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8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6년 8월 석사학위논문

집단미술치료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전 민 정

(3)

집단미술치료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es

2016년 8월 25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전 민 정

(4)

집단미술치료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문 정 민

이 논문을 이학석사 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4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전 민 정

(5)

전민정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문 정 민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양 세 혁 (인)

2016년 5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v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문제

···4

3.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7

2. 간호사의 우울

···11

3. 집단미술치료

···13

4. 집단미술치료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15

Ⅲ. 연구방법

· ···22

1.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23

2. 측정도구

···26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 27

4. 자료 분석 방법

···30

Ⅳ. 연구결과

···31

1. 직무스트레스의 사전·사후 기술 통계량

···32

2. 사전 동질성 검증

···34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

···35

4. 집단미술치료 단계별 변화 양상

···40

(7)

Ⅴ.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9

(8)

부록

【부록1】연구 참여 동의서

···53

【부록2】설문지

···54

【부록3】직무스트레스 및 우울 척도지

···55

【부록4】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지도안

···58

(9)

표 목 차

<표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15

<표 2> 간호사 계열, 공무원 및 교육계열로 구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내용

·17

<표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구성 내용

···20

<표 4> 연구설계

···23

<표 5> 실험집단의 일반적 특성

···25

<표 6> 통제집단의 일반적 특성

···25

<표 7>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9

<표 8> 사전·사후 직무스트레스 기술통계

···33

<표 9> 사전·사후 우울 기술통계

···33

<표 10>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직무스트레스 점수 사전 비교

···34

<표 1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우울 점수 사전 비교

···34

<표 12>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집단 및 검사시기별 평균과 표준편차

35

<표 13>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36

<표 14> 우울에 대한 집단 및 검사시기별 평균과 표준편차

···38

<표 15> 우울에 대한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39

(10)

그림 목차

<그림 1> 검사시기에 따른 집단별 직무스트레스 점수 변화량

···38

<그림 2> 검사시기에 따른 집단별 우울점수 변화량

···39

<그림 3-1> C의 집단미술치료에 따른 전·후 작품 비교 및 평가

···42

<그림 3-2> E의 집단미술치료에 따른 전·후 작품 비교 및 평가

···43

<그림 3-3> G의 집단미술치료에 따른 전·후 작품 비교 및 평가

···44

(11)

ABSTRAC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es

Jeon, Min-Jeong

Advisor: Prof. Moon, Jeong-Min

Department Of Art Psychological Therapy,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on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improve preventive and coping abilities in nurses.

16 nurses(the experimental group[n=8] and the control group[n=8]) working for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 City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10 sessions were provided from February 1 to March 4, 2016(60 minutes per session, twice per week). Pretest and posttest for job stress and depression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Changes were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SPSS 1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1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to reduce job stress in nurses(F= 30.488, P<.001). For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job autonomy(F=5.122, P<.05), relationship conflict(F=10.722, P<.01), and inappropriate compensation(F=18.426, P<.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s compared with pretest scores.

Second,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to decrease depression in nurses(F=3.244, P<.1).

Based on the results,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to decrease job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light of group art therapy as preventive treatment and also useful to manage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hospital nurses.

Keywords: nurse, job stress, depression, group art therapy

(13)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문제

1.3. 용어의 정의

(14)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대내외적 무한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현대사회는 고도화된 산업화로 인해 직종이 다양해지고, 자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4시간 서비스 및 생산의 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의료 분야의 경우 의료서비스가 환자 중심과 질적 의료서비스 중심으로 변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와 무한 경쟁 속에서 병원은 보다 나은 진료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병원 종사자에게 업무의 전문성과 고객만족 및 감동의 진료라는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김태경, 2011).

병원의 다양한 전문 인력중 주축을 이루고 있는 간호사 수는 2011년을 기준 으로 282,656명인데 그 중 42.3%에 해당하는 119,365명의 간호사가 의료기관 에 종사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2). 건강관리 제공자중 그 비율이 가장 높고, 교대근무의 대표적인 집단이다.

간호사의 교대근무로 인해 간호조직은 간호의 연속성, 효율성,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 간호사의 신체 내부주기를 교란시킴으로써 생체리듬 (circadian rhythm)의 부조화를 유발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김은주, 2007). 간호사는 교대근무에서 오는 생체리듬의 불균형, 열악한 환경과 근무 조건, 전문지식과 기술에 대한 요구, 타 의료직과의 역할 모호성과 갈등, 과중한 업무, 대인관계 갈등, 자신의 역할문제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가 유발되며 생존 유지 및 발전을 위해 직무성과를 강조하고 지속 적인 혁신과 도전을 유지하기 때문에 직무스트레스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고 다수 보고되고 있다(정숙희, 1998; 윤진상외 4인, 1999; 오영아, 2002; 김귀옥, 2002; 서정희, 2002; 이미옥, 2004; 권공주, 2005; 김명옥, 2007).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직업의 특성, 즉 업무 요구도 나 업무의 자율성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직업성 긴장수준이나, 직장의 동료나 상사 로부터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나 개인의 인성 등에 따라 상이하게 표출될 수 있다.

(15)

직무스트레스 내적 변인인 성격 및 행동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환경을 지각하 는 정도와 수준은 다르고 주관적일 수 있음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한주연, 2014, 재인용). 즉, 개인의 심리적 구조와 내면을 통찰하게 되면 스트레스 인식 수준의 변화와 대처유형이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스트레스는 불안, 우울, 의욕상실, 낮은 자아존중감 등을 초래하며, 높은 결근 율과 이직률, 각종 사고와 재해율의 증가 등을 가져오며, 궁극적으로 생산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임혜현, 2007).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리와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 들이 제시되고 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 스트레스 및 우울을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두어 아로마흡입과 같은 보완대체요법의 사용을 제시하였다(윤선희, 2008; 양현미, 2014; 민경민, 2015).

이와 더불어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집단미 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들이 점차 보고되고 있다. 황해경(2005): 공무원, 이승정(2009): 사회복지사, 백윤정(2009): 유치원교사, 장지현(2011): 직업군인, 김정우(2012): 초등교사, 송인정(2012): 보육교사, 박미영(2012): 소방공무원 등 다양한 직군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효과가 있 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김지영(2010)은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한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직무스트레스 와 대처방식, 정신건강에 관련된 단편적인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조사연구가 대부 분이였으나 최근에 발표된 한주연(2014):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간호사의 직 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효과, 서미정(2014): 집단미술치료 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장옥점 외 2인(2015): 집단 미술치료가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 등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한 중재를 시행한 연구가 점차 보고되고 있다.

미술치료는 신체, 생리적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시켜 주어 고통을 감소,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스트레스 감소 및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여 심리적 방어나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심신의학의 한 분야로서 그 중요 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과도한 심리적 긴장을 이완시키고 내면으로 집중하는

(16)

작업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맥락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스트레스 관리 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서미정, 2014).

집단미술치료의 또 다른 특징은 타인과의 상호 접촉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들여다보고 타인을 이해하는 폭도 넓어져 사회성이 개발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대응 방안 중의 하나로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가 관리의 핵심 분야로 대두되 면서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수 있는 심리적·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 직종에 비해 소진되기 쉬운 간호사에게 집단미술치료 를 적용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 로써 심신의 건강을 도모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연구문제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3. 용어 정의

1)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란 잠재적인 긴장상태를 야기할 수 있는 직장 내의 모든 스트레스 요인들을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근로자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요구가 그 근로자의 능력을 넘어서는 정도하고 정의한다.

또한 업무상 요구 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램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서적 반응이라 정의한다.

(17)

2) 우울

우울증이란 비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으로서 외적 상황에 대한 자기 자신의 심리적 부적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의 우울은 주요 우울장애와 같은 심각한 수준의 임상적 우울이 아니라 전반적인 우울감에 대한 것으로 정의한다.

3) 집단미술치료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치료와 미술치료의 형태를 결합한 심리치료의 한 방법 으로 집단 활동과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간호사의 사고, 행동, 감정을 공유 하여 정서 표현과 내면 통찰을 유도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18)

Ⅱ. 이론적 배경

2.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2.2. 간호사의 우울

2.3. 집단미술치료

2.4. 집단미술치료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19)

Ⅱ. 이론적 배경

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1)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에 대한 최초의 학문적 관심은 1920년대 생리학자 Hans Selye로 부터 시작으로 1960년대 산업현장에 도입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조직스트레스 또는 직무스트레스 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기 시작했다.

스트레스는 여러 학자들이 다양하게 정의하였는데, 스트레스 정의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Lazarus & Folkman, 1984).

첫째,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이다.

둘째,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이다.

셋째, 환경적 자극 요인과 개인의 개별 특징적 반응 간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가 있다. Lazarus & Folkman(1984) 은 스트레스원이 누구에게나 동일한 의미를 지니지 않고 객관적 성질보다는 개인의 해석을 더 중요시하였다.

위에 제시된 스트레스 개념은 직무스트레스에도 그대로 적용이 된다. 스트레스 를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일과 직무는 현대인에게 매우 중요한 스트레스원 중의 하나이다.

직무와 관련된 모든 스트레스를 지칭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은 다양하 지만, 임혜현(2006)은 직무스트레스란 작업장에 특징적인 것으로 잠재적인 긴장 상태를 야기할 수 있는 직장 내의 모든 스트레스 요인들을 가리키며, 구체적으로 는 근로자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요구가 그 근로자의 능력을 넘어서는 정도라 고 정의하였다.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NIOSH, 1999)에서 다음 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직무스트레스란, 업무상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 나 자원, 바램(요구)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서적 반응이라 고 정의하였다.

직무스트레스란 직업과 환경에서 오는 많은 요구나 압력에 대해 적절히 대응 하지 못함으로서 발생하는 사회적, 심리적, 생리적 반응을 뜻하는 것으로 직무의

(20)

수행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인자를 말하며 직무내용, 역할갈등, 직장에서의 대인관계, 직업 불안정성, 고용불안 등이 중요한 스트레스 원이 될수 있다(안미경, 2003). 즉, 직무스트레스는 불안, 우울, 분노 등 많은 심리·정서 적인 문제를 유발 시킬뿐 아니라 직무 조직적인 측면에서도 자살 및 재해를 증 가시키고 동료 간의 유대감 저하 등 여러 가지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2013년부터는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도 산업재해에 포함되었다. 그만큼 직장인 스트레스가 상당하고, 이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며,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일로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2)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는 어느 환경이나 직업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전문 직종으로서 생명에 직접적인 관여를 하는 간호사는 타 분야의 근로자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 를 받는다.

최근 병원 조직은 의료분쟁의 증가, 대형화 및 병원간의 경쟁 심화, 병원인증 평가, 고객만족에 대한 강조 등으로 인하여 병원 종사자들은 심한 신체적 정신적 부담과 긴장을 느끼는 등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간호사 는 다른 전문직에 비해 스트레스 및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한 주연, 2014, 재인용).

환자에게 24시간 연속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사의 교대근무는 직무스 트레스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생체리듬의 부적응으로 인해 수면장애, 위장장애, 불면증, 신경장애를 경험하며 가족과의 원만한 유대관계 방해 및 사회 활동의 감소로 인한 갈등과 불만이 깊어지고 밤 근무는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방해하고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며 수면부족현상이 누적되어 피로의 증가 및 위장관 장애 와 같은 건강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간호사는 교대근무에서 오는 생체리듬의 불균형, 새로운 전문지식과 기술에 대 한 요구 증가, 타 의료직과 간호직과의 역할 모호와 갈등, 자율적 간호에 대한 열망, 관료적인 병원 행정이나 규칙과의 마찰, 대인관계에서 오는 갈등, 간호 대 상자들의 다양한 요구, 과중한 업무 등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홍근표(1984)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란 간호사가 업무 상황에서 불안,

(21)

갈등, 압박감을 느끼는 것으로 환경적 또는 내적 요구를 충족할 능력정도가 초과되거나 적응력이 혹사되어 나타나는 상태라고 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는 크게 직무/과업 요구, 조직적 요인, 물리적 환경 등으로 구분되며, 직무/과업 요구에는 업무와 부하, 작업속도 및 작업 과정에 대한 근로자 의 통제 정도, 교대근무 등이 포함된다. 조직적 요인으로는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의사결정에의 참여도, 승진 및 직무의 불안정성, 인력감축에 대한 두려움, 조기퇴직, 고용의 불확실성 등의 경력개발관련요인, 동료, 상사, 부하 등과의 대인관계가, 물리적 환경에는 과도한 소음, 열 혹은 냉기, 환기불량, 부적절한 조명 및 인체공학적 설계의 결여 등이 포함된다(장소함, 2015 재인용).

일반적인 사업장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영아 외(2002)는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에서 근로자의 환경적 요인이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수 있었다.

김명옥(2007)은 직무스트레스, 노동강도의 변화가 수면장애의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규선(2011)은 소규모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바 우울 수준은 수면의 질이나 피로 요인보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근로자들의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작업환경 및 직무내용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기술하였다.

조호성(2013)은 일부 여성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과의 관련 성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이 우울증상과 더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간호사의 간호 업무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잡한 의료조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그들이 책임을 지고 담당하는 환자의 질병이나 상처에서 위험이 올 수 있고, 약물오류의 결과로 오는 위험과 환자의 상태에 관한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정보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을 경험할 수 있으 며, 주의해서 돌봐야 하는 환자와 부족한 시간, 환자에게 기울여야 할 관심의 내 용을 결정해야만 하는데서 오는 압박, 분명한 지침이 없는 새로운 의료나 새로운 정책, 개인 자신의 수행이나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발생되는 윤리적 문제 등 이 간호사에게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김순복, 2002).

(22)

홍근표(1984)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병원의 규칙과 행정, 지식과 기술, 지각된 자율성, 의사의 업무와 위임, 업무 스케줄, 지각된 수간호사의 태도, 봉급 등이 있었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결혼상태, 근무경력, 직위, 교대 근무, 의사와의 갈등,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량 과중, 근무병동 및 근무부서 이동 등을 들 수 있다(김영자, 1995).

이현정(2000)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직접적 업무 자체와 관련된 업무 영역, 간호사간의 관계를 비롯하여 의사, 환자, 보호자 등의 대인관계와 관련된 대인 관계 영역, 간호사의 사회적·물리적 환경과 관련된 환경역역으로 분류하였다.

김순복(2002)은 근무경력과 근무병원 유형 및 간호직 선택 동기에 따라서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김선희(2003)는 의사와의 갈등이 직무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보았다.

그 밖에도 특수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많 이 이루어졌는데 배정이와 서문자(1989)는 정신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고 하였다.

응급실간호사의 경우에는“병원 조직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고 하였다.

성경숙(1984)과 김연태(1989)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업무와 관련된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최현숙(1998)은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더 많 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하였으며 하나선(1998)은 응급실 간호사와 일반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응급실 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직무스 트레스가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특수부서의 경우 일반간호사에 비해 높 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과중한 직무스트레스는 근로자의 행동변화를 유발하게 되는데 직무역할 불이행, 직장에서의 포악한 행동, 직무로부터의 이탈, 삶의 다른 역할에서의 타락, 자해 행동 등이다(이승정, 2009)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산업재해 및 자동차 사고율과 도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강숙, 2000). 이처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에서뿐만 아니라 직무를 벗어나서도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근로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23)

간호업무는 다른 직종과 구별되며 복잡한 업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직무스트 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중재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도 직무스트레스의 구성 요인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김향옥, 2003).

현재까지도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상관관계 측면의 조사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지만 간호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 및 관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2. 간호사의 우울

1) 우울

우울증은 비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으로서 외적 상황에 대한 자기 자신의 심리적 부적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주위 사람들에게 많은 고통 을 주게 되고 생활기능의 저하나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이다.

기분 장애의 하위 개념 증 하나로 기분에서의 어려움을 일차적인 특질로 갖는다.

우울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일상적인 흥미상실, 식욕감퇴, 열등감과 절망감이 심해져 자살 충동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사고와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 나며 사회적 지위에 대한 절망감, 자신감 결여, 이유 없는 죄책감, 장래에 대한 불안, 망상 등도 나타난다(김조자 등, 2003). 근로자의 우울은 감당할 수 없는 정서적 갈등의 축적으로 인해 소진 증상을 경험하면서 의욕상실과 업무에 대한 불만족 등을 경험하게 되며 사업장의 생산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정신질환이 다(이규선, 2011).

우울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증상 사이의 상관성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밝혀져 왔고 보상부적절이나 관계갈등, 취약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 심리적 작업 조건이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우울 증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음도 보고되었다(조호성, 2013).

임혜현(2006)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가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정은숙 외(2011)는 우울은 작업의 강도, 작업 수행의 어려움, 직업 스트레스

(24)

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우울에 의한 단기 업무 손실이 당뇨병이나 고혈압에 의한 것보다 높아서 우울은 산업보건에서 근로자들에게 중요한 당면과 제가 되었다. 우울의 경우 우울증 위험 수준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통 해 업무손실을 막을 수 있으므로, 우울과 연관된 작업장 내 작업 환경 요인 등 우울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정은숙, 심문숙, 2011).

2) 간호사의 우울

직무스트레스는 우울과 불안을 야기하게 된다. 스트레스 경험의 초기 반응은 부정적 감정이 주로 나타나며, 장기적인 반응은 신체적 질병, 사회적 기능 저하, 사기 저하를 나타낸다(Lazarus&Folkman, 1984). 이는 우울한 기분과 비판적 이고 부정적인 생각 그리고 동기 및 신체적인 기능 저하를 동반하는 우울과 관련이 있다(이원희&김춘자, 2006).

간호사는 병원의 핵심 인력으로서 타 부서와의 갈등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 며, 이로 인해 업무에 대한 불만과 동시에 우울을 경험하게 된다(김귀분, 김혜 숙, 이경호, 2001). 간호사 우울은 근무의욕과 업무수행 능률의 감소, 환자간호 의 질 저하, 간호사의 잦은 결근과 직무불만족, 경력 간호사의 이직 등 병원운영 에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Williams, 2004). 이러한 간호사의 우울은 대인간의 효과적 상호작용을 저해하며 이지적 대처기전의 효율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간호 사의 역할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결국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저하시킨다(Motowidlo 등, 1986).

간호사의 우울 정도는 임상간호사의 21.5%에서 우울 성향이 나타났고(이미옥, 2004), 이원희와 김춘자(2006) 연구에서 40.8%가 평균보다 높은 우울 성향이 있 었으며, 김정희 등(2009)의 연구에서도 평균보다 높은 우울 성향이 있었다.

간호사의 우울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정숙희(1998), 김귀옥(2012)은 교대근 무군이 비교대근무군보다 우울이 높다고 하였으며, 이원희와 김춘자(2006)는 우울 이 간호사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이미옥 (2004)은 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이소라 (2003)는 간호업무에 대한 부담감도 우울을 유발한다고 하였다.

(25)

Brown(1991)은 간호사 우울에 대하여 간호사는 감당할 수 없는 정서적 갈등의 축적으로 인해 소진 증상을 경험하면서 의욕상실과 업무에 대한 불만족 및 우울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직을 하거나 정신 건강이 저하되지만 사회적 지지가 직무불만족, 이직 의도, 우울 및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그 수준을 감소시키 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심신 상태가 간호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가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는 일이 간호의 질을 높이고 간호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초가 된다.

이처럼, 이원희와 김춘자(2006)는 간호사들의 높은 우울을 중재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관리가 필수적이고, 간호관리자들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우 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직무불안정,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 문화에 대한 관리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하였다.

3. 집단미술치료

1) 집단미술치료의 개념

미술치료는 미술과 심리치료가 결합된 치료양식으로 변화하는 시대의 역동과 새로운 삶을 위한 비전과 고찰을 보여 주는 시각 예술로서 미술을 통한 감정 표현을 격려하여 심리적 대처를 돕고 어려운 경험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미술치료는 그림, 조소, 디자인, 공예 등 미술의 전 영역을 상담활동에 도입하 여 활용하는 방법으로 교육, 재활, 정신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이 가 능하고 시각예술인 미술을 이용해 인격의 통합 및 재통합을 돕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최은영, 공마리아, 2008).

이러한 미술치료의 특성을 집단 상담치료에 적용한 것이 집단미술치료이다.

박미영(2012)은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치료와 미술치료의 형태를 결합한 심리 치료의 한 방법으로 집단 활동과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간호사의 행동이 나 생각, 감정을 공유하며 치료관계를 형성하고 정서 표현과 통찰을 유도하는 과정 으로 정의하였고 조윤정(2007) 집단미술치료란 집단미술활동을 통하여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켜 원만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26)

상담기법이며, 집단 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의 모습을 탐색하고 이 해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 키기 위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집단미술치료의 효과

집단미술치료에 매체가 되는 미술은 내담자의 내면 세계에 있는 감정을 자유 롭게 표출하는 것을 도와주고 언어로서 부딪치는 감정의 위기를 완화시켜 주며 카타르시스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감정 교류의 조정 역할을 한다. 박민정(2003) 은 예술적 표현은 감정표현의 중요한 통로가 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이미지와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되기 때문에 치료적 관계 형성을 촉진하고 집단의 치료적 힘을 통해 내담자 스스로 자아를 강화시킬 수 있다라는 것이다.

특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간호사들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 게 표출하고 집단원들과 나누고 배우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집단원들이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작업을 함으로써 개인의 고립감은 감소되고 공동체의식과 신뢰감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신명진, 2016).

미술치료는 인간의 병을 치유하는 것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며, 인간의 잠재력과 성장 가능성을 개발하는 자기경험과 자기본성을 회복할 기회, 즉 인간 의 건강한 힘을 재발견하고 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그 의의를 찾는다.

예방적 차원의 미술치료는 일상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나 정신적·심리적 불안 을 겪고 있어 안정이 필요한 경우, 고통을 경험하고 억제하는 경우, 상실이나 슬 픔에 대한 경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재 겉으로 드러나는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는 아니라고 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문제 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미리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건강한 자아를 유지할 수 있다(이승정, 2009).

Rubin(2006) 은 일반 성인들을 위한 미술치료가 실시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이는 직원들이 직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으며 Schaeffer-Simmern(1948) 또한 ‘직장인들과 전문 직업인들’을

(27)

위한 작업을 실시한 바 있으며 Rhyne(1973)은 민감성, 감수성, 잠재력 훈련 그룹을 통한 작업이 일반 성인들에게 치료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술치료는 향후 직무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이승정, 2009, 재인용).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치유, 예방, 자기계발 및 영적 성장의 측면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다.

4. 집단미술치료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집단미술치료는 발달 장애 아동이나 청소년, 환자 등의 치료기법으로 시행되었 으나 최근에 자기 내면을 탐색하고 내적 대화의 기회를 가지며 정체성 확립과 자기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한 선행 연구 들이 발표되었다.

지금까지의 선행논문들은 프로그램을 도출할 때 일반화된 미술치료기법을 기본으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직무스트레 스 대상 및 매체의 특성을 구분하여 분석한 선행논문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 레스와 우울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선행논문 10편을 토대로, 이 논문들에서 보여 준 직군별 집단미술치료의 유형을 일차적으로 도출해 보았다.

저자(년도) 대상 매체 (회기순 나열) 회기 효과

황해경(2005) 공무원

색채도구-찰흙-신체본

10회기 직무스트레스 감소 꾸미기재료-색채도구(벽화)

찰흙-한지-만다라도안 도예용 흙-밀가루

이승정(2009) 사회복지사

색채도구-한지 및 물감-잡지

12회기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스트레스대처

능력향상 색채도구-도화지(연필)-점토

색채도구(5회기)-다과

(28)

<표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김지영(2010) 사무직

음악-색채도구-줄-색채도구

10회기 스트레스 관리 및 대처능력향상 신문지-점토-거울-색채도구

보자기-악기세트

장지현(2011) 군인

색채도구-전분가루-단어카드

10회기 직무스트레스 색채도구-찰흙-색채도구 완화

찰흙-색채도구-카드-우드락

박미영(2012) 소방관

풍선-잡지-신문지-먹물

12회기

직무스트레스 완화 및 우울

감소 점토-석고 및우드락-가면

자연물-상자-도화지,연필 우드락,시트지-전지,색종이

송인정(2012) 보육교사

검사지-A4용지-A4용지

14회기 직무스트레스완화 및 자기효능감 만다라도안-색채도구(3회기)

뿅망치-말풍선-전분트레이 점토-나무판-척도지-다과

김정우(2012) 초등교사

색채도구(4회기)-찰흙-풍선

12회기

직무스트레스 완화 및 교육의

질적 향상 A4-상자-버블랩-색채도구

포스트잇-도화지,크레파스

서미정(2014) 간호사

신문,잡지-색채도구-자연물

12회기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 색채도구-A4용지,색채도구

다양한 자세-종이-찰흙-상자 색채도구-전지,실-색채도구

전지,색종이

한주연(2014) 간호사

색채도구-잡지,색채도구(2회)

8회기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향상 스치로폼,전지,찰흙-소금

문양만다라-의료폐기물 나무메달

장옥점(2015) 간호사

필기도구-색종이-가면

8회기 직무스트레스 신체본-과녘,찰흙-찰흙 감소

잡지-필기도구,도화지

(29)

<표 1>의 선행 논문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특성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직군을 대상으로 10편의 논문을 8~14회기의 단기 미술치료프로그램 으로 구성하였다. 익숙하게 접해본 물감, 색연필, 싸인펜, 크레파스, 도화지 같은 색채도구 매체를 통해 난화, 그리기와 같은 한번 정도는 접해본 기법을 적용하였 다. 또한 주변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잡지, 신문, 찰흙을 이용한 찢기, 만들기, 던지기 및 자연물(풀,꽃,나무,솔방울)과 도안을 활용한 만다라 기법 등의 미술활동 을 전반적으로 골고루 적용하였다.

이러한 선행논문을 통해 집단미술치료는 내담자에게 마음의 이완 및 감정표현 을 용이하게 하며 욕구나 사고의 표현을 자유롭게 표출함으로써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 및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과 대처능력을 증진시킨다고 본다.

다음 <표 2-1,2>는 표1의 선행논문을 통해 직업군을 간호사 계열<표 2-1>, 공무원 및 교육계열<표 2-2>로 구분해서 미술프로그램의 주제, 기법, 매체순 으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회기 내용 간호사 계열

서미정(2014) 한주연(2014) 장옥점(2015)

1회기

주제 광고로 표현하는

내 모습 우리좀친해질까요? 신뢰감 및 친밀감 형성 기법 자신을 광고라 생각하고

다양한 소재로표현하기 그리기 만다라 별칭짓기

매체 신문,잡지,가위,풀,

색채도구 8절화지,색채도구 필기도구

2회기

주제 형태찾기 스트레스는나에게

무엇인가? 정서표현과 이해

기법 자신의 감정상태를 선으로

표현하고 내면 인식하기 콜라주 만다라 색종이로 감정 표현 매체 8절화지,색채도구 8절화지,색채도구,

잡지,가위,풀,색종이 색종이

3회기

주제 자연물 만다라 업무에대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날려버릴까? 감정인식

기법 자연물을 통해 작품 표현 오브제 만다라 가면 만들기

매체 나뭇잎,솔방울,꽃,지점토, 접시

8절화지,색채도구,잡지, 색종이,가위,풀,털실,모루

,진주,글루건

가면,색채도구

(30)

<표 2-1> 간호사 계열 미술치료프로그램 내용 4회기

주제 자유화 타부서와의관계

힘들어요 스트레스원탐색

기법

도화지에 자유화를 그리고 서로 돌려가며

그림 첨가하기

입체 만다라 신체본뜨기

매체 8절화지,색채도구

도화지,전지,원형나무판 ,찰흙,글루건,매직,색점 토,인조눈,파스텔,모루,

반짝이,풀

신체본

5회기

주제 감정카페트 의료인으로서 윤리적

딜레마 스트레스 표현

기법 감정을 색과 선으로

표현 소금만다라 스트레스를표기해서

과녘에 맞추기

매체 A4용지,크레파스,싸인펜, 색연필,파스텔

도화지,사포지,꽃소금, 파스텔,칼,색연필,향초,

용기

과녘,필기도구,찰흙

6회기

주제 다양한 자세의 사람들

간호사로서 나와

진정한 나는? 스트레스표현

기법 자세를 선택하고 표현 문양 만다라 찰흙으로 표현

매체 다양한자세의종이,A4, 색채도구

16절화지,문양만다라,색연 필,가위,크레파스,전지,

색종이

찰흙,필기도구

7회기

주제 찰흙으로 표현하는 마음

집단원으로서의 나의

모습 자기강화

기법 찰흙 만들기 의료폐기물 재활용 만다라 콜라주

매체 찰흙,OHP필름또는 8절화지

4절화지,의료폐기물, 뚜껑,반짝이,풀,각종리본,

크레파스,싸인펜,매직

도화지,잡지

8회기

주제 자화상(빈상자) 진정한 자기모습

바라보기 자신에게 소중한것 기법 상자로 자아 인식하기 메달 만다라 에너지북 만들기

매체 빈상자,색채도구,잡지, 가위,풀,글루건

나무메달,색끈,철사,반짝이 풀,모루,매직,진주,리본

필기도구,도화지,가위, 풀

(31)

<표 2-2> 공무원 및 교육계열로 구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내용 공무원 및 교육계열

황해경(2005),이승정(2009),김지영(2010),장지현(2011), 박미영(2012),송인정(2012),김정우(2012)

회기 내용 회기 내용

1회기

주제 오리엔테이션및사전검사

7회기

주제 스트레스 해소

기법 자기소개 기법 찰흙 던지기

매체 검사지,필기도구 매체 찰흙

2회기

주제 난화

8회기

주제 스트레스 해소

기법 긴장을 풀고 심상을자유롭게

색채도구를 활용해 표현하기 기법

풍선에 스트레스 요인을 그린후 언어로 표현후

터뜨리기

매체 도화지,색채도구 매체 풍선,네임펜,가위,칼

3회기

주제 콜라주

9회기

주제 가면 만들기

기법 다양한 잡지를 활용해

찢거나 오려서 붙이기 기법 가면으로 표현

매체 도화지,잡지,가위,풀 매체 가면모형,물감,면봉,유성매직,모 루,글루건,반짝이가루

4회기

주제 신문지 찢기

10회기

주제 만다라

기법

신문지에 하고 싶은 말을 쓴후 찢어 공모양을 만들어

벽을 향해 던진다.

기법 만다라 도안에 편안함과 불편함을 주제로 채색하기

매체 신문지,필기도구 매체 만다라도안,색채도구

5회기

주제 스트레스 증상 표현

11회기

주제 상자기법

기법

스트레스를받을때의증상을 표현하여심리적,신체적

문제 인식 및 표출

기법

상자 밖은 남이보는내모습,안은 내가

보는 내모습 매체 도화지,싸인펜,크레파스 매체 상자.색종이,색도화지,풀,가위

6회기

주제 스트레스 원인 찾기

12회기

주제 나의 직업에 대한 역할 모색

자유화 담소로 회기 정리

기법 기법

매체 도화지,색채도구 매체 다과상

(32)

<표 2-1,2> 의 선행논문 10편 중 3편 이상에서 보여준 공통된 구성 내용을 주제 및 기법에 따라 정리해 보았다<표 3>.

과정 저자(년도) 주제 표현기법(횟수) 표현작품

초기

김지영(2010),박미영(2012), 송인정(2014),장옥점 외2(2015),

황해경(2005),이승정(2009), 장지현(2011),김정우(2012), 한주연(2014),서미정(2014)

자기소개 별칭짓기 광고로 표현하는내모습

별칭짓기(3)

난화(5)

콜라주(2)

중기

황해경(2005),김지영(2010), 김정우(2012),장옥점(2015)

스트레스 증상

표현하기 신체본뜨기(4)

이승정(2009),박미영·김정우(2012), 서미정(2014)

스트레스원

찾기 자유화(4)

장지현(2011),박미영(2012), 김정우(2012)

스트레스

던지기(1) 신문지찢기(3)

황해경(2005),서미정(2014), 장옥점 외 2(2015)

스트레스

던지기(2) 찰흙던지기(3)

박미영·김정우(2012),장옥점(2015) 나의 양면(1) 가면만들기(3)

이승정(2009),박미영·김정우(2012)

서미정(2014) 나의 양면(2) 상자 만들기(4)

후기

황해경(2005),박미영(2012), 한주연·서미정(2014)

진정한

자기모습보기 만다라(4)

이승정(2009),송인정·박미영(2012),

서미정(2014) 소망나무 나무그리기(4)

황해경(2005),이승정(2009)

송인정(2012) 나의 역할 다과 및 담소(3)

<표 3>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회기별 구성 내용

(33)

<표 3> 구성내용을 정리해 보면

초기단계는 미술치료프로그램에 대한 목적과 활동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실시 및 그림에 대한 거부감 감소 및 흥미 유발을 목표로 3회기 구성되었다.

자기소개 및 별칭 짓기, 광고로 표현하는 내 모습이라는 주제로 그리기, 붙이 기와 같은 일반적으로 접해본 2D 양식의 형태 표현을 통해 친밀감 형성, 흥미 유발, 긴장 완화를 유도하였다. 드로잉이나 페인팅 매체에 저항 있는 대상자들을 위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신문, 잡지, 색종이 매체를 통한 콜라주 기법 이 많이 활용되었다.

중기단계는 자신의 다양한 감정을 지각하고 감정을 표출하여 자기감정과 의사 표현을 함으로써 스트레스 요인들을 해소할수 있도록 6회기 구성되었다.

스트레스 원인을 표현하고 찾고 던져버린다는 주제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신문지, 찰흙, 점토, 가면, 상자 같은 매체를 활용해 모양을 만들어 던지고 부수는 입체 적인 3D 양식의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한계를 수용하고 통찰할수 있었다.

후기단계는 개인의 장점을 탐색하고 이상적 자아를 통찰하고 발견하여 긍정적 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3회기 구성되었다.

진정한 자기모습 찾기, 소망 및 나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만다라, 나무 그리기 기법을 통해 자신의 감정 통합 및 장점을 찾고 일상 생활에서 자기 자신의 내부 와 외부에 대해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앞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은 특수병동 간호사들이다. 그들의 억압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회기마다 감정을 보다 구체 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색채도구(그리기도구) 및 만다라 중심으로 미술적인 표현 을 주조로 이루고 있다.

(34)

Ⅲ.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3.2. 측정도구

3.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3.4. 자료 분석 방법

(35)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X: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Y: 직무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2) 연구대상자 선정 및 윤리적 측면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 를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서면으로 동의한 간호사로 집단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상 외래근무 간호사 8명을 실험집단, 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 다.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는 간호사

셋째, 60분 동안 10회 참여할수 있는 간호사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으로 대상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로 인한 부작용이나 위험요소가 없음을 설명하였다.

집단 사전 처치 사후

실험집단 Ye₁ X Ye₂

통제집단 Yc₁ Yc₂

<표 4> 연구설계

(36)

수집한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고 개인적인 비밀이 보장됨을 설명 하였다. 연구 참여는 자발적인 서면 동의하에 이루어지며, 참여 도중 언제라도 참여 철회가 가능하고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음을 알려주었다. 서면 동의서는 대상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해 사인이나 기호로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 는 연구자 개인 노트북과 USB에 저장한 후 암호화해서 보관하였다.

3)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참여 간호사에게 연구 목적 및 질문지의 내용, 작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기보고형식으로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의 대상자에게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6년 2월 1일부터 3월 4일까지 8명의 간호사를 집단 구성하여 매 주 2회기 각 60분으로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사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4)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사전조사를 통해 oo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대상 320명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점수가 높다고 판단되는 OO 명을 선정하여 그 들 중 집단미술치료에 참가의사를 밝힌 16명 중 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실험비교군인 통제집단은 8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이들의 일반적 특성은 <표 5>와 같다.

(37)

별칭 성별 연령 결혼유무 근무경력 근무유형

A 40 기혼 19 주간근무

K 38 미혼 15 주간근무

P 25 미혼 2 주간근무

K 38 미혼 15 주간근무

I 35 기혼 12 주간근무

D 35 기혼 12 주간근무

S 35 기혼 13 주간근무

M 35 기혼 14 주간근무

<표 5> 실험집단의 일반적 특성

실험집단 모두 여성이며 기혼자 5명과 미혼자 3명이고, 근무경력은 최소 2년에 서 최대 19년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 1명, 30대6명, 40대 1명으로 나타났다.

별칭 성별 연령 결혼유무 근무경력 근무유형

M 42 기혼 20 주간근무

C 33 기혼 7 주간근무

H 47 기혼 23 주간근무

M 41 기혼 21 주간근무

N 39 기혼 18 주간근무

S 28 미혼 5 교대근무

H 24 미혼 1 교대근무

J0 41 기혼 19 교대근무

<표 6> 통제집단의 일반적 특성

통제집단 모두 여성이며 기혼자 6명과 미혼자 2명이고, 근무경력은 최소 1년에 서 최대 23년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 2명, 30대 2명, 40대 4명으로 나타났다.

(38)

2. 측정도구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특성 8문항(성별, 연령, 결혼 유무, 근무경력, 근무유형, 근무부서 및 직위, 혈액형, 시력), 직무스트레스 24문항, 우울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직무스트레스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한 도구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단축형이다. 현장에 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 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등 7개 영역의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1-2-3-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점수가 높을 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의미한다. 7개 영역의 점수를 영역별 환산점수수식에 대입하여 100점으로 환산하여 합산 한 후 이를 다시 7로 나누 는 방식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2) 우울

(Center for Epidemiology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우울수준은 미국 정신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 의 해 1971년에 개발된 자기보고형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y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를 검토한 (조맹제, 김계희, 1993)의 한국판 CES-D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ES-D는 우울증의 지역사회 역학 조사용으로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가보고형 우울척도 이며 우울증의 일차 선별용 도구이다. 우울정서,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의 문제, 신체적 증상과 행동 저하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마다 Likert 4점 척도 (0-1-2-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증상이 높게 해석 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게 평가되는 문항은 역으로 재코딩하였으며 총점은 60점이다. 21점을 절단점으로 하여 21점 이상을 우울 상태로 평가하였다.

(39)

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동종 업종 및 타 직업군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과 관련된 선행연구 10편 및 문헌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 에 부합되도록 수정·보안하여 초안을 작성하였고, 직군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각 회기별 상황에 따라 본 연구 대상자에게 적합하도록 최종 내용을 구성하였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된 미술치료프로그램은 비언어적 미술 표현을 중심으 로 자기 감정 인식 및 탐색에 초점을 두었으며 형상을 시각화하여 색을 통해 이미지 화 시켰다. 회기가 진행될수록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상호소통하며 서로간의 이미지, 집단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집단치료에 초점을 두었다.

반면 <표7>은 친밀감과 라포 형성을 시작으로 나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자기 자신 을 인식하고 자기 감정을 최대한 표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최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 할수 있는 접근성이 용이한 매체를 통해 자기 자 신을 탐색하고 수용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로써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신과 환경에 대해 인식하고 수용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과 대처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두었다.

직업의 특수성상 시·공간의 제약 및 미술치료프로그램 인식에 대한 부족으로 인해 총10회기 단기간으로 진행함을 설명드리는 바이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중기·후기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정여주, 2003).

표 <7> 과 같이

초기단계는 1~3회기로, 집단원들에게 OT를 통해 미술치료 소개 및 치료사와 집단원 간 편안하고 친밀한 관계를 통해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미술치료에 대한 저항감을 줄이기 위해 그리기나 붙이기 등의 단순한 2D 양식 으로 진행하였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긴장 상태를 이완하고 흥미를 유발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중기단계는 4~7회기로 치료사와 내담자가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구체적인 미술활동에 들어가는 시기이다.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여 표현하고 자기를 인식할 수 있는 작업으로 입체적 표현의 3D양식으로 스트레스를 표출 및 해소 하도록

(40)

시도하였다. 또한 집단 안에서 감정과 경험을 공유하여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에 게 수용 받는 경험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후기단계는 8~10회기로 치료사가 치료 목표로 세운 내용들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변화의 시기이다. 즉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음으로써 자기 성장을 도모하였다.

매 회기마다 집단 구성원들의 이완과 몰입을 돕기 위해 클래식 음악을 사용하 였으며, 작업 후에는 각자의 작품을 함께 감상하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서로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나누었다.

(41)

단계 영역 회기 주제 목표 표현기법 및 내용 기대효과

초기

도입 1

미술치료란

○○○

이예요!

미술치료 접근

오리엔테이션(OT)

-미술치료이해 -동기 유발 미술치료 소개 및

안내, 사전검사

인식

2 나의 표현(1)

긴장감 해소 흥미 유발

콜라주

-이완훈련

도화지에 잡지나 신문을 찢어

붙이기

3 나의 표현(2) 친밀감 및 흥미 유발

난화

-자기인식 -흥미유발 A4에 자유롭게

낙서하기

중기

욕구 4

내가 좋아하는

간식

내면 탐색

밀가루 반죽

-자기노출 -감정인식 밀가루를 이용해

간식만들기

역할갈등 역할과부하

5 내모습

드러내기 자기 인식

신체본뜨기

-자기인식 -타인감정인식 전지에 나를

표현하기

6

내 마음의 미운 감정은

○○예요.

감정표출

신문지 찢기

-슬픔표출·소거 -감정전달 신문지를 찢어

부정적인 감정 표출하기

7 나의 내·외면 자아상 표현 및 수용

가면 만들기

-긍정적 감정표현 가면에 나에 대해

표현

후기

대인관계

8 삶의 균형과 조화

내적균형과 에너지의

통합

만다라

-타인감정수용 -대인관계향상 만다라 도안

색칠하기

9 희망나무 긍정적

자아상

희망나무

-긍정적 정서 전지에 나무를

그려 희망메세지 표현하기

마무리 10 만찬 새로운

마음가짐

담소

-심신건강 -행복 다과를 즐기며

마무리 소감 및 사후 검사 실시

<표 7>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42)

4.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검사의 채점기준에 근거해 점수화한 후, SPSS 16.0 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동질집단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직무스트레스의 사전검사 점수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집단(실험/통제)의 검사 시기(사전/사후)별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무문화 의 관계 요인의 점수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집단(실험/통제)의 검사 시기(사전/사후)별로 직무스트레스의 전체 점수 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집단(실험/통제)의 검사 시기(사전/사후)별로 우울의 점수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실험집단에 처치한 집단미술치료의 단계별 변화 양상을 비교 기술하였다.

(43)

Ⅳ. 연구결과

4.1. 직무스트레스의 사전·사후 기술 통계량 4.2. 사전 동질성 검증

4.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4.4. 집단미술치료 단계별 변화 양상

참조

관련 문서

글을 보고 오신 분들도 제가 좋은 사람이길 바라듯이 저도 이글을 읽고 좋은 사람이 와주기를 바랍니다 제 대학생때

내 입장이나 생각이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그 사람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 상대방의 말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전달하고자 하는

④지적으로 판단하길 좋아하는 강박적인 내담자는 부인(Denial)이 라는 방어기제를 자주 사용한다. – 그들이 이미 말한 사실을 번복하고 부인한다면 이들이

위의 학생은 고교 출신학과와 귀 대학의 지원 모집단위가 동일계열임이 확인되어 귀 대학교의

① 내부 실패비용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에 발견된 불량 비용.. 고객의 생각이 무조건적으로 옳다는 철학이 있어야 한다. 고객과 논쟁은 결국 서비 스 기업에

첫째,간식시간에 유아들은 좋아하는 간식이 나오면 더욱 잘 먹는 모습을 보 였다.유아들은 교사에게 간식으로 나온 음식을 더 달라고

윤주는 이번 일을 계기로 움직임이 재미있고 학교에서 배운 과학적 원리가 들어 가는 오토마타를 친구들과 만들어 보고 오토마타 전시회도 열면 좋겠다는

이러한 추세 속에 우리는 교과시간에 배운 빛의 산란과 광원망원경으로 관측 시 단점에 중 천체에서 오는 빛이 산란에 따른 오차 대해 생각이 났고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