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Prognostic Value of the S-phase Fraction and Ki-67 Expression in Early Breast Canc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Prognostic Value of the S-phase Fraction and Ki-67 Expression in Early Breast Cancer"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19

서 론

유방암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여성 암 중 발생률 3위였으나 최근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2002년 우리나라 여성 암 중 16.8%로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 되었다.(1) 이와 더불어 유방암의 치료법에 대 한 연구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고 최근에는 그 연구 와 노력의 결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같은 병기의 유 방암 환자라 할지라도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종양의 생물 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결과와 예후를 나타내기 때 문에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진 유방암의 예후 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액와림프절 전이 상태, 조직학 적 분화도, 핵 등급,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 무, DNA 배수성, 그리고 암세포 증식능 등이며, 그밖에 p53, Ki-67, c-erbB-2, EGFR, uPA, pS2, P-당단백, cathepsin- D 등 많은 생물학적 표지자들이 예후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2-4) 그 중 암세포 증식능은 암의 진행속도와 관련된 인자로서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어 예후인자로서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암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유세포분 석을 통한 합성기 분획(S-phase fraction, SPF)측정, 면역조직 화학적염색방법을 통해 측정하는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검사, BrdU (Bromod-eoxyuridine) 라벨 지수, TLI (Thymidine-labeling Index), 유사분열지수(mitotic index) 등이 있다.

SPF은 유세포분석을 통하여 암세포 중 합성기(S)에 있는 세포의 백분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휴지기(G1)의 정상세 포의 DNA 양보다는 많고 분열기(M) 세포의 DNA 양보다는 적은 DNA를 가지는 세포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유방

조기 유방암에서 종양의 합성기 분획 및 Ki-67 발현과 예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이한범․최운정․이광만

Key Words: Early breast cancer, S-phase fraction, Ki-67

중심 단어: 조기유방암, 합성기세포분획, Ki-6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epartment of Surger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 Korea

The Prognostic Value of the S-phase Fraction and Ki-67 Expression in Early Breast Cancer

Han Beom Lee, M.D., Un Jong Choi, M.D. and Kwang Man Lee, M.D.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hase fraction (SPF) and Ki-67 with other biologic factors, and to assess the prognostic value of Ki-67 and SPF in 108 breast cancer patients.

Mehoods: The SPF and Ki-67 level were determined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pecimens from 108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1997 and December 2000 at the Won- kwang University Hospital.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 teristics of the early breast cancer such as the tumor size, node status, histological grade, hormone receptor, various tumor markers and cancer recurrence were compared with the SPF and Ki-67 values.

Results: The median SPF was 9.03% (range 0∼43%). The SPF correlated with CD31 (P=0.020) and DNA diploidy (P=0.000). Ki-67 correlated with the histological grade (P=

0.010) and p53 (P=0.035).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PF and Ki-67. Eight cases re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Strong expression of Ki-67, p53, DNA aneuploidy and a young age were correlated with recurrence (P=0.001, P=0.029, P=0.021 and P=0.002, respectively). However, the SPF was not related to recurrence.

Conclusion: In early breast cancer, Ki-67 expression is correlated with the histological grade and p53 expression.

In addition, strong Ki-67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 re- currence.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prognostic signifi- cance of the proliferation markers, such as Ki-67 and SPF,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J Korean Surg Soc 2006;71:319-325)

책임저자:이광만, 전북 익산시 신용동 344-2

ꂕ 570-711,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Tel: 063-850-1205, Fax: 063-855-2386 E-mail: leekm@wonkwang.ac.kr

접수일:2006년 5월 18일, 게재승인일:2006년 9월 14일 이 논문은 2004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서 수행됨.

(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암에서 SPF과 환자의 예후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는 많

은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5,6)

1983년 Gerdes 등(7)이 세포의 증식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세포주기 중 G1후기, S기, 그리고 G2기의 핵 항원에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 Ki-67을 보고하였다. 하지 만 이때까지는 신선 또는 동결절편 조직을 이용해서 검사 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었다. 1994년 Key 등(8)이 다클론 Ki- 67 항체를 보고한 후 현재까지 Ki-67이 유방암 환자에 있어 서 예후인자로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음을 뒷받침하는 연 구결과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간편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중요성을 더욱 인정받고 있다.(9-14)

이러한 예후인자들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조기 유방암에 서 예후 예측과 함께 치료 선택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기 유방암(제Ⅰ, II 기)에서 암세포 증식지표 중 SPF과 Ki-67의 발현이 환자의 예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외과에 서 유방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조기 유방암으로 병리검 사상 침윤성 유관이었고 최근까지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0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 용한 조기 유방암의 정의는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병기 분류상 제I기 및 제II기인 경우, 즉 종양 의 크기에 관계없이 림프절전이가 없는 경우(T1, 2, 3, N0) 와 종양 직경 5 cm 이하이면서 림프절 3개 이하에 전이가 있는 군(T1, 2, N1)으로 하였다. 재발은 국소재발, 영역재발 을 포함하였다.

2) 방법

(1) 병리조직학적 분석: 종양의 크기는 AJCC의 TNM 분 류에 따라 2 cm 이하(T1), 2.1∼5 cm (T2), 5.1 cm 이상(T3)으 로 분류하였고, 액와림프절의 전이여부는 전이가 없는 경 우(N0), 1∼3개에 전이가 있는 경우(N1)로 분류하였다. 조 직학적 유형은 WHO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였고, 조직학적 등급은 Bloom과 Richardson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핵의 다형성, 세관형성, 그리고 유사분열수에 따라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2) SPF 측정과 Ki-67 면역조직화학염색: SPF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파라핀에 포매한 유방암 조직을 50μm 두 께로 하여 3개의 절편을 채취한 다음 xylene을 사용하여 파 라핀을 제거한 후 차례대로 100%, 95%, 75%, 50% 알코올 처리한다. 미리 녹여 둔 pH 1.5, 0.5% 펩신 용액 2 ml를 가하 고 시험관을 봉한 후 37oC 수조에서 30분 동안 방치하면서

10분 간격으로 진동혼합하였다. 냉수조에 미리 꽂아 둔 저 온 완충용액(cold phosphate buffer solution)이 들어 있는 원 심관에 방치한 조직절편 용액을 50μm 나일론 망으로 걸렀 다. 이것을 1,500 rpm으로 5분간 2회 원침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저온 완충용액 1 ml를 가한 후에 hemocytometer counting chamber를 사용하여 1×106 cell에 해당하는 용량을 취하여 원침하였다. 여기에 propidium iodide 용액 2 ml를 가 하여 유세포분석기(Becton Dickinson, USA)를 이용하여 DNA 배수성 및 합성기 분획을 측정하였다. SPF은 총 세포 중 합성기 세포의 백분율(%)로 표시하여 백분율의 중앙값 을 기준으로 중앙값 이상인 경우와 미만인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Ki-67 면역조직화학염색은 MicroProbe System (Fisher Scientific Co,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 한 일차 항체는 Ki-67 (1:50, Mouse anti-Ki-67, 7B11, Zymed, San Francisco, USA)항체를 사용하였다. 탈파라핀 후 함수한 절편을 항원 부활을 위해 citrate buffer, pH 6.0 에 넣어 microwave oven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그 다음 hydrogen peroxidase block (Lab Vision, Westighous, USA)에 옮겨 45oC에서 7분간 두어 endogenous peroxidase를 차단한 후, 일차 항체인 Ki-67 항체를 넣어 45oC에서 25분간 반응시 켰다. 이어 2차 항체와 HRP polymer가 접합된 Super PicTure Polymer Detection Kit (Zymed, San Francisco, USA)을 사용하 여 45oC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AEC (Zymed, San Fran- cisco, USA)로 발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헤마톡실린으로 대 조염색한 후 Universal mount (Research genetics, Huntsville, USA)로 봉입하였다. 각 단계마다 슬라이드는 Immuno/DNA buffer Invitrogen (Carlsbad, USA)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Ki-67은 전 세계적으로 기준치가 정해져 있지 않아 양성반 응을 보인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음성(0∼2%), 약양 성(3∼35%), 중등도양성(36∼70%), 강양성(71∼100%)으로 분류하였다.

(3) 비교분석한 인자들: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유무, 조직학적 등급,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53, CD31, c-erbB-2, DNA배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c-erbB-2, p53, CD31 등은 파라핀 포매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결과에 따라 에스 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1% 이상 염색된 경 우를 양성으로 분류하였고,(15) p53과 CD31은 염색정도에 따라 음성, 약양성, 강양성으로 분류하였으며(5,12,14), c-erbB-2는 세포질에 강하게 염색된 경우만 양성으로, 그밖 의 경우는 음성으로 분류하였다.(16)

(4) 통계학적 분석: 본 연구에서의 통계학적인 분석은 SPSS 13.0 for Windows를 이용하였고 예후인자분석에서 불 연속변수의 빈도는 Chi-square법으로, 연속변수의 평균값의 비교는 student T-test로 비교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1) 임상적 및 병리학적 특성(Table 1)

진단 당시 환자의 연령 분포는 26세에서 86세로 평균 47.8 세였으며 45세 미만은 40명(37.0%), 45세 이상은 68명 (63.0%)이었고 추적관찰 기간은 58∼128개월로 중앙추적기 간은 70.7개월이었다. 종양의 T병기는 T1 34예, T2 70예, T3 4예였으며, N병기는 N0 75예, N1 33예였다. 조직학적 등급 은 2등급이 54예(50%)로 가장 많았다. 수술방법으로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이 81예(75.0%)에서 시행되었으며 유방보 존술은 27예(25.0%)가 시행되었다.

2) Ki-67 면역조직화학적 검사결과와 SPF 결과(Table 2) SPF의 분포는 0∼43%로, 평균값은 9.51%, 중앙값은 9.03%

였다. 중앙값을 기준으로 중앙값 이상은 64예(59.3%), 중앙 값 미만은 44예(40.7%)였다. Ki-67은 발현정도에 따라 음성, 약양성, 중등도양성, 강양성으로 나누었으며, 그 결과 음성 5예(4.6%), 약양성 40예(37.0%), 중등도양성 55예(50.9%), 강양 성 8예(7.4%) 등이었다.

3) SPF, Ki-67의 다른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분석(Ta- ble 3, 4)

SPF이 다른 예후인자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한 결 과 CD31의 발현정도가 증가할수록 SPF이 증가하였으며 (P=0.020), DNA 배수성에 따라 이배수성인 경우에 비하여

Table 1.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n=108)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45< 40 (37.0)

45≥ 68 (63.0)

T stage T1 34 (31.5)

T2 70 (64.8)

T3 4 (3.7)

N stage N0 75 (69.4)

N1 33 (30.6)

Histologic grade G1 34 (31.5)

G2 54 (50.0)

G3 20 (18.5)

Operation method BCS* 27 (25.0)

MRM 81 (75.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BCS = Breast conserving surgery; MRM = Modified radical mastectomy.

Table 2. S-phase fraction and Ki-67 on immunohistochemistry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phase fraction* Low (<9.03%) 64 (59.3) High (≥9.03%) 44 (40.7) Ki-67 expression Negative 5 (4.6)

Weak positive 40 (37.0) Intermediate positive 55 (50.9) Strong positive 8 (7.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edian S-phase fractioin = 9.03%; Ki-67 expression: Negative

= ≤2%, Weak positive = 3∼35%, Intermediate positive = 36∼

70%, Strong positive = ≥70%.

Table 3. Correlation of S-phase fraction with other biologic factor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 Mean SPF (%) P valu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45< 40 10.5 0.058

45≥ 68 8.96

T stage T1 34 7.5 0.118

T2 70 10.4

T3 4 10.5

N stage N0 75 8.7 0.134

N1 33 11.3

Histologic G1 34 7.7 0.079

grade G2 54 9.80

G3 20 11.8

ER* Positive 36 10.2 0.550

Negative 72 9.2

PR Positive 21 10.2 0.659

Negative 87 9.3

p53 Negative 46 8.4 0.417

Weak positive 38 10.7 Strong positive 24 9.8

Ki-67 Negative 5 10.8 0.218

Weak positive 40 6.9

Intermediate 55 11.6

positive

Strong positive 8 7.4

CD31 Negative 17 13.3 0.020

Weak positive 75 9.3 Strong positive 16 6.6

c-erbB-2 Negative 81 9.9 0.305

Positive 27 8.0

DNA ploidy Diploid 86 7.9 0.000

Non-diploid 22 16.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ER = Estrogen receptor; PR = Progesteron receptor; SPF = S-phase fraction.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비이배수성인 경우 SPF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0).

Ki-67발현은 조직학적 등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P=0.010), p53발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35).

4) 암의 재발과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분석(Table 5) 추적관찰기간동안 8예에서 재발하였고 재발환자 중 2예 는 사망하였다. 나이가 젊을수록 재발이 많았다(P=0.002).

림프절전이가 없었던 75예 중 3예(4.0%), 림프절 1∼3개에 전이가 있던 33예 중 5예(15.1%)에서 발견되어 림프절전이 가 있는 환자에서 재발이 많았다(P=0.042). Ki-67발현정도 와 암의 재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Ki-67이 음성일 때 와 약양성일 때에는 재발이 없었고 중등도 이상의 양성발 현을 보일 때 재발이 증가하였다(P=0.001). 그밖에 p53의 발 현이 증가할수록 DNA 배수성이 비배수성일수록 재발이 많

았다(P=0.029, P=0.021). SPF은 암의 재발과 무관하였다 (P=0.570). 그러나 암의 재발과 예후인자의 다변량적 상관 관계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는 없었다.

고 찰

암이 진행하는 데는 암세포의 분열과 증식을 통한 성장, 혈관형성, 침투, 이동 등 여러 특성들이 단계적으로 혹은 복 합적으로 작용하여야 하나 이 중 암세포의 분열과 증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암세포의 증식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이 방법들을 임상에 응용하는 것은 가장 활 발한 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유사분열지수, SPF, Ki-67의 측정법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검사방법으로 특히 암 환자의 예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결과들이 발 Table 4. Correlation of Ki-67 with other biologic factor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Ki-67 expression§ (n)

No.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 value

- + ++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45 < 40 4 14 20 2 0.219

45 ≥ 68 1 26 35 6

T stage T1 34 3 12 17 2 0.254

T2 70 2 27 36 5

T3 4 0 1 2 1

N stage N0 75 4 28 37 6 0.804

N1 33 1 12 18 2

Histologic grade G1 34 3 19 12 0 0.010

G2 54 1 20 30 3

G3 20 2 2 11 5

SPF* Low (< 9.03%) 64 2 31 25 6 0.218

High (≥ 9.03%) 44 3 9 30 2

ER Positive 36 1 14 18 3 0.770

Negative 72 4 26 37 5

PR Positive 21 1 11 9 0 0.091

Negative 87 4 29 46 8

p53 Negative 46 4 22 19 1 0.035

Weak positive 38 1 14 21 2

Strong positive 24 0 4 15 5

CD 31 Negative 17 1 7 8 1 0.688

Weak positive 75 2 28 41 4

Strong positive 16 2 5 6 3

c-erbB-2 Negative 81 4 30 41 6 0.874

Positive 27 1 10 14 2

DNA ploidy Diploid 86 5 33 41 7 0.330

Non-diploid 22 0 7 14 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PF = S-phase fraction; ER = Estrogen receptor; PR = Progesteron receptor; §Ki-67 expression Negative (-) = ≤2%, Weak positive (+) = 3∼35%, Intermediate positive (++) = 36∼70%, Strong positive (+++) = ≥70%.

(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표되고 있으나 아직 검사법 및 결과 판정에 있어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5-14) SPF과 환자의 예후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되 었다. Hedley 등(6)은 유세포분석에 관하여 합의를 도출하 기 위한 회의에서 43편의 논문을 평가한 후 유방암에서 SPF은 환자의 재발률 및 사망률과 연관을 가져 예후와 밀 접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17,18) 하지만 SPF 이 다른 예후 인자와의 상관관계 및 예후인자로서의 가치 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어 논란의 여 지가 있다. Hedly 등(19)은 SPF이 10% 이하일 때의 생존율 이 10% 이상일 때에 비해 높고 종양의 악성도와 비정상적

인 DNA지수와 밀접하지만 림프절, 호르몬 수용체 및 폐경 기 전후와는 큰 상관이 없다고 하였으며, Witzig 등(20)은 SPF이 독립적 예후인자라고 하더라도 임상에서 보조적 항 암 요법을 고려하지 않는 종양크기 1 cm 내외의 유방암에 서 위험군을 찾아내는 데 유용하지 못하다고 지적하였다.

세포증식능을 측정하는 방법은 유세포분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지만 조직의 불균질성에 의한 측정 오차의 가능성이 많고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준화 된 검사방법과 일정한 기준치가 없기 때문에 저자마다 다 른 결과를 보고하는 경우가 많으며 신선조직이나 냉동조직 이 필요하다는 점이 보편적인 임상활용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21-24) 본 연구에서 SPF는 CD31과 DNA배수성과 의 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그 이외의 예후인자와는 관 계가 없었고 암의 재발과도 통계학적인 의의가 없었다.

10번 염색체에 위치하며 세포주기 중 G1후기, S기, M기 그리고 G2기에서 발현되는 Ki-67은 Hodgkin-disease-derived cell line의 핵분획에 대한 murine 단클론항체 면역글로불린 의 아형 IgG1에 속한다.(7) 이는 암세포의 증식능력을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졌고 Ki-67값이 SPF, 5-bromode- oxyuridine 라벨 지수, DNA 비배수성, 유사분열지수, tymi- dine 라벨 지수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많은 연 구가 있었으나 고정된 조직에서 검사할 수 없는 단점으로 활용이 제한되어 오다가 Ki-67의 당량(equivalenet)인 MIB-1 이 소개된 후부터는 신선 동결조직뿐만 아니라 포르말린, 파라핀에 고정된 조직에서도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고 면역 조직화학적 검색으로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 다.(25) 이미 알려진 다른 예후인자와의 좋은 상관관계를 증명하는 연구결과들이 많아지면서 임상에 적용하려는 움 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9-14) 본 연구에서 Ki-67은 조직학 적 등급(P=0.010)과 p53 (P=0.03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많은 연구에 서 분화도가 나쁜 그룹에서, p53 값이 높은 그룹에서 높게 나왔다.(26)

최근에는 Ki-67 값을 이미 유용성이 밝혀진 다른 예후인자 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Railo 등(27)은 Ki-67 양성과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이 동시에 발현되는 경우 가 장 나쁜 예후를 보인다고 보고하였고 Ioachim 등(28)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c-erbB-2 그리고 Ki-67을 동시 에 고려할 때 더 의미가 있다고 하였으며, Harbeck 등(29)은 최적의 세포 합성기 분획과 Ki-67의 기준치를 제시하면서 비 배수성종양에서 두 인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고, Ki-67이 조기유방암에서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Ki-67이 SPF 및 DNA 이배수성과 연관성을 가진다는 연구 보고도 있으나(30) 본 연 구에서는 통계학적인 의의가 없었다(P=0.332, P=0.118).

SPF와 Ki-67 값이 연구마다 다르고 이들의 상관관계 역 시 저자들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은 대부분의 실험에 서 대상 환자군의 부족과 측정방법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Table 5. Correlation of recurrence with biologic factor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Recurrence

No. P value

n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45 < 40 5 (12.5) 0.002

45≥ 68 3 (4.4)

T stage T1 34 3 (8.8) 0.53

T2 70 5 (7.1)

T3 4 0 (0.0)

N stage N0 75 3 (4.0) 0.042

N1 33 5 (15.1)

Histologic G1 34 0 (0.0) 0.09

grade G2 54 6 (11.1)

G3 20 2 (10.0)

SPF* Low (<9.03%) 64 4 (6.3) 0.57

High (≥9.03%) 44 4 (9.0)

ER† Positive 36 2 (5.6) 0.45

Negative 72 6 (8.3)

PR‡ Positive 21 2 (9.5) 0.21

Negative 87 6 (6.9)

p53 Negative 46 1 (2.2) 0.029

Weak positive 38 3 (7.9) Strong positive 24 4 (16.7)

Ki 67 Negative 5 0 (0.0) 0.001

Weak positive 40 0 (0.0) Intermediate 55 7 (12.7) positive

Strong positive 8 1 (12.5)

CD31 Negativie 17 2 (11.8) 0.42

Weak positive 75 5 (6.7) Strong positive 16 1 (6.3)

C-erbB-2 Negative 81 5 (6.2) 0.19

Positive 27 3 (11.1)

DNA diploidy Diploid 86 4 (4.7) 0.021

Non-diploid 22 4 (18.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PF = S-phase fraction; ER = Estrogen receptor; PR = Pro- gesteron receptor.

(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두 예후인자의 관계가 여타 연구

와 다른 이유도 이러한 이유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Ki-67에 대한 기준치가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측정방법이 통일되지 않는 것은 연구결과가 일관성 있게 나오지 못하 는 큰 요인일 것이다.

전통적으로 재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종양의 크기가 본 연구에서 재발과 통계적 유의가 없는 것으로 도출된 것 은 재발환자군에서 T1, T2인 환자는 림프절 전이가 있는 환 자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T3인 경우는 림프절전이가 없는 T3N0 병기만 포함되어 재발이 없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추후 더 많은 증례를 확보하여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결 론

조기 유방암에서 합성기 분획은 CD31 및 DNA 배수성과, Ki-67 발현은 암의 조직학적 등급 및 p53 발현과 밀접한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합성기 분획과 Ki-67 발현 사 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Ki-67 발현은 DNA 배수 성, p53의 발현과 함께 암의 재발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 타내어, 종양의 증식지표로서 Ki-67의 발현은 조기유방암 에서 환자의 예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유방 암의 증식지표들과 환자의 예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향 후 많은 증례에서 장기추적을 통하여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Ministry of Health and Wel- fare, Republic of Korea. 2002 Annun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2) Fisher B, Bauer M, Wickerham DL, Redmond CK, Fisher ER, Cruz AB, et al. Relation of number of positive axillary nodes to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primary breast cancer. Cancer 1983;52:1551-7.

3) Fisher B, Slack HW, Bross ID. Cancer of the breast: size of neoplasm and prognosis. Cancer 1969;24:1071-5.

4) Hubay CA, Arafah B, Gordon NH, Guyton SP, Crowe JP.

Hormone receptors-an update and application. Surg Clin North Am 1984;64:1155-72.

5) Hilsenbeck SG, Ravdin PM, de Moor CA, Chamness GC, Osborne CK, Clark GM. Time-dependence of hazard ratios for prognostic factors in primary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1998;52:227-37.

6) Hedley DW, Clark GM, Cornelisse CJ, Killandar D, Kute T, Merkel D. Consensus review of the clinical utility of DNA cytometry in carcinoma of the breast. Report of the DNA Cytometry Consensus Conference. Cytometry 1993;14:482-5.

7) Gerdes J, Schwab U, Lemke H, Stein H. Production of mouse monoclonal antibody reactive with a human nuclear antigen

associated with cell proliferation. Int J Cancer 1983;31:13-20.

8) Key G, Kubbutat MH, Gerdes J. Assessment of cell pro- liferation by means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Ki-67 protein. J Immunol Methods 1994;177:113-7.

9) Harbeck N, Thomssen C, Pache L, Schmitt M, Graeff H. Flow cytometrically determined S-phase fraction is a stronger pro- gnostic factor in node-negative breast cancer than immunohis- tochemically detected MIB1 (KI-67). Eur J Cancer 1995;S31:

139.

10) Mokbel K, Parris CN, Ghilchik M, Williams G, Newbold RF.

The association between telomerase, histopathological parame- ters, and Ki-67 expression in breast cancer. Am J Surg 1999;

178:69-72.

11) Lehr HA, Hansen DA, Kussick S, Li M, Hwang H, Krummenauer F, et al. Assessment of proliferative activity in breast cancer: MIB-1 immunohistochemistry versus mitotic figure count. Human Pathol 1999;30:1314-20.

12) Eppenberger-Castori S, Moore DH Jr, Thor AD, Edgerton SM, Kueng W, Eppenberger U, et al. Age-associated biomarker profiles of human breast cancer. Int J Biochem Cell Biol 2002;34:1318-30.

13) Petit T, Wilt M, Velten M, Millon R, Rodier JF, Borel C, et al. Comparative value of tumour grade, hormonal receptors, Ki-67, HER-2 and topoisomerase II alpha status as predictive markers in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neoadjuvant anthracycline-based chemotherapy. Eur J Cancer 2004;40:205- 11.

14) Dvorak J, Vesely P, Melichar B, Ryska A, Zoul Z, Petera J.

P9 Relations among expression of Ki-67, p53, hormonal- receptors and traditional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stage I and II breast cancer. Breast 2005;S14:17.

15) Clark GM, Harvey JM, Osborne CK, Allred DC. Estrogen receptor status by immunohistochemistry is superior to the ligand-binding assay for predicting response to adjuvant endocrine therapy in breast cancer. J Clin Oncol 1997;17:

1474-81.

16) Press MF, Hung G, Godolphin GW. Sensitivity of HER-2/neu antibodies in archival tissue samples: Potential source of error in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f oncogene expression. Can- cer Res 1994;54:2771-7.

17) Frierson HF Jr. Ploidy analysis and S-phase fraction deter- mination by flow cytometry of invasive adenocarcinomas of the breast. Am J Surg Pathol 1991;15:358-67.

18) Wenger CR, Beardslee S, Owens MA, Pounds G, Oldaker T, Vendely P, et al. DNA ploidy, S-phase, and steroid receptors in more than 127,000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1993;28:9-29.

19) Hedly DW, Rugg CA, Gelber RD. Association of DNA index and S-phase fraction with prognosis of nodes positive early breast cancer. Cancer Research 1987;47:4729-33.

20) Witzig TE, Ingle JN, Cha SS, Schaid DJ, Tabery RL, Wold

(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E, et al. DNA ploidy and the percentage of cells in S-phase

as prognostic factors for women with lymph node negative breast cancer. Cancer 1994;74:1752-61.

21) Herman CJ, Duque Re, Jedley D. DNA cytometry in cancer prognosis. Principles of Practice of Oncology PPO Updates 1993;7:1-83.

22) Bergers E, van Diest PJ, Baak JP. Comparison of 5 cell cycle analysis modes applied to 1414 flow cytometric DNA histo- grams of frozen breast cancer. Cytometry 1997;30:54-60.

23) Falkmer UG, Hacker GW. Standardiza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of image DNA cytometry in clinical oncology. Cell Vision 1995;2:133-41.

24) Olazewski W, Darynkiewicz Z, Rosen PP, Schwartz MK, Melamed MR. Flow cytometry for breast cancer relation of tumor cell cycle distribution to histology and estrogen receptor. Cancer 1981;48:985-90.

25) McCormick D, Chong H, Hobbs C, Datta C, Hall PA. Detec- tion of the Ki-67 antigen in fixed and wax-embedded sections with the monoclonal antibody MIB1. Histopathology 1993;22:

355-60.

26) Midulla C, de Iorio P, Naga C, Pisani T, Cenci M, Valli C,

et al.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p53, nm23-HI, Ki-67 and DNA diploidy: Correlation with lymph node status and other clinical pathologic parameters in breast cancer. Anti- cancer Res 1999;19:4033-8.

27) Railo M, Nordling S, von Boguslawsky K, Leivonen M, Kyl- lonen L, von Smitten K. Prognostic value of Ki-67 immuno- labelling in primary operable breast cancer. Br J Cancer 1993;

68:579-83.

28) Ioachim E, Kamina S, Athanassiadow S, Athanassiadow NJ.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 tor (EGRF), C-erbB-2, Ki-67 and PCNA expression in breast cancer. Anticancer Res 1996;16:3141-7.

29) Harbeck N, Dettmar P, Thomssen C, Pache L, Schmitt M, Graeff H. Prognostic impact of proliferation-associated factors MIB1 (Ki-67) and S-phase in node-negative breast cancer.

Cancer 1997;75:1525-33.

30) Isola JJ, Hein HJ, Helle MJ, Kallioniemi OP. Evalua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breast carcinoma. Comparison of Ki-67, immunohistochemical study, DNA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mitosis count. Cancer 1990;65:1180-4.

수치

Table  1.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n=108)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No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ckground,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in Chapter 1, and the second part of the theoretical study is related to the

In this study, if the cell potential increases in voltaic cell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charge increases with applied external voltage, it promote s phase change

This study is a contemplation on the novels of Hyeon Ki-yeong with a focus on the novelistic correspondence against the history and actuality.. The summary

In addition, using the properties of water shown in diverse shapes, Ki Hyung-do's recognition on the reality and future consciousness from regression of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functional outcomes of th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fractures, retrospectively, in multiple thoracolumb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ion pattern of the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ferior alveolar ner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prepare tenoxicam-ethanolamine salt with improv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to compare the flux of tenoxicam and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go-resili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and students with low experi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