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장 무가의 이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4장 무가의 이해"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4장 무가의 이해

무당이 무속 의례를 진행하면서 부르는 노래, 무속 의례는 굿이나 독경.

무당의 유형: 여자 무당, 남자는 박수·박사·화랭이·양중, 제주도에서는 남녀 구별 없이 심방.

강신무降神巫: 무병, 입무식(내림굿), 신딸과 신어머니의 관계, 허주굿(잡귀·잡신을 벗겨내는 의 식)·내림굿(허주굿 후에 큰신(몸주신)을 받아들이는 의식), 신줄(강신무 집안 계통)도 있으나 강 신은 본질적으로 개인에 국한, 신당神堂을 지님, 한강 북쪽 지역, 강신무의 굿에는 공수가 특 징.

세습무世襲巫: 대대로 세습되는 무당, 무당 집안, 인간의 뜻을 신에게 청원하는 사제 기능, 주 로 여자, 한강 남쪽 지역, 단골판(무업의 독점권).

강신무는 ‘용하다’(신성성), 세습무는 ‘잘한다’(세속성·오락성)의 평가를 얻기 원함.

독경무讀經巫: 맹인이 많지만 아니어도 됨, 남자 위주, 앉아서 함(앉은 굿), 충청도가 주도.

굿의 유형: 가정굿(집굿)-재수굿·우환굿·치병굿·망자굿(오구굿), 마을굿(별신굿-동해안), 신굿(내 림굿·진적굿-강신무의 재수굿).

굿의 절차: 열두거리굿: 감응 청배-제석거리-별성거리-대거리-호구거리-조상거리-만신말명-신 장거리-창부거리-성조거리-구릉-뒷젼. 동해안 별신굿: 부정굿-골매기-청좌굿-당맞이화해굿-세 존굿-조상굿-성주굿-천왕굿-심청굿-놋동이굿-손님굿-계면굿-용왕굿-거리굿. 일반적으로, 신을 모심(청배請拜)-대접하여 즐겁게 놀림(오신娛神)-돌려보냄(송신送神)의 절차.

독경의 유형: 기복제: 안택安宅, 고사告祀, 삼신굿, 삼재三災풀이, 살풀이 등, 구병제: 병굿, 푸 닥거리, 강신제: 신명굿, 위령제: 해원굿-넋굿, 지노귀, 오구굿.

독경의 절차: 점-경당 설치-귀신을 잡아 가둠(신장대잡이·귀신대잡이·독경무가 함께 참여).

고대: 나라굿, 제정일치 사회.

신라: 남해왕과 아로阿老(최초의 여자 무당), 단군신화 등은 나라굿에서 나라 무당이 구연, 수 로부인 관련 <해가海歌>도 무가적 성격, <처용가>가 대표적 무가.

고려: 시용향악보의 <나례가>, <성황반>, <대왕반> 등, 악학궤범의 고려 <처용가>.

조선: 이옥의 봉성문여, 작자 미상의 무당내력에 무가의 편린.

무가의 특징: 주술성, 신성성, 오락성, 전승의 제한성, 율문(대개 4음보) 전승, 포용성(불경·도 교 경전 등도 무경巫經, 민요·시조·한시·유행가도 차용)

무가의 갈래: 하나의 굿거리를 한 단위 작품으로 설정해야 하지만, 구체적인 갈래 구분은 개 별 굿거리의 대목 대목을 나누어 분류해야 함.

교술 무가: 청배-제주 설명과 제의 배설 이유-제의 준비 과정과 제물 설명-찬신讚神-축원-공 수.

서정 무가: <노랫가락>·<창부타령>, 씻김굿에 서정 무가 많음.

서사 무가: 본풀이, ~굿, 무속 신화(무속 서사시), 광포 유형(<제석본풀이>, <바리공주>)과 지 역 유형(평안도의 <일월놀이푸념>, 전라·충청도의 <장자풀이>, 경상도의 <악양국왕자노래>, 함 경도의 <셍굿>, 경기도의 <성주본가> 등), 함경도와 제주도의 공통된 성격.

광포 유형 중에서 창세 유형: 창세 신화의 유일한 잔존. 제석본풀이 유형: 재수굿의 핵심 역 할, 삼신의 기원과 곡모신穀母神의 직능 설명, 천부지모의 구조, 여성 수난. 바리공주 유형: 진

(2)

오귀굿의 핵심 역할, 죽은 사람을 살리는 저승 여행, 여성 영웅, 영웅의 일생 구조, 무당의 입 무 과정과 일치. 장자풀이 유형: 전반부는 장자못 전설과 유사, 홍수 신화와 관련, 씻김굿의 기원 설명. 칠성풀이 유형: 수명을 맡은 칠성신의 유래담.

희곡 무가: 무당굿놀이(무극)→민속극에서 다룸.

무가의 전승 원리: 작시 단위로서의 공식(어)구 활용. 구연 방식: 구송창과 연희창.

무가는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구비문학 갈래, 다른 갈래와의 끊임없는 교섭.

*비디오: 생활 신앙의 모체-무속(~2:00~45:00)

참조

관련 문서

교육과

노동조합이라 함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 지‧개선과 근로자의 복지증진 기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 모함을

제4장

우리나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조 4호에서 “노동조합이라 함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개선과 근로자 의

0 커뮤니케이션 유형 : 하향적, 상향적, 수평적, 대각적. 출처 : 리더십 개발과

소매상의 마케팅

고전적 개념과 상대도수 개념은 사실에 입각하여 사상에 확 률을 부여할 수 있을 때 사용되지만 결과들이 똑같이 발생 하지 않는 상황이나 자료를 구할 수

문법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