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아교육 활동 관련 포트폴리오 평가 동향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유아교육 활동 관련 포트폴리오 평가 동향 연구"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Explorations into Future Education

유아교육 활동 관련 포트폴리오 평가 동향 연구

김윤주·김서연·고옥향 (조선대학교)

A Study on the Evaluation Trend of Portfolio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ivities

Yun-Joo Kim·Seo-Yeon Kim·Ock-Hyang Ko (Chosun University)

Abstrac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is a portfolio evaluation method as an appropriate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in the new evalua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ivities, by selecting three representative papers related to portfolio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2000.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 portfolio evaluation of infants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 quality level compared to early 2000, with the opportunity to be used in the recent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reased. Especially, it has been proved that there is an educational effect on infant development such as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of infants, improvement of thinking strategy, granting of self-worthiness, and promotion of reflective thinking by the praise of parents. The advantage of the portfolio assessment is that it grasps the developmental and academic progress as a result of the child's direct activity, and has reflective thinking about teaching-learning in the following learning plan.

Key word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rtfolio, evaluation, performance assessment

Ⅰ. 서론

유아교육 기관에서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육활동 및 상호작용의 측면을 많이 강조 하고 있는 반면에 평가 영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다(김은영, 김주후, 2017).

황해익(2013)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평가가 소외된 이유로 높은 교사 대 영·유아 비 율, 사용 가능한 검사 도구나 평가 도구의 부족, 스스로 평가 도구를 개발해서 사용하 기에는 시간·능력상의 부족,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결여 등을 지적하였다. 이성희,

(2)

사영숙(2004)도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현황 조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유아 평가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사항으로 평가에 대한 정보 부족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적절한 평가 도구의 부재, 교사와 유아의 높은 비율, 필요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 교육기관에서 수행평가를 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평가는 제한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Gelfer(1994)는 전통적으로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평가는 유아가 얼마나 많은 사실들을 기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형식적인 검사로 이해되어 유아들의 지식과 사실의 획득 을 강조해왔다.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유아교육 활동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여러 측면 가운데 교수·학습방법이나 생활지도의 측면을 많이 강조하고 있지만, 평가 영역 은 취약한 실정이다(윤복희, 2000). 유아의 발달 상황을 평가할 때는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영유아를 상대 평가한 후 서열화한다거나, 어떤 형태이든 점수 화 하는 것으로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도는 적절하지 않다. 오늘날 연구자들은 유아교육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한 대안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 는 유아의 활동과정 및 결과를 증명해 줄 자료들을 장기간에 걸쳐 포트폴리오에 수집 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아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개인 내적으로 어떤 발달영역 이 우수한지 등을 살펴보고 평가하는 것이다. 즉, 단순한 작품 모음집 자체로서는 평 가도구가 될 수 없다. 유아 발달이론을 토대로 평가 준거에 비추어 분석하고 해석하여 유아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방법의 개별화에 활용할 때 포트폴리오 평가가 의미를 갖는 것이다(Gullo, 2005). 그러므로 포트폴리오 교육의 평가는 실제 상황과의 연계가 학습에 적용되어 유아 개개인의 기준 목록에 부응하는 진보를 나타내는 최상의 지표로 발달에 적합한 평가로서 이점을 준다고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져 왔 다(Gelfer & Perkins, 1998; Grace, Shores, Brown, Amold, Graves, Jambor, & Neill, 1994; Gullo, 2005; Harris, 2009; Lynch & Struewing, 2001; Macdonald, 1997;

Martin, 1996; Wotham, 2008). 포트폴리오 교육 평가의 본질적 가치는 유아의 단ㆍ장 기간에 걸친 변화나 발달을 보여 줄 수 있고, 유아, 교사, 부모, 행정가들이 아동의 목표를 구축하고 아동의 평가 계획에 관련되도록 동기화하며, 자기-평가의 과정을 통 해 실제적 교육과정의 운영 및 개선에 도움이 되고, 유아에게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 험을 제공하며 특히 유아의 자아 발달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객관 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평가 교사의 업무 과중, 평가 기준 설정의 어려움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교육 평가 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점에 따른 평가 기준 및 방법제시, 평가 자의 업무 경감, 효과적인 평가 시간 관리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 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평 가의 연구 변화 및 추이 분서을 파악하여 유아 교육활동의 새로운 평가 방법을 모색하

(3)

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유아교육 분야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련된 대표적인 논문 3편을 선정하여 최근 연구 동향을 조사·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자료수집

유아교육 활동에 대한 포트폴리오 평가의 최근 연구 변화 및 추이를 분석하기 위하 여 2000년 이후 국내에서 발간된 유아교육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연구 논문을 검 색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장기간에 걸친 변화나 발달을 보여줄 수 있는 논문들을 6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총 5편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 3편의 논문이 유아교육 현장에 서의 포트폴리오 평가 과정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논문 주제에 부합 하여 최종적으로 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표 1.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3편의 혼합연구에 대한 기본 정보

No. 자 료 제 목

① 유아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연구(윤복희, 2000)

②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프로젝 트 중심교육과정에서(심윤희, 2013)

③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적용의 장애요인 및 개선방향(김은영, 김주후, 2017)

2.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수집된 논문 3편의 연구결과를 조사 및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의 양상, 평가가 주는 시사점, 시간에 따른 평가의 변화 추 이 등을 파악하였다. 선정된 논문 3편의 연구결과의 도출 과정 및 특징은 다음과 같 다.

1) 유아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연구

첫 번째 자료 분석에 활용된 윤복희(2000)의 연구결과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목적, 특징, 조직 및 활용 방법 등을 살펴본 후 유아교육에서 새로운 평가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것으로 유아교육에서의 일반적인 평가 개념, 수행평가의 정의ㆍ

(4)

특성ㆍ관련 용어, 전통적 검사의 특징, 포트폴리오의 개념ㆍ목적ㆍ특징 등을 비교ㆍ분 석한 다음 유아교육 현장에서 포트폴리오의 조직 체계 구성 및 활용 방법에 대한 새로 운 대안을 제시한 자료이다.

2)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프 로젝트 중심교육과정에서

두 번째 자료 분석에 활용된 심윤희(2013)의 연구결과는 유아발달을 위한 포트폴리 오 평가 실제를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한 한 사례 연구로서 1년 동안에 걸쳐 이루어진 포트폴리오 평가 체계 및 그의 체계가 유아발달 프로파일에 주는 영향에 대해 심층적 으로 분석하였다. 심윤희의 분석 방법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대기별 로 분석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프로젝트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 상은 다중지능 기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유아 교육기관인 한 어린이집의 1개 반(누리 반) 26명의 어린이들로 선정하여 이용숙, 김영천(2002)과 김영천(2006)이 제시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11개월 걸쳐 수회의 참여 관찰 자료 분석, 수집 된 포트폴리오의 내용 분석, 참여 교사 및 학부모와의 심층 면담 분석, 문서 분석 등 의 절차를 통해 도출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의 신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기간 관찰, 삼각측정, 구성원 검토, 동료와 전문가의 검토, 참고 자료의 활용, 연구자의 자기반성 등 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3)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적용의 장애 요인 개선 방향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에 활용된 김은영, 김주후(2017)의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현장 에서 포트폴리오 평가가 이용되고 있지만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평가의 활용에 제한적인 요인 즉, 포트폴리오 평가의 구체적인 장애 요인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실행된 사례 연구이다. 이들의 연구 문제는 크게 3가지로 첫 번째는 “영유아 포트폴 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적용실태는 어떠한가?”, 두 번째는 “영유아 포트 폴리오 평가 활용에 어려움을 장애 요인은 무엇인가?”, 세 번째는 “영유아 포트폴리 오 평가 활용을 위한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등이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 기 위하여, 경기도 8개 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26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 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교사들은 국공립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들로서 다양한 연령층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육 이수자 및 미이수자도 혼 재되어 있었다. 연구에 이용한 도구는 윤정숙(2002)과 주선화(2002)가 작성하고 김미 진(2004)에 연구에 사용되었던 일부 문항을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이용하였 으며, 나머지 문항은 김경철 등(2008)과 류옥미(2013)의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총 31 문항(일반적 배경문항 : 7문항,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적용실태 : 5 문항,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의 장애요인 : 9문항,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5)

개선 방향 및 적용 가능 범위 : 10문항)으로 제작하여 설문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얻 은 자료이다.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유아 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특 성 및 활용 및 최근 동향을 이해하고자 현재까지 발표된 관련 학술논문 3편을 통해 포 트폴리오 평가와 전통적인 평가와의 차이점, 포트폴리오 평가의 목적ㆍ특징ㆍ조직 및 그의 활용, 개선을 위한 시사점 등을 살펴보았다. 유아 대상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효과, 문제점, 개선 과제 등을 제시하고 있다.

1. 유아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연구

윤복희(2000)의 “유아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연구”는 자료 조사를 통 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검사와 현재 이용되고 있는 포 트폴리오 평가의 차이, 포트폴리오 평가의 정의, 필요성, 목적, 조직 및 활용방법 등 을 쉽고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1) 유아교육에서의 평가

유아교육에서의 평가는 현장에서 유아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결정하여 유아 및 학부모, 교사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즉, 과정으로 서의 평가를 통해 얻어진 정보와 자료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유아교육 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유아들의 평가는 아이들의 행동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NAEYC(1988)를 비롯한 많은 전문가들은 평가는 모든 과정에 아이들의 발달적 능력과 성취 수준을 고 려하여 반영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김명혜(2010)는 평가에 많은 영향을 주는 발달적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교사들 유아들의 평가를 시행하기 전에

“평가되는 유아의 발달적 특징, 유아의 발달적 특징과 평가되는 내용과 어떠한 관계 가 있고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유아들은 개인적ㆍ 발달적ㆍ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의 결과를 신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유아의 평가과정은 교육 과정이 유아교육에서 고려되는 방식과 일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들이 의미 있는 교육과정 활동에 참여하였을 때 교실 상황 내에서 평가되어져야 하며, 교육과정 실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이영석, 이정화, 2000).

(6)

2) 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최근 들어 교육현장에서는 학습자들 교육성과의 측정 방법으로 수행평가와 포트폴리 오 평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수행평가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정의되어지고 있으며(Stiggins, 1987; 백순근, 1998; 정종진, 1999), 대표적인 정의로는 우리나라 교육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교육부 (1998)는 수행평가란 “평가자가 학습자들의 학습과제 수행 과정 및 결과를 직접 관찰 하고, 그 관찰 결과를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마송희(2000)는 수행평가의 일반적인 특징을 8가지로 분류하였다. 수행중심 평가의 주요 특징은 교사들에게 아주 중요한 교실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교사가 실제 수행 상황에서 학생이 무엇을 알고 어떻게 할 수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생산적인 방식으로 교사와 아 이들이 작업하며 돕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부모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의미하기 때문에 교육과정 개발, 학업 성취도 증진의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 수행평가와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유사 용어들이 존 재하고 있다. 대안적 평가, 진정한 평가, 직접평가, 실기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과정 (중심)평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란 “시험이 아니라 학생이 쓰거나 만든 작품집 및 서류철 등을 이용한 평가방법”으로 결과가 나오게 된 과정 및 변화에 대한 평가를 중시하는 것으로 수행평가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평가이다(Grace, 1994;

윤복희, 2000에서 재인용). 포트폴리로 평가는 교실 수업과 학습의 기능을 하는 것과 교실 밖의 관심자에게 학습에 관해 해석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 검사와 포트폴리오 평가와의 차이점은 표 2와 같다(조한무, 1998).

3)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수행평가의 대안적 방법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부터 고등교육기관까지 이용되고 있다. 포트폴리오는 오래전부터 예술이나 건축 분야에서 예술가 또는 건축가 들이 작품을 수록하며 자신의 수행과정을 순차적으로 정리하는 도구로 사용해 온 것을 교육학 분야에 접목하여 평가의 도구로 활용한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Vavrus, 1990; Gelfer, 1994; Adams 1996; 백은희, 1999; 유승연, 2000), 그 결과 오늘날 학습활동과 관련된 사회성 및 정서발달, 사고능력, 지식, 신체적 성장 및 발달을 대표하는 아동의 작업 수행물을 수집하여 비형식적으로 평가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발달에 적절한 평가과정과 교육적인 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정보로서의 평 가 자료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을 때 유아들을 유용하면서도 체계적인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고 있다(Bergen, 1997).

유아교육에 활용되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목적은 첫째 변화, 둘째 개별화, 셋째 교

(7)

표 2. 전통적 검사와 포트폴리오의 비교

전통적 표준화 검사 통합교육에서 대안적 평가

교수, 학습, 평가의 분리 교수, 학습, 평가의 결합

단편적 지식과 단답형을 요구하며 학 습에 대한 사전지식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음

참 평가를 이용함으로써 학습에 영향을 주는 아동들의 사전지식을 중요하게 여김

문자 정보 자료에 주로 의존함 의미를 구성하는데 핵심적인 추론적, 비판적 사고를 보여줄 기회를 제공함

평가과정 중 교사와 아동의 협동 활동 이 희박함

아동과 교사가 함께 참여하면서 평가에 협동 적으로 접근함

성적표에 성취결과를 기록할 목적으로 분리된 상황의 활동을 이용함

학습은 의사소통을 통합하고 조정하는 다면 적인 활동들을 이용함

아동들이 수업받은 것 중에서 제한된 범위의 과제를 평가함

아동들의 수업에서 참여했던 학습 행동의 전 범위를 나타냄

내용이 고정되고 미리 결정된 상황에 서 아동들을 평가함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아동이 적절히 수행 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음

오직 성취만을 고려함 향상, 노력, 성취와 태도를 고려함

아동들 자신이 학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지 않음

아동들이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도록 스스로 평가하게 함

기계적으로 점수가 처리됨 진전과 성취를 평가하는데 아동들을 참여시 킴

학습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평가하는 항목들이 거의 포함되지 않음

학습에 대한 감정을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육과정, 넷째 반영, 다섯째 정보 공유에 초점을 두고 있다(Bergen, 1997). 포트폴리 오는 다양한 학습 목표에서 영유아들의 개별화된 수업, 영유아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많은 가족 참여 등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과정을 교사 개개인의 속도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 더 좋고, 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해 준다는 점, 유아들이 얼마나 똑같은가를 찾기보 다 어떻게 다른가를 찾아내는데 초점을 맞출 수 있다는 점 등의 이점을 지니고 있다 (Shores & Grace, 1998).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서 유아, 교사 및 가족 구성원들은 주요 학습과제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으며, 평가하는 과정에서 질문하기, 토론하기, 추측하기, 제안하기, 분석하기 및 반성적 사고하기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평가의 전 략은 지필 작업과 표준화된 작업 측정보다는 교사, 유아 및 부모를 위한 학습에 비중 을 두고 프로젝트 접근법과 같은 유아 중심적인 교육과정 수업이 필요하며, 교사와 교 육행정가의 협력이 요구된다. 포트폴리오는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ㆍ정서 영역 및 신체 영역에서의 유아발달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유아 중심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야 하며, 그 결과는 유아중심 학습이 도움이 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검사에서는 영유아가 학급에서 보여주고 말하는 행동이 강조되는 반면에 포트폴리오 평가는 유아가 학급 외부에서 얻게 되는 아이디어와 지식에 대해 생각해

(8)

볼 수 있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영유아의 진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고, 다음에 무 엇을 학습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자기 평가와 독립적인 의사결정은 영유아 중심 학습에 매우 중요하며, 포트폴리오 평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영유아들은 자신의 작업을 반성적으로 사고하게 되고, 이는 지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의 기초가 된 다.

4) 포트폴리오의 조직 및 활용

포트폴리오를 조직하는 법을 한가지로 설명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교사마다 평가하 는 목적,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자료를 보관하고 조직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으로 과정 또한 다르다. 포트폴리오는 핵심항목과 개별항목으로 구성되며, 핵심항목에는 유 아가 일정 기간 동안 교육과정을 경험하면서 유아의 발달과 변화를 보여주는 항목으로 오리기, 쓰기 표본, 검사기록, 교사의 관찰 및 면접기록 등을 포함한 모든 유아들에 관하여 반드시 수집되어야 할 항목이다. 개별항목은 유아가 개별적으로 활동하는 과정 에서 보여주는 개인의 독특한 성향, 태도, 지식을 보여주는 항목이다(이정환, 박은혜, 1996). 일반적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에는 유아의 작업 표본, 일화기록, 체크리스트, 기 타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포트폴리오 자료 수집 시 유의점은 다양한 자료 활용 및 포트폴리오에 포함되는 내 용을 정기적으로 수집해야 하며,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작업 표본 선택 시 교사와 유 아가 함께 토론을 거쳐 유아 스스로 자신의 작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 다. 이는 유아가 스스로 평가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을 길러주기 때문이다. 포트폴리오를 조직하는 방법은 시기별, 주제별, 교육과정의 생 활 영역별, 발달 영역별 등 다양하며, 기준 선택에 따라 포트폴리오 조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조직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준이 정해지면 자료 수집 및 기록화, 조직화의 절차로 진행된다.

2.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프로젝트 중심교육과정에서

심윤희(2013)의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다중지능이론 을 기초한 프로젝트 중심교육과정에서”란 연구는 다중지능을 적용한 프로젝트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한 어린이집의 26명의 유아들로 구성되어 있는 1개 반 을 선정하여 1년 동안에 걸쳐 수회에 걸친 참여관찰, 수집된 포트폴리오의 내용분석, 참여 교사 및 학부모와 수집ㆍ분석을 통한 심층 면담, 문서분석 등의 절차를 통해 기 간 변화에 따른 포트폴리오 평가 체계 및 그의 체계가 유아발달 프로파일에 주는 영향 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사와 유아들 간의 상호협력 관계가 이루어지는 평 가 체제를 조직하여 자기 평가, 자기주도적 학습, 평가 등을 실시함으로써 유아들은 이를 통해 창의적 신장, 사고전략의 변화, 반성적 사고에 의한 자기주도적 학습활동,

(9)

강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짐으로서 긍정적 자기 가치성 부여의 향상됨을 알 수 있었 다.

1) 창의적 생산성 발현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은 포트폴리오 평가 체제에서는 교사가 자극을 주고 촉진하며, 학습자인 유아와 함께 공유하여 유아들이 자유롭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가장 재미있 고 잘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하면서 창의적으로 신장하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유아들은 Csikszentmihalyi(2004)가 언급한 것 같이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성과 개방성 을 허용하며 실수에 대한 관대함, 활발한 창조적 분위기가 요구되는 즉, 누리 반 교실 의 “적절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유아들은 자유로운 몰 입의 분위기에서 연속적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창의적인 산물들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언어 표현, 미술 활동으로, 몸동작 또는 음악적 표현으로 자신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표상 능력을 통해 자신만의 강점 포트폴리오에 담아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들 표현은 주어진 틀 내에서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사 고하게 하는 적절한 환경인 플로우 활동에서 유아들은 창의적인 활동을 창안하는 능력 을 지니는 것을 보여 주었다.

2) 앎을 더 알게 하는 사고 전략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의한 자기 평가는 유아들에게 자신을 되 돌아보면서 자기를 반성하는 반성적 사고를 이끌게 하여 이를 통한 메타 인지가 발달 되었다. 즉, 다양한 자기 평가와 부모의 직접적 평가 참여로 반복된 자기반성의 기회 를 가짐으로서 앎을 더 알게 하는 사고 전략을 지니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누리 반 유아들은 플로우*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이에 대한 자 기 평가로 자기 조절식 사고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메타인지 사고를 표현하는 능력 이 향상됨을 나타내었다.

3) 자기-활동에서의 플로우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은 반성적 사고에 의해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을 하였다. 유아 들은 재미있었던 활동, 잘한 포트폴리오 위주의 평가로 인해 스스로 즐기는 활동들에 서 자신의 강점을 탐색하고 능동적인 활동의 참여와 부족한 활동에 대한 반성으로 인 한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는 주도적인 학습자가 되어 플로우 활동의 놀이 계획 에 따른 자기 평가로 칭찬의 포트폴리오 만들기 위해 놀이 활동에 대한 주도성을 가지 게 되었다. 소집단 활동에서 유아의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강점을 강화하게 하는 누리

*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집 유아들의 교실 내에서 교육활동

(10)

반 교사의 개별적 교수 전략을 이끌게 하였고 이에 따라 유아는 과제 수행에서 주도적 이고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남기고 싶은 포트폴리오 선택과 공유의 기회는 스스 로 활동한 포트폴리오를 되돌아보면서 학습 태도를 형성하게 해 주는 동기화 과정도 지니게 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유아들의 자발적 학습은 몰입에 기초한 성취감에 따라 학습 태도의 형성과 이를 스스로 실천하면서 가능하게 되었고, 유아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가정, 지역사회, 교실 환경 등 유아가 매일 경험하는 다양한 환경과 실제 삶 속에서 유아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발견과 자신이 이미 알고 있었던 사실 과 연결시키며 다양한 각도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긍정적 자기 가치성 부여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스스로 포트폴리오에 대한 강한 성 취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어 긍정적 자아 개념인 자기 가치성 부여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자기 가치성 부여는 유아들이 포트폴리오를 되돌아보면서 스스로 긍정적인 활 동에 가치를 부여하여 성취의 만족감과 이를 통한 자신감에서 오는 정의적 발달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감정적 발달은 부모가 논평을 위해 유아에게 부여한 자기반성 의 기회로 부모로부터 확인됨을 보여주었다.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은 부모의 직접적 평가 참여에 따른 관심과 칭찬에 의해 증대되는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자신에 찬 모 습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와의 긴밀한 상호작용도 자기 가치성 부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는 유아들이 자기 평가의 힘으로 칭찬의 포트폴리오를 드러내면서 매슬로우의 인정 욕구를 추적해 가고 교사의 수용과 이해의 교수 전략으로 자신의 가치성을 더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3.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적용의 장애 요인 개선방향

김은영, 김주후(2017)의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적용의 장애 요인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많은 장점에도 불구 하고 현재 평가의 활용에 제한적인 요인 즉, 포트폴리오 평가의 구체적인 장애 요인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들의 연구에서는 경기도 8개 지역 어린이 집 및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들의 포 트폴리오 평가 이해도, 평가 경험, 자료 수집, 평가 방법, 평가의 장애 요인 및 사유 등을 탐색하여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1)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적용실태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이해도 조사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교사들 중 약 70% 이상이 자세히 모르거나 대충 알고 있는 것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 며, 약 27% 정도의 교사들만이 관심도 많고 자세히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1)

김미진(2004)의 유치원 교사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지도 연구결과와 일치하였 다.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 교사 대부분은 한번 이상 적용한 경험이 있었으며(76.15%), 그 중에서 가끔 있는 경우가 약 39%로 가장 많았고, 자주 적용하고 있는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는 강숙현(2001)와 주선희(2002)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 직전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 은 교사일수록, 현직에서 교육에서 교육 경험이 많은 교사일수록 포트폴리오 평가를 자주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연수와 정보의 제공 기회를 늘려야 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주선희, 2002; 김경철, 2007; 권영순, 2011). 따라서 현장에서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 하도록 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함께 연수 기회 확대 및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적용할 자료를 수집할 때 자료 유형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유형은 “영유아의 활동 결과물, 활동사진, 관찰기록, 교사의 해석 및 평가”를 포함하여 수집하여 교사가 약 59%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 직전 교육에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교사일수록, 현직 교육의 경험이 많은 교사일수록 “영유아의 활동 결과물, 활동사진, 관찰 기록, 교사의 해석 및 평가”를 포함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포트폴리오 평가적용 경험 실태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그러나 이 결과는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는 평가로서 자료를 수집하여 나열하는 기 존의 결과 강숙현(2001)과 이순자(2004)와는 차이가 있다.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할 때 평가 준거는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근거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 직전 교육을 받은 교사일수록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었다. 이는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연수 경험이 많고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 육을 받은 교사일수록 국가 수준의 통합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을 연계하 여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해 설서에 수준별 평가 준거를 좀 더 세분화하고 구체화하여 제시하여 교사들이 쉽게 평 가 준거를 접하게 할 필요가 있고, 교사 연구를 강화함으로써 표준보육과정(누리과정) 내용을 근거로 포트폴리오 내용을 구성하고 영유아 평가 척도로 활용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2)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에 어려움을 주는 장애 요인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에 어려움을 주는 장애 요인 항목을 분석한 결과, 연구 에 참여한 교사들은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자로서의 전문적 지식 및 시간 부족, 평가 의 실행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크게 2가지로 나타났다. 평가자로서의 지식 부족과 관련 해서는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평가 준거를 선정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부족하 다는 순서로 높게 응답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김정미(2001), 김경철 등

(12)

(2008), 심성경 등(2012)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시간 부족은 각종 서류와 행정 업무, 다음날 수업계획안 작성 및 수업 준비가2011; 심 성경, 2012; 류옥미, 2013). 주요 원인이었으며, 그 결과 또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 사하였다(윤정숙, 2002; 김미진, 2004; 김경철, 2007; 권영순,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행과 관련된 어려움 즉,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영유 아 관찰 및 기록과 관련된 어려움은 수업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관찰과 기록을 해야 한 다는 점, 사진 자료 수집 시 사진 촬영에 신경 쓰느라 중요한 활동 포인트를 놓치게 된다는 점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으며, 이 외에도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을 실행 하는 과정에서 교사 대 높은 영유아의 비율, 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으로 인한 수업의 방해, 평가를 실행하는 동안 다른 영유아들의 방치, 영유아의 개인차에 따른 평가 준 거 설정의 어려움, 구체적인 평가 분석 기준 미흡, 평가과정에서의 교사의 객관성 유 지(신뢰성 확보), 평가 결과의 활용 어려움 등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요인과 일치하였다(강숙현, 2001; 김정미, 2001; 주선희, 2002; 김미진, 2004; 김경철, 2008; 심성경, 2012). 특히, 최근 유아교육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결과의 활용 및 적용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에 활용 및 적용되어 영 유아의 신체적ㆍ정서적ㆍ사회적 발달의 상호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가를 수행하는 교사들의 평가 장애 요인을 극복하는 많은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3)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을 위한 개선 방향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고 활용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 을 조사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여러 가지 개선 사항을 요구하였다. 첫째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이해 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해 구체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과 다양한 사례에 대한 안내 서나 데이터베이스 제공, 둘째는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육 및 연수가 영유아를 평 가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단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대규모의 강의나 연 수 교육보다는 소규모 집단의 컨설팅 형태로 워크샵, 평가실습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 어지는 것, 셋째는 영유아의 객관적인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해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도구 선정 및 평가 준거 작성 방법, 평가의 내용 및 방법, 결과의 해석 및 활용 방법 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넷째는 교사들이 영유들의 포트폴리오 평가를 원활하게 적용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근무 조건 개선, 즉, 학급당 원아 비율 감소, 잡무 경감으 로 인한 평가 시간 확보, 다섯째는 평가 활성화를 위한 교사들에 대한 행정적 지원, 특히 평가 관련 기자재 확보 및 제공, 여섯째는 평가를 시행하는 교사들이 영유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평가 준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평가 제공 및 적합 한 평가 준거를 수립할 수 있는 안내 자료 제공, 일곱째는 평가 결과 활용상의 어려움 을 해소하기 위한 영유아의 개인차를 고려한 활동을 제시하는 다양한 수준의 평가 활 동 자료집 및 평가 결과의 구체적인 활용방법 및 사례를 제시한 자료의 제공 등을 요 구하였다. 이는 영유아의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성화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 도출 및

(13)

활용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결론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절한 평가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의 변 화 동향을 파악하여 유아교육활동의 새로운 평가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0 년 이후 유아교육 분야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련된 대표적인 논문 3편을 선정하여 조 사한 결과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필요성 및 목적,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효과, 앞으 로 평가의 적용 및 활용에 있어서 개선해야 점을 통해 최근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 향을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교수-학습방법, 생활지도 측면에서 다양한 교육활동 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의 순환 과정에 필수적인 평가 영역 분야가 취약하여 영유 아 발달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수립 및 유아의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여 지도하는데 많 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행평가의 대안으로 제시된 포트폴리오 평가는 “유아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자연스러 운 학습 상황에서 자료가 수집되고, 유아들의 직접적인 활동의 결과물로 발달적ㆍ학문 적 진보를 파악하고, 그 자료를 다음의 학습 계획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 에 교사는 평가과정을 통해 자신의 교수-학습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평가 과정이 단순하지 않고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며, 영유 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동시에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평가하는 교사 에게는 부담이 되고 있으며, 평가에 필요한 도구 확보, 평가에 대한 전문성 확보에 많 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적극적인 행정적 지원과 교사 자신의 노력, 정부의 평가 와 관련한 정책 수립 및 실행, 그리고 평가에 관련된 많은 교육 기회 및 자료 제공 등 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중지능을 적용한 프로젝트에 따른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기 평가와 부모의 직접적 평가 방법을 적용하 는 포트폴리오 평가의 효과는 유아들이 자신이 가진 강점을 활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활동에 대한 자발성, 주도성을 자극하는 동기화를 생성시켜 줌으로써 플로우 활동에서 창의성 증진, 자기조절식 사고의 향상으로 인한 사고 전략의 증진, 자기-가치성 부여, 부모의 칭찬에 의한 반성적 사고 촉진 등의 유아발달에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 혀졌다. 즉, 방법적으로 다양성을 지닌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들의 사고와 학습을 확 장시키는 도구로서 미래 사회의 적응력을 위한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 창의적 발 달과 자발적 학습 태도를 자극으로 교육적 효과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적용의 장애 요 인 및 개선방향”이라는 사례 연구에서는 교사 직전 교육을 받은 교사일수록, 또한 현 직 수집 요건 이해 비율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14)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장애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과다한 행정 업무ㆍ수업 준비 등의 시간 부족, 관찰 결과 의 기록화,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의 숙련화, 교사당 영유아 비율, 영유아의 개인차, 구 체적인 평가 준거의 설정, 구체적인 평가 기준, 평가의 객관성 유지 등의 평가 실행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크게 2가지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보다 활 성화하고 그의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영유아 포트폴 리오 평가에 대한 이해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과 다 양한 사례에 대한 안내서나 데이터베이스 제공,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소규모 집단의 컨설팅 형태로 워크샵, 평가 실습 등 다양한 형태 교육, 객관적인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해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도구 선정 및 평가 준거 작성 방법, 평가의 내용 및 방법과 결과의 해석 및 활용 방법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교사들이 영유들의 포트폴리오 평가를 원활하게 적용하고 실행할 수 있는 근무 조건, 평가 활성화를 위한 교사들에 대한 행정적ㆍ물질적 지원, 영유아의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평가 제공 및 적합한 평가 준거를 수립 할 수 있는 안내 자료 제공, 영유아의 개인차를 고 려한 활동을 제시하는 다양한 수준의 평가 활동 자료집, 평가 결과의 구체적인 활용 방법 및 사례를 제시한 자료의 제공 등 다양한 분야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 다.

최근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를 발달시키고 다음 학습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영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는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2000년 초기에 비해 질적으로 많은 발 전과 함께 그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이를 평가와 관련된 교육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유아 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하고 그의 결과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장애 요인들의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 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앞으로 이들 장애 요인들을 개선하여 유아 교육기관에서 영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성화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영유아의 발달과 다 음 유아 교육과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한 효율적인 방 안 제시와 함께 교사, 부모, 유아 교육기관 등의 노력,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 히 요구되어진다.

참고문헌

강숙현(2001).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영유아교육연구, 4, 1-20.

교육부(1998). 수행평가의 이해, 교육부 홍보 자료.

권영순 (2011).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현황 조사 연구. 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철 (2007).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새로운 경향: 전자포트폴리오 평가. 교원교 육, 23(3), 257-276.

(15)

김경철, 김은정, 배예경(2008). 유치원 포트폴리오 평가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57-378.

김명혜(2010).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 실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진(2004).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사립 유치원 관리자들의 인식. 열린유아 교육연구, 7(4), 271-289.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김은영, 김주후(2017).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의 장애요인 및 개선방향. 열린유 아교육연구, 22(2), 211-240.

김정미(2001).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태도 및 실태 비교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옥미(2013). 한 유치원 교사들의 포트폴리오 평가 경험,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마송희(2000). 유아 사회생활 영역 수행 평가의 실제, 열린유아교육학회 2000 가을 학 술대회 자료집, 173-199.

백순근(1998).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백은희(1999). 통합유치원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도구의 효용성 연구. 정서학습장애연 구, 15(1), 43-55.

심성경, 변길희, 류경희 (2012).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8), 449-460.

심성경, 함은숙, 변길희, 박수경(2012). 유아평가 바로 알기. 서울: 창지사.

심윤희 (2013).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 다중지능 이론을 기초한 프로젝트 중심교육과정에서. 한국보육학회지, 13(3), 329-353.

유승연(2000),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유아 과학 교수방법에 대한 반성적 사고 증진과 전문성 함양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1), 163-184.

윤복희(2000). 유아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연구. 공주영상정보대학, 7, 257-271.

윤정숙 (2002).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포트폴리오 활용 현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 학위논문.

이성희, 사영숙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현황. 미 래유아교육학회지, 11(3), 95-117.

이순자(2004). 유치원의 유아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225-268.

이영석, 이정화(편)(2000). 영역별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의 적용 원리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이용숙, 김영천(2002). 이용숙, 김영천(2002).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서 울: 교육과학사.

이정환,박은혜(1995), 교사들을 위한 유아 관찰 워크북. 서울 : 새세대육영회.

정종진(1999).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양서원.

(16)

조한무(1998).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주선희 (2002).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적용의 실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해익(2009).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정민사.

Adams, Thomasenia Lott(1996). Modeling Authentic Assessment for Preservice Eleme 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Educator, 32(2), 75-84.

Bergen, D.(1997), Assessing Student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of Pupil Produ cts, in Yearbook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ullo, Dominic F.(ed), New Yor k : Teachers College, 129-146.

Csikszentmihalyi, M.(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1990 원저 발간).

Gelfer, Jeffrey I.(1994). Implementig Student Portfolios in an Early Childhood P rogram,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97, 145-54.

Gelfer, J, I., & Perkins, P. G.(1998). Portfolios: Focus on young children. Teac hing Exceptional Children, 31(2),44-47.

Grace, C., Shores, E. F., Brown, M, H., Arnold, A. D., Graves, S. B., Jambor, T., & Neill, M.(1994). The portfolio and its us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little rock. AR: Southern Early Childhood Assoc iation.

Gullo, D. F.(2005). Alternative means of assessing children’s leaning in early childhool classrooms. B. Spodek & O. Saracho(Eds.), Handbook of research on t he education of young childre (PP. 443-455). NJ: lawence Erlbaum Associates.

Harris, M. E.(2009). Implementing portfolio assessment. Young Children, 64(3), 8 2-85.

Lynch, E. M., & Struewing, N. A.(2001). Children context: portfolio assessment i 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classroom. Young Expectional Children , 5(1), 2-4.

MacDonald, S.(1997). The portfolio and its use: A road map for assessment, South er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Martin, S.(1996).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valuation: Convincing students an d teachers of the importance of observation as appropriate evaluation of chil dren.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Shores, Elizabeth F. & Cathy Grace(1998). The Portfolio Book : A step-by-step Gu ide for Teachers, Beltsville : Gryphon House, Inc.

Stiggins, R.(1987), Design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 l Measurement : Issues and Practice, 6(3), 33-42

Vavrus, L.(1990). Put portfolio to the test, Instructor, 100, 48-53

Wortham, S. C.(2008).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5th Edition. Lond

(17)

on: Pearson Education.

(18)

국문초록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적절한 평가방법으로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이 있다. 유아교육 활동의 새로운 평가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변화 동향을 파악하여 2000년 이후 유아교육 분야 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련된 대표적인 논문 3편을 선정하였다. 이를 조사한 결과 유아 포트폴 리오 평가는 최근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용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2000년 초기에 비해 질적 수준 이 많이 향상되었다. 특히 유아의 창의성 발현, 사고전략의 증진, 자기-가치성 부여, 부모의 칭찬에 의한 반성적 사고 촉진 등의 유아발달에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포트 폴리오 평가의 장점은 유아의 직접 활동의 결과물로 발달적ㆍ학문적 진보를 파악하고, 다음의 학습 계획 수립에 교수-학습에 대한 반성적 사고 지니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평가 교사의 전문성 확보, 평가 과정의 복잡성, 평가 준거 설정 및 도구의 확보, 시간 부담, 영유아 의 개인차 등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평가의 적용 및 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 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평가의 활성화를 위해서 교사의 구체적이고 체계적 인 교육, 과다 업무 해소, 행정적 지원, 다양한 평가자료 제공 등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 타났다.

핵심어: 유아교육, 포트폴리오, 평가, 성과 평가

교신저자: 고옥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학교 Email: goguma7524@hanmail.net

논문투고일: 2019년 7월 14일 심사완료일: 2019년 7월 27일 게재확정일: 2019년 7월 29일

참조

관련 문서

Contents 4.1 ELW를 활용한 나만의 맞춤

발효 녹용의 효능 평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변동에 따른 대출 포트폴리오 신용위험의 변화를 대출 포트폴리오 손 실분포의 이동으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차주가 동질적이 라는

[참고] E-포트폴리오: 소개,

위와 같은 사전 고지에도 프로그램에 미참여시 심사과정 및 결과에서 불이익을

1)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자산의 수가 증가할수록 리스크는 체감적으로 감소 하되 어느 한계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3) 시장에서는 체계적 위험만이 기대수익률에

- 유아들을 대상으로 수련활동을 하는 태권도 지도자에 있어서 유아체육의 특 성과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것은 태권도 지도자의 기본적 자질에 해당되는 만큼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에 대한 내용 및 시간(제28조제1항 관련)..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