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장 입말차이와 사회 계층의 차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장 입말차이와 사회 계층의 차이>"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3주차: 중ㆍ고등학교 학교 현장 듣기, 말하기 교육 실태에 대한 고찰

<2장 입말차이와 사회 계층의 차이>

2.1. 목표

(1) 언어라는 교과목 및 언어사용에 수반되는 가치 판단과 오해에 맞서기 위함 (2) 언어학 및 심리학으로부터 몇몇 유용한 관점들을 도입하기 위함

(3) 이 책자에서 묘사된 접근에 대한 몇 가지 영향들을 보여 주기 위함 2.2. 방언과 표준 영어

1) 전제

- 오직 영어를 토박이말로 쓰는 화자들에게 관점을 둠

- 피험자 모집단이 모두 제2의 언어로 영어를 배운 사람이 아님

-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이 아닌 영어를 토박이말로 사용하는 화자의 입장에서 모국어를 논의함

2) 논의 내용

(1) 영어의 다양한 ‘변이체(varieties)’들 사이의 관계

표준 남부 영어 형식 스코틀런드 방언

what is the weather like?

(날씨가 어떻습니까?)

what like is the weather?

(무엇 같은 날씨입니까?)

- 스코트런드 방언은 표준 남부 영어 화자에게도 인정될 수 있는 표현임

⇒ 영국은 ‘표준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남부 잉글런드 사람의 영어를 ‘Received Pronunciation(받아들여진 발음)'이라고 표현

⇒ 표준 미국 영어, 표준 캐나다 영어, 표준 스코틀런드 영어 등을 모두 적합한 표준 형 태로 인정

- 스코틀런드 방언은 표준 스코틀런드 영어 형식에 가장 가까움

⇒ 지리·사회집단·도심 대 농촌 지역사회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어휘, 발음, 악센트 등에 서 차이가 남

(2) 언어들 사이의 차이를 통한 방언들 사이의 관계

- 하나의 언어가 다른 언어보다 복잡하거나 표현적·논리적이거나 발달한 것은 사실이 아님 - 모국어를 습득한 모든 사람은 동일한 ‘복잡성·창조성·표현력’을 지닌 의사소통 수단을 소 유

⇒ 하나의 방언이 다른 방언보다 정확하거나 표현력 있거나 논리적인 것도 아님

- 입말이 1차적이고 글말이 2차적이므로 글말 형식으로 포착된 관례들에 부합하도록 입말 을 고치는 것은 옳지 못함

- 어느 시대의 언어가 더 표현력 있거나 정확한지에 대한 비교가 불가능 함

⇒ 전체 인구의 서로 다른 부분에 의해서 말해지는 상이한 방언들도 서로 비교할 수 없음

⇒ 표준 남부 영어 및 표준 스코틀런드 영어가 다른 영어 방언보다 우선적이지도, 우월하 지도 않음

⇒ 방언들 중 ‘표준 방언’으로 채택된 것 또한 우연한 역사적 동기에 의해 비롯된 것일

(2)

뿐임

⇒ 방언과 방언의 차이를 위의 방식으로 성격 짓는 일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분명히 지각 되지 않음

표준 영어 형식 비표준 영어 형식(방언 형식) I never let anybody wash the car I never let nobody wash the car

- 사람들 대부분은 표준 영어 형식이 비표준 영어 형식(방언 형식)보다 내재적으로 좀 더 논리적이라 생각함

- 비표준 영어 형식은 ‘이중부정 또는 부정 호응 요소’를 지니고 있어 표준 영어 형식과 반 대의 의미를 나타냄

- 일반적으로 비표준 영어 형식을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잘못되었다고 생각함(자신이 의미하는 바의 반대 내용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 그러나 비표준 영어 형식을 사용하는 공동체에서는 정확하고 논리적이라고 생각함 [교과서 p.70 ~ 71 러보웁(Labov,1973)에 의해 인용된 대면담]

화자 : 15살 할렘가 출신의 흑인 학생(러보웁에 의해 ‘표준 영어에 대립되는 비표준 흑인 영어의 전형적인 화자’의 성격이 부여됨)

Why? I'll tell you why. 'cause, you see, doesn't nobody really know that it's a God, y'know, ' cause I mean I have seen black gods, pink gods, white gods, all color gods, and don't nobody know, know it's really a God, An' when they be sayin' if you good, you goin' t'heaven, tha's bullshit, 'cause you ain't goin' to no heaven, 'cause it ain't no heaven for you to go.

(왜냐고요? 아저씨한테 왜 그런지를 말해 줄게요. 왜냐면 잘 아시다시피 그게 하느님이라는 걸 실 제로 아무도 알지 못해요 잘 아시듯이, 왜냐면 내말 뜻은 내가 검정 신과 분홍 신과 하양 신과 모 든 색깔의 신들을 다 봤거든요, 허고 그게 실제로 하느님인지 알지 알지를 못해요, 허고 사람들이 좋은 일하면 천당 갈 거라고들 말하는데 그게 개똥이죠, 왜냐면 천당엔 갈 수가 없어요, 왜냐면 갈 수 있을 천당이란 게 아예 없기 때문이란 말이에요.)

⇒ 화자는 표준 미국 영어로부터 벗어난 여러 다른 형식과 더불어 ‘부정 호응 요소’를 빈번 히 사용하였지만 자식의 언어 공동체 속에서 조리 있게 말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비논리적으로 말한다고 비난 받지 않음

⇒ 언어와 언어 사용에 대한 대중들의 믿음 및 직관이 잘못 지각되어 있고 오도되고 있으 며, 단순히 방언 발화를 거부하는 편견을 버려야함

2.3. 언어와 사회계층

-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언어를 산출함 (1) 번스따인(Basilernstein)의 주장 :

‘public language’(공식적 언어) 및 ‘formal language’(격식 갖춘 언어)

‘restricred code'(제한된 말투) 및 ’elaborated code'(세련된 말투) (말투의 품위와 인품을 기준으로 하여 바뀜)

- 제한된 말투 : 비교적 빈도 높고 흔히 쓰는 낱말들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 - 세련된 말투 : 풍부하고 복잡하며 예측하기 어려운 유형의 말

(3)

⇒ 모든 어린이들이 제한된 말투에 접근 가능하지만 세련된 말투에 접근하는 일은 대체로 사회계층에 의해 결정됨

*변수

- 어린이의 조기 사회화에 책임이 있는 가족의 유형 - 권위와 통제가 가족 안에서 실행될 수 있는 범위 - 어린이의 개인별 발달을 위한 가능성

- 번스따인 이론의 영향력 있는 측면

⇒ 세련된 말투에 접할 수 없는 것을 근로자 계층의 가족 구성원과 연관지어 놓고 세련된 말투에 접하는 것을 중산층 가족 구성원과 연관지어 놓음

⇒ 근로자 계층 집안의 어린이들이 더 낮은 학교 학습 수행에 대한 설명을 찾아내려던 교 육 이론가들에게 매력적인 이론

*비판 - ‘제한된 말투’만 접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온 어린이들도 다른 실험 조건에서 ‘세련 된 말투’를 산출할 수 있음

(2) 트워드길(Trudgill)의 주장 : 

- 번스따인의 구분은 ‘문체적’ 차이일 뿐임 [교과서 p.75 번스따인의 주장과 예측의 반례]

ⓐ The blokes what was crossing the road got knocked down by a car (길을 가로질러 가고 있는 녀석들이 어떤 차에 치임을 당하였다/치였다)

ⓑ The gentlemen were crossing the road and a car knocked them down (신사들이 길을 가로질러 가고 있었고, 어떤 차가 그들을 치었다)

⇒ 번스따인의 이론을 바탕으로 ⓐ는 종속절과 수동태 구문을 지녀 ‘세련된 말투’의 특징을 드러내는 반면 ⓑ는 병치 나열 구문으로 되어 있어 ‘세련된 말투’의 특징을 지니지 않음

ⓐ가 비격식적 어휘를 지닌 비표준 방언이라도 ‘세련된 말투’라고 할 수 있지만 ⓑ는 더 격식을 갖춘 어휘를 지닌 표준 방언이라도 ‘세련된 말투’는 아님

⇒ 번스따인의 주장에 의한 혼란이 비표준 방언이 폄하되는 원인 중 하나이므로 비표준 방 언과 ‘제한된 말투’ 를 혼동하지 말아야 함

▶ 두드러지게 비표준 방언을 지닌 어린이들의 교육 방법

➀ 표준 영어 형식이 다른 지역으로부터 온 사람들과 편안하게 의사소통하기 적합함을 인식 하게 함

➁ 교육을 할 때 그들의 방언이 열등하다거나 그 학생이 ‘그렇게 말하지 말아야’한다는 인 상을 주지 않는 것이 필수적임

➂ 표준 영어 형식을 많이 아는 일보다 그것을 사용하는 적합한 기회를 인식하고 이용하기 에 온전한 준비가 갖춰지는 일이 중요함

2.3. 언어를 지님

- 논의의 내용은, 다른 계층으로부터 온 서로 다른 화자들이 ‘지니고 있는’언어의 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어떤 것이든지 있다고 가정할 하등의 근거가 없다는 믿음으로 이끌어 감.

* 언어를 ‘지닌다’는 것의 의미

- ‘언어를 지니는 일’이 그 언어에 대한 일련의 낱말들을 알고(어휘), 일련의 가능한 통

(4)

사 구조들을 알며(문법), 낱말들로 구성된 문장들을 소리 내는 법을 알고(발음), 문화 적으로 인지된 행위들을 적합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그 언어를 쓰는 법(화용)을 아는 것 을 뜻한다고 간주함

- 학업상으로 성공적인 학생이 교육 환경 속에서 높이 가치와 품격을 지닌 어휘를 더 많 이 알거나 쓸 가능성이 있음. → But, 두 학생이 모두 막대한 양의 어휘를 알게 될 것 임[각주20)참조}

[촴스키(Chomsky)에 의해 언어학자들에게 소개된 개념]

언어 능력(competence) 언어 수행(performance) 개인별로 머릿속에 갖고 있는 자신의

언어에 대한 지식

사용의 기회마다 개인에 의해서 활용되어 드러나는 언어

⇒ 토박이 화자들에게 그들 자신의 언어를 가르치는 일이 필요치 않다는 잘못된 생각에 대 한 논박임

⇒ 필요한 일은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언어 형식들의 사용에 대한 적합한 기회를 그들에게 가르쳐 주고, 그들의 언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전개하도록 하는 일임1)

2.4. 언어박탈 및 실어증에 대한 여러 이론 2.4.1. 감각박탈

- 감각박탈이란 용어는 심리학에서 특정한 실험들에 쓰인 빛·소리·감각 자극의 결여에 대한 조건을 기술하는 시점에서 쓰였음

- 어린이 발달에 적용하기 위하여 매력적인 것

보육시설에 있는 아이들 일반가정에 있는 아이들

앉기·서기·걷기·말하기 발달 빠름

* 주에서 운영하는 고아원과 같은 보육시설에 있는 아주 나이 어린 아이들을 일반가정에 자 라는 어린이들과 비교한 조사연구의 입장

⇒ 일반가정의 어린이들이 더 많은 관심을 받았고, 장난감을 더 많이 갖고 있었으며, 일 반적으로 더 풍족한 환경에 있었다는 사실 제시함

⇒ 학교에서 많은 근로자 계층의 어린이들에 의해 겪게 되는 교육적 불이익을 설명하기 위해 ‘감각박탈’이란 용어가 만들어짐

2.4.2. 문화박탈

- ‘문화박탈’은 몇 어린이들은 혜택 받지 못한(=박탈당한) 것으로 명칭이 붙을 수 있음 ┗ Why? 아주 일찍 어린 나이에 그들이 대부분의 교육 실천이 기반을 둔 중산층 문화의

많은 요소들로부터 ‘박탈’되었기 때문임 - 어린이의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박탈

어떤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력들을 그들로부터 박탈해 버린 조기 환경의 결과로서, 능력이 모자란 특정 학습자들을 갖게 된다는 점이 도출됨 → 결점들을 그 어린이와 어린이 자신 의 문화 속에 들여놓음

- 이런 방식의 주요한 반대

문화들이 서로 다르고 서로 간에 우월하지도 열등하지도 않음을 지적해 온 연구자들로부

1) 이는 흔히 ‘언어의 사용에 대한 자각’으로 불린다. [각주 21)참조]

(5)

터 나왔음 → 어린이의 토박이 방언이 하향 평가되지 않음을 의미함 2.4.3. 언어박탈

-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계속 견지되어 온 일반적인 견해는, 흔히 교육상 불리한 환경 속에 있는 어린이들이 핵심적으로 그들의 언어사용에서 결핍이 있다는 생각임

- 어린이들로부터 박탈된 것으로 가정된 것은, 학교에서 마주칠 법한 유형의 언어에 준비 가 잘 이뤄지도록 하는 중산층의 말하기 환경이었음

[교과서 p.84 ~ 85 버롸이터·엥글먼의 지문 ]

- 어린이들은 듣기나 말하기의 문제를 조금도 지니지 않은 정상 어린이들임 - ‘심각하게 박탈된’이란 말은, 그들의 발달 초기 환경에서 ‘언어박탈’을 가리킴

- 중산층 어린이들에 의해서 발음된 ‘변별적 낱말들’에 대해서, 정상적인 어른이나 어린이 대화 말하기에 대한 녹음테이프를 선택한 뒤에, 개별적인 낱말들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따로 들어보기 위해) 잘라내는 일은 흥미로운 실천임

⇒ 그 낱말들의 확인에 도움이 되는 주위 문장들이 없이는, 많은 낱말들이 비변별적이고 종종 인식 불가능

⇒ 다시 말하여, 낮은 계층 화자들의 말하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자연스런 말하기에 모두 적용될 것임

* 말하기를 듣는 경우에, 청자도 상당 부분 기여를 함

- 말하기 지각은 실제적인 낱말들을 뽑아내는 일부터 아주 능동적인 과정임 - 말하기는 보통 말소리와 무관한 많은 잡음들이 수반됨

- 정상적인 말하기에 ‘왜곡’이 있음

⇒ 낱말들이 함께 붙어 나오며, 그것들의 끄트머리가 불분명하거나 함께 사라져 버림

⇒ 낱말들의 강세 없는 음절들은 중립적인 콧소리(코 울림소리 ‘n')로 줄어들어 버림 Ex. ‘separate'(나누다)이란 낱말의 철자는, 두 번째 음절이 강세를 받지 않고, 보통 대화 에서 사람들에게 ’a'나 ‘e'를 상기시키지 못하는 중립적인 소리(ə)로 줄어들기

⇒ 한 열의 ‘변별적 낱말들’에 도달되기 전에 그 신호를 상당량 ‘깨끗이 갈마무리하고’ ‘깁고 이어 맞추는’ 일을 해야 하는 것이 말소리 지각의 특징임

⇒ ‘the, a, to, in, it' 등과 같이 작고 일반적인 낱말들이 정상적인 말소리의 녹음테이프로 부터 잘라져 나와 단독으로 들을 경우에는 거의 언제나 지각될 수 없음을 언급함

But 낱말들이 청자에게는 그 밖의 다른 낱말(=곧 앞의 허사 항목과 대립되는 실사 항목 들을 가리킴)들과 마찬가지로 실제적인 것으로 보임 ⇒ 재구성의 결과

[교과서 p.88 어린이들에게 일반적인 몇몇 낱말 놀이들의 근거를 형성하는 예시참조]

- 어떤 비-표준어 발화에 대해 공격하는 한 가지 일반적인 비판은, 그것이 ‘불분명하’거나

‘비변별적’이란 것임 ⇒ 비판의 잘못 : 표준영어로 된 대화식 발화가 더 이상 또렷이 ‘변별 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러함

- 청자가 발화를 이해하는 일을 얼마나 쉽게 잘 처리해 낼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될 변수 는, 말해지는 언어와 방언에 청자가 익숙해진 정도임

* 에드워즈는 미국에서의 ‘취학전 출발 지원교육’(Head Start project)와 영국에서의 ‘가하 건 및 가하건 지원교육’(Gahagan and Gahagan project)와 두 나라에 있는 지원교육과 교 육내용들을 가리키고 있음

(6)

① 대체로 그런 치료 지원교육은 명확히 언어 차이들에 대한 ‘결함’ 견해에 자리를 잡음 - 우리의 접근은 그런 간섭 교육내용들의 ‘언어결함’ 견해를 대신하여, 방언 차이들을 결

함이 아닌 것으로 인식함을 보여 주었음

② 우리 관심거리의 범위를 정보전달용 말하기에서 긴 발언기회를 갖는 데 포함된 그런 기 술들로 엄격히 정의를 내렸음

③ 제3장에서 명백히 해 두었는데, 우리는 ‘간섭’을 제안하는 것이 아님

- ‘간섭’은 임의 과정이 어떤 방식에서 잘못 된 경우에 관여해 들어감을 함의함 [교과서 p.90~91 아즈본(Osborn, 1968)으로부터 가져온 인용 참조]

➀ 작은 관사와 작은 동사에 대한 ‘생략’은 어른의 발화에서도 일반적임

- 그것들이 아주 쉽게 예측될 수 있는 위치에 나온 예측 가능한 낱말들이기 때문에, 청 자는 주목하지 않고서도 그 낱말들을 ‘채워 넣을’ 수 있음

② 그 반복 연습에서는 그 어린이의 언어 이해가 최소한이라고 잘못 가정함

- 특정한 반복 연습이 그 목표로서 어린이 언어 치료를 어떤 특정 언어 사용으로부터 나 온 추상화 형식으로 간주한 것 같다고 덧붙일 수 있음

- 어린이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경우에, 더 나이 든 어린이들이나 어른으로부터 나온 말 하기에 상당량 노출된 결과로서 그렇게 습득하는 것임

- 어린이들이 듣는 언어는 대부분 일상 대화의 아주 조각난 발화로 이뤄져 있다2)는 점 에서 ‘불완전’함

2) 의사소통의 가치는 정보간격이라고 추정되는 정보가 더욱 높다. 정보간격이란 화자인 나는 알고 있지만, 청자인 상대방은 모른다고 추정되는 정보이다.

참조

관련 문서

문제란 현실과 원하는 것의 차이-카우프만(kaufmann) 목표와 현상과의 차이(Gap) 이고 해결해야할 사항 바람직한 모습과 실제

표면조도, 부식, 표면경화 등에 의한 피로한도의 변화 현상.

여가-문화산업이 생산하는 상품의 차이, 가령 A영화와 B영화의 차이, 패밀리 레스토랑들의 차이, 다양한 여행상품들의 차이란 사실 상품 자체에서 나오는 본질적인 차이라기보다

 경찰수단이 범죄수사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형사소송법상의 임의수단이나 강제수단에 따라 수사목적을 달성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복리주의적 급부행정의

2장 글로벌 e-비즈니스와 협업 비즈니스 정보시스템의 종류..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질의 표준대화함축(standard Quality implicature)은 화자가 질의 격률을 준수하면서 생긴 대화함축을 뜻한다... 깃발은

그런데 자본축적은 이윤(부유층인 자본가 계층의 분배소득)의 함수이고 노동자 계층의 노동임금은 축적되지 않고 소비되어 버려서 자본축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 이자(interest)는 현재 혜택을 누린 대가로 미래에 원금에 더해 추가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부분을 말한다.. – 이자율(interest rate)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