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8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6 8 박사학위 논문

강대국에 대한 약소국의 역강압 전략에 관한 연구

- 북핵 문제를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 종 관

(3)

강대국에 대한 약소국의 역강압 전략에 관한 연구

- 북핵 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orth Korea’s Reverse-Coercion Strategy against Powerful Nations

- Focusing on DPRK’s Nuclear Issue -

년 월 일

2016 8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 종 관

(4)

강대국에 대한 약소국의 역강압 전략에 관한 연구

- 북핵 문제를 중심으로 -

지도교수 오 수 열

이 논문을 정치학박사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6 년 4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정 종 관

(5)
(6)

목 차

표 목 차

··· ⅳ

그림목차

··· ⅴ

ABSTRACT

··· ⅵ

제 1 장 서 론

···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 1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5

1. 연구의 방법 ··· 5

2. 연구의 범위 ··· 7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분석틀

··· 10

제 1 절 약소국 외교정책의 주요이론

··· 10

1. 동맹이론 ··· 12

2. 편승이론 ··· 16

3. 세력균형이론 ··· 20

제 2 절 강압이론

··· 24

1. 강압의 개념 ··· 25

2. 강압의 수단 ··· 28

3. 강압의 성공조건 ··· 32

제 3 절 기존 연구의 검토

··· 38

제 4 절 분석의 틀

··· 43

(7)

제 3 장 북한의 핵 개발 배경 및 목적

··· 48

제 1 절 북한의 핵 개발 배경

··· 48

1. 6·25 전쟁 ··· 48

2. 이라크 사태 ··· 51

3. 리비아 사태 ··· 52

4. 우크라이나 사태 ··· 53

제 2 절 북한의 핵 보유 목적 및 능력

··· 54

1. 북한의 핵 보유 목적 ··· 54

2. 북한의 핵 능력 ··· 57

제 4 장 미국의 대북 강압과 북한의 대응

··· 62

제 1 절 제 차 북 핵 위기 1

··· 63

1. 미국의 대북 인식 ··· 64

2. 미국의 대북 강압과 북한의 역강압 ··· 65

3. 북한의 대미 역강압 성공요인 ··· 69

제 2 절 제 차 북 핵 위기 2

··· 73

1. 미국의 대북 인식 ··· 74

2. 미국의 대북 강압과 북한의 역강압 ··· 77

3. 북한의 대미 역강압 성공요인 ··· 93

제 3 절 제 차 북 핵 위기 이후 2

··· 97

1. 미국의 대북 인식 ··· 100

2. 미국의 대북 강압과 북한의 역강압 ··· 102

3. 북한의 대미 역강압 성공요인 ··· 115

제 4 절 소 결 론

··· 118

(8)

제 5 장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와 대응전략

··· 122

제 1 절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 122

1. 한미동맹의 이완 ··· 124

2. 안보위협 가중 ··· 126

3. 자주권 훼손 ··· 128

제 2 절 한국의 대응전략

··· 129

1. 공포의 균형 전략 ··· 130

2. 선제공격에 대한 신뢰성과 의사소통의 확보 ··· 133

3.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안 제시 ··· 134

4. 중국과 전략적 협력강화 ··· 136

제 6 장 결 론

··· 140

참고문헌

··· 143

부 록

1. 북 핵 일지(1955~2014)

··· 154

(9)

표 목 차

< 2-1> 약소국과 강대국의 비교 ··· 10 표

< 2-2> 19~20세기 동맹 현황 ··· 15 표

< 2-3> 강압의 성공비율 비교 ··· 26 표

< 2-4> 강압의 목표와 결과 ··· 27 표

< 2-5> 군사력의 기능과 역할 ··· 29 표

< 2-6 > 북한관련 강압이론 연구사례 ··· 38 표

< 3-7> 북한이 경험한 핵 위협 ··· 49 표

< 3-8> 미국의 유형별 정권교체 사례 ··· 51 표

< 3-9> 북한 1~4차 핵실험 비교 ··· 58 표

< 3-10> 북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일지 ··· 59 표

< 3-11> 북한 SLBM 사출시험 일지 ··· 60 표

< 4-12> 북핵 문제에 대한 미북의 입장 ··· 81 표

< 4-13> 9·19공동성명 단계별 이행 구도 ··· 84 표

< 4-14> 9·19공동성명 채택 직후 북 미사일 발사일지 ··· 85 표

< 4-15> 9·19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조치 합의내용 ··· 88 표

< 4-16> 10· 합의문 요지3 ··· 90 표

< 4-17>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 수행전략 ··· 101 표

< 4-18> 안보리 결의안1718호와 1874호 비교 ··· 105 표

< 4-19> 제 차 미북 고위급회담3 (2·29합의 결과 동시 발표 내용) ··· 109 표

< 4-20>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087호와 2094호 비교 ··· 114

(10)

그 림 목 차

그림

< 2-1> 군사력과 세력균형의 상관관계 ··· 23 그림

< 2-2> 강압의 전략적 상호작용 과정 ··· 33 그림

< 2-3> 분석의 틀 ··· 47 그림

< 4-3> 북한 핵 문제 상황전개 순환도 ··· 96

(11)

ABSTRACT

A Study on the North Korea’s Reverse-Coercion Strategy against Powerful Nations

- Focusing on DPRK’s Nuclear Issue -

Jeong, Jong-Kwan Adviser : Prof, Oh, Soo-Yol, Ph. D.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Military value of possessing nuclear weapons has been noticed with the fact that it becomes a major cause of incapacitating conventional system. The strategic value of nuclear weapons for the minor nations or terrorist groups appears that it is a useful measure to appeal their will to hostile countries. Therefore forces willing to possess the nuclear weapon have tried every means possible in developing and obtaining the nuclear power at all costs. The reason is, by possessing a nuclear weapon, a country can protect, maintain, and ensure its core interests from counter forces. Eventually, nuclear weapons are used as the best means when expanding influence through achieving political and strategic edge rather than when considering its military means.

By possessing nuclear weapon, North Korean government looks forward to ensure its core interest of regime preservation through the conflict with US. To solve North Korea’s nuclear problems, various consensus have been made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ies and organizations formed around the US. But by using process and duration of consensus fulfillment, North Korea is raising its negotiation power through upgrade of nuclear capacity on the premise of peaceful use of nuclear. This made the US government

(12)

to induce a hard line against North Korea and North Korea is opposing to US by choosing the reverse-coercion strategy. It shows an evidence that weak nation like North Korea can also stay in balanced state with powerful country like US if it possesses nuclear weapons.

Besides making conflict with US, North Korea government tried to possess nuclear deterrence as a measure to solidify its regime by shifting internal problems to exterior area and intensify the offensive against South Korea. The period from nuclear development step to the 1st North Korea nuclear crisis, North Korea formed the basis of nuclear development, under stable regime of the late Kim Il Sung, The symptoms of nuclear development was exposed, but it did not draw attention from international society. But after July, 1994, as Kim Il Sung died and Kim Jeong Il appeared, substantial North Korea’s nuclear crisis began. Kim Jeong Il was a prepared leader who used a long duration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However, due to sudden death of Kim Il Sung, Kim Jeong Il needed a special measures to solidify his authority at early stage.

So Kim Jeong Il upgraded nuclear deterrence to show off his authority and solidify internal regime unity. Also Kim Jeong Il tried to achieve ‘Self- defense in National defense’ in military field of North Korea’s ‘juche’

ideology by an epoch-making enhancement of military strength. In economic field, Kim Jeong Il made “it” an opportunity to complete ‘Keeping pace in economics and national defense’. Through this action, Kim Jeong Il wanted to prove that his authority follows the late Kim Il Sung’s injunctions pursuing legitimacy of baekdoo blood. And also wanted to overcome the vulnerable period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by defusing tension and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fter overcoming vulnerable period, they tried to achieve unification by communists in Korean Peninsula.

Kim Jeong Eun, the 1st Chairman is also following his father’s footsteps in concern of nuclear deterrence development. But because of

(13)

unprepared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the cycle is shortened, unveiled and show irregular state to an extent of unpredictability. In political, strategic aspect, Kim Jeong Eun tried to carve a perception that he owns a global leadership to North Korean people, by gaining economic interest through conflict with US.

In such situation, US normalized hostile relationship with Cuba, and accomplished diplomatic result exchanging freezing of nuclear program and removal of economic sanctions through conversation and compromise.

However North Korean government witnessed US invading Iraq and learned a important lesson that they must possess nuclear deterrence for their regime maintenance. Because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s a core measure for regime maintenance,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restoration. It is the key purpose for North Korea to induce conflict with US using nuclear deterrence.

North Korea won’t give up the nuclear program unless the whole national security anxiety is resolved such as international isolation, economic recession, and threat from US. For last 60 years, North Korea has developed nuclear weapon and has boasted preparation to use it whenever and wherever. Since 9·11 terror, proclamation of war against terror, prevention of enormous killing weapon and spread of democracy is fundamental diplomatic defense strategy. The conflict has been triggered between US and North Korea since US cannot just watch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lso China and Russia are expressing direct objection as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does not coincide with their national benefits. If North Korea keep induces conflicts and try actions trying to make 9·19 joint declaration and 2 13․ consensus invalid, US can replace North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through cooperation or military strength by international society.

(14)

Solving North Korea’s nuclear deterrence problem is a shortcut to resolving ROK’s security threats and increasing core national interests.

If North Korea pursues innovation and open policy, North Korea will be accepted as a member of international society with a promise of positive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which will enable North Korea to operate as a normal country. Concerning ROK and North Korea, if promises made in 7·4 joint communique, ‘independence, peace, nation union’, are carried out, a basis to achieve peaceful unity in Korean Peninsula will be provided.

Key Words : Coercion, Counter-Coercion, Coercive Diplomacy, Great Powers, Weak States, NPT, IAEA, DPRK’s Nuclear

(15)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약소국가 이지만 핵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이 세계 초강대국가인 미국의 강압전략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여 왔는지를 강압이론 에 근거하여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북한의 대미 대응전략의 (Coercive Theory) .

관점에서 정치적·외교적 의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의 대응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미 오래 전부터 국제. 사회로부터 불신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불량국가(Rogue State)이면서 약소국인 북한 정권이 강대국인 미국으로부터 가해지는 정치·경제·외교·군사적 강압을 극 복할 수 있었던 배경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중국과 러시아와의 혈맹 동맹 관계 가 점차적으로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북한 정권이 미국의 강압전략을 극복 할 수 있는 배경은 무엇일까? 북한이 대미 갈등을 조성한 이후에도 협상을 통해 핵심이익을 확보해가고 있다는 사실을 미국이 인지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현상이 유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라는 의문점을 해소하여보고자 하였다? .

국제정치에서 외교정책과 안보전략이란 국가 간 협력과 경쟁이 반복되는데 국제질서를 통해 자국의 핵심이익을 보호하거나 확보하는 대내외 활동으로 정의 될 수 있다 국제질서는 다양한 형태의 국제체제로 나타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강대국들이 주도하는 체제가 되기 쉬우며 이는 중견국이나 약소국들의 정책결정 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중견국이나 약소국의 안보는 강대국에 의. 해 위협과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들 국가가 선택할 수 있는 외교·안보 적 전략은 극히 제한적이다 때문에 중견국이나 약소국으로서는 다양한 형태의. 교섭을 통해 국가이익을 확보하면서 체제생존을 도모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의 국제관계 연구에서는 주로 강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연구되어 왔 고 중견국 약소국 소수세력들은 연구의 대상에서 소외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 , . 구는 강대국 이외의 국가나 소수세력도 양자관계를 주도하거나 보장받을 수 있

(16)

다는 것을 연구의 주된 논점으로 하고자 한다 따라서 북한의. 3대 세습 정권이 백두혈통의 정통성 확보와 사활적 국가이익인 체제생존을 위해 미국의 대북 강 압전략에 대한 북한의 대응전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북한은 선대정권부터 핵 억지력을 이용한 선군정치를 기반으로 하여 강( )强 전 술과 온( )溫 전술을 반복하는 전형적인 화전양면전술(Stick-and-Carrot Tactical) 과 벼랑 끝 전술(Brinkmanship), 살라미(Salami) 전술을 반복하면서 미국을 대 상으로 하여 정치적·군사적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전략을 대한민. 국과 국제 사회 특히 미국에 대한 북한 나름대로의, 통치전략인 선군정치를 지속 한다는 가정 하에 본 논문을 작성하고자 한다 북한의 통치전략인 선군정치의 본 질적인 목표는 대내 체제 안정화와 대외 안보위협을 해소하여 사회주의 강성대 국을 건설’1)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전략은 핵과 장거리 탄도미사일. 등 핵 억지력에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북한 정권은 3대 세습이후 대내 안정을 위한 체제결속과 백두혈통의 정통성 계승을 위해 대내 적으로는 숙청 등의 공포정치를 실시하면서 대외적으로는 장 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과 핵무기의 소형화·경량화·다종화에 성공했음을 주장 하면서 미국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미국의 북 핵 전문가인 조웰 위. 트(Joel Wit) 박사의 주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북한은. 2015년 2월 현재 ‘10~16 개의 핵폭탄을 보유하고 있고 고농축우라늄(HEU, Highly Enriched Uranium, 이하

을 이용한 핵폭탄도 개정도 보유

HEU) 4 ’2)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은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은 물론 국제사회와 더불어 강력한 경제제 재를 통한 강압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미국의 강압전략에 대해 북한은 핵 억지력. 을 기반으로 정치·경제·외교·군사 등 전 분야에서 강대국인 미국에 대응하는 약 소국 북한의 대응전략을 역강압 전략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북한이 3대 세습에 성공하고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정권을 유지할 수 있는 조 건과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1) 박대광 · 김진무, “김정일 정권의 생존전략 평가와 향후 전망”,국방정책 전문연구시리즈, 2011-12 호 (2011) 한국국방연구원, , pp.44-50.

2) 정상돈, “북핵 문제의 본질과 중국의 전략적 오류”,주간국방논단, 16-20(2016), 한국국방연 구원, p.2.

(17)

북한은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계유일의 3대 세습 군주국이 며 한반도 적화통일의 목표를 바꾸거나 포기한적이 한 번도 없다. 6· 전쟁을25 통하여 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선대의 기존 질서를 바꾸지 않고 미군철수와 남한정권을 타도한 후 민주정권을 수립’3)하겠다 는 목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목표가 달성되지 못하도록 한국과 미국. 은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강력한 동맹관계를 통해 북한정권을 강압하고 있 다 북한은 한미동맹을 이완시켜서 한반도 공산화통일을 달성하고자 하며 이를. 반파쇼 반미반제(反美反帝) 통일이라고 정당화시키면서 불의의 사태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핵 억지력을 이용하여 세계 유일의 절대강국 미국에 맞대응 하고 있다. ‘나라는 작아도 사상과 총대가 강하면 세계적인 나라가 될 수 있다’라며 강성대국론과 선군정치 기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는. ‘핵 억지력을 이 용하여 한반도의 공산화 통일과 미국으로부터 체제생존을 보장’4) 받으려는 북한 정권의 본질적인 의도와 속셈이 변하지 않고 있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북한 정권. 의 핵심이익은 ‘체제생존을 통한 정권의 유지이며 이를 위해 핵 억지력을 이용한 선군정치를 기반으로 하여 미국에 맞대응 하면서 미국으로부터의 안보위협을 해 소’5)하는 것으로 전제하고자 한다.

북한은 1956년 4월 23일 제 차 당 대회를 통해3 “상이한 사회제도를 가진 나 라들과의 평화적 공존을 천명하면서도 그 앞에는 소련과 중국을 위시한 사회주 의 형제 국가들과의 친선단결을 고수해야 한다”6)라고 강조할 만큼 소련과 중국 을 정치·경제·문화·군사적으로 의지했었다 그러나 예측할 수 없는 다양성을 지닌. 국제관계에서 상대적 약소국으로 전락하면서 북한의 핵심이익인 체제유지를 확 보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 되었다 북한은 핵심이익을 보장받고 확보하. 기 위해 선군정치 기치아래 핵 억지력을 향상시키면서 강력한 군사력 건설에 총 력을 기울였다. 2003년 4월에는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던 미·중·북 자회담을 통3 해 북한이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였고 이후 네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한반도를

3) 고병철, “북한의 통일전략은 변하고 있는가”,사상,제 호8 (1991),사회과학원, p.101.

4) 김창희, “북한의 체제유지정책과 강성대국론”,한국정치외교사논총, 21권 호2 (2000), 한국정치 외교사학회, p.302.

5) 박대광 · 김진무, 앞의 논문, pp.44-50.

6) 유완식, “비군사적 남조선혁명론 채택과 정치공세”, 북한 , 1984 10월호(1984), 북한연구소, pp.83-89.

(18)

포함한 동북아 정세는 물론 국제 사회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마침내 북한은 2012년 4월 13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2기 5차 회의에서 헌법을 개정하면서 ‘핵보유국(Nuclear Weapons State)’임을 명시함으로써 반 드시 핵을 보유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또한. 2013년 7월 27일 6· 정전25 일(북한은 전승절로 주장) 열병식에서는 핵 배낭을 선보임으로써 ‘핵 소형화’에 성공했음을 대내외에 과시하였다. 2016년 5월 개최된 제 차 당 대회에서는 핵7 보유국임을 명시하고 경제·핵 병진정책을 항구적 노선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그. 들의 주장처럼 무적 군사강국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하며 한반도에서는 “강성국 가 건설로 북한 체제를 유지하고 한반도 통일을 구현하여 사회주의 체제 확산”7) 과 국제관계 특히 미국과의 관계에서 우의를 점유하겠다는 고도의 대미 대응전, 략이 숨겨져 있다 왜냐하면 핵 억지력은 평시에 적대 국가를 강압함으로써 핵심. 국가이익을 확보하거나 위기나 갈등 상황을 자국에 유리하게 하고 상대국의 의 지를 굴복시키는 절대무기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함의는 북한 3대 세습 정권은 자국의 핵심 국가이익 보장을 위하여 대를 이어서 핵 억지력 보유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북한의 체제나 정권이 교체되지 않는 한 그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국제 사회와 미국의 다양한 제재를 통한 강압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미. 사일 사거리의 증가 및 핵탄두의 소형화·경량화·다종화는 물론 고농축우라늄 프 로그램(HEUP, Highly Enriched Uranium Program, 이하 HEUP)의 꾸준한 향 상, SLBM 사출시험 등 그 기술을 꾸준히 축적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핵. 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다자회담으로 진행된 6자회 담도 2008년 12월 이후에는 휴면상태에 있다.

북한을 제외한 5개국은 물론 국제 사회에서도 6자회담 재개를 촉구하고 있지만 북한 정권은 오히려 국제 사회와 미국 그리고 대한민국을 상대로 하여 수사적, 위협수위를 높이면서 그들만의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국면은 북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북 강. 압과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전략 실태 즉 북 핵과 관련한 전략적 상호작용의 관,

7) 하정열, “대한민국 안보전략론 평화통일 일류국가의 길: ”,미소연구(서울:황금알, 2012), p.458.

(19)

점에서 연구하면서 북 핵 문제의 해결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였 다 그러나 현재 북한 정권은 핵 억지력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기세로 보아 북. 핵 문제 해결은 국제관계에 있어서 매우 복잡하고 험난한 여정이 지속될 것이다.

북 핵 문제가 다시 협상테이블에 올려 지거나 반대로 북한만의 대외전략을 지속 하게 될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유익한 대북 핵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 .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북 핵 위기에 대한 미국의 대북 강압과 북한의 대응전략 분석을 위 해 사례 및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된 이론과 논문. , 세미나 자료 외교부, ·통일부·국방부 등 관련 정부부처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종 문헌과 데이터 학술서적 기고문 등을 다독하며 개념을 정립하고 내용을 세부적, , 으로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최근에 인터넷 및 각종 언론매체에서 이슈. 화 되었거나 보도 되었던 시사 자료나 언론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상황과 연계한 당시의 전개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북한에서 발행되는 노동신문 조선. , 중앙통신 등과 같은 북한 언론보도와 관련된 1차 자료들은 직접 획득이 제한됨 으로 인해 국방부에서 정밀한 분석과정을 거쳐 정보로 생산되어 일일 및 주간단 위로 제공하고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재인용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이론은 현실주의(Realism)이론이다 특히. 본 연구에 핵심적으로 적용되는 강압이론은 정책결정자들이 자국의 핵심이익을 유지하거나 확보하는 것에 대한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합리적인 방법으로 실천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즉 국제관계론 에서의 강압이론은 상대. 국으로 하여금 강압국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물리적인 충격을 당하여 지출되 거나 소모되거나 잃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는 내용이 본 연구 의 전개과정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전쟁과 연관하여 본다면. ‘전쟁 이전단계에서 갈등 및 위기상황을 해결하려는 노력 즉 실질적인 군사력의 운용보다 전쟁 상황,

(20)

으로 확대되기 이전에 강압외교를 통한 정치적 목적을 달성’8)하고자 하기 때문 이다 강압은 폭력이나 파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며. ‘강압으로 인해 경미한 형태의 폭력이나 파괴’9)가 사용되었다 할지라도 여력이 남아있는 상대국에게 굴복이나 항복 양보를 강요할 수 있을 때 가장 성공적이라 할 수 있, 다 즉 강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대국으로 하여금 폭력과 파괴를 통. 하여 감당할 수 없는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하면서 위협과 갈등이 해소 되었을 때 매우 성공적이다 그리고 강압국은 강압에 사용될 폭력이나 파괴. 에 소요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을 때 강압의 효용성은 극대화 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약소국의 정의 그리고 약소국이 선, 택할 수 있는 외교정책 중 동맹 편승 세력균형 이론과 이에 따른 사례를 분석, , 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강압이론의 개념과 강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과 성공조건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자들의 강압과 관. 련된 연구를 고찰한 이후에 분석의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2장은 이론에 관한 연구로써 주로 기존 연구자들의 문헌을 활용하여 연구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장은 북한 정권은 왜 핵 억지력을 보유하고자 하였는지에 대한 배경과 목적

3 ,

그리고 북한의 핵 억지력 능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이. 경제제재 등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고도화시키고 있는 핵 능력과 경험한 핵 위협, 핵 억지력 보유에 대한 목적과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핵 억지력을 보. 유 했었던 국가들이 핵을 포기했을 때의 결과와 핵 억지력을 보유하고자 했던 국가들에 대해 미국은 어떠한 강압전략을 채택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장에서는 핵 위기 단계별로 북한에 대한 미국의 인식에 기반 하여 이에 따른 미국의 대북 강압전략과 이에 대한 북한의 대미 역강압전략 즉 북한의 대응전략, 을 연구하고 북한의 대미 강압전략 성공요인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소결론을 맺 고자 하였다.

8) Peter Viggo Jakobsen, Western Use of Coercive Diplomacy after the Cold War (London:

Macmillan Press, 1988), p.6 ; 차주희, 미국의 대북 강압외교 정책에 관한 연구 : 1· 차 북 핵 협상2 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동아시아연구, 제 호11 (2005), 고려대학교 동아시아연구재단, p.108에서 재인용.

9) Daniel Byman · Matthew Waxman, 이옥연 역, “미국의 강압전략 이론 실제 전망: , , ,『국제관계학 총 , 2(서울: 사회평론, 2004), p.18.

(21)

장에서는 북한의 대미 역강압 전략이 대한민국의 안보에 주는 함의를 분석하 5

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을 제시하며 6장에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2 .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북한의 핵 억지력 개발로 인해 촉발된 제 차 북 핵 위기로부터1 2차 북 핵 위기 이후 2014년도 까지 미국의 대북 강압과 북한의 대미 대응전략의 역학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993년 3월 12일 국제원자력 기구

이하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의 핵사찰에 불만 을 품고 핵확산금지조약(NPT,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이하 NPT) 탈 퇴를 발표함으로써 조성된 제1· 차 북 핵 위기로부터 새로운 국면의 북 핵 위기2 를 전후로 하는 미북 상호 강압전략을 포괄한다.

연구가 제 차 북 핵 위기로부터1 2차 북 핵 위기 이후까지의 핵과 관련된 미북 관계를 포괄적으로 포함하고자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연구 발표된 논문은 주로 제1· 차 북 핵 위기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제 차 북 핵 위2 2 기 이후에 대한 연구는 실적이 비교적 미흡하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은. 6자회담 을 ‘가치 없고 공허한 것(Null and Void)’10)이라고 일축하는 한편 2015년 6월

일 평양에서 하르트무트 코쉬크 독일연방의원에게

1 (Hartmut Koschyk) ‘앞으로

미국과는 핵 문제를 가지고 협상테이블에 같이 앉게 되는 일은 없을 것’11)이라 고 표명함으로써 핵 억지력에 대한 확장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 하였다 그리고 한미연합훈련. 등을 빌미로 하여 지속적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이하 ICBM) 시험발사는 물론 잠수함발사 탄 도미사일(SLBM,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이하 SLBM) 사출시 험(underwater ejection test) 등 핵무장능력 강화와 병행하여 수사적 위협 등 대미전략이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제 차 북 핵 위기는1 1989년 9월 프랑스의 SPOT2 위성이 영변 핵 시설을

10) 양정승, 적극적 대응책 요구되는 북한 SLBM 발사시험”, KIMS Periscope , 제 호2 (2015), 한국 해양전략연구소, p.1.

11) 위의 논문, p.1.

(22)

촬영한 사진 분석 결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사진을 통해 북한이 핵을 개발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이에 대한 IAEA의 사찰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었다.

년 월 는 북한에 대한 핵사찰을 실시한 결과

1992 5 IAEA ‘북한이 신고한 플루토

늄 양과 불일치하자 미신고 2개 시설에 대해 특별사찰을 요구하였고 북한이 이 에 반발하여 1993년 3월 NPT 탈퇴’12)를 선언하면서 제 차 북 핵 위기가 시작1 되었다

제 차2 북 핵 위기는 미국 정보당국이 2002년 6월 북한이 고농축우라늄(HEU, 이하

Highly Enriched Uranium, HEU) 핵 프로그램 개발에 착수했다는 결론을 내리면서부터 시작된 예상된 위기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2년 10월 제임스 켈리(James Kelley)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북한을 방문하여 강석주 북한 외무성 제 부상과의 회담에서 우라늄 농축 비밀프로그램1 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제네바 합의 위반이라는 책임을 물었다 북한은 이에. 대한 반발로 제네바 합의 무효화 선언과 원자로 봉인 제거 핵동결 해제 조치 이, 후에 2003년 1월 10일 제 차 북 핵1 위기에 이어 두 번째 NPT 탈퇴를 선언하 면서 제 차 북 핵 위기가 시작되었다 또 따른 제 차 북 핵 위기는2 . 2 1998년 8월 스커드 미사일을 개조해서 제작된 대포동 호 북한에서는 백두산 호로 명

31 1 ( 1

명 를 발사한 시점으로도 볼 수 있다 이유는 핵탄두를 운반할 수 있는 대륙간탄) . 도미사일 시험이라는 점에서 제네바 합의를 파기하고 미국을 강압하는 대미전략 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전자를 제 차 북 핵. 2 위기로 판단한다.

년 월 일에는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광명성 호를 탑재한 장

2009 4 5 2

거리 로켓 발사에 이은 5월 25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2차 핵실험 을 진행함으로써 제 차 북 핵 위기 종료와 함께 새로운 국면의 북 핵 위기가 시2 작되었다 이에 대한 판단의 근거는 제. 1· 차 북 핵 위기는 국제 사회나 미국에2 의해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의혹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2차 핵실험은 북한이 핵실험에 성공했다고 공개하면서 위기를 식별한 경우이기 때문이다 또한. 2차 핵실험에 앞서 장거리 로켓 발사시험을 통하여 핵무기를 운반할 수 있다는 자신 감 확보 후에 핵실험을 진행함으로써 핵 보유국가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국제 12) 김성학, “북미 상호 불신과 제네바 합의의 붕괴”,『북한학보 ,』 제 권38 1 (2013), 북한학회, pp.81-82.

(23)

사회의 일원으로 등장하기 위한 전략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동안 북. 핵 위기를 관리해오던 장치였던 6자회담이 2008년 초 그 기능이 상실된 기간을 이용하여 오히려 핵무기 운반수단과 제조기술이 향상된 상황으로 변화되어 북 핵 관리에 대한 새로운 국면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 사회의 대북제재. 가 1차 핵실험 때 결의한 1718호 보다 더욱 강화된 1874호를 결의하면서 더욱 강력한 대북제재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이에 대해 강력히 비난하면서 다. 시는 6자회담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공언하는 등 6자회담 재개 가능성도 사라졌 기 때문이다.

(24)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분석틀

제 1 절 약소국 외교정책의 주요이론

외교정책(Diplomatic Policy)이란 ‘국가의 중요한 가치로 설정된 자국의 정치 적 목적이나 이익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대국가에 대하여 취하는 자국의 정책적 행위’13)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보통의 경우 외교정책의 목표는 체제생존 및 존속. , 핵심이익 확보 정권의 보장 및 유지 등 자국을 중심으로 한 대내외 환경과 여건, 에 따라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하게 선정된 목표 중에서도 외교. 정책의 가장 핵심적인 목표는 국가와 체제의 존속이며 이를 위한 치명적인 위협 의 제거 감소 또는 완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약, . 소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많은 제약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이 따른다. ‘약소국(Small Powers, Small States, Weak States)’14)은 강대국에 비하여 많은 취약성을 보유하고 있다. <표2-1>는 다양한 분야에서 강 대국과 약소국을 비교하여 보았다 하지만 국제관계에 있어서 어떤 국가도 전 분. 야에서 완벽한 조건을 갖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떤 국가도 전 분야에서 수준이 낮다고 판단할 수도 없다.

< 2-1> 약소국과 강대국의 비교

13) 국방대학교,『안보용어집』 서울 국방대학교( : , 2001), p.24.

14) 서훈, 북한의 선군외교 약소국 북한의 강대국 미국 상대하기 : (서울:명인문화사, 2008), pp.11-12 ; Michael Handel, 김진호 옮김,약소국 생존론(경기 파주:대왕사, 1995), pp.41-58 ; 김덕, 약소국 외교론 국제체제 속의 약소국: (서울: 탐구당, 1992), pp.37-50 ; 이호재,약소국 외교정책론(경기 성남: 법문당, 1973), pp.3-9 ; 이상철,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비대칭 동맹이론과 한미동맹』 서울( : 연경문화사, 2004), pp.36-37.

구 분 약 소 국 강 대 국

인 구 매우 적음 매우 많음

국 토 좁음 넓음

군 사 력

자주국방 약함 동맹국 의존, 강함 동맹국 지원,

무기체계 수입의존 핵무기 / 운반체 보유,

자체 생산능력 보유

동 원 율 낮음 지속능력 제한, 높음,

막강한 상비군 보유

(25)

구 분 약 소 국 강 대 국

경 제 력

G D P 낮 음 매우 높음

중 공 업 없거나 소규모 다양하며 최고주준의 기술보유

전 문 성 특정분야 다양한 분야 최고의 전문성,

시 장 수입 의존도 높음 거대한 국내외 시장

R & D 낮 음 매우 높음

외 자 의존성 높음 의존성 없음

국제체제

관심영역 국지적 세계적

힘의 균형 영향력

( ) 없거나 최소화 극대화

외교 수동적 반동적, 역동적 활동적,

위험감수 위험 최소화에 주안 이익 극대화에 주안

정보 획득 매우 낮음 매우 높음

노출 매우 높음 매우 낮음

국제법

국제규범 강력한 지지 지지정도가 낮으며 정상회담 선호

* 출처: Michael Handel, 김진호 옮김,『약소국 생존론』 경기 파주( : 대왕사, 1995), pp.64-65.

국력이 강하고 정치적·경제적·외교적·군사적 측면에서 국제정치에 큰 영향력의 행사가 가능한 강대국(Great Powers)에 약소국이 대항한다는 것은 국가이익을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과도한 안보비용의 부담을 회피하면서 자국. 의 안보취약성을 해소하기 위한 대외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 국제체제의 통상적인 모습니다 약소국의 입장에서의 국제관계는 강대국에 비해 국제체제의. 변화에 따른 위협 국가가 언제든지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약소국은 이러한 현상. 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국의 안보를 보장받고 군사적인 능력은 물론 경 제적인 능력까지 확보하기 위하여 강대국 또는 “위협세력과의 관계설정”15)이 대 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강대국이나 위협세력에 대항하는 약소국의 외교정책 중 가장 일반적인 외교정책은 상대국의 힘과 자국의 힘을 통합하여 강대국의 위협으로부터 자국을 보호하려는 동맹정책(Policy of Alliance)이나 세력균형 정책(Balance of Power

을 채택한다 또한

Policy) . ‘최소한의 국력을 유지하면서 강대국이나 위협국으로

15) 장노순, “약소국의 갈등적 편승외교정책 북한의 통미봉남 정책: ”,한국정치학회보, 제 집33 1 (1999), 한국정치학회, p.380.

(26)

부터의 안보위협을 자구책 또는 외부의 도움으로 견제할 수 있을 때에는 세력균 형 정책이나 편승정책(Policy of Bandwagon)’16)을 고려할 수도 있다.

1 . 동맹이론 (Alliance Theory)

동맹은 고대국가로부터 국제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 국제정치 개념의 하나로써 국제관계에서의 ‘개별국가 또는 개 이상의 국가가 평화와 안정을 유2 지 하려는 외교정치의 기본 형태’17)라고 할 수 있다. ‘국가 간의 연합(Alignment) 현상’18), ‘둘 이상의 개인이나 단체 또는 국가가 서로의 이익이나 목적을 위하여, 동일하게 행동하기로 맹세하여 맺는 약속이나 조직체나 이러한 관계를 맺는 것’19)을 의미한다. 또한 ‘잠재적 혹은 현실화된 군사적 갈등에 맞서 군사적으로 협력하겠다는 독립된 국가들 간의 공식적 협정’20)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동맹의. 개념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지만 종합해서 정의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어떤 특정 상황에서 개 이상의 복수국가 간 합의를 통하여 상호 능력을2 결집하여 실제로 존재하거나 하거나 가상의 적대적 대외 행위자에 대한 집단적 자위(Collective Self-Defence)행위’21)를 의미한다 즉. 2개 이상의 국가가 위 협적인 제 의 국가나 이와 동맹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에게 공동으로 대응하기3 위하여 참여국가가 보유한 모든 수단과 자원을 투입하는 협력적 노력에 기초한

“잠재적 전쟁공동체(Latent War Community)”22)로서의 국가 간의 연합을 의 미한다 이러한. “국가 간의 연합(Alignment)”23)은 상대 위협국의 위협 강도와 16) 조동준, “안보위협에 대처하는 중소국의 선택”,『세계정치11 , 30집 호1 (2009), 서울대학교 국

제문제연구소, pp.11-12.

17) 국방대학교 앞의 책, , p.25.

18) 윤태룡, “동맹이론”,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2008-8 (2008), 전남대학교 세계한상 문화연구단, p.1124.

19) 예림미디어,『국어사전(서울 예림미디어: , 2000), p.97.

20) 정기웅, “동맹이론을 중심으로 본 한미동맹에 있어서의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의 의미”,『사회과학연 , 48집 호1 (2009), p.4.

21) 배양일,한미동맹과 자주: 한미동맹 관계에 나타난 한국 외교의 자주성 행태에 관한 연구 ,』 연세대 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2006), pp.15-17 ; 최명해,『중국과 북한의 동맹관계 불편한 동거의 역사:

서울

( : 오름, 2009), pp.37-38.

22) Robert E. Osgood, Alliances and American Foreign Policy(Baltimore: John Hopkins Univ.

Press, 1968), p.19 ; 위의 논문, p.16에서 재인용.

23) 윤태룡,현대국제정치이론과 한국적 수용 동맹이론의 한국적 수용: (경기 파주:법문사, 2009), pp.219-220.

(27)

동맹의 목적에 따라 강력하게 혹은 약하게 연합할 수도 있고 상황과 여건에 따 라 중립적인 입장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동맹을 통해서 자국의 국력을 증강하. 거나 동맹 상대국의 국력을 자국의 국력으로 이용하거나 위협국의 국력을 제거 또는 제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협적인 제 의 국가나 이와 동맹관계인 집단이3 존재하는 동안 동맹은 유지될 것이고 그 위협이 소멸되면 자동으로 해체’24)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국가 간 동맹을 체결하는 근본 목적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자국의 핵심이익 을 보호하는 것이다 개별 국가 간 동맹을 맺기 위해서는 공통된 핵심적 국가이. 익이 존재하여야만 가능했지만 현실적으로는 공통된 핵심적 국가이익이 존재하 여 동맹을 맺는 경우는 많지 않다 실제로 제 차 세계대전이 종식된 이후 미일. 2 동맹은 미국의 군사적 독단주의와 패권주의는 물론 승전국의 권위로 패전국인 일본에게 불합리한 동맹관계를 강요하였다 즉 미국의 주도하에 명문화된 전후. 헌법은 “침략자를 물리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위력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전수방위라는 매우 억제된 방위태세만을 유지”25)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종전이후 일본을 둘러싼 심각한 안보환경 하에. 서 일본은 자위를 초과하는 모든 분야를 미국에 의존하면서 최소한의 군사적 방 어태세만을 유지하고 경제 재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즉 패전국. 인 일본에게도 미국과의 동맹 이전에는 식별하지 못했던 경제발전의 제반여건 조성과 안보에 관한 핵심적인 국가이익을 미국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 본은 “높은 군사비 지출을 자제하고 경제부흥에 집중함으로써 전후에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26)한 국가 중의 하나가 되었다.

미국은 소련을 가상적국으로 지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마샬계획’과 ‘봉 쇄정책(Containment Policy)’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대소. (對蘇) 정책을 추진함 에 있어서 소련과 근접해 있는 일본의 지정학적 유리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 는 국가이익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처럼 미일동맹은 동맹이전에는 식별할 수 없. 었던 새로운 국가의 핵심이익을 확보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처럼. 24) Glenn H. Snyder, Alliance Politics(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pp.3-4.

25) 가미야 마타케(Matake Kamiya), “냉전 종결이후 일본의 안보정책”,전략연구, 28 (2003), 한국전략문제연구소, p.36.

26) 김광열,『현대국제관계론(서울:학문사, 2003), p.141.

(28)

동맹은 동맹이전의 개별 국가들이 위협국가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였다면 동 맹 이후에는 동맹국 간 갈등을 해소하거나 최소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동맹국 상호간의 의존성을. 심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력이 약한 약소국은 동맹 상대국인 강대국으로부터 유·무상 군사원 조 군사기술 이전 군대주둔 위협국 침략 시 격퇴 등을 통해 안보를 확보하거, , , 나 보장받는다 대신에 국력의 격차로 인해 자국의 정책결정 및 수행에 있어. 서 자율성을 제약 당하게 된다 즉. “자율성과 안보의 교환(Autonomy-Security Trade -Off)”27)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불공평하게 작용될 수도 있다. 이를 비대칭 동맹(Asymmetric Alliance) 또는 불평등 동맹(Unequal Alliance)이라고 한다 약. 소국은 우선 당면한 위기에서 핵심적인 국가이익을 유지하거나 확보하기 위해서 동맹국 상호간 이해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 없이 강대국과 동맹을 체결하게 된다 이후 위기가 해소되거나 약화된 후에는 개별국가들이 추구하는 핵심 국가. 이익이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강대국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주의 시각에서 본 국제정치의 실상이다.

약소국은 동맹국인 강대국에 비해 이중 안보딜레마(Double Security Dilemma) 즉 위협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안보불안 및 국력증가의 악순환은 물론 방기

와 연루 에 대한 공포

(Abandonment) (Entrapment) ”28)에 직면하게 된다 약소국. 은 위협국으로부터 느끼는 잠재적 또는 현실적인 위협을 해소하거나 약화시키기 위해서 동맹국으로부터 ‘방기’의 우려에 대비하여 자국의 주권을 희생하더라도 동맹 상대국인 강대국과의 동맹공약을 확고하게 하고자하기 때문이다 반면 강대. 국은 동맹 상대국인 약소국과의 동맹공약 보다도 자국의 국가안보와 핵심이익에 더 큰 관심을 가지면서 ‘연루’의 우려를 해소하는데 집중하기 때문이다.

약소국들은 이러한 딜레마 외에도 동맹 강대국에 의한 내정간섭 동맹이 해체, 되었을 경우 또 다른 강대국과 동맹을 체결해야 하는 취약점을 보유하게 된다.

또 다른 문제는 약소국 내에 위치하고 있는 동맹국의 각종시설에 대한 적대국의

27) 김태현, “비대칭 동맹에서 약소국의 자율성에 대한 연구”, 신아세아 , 제 권 제 호18 1 (2011), 신아시 아연구소, p.189.

28) 윤태룡 앞의 책, , p.237.

(29)

공격목표로 선정되면서 약소국들에 대한 위협이 가중된다는 점이다.

약소국이 동맹 상대국인 강대국보다 더 많은 주도권과 자율성을 가지고 동맹 관계를 폐기하거나 변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① 약소국의 획기적 인 국력의 증강 ② 강대국에 존재하지 않는 희소가치와 고가치의 양면성을 지닌 자원의 발견 ③ 핵 억지력과 화생무기 등 비대칭 무기를 보유하게 되는 등 경제 력과 군사력으로 자국의 안보를 책임질 수 있게 된 경우 ④ 위협세력이었던 국가 가 해체 또는 소멸되거나 관계가 회복 되었을 때 ⑤ 동맹 강대국의 국력이 약화 되거나 쇠퇴해졌을 때 ⑥ 강대국의 국내 문제로 인한 정책결정권자의 분열 및 교 체 등 전략적 가치를 상실함으로써 동맹관계로 인해 약소국이 얻는 국가 핵심이 익의 가치가 축소되거나 소멸될 경우 ⑦새로운 패권국가가 등장하여 기존 동맹 국과의 동맹관계를 반대할 경우’29) 등이다.

국가 간 동맹을 체결했다고 해서 상호 동맹국으로서의 임무와 역할을 반드시 완벽하게 수행하는 것은 아니며 동맹 기간도 국제체제의 변화에 따른 개별국가 의 핵심이익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할 가능성이 높다. <표2-2>에서 보는 바 와 같이 ‘1816년부터 1965년 까지 채결된 군사동맹은 148개로써 방위조약 73 개 중립조약, 39 ,개 협상은 36개였다 동맹기간은 방위조약이. 115개월로 가장 장기간 이었으며 중립조약은 94개월 협상은, 68개월로 동맹조약의 내용이 강할 수록 동맹기간도 장기간’30)이었음을 알 수 있다.

< 2-2> 19~20세기의 동맹 현황

구 분 계 19세기 20세기 비고 동맹기간( )

계 148(100%) 36(100%) 112(100%) -

방위조약 73(49%) 22(61%) 5146(%) 115개월

중립조약 39(26%) 5(14%) 34(30%) 94개월

협 상 36(25%) 9(25%) 27(24%) 68개월

* 출처: Bruce Bueno de Mesquita and J. David Singer, ‘Alliances, Capabilities, and War: A Review and Synthesis,”in Comelius Cotter ed., Political Science Annual : An International Review, Vol. 4(1973), p.246 ; 김열수 국가안보 위험과 취약성의 딜레마,“ : ”,

경기 파주

( : 법문사, 2010), p.215에서 재인용.

29) 백성호, “비대칭동맹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세계지역연구논총 , 제 집20 (2003), 한국세계지역학회, pp.81-83.

30) 김우상,『신한국 책략Ⅱ』(경기 파주:나남, 2007), p.56.

(30)

이처럼 동맹관계의 변화 원인은 ‘세력균형을 통한 체제의 안정과 지속 국제체, 제에서의 지위 확보 자신의 부담을 축소시키고 상대국의 의무를 가중, ’31)시키기 위해서는 수시로 동맹 파트너를 바꿔야하기 때문이다.

편승이론

2. (Bandwagon Theory)

정치·경제·외교·군사 분야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적대 강대국이 존재할 경우 상 대적 약소국들은 자신의 능력으로 양국 간에 세력균형을 변화시킬 수 없다 즉.

‘강대국의 위협에 대한 굴복으로 강대국의 직접적인 위협을 피하기 위한 외교정 책’32), ‘더 강한 편 즉 우세한 국가와 제휴하는 외교정책, ’33), ‘승리할 것 같은 국가에 합류하거나 적극적으로 강대국의 개입정책에 개입하여 국가이익을 극대 화 하는 것’34)을 의미한다 이는 자국의 핵심적인 안보이익의 확보와 체제생존. 및 유지를 위하여 적대 강대국에 대한 균형정책을 채택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즉. 적대 강대국의 국력이 증강되어 위협이 현실화 되면 약소국은 자국의 안보를 확 보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대안을 채택하면서 오히려 적대 강대국의 역량에 의존 하는 편승정책을 취하기도 한다 이를 종합하여 정의하여 보면 약소국을 위협하. 는 세력인 적대 강대국에 편승함으로써 약소국인 자국의 위협요소를 완전히 제 거하거나 최소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약소국의 편승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 형’35)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영향력 확대를 추구하는 강대국의 강압에 의한 편승으로 현실주의가 지, 적하는 약소국의 굴복을 의미하는 과정이다 아이티는. 1991년 9월 30일 세드라 스(Raoul Cedras)의 쿠데타로 민주정권인 아리스티드(Jean-Bertrand Aristide) 대통령을 축출하고 군부가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에 유엔과 미국은. ‘1994년 9월 일 군사행동을 전제로 한 협상을 통해 군사정권을 퇴진시키고 월 일 아

17 10 15

31) 황영배, “군사동맹의 지속성 세력균형과 세력전이론: ”,한국정치학회보, 29권 제 호3 (1996), 국정치학회, pp.337-343.

32) 장노순 앞의 논문, , p.380.

33) 강봉구, “편승과 균형: 21세기 세계정치와 러 미관계- ”,국제정치논총, 45 3 (2005), 한국 국제정치학회, p.269.

34) 최성권, “북 핵 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편승 견제와 균형: , ”,사회과학연구, 제 집 호33 2 (2009),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89.

35) 장노순 앞의 논문, , p.384.

(31)

리스티드 정권을 복귀시킴으로써 민주정권을 회복’36)하였다 미국의 군사행동에. 대한 본질적인 목적은 ‘군부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인권유린의 방지 아리스티드, 대통령 복귀를 통한 민주주의 정권 유지 및 민주주의 확산 아이티 난민의 미국, 유입 방지와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공신력 유지라는 현실적인 국익추구의 목 적’37)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강대국의 절대적인 양보에 의해 약소국의 편승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 강대국은 경제 혹은 군사적 지원을 통해서 약소국을 영향권에 두려고 시도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2006년 3월 ‘인도는 민수용 핵 개발프로그램에 대한 사찰 수용 미국과 원자력 발전을 위한 협정체결 조건으로 미국으로부터 IAEA ,

민수용 핵 기술을 이전 받기로 하는 등 인도를 미국의 영향력 하에 두고 핵 확 산을 예방하는 미국의 핵 확산 억제정책에 대한 성과’38)를 거둘 수 있었다.

셋째 약소국과 강대국이 협력적인 과정을 통해서 약소국의 편승이 이루어진, 다 이런 경우에 약소국과 강대국은 상호 안보 협조. (Collaboration)를 통해서 유 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약소국과 강대국은 상호 협력의 결과에. 대해서 동의하나 만약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얻 게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2015년 4월 27일 미국은 일본과 ‘미일 방위 협력지침(Guidelines for U.S.A-Japan Defence Cooperation)을 1997년 개정 후 18년 만에 또 다시 개정하면서 미일 신 밀월시대를 개막’39) 하였다 이는. ‘중 국의 급부상에 따른 미국의 아시아 재 균형정책(Re-Balancing with Asia)과 아시아 중시(Pivot to Asia)정책’40) 추진의 가장 효과적인 파트너로 일본을 선 택하였다. ‘일본의 군사력은 세계 위9 (458억 달러 로 핵 무장은 하지 못했지만) 3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9343&cid=40942&categoryId=31787 검색일( : 2015

11월 일8 ).

37) 조경숙, “아이티 사태에 대한 미국의 개입정책 분석”,세계지역연구, 제 권3 (1998), 이화여자대학 교 세계지역연구회, pp.4-7.

38) 이용호, “핵무기 비확산 조약과 미국의 핵 정책”,국제법학회논총, 제 권 제 호51 2 (2006), 대한국제 법학회, pp.99-101.

39) 남문희, “중일 전쟁으로 서울 불바다?”,『시사in , 2015 년 월호6 (2015), p.52.

40) 2009년 부시 기 행정부에서는 아시아 태평양으로의 귀환1 (return to Asia Pacific)’, ‘아시아 재 관 (reengagement with Asia)’, ‘전방관여(forward deployed engagement)’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 였다. 2010년에 아시아로의 회귀 (pivot to Asia)’로 명칭이 정리되었으며2012년부터는 재 균형정 (rebalancing with Asia)’으로 명명되었다 김기석. , “미국의 재 균형정책과 동아시아 지역질서: G2 동학과 지역 국가의 대응”, 21 세기정치학회보,23권 호3 (2013), 21세기정치학회, pp.173-174.

(32)

해·공군력에 대한 질적 평가시 세계 위 수준으로써 세계 위3 2 (2,160억 달러 인) 중국을 효과적으로 견제’41)할 수 있는 군사력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즉 미국의. 대 중국 견제정책과 일본의 군사대국화와 보통국가화라는 양국의 핵심 국가이익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인식에서 편승이 성사되었다.

넷째 약소국이 갈등적인 과정을 통해서 강대국에 편승하는 경우이다 갈등적, . 편승은 약소국과 적대 강대국간 마찰 갈등 위협 등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합, , 의점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편승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인 편승의 형. 태처럼 약소국의 일방적인 양보에 의해서 이루어진 외교관계가 아니라는 의미이 다 북한은. ‘탈냉전이후 소련의 붕괴 중국과의 관계소원 경제난 등으로 안보위, , 협이 확대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남한을 배제하고 체제생존의 핵심카드인 핵 문제와 북한을 악의 축(Axis of Evil)으로 지목하고 압박하는 등 갈등관계 있는 미국과의 외교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통미봉남(通美封南) 정책을 추구하여 제네바 합의와 9· 공동성명 그리고19 , 2· 합의13 ’42)를 이끌어 낸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약소국이 균형동맹에 참여할 때는 동맹국의 세력을 증강하는데 미미한 역할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적대 강대국으로부터는 체제생존의 위협과 자국의 핵심이익. 을 침탈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균형정책보다는 편승정책을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위협세력이 적대 강대국일 경우 이에 대항하기 위한 우호적이. 며 강대국인 동맹파트너를 쉽게 구할 수 없기 때문에 편승을 선택하기도 한다.

또 따른 유형은 약소국 간 동맹관계에 있더라도 적대 강대국으로부터의 위협 발 생 시 동맹국으로부터 군사적 원조를 받기 이전까지는 자력으로 자국의 핵심이 익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편승을 선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 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적대 강대국으로부터의 위협이 발생할 경우에도 편승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탈냉전 이전 미소 양극체제 시기의 국제관계에서 편승의 일반적인 현상은 ‘약 41)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 “2014 세계 군사비 지출 순위 조사, 2015년 월4 13; 하종훈,

군사력 세계 위 질적으론 위 견제 손색없어 서울신문 년 월

9 3 , ”, , 2015 4 29 , 002 .

42) 이창헌, “4자회담의 전개과정 및 추진방향”,한국동북아논총, 제 권6 (1997), 한국동북아학회, pp.175-180 ; 김창희, “2·13합의 이후 북한의 핵협상과 정책변화”,한국동북아논총, 13 4

한국동북아학회

(2008), , pp.48-49.

(33)

소국이 적대 강대국의 직접적인 위협을 피하기 위한 외교정책이기 때문에 강대 국에 의한 일방적인 강요와 복종’43)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탈냉전 이후. 중국이 급부상 하면서 약소국들은 변화된 국제안보정세에 따라 이전과 다른 형 태의 편승정책을 추구하면서 자국의 핵심 국가이익을 확보하는 외교정책으로 변 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약소국의 외교정책은 자국이 지출해야 할 안보비용을 최. 소화하면서 안보의 취약성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대 강대국에 편승 하는 외교정책을 추구하게 된다 또 다른 외교정책은 적대 강대국에 대항할 수. 있는 우호 강대국과 외교관계를 형성하고 적대 강대국과의 세력균형을 이루는 균형외교를 채택하기도 한다.

현실주의에서는 적대관계에 있는 위협세력이 강대국일 경우 약소국은 체제생 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대 강대국의 불합리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안보를 확보하는 대신 자율성을 침해당하는 불합리한 편승정책을 채택하게 된다 고 주장하고 있다 즉 갈등과 위협에 대항하기 위한 우호 강대국과의 외교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운 약소국은 편승과정에서 적대 강대국의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외교관계는 불합리한 조건하에서 어쩔 수 없이 체결된. 편승이기 때문에 약소국의 안보를 보장받기 위한 최선의 외교관계로 볼 수 없다.

대표적인 사례는 미국과 인도와의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도는. 1960년대 초 ‘중국과 국경분쟁 시 미국의 개입 주저와 1971년 닉슨 대통령의 중공방문으 로 인해 미국의 지지가 불분명해지자 같은 해 소련과 우호조약을 체결하였다 특. 히 1988년 인도의 핵실험으로 인하여 미국과의 관계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그러. 나 중국과의 국경분쟁이 심화되면서 2005년 미국과 안보관계 체제(The New 를 체결하면서 다시 Framework for the U.S.- India Defense Relationship)

미국에 편승’44)하는 대외정책을 채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현실주의가 주장하고 있는 편승이론 은 북한의 편승정책을 설명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호적이지 못하거. 나 갈등관계에 있는 적대 강대국과의 외교관계를 체결하고자 하는 약소국의 입

43) 장노순 앞의 논문, , p.380.

44) 김관옥, 현실주의 외교안보전략으로서의 연성편승정책 일본 : ·인도 호· 주의 사례”,대한정치학회보, 20권 호1 (2013), 대한정치학회, pp.154-155.

참조

관련 문서

기존 연구보다 신뢰성 있는 자기자본비용 추정치를 이용하여 한국 기업의 산업간다각화가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에서 최초로 실증 분석... 수익인식 기준은

○ 축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수급 및 가격안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 내 축산물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계열업체들의 과다 경쟁을 지양하고 축산업 발전을

○ 지역단위에서 친환경농업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친 환경농업

북한은 내부 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재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대부분의 재원을 확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셋째, 농업개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질병 또는 상해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 리더십이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들에게 행사하는 영향력, 기술 혹은 이를 행사하는 과정이기 때 문에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하지만 이번에 그를 분석해 보면서 영화 배경 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소재로써 어떻게까지 활용할 수 있는지 깨닫게 되었다. 배경 소재 자체가

전자는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있 을 때 이익극대화의 수단이 되며, 후자는 시장의 진입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후발주자의 경험곡선효과의 획득(초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