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한복음에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성령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요한복음에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성령과 "

Copied!
1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한복음에 요한복음에 요한복음에

요한복음에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성령과

성령과 성령과

성령과 교회의 교회의 교회의 교회의 관계 관계 관계 관계 연구 연구 연구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성서신학

성서신학 성서신학

성서신학 신약학 신약학 신약학 신약학 전공 전공 전공 전공 김 김

김 김 명 명 명 명 호 호 호 호

(2)

요한복음에 요한복음에 요한복음에

요한복음에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나타난 성령과

성령과 성령과

성령과 교회의 교회의 교회의 교회의 관계 관계 관계 관계 연구 연구 연구 연구

지도 지도 지도

지도 김 김 김 김 문 문 문 문 경 경 경 경 교수 교수 교수 교수

이 이 이

이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신학석사학위 신학석사학위 신학석사학위 신학석사학위(Th. (Th. (Th. (Th. M) M) M) M) 논문으로 논문으로 논문으로 논문으로 제출함 제출함 제출함 제출함

김 김 김

김 명 명 명 명 호 호 호 호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성서신학

성서신학 성서신학

성서신학 신약학 신약학 신약학 신약학 전공 전공 전공 전공 2006

2006

2006 2006년 년 년 년 2 2 2 2월 월 월 월

(3)

김 김 김

김 명호의 명호의 명호의 석사학위 명호의 석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논문을 논문을 논문을 인준함 논문을 인준함 인준함 인준함

주심 주심 : 주심 주심 : : : 김 김 문 김 김 문 문 문 경 경 경 교수 경 교수 교수 교수 인 인 인 인

부심 부심 : 부심 부심 : : : 성 성 종 성 성 종 종 종 현 현 현 교수 현 교수 교수 교수 인 인 인 인

부심 부심 : 부심 부심 : : : 최 최 재 최 최 재 재 재 덕 덕 덕 교수 덕 교수 교수 교수 인 인 인 인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4)

감사의 감사의 감사의 감사의 글 글 글 글

이 논문이 나올 수 있도록 모든 여건을 허락하신 하나님 아버지께 먼저 감사와 찬양과 영광을 드립니다. 뒤늦은 신학의 길에서 대학원을 통하여 부족한 공부를 더하게 하시고 교회를 개척하도록 하신 주님의 은혜는 말로다 표현할 수 없는 감격의 순간이었습니다. 비록 교회의 여러 사정으로 인해 10학기 만에 논 문을 쓰게 되었지만 가능하리라 생각지 않은 논문이 이렇게 나와 대학원 과정을 모두 마칠 수 있도록 하신 것은 오로지 전적인 주님의 은혜였습니다.

성서학을 공부하면서 성경에 대한 새로운 안목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 어서 앞으로 교회 사역에 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특별히 김지철 교수님께서 신약시대의 교회론에 대한 성찰을 원전을 통해서 함께 살펴보며 생각했던 시간 들은 저희 “은혜로 교회” 개척에 밑거름이 되었으며 그로 인해 “하나님께서 기 뻐하시는 바르고 건강한 교회”를 세우고자하는 꿈을 갖게 하였습니다. 얼마나 감 사한지요, 교회 창립 예배에 오셔서 귀한 말씀을 전해주시고 부족한 종을 여러모 로 살펴주시고 돌보아 주신 저의 은사이신 김지철 교수님께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박수암 교수님의 요한복음 신학은 참으로 성서에 대한 귀한 방법 론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어서 너무 좋았으며, 소기천 교수님의 수업을 통해서도 두꺼운 신학 원서에 대한 두려움을 어느 정도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했던 좋은 시간들이었습니다.

그리고 부족한 저를 여러 모로 도와주고 정보를 제공해 주어 과정을 마 칠 수 있도록 한 함께 공부한 동도제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서로 섬기며 도 와준 그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대학원 과정을 제대로 마칠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course work 수료과정을 마친지 무려 3년 지나 모든 것이 생소한 상황 에서 매주 월요일마다 귀한 시간을 내주셔서 자상하고 꼼꼼하게 논문을 지도해 주신 김문경 교수님께도 감사의 깊은 뜻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저 를 위해 기도해 주신 부모님과 개척의 어려운 상황을 기쁨으로 함께 나누며 섬 기는 저희 “은혜로 교회” 성도님들께 감사를 드리고, 저희 사랑하는 아내 남연영 과 함께 놀아주지 못한 사랑하는 아들 현성이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 니다.

2005년 12월 5일 김 명 호

(5)

- i -

< < <

<목 목 목 차 목 차 차 차> > > >

Ⅰ. 서 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Ⅱ. 연구사 ··· 3

A. 요한복음의 성령론 연구사 ··· 3

B. 요한복음의 교회론 연구사 ··· 6

C. 요한복음의 성령과 교회의 관계 연구사 ··· 11

Ⅲ. 요한 공동체의 상황 및 형성 과정 ··· 13

A. 요한 공동체의 용어 이해 ··· 13

B. 요한 공동체의 삶의 자리 ··· 16

1. 유대인의 갈등 ··· 16

2. 기독론에 의한 내적 분열 ··· 17

3. 파루시아 지연의 문제 ··· 19

C. 요한 공동체의 기원과 발전 과정 ··· 21

1. 마틴(J. Louis Martyn) ··· 22

a. 초기 시대(유대 전쟁 이전부터 80년대 어느 시기까지) ··· 23

b. 중기 시대(아마도 80년대 후반) ··· 23

c. 후기 시대 ··· 24

2. 게오르그 리히터(G. Richter) ··· 25

3. 브라운(R. E. Brown) ··· 26

a. 제1단계 : 공동체 기원(50년대 중반-80년대 후반) ··· 26

b. 제2단계 : 복음서 기록시기(약 90년경) ··· 27

1) 세상 ··· 28

2) 유대인들 ··· 28

3) 세례요한의 추종자들 ··· 29

4) 숨은 기독교인들 ··· 29

5) 그릇된 신앙을 지닌 유대 기독교인들 ··· 29

6) 사도 교회의 기독교인들 ··· 30

7) 요한 기독교 공동체 ··· 30

c. 제3단계 : 서신서 기록시기(약 100년경) ··· 30

(6)

- ii -

d. 제4단계 : 서신서 기록 이후 시기(약 2세기경) ··· 31

4. 평가 ··· 31

Ⅳ. 요한복음의 교회론적 성령 이해 ··· 35

A. 요한복음의 성령론에 관한 일반적 고찰 ··· 35

1. 요한복음의 성령 이해 ··· 35

2. 요한복음의 성령에 관한 구조 이해 ··· 39

B. pneu/ma 로서 교회론적 성령 이해 ··· 39

1. 성령과 세례(1:32-34) ··· 40

2. 성령과 중생(3:5-8) ··· 43

3. 성령과 예배(4:23-24) ··· 45

4. 영과 생명(6:63) ··· 48

5. 성령의 약속(7:37-39) ··· 51

6. 교회 공동체를 위한 성령(20:21-22) ··· 52

C. para,klhtoj 의 교회론적 성령 이해 ··· 57

1.

para,klhtoj

의 교회론적 언어 의미 ··· 57

2.

para,klhtoj

의 교회 공동체적 사역 ··· 61

a. 현존과 내재 사역(14:16-17) ··· 61

b. 가르치고 회상케 하는 사역(14:26) ··· 66

c. 증언하는 사역(15:26-27) ··· 71

d. 세상에 대하여 책망하는 사역(16:7-11) ··· 73

e. 진리로 인도하고 예수의 영광을 나타내는 사역(16:13-14) ··· 77

3.

para,klhtoj

의 시간 ··· 80

4.

para,klhtoj

의 수혜자 ··· 83

Ⅴ. 요한복음의 성령론적 교회 이해 ··· 85

A. 요한복음의 교회론에 관한 일반적 고찰

··· 85

1. 신랑과 신부(3:29) ··· 85

2. 하나님의 자녀(1:12; 11:52) ··· 86

3. 제자(9:28; 19:38) ··· 86

4. 백성들(11:50) ··· 89

B. 독특한 교회론적 표상으로서 성령론적 교회 이해

··· 89

1. 성전과 교회(2:13-22) ··· 89

a. 교회론적 표상 ··· 89

b. 성령과의 관계 ··· 90

(7)

- iii -

2. 목자와 양(10:1-27) ··· 91

a. 교회론적 표상 ··· 91

b. 성령과의 관계 ··· 94

3. 포도나무와 가지(15:1-17) ··· 94

a. 교회론적 표상 ··· 95

b. 성령과의 관계 ··· 97

C. 고별 기도(17:1-26)의 성령론적 교회 이해 ··· 99

1. 고별 기도의 교회론적 이해

···

99

2. 성령과의 관계 ··· 105

Ⅵ. 결 론 ··· 107

A. 요 약 ··· 107

B. 제 언 ··· 110

참고문헌 ··· 112

(8)

- iv -

약어표(List of Abbreviations)

ABD : Anchor Bible Dictionary BTB : Biblical Theology Bulletin

EDNT : H. Balz and G. Schneider(ed),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T JBL :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SNTup :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 Supplement Series

JTS :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NTS : New Testamentum

SBLDS :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NTSMS :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TDNT : G. Kittel and G. Friedrich(ed.),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T TLZ : Theologische Literatuzeitung

TS : Theological Studies

WBC : Word Biblical Commentary

WUNT :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9)

Ⅰ Ⅰ. . .서 서 서 론 론 론

A A A. .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목 목 목적 적 적

성령과 교회에 대한 이해는 너무도 중요하다.왜냐하면 초기 교회의 성 령 강림 사건 이후부터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성령의 시대요,교회의 시대이 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 교회는 성령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부흥회,철야기 도,새벽 기도,금식 기도 등을 통하여 성령의 충만,성령으로 거듭남을 매우 강 조해왔다.그러나 그것에 편승해서 일어난 성령 운동은 여러 가지 기현상을 포함 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오히려 극도의 혼란스러운 상황까지 연출되기도 하 였다.이러한 한국 교회의 성령 운동은 성령에 대한 성서적인 심오한 이해의 부 족 때문에 구속사를 주도하시는 성령의 역사적 활동과는 거리가 먼 표피적이고 지엽적인 은사 위주의 신비적이고 무속적인 성령 운동이 되어 버렸다.

성령에 대한 성경적인 올바른 이해는 기독교인의 신앙생활의 필수요건 이라 생각한다.흔히 생각하기를 성령하면 누가가 쓴 사도행전을 성령에 대한 언 급이 가장 많은 서신으로 생각한다.오순절 성령 강림의 사건이후 초기 교회가 그토록 부흥하는데 있어 성령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또 바울 서신에 나오는 성령의 은사와 열매에 관한 언급 등은 성령에 대한 실제적 인 지식을 가져다주기도 한다.그러나 우리는 요한복음에서 성령에 대한 교훈이 강화 형태로 주어지는 것을 간과할 수가 없다.혹자는 요한복음을 그래서 “성령 의 복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요한복음에는 공관복음과는 달리 미래의 교회를 위해 성령에 대한 새로운 자료들을 선택하여 주된 사역에 관해서 강조하고 있다.

성령을 진리의 영이신

para,klhtoj

라고 부르신 고별강화(14-16장)에서 예수는 직 접적이고도 놀라운 가르침을 펼쳐주셨다.예수께서 죽으시기 전 성령에 대해서 이렇게 역설하신 것은 요한의 기록에만 나타나는 것이다.이 역설 후에 예수는 수난당하시고 부활하시면서 성령을 약속대로 보내주셨다.그리고 그 성령 강림의 결과로 이 땅 위에 교회가 세워지게 되었다.따라서 교회를 생각할 때 성령을 따

(10)

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성령은 교회의 영이시다.주님이 승천하신 후 약속대로 이 땅에 오신 성령과 그의 인도하심 가운데 세워진 교회이기에 성 령과 교회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서는 올바른 신앙생활을 할 수가 없다 고 할 것이다.그래서 영적인 복음서인 요한복음을 통해 성령과 교회의 관계를 깊이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 많은 성도들은 개인적인 신앙생활만 부각된 삶을 살아가기 때문 에 교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결여되어 있지 않았나 생각된다.주님이 세우시려 했던 교회는 어떤 교회이며,또 왜 세우려고 하셨는지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 데,이것 또한 성령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그 깊은 의미를 파악할 수가 있다고 본다.주님이 오실 날이 더욱 가까워진 이 때에 주님이 기뻐하시는 참된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성령과 교회에 대한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가르쳐야 할 것이다.요한복음은 성령에 대해 정확하게 증거하고 있고,교회의 모습이 어 떠해야 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따라서 요한복음에 나타난 성령과 교회의 관계 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B B B. .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방 방 방법 법 법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범위 그리고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제2장 에서는 요한복음의 성령론과 교회론에 대한 연구사를 살펴보고자 한다.그리고 요한복음에 나타난 성령과 교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요한복음서가 씌어 질 당시의 요한공동체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아 제3장에서 요한 공 동체의 역사적,사회적,종교적 상황과 요한공동체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 다.제4장에서는 요한복음에 나타난 성령을

pneu/ma

로서의 성령과

para,klhtoj

로서 의 성령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그 속에서 교회론적인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제 5장에서는 요한복음에 스며들어 있은 교회론적 표상들을 살피면서 그것들이 갖 고 있는 교회론적 본질을 요한복음에 나타난 성령에 관한 말씀들을 통해서 더 구체적으로 파헤쳐 보고자 한다.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결론으로 지금까지 논 술한 내용을 요약 설명하고 요한복음이 제시하고 있는 성령이 교회론 안에서 어 떤 의미가 있고 교회 모습 속에 성령이 어떤 기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바른

(11)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Ⅱ Ⅱ. . .연 연 연구 구 구사 사 사

A A A. . .요 요 요한 한 한복 복 복음 음 음의 의 의 성 성 성령 령 령론 론 론 연 연 연구 구 구사 사 사

요한복음에 있어 성령에 관한 연구사는

para,klhtoj

(파라클레토스)에 관 한 연구사라고 볼 수 있다.학자들은 이에 대해

para,klhtoj

라는 용어의 기원과 개념에 관한 문제로 보고 연구사를 전개해 나갔다.이 문제를 두고 학자들은 많 은 연구에 연구를 거듭해 왔고,그 연구 결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그 연구들 간에 많은 모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para,klhtoj

에 관한 문제를 종교사적인 관점에서 만 다루어왔다.그 연구 결과를 유형에 따라 간단히 소개하면,첫째로,불트만 (Bultmann)을 중심으로 한 영지주의 견해이다.불트만은

para,klhtoj

용법의 기원 을 만다교(Mandean Gnosticism)문헌에 나오는 “JawarZiwa”라 불리는 “협조 자”(helper)에 둔다.1)이러한 불트만의 가설은 요한문서가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초기의 영지주의 문서에 의존하고 있다는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2)그러나 베츠(O.

Betz)는 1945년에 발굴된 영지주의 문서인 Nag Hammadi를 연구하면서

para,klhtoj

개념과 관련된 영지주의적 사고를 배격하였다.3)요한복음이 언뜻 보 기에 영지주의적 언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옳다.그러나 새롭게 발견 된 영지주의 본문과 비교해 보면 그 상이함을 쉽게 알 수가 있다.4)

둘째는 베츠(O.Betz)에 의하여 주장된 것으로,유대교의 전통적 공동체 인 쿰란 공동체(Qumram Community)의 이원론적인 특유의 사상에서

para,klhtoj

용어의 기원과 개념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다.하나님께 중재 역할을

1)R.Bultmann,The Fourth Evangelist& HisGospel,허혁 역,『요한복음 연구』Ⅱ,(서울:성광문화사,1978),624-31.

2)R.E.Brown,“TheParacleteintheFourthGospel,”NTS13(1967),119.

3)O.Betz,DerParaklet(Leiden:E.J.Brill,1963),56-72,113-16.R.Kysar,

"TheSpirit-paraclete,"TheFourthEvangelistAnd HisGospel(Minesota:Augsburg PublshingHouse,1975),129에서 재인용.

4)R.E.Brown,“TheParacleteintheFourthGospel,”,120.

(12)

했던 족장이나 모세와 같은 “고대 변호자”에 관한 표상이 이원론적으로 발전된 사상에서 특히,진리를 깨우치고 정의를 가르치는 임무 외에도 변호하는 역할을

para,klhtoj

의 임무나 역할과 비교하여 봄으로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이다.5) 그러나 이 시도에도 문제는 있다.베츠 자신이 언급했듯이

para,klhtoj

는 엄격한 의미로 볼 때 하나님 앞에서 중재 역할을 하는 변호자는 아니기 때문이다.또 어 떤 이는 천사장 미가엘과 비교해 보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역시

para,klhtoj

에 있 어서는 천사의 특성이 전혀 없다고 보아지기에 역시 잘못된 시도라고 보여 진 다.6)

셋째는 유대교의 “천상 변호자”개념과 비교해 보려는 시도이다.7)유대 교 전통에 따르면,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심판을 받을 때,“천상 변호자”를 필요 로 한다는 것이다.이 때 이 변호자의 임무는 법정에서 볼 수 있는 변호사의 역 할과 흡사하다.벰(J.Behm)은 이 변호자를 가리키는 히브리말 Paklît가 헬라어

para,klhtoj

라는 용어와 발음이 일치한다고 여김으로 이 가설을 지지하였던 것이 다.8)그러나 요한복음에서

para,klhtoj

의 활동 무대는 지상이다.이 유대교 “천상 변호자”와 가까운 뜻의 구절을 요한일서 2장 1절9)한 곳에서 찾아볼 수 있을 뿐 이다.이 구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para,klhtoj

로 묘사하고 있다.

넷째는 예수와

para,klhtoj

와의 관계를 “선구자-완성자(Vorläufer- Vollender)”의 관계라고 보는 보른캄(G.Bornkamm)의 가설이 있다.예수는 “선 구자”요

para,klhtoj

는 “완성자”라는 것이다.구세주는 수난을 겪고 죽은 자로서 그리고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para,klhtoj

가 심판자요,완성자로서 나타난다는 구 원자의 이중적 존재 방식으로 설명되는 그리스도론적 관점이다.10)하지만 요한복 음에서는 예수가

para,klhtoj

의 “선구자”이거나

para,klhtoj

가 예수의 “완성자”라 는 의미를 찾아볼 수 없다는 비판을 뮐러(U.B.Müller)에 의해 받고 있다.11)

5)O.Betz,DerParaklete,56-72,155-59,207-09.

6)U.B.Müller,Die Parakletenvorstellung im Johannesevangelium.ZTK.,

“요한복음의 보혜사 표상,”『성령과 영성』,(서울:한국 신학 연구소,1999),279.

7)R.E.Brown,"TheParacleteintheFourthGospel,"NTS13,120-24.

8)이영헌,“요한의 공동체와 빠라클레토스,”『신학전망』 93(1991,여름),3.

9)“...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para,klhtoj)가 있 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라(요일 2:1).”

10)위의 책 4-5쪽에서 재인용.

(13)

러(U.B.Müller )는 세례 요한은 예수의 선구자가 아니라 목격자이며,세례 요 한의 지적은 이미 온 자를 지적하고 있고 동시대에 활동하고 있다고 말한다.

다섯째는 후기 유대 묵시 문학에서 언급되는 “인자”에 관한 진술들과 비 교해 보려는 시도이다.슐츠(S.Schulz)에 따르면

para,klhtoj

는 “인자”에 관한 묵 시 문학적 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첫째,영을 소유한 자로서 인자 의 표상은

para,klhtoj

와 영을 동일시하는 것과 일치하고,둘째,

para,klhtoj

의 기 능은 특수하게 인자의 법정 기능에서 유래하며 셋째,요한복음

para,klhtoj

의 원 래적 모체로서 후기 유대교의 인자 기대를 중요시하였다고 보았다.12)그러나 이 러한 시도는 불행하게도 결정적인 답을 주지 못하고 다만 혼합적인 파악에만 그 치고 말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아울러

para,klhtoj

가 “인자”에 관한 묵시문학 적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는지 조차도 분명치가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 다.13)

이와 같이

para,klhtoj

용어의 기원과 개념을 찾으려는 시도들은 각양각 색이었고,종교사적 시각과 고찰이 우선적이었던 것이다.그러나 이 시도들은

para,klhtoj

가 언급된 요한복음서의 본문 자체에 대한 고찰이 매우 부족했거나

고려되지 않은 편이었다.이런 약점을 양식비평의 방법론으로

para,klhtoj

용어의 기원과 그 개념을 파악하고자 했던 이가 바로 뮐러(U.B.Müller)였다.그는 “고 별 연설”이라는 양식적인 테두리 안에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고자 한다.14)그러 나 양식비평적 방법은 요한공동체가 처한 당시 사회적인 정황을 제대로 파악하 지 못하는 결점들이 또한 있게 됨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전의 가설들과는 달리,

para,klhtoj

를 요한 공동체의 “삶의 정황”과 연 결시켜 연구한 학자는 브라운(R.E.Brown)이다.그는

para,klhtoj

를 요한복음서 만의 독특한 표현으로 전제한다.요한 공동체는 지상 예수를 목격한 사도들이 사 라지고 그리스도의 파루시아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para,klhtoj

를 지상 예수의 자 리를 대신하는 “영”,곧 “그리스도의 영”으로 생각했다는 것이다.15)브라운의 주

11)U.B.Müller,“요한복음의 보혜사 표상,”283-84.

12)위의 책 638-91쪽에서 재인용.

13)이영헌,“요한의 공동체와 빠라클레토스,”5.

14)U.B.Müller,"요한복음의 보혜사 표상,“638-91.

15)R.E.Brown,"TheParacleteintheFourthGospel,"126-32.

(14)

장은 우리에게 많은 통찰력을 주는 주장으로

para,klhtoj

성령과 교회와의 연계 성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B B B. . .요 요 요한 한 한복 복 복음 음 음의 의 의 교 교 교회 회 회론 론 론 연 연 연구 구 구사 사 사

요한복음에는 “교회(

evkklhsi,a

)”라는 용어가 한번도 나오지 않을 뿐 아니 라 공관복음서들이나 바울서신들에서 흔히 사용된 하나님의 백성이나 그리스도 의 몸과 같은 교회론적인 용어들도 찾아볼 수 없다.16)그래서 1970년에 이르기까 지 요한 신학자들 사이에 주 논제는 요한복음에 교회론이 존재하는가에 관한 것 이었다.

먼저 불트만(R.Bultmann)은 이에 대해 “요한복음에는 특별한 교회적 관심이 없다.제도나 기구에 대한 관심도 없다”고 하면서 요한복음에는 교회론이 결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17)그리고 그는 이것이 요한복음이 영지주의에서 유래 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케제만(E.Käsemann)과 아폴드(Mark L.

Appold)도 이와 같은 불트만의 입장을 따른 대표적 학자라고 볼 수 있다.

슈바이처(E.Schweizer)역시 요한 교회론에 관한 최소주의 입장을 나타 내면서 요한복음에는 교회 직제나 조직의 발전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고 한 다.18)

그러나 교회를 중시하는 카톨릭 전통의 학자인 브라운(R.E.Brown)은 요한이 교회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반대하고 있다는 해석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그런 해석들이 “침묵으로부터의 논증”에 기초하고 있다고 지적한다.19)요한복음 기자가 교회에 대해 아무 언급도 하고 있지 않는 것이 그의 무관심이나 반대 입 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이미 요한이 교회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라 고 말한다.20)그는 또한 요한복음에 교회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요

16)R.E.Brown,TheCommunityoftheBeloved Disciple, 최흥진 역,『요 한공동체의 역사와 신학』,(서울:성광문화사,1994),15.

17)R.Bultmann,TheologyofNew Testament,2Vols,(London:SCM Press, 1955),91.

18)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서울:대한기독교서회,2005),23.

19) R.E.Brown,The GospelAccording to John,Ⅰ- Ⅻ,(New York:

Doubleday& Co.,1983),cⅶ.

(15)

한의 교회론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복음서 기자 중에 “교회”라는 단어를 사용한 사람은 마태뿐이라고 반박한다.21)결국 브라운은 바울이나 바울 이후의 교회론에 대한 전 이해를 가지고 요한복음을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고,직접 교회론을 분명하게 다루고 있지 않은 문서를 가지고 교회에 대한 언급이 없다거 나 또는 교회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반대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는 것이다.

슈나켄부르그(R.Schnackenburg)도 브라운과 마찬가지로,“요한은 대 교 회 생각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며,또한 교회가 요한의 신학에 존재하고 있다”고 말한다.22)그리고 “요한복음서의 주된 관심은 기독론에 있으나,이 복음서를 구 성할 때 복음서 기자의 의도는 그의 시대의 교회와 주위의 교회의 영적인 상태 와 관련한 그리스도의 모습을 전하려는데 있었다”고 하면서,“요한의 교회가 존 재했으며,그의 복음서에서 바람직한 교회의 방향에 대한 여러 가르침을 주고 있 다”고 한다.23)또한 바레트(C.K.Barrett)도 “요한복음서 기자가 다른 복음서 기 자들보다 교회의 존재를 더 인식했던 자다”라고 주장한다.24)그는 요한복음 기자 가 “교회”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비록 예수의 말과 행동으로부터 교 회가 생겨났다고 할지라도 그의 죽음과 부활이 있기까지는 본래의 의미의 교회 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그러나 요한복음 기자가 다른 복음서 기자 들보다 교회의 존재를 더 잘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25)쿨만(O.

Cullman)도 “교회에 대한 요한복음 기자의 관심은 사실상 다른 복음서 저자들보

20)위의 책.

21)R.E.Brown,『요한공동체의 역사와 신학』,최흥진 역,163.브라운은 요 한의 교회론에 대하여 최소주의적 평가를 내리고 있는 슈바이처의 견해와는 달리,대부 분의 신약 저자들에 의해서 열두 제자를 가리키는 말로서 사용된 “사도”라는 용어가 요 한서신과 요한복음에서만 사용되지 않았는데,이러한 경우 침묵은 의도적인 것이며 의미 심장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마찬가지로 요한복음에서 최후의 만찬에 관하여 떡과 잔을 놓고 하신 예수가 성찬에 관한 말을 빠뜨린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22) R.Schnackenburg,The GospelAccording to St.John,1 vols,(New York,Seabury,1980),163.

23)R.Schnackenburg,TheChurchintheNew Testament,(London:Burns&

Oates,1945),104.

24)C.K.Barrett,The Gospelaccording to St.John,박재호외 역,『요한복 음』Ⅰ,국제성서주석 32,(서울:한국 신학 연구소,1984),145.

25)위의 책,145.

(16)

다 더 강하다”고 주장한다.26)스미스(D.M.Smith)는 “분명히 요한복음서는 교회 론이 아니라 기독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요한복음서는 예수를 따르는 자 들의 공동체인 교회에 대해 직접적으로 논의하였다기보다는,가정하였으며 간접 적으로 드러나게 하였다.그러나 교회는 실제적 의미에서 요한신학의 필수조건이 다”라고 하였다.27)

하커(K.Haacker)가 말한 대로 요한복음에 교회론이 있다는 것은 자명 한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특히 복음서라는 장르를 고려해 볼 때 요한복음에 교회론이 존재한다는 것을 자명한 것으로 여기고 출발해서는 안되는지도 모른 다.28)그러나 요한복음이 교회론을 독립된 주제로 다루지 않았다고 요한복음에서 교회론을 추출해 내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왜냐하면 요한복음에 있어 교회론이 존재하느냐 안 하느냐하는 것은 교회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 려있기 때문이다.교회라는 말을 하나님의 백성,하나님의 나라,그리스도의 몸과 같은 용어만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우리는 요한복음에서 교회론을 얘기 할 수 없을 것이다.그러나 교회를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자들의 무리와 연관 된 공동체적 본질이라고 정의한다면 우리는 요한복음에서 교회론을 논할 수 있 는 것이다.29)

한편 1970년 대 까지 과거 요한 교회론에 대한 논의는 요한복음에 있는 교회론적 본문에 대한 편집 비평적 판단에 주로 의존하고 있었다.편집비평가의 관점에서 보면 대부분의 요한 교회론 구절(요 10:16;13:34;15:1-16:33;17:6-26;

20:22;21:15-17)은 후대 편집자의 손길에 의한 것이며 따라서 현재의 본문은 소 위 교회론적 편집(kirchlicheRedaktion)의 결과라고 보았다.그러다 보니 이러한 본문 분석에만 의존해서 요한의 교회론을 살피고자 했던 연구 방법은 요한복음 의 본문 그 자체가 교회 개념을 담고 있지 않고 담고 있더라도 간접적인 것들이

26)O.Cullmannn,JohannineCircle,(London:SCM Press,1976),15.

27)D.M.Smith,TheTheologyoftheGospelofJohn,최흥진 역,『요한복음 신학』,(서울:한들 출판사,2001),186-87.

28)K.Haacker,"JesusunddieKirchenachJohnners,"TZ29.김동수,『요한 복음의 교회론』,17쪽에서 재인용.

29)Stanley Marrow,"JohannineEcclesiology,"ChicagoStudies37(1998),29.

매로우는 교회를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고 예배하는 신자 공동체”로 정의한다.

위의 책,18쪽에서 재인용.

(17)

기 때문에 결국 “침묵에 의한 논증(argumentfrom silence)”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적인 문제를 벗어나고자 요한 교회론에 대한 새로 운 방법론이 스미스(D.MoodySmith)와 브라운(R.E.Brown)등에 의해서 제안 되었다.이것은 요한복음이 예수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요한 공동체의 이야기로 읽을 수 있다는 마틴(J.LouisMartyn)의 주장30)에 근거한 것이었다.31)

스미스는 요한의 교회 개념에 대한 연구는 요한 문헌에 나와 있는 교회 론적 구절에 대한 주석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고 요한 공동체의 본 질과 형태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이것은 요한 교회론에 대한 논의를 요한 공동체의 본질과 기원에 대한 문제로까지 보게 하였다.

브라운 또한 종래 요한 교회론 연구의 그와 같은 방법론적인 문제를 인 식하여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하였다.“침묵에 의한 논증”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요한 교회론에 대한 좀더 바람직한 접근은 “1세기 다른 형태의 기독교와 관계하 여 요한 공동체의 역사를 재건해 내어야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처럼 쿨만과 마틴과 다른 학자들을 따라 브라운은 뒤에서 보듯이 네 단계에 걸친 요한 공동체의 상세한 역사의 재건을 시도했다.32)

요한 교회론의 연구를 요한 공동체의 역사와 특징을 재건하는 문제로 살피고자 하는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은 1998년 리처드 보캄(Richard Bauckha m)33)에 의해 심각한 도전을 받기 전까지는 학계의 일반적인 경향이 되어 버렸

30)마틴은 요한복음에는 예수의 이야기만 말해진 것이 아니라 요한 공동체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고 강조하면서 이것을 “두 차원의 드라마(two-leveldrama)라고 한 다.그는 요한복음이 기독론적 고백에 관하여 요한공동체와 회당 사이에 쓰디쓴 갈등이 있었다는 것을 중요하게 취급하며 이 갈등은 예수의 정황보다는 요한공동체의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1) 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25.

32) R.E,Brown,The Community ofthe Beloved Disciple(N.Y :Paulist press,1979).위의 책 25-26쪽에서 재인용.

33)보캄은 복음서들은 모든 그리스도인을 위해서 기록되었지 특정한 교회들을 위해서 기록된 것은 아니다.그는 복음서 연구에서 각각 복음서에 관계된 각 공동체의 역사를 재건하는 어떠한 시도도 “해석학적으로 부적절하고”이러한 연구는 “완전히 잘못 된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따라서 그는 이제 “마태,마가,누가,요한 공동체라는 용 어들은 복음서 연구에서 사라져야 한다”고 까지 역설한다.Richard Bauckham(ed),The Gospelfor AllChristians:Rethinking the GospelAudiences(Edinburgh:T & T Clark,1998),2-4..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37-38쪽에서 재인용.

(18)

다.이에 대해 카이자(RorertKysar)는 “현재 제4복음서의 연구는 그 안에 기록 된 공동체에 관한 문제에 점점 더 집중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였으며, 퀘스트(KevinB.Quast)는 “요한 공동체가 제4복음서 연구에서 해석학적 도구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라고 까지 말하였다.34)

이러한 연구 경향에 따라 요한 교회론의 중요한 이슈는 “요한 공동체의 삶의 자리(Sitzim Leben)”가 되었다.

대략 1970년 이후부터 요한 교회론에 교회론적 개념이 존재한다는 데에 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없는 듯싶다.그래서 이제는 “요한 교회론의 독특성은 무엇인가?요한 교회론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가?”가 학자들의 주요 테마가 되 고 있는 것 같다.교회론의 특징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주제와 함께 제기되 고 있다.1)교회와 세상,2)교회와

para,klhtoj

3)요한 기독론과 교회론,4)제 자도와 교회,5)하나님의 자녀로서의 교회 6)일치로서의 교회 7)교회론적 표상 등이 그것이다.한편 최근에는 요한 교회론을 요한복음 내러티브와의 관점에서 이해하여 프롤로그에 나타난 요한복음,고별 설교에 나타난 교회론,수난 사화에 나타난 교회론의 연구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중요한 논문으로는 하커(Haacker)의 “요한복음의 예수와 교회”라 는 논문을 들 수 있는데,그는 요한복음에서 전통적인 교회론적 개념을 찾으려고 하지 않고 요한 자신의 용어와 사상 속에서 공동체적 개념을 찾으려고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는 요한복음에 요한복음만의 독특한 공동체적 용어와 표상이 있다고 한다.하커에 따르면 요한에게 있어 교회론은 주요 신학적인 관심사라고 하면서 교회론은 요한복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35)

한편 퍼레이라(John Ferreira)는 그의 책 『요한 교회론(Johannine Ecclesiology)』에서 “요한 교회론이 요한 신학에서 부차적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하면서 “바울 교회론의 렌즈를 통해 요한 교회론을 읽어서는 안된다”고 한다.그는 요한복음 17장 연구를 통하여 요한 교회론이 요한 신학의 핵심 영역에 속한다고 하면서 요한 교회론의 특징은 기독론적 교회론이라고 주 장한다.36)

34)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26.

35)Haacker,JesusandChurchinJohn,(Tübingen:InstitutefortheStudyof ChristianOringins,1971),10-19.

(19)

또한 코렐(A.Corell)은 그의 논문에서 요한 교회론이 종말론과 얼마나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가를 설득력있게 보여 주고 있다.37)그러나 이러한 연구들 은 모두 요한 교회론에 관해 한 측면만을 다루고 있는 약점이 있다.

한편 밀러(J.Miller)는 그의 논문에서 드물게도 요한복음에 나타난 대부 분의 교회론적 주제를 거의 다루고 있다.38)그는 교회론적 용어,교회론적 표상, 성령과 전통,교회 직제 등을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고 있다.첫째, 교회의 수평적인 측면이 형제 사랑에 관한 예수의 명령과 교회의 일치에 관한 예수의 기도 속에서 발견된다.하지만 요한 교회론의 강조점은 교회의 수직적 측 면,즉 각 개인의 그리스도와의 관계에 있다.둘째,요한 교회론은 평등주의이고 그 본질에 있어서 종파적이다.셋째,요한 교회론의 역사적 정황은 불확실하다.

그러나 밀러의 연구 역시 요한 공동체의 문제를 소홀히 한 문제가 있고 각 신자 와 그리스도와의 관계에 집중하다 보니 요한복음의 교회론적 구절들이 그 공동 체적 측면을 잃을 정도에 이르렀다는 비평을 받고 있다.한편 김동수 교수는 그 의 책 『요한복음의 교회론』에서 요한 교회론의 주제로 “교회와 표상”,“일치로 서의 교회”,“제자 무리로서의 교회”,“성령과 교회”,“하나님의 자녀로서의 교회”

를 들면서 요한 교회론의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C C C. . .요 요 요한 한 한복 복 복음 음 음의 의 의 성 성 성령 령 령론 론 론과 과 과 교 교 교회 회 회론 론 론의 의 의 관 관 관계 계 계 연 연 연구 구 구사 사 사

요한복음에 있어서 성령론과 교회론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 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바렛(Barrett)은 요한복음에서 나타난 성령 이해를 뒤 에서 보듯이 다섯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설명하면서 교회와의 관계를 언급하 고 있다.39)무디 스미스(D.M.Smith)는 성령은 제자들,혹은 교회를 강화하며 격려하는 예수의 임재라고 말하며,선교와 공동체를 위해 그의 교회를 향한 그리

36) J. Ferreira,Johannine Eccclesiolosy,(Sheffield : Sheffield Academic Press,1998),202-204.

37)A.Corell,Consummatum Est:Eschatology and Churchin the Gospelof John(London:CPCK,1958),109.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31,재인용.

38)J.Miller,"TheConceptoftheChurch in theGospelaccording toJohn,"

PrincetonTheologicalSeminary,1976.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31,재인용.

39)C.K.Barrett,『요한복음』Ⅰ,140-43.이 논문 38쪽에서 자세히 언급.

(20)

스도 자신의 계속적인 임재로서 성령의 사역을 드러내고 있다.40) 스몰리(S.

Smalley)는 파루시아의 최종 단계에 이르도록 교회는 현재에서 최후를 바라보면 서 그리고 종말의 빛 가운데서 살아가면서,“성령 안에서”삶을 누린다고 하면서 성령과 교회를 종말론적 차원에서 관련시키고 있다.41)

40)D.M.Smith,『요한복음 신학』,192-93.

41)S.Smalley,John-Evangelist& Interpreter,김경신 역,『요한신학』,(서 울:도서출판 풍만,1988),363.

(21)

Ⅲ Ⅲ. . .요 요 요한 한 한 공 공 공동 동 동체 체 체의 의 의 상 상 상황 황 황 및 및 및 형 형 형성 성 성 과 과 과정 정 정

A A A. . .요 요 요한 한 한 공 공 공동 동 동체 체 체의 의 의 용 용 용어 어 어 이 이 이해 해 해

요한 공동체라 함은 요한의 문헌들을 기록하는데 영향을 준,그리고 그 문헌의 영향 아래 있던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의 공동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공동체란 말이 “교회”란 말과 동의어가 될 수도 있으나 후대에 제도화 및 기구화 된 조직과 전승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교회란 말보다는 공동체란 단어가 훨씬 더 중립적이며 어떤 의미에선 더 정확하다.42)그렇다고 요한 공동체에 속한 기독 교인들이 역사적 전승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무질서한 집단이었다든가 혹은 신 자들 간의 친교와 교육의 기능도 없는 단순한 신자들의 모임이었다는 뜻은 아니 다.오히려 요한 문서는 역사적 전승과 교육에 중점을 둔 신앙 공동체의 모습을 반영해주고 있다.43) 즉 요한 공동체는 기독교의 다른 형태들과 마찬가지로 신앙 공동체로서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기독교 공동체를 교회로 인식할 수 있 다.

“교회”라는 용어와 “공동체”라는 용어를 동일시하려고 할 때 거부 반응 을 일으키는 학자들이 있다.그들은 요한 공동체가 초대 기독교의 다른 형태들과 는 다른 독특한 성격을 가진 종파적 공동체라는 점을 강조한다.대표적인 학자들 로는 앨런 컬페퍼(R.A.Culpepper),케제만(E.Käsemann),믹스(WayneMeeks) 이다.앨런 컬페퍼는 그의 논문 가운데서 요한 공동체를 “학파”(School)란 용어로 이해하려고 했으며,그 용어가 고대에는 어떤 의미를 가졌었는지를 밝히려고 했 다.44)먼저 헬라 세계에서 “학파”의 구성 요소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 으로 그런 구성 요소들이 요한의 문서들 가운데서 나타나고 있는지를 찾아보는 것이었다.그는 먼저 고대에 존재했던 9개 학파45)에 대한 연구를 필한 후,가장

42)김득중,『복음서 신학』 (서울:컨콜디아사,1986),269-270.

43) R.E.Brown,"Ecclesiology," The GospelAccording to John, ABD.

vol.1.(New York:Doubleday& Co.,1966),105~14(Introduction).

44) R. Alan Culpepper,The Johannine School,SBLDS. 26., (Missoula:

Schools Press,1975),38.김득중,『요한의 신학』(서울:컨콜디아사,1999),159쪽에서 재인용 45)피타고라스 학파,플라톤 학파,아리스토텔레스 학파,에피큐러스 학파,스토

(22)

중요한 공통적 특징으로 교육,학습,연구,그리고 저술을 들고 있다.46)이 네 가 지가 학파를 구성하는 필수 요건들이라는 것이다.그런데 앨런 컬페퍼에 의하면 이런 특징들이 요한 문서에 다 나타나고 있고 따라서 요한의 그룹을 원칙적으로

“학파”라고 불러 마땅하다는 것이다.

케제만(E.Käsemann)은 요한 공동체를 이단 종파적 공동체라고 주장한 다.47)그에 의하면 요한에게 있어서 성육신은 완전히 이 땅에 들어오신,인간적 존재로 들어오신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과 땅이 만남을 뜻한다고 주장 한다.이런 점을 근거로 케제만은 요한복음이 시리아적 공동체에서 나온 “영지주 의화의 경향이 있는 비밀 집회”(conventiclewithgnosticizing tendencies)였다고 주장한다.48)

믹스(W.A.Meeks)도 케제만과 마찬가지로 요한복음이 기독론을 근거 로 요한 공동체가 종파적 공동체였음을 밝히고 있다.49)그의 논문에 의하면 요한 복음의 기독론의 특징은 예수를 “하늘로부터 내려왔다가 다시 하나님께로 올라 가는 자”로 그려주고 있는데 있다고 한다.결국 예수는 세상 위로부터 내려온 이 방인이며 따라서 이 세상에 속한 자가 아니라는 말이다.믹스는 요한복음이 이런 기독론을 주장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를 묻는다.그 이유는 요한의 공동체 자 체가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이 세상으로부터 소외(혹은 축출)된 공동체였기 때 문이다.결국 요한은 자신의 독특한 기독론(TheManfrom theHeaven)을 통해 서 자기가 소속해 있는 공동체의 현재 입장을 정당화시키고 있다고 한다.

이들은 요한 공동체를 하나의 “종파”로 이해한 것이다.요한 공동체를

“종파”로 이해할 때 “교회”란 용어와 “공동체”란 용어를 동일시하기가 어렵게 된 다.

그러나 요한 공동체가 기독교의 다른 형태들에 비해 독특한 모습을 가 지고 있다 해서 종파로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왜냐하면 공관복음의 아 학파,쿰란 공동체,힐렐 학파,필로 학파,예수 학파.

46)위의 책,160.

47)E.Käsemann,The TestamentofJesus:A Study ofthe GospelofJohn in the LightofChapter17(Philadelphia:FortressPress,1969),65.김득중,『요한의 신학』,155쪽에서 재인용.

48)위의 책,156.

49)WayneA.Meeks,TheManfrom theHeaveninJohannineSectarianism, JBL.91.(1972),42-72.김득중,『요한의 신학』,156-57쪽에서 재인용.

(23)

전승과 요한복음의 전승이 완전히 서로 독립적으로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과연 앨런 컬페퍼에 주장대로 요한 공동체만이 이와 같은 학파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가?기독교의 다른 형태들은 교육,학습,연구,저술의 모습이 없는가?그리고 케 제만과 믹스의 주장대로 과연 요한복음의 성육신 기독론이 이단 종파적 공동체 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가?그러나 그것은 결코 그렇지 않다고 본다.요한 공동 체뿐만 아니라 사도 교회나 바울 교회에서도 얼마든지 학파적 성향을 찾을 수 있고,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요한복음의 성육신 기독론은 이단 종파적 공동체와 다른 것이다.이단 종파적 공동체는 성육신 기독론에서 인격을 무시하 고 세상을 악한 대상으로 보지만 요한 공동체는 그렇지 않다.또한 브라운(R.E.

Brown)에 따르면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서로 사랑하라”(요 13:34)는 말씀 과 “...이 우리에 들지 않은 다른 양들이 있어...”(요 10:16)라는 말씀은 교회의 기독교인들과 요한 기독교인들이 하나 되기를 바라는 기도문이라고 주장한다.50) 그러므로 요한 공동체는 하나의 종파라기보다는 초기 기독교의 여러 교회 공동 체들 중에 하나로 이해해야 한다.결론적으로 요한 공동체에,초기 기독교의 다 른 여러 교회 공동체들,특히 사도들이 중심이 되 성장된 예루살렘 초기 교회와 마찬가지로 교회라는 용어를 분명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요한의 공동체라고 단수형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기는 하지만,그렇다 고 한 지역 안에 하나의 회중만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학자들 중에는 오히려 “요한의 공동체들”(Johannine Communities)을 말하기도 한다.51)요한 2서와 요한 3서의 존재 자체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같은 신앙을 고백하는 믿는 자들이 한 공동체 이상의 여러 공동체를 구성했었음을 암시해 주 고 있다.요한 공동체는 여러 공동체들로 구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실제로 요 한삼서 6절에는 “교회들”(evkklhsi,aj)이란 복수형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그러므 로 “요한 공동체”는 요한의 문헌을 기록해 낸,그리고 그 문헌의 영향 아래 있던 공동체 및 공동체들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되어야 하며52)초기 예루살렘 교회와 마찬 가지로 분명한 신앙 공동체를 말하는 것이다.

50)R.E.Brown,『요한 공동체의 역사와 신학』,106-07.

51)A.J.Mattill,Johannine CommunitiesBehind the FourthGospel:Georg Richter'sAnalysis,NTS 38,(1977),294-315.

52)김득중,『요한의 신학』,154.

(24)

B B B. . .요 요 요한 한 한 공 공 공동 동 동체 체 체의 의 의 삶 삶 삶의 의 의 자 자 자리 리 리 1 1 1. . .유 유 유대 대 대인 인 인과 과 과의 의 의 갈 갈 갈등 등 등

요한 공동체의 삶의 자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주후 70년에 있었던 예 루살렘 멸망 이후 유대교가 어떻게 변화해 갔는지를 살펴보는 일로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예루살렘과 그 성전의 멸망은 유대교 안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했 다.성전의 멸망은 성전 중심의 제사 제도에 종말을 고하게 되었고,제사 제도의 종말은 제사장 계급의 종말을 가져오게 되었다.따라서 유대인들의 신앙생활도 성전 중심에서 회당 중심으로,그리고 제사장 중심에서 랍비 중심으로 바뀌어 지 게 되었다.예루살렘 멸망 직후에 유대교 지도자들은 랍비 요한(Johannan ben Zakkai)을 중심으로 얌니아 종교회의를 가지게 되었고 그 회의에서 랍비들은 이 민족적 재난에 대응하여 혹은 이런 재난에도 불구하고 유대교를 계속 보전하고 유대 백성들로 하여금 계속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도록 신앙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길을 나름대로 모색하게 되었다.사실상 이런 작업은 예루살렘이 멸망되 기 직전에 이미 랍비 요한이 얌니아에 유대백성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학교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그때 얌니아 종교 회의가 추구했던 일은 주로 당시 유대 교가 직면했던 두 가지 위험,즉 안과 밖으로부터 오는 위험에 대한 적절한 조치 를 취함으로써 유대교를 지키는 일이었다.53)

첫째로는 내적인 위험,곧 예루살렘 성전의 멸망으로 인한 유대교 자체 내의 와해와 분열을 막기 위해 내적인 결속을 강화하는 일이었다.이미 열심당들 은 자연적으로 청소되었고 사두개인 등 제사장 계급도 바리새인의 득세와 더불 어 실권(失權)하게 되었고 그래서 바리새인들은 힐렐파와 샴마이파 간의 차이를 치유하고 구약 성서를 경전화 시키고,모든 유대인들을 위한 공통된 달력을 제정 함으로써 바리새적 유대교,혹은 랍비적 유대교를 확립시키게 되었다.54)

둘째로는 방심할 수 없는 외부로부터의 유혹,즉 이교주의,특히 기독교

53)김득중,『요한의 신학』,167.

54)위의 책,168.

(25)

의 선교적 확장에 적절히 대처하여 유대교 자체를 지키는 일이었다.이 일을 위 해 취했던 주요 정책의 방향은 “이단의 배척”(exclusion)이었다.기독교의 활발한 선교 활동으로 인해 유대교로부터 기독교로 개종해 가는 사람들을 막고자 출교 등 핍박을 가하였다.

요한복음 본문에 보면 유대교 당국자들이 기독교인들을 회당으로부터 축출하던 그 당시의 상황에 대한 암시가 요한복음 9장 22절,12장 42절,16장 2 절 등 세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초기 기독교인들,특히 요한 공동체가 유대 당국의 위협을 받았 다는 것은 거의 분명한 사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55)

2 2 2. . .기 기 기독 독 독론 론 론에 에 에 의 의 의한 한 한 내 내 내적 적 적 분 분 분열 열 열

요한복음 6장 66절은 “제자 중에 많이 물러가고 다시 그와 함께 다니지 아니하더라...”고 밝힘으로서 당시의 요한 공동체가 분열의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또한 요한일서의 저자 역시 한 그룹이 자신의 공동체로부터 떨어 져 나갔다고 말하고 있다.56)이는 서신서가 기록될 당시 요한 공동체는 이미 분 열을 경험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고 본다.

마슈나가(KikuoMatsunaga)는 요한복음 6장을 근거로 공동체로부터 떨 어져 나간 제자들과 배반자 유다를 연결시켜 이들이 요한보다 낮은 기독론을 가 졌기 때문에 요한 공동체의 고등 기독론을 수용하지 못해 결국 요한 공동체로부 터 떨어져 나갔다고 주장한다.57)믹스(W.A.Meeks)는 “요한복음서 기자의 기독 론적 주장이 당시의 사람들에게 많은 반감을 일으켰으며 유대인의 비난의 대상 이 되게 하였다.역으로 이러한 소외는 기독론을 더욱 발전시키게 되었으며,발 전된 기독론적 동기가 그 그룹을 더 소외시켜 결국 회당에서 출회 당하게 했으 며,공동체 내에서도 분열이 생겨 제자 중에서도 많은 사람이 공동체에서 떨어져

55)위의 책,169-70.

56)“저희가 우리에게서 나갔으나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하였나니 만일 우리에게 속하였더면 우리와 함께 거하였으려니와 저희가 나간 것은 다 우리에게 속하지 아니함을 나타내려 함이라(요일 2:19).”

57)K.Matsunaga,“IsJohn'sGospelAnti-Sacramental?-A New Solution in theLightoftheEvangelist'sMilieu,"NTS 27,(1981),516-24.

(26)

나가게 되었다”58)면서 역시 같은 방향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들의 주장과 본문에 근거해 볼 때,제자들이 물러간 이유는 유대 당국 에 대한 두려움이라기보다는 예수의 말씀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브라운은

“이들은 분리주의자들이다”라고 규정한다.그리고 “이들은 공동체 밖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사상 자체에서 나온 것이다”라고 주장한다.59)

요한복음 6장 60절-61절에는 예수의 말씀을 듣고 제자 중 많은 사람이 수군거렸으며,예수의 말씀을 이해하기 어려워서 이 말씀이 그들에게 걸림이 되 어 넘어졌다고 밝히고 있다:예수의 제자들 중 많은 이가 이 말씀을 듣고서 말했 다.“이 말씀은 어렵다.누가 그것을 알아들을 수 있겠는가”예수는 제자들이 그 것을 듣고 수군거리는 것을 아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이 말이 너희를 걸려 넘어지게 하느냐”예수 자신이 생명의 빵이라는 말씀과 그의 살을 먹고 피를 마 셔야 한다는 주장 등 기독론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그들에게 걸림이 되었던 것 이다.60)그리고 요한복음 6장 66절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제자들 중 많은 이가 돌아서서 물러가고 더 이상 예수와 함께 다니지 않게 되는 내적 분열의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요한복음의 이러한 구절들은 분열이 심각한 문제였던 요한 공동 체의 정황을 잘 반영해 준다.당시 요한 공동체는 심각한 분열의 위기에 직면해 있거나,이미 분열을 경험하였던 것이다.이러한 내적 분열의 상황에 직면한 요 한 공동체는 자신들의 지도자를 중심으로 내부 결속을 시도하게 된다.그 결과 그들은 자신들의 공동체 지도자인 사랑하는 제자에 대하여 관심을 집중하였고, 그를 세워주는 공동체를 지향하게 되는 토대를 마련해 나갔다.

한편 반(反)그리스도를 주창하는 자들이 공동체 내외에서 고개를 들기 시작했는데,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을 부인했다.즉 그들은 역사적 인물인 예수와 하나님께로부터 보내어진 아들이신 천상적 그리스도를 구분했던 것이다 (요일 2:18-23).61)이들은 영지주의자들로서 이원론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는데, 육체와 관계된 모든 것은 경멸의 대상이 되었고,하나님으로부터 보내진 사람이

“육체”와 결합된다거나 여인의 몸에서 태어나는 일과 나아가 십자가에서의 수치 58)W.A.Meeks,“Theman from Heaven in JohannineSectarianism",JBL 91,(1972,Mar),71.

59)R.E.Brown,『요한 공동체의 역사와 신학』,124.

60)최흥진,"요한의 교회론에 관한 연구",『신학 이해』16집(1998년),115.

61)AnnieJaubert,『요한복음』,안병철 역(서울:카톨릭 출판사,1986),13-14.

(27)

스런 처형을 받는다는 것을 그들은 이해하지 못하였다.이에 대해 요한복음 서론 은 그리스도의 인간성을 배제시켜 버린 공론에 대한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응답 이라고 볼 수 있다.요한복음은 말씀이 육이 되었다고 강조하면서 하나님께서는 고통을 포함한 모든 인간적 실재를 그리스도를 통해서 책임지고 걸머지셨다는 것을 강조했다.62)또한 육은 경멸하고 영적인 것을 인정하던 영지주의자들에게 대해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오신 예수는 다시 영(靈,

para,klhtoj

)으로 다시 우리 안에 거하심을 강조하고 있다.그리고 요한만이 요한복음 19장 34절에서 예수가 죽은 직후에 “군인 하나가 창으로 예수의 옆구리를 찌르니 피와 물이 흘러 나오 더라”라는 말을 강조하고 있으며,“내가 목마르다(요 19:28)”라는 말씀으로 예수 의 몸이 가현설이 주장하는 것과 같은 유령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그리고 부 활 후 예수의 몸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부활 후 최초로 제 자들에게 나타나 “너희에게 평강이 있으리라”고 인사하면서 곧 바로 “두 손과 옆 구리를 보이신 일”(요 20:20)을 강조한다.63)요한공동체는 이와 같은 이단의 교리 에 대처하기 위해 다름대로 논리를 펼치면서 가현설을 주장하는 영지주의와 맞 서 싸우고 있었다.

또한 요한복음 3장 22-26절은 세례 요한의 불신 제자들이 예수를 시기 했으며,자기들의 특권을 지키려 했음을 보여준다.이 점은 비록 입증되지는 않 았지만 적어도 요한 공동체가 세례 요한의 비기독교적인 추종자들과 논쟁을 했 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물론 요한 공동체가 세례 요한 추종자들의 개종 을 염두에 두고 세례 요한에 대한 그들의 그릇된 강조점을 적극적으로 반박하지 않고 조심스럽게 논박했으리라 생각되나,세례 요한의 추종자들도 요한 공동체를 위협하는 한 부류였다는 가능성을 탐지할 수 있다.이러한 생각은 3세기 작품인 거짓 클레멘트의 주장에서 세례 요한 공동체가 예수가 아니라 세례 요한을 메시 야라고 주장했다고 하는 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3 3 3. . .파 파 파루 루 루시 시 시아 아 아 지 지 지연 연 연의 의 의 문 문 문제 제 제

62)위의 책,16.

63)김득중,『복음서 신학』,328.

(28)

예수 부활 직후의 바울을 포함한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주님의 재림이 아주 가까운 미래에 있을 것이라는 신념 하에 살았다(살전 2:19;5:2;살후 2:8;

고전 15:5;고후 5:10,14).초기 공동체는 유대적인 환상 가운데 임박한 메시야의 출현을 고대하고 있는 집단이었기 때문이다.이렇게 초창기 기독교인은 일종의 유대 묵시주의적인 토양에서 자랐다고 할 수 있다.64)그래서 그들은 예수 그리스 도의 재림이 곧 도래할 것으로 기대했다.이러한 면은 기독교 문서인 바울 서신 과 초기 공관복음 전승에 나오는 임박한 파루시아 기대에서 볼 수 있다.65)즉,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그리스도의 파루시아가 갑작스럽게 그리고 임박하게 자기 들의 생존시에 일어날 것이라는 기대는 그들의 희망의 핵심이었다.그런데 세월 이 흘러가도 기다리는 파루시아는 일어나지 않았다.그래서 이 일어나지 않은 기 대에 타협하기 위해서 초대 교회는 시간이 계속됨에 따라 점점 설명적인 구조로 서 그것을 해명하려고 하였다.즉 도래 시기의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말들(막 13:33)이 제시되고,또한 그 약속이 단지 지연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열 처녀 비유(마 25:1-13)와 같은 경성에 대한 비유(막 13:34-36)등이 강조되었다.

60년대에 있은 베드로와 바울의 죽음,그리고 네로 황제에 의해 많이 박 해받은 자와 신자들의 죽음은 그들의 종말론적 기대에 부응하는 요소로 작용했 음도 추측할 수 있다.이런 상황 속에서 주후 70년 예루살렘의 멸망으로 파루시 아 기대는 더욱 고조 되어갔다.그러나 시간이 계속 지나가고 기대했던 파루시아 는 성취되지 않았다.요한의 공동체는 파루시아가 최소한 약 50년이 지난 그런 시기에 처해 있었다.이제 파루시아의 기대는 무한정 연장되거나 유예의 기간으 로 확장될 수가 없었다.설상가상으로 예수를 직접 목격하고 그의 가르침을 받은 첫 제자들도 하나씩 사라져 갔다.이것은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예수가 재림 한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는 마지막 시기에 속한다.그러나 이 파루시아는 일어 나지 않았던 것이다.자신들에게 그 모든 가르침을 주었던 믿음의 1세대인 예수 의 첫 제자들도 사라져가는 가운데 파루시아 지연에 따르는 실망감이나 좌절감 은 당시의 기독교인들에게 상당한 충격으로 다가왔음을 알 수 있다.요한의 공동

64)R.H.Fuller,TheTestamentinCurrentStudy,황성규 역,『현대신약학의 주류』(서울:한국 신학 연구소,1977),166-67.

65) W.Marxen,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tr.by G.Buswell, (Philadelphia:Fortress,1964),248.

(29)

체도 당시 기독교인들과 마찬가지로 그런 상실감으로 고통을 당하는 상황에 직 면해 있었을 것이다.66)이와 같은 파루시아 지연의 상황을 해결해주는 실마리로 서 요한공동체는 뒤에 보듯이(이 논문의 57쪽 이하)

para,klhtoj

라는 개념을 사용 하게 된다.즉

para,klhtoj

는 예수와 요한공동체를 연결해주는 직접적인 가교로 그 기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C C C. . .요 요 요한 한 한 공 공 공동 동 동체 체 체의 의 의 기 기 기원 원 원과 과 과 발 발 발전 전 전 과 과 과정 정 정

1970년대 이후에는 요한복음의 연구가 요한 신학의 여러 개념들에 대한 연구에서 요한 공동체에 대한 연구,즉 역사에 대한 연구로 방향 전환이 되었다.

즉 요한복음의 언어적,신학적 특성이 한 개인의 천재성이나 의외의 상상력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이 신학을 배태한 공동체의 특이한 상황에서 형성된 것으 로 보려고 한 것이다.이러한 방법론적 전환의 중심에는 마틴(J.LouisMartyn) 이 있다.67)마틴의 주장은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었지만 요한복음에는 예수의 이야기만이 말해진 것이 아니라 요한 공동체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고 하면서, 이를 그 이전의 어떤 신학자들보다 더 설득력 있게 나타내 보여 주고 있다.마틴 은 이것을 “두 차원의 드라마”(two-leveldrama)라고 한다.

요한신학 연구에 있어서 마틴의 주장은 아직도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 하고 있다.마틴 이후의 대부분의 요한신학자들은 요한공동체의 문제를 다루지 않을 수가 없었으며,이러한 마틴의 주장은 이후 브라운(R.E.Brown)에 의해 더욱 더 심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모두가 마틴을 따라간 것은 아니다. 슈나켄부르크(R.

Schnackenburg)와 헹엘(Hengel)같은 저명한 요한 신학자들은 마틴에게 완전히 반기를 든 것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요한복음의 내용을 공동체의 이야기로 읽 을 때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68)

지금까지 이 방법에 대해 가장 심각하게 도전한 이들은 보캄(R.

66) R.E.Brown,"The Paraclete in Fourth Gospel"NTS vol.13(1966), 128-29.

67)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40.

68)D.MoodySmith,『요한복음의 신학』,35.

(30)

Bauckham)과 그의 동료들이다.그들의 주장은 “복음서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위해서 기록되었지 특정한 교회들을 위해서 기록된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그 러므로 보캄에 의하면 각 복음서에서 관계된 공동체를 재건하는 어떠한 시도도

“해석학적으로 부적절하고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69)”라고 한다.그는 이제 “마태, 마가,누가,요한 공동체라는 용어들은 복음서 연구에서 사라져야 한다”고 역설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보캄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요한 신학자들은 요한복음을 예수의 이야기와 동시에 공동체의 이야기로 읽자는 마틴의 제안이 타당하며 유용하다고 본다.70)요한 공동체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최근(1970년 이 후)의 학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1 1. . .마 마 마틴 틴 틴( ( (J J J. . .L L Lo o ou u ui i i s s sM M Ma a ar r rt t ty y yn n n) ) )

마틴은 요한복음을 여러 단계로 읽어야 하며 이 복음서가 예수에 관해 서만 기록된 것이 아니기에 요한 공동체의 삶과 투쟁에 관해서도 기록하고 있다 고 한다.그래서 그는 요한복음의 교회가 하나의 독특한 정체성을 가진 하나의 공동체였다는 전제하에서 요한 공동체를 재건하려 하였다.즉 요한복음은 요한 공동체를 위해 쓰여진 것이며,요한복음에는 고고학자들이 지층이라고 부르는 것 과 같은 문학적 지층이 있는데 이것은 요한 공동체의 삶을 반영한 것으로 그 문 체나 신학적 개념에서 상당히 동질성이 있기 때문에 학자들은 어렵지 않게 그 지층을 분류해 낼 수 있다고 한다.마틴은 주로 기독론적 고백의 정도에 따라 하 등 기독론에서 고등 기독론으로 기독론적 고백이 발전했다는 전제하에 요한복음 의 문학적 지층을 분류한 후 요한 공동체의 역사를 초기,중기,후기의 세 기간 으로 나눈다.71)

69)R.Bauckham(ed),The GospelforAllChristian :Rethinking the Gospel Audiences(Edinburgh:T & Clark,1998),2.김동수,『요한복음의 교회론』,38쪽 재인 용. 70)보캄의 동료 교수인 에슬러는 “복음서 저자가 우선적으로 특정한 지역 공동 체를 위해 복음서를 썼고,그것이 지역 공동체를 넘어 배포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하면서 보캄의 견해를 반박하고 있다.김동수 『요한복음의 교회론』, 38쪽 참조.

참조

관련 문서

이 논문은 기형도 시에 나타난 이미지를 불과 물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문화 콤플렉스를 통해 해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기형도 ,. 의 시세계를

Seo Jeong-ju's poetry comes from our culture and is tried to reconstruct the community order by presenting the original form of our hometown, which

에피가 한편으로 옷을 통해 순진한 어린이처럼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옷을 입고 다니고, 또 다른 한편으로 남성들의 관심을 끄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정 한 긴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을 통해 끊임없이 경계넘기를 시도하는 주인공인 영혜의 모습과 그런 영혜를 더욱 더 고립시키는 세계의 대립을 통해 에코페미니즘의 한계와 지향점에

의 통찰력은 여성의 침묵을 강요하는 가부장 사회에서는 표현할 수가 없었다.미친 후에야 그녀의 노래 속에서 드러난다.오필리어는

&lt;최척전&gt;의 작가로서의 타당성에 대한 재점검일 것이다.더구나 조위한이 사 대부 가문 출신이라는 점에서 이 작업은 더욱 필요하다.이는 고소설의 특징 중 하나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