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apter 2 열전도방정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Chapter 2 열전도방정식"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apter 2 열전도방정식

본 자료의 모든 그림, 표, 예제 등은 다음의 문헌을 참고 하였습니다.

참고문헌 : Yunus A. Cengel and Afshin J. Ghajar, "Heat and mass transfer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 4th ed., McGraw-Hill Korea, 2011

<학습목표>

1. 다차원성 및 시간에 의존하는 열전달 문제 및 열전달 문제를 1차원화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 이해한다.

2. 각종 좌표계 하에서의 열전도 미분방정식을 구한 후, 1차원 정상상태 방정식으로 단순화하는 과정을 이해한다.

3. 표면에서의 열조건에 대한 이해와 이를 경계 및 초기 조건의 항으로 수 학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찾는다.

4. 1차원 열전도 문제 해법과 매체와 열유속에서의 온도분포를 구한다.

5. 열원을 갖는 고체의 1차원 열전도를 해석한다.

6. 온도의 함수인 열전도도를 갖는 고체의 열전도를 해석한다.

(2)

2.1 서

열전달은 크기와 방향을 가짐.

(a)직각좌표계 (b)원통좌표계 (c)구좌표계

< 정상상태 대 비정상상태 열전달 >

정상상태: 매개물내의 어떤 점에 대해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음 비정상상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시간종속을 의미

< 다차원 열전달 >

Fourier의 열전도 법칙(1차원) :     



 

(k: 열전도도 dT/dx: T-x선도에서 기울기를 나타내는 온도구배)

Fourier의 열전도 법칙(3차원) :     



 

직각좌표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방성 : 모든 방향에서 물성치 같음

이방성 : 방향에 따라 물성치 변함

(3)

< 열발생 >

열발생 : 전기, 핵 또는 화학적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 (=열에너지) 열발생률 : 단위체적당 값,   으로 표시 (단위가  )

체적  의 매체의 총 열발생률

       

2.2 1차원 열전도 방정식

< 대형 평면벽에서의 열전도 >

(x에서 열전도율) - ((x+Δx)에서 열전도율) + (요소의 열발생률) = (요소의 에너지 변화율) 또는

Q

. x -

Q

. x+ Δx +

G

. element =

Δ

E

element Δ

t

Q

. x -

Q

. x+ Δx +

g

. AΔX = ρCAΔx

T

t- Δt-

T

t Δ

t

가변 열전도도: ∂

x

(

k

T

x

)+ .

g

= ρ

C

T

t

일정 열전도도: ∂2

T

2

x

+

g

.

k

= ∂

T

α∂

t

(1)정상상태: ∂2

T

2

x

+

g

.

k

= 0

(2)비정상상태 열발생이 없는 경우: ∂2

T

2

x

= ∂

T

α∂

t

(3)정상상태 열발생이 없는 경우: ∂2

T

2

x

= 0

< 긴 원통에서 열전도 방정식 >

(r에서 열전도율)-(r+Δr에서 열전도율)+(요소 내부의 열발생율)=(요소내부의 에너지 변화율)

Q

. r -

Q

. r+ Δr +

G

. element =

Δ

E

element Δ

t

Q

. r -

Q

. r+ Δr +

g

. AΔr = ρCAΔr

T

t- Δt-

T

t Δ

t

(4)

가변 열전도도: ∂2

T

2

x

+ ∂

2

T

2

y

+ ∂

2

T

2

z

+

g

.

k

= ∂

T

α∂

t

일정 열전도도: 1

r

r

(

r

T

r

)+

.

g

k

= 1α

T

t

(1)정상상태: 1

r

r

(

rk

T

r

)+ .

g

= 0 (2)비정상상태, 열발생이 없는 경우 : 1

r

r

(

r

T

r

) = 1α

T

t

(3)정상상태, 열발생이 없는 경우: 1

r

r

(

r

T

r

) =0

< 구에서의 열전도 방정식 >

가변 열전도도: 1

r

2

r

(

r

2

k

T

r

)+ .

g

= ρ

c

T

t

일정 열전도도: 1

r

2

r

(

r

2

T

r

)+

.

g

k

= 1α

T

t

(1)정상상태: 1

r

2

r

(

r

2

T

r

)+

g

.

k

= 0 (2)비정상상태, 열발생이 없는 경우: 1

r

2

r

(

r

2

T

r

) = 1α

T

t

(3)정상상태, 열발생이 없는 경우: 1

r

2

r

(

r

2

T

r

) =0

⋇복합 1차원 열전도 방정식

평면벽, 원통 및 구에서 각각의 1차원 비정상 열전도 방정식 1

r

n

r

(

r

n

k

T

r

)+ .

g

= ρ

c

T

t

여기서 평면벽의 경우 n=0, 원통은 n=1, 구는 n=2 평면벽의 경우 변수를 r대신 x로 대치함.

(이식은 정상상태 또는 열발생이 없는 경우에 단순화 될 수 있음.)

예제 2-3 전열기의 열전도.

열전도도 k=15W/m℃, 지름 D=0.4cm,길이 L=50cm인 2kW 전열기가 그림 2-27과 같이 물속 에 잠겨서 물을 끓이는데 사용된다. 전열선의 온도에 따른 열전도도의 변화는 무시하고 정상작동 중에 저항선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구하라.

sol) .

G

= ⌠v

g

. dv

.

g

=

G

.

V

=

G

.

( π

D

2/4)

L

= 2000

W

[π (0.004

m

)2/4](0.5

m

) =0.318* 10 9W/

m

3

(5)

열전도도는 일정하고 전선의 온도변화를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1

r

r

(

r k

T

r

)+ .

g

= 0

2.3 일반적인 열전도방정식

< 직각좌표계 >

길이 ∆ , 폭 ∆ , 높이 ∆ 인 직육면체

∆ 동안 이 직육면체에 대한 에너지 균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직육면체의 체적은    ∆∆∆ 이고, 직육면체의 에너지 변화와 열발생률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두식을 (2-1)식에 대입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을 ∆∆∆ 로 나누면 다음 식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향에서 전도된 열전달 면적은 각각   ∆∆   ∆∆   ∆∆ 이

고 ∆∆ ∆ 그리고 ∆→ 의 극한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은 직각 좌표계에서의 일반적인 열전도방정식이다.

일정 열전도도인 경우, 특정 조건하에서는 다음과 같다.

(1) Steady–state:

  

  

  

 

 

(2) Transient, no heat generation:

 

  

  

 



 

(3) Steady-state, no heat generation:



  

  

 

< 원통좌표계 >

        

직각좌표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식을 유도하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정 열전도도인 경우, 특정 조건하에서는 다음과 같다.

(1) Steady–state:

 

 

 

  

  

 

 

(2) Transient, no heat generation:

 

 

  

 

  

  

 

 

(3) Steady-state, no heat generation:

 

  

  

  

  

 

(7)

< 구좌표계 >

          

앞에서 한 방법으로 그대로 유도를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정 열전도도인 경우, 특정 조건하에서는 다음과 같다.

(1) Steady–sta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Transient, no heat genera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Steady-state, no heat genera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2-5 공기중에서 뜨거운 금속구의 냉각

반지름 R인 금속구는 오븐에서 600℉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런 다음 오븐에서 꺼내 T=7 5℉의 공기중에서 대류와 복사에 의해 냉각된다. 금속구의 열전도도는 온도에 따라 선형적 으로 변한다. 금속구는 바깥표면으로부터 균일하게 냉각된다고 가정하고 냉각기간 중 금속 구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미분방적식을 구하라.

풀이 ) 열전도도는 변하고 구의 열발생은 없다. 그러므로 구 내부의 온도 변화를 지배하는 미분

(8)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2.4 경계조건과 초기조건

경계에서 열적조건의 수학적 표현을 경계조건이라 함.

또한 열전달 문제를 완전히 기술하기 위해서 두개의 경계조건은 반드시 열전달이 일어 나는 각 방향으로 주어져야 함.

시간 t=0일 때의 주어지는 조건을 초기조건이라 하며, 이는 초기일 때 매체 온도분포에 대한 수학적 표현임.

실제로 주어진 온도, 열유속, 내류 및 복사등이 흔히 접하게 되는 경 계조건.

직각 좌표계의 경우 초기 조건은 T(x,y,z,0) = f(x,y,z) 여기서 함수 f(x,y,z)는 t=0 일 때 매체의 온도 분포

1 주어진 온도 경계조건

두께 L의 평면벽을 통한 1차원 열전달의 경우 T(0 , t) = T

1

T(L , t) = T

2

( 제 1경계조건)

T

1,

T

2

는 각각 x=0, x=L에서의 표면온도.

주어진 온도는 정상 열전도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에 따라 변할 수도 있음.

2 주어진 열유속 경계조건

(9)

q = =(양의 x방향으로 열유속) (W/m ) (제 2 경계조건

매체의 경계를 포함한 어떤 위치에서 양의 x방향으로 열 유속은 Fourier의 열전도 법칙에 의해 표현할 수 있음.

특별한 경우 : 단열경계

= 0 또는 = 0

단열면에서 그 면은 온도의 기울기가 0이므로 온도함수는 그 면에 수직이어야 함.

다른 특별한 경우 : 열적 대칭성

= 0

왼쪽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심인 x=L/2인 중심을 기준으로 열적대칭성을 갖음.

평판의 중심은 단열면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적인 열적조건을 갖음.

3 대류 경계조건

대부분의 열전달 표면은 특정한 온도를 가진 주위에 노출되 어 있기 때문에 대류는 실제로 가장 흔히 접하는 경계조건.

대류 경계 조건은 표면에서의 에너지 균형에 근거를 두고 다 음와 같이 표현됨.

(표면에서 지정된 방향으로의 열전도)=(표면에서 같은 방향으로 열대류)

두께 L의 평판에서 x방향으로의 1차원 열전달의 경우 표면에서의 대류 경계조건은 다음 과 같음.

그리고

=

왼쪽 상단 그림에서 과 는 열전달 계수, 과 는 평판 양

쪽에서의 주위 매체의 온도. 경계에서 열전달의 가정된 방향은 경

계조건 표현에 영향이 없고, 그 부호로써 그 방향만을 표시함. (다

만 평면벽에 관한 대류문제의 경우는 그 전달수단이 대류에서 전도

(10)

로 바뀌는 것뿐임.)

4 복사 경계조건

표면과 주위사이의 복사 열전달 메커니즘.

(표면에서의 지정된 방향으로 열전도)=(표면과 같은 방향으로의 복사열교환) 두께 L인 평판에서 x방향으로 1차원 열전달의 경우, 복사 경계조건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

그리고

, 는 표면에서의 방사율, =5.67×10

-8

W/m

2

․K

4

으로 Stefan-Boltzman상수

5 접촉면 경계조건

접촉면 또는 계면에서의 경계조건은 다음의 요구조건에 바탕을 둠.

(1)접촉한 두 물체는 반드시 접촉면에서 동일한 온도를 가짐.

(2) 접촉면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없으며, 접촉면 양족에서의 열유속은 같음.

왼쪽 그림과 같이 x=x

0

에서 완전히 접촉한 두 물체 A와 B의 접촉면에서의 경계조 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됨.

그리고

=

6 일반화된 경계조건

일반적으로 표면에서의 열전달은 대류, 복사 및 지정된 열유속 등을 함께 포함. 이 경우

경계조건은 다시 표면의 에너지 균형으로부터 표시됨.

(11)

(모든 모드에서 표면으로 열전달)=(모든 모드에서 표면으로부터의 열전달)

열전달 문제는 다른 표면에서 다른 경계조건을 갖으며 다른 경계에서는 어떠한 조건도 주어지지 않는 반면 동일경계에 한 방향으로 두 개의 경계조건들이 주어질 수 있음.

예제 2 – 6 열유속 경계조건

전기 가열기 위에 올려 놓고 쇠고기를 요리하는 알루미늄팬을 생각. 팬 바닥면의 지름D=20cm 이고 두께L=0.3cm. 전기 가열기의 가열장치는 요리중에 800W의 전력을 소비하고 발생된열의 90%가 팬에 전달된다. 정상 작동중에 팬 안쪽 면의 온도가 110℃로 측정. 요리를 하는 동안 팬 바닥 부분의 경계조건을 나타내라.

Sol )

- 해석 : 팬의 바닥에서 열전달은 1차원으로 근사 할 수 있음. 바닥의 바깥면과 안쪽 표면은 각 각 x=0, x=L로 나타낼수 있음. 정상작동시 T=T(x)

표면에서 800W중 90%인 720W가 전달

x=0 팬의 바깥면에서 경계조건 : -

k dT dx

(0) = .

q

0

여기서 .

q

0= 열전달률바닥면적 = 0.720

kW

π (0.1

m

)2 =22.9kW/

m

2

안쪽면의 경계조건

T

(L)=110℃ 여기서 L=0.003m

예제 2 – 8 대류, 복사 그리고 열유속의 복합조건

두께 L=0.2m인 남향집의 벽을 생각. 벽의 바깥면은 태양 복사에너지에 노출되어 있고 태양에 대한 흡수율α=0.5이다 집안의 온도

T

∞1= 20℃로 유지되고 바깥공기의 온도

T

∞2= 5℃로 유지됨. 하늘 지면 그리고 주위 건축물의 표면은 벽의 바깥 표면에서 복사교환이 일어날 수 있 는 표면으로 유효온도

T

sky= 225

K

로 모델화 할수 있다. 벽의 안쪽면과 바깥면 바닥 그리고 천 정 사이에서의 복사는 무시됨. 벽의 안쪽과 바깥면에서의 대류열전달계수는 각각

h

1=6

W

/

m

2℃와

h

2= 25

W

/

m

2℃. 열전도도 k= 0.7W/m℃, 벽의 바깥면의 방사율 ε1= 0.9 벽을 통한 열전달은 1차원 정상상태라고 가정, 벽의 안쪽과 바깥면에서의 경계조건 을 표시.

Sol )

x=0 안쪽면에서의 경계조건 : 대류조건.

-

k dT dx

(0) =

h

1[

T

∞, 1-

T

(0)]

(12)

x=L 바깥쪽면에서의 경계조건 : 전도, 대류, 복사, 지정된 열유속 포함.

 

 

  

 

∞    

   

 는 입사 태양 열유속

2.5 1차원 정상 열전도 문제 해

열전도 문제를 풀이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이 요약가능

(1) 가장 간단한 형태로 적합한 미분방정식 세우고, 경계조건을 지정하 여 문제를 수식화

(2) 미분방정식에 대한 일반해를 구함

(3) 경계조건을 적용하고, 일반해에서 임의의 상수를 정함

예제 2 – 10 평면벽에서의 열전도

두께L=0.2m인 대형 평면벽을 생각해보자. 열전도도는 k=1.2W/mk이고 면적은 A=15㎡이다.

벽의 양쪽면은 그림 2-40과 같이 각각 T1=120℃와 T2=50℃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a)x=0.1m에서의 온도와 벽 내의 온도변화를 구하고 (b)정상상태하에서 벽을 통한 열전도율을 구하라.

Sol )

- 해석 : (a)

 

경계조건

     ℃

       ℃

x에 대하여 한번 적분하면



 

 

(C1=임의 상수) 한번 더 적분하면

      

(13)

첫 번째 경계조건은

   ×    →   

두 번째 경계조건은

         →       → 

C1, C2값을 일반해에 대입하면

  

  

따라서, 주어진 경계조건에 따라 T(0)=T1 T(L)=T2이 된다.

x=0.1m 일 때

  



  ℃

  ℃  ℃

(b)열전도율은 Fourier의 법칙으로 부터 구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 2 – 11 다양한 경계조건을 가진 벽

두께L과 일정한 열전도도k 그리고 열발생이 없는 큰 평면적에서의 1차원 정상 열전도를 생각해 보자. 다음의 경계조건들에 대한 벽 내의 온도변화를 구하라(그림2-43)

  



  

      and      ℃

   

  

      an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nd   

    

       

Sol )



 

(14)

     

(C1 C2는 임의의 적분상수) - 해석 :

(a)경계x=0,x=L



 

 

경계조건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분상수를 대입한 특별 해는

  

  

(b)두 개의 경계에서 서로 다른 열유속을 가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두 경계들에서 동일 열유속이 주어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개의 경계에서 상수 C1은 같은 값이고, C2값은 없음 상수 C1을 대입한 특별해는 다음을 구할 수 있음

  

  

예제 2 – 12 다리미 바닥판에서의 열전도

두께L=0.5cm, 바닥면적 A=300㎠, 열전도도 k=15W/mk인 1200W의 다리미 바닥판에 대해 서 생각해보자. 그림 2-45에서와 같이 바닥판의 내부면은 열저항 코일에 의해 면전체에 균일하 게 가열되고, 받가판의 외부면은 T∞=20℃의 주위로 대류열전달로 열을 빼앗긴다. 대류열전달계 수 h=80W/㎡k이며 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무시할 때, 바닥면의 온도변화식과 바닥면 내부와 외 부의 표면온도를 구하라.

Sol )

- 해석 : 균일 열유속은

 

 

 



 





 

(15)

경계조건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적분하여 미분방정식의 일반해를 구하면

  

그리고

      

첫 번째 경계조건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두 번째 경계조건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따라서, x=0, x=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예제 2 – 14 증기관을 통한 열손실

그림2-49에서와 같이 길이L=20m, 내부반경 r1=6cm, 외부반경 r2=8cm, 열전도도 k=20W/mk인 증기관에 대해 생각하자. 관의 내외 면의 평균온도는 T1=150℃,T2=60℃이다. 정 상상태에서 관 내부의 온도분포에 대한 일반 관계식을 구하고 증기로부터 관을 통한 열손실률을 구하라

Sol )

- 해석 :

 



   

경계 조건은

      ℃

      ℃

r에 대해 적분하면

 

 

 

 

 

 

다시 적분하면

    ln   

두 개의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경계에서의 특정 값들을 대입하면

     →  ln     

     →  ln     

연립하여 풀면

ln  

 

and      ln  

 

 

관내의 온도는

   ln    ln 

      

열손실률은 관을 통한 총 열전도율이므로 Fourier법칙으로 구함.

    



 

   

   ln  

   

ln 

  ℃

  

예제 2 – 15 구형 쉘을 통한 열전도

그림 2-51과 같이 내부반경 r1=8cm, 외부반경 r2=10cm, 열전도도 k=45W/mk인 구형 용기 에 대해 생각해보자.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어떤 화학작용에 의해 내외 면의 온도는 각각 T1=200℃,T2=80℃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정상상태하에서 내부 쉘의 온도 분포에 대한 일반 관계식을 구하고 용기로부터의 열손실률을 구하라

(17)

Sol )

- 해석 :

 



   

경계조건은

      ℃

      ℃

r에 대하여 적분하면

 

 

 

 

 

 

다시 적분하면

  

 

두 개의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경계에서의 특정 값들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연립하여 풀면



 

     and 

 

 

구형 쉘의 온도 변화는

  

  

    

 

 

열손실률은 관을 통한 총 열전도율이므로 Fourier법칙으로 구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고체 내부의 열발생

매체를 통해 온도상승이 일어나는 매체들은 내부 열발생을 포함.(그림 2-53)

전기 저항선의 열발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됨.

(18)

 

 

    

 

정상상태 하에서 고체의 에너지 균형은 다음과 같음.(그림 2-54)

(Rate of heat transfer from solid)

= (Rate of energy generation within the solid)

   

열전달률은 Newton의 냉각법칙으로부터 다음과 같음(복사무시).

 

연립하면

(19)

  

(1)평면벽 (A

s

= 2A

wall

, V = 2LA

wall

)

 

  

m ax 



  

(2) 긴원통 (A

s

= 2πr

0

L, V = πr

02

L)(그림2-55)

 

 



   

m ax   

   

(3) 구 (A

s

= 4πr

02

l

, V = 4/3πr

03

)

    

 



   

m ax   

   



 

m ax

m ax

를 이용하면 중심선 온도를 구할수 있음.(그림 2-56)

예제 2-16 전열기의 중심선에서의 온도

열전도도 k = 15W/m℃이고 지름 D = 4mm L = 0.5m의 2kW 전열기는 물을 가열 하는데 사용된다. 저항선의 외부 표면온도 T

s

= 105℃일 때 저항선 중심의 온도를 구하 라.(그림2-57)

sol)

단위체적당 열발생률

  

 

  

 

  

  



   



선의 중심온도

(20)



   

 ℃ 

  

℃ 

 



 ℃

예제 2-17 전열기의 온도변화

반지름 r

0

= 0.5cm, 열전도도 k = 13.5W/m℃ 인 균질의 긴 저항선이 대기 압력하 전류를 흘려 물을 끓이는 데 사용한다. 저항선은

     



의 율로 균일하 게 열을 발생한다. 만일 저항선의 외부온도 T

s

= 108℃로 측정된다면, 정상상태에 도달 했을 때의 온도분포에 대한 관계식을 구하고, 저항선의 중심선에서의 온도를 구하라.

(그림2-58,59)

sol)

온도변화를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

 



  

 

경계조건

 

 ℃

,





 

변수분리 후 적분하면

 

  

  

... (a)

두 번째 경계조건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a)식을 r로 나누고 적분가능한 형태로 변환



  

  

(21)

적분하면

  



 

... (b)

첫 번째 경계조건을 적용

   



  

 →



 

  

(b)에 C

2

를 대입한 후 재정리

 

 



  

 

... (c)

(c)에 r=0을 대입한 후 알고 있는 값들을 대입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중심선에서의 온도는 128℃

예제 2-18 두 층 매체 내에서의 열전도

그림 2-60처럼 반지름 r

1

=0.2cm, 열전도도 k

wire

= 15W/mk 인 긴 저항선에

    



의 일정한 율로 균일하게 열이 발생한다. 저항선은 열전도도 k

ceramic

=

1.2W/mk인 두께 0.5cm의 세라믹에 피복되어 있다. 만일 세라믹층의 외부 표면온도가 T

s

= 45℃라면 정상상태에서 저항선의 중심선 온도와 저항선과 세라믹 접촉면에서의 온도를 구하라.(그림2-60)

sol)

미지의 접촉면 온도를 T

1

이라 하면, 저항선에서의 열전달 문제는 아래와 같이 수식화됨



 



 

 

  

 

(22)

   



 

 

예제 2-17과 같은 방법으로 풀 수 있고, 구한 해는

  

 

  

 

... (a)

세라믹층은 어떠한 열발생도 없고 외부표면온도는 특정값으로 주어짐



 



   

  

   

   

 ℃

예제 2-15와 같은 방법으로 풀 수 있음

   

ln  ln 

 

... (b)

접촉면 온도 T

I

은 r = r

1

의 접촉면에서 저항선과 세라믹층의 열유속이 같다는 두 번째 접촉면 조건으로부터 구할 수 있음.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접촉면 온도는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 ℃  ℃

중심선(r = 0)에서의 온도는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 2-19 전열기의 온도변화

그림 2-61에서 두께 2L인 대형 평면벽에서 균일한 열이 발생한다. 벽 내부의 온도변화

식을 (a) T1 > T2, (b) T1 = T2 대해서 구하라.(그림2-61)

(23)

sol)

직각 좌표계에서 열발생이 있는 열전도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1차원 정상열전도에서의 일반 열전도방정식



 

  

 

두 번 적분하면

   



  

 

(a) T1 > T2인 비대칭 경계조건의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상수 C1, C2는 다음과 같다.



and

 



  

 



일반해에 대입하면, 벽 내부의 온도변화는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b) 대칭 경계조건의 경우, 위 식에 T1 = T2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음

 



  

  

 

2.7 가변 열전도도 k(T)

열전도도의 평균값

k

ave=

⌠⌡

T2 T1

k

(

T

)

dT

T

2-

T

1

(24)

가변 열전도도에 대한 정상상태 열전달률.

(1) 평면벽의 경우: .

Q

planewall=

k

ave

A T

1-

T

2

L

=

A

L

T2

T1

k

(

T

)

dT

(2) 원통형의 경우: .

Q

cylinder= 2π

L k

ave

T

1-

T

2 ln(

r

1

r

2 )

= 2π

L

ln (

r

1

r

2 )

⌠⌡

T2 T1

k

(

T

)

dT

(3) 구형의 경우:

Q

. cylinder= 4π

r

1

r

2

k

ave

T

1-

T

2

r

2-

r

1 =

( 4π

r

1

r

2)

r

2-

r

1

T2

T1

k

(

T

)

dT

선형함수로서 근사적 표현

k(T) =

k

0(1+βT) β : 열전도도의 온도 계수 이 경우 열전도도의 평균값

k

ave=

⌠⌡

T2

T1

k

0(1-β

T

)

dT

T

2-

T

1 =

k

0(1+β

T

2-

T

1

2 ) =

k

(

T

ave)

예제 2-21 k(T)인 벽면을 통한 열전도

두께 = 0.1m 높이 2m 폭0.7m 황동판.

판의 한쪽면이 400K로 유지되는 동안 다른 한 면은 600K로 유지됨.

열전도도 k(T) =

k

0(1+βT) -> 선형적으로 변함 (

k

0=38W/mK, β=9.21* 10- 4

K

- 1) 가장자리 효과를 무시,1차원 열전달로 가정 평판을 통한 열전도율을 구하라.

sol)

k

ave=

k

(

T

ave) =

k

0(1+β

T

2-

T

1

2 )

= (38

W

/

mK

) [1 + (9.21* 10- 4

K

- 1) (600 + 400)

K

2 ] = 55.5

W

/

mK

평판을 통한 열전도율

Q

. planewall=

k

ave

A T

1-

T

2

L

= (55.5

W

/

m K

)(2

m

* 0.7

m

) (600 - 400)

K

0.1

m

= 155400

W

참조

관련 문서

가수분해를 하면 산과 알코올로 변한다...

¡ 농업농촌부는 전염병 사태와 위험평가결과에 따라 국무원에 I급 대응과 국가대응지휘기 구의 가동을 청하거나 또는 국무원의 허가를 받아 농업농촌부에서 I급 대응을 개시하고 여러

[r]

실질적인 응용에서 형상기억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때 회복되는 변형량 뿐만 아 니라 변태온도와 응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소리의 구성요소 중 소리의 색깔을 나타내는 음색은 사람마다 다른

신경 맥박 상태로 전달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청자가 비로소 인지하는 단계; 암 호 해독 decoding 단계... 호흡 기관:

이때 벽은 주위와 열적평형을 이루었다고 하며 더 이상 온도차가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열전달은 정지된다.. 그러나 벽과 표면근처는 주위 매체와

2.6 단백질의 amino acid sequence가 단백질의 3차 구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