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분자를 활용한 플라즈몬 나노 입자의 회합구조 및 광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분자를 활용한 플라즈몬 나노 입자의 회합구조 및 광특성"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송지은

2013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2013-현재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조은철

2004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박사) 2004-2007 아모레퍼시픽 선임연구원 2008-2011 Washington University 박사후

연구원

2011-현재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조교수, 부교수

임소라

2012 한양대학교 화학과 (학사) 2012-현재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석사)

고분자를 활용한 플라즈몬 나노 입자의 회합구조 및 광특성 제어

Polymer-Mediated Controls over the Self-Assembly Structures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Plasmonic Nanoparticles

송지은ㆍ조은철ㆍ임소라 | Ji Eun SongㆍEun Chul ChoㆍSora Lim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22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133-791, Korea E-mail: enjoe@hanyang.ac.kr

1. 서론

그림 1a는 서기 4세기경 고대 로마시대에 제작된 리커르거스(Lycurgus)컵이다. 이 컵은 기원전 800년경 Thracians 나라의 왕이었던 리커르거스가 폭정으로 인해 분노한 백성들을 피하여 도주하는 과정 중 포도넝쿨 에 걸려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현재 대영 박물관(British Museum)에 소장되어 있는 이 컵의 특징으로는 컵에 빛을 비추지 않을 경우 일반 컵과 다를 바 없지만(그림 1a, 좌) 빛을 비추게 되면 컵이 붉은 색 계열의 색들을 띠 게 된다(그림 1a, 우). 당시의 유리가공 기술자들은 유리를 녹여 가공하는 과정 중 금과 은 염을 첨가하여 리커르 거스 컵과 같은 다양한 색을 가진 장식용 유리를 제조하였다. 한동안 이 기술은 전수되지 못하였으나, 17세기부 터 몇몇의 유리가공 기술자들에 의해 재발견되었으며, 그림 1b에서와 같이 소위 “Cranberry Glass”라는 이름 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유리가공기술은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왕 시대에 가장 융성하였으나, 당시의 사람들은 금이 왜 일반적으 로 우리가 보아 왔던 “금색”이 아닌 그림 1a, b와 같은 붉은색을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했다.

하지만 20세기들어 한 과학자에 의해 “Cranberry Glass”에 대한 비밀이 밝혀졌는데, 그가 바로 Richard Adolf Zsigmondy(1865-1929)이다(그림1c). 그는 빛의 존재 하에 색을 나타내는 유리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 고 수년간의 연구 끝에 금이 나노 크기의 콜로이드(colloid) 형태로 존재할 때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콜로이드 화학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2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2)

그림 1. (a) 빛을 비추지 않았을 때(좌), 빛을 비추었을 때 리커르거스 컵 (우).1 (b) Cranberry glass,2 (c) Richard Adolf Zsigmondy (1865- 1929). 오스트리아 태생 독일의 화학자로 콜로이드 용액의 불균일 특성의 설명으로 192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3

그림 2. (a) 금속평판에서의 SPR현상. 금속 표면으로 멀어질수록 전기장 이 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한다.4 (b) 금속 나노 입자에서의 LSPR 현상.

빛의 파장보다 나노입자의 크기가 훨씬 작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4

이후 합성기술, 전자현미경기술, 분석기술, 다양한 융합기 술의 발달로 인해 금뿐만 아니라 여러 금속 나노입자도-특히 귀금속 나노입자인 금, 은과 coinage metal로 불리는 동까지 포함- 독특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일 반적으로, 금속 나노구조체는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LSPR)현상에 기인하여,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달라진다고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러한 플라 즈몬 나노입자는 장식용 유리조형물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 니라, 센서, 촉매,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기반이 되는 소재로써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광학적 성질 은 입자의 기하학적 구조제어를 통해서 조절이 가능하기도 하지만, 최근 몇몇 연구들에 의하면, 입자의 회합구조제어를 통한 조절 또한 가능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플라즈몬 나노입 자의 자기회합구조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예 를 들면, 입자 분산용액 상에서 다른 물질을 첨가하거나, colloidal crystal을 제조하는 것과 같이 분산매의 건조조건 의 조절을 통해, 그리고 물질(예: 블록 공중합체)의 상전이 현 상을 이용하여 회합구조조절이 가능하다. 이럴 경우 회합을 통해 얻어진 구조체는 입자가 본래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특 성뿐 아니라 입자의 회합에 따른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적으 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surface plasmon resonance(SPR) 및 LSPR 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플라즈몬 나노입 자의 자기회합구조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에 대하여 이론 및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알려진 자기회합방법 중 분산용액에 다양한 물질 (특히 고분자 혹은 고분자 입자)을 첨가하였을 경우 회합구 조 및 광학적 성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어떠한 장점을 가지 는지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2. 본론

2.1 SPR과 LSPR의 정의 및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광특성 조절 SPR이란 전도성 금속물질이 비전도성(dielectric) 매질 (물, 공기 등)과 계면을 형성하고 있을 때 전도성 금속물질 표 면의 대전현상으로 형성된 전기장을 통하여 플라즈몬(plasmon) 들이 일정한 주기(frequency)를 가지고 이동하는 현상이다.

금속평판 형태의 경우 플라즈몬은 금속 표면의 전기장을 따 라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를 이동할 수 있고, 이때 발생 된 전기장은 금속 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한다(그림 2a). 만약 특정파장의 빛이 금속표면에 도달하였을 때, 빛의 파장과 금속표면 플라즈몬 의 진동주기가 일치할 경우 공명(resonance)이 일어나고 빛 은 금속 표면에서 흡수 또는 산란된다. 예를 들면, 금속은 자 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 또는 산란시키는 데 반해 금은 가시 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 또는 산란시킨다.

금을 나노크기의 필름, 선, 입자형태로 제조할 경우 우리 가 보아 왔던 일반적인“금”색이 아닌 구조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냄과 동시에 여러 가지 우수한 물리적 성질 이 발현된다. 입자의 크기가 빛의 파장보다 매우 작은 금속 나노입자의 경우 플라즈몬은 금속 평판의 경우와 달리 이동 하지 않고, 대신 나노입자 내에서 특정 파장을 가지고 집단적 으로 진동(collective oscillation)을 하게 된다(그림 2b). 이 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주기(frequency)는 금이 마이크로 혹 은 bulk형태에서 발생되는 주기(frequency)와 다르며, 나노 입자의 크기,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게 된다. 이러한 현 상을 일반적인 bulk 상태에서의 SPR 현상과 구분을 짓기 위

(3)

그림 3. (a) 금 나노입자의 모양 및 크기에 따른 다양한 색.5 (b) 구형 모양의,10 (c) nanorod의,6 (d) nanocage7 등의 여러가지 금 나노입자의 형태와 입자의 기하학적 변화에 따른 광학적 성질의 변화.

그림 4. 금 나노입자간의 거리에 따른 extinction 스펙트라의 변화. 입자간 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extinction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한다.12

해 LSPR이라고 한다.

Bulk 혹은 마이크로 크기의 금과 나노크기의 금에서 가시 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큰 차이는 색이다. 나노입자는 금속의 종류, 크기, 그리고 모양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내 게 된다. 그림 3a는 금 나노입자의 크기/모양에 따른 색변화 를 보여주는 사진이며,5 그림 3b-d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알 려진 금 나노입자의 형태와 입자의 기하학적 변화에 따른 광 학적 성질의 변화를 보여준다.6-7 구형 금 나노입자의 경우(그 림 3b) 입자의 직경(D)이 커짐에 따라 흡수/산란되는 빛의 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봉우리(peak)의 폭도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구형 금 나노입자의 색은 분홍/빨 강에서 우리가 보아 왔던 “금”색이 섞인 분홍/빨강으로 변 하게 된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빛을 흡수하는 정도보다 산란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8 막대모양의 금 나 노입자(gold nanorod)의 경우(그림 3c) 길이 (length, L)와 폭(width, W)의 비율 (L/W, 이를 aspect ratio라고 한다)에 따라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산란하며, 폭에 해당되는 흡 수/산란 파장과 (500-520 nm부근; transverse wavelength) 길이에 해당되는 흡수/산란 파장(longitudinal wavelength) 을 동시에 보인다. 일반적으로 수용액에 분산하였을 경우 longitudinal peak의 세기가 크며 aspect ratio에 따라 두 peak의 비율이 달라진다. Gold nanorod는 구형의 금 나노 입자보다 조절할 수 있는 빛의 흡수/산란 파장 영역이 상대 적으로 넓으며 aspect ratio가 클수록 longitudinal peak이 장파장영역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gold nanorod의 색도 보라색, 푸른색, 초록색, 갈색 등으로 다양하다.9 Gold nanocage 의 경우(그림 3d) cage 벽의 두께(wall thickness, t)와 외각 변의 길이(outer edge length, l)의 비에 따라 파장이 달라지 며 gold nanorod와 마찬가지로 넓은 영역의 빛을 흡수/산 란시킬 수 있다.7 Gold nanoshell도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서 흡수 및 산란 파장과 색을 조절할 수 있다.5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기하학적 구조변화에 있어서 고분 자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고분자는 poly(vinyl pyrrolidone) (PVP)이다. 최근

다양한 고분자를 사용하여 플라즈몬 나노입자 구조를 제어 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고, 카이스트 송현준 교수님께 서 2014년 2월호 특집을 통해 고분자의 역할에 대해서 자세 하게 설명하였으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2.2 플라즈몬 나노입자 회합구조체의 광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플라즈몬 특성을 지닌 나노입자를 회합시키면 나노입자 가 가지고 있는 플라즈몬 특성뿐 아니라 입자간 접촉(이를 coupling 이라고 함)으로 인해 다양한 성질들이 나타나게 된 다. 예를 들어, 입자간 접촉으로 인해 접촉부분에는 플라즈몬 입자의 전자기장이 증폭되는 이른바 “hot spot”현상이 발생 하며, 이를 활용하여 Raman probe의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SERS) 신호를 증폭시키는 연구가 최근 보고되고 있다.11 또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광학적 특성도 조절될 수 있는데, 나노입자의 회합을 통해 얻어진 구조체에 의 입자간 간격, 회합된 입자개수, 그리고 기하학적 구조 등 이 회합구조체의 광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12-17

2.2.1 입자간 간격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입자간 간격 조절을 통한 광특성 변 화에 대한 연구는 simulation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 근 단일 나노입자 및 회합구조체의 광학적 성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의 발달로 실험을 통한 연구 또한 가능해졌다. 일반 적으로 플라즈몬 나노입자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빛의 흡수/

산란 파장이 장파장 영역으로 이동한다고 알려져있다(그림 4).12 예를 들면, 구형 금 나노입자에 alkanethiol 화합물을 처 리하여 얻어진 일차원 구조체의 경우 thiol 화합물의 알킬 사 슬 길이(alkyl chain length)에 따라 구조체의 빛에 대한 흡 수/산란 파장이 달라졌다(그림 5).17 아울러 미국 메사추세츠

(4)

그림 5. (a) 사슬 형태의 금 나노입자의 회합 제조 도식. Thiol 화합물의 알킬 사슬 길이에 따라 금 나노입자 간 거리가 달라진다. (b) 금 나노입자 분산용액 사진 thiol 처리전(좌), methylene unit 개수(n)=3의 thiol 처리 후 24시간 경과(중간), n=11의 thiol 처리 2주 후(우) (c) n=3, (d) n=11의 thiol 처리로 제조된 나노입자 구조체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스펙 트럼. (e) n=3, (f) n=11의 thiol 처리로 제조된 구조체의 TEM 사진.

(g) Methylene unit 개수에 따른 입자간의 거리 및 빛의 흡수/산란 파장 이동.17

그림 6. (a) 고분자 dendrimer와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말단으로 가지는 금 나노입자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회합 구조 형성 및 dendrimer 크기에 따른 입자간 거리 조절. (b) 금 나노입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질수록 흡수/산란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한다.18

그림 7. (a) 회합된 나노입자의 개수의 증가에 따른 흡수/산란 파장의 장파 장 쪽으로의 이동.12 (b), (c) Nanoring19과 더불어 octahedron16 형태의 금 나노입자에서도 두 입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보다 장파장 쪽으 로의 흡수/산란 파장 이동.

대학의 Rotello 교수 연구 그룹에서도 고분자의 dendrimer 와 금 나노입자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나노입자의 회합 을 유도하였는데(그림 6), 고분자 dendrimer의 크기에 따라 금 나노입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를 통하여 광특성 조절 이 가능함을 보고하였다.18

2.2.2 회합구조체의 기하학적 구조 및 구조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플라즈몬 나노입자를 회합시킬 경우, 입자가 회합된 구조 체의 기하학적 구조와 구조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 또한 광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관하여 잘 알려진 구조는 구형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1차원 회합구조이다(그림 7a).12 이 구조에서 입자간의 간격이 입자 의 전기장에 영향을 줄만큼 가까울 때, 회합된 입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구조체의 빛 흡수/산란 파장이 장파장 영역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광학적 성질은 gold nanorod의 광학적 성질과 유사하다고 보고되고 있다(transversal wavelength 와 longitudinal wavelength가 나타나고, 회합된 입자의 개 수가 증가할수록 longitudinal wavelength가 장파장 영역 으로 이동). gold nanoring과 gold octahedron 나노입자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그림 7b, c).16,19 위의 예와 같은 1차원 배열은 thiol 화합물이나 염, 생체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물 질을 첨가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Gold nanorod의 1차원 회합구조 또한 구형 나노입자에 서와 유사한 광학적 성질의 변화가 보고되었다.14 Gold nanorod가 일렬로 배열된 경우(길이 방향) 회합구조체의 전 체 길이가 증가한 만큼 길이방향으로 빛의 산란 파장이 장파 장 영역으로 이동한다(그림 8a). 반면 gold nanorod가 길이 방향으로(nanorod 간의 연결각; 180°) 연결되지 않고 비대 칭적으로 연결된 회합구조체의 경우 입자 개수가 증가할수 록 빛의 산란 파장이 증가하는 정도가 감소한다고 보고되었 다(그림 8b).

최근 라이스 대학의 Halas 교수 연구 그룹에서는 실험과

(5)

그림 8. (a) Gold nanorod의 일렬로 회합된 입자 개수의 증가에 따른 산란 파장의 장파장 쪽으로의 이동(좌 : TEM 사진, 우 : 회합 구조의 산란 파장 측정). (b) 연결각에 따라 장파장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달라진다.14

그림 9. (a) 좌: SEM 사진에 부합하는 nanocluster의 dark-field 산란 spectrum. 3차원 회합구조에서는 1차원 회합구조보다 복잡하면서 보다 넓 은 영역에서의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우: 산란되는 빛의 polarization 각에 따른 산란 스펙트럼.20 (b) 플라즈모닉 heptamer의 빛의 polarization 각에 다른 extinction 스펙트럼.13

그림 10. (a) DNA를 이용한 온도에 따른 금 나노입자간의 간격 조절, (b) DNA target의 존재유무에 따른 색변화(좌)와 아울러 온도에 따른 광학적 신호의 변화(우).29

그림 11. (a) 금 나노입자는 agarose 겔 network에서 온도에 따라 가역적 으로 회합 및 분리되며 그에 따라 색이 변한다. (b) 회합 구조에 온도를 낮출 때(좌)와 온도를 다시 높일 때(우)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스펙트 럼.30 (c) 좌: 필름에 가해지는 stress에 따라 금 나노입자 사이 거리가 변하고 그에 따른 색변화가 일어난다. 우: 필름에 압력이 가해지면 UV-Vis extinction 파장이 보다 장파장으로 이동한다.31

simulation을 통해 입자의 회합구조의 기하학적 구조와 회 합 구조를 구성하는 입자개수가 구조체의 광학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증명하였다.20 회합구조가 일차원(anisotropic) 이 아니라 3차원 회합(isotropic)을 이룰 경우 1차원 회합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보다 복잡하고, 장파장 영역에서 여러 개 의 봉우리를 가진 스펙트럼을 얻는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회합구조에서는 회합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개수가 증가할수 록 빛을 흡수/산란시키는 파장 영역이 넓어지며 가시광선뿐 아니라 근적외선영역의 빛을 흡수/산란시킬 수 있다(그림

9a). 이러한 현상은 금 나노입자뿐 아니라 은 나노입자의 3차 원적 배열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21 이에 앞서 하버 드 대학의 Capusso 교수 연구 그룹에서는 gold nanoshell 을 3차원적으로 회합시켜 상기 예와 같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림 9b).9

(6)

그림 12. (a) 금 나노입자와 수화겔 콜로이드로 구성된 복합 콜로이드에서 금 나노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흡수/산란 대역폭 이 넓어진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색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b) 수화겔 콜로이드에 회합시킨 금 나노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RT에서 50 ℃까지의 승온 과정에서 다양한 색변화가 나타난다. (c) 온도 변화에 따른 금-수화겔 복합체에 존재하는 금 입자 밀도(좌) 및 입자간 간격(우) 을 나타낸 그림.37

2.3 고분자 또는 고분자 입자를 이용한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회합구조 및 광학적 성질 제어에 대한 연구

1990년대 말 노스웨스턴 대학의 Mirkin 교수 연구 그룹은 DNA를 이용하여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회합을 유도하였고,22 DNA 상보염기 쌍이 온도에 따라 hybridizationdehybridization이 가역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금 나 노입자의 회합구조가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연구결과를 발표

하였다.23-25 이 결과는 분석물질이나 표적질병을 감지하기

위해 분석 장비에 의존하지 않고 플라즈몬 나노입자 용액의 색변화를 통해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 이러한 개념을 활용하여 몇몇의 연구에서 생체물질을 이용 한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회합과 이에 따른 구조체의 플라즈 몬 성질의 변화를 보고하였다.13, 26-28

플라즈몬 입자의 광학적 성질 변화를 유도하는 물질로써

고분자를 활용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 다. Rotello 교수 연구 그룹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고분자 dendrimer 크기에 따라 금 나노입자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회합구조체의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킨 연구 결과를 보고하 였다.18 아울러,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Yin 교수 연구 그룹이 흥미로운 결과를 발표하였다.그림 11a에서와 같이 표면에 음전하를 가지는 금 나노입자를 agarose 겔과 혼합하여 온도에 따라 금 나노입자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조 절, 이를 통해 회합구조를 가역적으로 변화시켰다.30 따라서 광학적 성질 또한 가역적으로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색 (붉은색 ↔보라색) 및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스펙트럼을 통 해 확인할 수 있다(그림 11a, b). 또한, 이 그룹은 최근 연구에 서 고분자 용액에 일차원적으로 배열한 구형 금 나노입자 구 조체를 분산시켜 필름 형태로 제조하였다(그림 11c). 이 구조 체는 외부의 응력(stress)에 의해 금 나노입자간 거리가 조절되 었고, 이를 통해 광학적 성질을 가역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31 플라즈몬 입자로 구성된 회합 구조체를 온도에 따라 가역 적으로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어

왔다.32-36 하지만 앞서 소개한 연구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

구 결과, 온도에 따른 광학적 대역폭(bandwidth)의 변화가 30-50 nm정도로 좁아 다양한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색 변화를 통한 온도감응센서로 사용되기에는 온도 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가 낮다. 최근 온도감응성 수화겔 콜로이드를 template로 하여 다양한 크기(15, 33, 43, 51 nm) 의 금 나노입자를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손쉽게 회합시킨 연 구 결과가 보고되었다.37 수화겔 콜로이드는 수용액에서 온 도에 따라 가역적인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 회합구조체의 기하학적 구조 (2차원)를 조절 하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스펙트럼 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회합구조체에 사용된 금 나노입자의 크 기가 클수록 변화되는 광대역(optical bandwidth) 폭은 매 우 증가하게 된다(그림 12). 따라서 이 복합(hybrid) 콜로이 드는 기존의 플라즈몬 나노입자 기반 온도감응성 센서 시스 템보다 다양한 색(최대 4가지 : 와인색 ↔ 보라색 ↔ 남색 ↔ 흐린 파란색)을 나타낼 수 있고, 높은 온도민감성을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3. 결론

플라즈몬 특성을 지닌 나노입자의 광학적 성질은 입자의 기하학적인 구조제어뿐 아니라 회합 구조의 조절을 통해 폭 넓게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고분자를 활용하여 회합구조체 의 광특성을 조절할 경우,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에 의해 구조체의 구조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플라즈몬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고분자의 고유한 특성

(7)

을 활용하여 플라즈몬 나노입자 또는 회합 구조체의 광학적 성질을 제어하는 몇몇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와 같이 고 분자를 활용한 플라즈몬 나노입자 및 회합 구조체의 제조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 고, 이에 따라 향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http://www.britishmuseum.org/explore.

2. http://en.wikipedia.org/wiki/Cranberry_glass.

3. http://en.wikipedia.org/wiki/Richard_Adolf_Zsigmondy.

4. C.M. Cobley, J. Chen, E.C. Cho, L.V. Wang, and Y. Xia, Chem.

Soc. Rev., 40, 44 (2010).

5. C. Loo, A. Lin, L. Hirsch, M.-H. Lee, J. Barton, N. Halas, and J. West, Technol. Cancer Res. Treat., 3, 33 (2004).

6. A. M. Gabudean, D. Biro, and S. Astilean, Nanotechnology, 23, 485706 (2012).

7. L. Au, Y. Chen, F. Zhou, P. H. C. Camargo, B. Lim, Z. Y. Li, D. S. Ginger, and Y. N. Xia, Nano Res., 1, 441 (2008).

8. P. K. Jain, K. S. Lee, I. H. El-Sayed, and M. A. El-Sayed, J.

Phys. Chem. B, 110, 7238 (2006).

9. C. J. Murphy, T. K. Sau, A. M. Gole, C. J. Orendorff, J. Gao, L. Gou, S. E. Hunyadi, and T. Li, J. Phys. Chem. B, 109, 13859 (2005).

10. J. Yguerabide and E. E. Yguerabide, Anal. Biochem., 262, 137 (1998).

11. Y. Lu, G. L. Liu, and L. P. Lee, Nano Lett., 5, 5 (2005).

12. Z. Zhong, S. Patskovskyy, P. Bouvrette, J. H. T. Luong, and A. Gedanken, J. Phys. Chem. B, 108, 4046 (2004).

13. J. A. Fan, C. Wu, K. Bao, J. Bao, R. Bardhan, N. J. Halas V.

N. Manoharan, P. Nordlander, G. Shvets, and F. Capasso, Science, 328, 1135 (2010).

14. J. Kumar, X. Wei, S. Barrow, A.M. Funston, K. G. Thomasad, and P. Mulvaney, Phys. Chem. Chem. Phys., 15, 4258 (2013).

15. C.-Y. Tsai, J.-W. Lin, C.-Y. Wu, P.-T. Lin, T.-W. Lu, and P.-T.

Lee, Nano Lett., 12, 1648 (2012).

16. S.-C. Yang, H. Kobori, C.-L. He, M.-H. Lin, H.-Y. Chen, C.

Li, M. Kanehara, T. Teranishi, and S. Gwo, Nano Lett., 10, 632 (2010).

17. E. C. Cho, S.-W. Choi, P. H. C. Camargo, and Y. Xia, Langmuir,

26, 10005 (2010).

18. S. Srivastava, B. L. Frankamp, and V. M. Rotello, Chem.

Mater., 17, 487 (2005).

19. C.-Y. Tsai, J.-W. Lin, C.-Y. Wu, P.-T. Lin, T.-W. Lu, and P.-T.

Lee, Nano Lett., 12, 1648 (2012).

20. A. S. Urban, X. Shen, Y. Wang, N. Large, H. Wang, M. W.

Knight, P. Nordlander, H. Chen, and N. J. Halas, Nano Lett., 13, 4399 (2013).

21. T. Yonezawa, S. Onoue, and N. Kimizuka, Adv. Mater., 13, 140 (2001).

22. R. Elghanian, J. J. Storhoff, R. C. Mucic, R. L. Letsinger, and C. A. Mirkin, Science, 277, 1078 (1997).

23. J. J. Storhoff, R. Elghanian, R. C. Mucic, C. A. Mirkin, and R. L. Letsinger, J. Am. Chem. Soc., 120, 1959 (1998).

24. R. A. Reynolds, C. A. Mirkin, and R. L. Letsinger, J. Am.

Chem. Soc., 122, 3705 (2000).

25. R. C. Jin, G. Wu, Z. Li, C. A. Mirkin, and G. C. Schatz, J. Am.

Chem. Soc., 125, 1643 (2003).

26. C. A. Mirkin, R. L. Letsinger, R. C. Mucic, and J. J. Storhoff, Nature, 382, 607 (1996).

27. J. Liu and Y. Lu, Angew. Chem. Int. Ed., 45, 90 (2006).

28. C.-L. Chen, P. Zhang, and N. L. Rosi, J. Am. Chem. Soc., 130, 13555 (2008).

29. N. L. Rosi and C. A. Mirkin, Chem. Rev., 105, 1547 (2005).

30. Y. Liu, X. Han, L. He, and Y. Yin, Angew. Chem., 124, 6479 (2012).

31. X. Han, Y. Liu, and Y. Yin, Nano Lett., 14, 2466 (2014).

32. N, Meyerbroker, T. Kriesche and M. Zharnikow, ACS Appl.

Mater. Interfaces, 5, 2641 (2013).

33. D. Li, Q. He, Y. Cui, K. Wang, X. Zhang, and J. Li, Chem. Eur.

J., 13, 2224 (2007).

34. M. Karg, I. Pastoriza-Santos, J. Perez-Juste, T. Hellweg, and L. M. Liz-maran, Small, 3, 1222 (2007).

35. I. Gorelikov, L. M. Field, and E. Kumacheva, J. Am. Chem.

Soc., 126, 15938 (2004).

36. M. Das, N. Sanson, D. Fava, and E. Kumacheva, Langmuir, 23, 196 (2007).

37. S. Lim, J. E. Song, J.-A. La, and E. C. Cho, Chem. Mater., 26, 3272 (2014).

참조

관련 문서

기체 분자와 같이 크기가 매우 작은 물질이나 인지질의 소수성 부분에 잘 섞이는 물질은 단순 확산으로 이동한다.. (나) 물질이

• 원자가 붕괴하면 검출기가 신호를 받아 망치로 독가스 병을 깨뜨린다!. • 문을 열어 관찰하는 순간 바로

아크용접기를 사용하여 금속 부재를 용단하다가 과도한 불티 발생(부적절한

저렇게 단단한 금속 재료를 어떤 방법으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체로 만들

HA는 약 800℃ 부근에서 탈수 현상이 발생하며,열분석 시 이 온도에서 매우 넓 은 흡열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 HA의 가장 대표적인 임상학적인 응용 예로는 금속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속 및 합금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그 산 화물이 금속 표면에만 얇게 형성되어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 서 내부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섭계를 통과한(또는 반사한)4가지 종류의 빛(Fi g.6) 의 세기는 입사된 빛의 파장 (λ) 과 간섭계를 구성하는 공진기(Cavi ty)의 길이 () 에

원가 절감을 위해 부품의 대부분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 금속 볼트 대신 접 착제를 사용했다.... 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