스 5세(Charles V, 1519~1556)가 수 락하여 최초로 대규모 노예 수입이 본격화 된 곳으로 이 섬에서 노예반란이 일어났고, 최초로 흑인들의 승리로 이끈 사건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기 때문에 멜빌의 『베니토 세레노』의 작 품 구성에서 크게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베니토 세레노』의 모태가 되는『항해일지』는 1805년 바다 표범 잡이 상선 퍼시버런스(Perseverance)호를 이끄는 미국인 선 장 델라노가 칠레 해안선을 따라 남단으로 이어진 무인도 산타마 리아(Santa Maria) 항구에 표류중인 스페인 노예선 ‘트라이얼’’호 를 목격하면서 시작하는 기록이다. 선장은 장시간동안 정박해 있 는 트라이얼호의 움직임이 없음을 알고 조그만 배로 승무원인 루 터(Luther)와 함께 다가가 확인한다.

트라이얼호는 노예선(slave ship)으로서 수개월 전에 남아메리 카 하류의 항구 도시인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에서 출 항한 이후 물을 구하기 위해 표류 중에 있었다. 선장은 그 배가 항해 도중에 폭풍우를 겪고 백인 선원과 흑인 노예 다수가 열병 으로 목숨을 잃고 힘없이 항해하고 있는 노예선이라고 생각한다.

선장 델라노는 오후 반나절 동안 이 배에 머물면서도 이 배에서 발생한 흑인노예반란 사건이 은폐되고 위장된 실제를 전혀 알지 못한다. 그가 일정량의 물과 식량을 제공하고 자신의 배로 되돌아 오려고 할 때, 트라이얼호의 세레노 선장이 델라노 선장의 보트로 탈출을 시도하면서 그 배의 흑인노예들의 봉기와 반란으로 상당 수의 백인선원들이 살해되었음이 밝혀진다. 그리고 스페인 노예선 에 남아 있던 다른 백인 선원들도 바다로 뛰어내리면서 도움을 요청한다.

델라노 선장은 스페인 노예선 트라이얼호에서 일어난 폭동이 흑인들에 의해 자행된 정교한 반란임을 알아채고, 대포발사 명령

(18)

을 내린다. 델라노 선장의 무장된 두 척의 배는 도망치고 있는 트 라이얼 호를 추격하여 전투 끝에 노예선을 탈환한다. 트라이얼호 는 석 달전에 70여명의 흑인노예들을 태우고 리마(Lima)로 향하 던 중이었고, 선상에서 노예들이 반란을 일으켜 25명의 백인선원 을 무참하게 살해하고, 아프리카 서해안에 있는 세네갈로 돌아가 던 중이었다.

멜빌은 델라노 선장의『항해일지』의 중심내용을 『베니토 세 레노』에서 그대로 투영하였다. 사건의 시점은 1805년에서 1799년 으로 변경하였으며, 델라노 선장이 이끄는 퍼시버런스 (Perseverance)호를 베챌러스 딜라이트(Bachelor’s Delight)호로, 그리고 스페인 노예선 트라이얼(Tryal)호를 산 도미니크(San Dominick)호로 바꾸었지만, 실존인물들의 이름은 그대로 차용하 였다. 멜빌이 『베니토 세레노』에서 실제 사건의 시점이나 선박 의 이름을 변경한 이유는 미국의 폐쇄적 사회에서의 흑인노예문 제라는 주제를 표면에 올려놓고 문명사회가 흑인들에게 행했던 탄압과 잔혹한 폭력, 그리고 흑인들의 분노의 억압과 표출을 드러 내려는 의도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복잡하고 중추적인 분노의 경험이 작품의 곳곳에 드러난다. 세레노 선장의 면도 장면에서 배부는 분노의 양면성을 드러낸다. 배부는 세레노 선장을 면도해 주는 과정에서 그의 감성 적 분노가 폭발하지만 억누르는 지성적이고 이성적인 분노 조절 을 한다. 배부의 면도칼이 세레노 선장의 피부에 피를 냈고 세레 노 선장에게는 극단적인 분노의 침묵의 표정이 흐른다. 세레노의 분노의 침묵은 배부가 화려한 스페인 국기를 턱받이로 사용함으 로써 국기가 불경스럽게 모욕되는 장면에서도 나타난다.

델라노 선장은 배부가 면도칼을 쥐고 은밀하게 목을 긋는 위협 적인 행동으로 세레노 선장을 억압하고 있음을 전혀 눈치 채지 못한다. 델라노 선장은 한 낮에 면도하는 장면을 기이하게 여기나 순한 양처럼 배부의 충실한 마음의 행위를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19)

그러나 델라노는 겁쟁이처럼 사지를 벌벌 떨고 있는 세레노를 보 면서 이상한 느낌을 갖는다. 여기에서 배부는 그의 내면의 분노를 숨기려는 의도가 있으며, 델라노 선장은 지성을 기반으로 한 절제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사건은 공포로 휩싸인 세레노 선장이 델라노 선장의 보트를 향해 뛰어든 후에 손에 검을 쥔 배부가 뒤따르며 순진한 흑인 노 예의 양면적 가면의 탈이 벗겨지면서 모든 봉기와 반란계획의 전 말이 드러난다. 노예반란은 불합리한 문명사회의 모순에 저항하여 봉기한 것임을 인식한 델라노 선장이 쓰러지려는 세레노를 왼손 으로 움켜지고, 칼을 든 배부를 재빨리 오른 발로 짓밟는 모습 (Melville, 1967: 284)에서 잘 묘사하고 있다.

여기에서 세레노 선장의 행동은 분노의 침묵에서 감성적 분노 의 폭발로 나타난 것이며, 흑인 배부의 숨겨진 분노는 다시 불합 리한 노예제도 안으로 들어가는 것에 대한 저항으로 감성적 분노 를 표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델라노 선장의 행동은 절제 된 지성적 분노가 감성적 분노로 분출하는데, 이러한 분노의 양면 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은 상황에 따른 분노의 표출을 보이고 있다. 특히 배부의 분노는 작품의 모호성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했 고, 목소리를 높일 수 없는 억압된 분노의 침묵과 지배적 담론으 로 제도에 의해 차단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세라노 선장의 분노 경험은 법정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델라노 선장이 지난 과거를 잊으라는 충고에, 세레노 선장은 배부 와의 대면을 거부함으로서 그의 분노를 표출하고, 그에 대한 두려 움을 떨치지 못한다(Melville, 1967: 289). 그리고 세레노는 법정을 떠나 아고니아(Agonia)산의 수도원에서 “내면의 분열된 분노를 극복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죽음과 타협”(강영돈, 2017: 13)한다.

흑인 배부는 법집행 판사와 진술인이 백인인 상황에서 불균형 적인 법집행의 합리성을 기대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침묵으로 일 관한다. 흑인 배부는 폭동을 일으킴으로써 분노를 표출하고, 법정

(20)

에서는 침묵으로 그의 분노를 표현한다. 배부가 법정판결로 죽은 후, 그의 두개골은 노예무역을 합법화하도록 지지한 도미니크 성 직자인 성바돌로매(Bartholomew)의 교회 쪽으로 향해져 있다 (Melville, 1967: 307). 이 마지막 장면은 마치 배부가 노예무역을 합법화한 장소를 노려보는 것처럼 묘사하면서 작품은 마무리된다.

배부의 침묵으로 그의 가려진 분노는 백인들에게 향해져 있고, 선 상반란의 봉기로 표출한 그의 분노는 이후에 또 다른 분노의 표 출을 촉발시켰다.

흑인 배부와 그의 일행은 어려운 상황에서 힘든 고비를 경험하 고 불합리한 현실세계를 분별력 있게 인지하면서 억압된 분노를 선상봉기로 표출하면서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베니토 세레노』에서 드러난 분노의 양면성은 문명사회의 환경에서 분노 의 조절과 통제력이 상실되어 자신들의 자유를 위한 봉기와 반란 을 일으켰다고 볼 수 있다. 멜빌은 시대의 비인도적인 상황에서 델라노 선장의 시각에서 비춰진 미국사회의 불합리한 모순을 비 판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간의 올바른 삶의 방향을 제시하 려고 했다.

Ⅳ. 결론

본 논문은 멜빌의 주요 작품 중의 하나인『베니토 세레노』에 서 나타난 흑인노예반란사건을 중심으로 미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암울한 시대상의 분노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사회의 폐쇄된 구조의 틀에서 인간의 상호관계가 이분법적 편견의 체계가 아닌 서로 상보적인 관계와 균형적인 이상사회로 발전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19세기 중반 미국은 산업의 급속한 성장, 팽창주의 정책, 인종 차별정책 등으로 인종간의 갈등과 흑백간의 대립이 일반화가 되

(21)

었던 시기이다. 더욱이 18세기 후반에 유럽에서 폐지되었던 노예 제도가 미국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팽창하고 있었다. 멜빌은 델라 노 선장의 시각에 비춰진 백인중심의 문명사회의 굴레에서 참혹 한 현실의 벽에 부딪친 흑인 배부의 삶을 통해 당시의 사회모습 을 예리하게 비판하려는 의도가 암묵적으로 있었다.

멜빌은 미국의 문예부흥시대의 불합리한 사회에서 이념적 대립 과 흑백간의 갈등, 그리고 탈식민지 독립과 노예제도 폐지 등을 표현하여 폐쇄적 사회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을 찾고자 했다. 백인중심의 문명사회였던 시대적 상황에서 흑인의 삶이나 존재 가치는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았으며, 흑인노예들의 분노를 표출할 방법도 마땅히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베니토 세레노』는 인종간의 내부적 갈등에서 분노의 억압과 침묵으로 이어지면서 비극적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노예제도라는 족 쇄에 벗어나고자 하는 흑인들의 생존권과 자유를 위한 투쟁은 그 들의 분노의 표현이며 진정으로 인간다움을 회복하는 것이다.

베니토 세레노에서 흑인노예반란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물 질적인 욕심에서 비롯되었고, 흑백간의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상대 적으로 흑인들의 분노가 커지고 이는 폭동으로 이어졌다. 더욱이 노예제도는 엄격한 사회적인 차별을 제도화하면서 이후 미국 사 회발전에 큰 장애물이 되었다. 폐쇄된 사회는 억압적이고 독단적 인 힘이 강하여 균형적인 인종간의 상호관계의 발전을 기대하기 가 어렵다. 여러 인종과 다양한 계층 간의 공존은 상호간의 신뢰 와 이해가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분노심리학자 윌리엄 헬름라이 히(William Helmreich, 2015: 23)와 카트린 지타(Katrin Zita, 2014: 7)는 분노를 다스리고 인간의 고유한 본질에 대한 고민을 할 때, 인종간의 갈등, 종교의 갈등, 남녀성별의 차별이 없어지고, 상호 공존의 틀에서 융합하여 개인의 자유와 개체성이 존중될 수 있다고 했다. 이때 조화로운 이상사회가 발전할 수 있음을 결론적 으로 도출할 수 있다.

(22)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등장인물에서 나타난 다양한 분노의 경 험과 표출을 제시하였다는 점, 그리고 인간 상호간의 공존의 관계 가 인종간의 형성된 벽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고찰은 큰 의미가 있다. 21세기에 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나 19세기에 살았 던 미국사회에서 분노의 표출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작가 멜빌도 “인간관계의 중요성”(Melville, 1967: 551)을 지적하였 듯이 사람들과 균형 잡힌 소통과 조화로운 생활을 할 때 풍요로 운 사회로 발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어> 분노의 경험, 노예제도, 흑인노예반란, 남북전쟁, 상호 공존

<참고문헌>

강영돈(2017). 중년여성에게서 나타난 분노와 체념: 레싱의 『19호실로』를 중심 으로. 인문사회218(5). 1-16.

김영미(2007). 19세기 흑인 노예 반란의 문학적 재현 -『냇 터너의 고백』. 19세

기 영어권 문학11(1). 33-57.

김옥례(2018). 멜빌 단편소설을 통해 본 19세기 미국지식인의 딜레마:「종탑」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60(2). 21-40.

김옥례(1996). 반영극적인 기법을 통해 살펴본『베니토 세레노』연구. 근대영미소

설 3. 234-252.

김용희(2004). 분노억압과 분노 다스리기. 대한스트레스학회지12(3). 13-16.

김은향(2014). 멜빌의『베니토 세레노』: 평범한 북부인의 자선 혹은 해적질. 미

국학 논집 46(2). 27-69.

김형곤(2007). 링컨 대통령의 리더십의 실체. 미국사 연구25. 61-99.

마커스 레디커(2018). 박지순 옮김. 노예선(The Slave Ship). 서울: 갈무리.

박인찬(2002). 타자와 침묵: 멜빌의「베니토 세레노」, 콘래드의『어둠의 속』, 그

리고 쿠찌에의『포우』에 관한 탈식민적 접근. 현대영미소설 9(1).

148-172.

(23)

배윤기(2006). 미국 문화정치 지형과 흑백관계. 새한영어영문학48(2). 1-20.

윌리엄 헬름라이히(2015). 남인복(옮김). 분노의 심리학. 서울: 말글빛냄.

이수진(2016). 꼭 알고 싶은 정신분석의 모든 것. 서울: 소울메이트.

이창신(2011). 미국 남북전쟁 이전시기 노예제도와 젠더체계. 미국학논집 43(3).

81-105.

장메이메(1998). 지현(옮김). 흑인노예와 노예상인: 인류 최초의 인종차별. 서울:

시공사.

정혜옥(2005). 멜빌의 미국사회비판: 『베니토 세레노』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

구 9. 149-165.

카트린 지타(2014). 박성원 옮김. 내가 혼자 여행하는 이유. 서울: 걷는나무.

클라우디아 호흐브룬(2017). 장혜경 옮김. 분노 유발의 심리학. 서울: 생각의 날개.

황문수(2013). 허먼멜빌연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Barrett, L.(2011). “Light and Baffling”: Uncanny Punning in Melville's Benito Cereno. Papers on language & literature, 47(4). 404-429.

“Benito Cereno”.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On-line〕. Available from https://en.wikipedia.org/wiki/Benito_Cereno. (Retrieved on 20 Sep.

2018).

“Cotton Gin founded by Elias Whitney”. 〔On-line〕. Available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B%9D%BC%EC%9D%B4 _%ED%9C%98%ED%8A%B8%EB%8B%88. (Retrieved on 20 Oct.

2018).

Delano, Amasa(1817). A Narrative of Voyages and Travel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Hemispheres: Comprising Three Voyages Round the World. Boston: E.G. House.

Gaillard, Theodore L.(1972). Melville's Riddle for Our Time: Benito Cereno.

English Journal 61(4). 479-487.

Golden B. (2003). Healthy Anger. New York: Oxford Univ. Press.

Havard, John C.(2014). Ironizing Identity: Cosmopolitanism and Herman Melville’s “Benito Cereno” as Critique of Hispanicist Exceptionalism.

LIT-LONDON 25(2). 128-150.

Hayford, Harrison, MacDougall, Alma, and Tanselle, Thomas(1987). The

(24)

Writings of Herman Melville: The Northwestern-Newberry Edition Vol.9: The Piazza Tales: and Other Prose Pieces, 1839-1860.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Horsley-Meacham, Gloria(1991). BULL OF THE NILE: SYMBOL, HISTORY, AND RACIAL MYTH IN “BENITO CERENO”. The New England Quarterly64(2). 225-241.

“James Gordon Bennett and the New York Herald : ‘An American Newspaper in Paris’”.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On-line〕.

Available from https://goo.gl/PmEhsH. (Retrieved on 21 Oct. 2018).

Jefferson, Thomas(1772).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line〕. Available from https://www.archives.gov/founding-docs/declaration-transcript.

(Retrieved on 21 Oct. 2018).

Lincoln, C. Eric(1969). The Negro Pilgrimage in America. New York:

Bantam.

Melville, Herman(1967a). Hawthorne and His Mosses. In Harrison Hayford and Hershel Parker(Eds.), Moby-Dick(pp.535-551). New York: Norton.

Melville, Herman(1967b). Moby-Dick. New York: Norton.

Melville, Herman(1980). Benito Cereno, Billy Budd, Sailor and Other Stories.

New York: Penguin.

Melville, Herman(1997). Bartleby, the Scrivener: A Story of Wall-Street. New York: Simon & Schuster.

Melville, Herman(2007). Omoo: A Narrative Adventures in the South Seas.

London: Penguin Books.

Melville, Herman(2011). Typee. New York: SterlingPubCoInc.

Oates, Stephen B.(1976). The Fires of Jubilee: Nat Turner’s Fierce Rebellion. New York: Mentor.

“Putnam's Magazine”. Wikipedia. [On-line]. Available from https://en.wikipe https://en.wikipedia.org/wiki/Putnam%27s_Magazine. (Retrieved on 25 Sep. 2018).

“Santo Domingo”. Wikipedia. [On-line]. Available from https://en.wikipedia.

org/wiki/Saint-Domingue. (Retrieved on 28 Sep. 2018).

Scudder, Harold H.(1928). Melville’s Benito Cereno and Captain Delano’s

(25)

Voyages. PMLA43(2). 502-532.

Simmonds, Roys(2001). Edward J. O’Brien and His Role in the Rise of the American Short Story in the 1920s and 1930s. New York: Edwin Mellen Press.

Weaver, Raymond(1921). Herman Melville: Mariner and Mystic. Montana:

Kessinger Publishing.

투고일 2018/11/14 심사일 2018/12/04 게재확정일 2018/12/21

Name Kang, Youngdon

Belong Dept. of Liberal Arts, Dongyang University E-mail youngdawnk@hanmail.net

참조

관련 문서

이처럼 영화는 영화에 직접 관련시키기 어려운 트라키아라는 신화의 공 간과 인물의 특성을 리오 데 자네이로라는 도시, 특히 ‘바빌로니아’라는 구체적인 마을을

이러한 갈등에 대처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 코칭은 전문가적인 부모로서 성장하여 자녀의 사회적 정서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임.. 0 부모와

여객의 사망 또는 신체의 상해로 인한 손해에 관한 채권에 대한 책임의 한도액은 그 선박의 선박검사증서에 기재된 여객의 정원에 17만5 천 계산단위(국제통화기금의

이러한 디오니소스적 공간에서 오르페의 노래는 태양을 뜨게 하고 동 , 물과 아이들이 조용히 어울려 쉬게 한다 그의 노래는 언제나 힘을 발휘한. 또한 영화 전

미국의 공정무역론은 진정한 자유무역의 실현을 위 해서는 세계시장에서 상호 공정한 경쟁기회가 보장 되어야 한다는 것을 그 기조로 하면서 상호주의에 대 한

- 많은 경우 비정규직으로 사업을 운영하다보니 전문성이 떨어지고 인 력수급의 불확실성이 높은 실정인데, 이 사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 해서는

어머니의 존재가 등장함으로써 드디어 완전체가 되는 완득이네 가족이, 그렇다고 보편적인 가족으로 재결합되는 것이 아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으로

사형의 본질을 응보로 하고 흉악한 범죄인에게는 사형을 선고해야 한다고 하는 것 이다.즉 사형은 특히 공격적인 범죄에 대한 사회의 도덕적 분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