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하이라이트] 격자산소 참여 메커니즘에 기반한 고성능 산소 발생반응용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의 합리적 설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하이라이트] 격자산소 참여 메커니즘에 기반한 고성능 산소 발생반응용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의 합리적 설계"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서론

화석연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 가 심각해짐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그 어 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특히 풍력이나 태양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 분해하면 수소와 산소를 친환경 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렇게 얻은 수소를 저장했 다가 연료전지의 연료로 사용하면 적시 적소에 필요 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수 전해(물의 전기 분해) 기술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1-5].

수전해 전지의 환원극에서는 수소발생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이, 산화극에서는 산소발생 반응(oxygen evolution reaction, OER)이 각각 일어나 며, 이를 통해서 수소와 산소를 획득할 수 있다. 4전 자 반응인 산소발생반응은 2전자 반응인 수소발생반 응 보다 느린 반응이기 때문에 수전해 전지의 전체 적인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고성능 산소발생반응용 촉매 개발이 필요하다[6-8]. 현재까지 성능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는 산소발생반응용 촉매는 RuO2 IrO2 이다. 하지만 이들 촉매는 모두 귀금속 기반이기 에 가격이 비싸고 대량 생산 및 상용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촉매를 대신할 고성능 산 소발생반응용 촉매 개발이 필수적이다.

최근 들어 ABO3 (A = 알칼리 토금속, B = 전이 금 속, O = 산소) 구조를 갖는(그림 1) 페로브스카이트 물 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면 서도 높은 촉매 활성을 가지는 사례들이 보고가 되면

서 주목을 받고 있다[9-13]. 예를 들어 Pr0.5Ba0.5CoO3- δ(PBCO) 및 Ba0.5Sr0.5Co0.8Fe0.2O3-δ(BSCF) 물질의 경우 기존 IrO2 촉매보다 산소발생반응 활성이 더 높은 것 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14, 15], LaNiO3 물질 또한 기 존 백금 촉매보다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16]. 하지만 일반적인 금속 촉매와는 달리 페로브스 카이트 촉매의 경우 표면에 금속 사이트뿐 아니라 격 자산소 사이트도 존재하기 때문에 오직 금속 사이트 만 고려한 기존 메커니즘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메 커니즘으로 산소발생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고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의 격자 산소가 실제로 산소발생반응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 만약에 참여한다면 어떠한 조건일 때 어 떠한 경로로 참여하는지, 그리고 격자산소가 반응에

격자산소 참여 메커니즘에 기반한 고성능 산소 발생반응용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의 합리적 설계

유종석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jsyoo84@uos.ac.kr

그림 1. 페로브스카이트 구조[17] 모식도.

(2)

참여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Density Functional Theory(DFT) 기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산소발생반응에 최 적화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예측하는 연구 결과 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기존 산소발생반응 메커니즘 vs 새로운 격 자산소 참여 메커니즘

일반적으로 산소발생반응은 Adsorbate Evolution Mechanism(AEM)[18, 19]에 의해(그림 2)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페로브스카이트의 격자산소가 반 응에 직접적으로 참여한다면 산소발생반응은 Lattice Oxygen Mechanism, LOM)[20-24]에 의해(그림 2) 일 어날 수도 있다. 이 두 메커니즘의 차이는, AEM의 경우 금속 사이트에 붙어있던 OH가 O 및 OOH로 점 진적으로 환원되면서 O2를 형성하는 반면, LOM의 경우 금속 사이트에 붙어있던 OH가 O으로 환원된 이후 페로브스카이트의 격자산소와 결합하여 궁극 적으로 O2와 기존 격자산소 자리에 빈자리(vacancy) 를 형성한다. 따라서 산소발생반응은 AEM 혹은 LOM에 의해 일어날 수 있고, 어떤 메커니즘이 더 우 세한지는 페로브스카이트 촉매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2.2. LaCoO

3

vs LaNiO

3

vs LaCuO

3

촉매의 격 자산소 참여 가능성

LaCoO3 vs LaNiO3 vs LaCuO3 촉매의 격자산소 참 여 가능성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그림 3에 나

와있는 세부적인 반응경로에 대해 에너지 계산을 진 행하였다. LaCuO3, LaNiO3의 경우 최종 상태(I2 or I3) 가 초기 상태(I0)보다 더 안정하며 모든 반응 단계가 발열 반응임을 알 수 있다. 반면 LaCoO3의 경우 최 종 상태의 에너지가 초기 상태보다 더 높으며 특히 I0

에서 I1으로 진행되는 반응이 흡열 반응임을 알 수 있 다. 즉 LaCuO3, LaNiO3 촉매의 경우 격자산소가 산소 발생반응에 참여하는 것이 열역학적으로 유리하며, LaCoO3 촉매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세 촉매 모두 I1에서 I2 및 I3로 진행되는 반응 은 활성화에너지가 매우 낮은 발열 반응임을 알 수 있다. 이는 I0에서 I1으로 진행되는 반응이 발열 반응 인지 흡열 반응인지에 따라 격자산소가 산소발생반 응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즉, 금속 사이트에 흡착한 산소 원자가 격자 산소 사이트로 얼마나 쉽게 이동할 수 있는지를 지 표 삼아 격자산소가 산소발생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I0에서 I1으로 진행되는 반응은 일반적으 로 어떤 촉매에서는 발열 반응이고 어떤 촉매에서는

그림 2. 알칼리성 조건 산소발생반응에 있어 AEM과 LOM간의 경쟁[26].

그림 3. 격자산소 반응 참여 경로 및 LaCoO3 , LaNiO3 , LaCuO3 촉매에서의 에너지 계산결과.

(3)

흡열 반응일까? Density of states 및 Bader charge 분 석 결과 I0에서 I1으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전이금속 사이트의 산화상태가 (3+α)+에서 3.0+로 낮아짐을 알 수 있었고, Ni 및 Cu의 경우 전자구조적으로 주로 2+

이하의 산화상태가 가능한 반면, Co의 경우 3+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산화상태까지 가능하기기 때문에 I0

에서 I1으로 진행되는 반응은 LaNiO3 및 LaCuO3 촉매 에서는 발열 반응이고 LaCoO3 촉매에서는 흡열 반응 인 것이다[25]. 즉 란타넘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의 경우 그 물질을 구성하는 전이금속이 주기율표 상 에서 Co보다 오른편에 위치한 금속일 때 LOM을 통 한 산소발생반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25].

2.3. 페로브스카이트 종류에 따른 산소발생반응 메커니즘 판단

페로브스카이트의 종류에 따라 산소발생반응 메 커니즘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란타넘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촉매들에 대해 AEM vs LOM을 비교해보았다(그림 4). 앞서 예상한대로 산 소와의 결합력이 다소 강한 LaCrO3와 같은 물질은 AEM이 더 선호되었고, 산소와의 결합력이 다소 약 한 LaCuO3와 같은 물질은 LOM이 더 선호되었다. 한 편, 산소와의 결합력이 적당한 LaNiO3 물질의 경우 AEM과 LOM이 비슷하지만 LOM이 약간 더 우세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표면에 흡착한 다른 흡착물들의 표면 덮힘율 및 implicit solvation model을 활용한 수 용액 영향까지 고려하여 계산을 진행해도 같은 결과 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23].

그림 4a,b,c를 살펴보면 흥미롭게도 페로브스카이 트의 종류와 무관하게 OOH*와 OH*의 깁스에너지 차이가 약 3.1eV로 항상 일정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금속 사이트에 붙은 OH와 OOH의 흡착 특성이 매우 비슷해서 나온 결과로, 수전해의 평형전압이 1.23V 인 것을 고려했을 때, AEM에서 생길 수 있는 이론 적 과전압의 최소값은 [3.1 eV – (2 x 1.23 eV)]/2e = 0.32 V임을 알 수 있다. 반면 그림 4d,e,f를 살펴보면 흥미롭게도 페로브스카이트의 종류와 무관하게 OH 와 OO의 깁스에너지 차이가 약 1.4 eV로 항상 일정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격자산소 빈자리 옆의 금속사 이트에 붙은 OH와 OO의 흡착 특성이 매우 비슷해 서 나온 결과로, LOM에서 생길 수 있는 이론적 과전 압의 최소값은 [1.4 eV – (1 x 1.23 eV)]/e = 0.17 V임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란타넘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의 경우 AEM보다는 LOM을 통해서 산소발생반 응이 진행될 때 과전압이 없는 이상적인 촉매와 가 장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내린 결론들은 AEM 및 LOM에 대한 volcano plot을 각각 그려 비교해 봄으로써 다시 한 번 확인

그림 4. 다양한 페로브스카이트의 촉매에서의 AEM vs LOM 비교[26].

(4)

해볼 수 있다. 그림 5에서 volcano 상에 위치한 촉매 가(산소발생반응의 평형전압 값인 -1.23 V를 나타내 는) 점선과 가까울수록 그 촉매의 이론적 과전압은 더 작다는 뜻으로, volcano의 정점에 가깝게 위치한 촉매일수록 산소발생반응 활성이 더 좋은 촉매인 것 이다. AEM volcano보다는 LOM volcano의 정점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이상적인 촉매와 가장 비슷하기 위해서는 AEM보다는 LOM을 통해서 산소발생반응 이 일어나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서 논의한 대로 LaCrO3 물질처럼 volcano의 왼편에 위치한 산소와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촉매들의 경우 AEM을, LaCuO3 물질처럼 volcano의 오른편에 위치한 산소와 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촉매들의 경우 LOM 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가장 이 상적인 페로브스카이트 촉매 물질은 산소와의 결합 력이 3.3~3.4 eV 정도인 물질로, volcano plot 상에서 LaNiO3보다 약간 오른편에 위치한 물질이어야 함을 알 수 있고, 살짝 팽창시킨 LaNiO3 촉매가 가장 이상 적임을 알 수 있다.

2.4.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산소발 생반응 메커니즘간의 상관성

페로브스카이트의 산소와의 결합 세기에 따라 산 소발생반응 메커니즘이 달라질 수 있다면, 페로브스 카이트의 내부 결합력, 즉 구조적 안정성과 산소발 생반응 메커니즘간의 상관성 또한 생각해볼 수 있 다. 페로브스카이트의 내부 결합력이 강할 경우 격

자산소가 빈자리를 형성하면서 반응에 참여하러 표 면의 금속사이트로 이동하는 일은 어려워지므로 LOM보다는 AEM이 더 우세할 것이다. 페로브스카 이트의 내부 결합력, 즉 구조적 안정성은 전이금속 과 격자산소가 서로 얼마나 많이 전자를 공유하는지 에 달려있다. 전이금속과 격자산소가 전자를 많이 공유하지 않는다면 격자산소는 원래의 위치에서 벗 어나 다른 원자와 결합하려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안정성은 전이금속의 전 기음성도와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앞서 2.2절에서 비교했던 LaCoO3, LaNiO3, LaCuO3에서 니켈, 구리의 전기음성도는 각각 1.91, 1.90로 코발트의 1.88에 비 해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니켈과 구리는 코발트보 다 격자 산소와 전자를 적게 공유한다. 따라서 니켈, 구리는 격자산소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앞 서 논의한 대로 LOM이 더 우세하게 되는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안정성과 격자산소의 반응 참여 가능성 간의 구체적인 상관성은 그림 6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림 6의 왼쪽 그래프에 의하면 페 로브스카이트의 격자산소 빈자리 형성 에너지와 A0 에서 A1으로 가는(격자산소가 산소발생반응에 참여 하러 표면 금속사이트로 이동하는) 반응에너지 사이 에 선형관계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 자산소 빈자리를 잘 형성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일수록 ΔG가 0보다 작아서 LOM이 더욱 잘 일어나 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프에 도시한 촉매들을 기 준으로 LaMnO3부터 LaCoO3까지는 AEM이 우세하

그림 5. (a) AEM과 LOM에 대한 volcano plot. (b) (a)에 있는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가로 안의 “+” 혹은 “–“는 압축 혹은 팽창된 정도를 나타낸다[26].

(5)

게 일어나고, La0.5Sr0.5CoO3부터 SrNiO3까지는 LOM 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그림 6의 오른쪽 그래프는 페 로브스카이트 내 N-V(전이금속의 비공유 전자쌍 수 – 전이금속의 전하량) 값 변화에 따른 A0에서 A1으 로의 반응에너지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N은 전 이금속의 전기음성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V 는 전이금속과 격자산소간에 서로 공유하는 전자의 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N-V 값은 전이금속 과 격자산소간의 결합력에 대한 직접적인 지표가 될 수 있으며 N-V와 ΔG사이에도 뚜렷한 선형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페로브스카 이트의 격자산소가 산소발생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지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두 그래프를 통해 구조가 안정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일수록 AEM이, 불안정한 물질일수록 LOM이 우세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결론 및 전망

본 기고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종류

에 따라 격자산소가 산소발생반응에 직접적으로 참 여할 수 있음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이금속 과 산소 간의 결합세기가 상대적으로 약해서 구조 적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는 물질일수록 AEM보다는 LOM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상적인 촉매 와 비슷해지기 위해서는 AEM보다는 LOM을 통해 산소발생반응이 진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후 volcano 분석을 통해 살짝 팽창시킨 LaNiO3 물질 이 가장 효율적인 산소발생반응 촉매임을 알 수 있 었다. 스트론튬, 바리움 등 다른 희토류 금속 기반 페 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의 연구를 진행하여 또 다른 고활성 페로브스카이트 촉매를 발 굴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기고문에서 소개한 계산화학에 기반한 새로운 전기촉매 물질 발굴 방법은 오직 열역학적인 측면에만 근거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전기촉매의 과전압 뿐 아니라 반응속도, 이를테면 전위에 따른 전류의 변화까지 직접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 기화학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한 다. 그래야 kinetic modeling을 바탕으로 pH 및 전위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전기촉매의 활성 및 선택도 를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 타깝게도 전기화학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 는 일은 쉽지만은 않아 왔다. 이는 전하 운반체가 전 해질에서부터 전극표면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실험 적으로는 일정한 전위 환경에서 일어나는 반면 계산 에서는 일정한 전하 환경을 가정할 수밖에 없어 왔 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어려움을 극 복할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기에 앞으로 계산 에 기반한 새로운 전기촉매 물질 발굴은 더욱 정교 해질 전망이다.

참고문헌

1. Bard, A. J.; Fox, M. A., Artificial Photosynthesis: Solar Splitting of Water to Hydrogen and Oxygen.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1995, 28 (3), 141-145.

2. Khan, S. U. M.; Al-Shahry, M.; Ingler, W. B., Efficient Photochemical Water Splitting by a Chemically Modified 그림 6. 좌측: 페로브스카이트의 격자산소 빈자리 형성 에너지에

따른 A0에서 A1으로의 깁스에너지 변화, 우측: 페로브스 카이트 내 N-V(전이금속의 비공유 전자쌍의 수 - 전이금 속의 전하량) 값 변화에 따른 A0에서 A1으로의 깁스에너 지 변화[23].

(6)

n-TiO<sub>2</sub&gt. Science

2002, 297

(5590), 2243.

3. Kudo, A.; Miseki, Y., Heterogeneous photocatalyst materials for water splitting. Chemical Society Reviews

2009, 38 (1), 253-278.

4. Meyer, T. J., The art of splitting water. Nature 2008, 451 (7180), 778-779.

5. Walter, M. G.; Warren, E. L.; McKone, J. R.; Boettcher, S. W.; Mi, Q.; Santori, E. A.; Lewis, N. S., Solar Water Splitting Cells. Chemical Reviews 2010, 110 (11), 6446- 6473.

6. Burke, M. S.; Enman, L. J.; Batchellor, A. S.; Zou, S.; Boettcher, S. W., Oxygen Evolution Reaction Electrocatalysis on Transition Metal Oxides and (Oxy) hydroxides: Activity Trends and Design Principles.

Chemistry of Materials 2015, 27 (22), 7549-7558.

7. McCrory, C. C. L.; Jung, S.; Peters, J. C.; Jaramillo, T. F., Benchmarking Heterogeneous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3, 135 (45), 16977-16987.

8. Reier, T.; Oezaslan, M.; Strasser, P., Electrocatalytic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on Ru, Ir, and Pt Catalysts: A Comparative Study of Nanoparticles and Bulk Materials. ACS Catalysis 2012, 2 (8), 1765-1772.

9. Bockris, J. O. M., Otagawa, T, The Electrocatalysis of Oxygen Evolution on Perovskite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984, 131 (2), 290.

10. Fierro, S.; Nagel, T.; Baltruschat, H.; Comninellis, C., Investigation of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n Ti/IrO2 electrodes using isotope labelling and on-line mass spectrometry. Electrochemistry

Communications 2007, 9 (8), 1969-1974.

11. Hong, W. T.; Risch, M.; Stoerzinger, K. A.; Grimaud, A.;

Suntivich, J.; Shao-Horn, Y., Toward the rational design of non-precious transition metal oxides for oxygen electrocatalysis.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2015, 8 (5), 1404-1427.

12. Wohlfahrt-Mehrens, M.; Heitbaum, J., Oxygen evolution on Ru and RuO2 electrodes studied using isotope labelling and on-line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Electroanalytical Chemistry and Interfacial Electrochemistry 1987, 237 (2), 251-260.

13. Yagi, S.; Yamada, I.; Tsukasaki, H.; Seno, A.;

Murakami, M.; Fujii, H.; Chen, H.; Umezawa, N.;

Abe, H.; Nishiyama, N.; Mori, S., Covalency- reinforced oxygen evolution reaction catalyst. Nature

Communications 2015, 6 (1), 8249.

14. Grimaud, A.; May, K. J.; Carlton, C. E.; Lee, Y. L.;

Risch, M.; Hong, W. T.; Zhou, J.; Shao-Horn, Y., Double perovskites as a family of highly active catalysts for oxygen evolution in alkaline solution. Nat Commun

2013, 4, 2439.

15. Suntivich, J.; May, K. J.; Gasteiger, H. A.; Goodenough, J. B.; Shao-Horn, Y., A Perovskite Oxide Optimized

for Oxygen Evolution Catalysis from Molecular Orbital Principles. Science 2011, 334 (6061), 1383.

16. Petrie, J. R.; Cooper, V. R.; Freeland, J. W.; Meyer, T.

L.; Zhang, Z.; Lutterman, D. A.; Lee, H. N., Enhanced Bifunctional Oxygen Catalysis in Strained LaNiO3 Perovskit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6, 138 (8), 2488-2491.

17. Yang, G.; Jung, W.; Ahn, S.-J.; Lee, D., Controlling the Oxygen Electrocatalysis on Perovskite and Layered Oxide Thin Films for Solid Oxide Fuel Cell Cathodes.

Applied Sciences 2019, 9 (5).

18. Man, I. C.; Su, H.-Y.; Calle-Vallejo, F.; Hansen, H. A.;

Martínez, J. I.; Inoglu, N. G.; Kitchin, J.; Jaramillo, T. F.; Nørskov, J. K.; Rossmeisl, J., Universality in Oxygen Evolution Electrocatalysis on Oxide Surfaces.

ChemCatChem 2011, 3 (7), 1159-1165.

19. Rossmeisl, J.; Qu, Z. W.; Zhu, H.; Kroes, G. J.;

Nørskov, J. K., Electrolysis of water on oxide surfaces.

Journal of Electroanalytical Chemistry 2007, 607 (1),

83-89.

20. Grimaud, A.; Diaz-Morales, O.; Han, B.; Hong, W. T.;

Lee, Y.-L.; Giordano, L.; Stoerzinger, K. A.; Koper, M.

T. M.; Shao-Horn, Y., Activating lattice oxygen redox reactions in metal oxides to catalyse oxygen evolution.

Nature Chemistry 2017, 9 (5), 457-465.

21. Hardin, W. G.; Mefford, J. T.; Slanac, D. A.; Patel, B.

B.; Wang, X.; Dai, S.; Zhao, X.; Ruoff, R. S.; Johnston, K. P.; Stevenson, K. J., Tuning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Perovskites through Active Site Variation and Support Interactions. Chemistry of Materials 2014,

26 (11), 3368-3376.

22. Hardin, W. G.; Slanac, D. A.; Wang, X.; Dai, S.;

Johnston, K. P.; Stevenson, K. J., Highly Active, Nonprecious Metal Perovskite Electrocatalysts for Bifunctional Metal–Air Battery Electrod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Letters 2013, 4 (8), 1254-1259.

23. Rong, X.; Parolin, J.; Kolpak, A. M., A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 Mechanism and Stability in Metal Oxide Catalysts for Oxygen Evolution. ACS Catalysis 2016, 6 (2), 1153-1158.

24. Mefford, J. T.; Rong, X.; Abakumov, A. M.; Hardin, W.

G.; Dai, S.; Kolpak, A. M.; Johnston, K. P.; Stevenson, K. J., Water electrolysis on La1−xSrxCoO3−δ perovskite electrocatalysts. Nature Communications

2016, 7 (1), 11053.

25. Yoo, J. S.; Liu, Y.; Rong, X.; Kolpak, A. M., Electronic Origin and Kinetic Feasibility of the Lattice Oxygen Participation During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n Perovskit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Letters 2018, 9 (7), 1473-1479.

26. Yoo, J. S.; Rong, X.; Liu, Y.; Kolpak, A. M., Role of Lattice Oxygen Participation in Understanding Trends in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n Perovskites. ACS

Catalysis 2018, 8 (5), 4628-4636.

수치

그림 3.   격자산소 반응 참여 경로 및 LaCoO 3  , LaNiO 3  , LaCuO 3     촉매에서의 에너지 계산결과.
그림 4. 다양한 페로브스카이트의 촉매에서의 AEM vs LOM 비교[26].
그림 5.   (a) AEM과 LOM에 대한 volcano plot. (b) (a)에 있는 사각형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가로 안의 “+” 혹은 “–“는 압축 혹은 팽창된  정도를 나타낸다[26].

참조

관련 문서

|그림 21.3| 전나무 빗자루 녹병 곰팡이인 Melampsorella caryophyllacearum 에 의해 발생한 전나무( Abies sp.) 위의 빗자루병...

일반적으로, 만약 어떤 지지부가 주어진 방향으로 물체의 이동(translation)을 방해하면, 물체에는 그 반대방향으로..

발생생리학과 유사한 연구 분야로서는 염색체의 비 정상적인 분포가 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는 세포유전학(cytogenetics),... 발생 장애로 인하여

상대방, 또는 상대방의 행위, 소유물 등을 높여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말이다.. 이때 경의의 대상은 일반적으로 윗사람이

그림 6.9 정상 배아와 torpedo의 동형접합인 돌연변이 암컷의 배아 사이에 극세포의 상호이식에 의해 탄생된 키메라 생식계보... 그림 6.20 초파리에서 bicoid( bcd

• 신호가 주어진 후 곧바로 자극이 이어져야 그에 의해 도출된 반 응이 학습으로 전이될 수 있다. – 예) 어려서부터 수학이 어려웠고 수학선생님이 무서웠기에

- 만약 a와 c가 양이면 지수함수의 형태는 [그림 10.2]와 유사하지만 a와 c가 음이면 지수함수의 graph는..

- 적혈구 생성: 에르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이 라는 호르몬에 의해 촉진. 산소 공급이 저하될 때 신장에서 방출. 단백질, DNA 생산에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