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성의 지위로서 의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여성의 지위로서 의녀"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3강 여성의 지위로서 의녀

(2)

 조선시대에 부인들의 병을 구호․진료하기 위하여 창설된 제도로서 여의(女醫)라고 부름

 단순히 의료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남녀접촉 이 어렵던 사회적 제약 때문에 남의(男醫)가 직접 진료할 수 없는 데에서 비롯

 한방에서 진료를 위하여는 우선 적으로 맥으로 보 는 촉진(觸診)을 함

- 남의가 내방부인을 진맥하는 것이 그 시대에는 거의 불가능

- 따라서 사회적 요청에 의하여 의녀제도는 부인

들의 병을 주로 치료하기 위하여 창설된 제도

(3)

 조선시대는 의업을 하는 자의 사회적 지위는 중서계급에 속함 - 따라서 의관은 중서계급

- 하지만 중서계급 출신이 아니었던 의녀

- 조선시대에 남녀가 자유로운 접촉을 금해 왔기 때문에 외부 남성 과 쉽게 접촉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직업을 천시하였기 때문

- 의녀들은 거의 모두 노비(관노비 또는 사노비) 출신으로 충당

 이런 이유로 의녀는 다른 중서계급에 비하여 낮았으며 기녀와 비슷 한 계급에 속함

 성종말엽 이후부터 연산군에 이르기까지

- 의녀들이 연유장(연회장)에 나오게 됨으로써 그 대우가 더욱 천시 - 의녀 및 창기의 자녀는 종량(從良) 즉 상민의 적(籍)에 입적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노비계급보다는 다소 나은 대우를 받음

 갑신정변(서기 1884년)이후

- 노비제도의 폐지와 서양의술의 도입으로 차츰 현대 의술제도가 도입

→ 간호사제도가 의녀를 대신,

→ 오늘날에는 여의사가 그 위치를 대신함

(4)

1) 의녀의 창설

 태종 6년(1406년) 3월

- 의녀는 검교(檢校), 한성윤(漢城尹) 지제생원사(知濟生院事) 허도 (許道)의 건의에 의하여 제생원에서 설치

- 처음에는 창고궁사(倉庫宮司)에 있는 동녀(童女) 수십 명을 뽑아 맥경(脈經) 및 침구법을 가르쳐 부인들의 병을 진료․치료하게 함

 태종 18년 6월

- 제생원의 제청으로 의녀 다시 증가

 세조 및 세종 때

- 의녀들에게 소독의서(所讀醫書)를 익히게 함

 세종 4년, 예조

- 제생원 의녀들의 훈도관(訓導官)을 감찰하고 승정원은 의녀들의 학업상태를 감독

 예조 5년

- 제생원이 혜민국에 병합되어 그 후 의녀들은 혜민국과 내의원에 속함

- 성종때까지 의녀들을 중앙 및 지방 부녀들의 질병치료에 줄곧 종 사

(5)

2) 의녀의 의기화(醫妓化)

성종 말엽부터 연산군까지

- 의녀들은 부인들의 질병치료 이외에 가무를 배우며 또는 홍 장(紅粧)을 시켜 기녀들과 함께 공사의 연유에 참가하도록 함

연산군 8년

- 각사(各司)가 주관하는 연유에 의녀와 기녀들을 불러들이는 것을 금함

→ 이런 연유에 의녀와 기녀를 동원함으로써 노비가 피폐하 게 되었기 때문

연산군 8년

- 부자집에서 사치스런 혼사품을 준비하는 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의녀들을 혼가납채일(婚家納采日)에 물품을 감찰

- 재주 있는 의녀들은 어전의 계상(階上)에 참석하여 시중을 들기도 함

- 그 뒤 의녀는 천자문과 시구(詩句)를 익힘

(6)

3) 의녀의 연유금지 및 의녀의 의기겸행(약방기행)

중종부터 선조에 이르기까지

- 의녀들의 공사연유에 참가하는 것을 법으로 엄단 → 의료사업에 전념하도록 함

중종 2년

- 의녀․창기들이 낳은 자식들에 대하여 종량(從良)을 허가

광해군

- 사대부가에 죄인을 체포할 때에 의녀로써 내정(內庭)을 조 사하도록 함

- 왕비의 친잠(親蠶)시 의녀로써 의장봉지(儀仗俸持)를 받듦

광해군 이후 고종

- 의녀들은 부인들의 진료에 종사하면서 약방기생이라는 이 름으로 기녀들과 함께 연유에 참석

→ 이들은 관기(官妓)중 제1품에 속함

(7)

창설초기부터 성종 말엽까지

- 의녀의 복식에 관하여 정확한 문헌이 없음

성종 말엽

- 이때부터 기녀의 복식에 따른 것을 볼 수 있음

평소 의녀들로서의 복장

- 보통 내인들과 같이 옥색 3회장 저고리에 남치마 (같은 복장이라도 멋을 부렸다고 함)

족도리

- 내의원의녀들은 다른 관기보다는 품위가 높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머리에 흑단(黑檀)으로 만든 ‘족도리(2004년 3월에 종영된 대장금 이라는 드라마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음)’를 씀

가리마

- 그 외 기생들은 후포로 만든 가리마를 얹음

- ‘가리마’란 너울을 접어서 머리에 올린 형태의 것

침주머니

- 가슴에 조그맣게 침주머니를 달고다님.

- 그 둘레에 공작 꼬리의 둥글둥글한 것을 여러개 꽂음

- 고종 말까지만 해도 이미 양의(洋醫)가 권내에 있었기 때문에 침주머니 는 사실상 액세서리와 같게 됨

(8)

 여기(女妓)의 예에 따라 1년에 두 차례 쌀을 받음

 시대가 경과함에 따라 지방에서 선상(選上)되는 의녀 의 수가 많아짐 → 경제적 대우 문제도 좀더 나아짐

 성종 9년

- 내의녀 2명에게는 매삭(每朔)에 료(料)를 급(給)

- 간병의녀 20명과 전달에 강화수(講畵數)가 많은 4명 에게 급료

 영․정조

- 내국의녀에게는 한 달에 화수(畵數)가 6분 이상에 달하면 월급 지급

- 수석에게는 면포 2필, 차석에게는 1필씩 호조로부터 지급

- 그 중에 성적이 우수한 4명은 호조에 알려 3명은 급

료를 주고 1명에게는 포(布)를 지급

(9)

태종 5년

- 부인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창고궁사의 동녀 수십 명을 선발, 맥경(脈經) 및 침술의 법 을 가르침

18년

- 의업을 마친 5명의 의녀들을 각처에 파견.

→ 그 수가 부족하여 13세 이하의 각사(各司)에 있는 노비들의 자녀 10명들을 증원 모집

세종

- 의녀 훈도관을 두어 의녀의 학습상태를 조사

- 침술약이법을 교습시켜 다시 지방에 돌려보내 의술을 펴보도록 함

- 제생원 의녀들이 될 동녀들에게는 한문을 습득시켜 의방을 익히도록 함

세종

- 제생원을 혜민국에 병합하여 의녀교육을 혜민국에서 권장 - 혜민국 제조가 의녀의 처벌조건을 정함

→ 매달 소독 및 일찍 도서한 것을 읽도록 하여 그 여부를 파악 매달 그 화수가 많은 세명을 계문(啓聞)하여 월급 지급

그 중에서 불통(不通)한 자는 혜민국다모(茶母)로 정함

성종

- 예조가 의녀권과(醫女勸課)의 조(條)를 정하여 여의를 내의녀, 간병의녀, 초학의녀로 나눔 - 영정조에 제정한 속대전 卷三, 예전(禮典), 장권(獎勸)에는 내축여의와 혜민서여의에 대한

장권의 방법을 따로 정함

- 이 같은 장권제도는 고종 2년에 성립된 대전회통에도 그대로 기록

(10)

 의녀들은

- 가감삼십방(加減三十方)같은 일반적인 상용처방서,

- 맥경 및 침구, 직지맥(直指脈), 도인경 (銅人經), 찬도(纂圖) 등의 진맥전문서, 산 서(産書), 화제부인문(和劑婦人門) 등과 같 은 산부인과 전문서 등을 익힘

 의학적 지식은 주로 진맥 및 침구 또는 산

부인과 등에 주력했다고 보여진다.

(11)

 성종

- 의녀 권과(勸課)의 조(條)에서 진맥, 절혈 이외에 방서(方書)․명약들을 고강(考講)케 한 것은 의녀로 서 진료에 종사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케 한 것으 로 보임

→ 오늘날 여의와 간호사의 업무를 함께 한 것이 라 할 수 있음

 임산부의 분만을 담당케 하는 의녀를 근대에 들어 와 ‘산파(産婆)’라고 칭함

- 이런 산파제도는 성종부터 고종때까지 그대로

승계

(12)

 의녀들의 사회적 지위가 하천류에 속하였기 때문에 문헌에 의녀의 기록이 일천

 의녀의 본분을 다한 여성의 이름을 간추려 보 면 다음과 같다.

 소비(召比), 사랑(思郞), 백이(栢伊), 귀금(貴今),

조방(曺倣), 강금(姜今), 장금(長今), 개금(介今),

덕금(德今), 세금(世今), 장이(莊伊), 수련(秀連),

연생(連生), 은비(銀比), 신비(信比), 장덕(長德),

승소(勝昭), 정옥(正玉) 등이다.

(13)

문제1. 의녀들은 어떤 대우를 받았는가?

 문제2. 의녀들은 어떻게 선발되었고,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 문제3. 과거 TV드라마 “대장금”과 “동의보

감 허준”을 보고 그 당시의 의녀들의 실상

을 파악하여 보고 그들의 생활을 토론해보

자.

참조

관련 문서

다른 독립변수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골관절염과 골밀도간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골관절염의 이환 정도에 따른 골밀도의 감소추세는 그 의미를

불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근로시간의 유연성이 크게 부족한 것 으로 나타나고 있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더욱 저해하고 있는 것 으로 추정된다... 여성의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여성의 창업,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 등을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하고 국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홍보도 다양한

• 결과적으로 1990년대 초반부터 대부분의 여성이 산후에도 여전히 근로.. • 그러나 그 이후에도 여성의 단시간

[r]

All right reserved...

Measurement device: Continuity test; test current up to 0,1A (option 3A), resistance from 10mOhm Insulation measurement; test voltage up to 750V, resistance up to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