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7년 2월 석사학위 논문

공간조형에 나타나는 이음의 상징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나 수 빈

(3)

공간조형에 나타나는 이음의 상징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2017년 2월 24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나 수 빈

(4)

공간조형에 나타나는 이음의 상징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지도교수 조 윤 성

이 논문을 미술학 석사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7년 2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나 수 빈

(5)

나수빈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진원장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장민한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조윤성 (인)

2016년 11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예술에서의 회화와 건축

3

1. 회화와 건축

3

1) 회화와 건축의 관계 3

2) 건축에 나타난 회화 3

2. 회화에 나타난 건축

13

Ⅲ. 공간조형과 이음의 상징적 표현

23

1.

건축요소의 상징적 의미

23

1) 계단 23

2) 문과 창문 27

2.

공간조형의 이음이 주는 상징적 의미

29

1) 공간의 회화적 의미 29

2) 이음의 상징적 표현 29

Ⅳ. 본인작품에 나타난 이음의 표현

32

1. 기하학적 구조의 다양성

32

2. 반복적 행위로서의 중첩

36

3. 선이 만들어낸 면

40

4. 건축기호와의 연계성

43

(7)

Ⅴ. 결론

47

【참고도판】

49

【참고문헌】

51

(8)

ABSTRACT

A study on symbolic expression of connections in formative space

- focusing on the artist’ s own works -

Na Su-bin

Advisor : Professor Yoon-sung Cho, Ph.D Departma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Due to industrialization, modern architecture brought social severance from communal society to individual society that caused by lack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architectural space and stairs to painting.

From the beginning of this study, the author considered the architectural space, seen fragmentarily, consists of floor, wall and ceiling. And stair, door and the windows act as a connecting medium from one space to another. The stairs that connect spaces became the subject of this work as the architecture and the painting are coexist.

The author tried to suggest the idea through theories that the architecture and painting which have meaning of artistic presentation in common are expressing the social severance and communication. Also, by bringing intrinsic meaning of the stairs, door and window to painting, the symbolic expressions of space and stair that inherit in author’s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painting that is composed of endless rectangles is expressed the city’s image as a geometrical structure, which is the reinterpretation of social problems as the painting. Also, the repetition of various figures reflects mass production brought industrialisation and stands for considering personality as

(9)

important in modern society.

Second, the overlapped image with repetition reflects society’s radical changes. The old things disappear and are being forgotten. The architecture of a city is just same as phenomenon of society that pursues only new things according to trend. This phenomenon has temporality, and in order to express that, the author used effects of overlapping.

Third, the endless numbers of repeated lines creates space and planes. It means that architectural elements creates one architecture. Just like the fact that one line could not create a plane and one plane could not create space, society is created by various types of people and architecture. The author tried to express the problem made from the process with the nature of materials.

And finally, by using blueprint symbols of door and window, the author expresses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fragmentarily. The symbol is conceptual, symbolic and systematic. Also, it can maximize visual effect and heighten concentration. With this intention author used symbol of blueprint to express the concept and thought of communication.

Through this study, symbolic expression of connection through formative space, the author intended to show the lack of communication created by social severance as works of expression for softness.

Also, based on the fact known, the architecture and the painting have harmonious relation, the author truly desires that author’s work could be a milestone for communicating truly within a society. And not just following the existing study, further study to systemize and establish the author’s own way expression will be studied.

(10)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 날 산업화의 발달로 현대 건축은 도시화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공동사 회에서 개인주의로 변화함으로서 사회적 단절을 야기 시켜 소통의 부제로 나타 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건축에서 보여 지는 공간과 건축요소를 회화로 끌어들여 공간조형으로서의 회화적 표현 작품을 통해 사회적 소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작점은 건축에서의 공간을 단편적으로 볼 때 바닥, 벽, 천장으로 구성된 닫힌 공간이며 다른 공간과 서로 연결시키는 부제로서 계단, 문, 창문이 라고 생각하였다. 그 중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여 소통으로까지 이끌어낸 계단을 연구자의 작품으로 끌어들여 공간조형에 나타나는 이음의 상징적 표현으로서 건 축과 회화가 서로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건축과 타 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건축은 인간의 환경적 공간을 만들며 조각은 인간의 행위를 보여주는 것이 고 회화는 환영적인 세계를 상상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이들을 독립적으로 이해 하기는 어렵다고 스컬리(Vincent Scully)는 말하였다.1) 근대 건축의 거장 중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또한 가장 자유로운 표현 방법인 조각과 회화를 사용 하여 건축적 형태를 만들고자 하였다.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도 회 화와 조각을 건축에 활용한 것을 볼 수 있다. 루이스 칸(Louis Kahn)은 회화를 먼저 시작한 건축가로 다작의 여행스케치를 통해 건축에 예술 분야를 결합시키 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과 회화가 예술이라는 맥락 내에서 동화되어 지는 것으로 보고, 동시대 예술로서 건축과 회화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 앞으 로의 방향성을 미술사적 내용과 본인작품의 분석을 통해 어떻게 융화되고 사회 적 소통을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방법을 찾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1) ·김주성·이강업, 「루이스 칸의 회화에 나타난 건축적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 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2호 통권55호 2006년 4월, p.65.

(11)

2. 연구내용 및 방법

Ⅱ장에서는 예술에서 회화와 건축의 예술적 관계를 바탕으로 회화를 건축에 접목시킨 건축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먼저 회화와 조각을 활용해 건축적 형태를 만들고자 한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와 꼴라주를 활용한 미스 반 데 로에 (Mies van der Rohe), 회화를 먼저 시작했으나 건축가의 길을 선택한 루이스 칸 (Louis Kahn)에 대해 연구하고 이와 반대로 건축을 주제로 한 회화 중 건축을 먼저 시작해 미니멀 한 전시를 계기로 개념 미술적 작품을 진행한 솔 르윗(Sol Le Witt)과 무명의 건축물을 장기간의 사진촬영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 베른트와 힐라 베허(Bernd and Hilla Becher)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현재 활동 중인 한국 작가 중 골목길 다세대주택을 주제로 한 연작으로 사회적 의미를 담은 정직성 작가와 착시현상을 통해 관계의 훼기를 표현하고자 한 김용관 작가를 연구하여 비교 분석한다. 앞서 언급한 인물들의 연구를 통해 회화와 건축이 예술 안에서 통합되고 종합 예술로서 서로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공간조형을 통한 이음의 상징적 표현으로서 조형적 공간과의 이음 으로 표현한 계단이 가지고 있는 미술사적 의의를 통해 계단의 속성을 바탕으로 시지각적 특성과 공간구성요소, 공간과의 연결 및 분리로서의 계단, 계단의 폐쇄 와 개방적 특성에 대해 조사한다. 그리고 건축요소 중 문과 창문의 공간 조형적 특성과 상징성에 대해 연구하며 본 연구의 주체인 공간조형의 이음이 주는 상징 적 의미를 공간의 회화적 의미와 이음의 상징적 표현으로 분류해 연구하고자 한 다.

Ⅳ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을 3장에 나타난 건축요소와 이음의 상징성에 대한 의미를 바탕으로 한 회화적 표현방법들을 기하학적 구조의 다양성, 반복적 행위 로서의 중첩, 선이 만들어낸 면, 건축기호와의 연계성으로 분류하여 건축과의 연 관성을 연구하고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의미와 내용적 의미를 통해 이음의 사회 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Ⅴ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위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 작품의 회화적 위치 와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Ⅱ. 예술에서의 회화와 건축

1. 회화와 건축

1) 회화와 건축의 관계

막스 드스와(Max Dessoir, 1867-1947)는 예술을 크게 시간예술과 공간예술로 분류했다.[표-1]참조2)

공간예술

(정지와 병존의 예술) 조각·회화·건축 조형예술

(작용수단·공간·형상)

모방 일정연상의 현실 형식의 예술 시간예술

(운동과 속도의 예술) 동작·시·음악 음향예술

(작용수단·음성·동작)

부정연상 비현실 형식의 자유예술

[표-1] 막스 드스와(Max Dessoir)의 예술 분류표

공간예술인 조각, 회화, 건축은 정지와 병존의 예술인 조형예술로 모방 일정연 상의 현실 형식의 예술로 분류할 수 있으며 운동과 속도의 시간예술인 동작, 시, 음악은 부정연상의 비현실형식의 자유예술로서 작용수단, 음성, 동작인 음향예술 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공간예술인 조각, 회화, 건축이 추상 예술로서 어떠한 형태나 외형에 대해 독자적인 개성을 보여주는 것에서 비롯된다.3) 이에 회화와 건축은 공간예술로 하나의 테두리 안에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필요에 의한 관 계를 맺고 있다.

2) 건축에 나타난 회화

모더니즘 이후의 예술운동인 입체파, 미래파, 데 스틸, 바우하우스 등은 종합 예술적 경향으로 흘러갔으며 이 중 회화분야와 건축의 통합이 두드러졌다. 그 시

2) 건축학개론」,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1980, p.5.

3) ARTHUR DLEXLER, 「 代建築의 轉化 (TRANSFORMATION IN MODERN ARCHITRECTURE)」, 김진일·권태문 공역, 태림문화사, 1987, p.3.

(13)

대의 건축가들 또한 시대적 영향으로 회화와 건축을 융합시킨 건축물을 설계하 였다. 근대 건축의 거장 중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는 자유로운 표현 방법인 조각과 회화를 사용하여 건축적 형태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또한 회화와 조각을 활용한 것을 볼 수 있다. 루이스 칸(Louis Kahn)은 회화를 먼저 시작한 건축가로 다작의 여행스케치를 바탕으로 건축에 예 술 분야를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1) 르 코르뷔지에 (Le Corbusier 1887-1965)

회화와 건축을 동등한 의미로 중요하게 여긴 르 코르뷔지에는 샤를 에두와르 잔느레 그리(Charles-Edouard Jeanneret-Gris)라는 이름으로 작가활동을 했다. 그 의 회화적 특성은 공간디자인에도 적용되었으며 회화작업의 시대적 배경을 아르 누보(Art Nouveau), 순수주의(Purism), 초현실주의(Surrealism)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아르누보는 스위스 라 쇼트 퐁 미술학교에서 학창시절 유행했던 영향을 받았으며 당시 스위스 산업혁명의 폐단으로 인해 신비주의와 이상주의적 경향이 사회의 전반에 부활해 내셔널 로맨티즘이 주를 이뤘다. 아르누보 회화를 적용한 팔레 주택(Villa Fallet, 1907)에는 전나무형태를 삼각형의 단순한 형태로 변형시켜 외부에 장식하였으며 아르누보 회화장식이 공간과 구조에 기하학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기하학적 반원형 모티브를 재해석한 선형적 꽃무늬를 건축에 접목시 켰다.

[도판-1] 아르누보풍의 파도 장식스케치 적용 사례, 르 코르뷔지에, 1905

(14)

장식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하여 지역적인 자연의 특색을 예술적으로 표현하였 다. 아르누보풍의 파도 장식스케치 적용 사례[도판-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 을 모티브로 장식적이며 유연한 곡선과 추상적인 기하학 형태로 표현되었다. 또 한 기능적인 면과 미적인 면을 모두 충족하여 전체 공간요소와 조화를 이루었다.

둘째, 순수주의 회화는 큐비즘 기본이념이 바탕인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 장식 요소가 배제된 대상물을 기하학의 순수함으로 강조한 회화적 개념을 공간디자인 에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도판-2] 유리와 병, 르코르뷔지에, 1922

a. 기하학적 자유로운 평면구성

구상적 형태의 오브제를 간결하고 순수한 형태로 재구성하여 속도나 움직임, 빛과 조화를 통해 기계미학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입방체, 원기둥, 원추, 구 등 시지각적인 조형으로 순수한 기하학적 형태를 묘사하였다. 이러한 회화적 이미지를 빌라 스타인(Villa Stein, 1927)에 적용해 자유로운 벽을 통한 평 면을 구사하였다.

b. 시점변화를 통한 공간형성

눈에 의해 공간이 지각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4차원적 공간을 창출한 공간 디자인수법은 콜라주기법의 오브제 유형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하고 지각 하는 화면구성과 관련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순수주의 회화 작품에서와 같이 상 하로 이동된 시점의 방향을 통해 겹쳐진 컵, 병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회

(15)

화의 특징은 빌라 사보아(Villa Savoye, 192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선계단과 경 사로를 통해 교차되는 동선으로 다양한 시점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옥상테라 스의 개구부로 시점을 확대시켰다.

c. 투명성과 중첩

투명성은 물체가 공통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동시적으로 다른 형태가 지각될 때 성립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정물 작품에서 다른 물체들이 겹치는 부분을 투명 하게 묘사하였다. 오브제 형태들이 공중에 부유하면서 서로 중첩되어 보이는 효 과를 지니는 콜라주기법에도 각각의 형태들이 서로 상호 관입하면서 인식되는 투명성의 개념이 포함되어있다. 콜라주기법의 투명성은 형과 색이 분리되어 색채 의 켜와 형상의 켜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이나 색의 돌출과 후퇴, 그리고 중첩되 는 과정에서 감각적으로 느끼는 공간감으로 볼 수 있다.4) 이 회화기법들을 르 코르뷔지에는 3차원적 공간디자인에 중첩과 동시성으로 표현하였다.

d. 다색채 개념

화가 출신의 건축가로서 꾸밈이나 장식적인 색채 사용이 아닌 유기적인 요소 로서 공간디자인에 풍부하게 사용하였다. 회화에서의 다색채 개념을 3차원의 기 하학적 평면에 순수주의 회화의 화면처럼 공간디자인에 옮긴 것이다.

이로서 순수주의 회화는 큐비즘의 개념 리얼리즘 즉, 삼차원적인 현실세계의 개념을 이차원적 회화로 나타냄과 동시에 미적존재로 표현하여 위의 4가지 회화 적 개념을 적용하였다.

셋째, 초현실주의 회화는 정물과 악기 등을 표현한 사실적 묘사인 순수주의 회 화에서 자기관점을 중심으로 표현한 인상주의 이후 자아를 표현한 초현실주의로 변화했다. 형식에서 벗어나 기호적인 모티브로 화면을 채웠다. 직각의 時[도판-3]

은 초현실주의적인 그림과 시를 담은 판화집이며 후기 공간디자인 작품들이 연 금술과 점성술, 그리스 신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르 코르뷔지에 본인 의 자아를 기호적인 표현으로 회화와 공간디자인에 적용시켰고, 롱샹성당 (Ronchamp, 1950)과 찬디가르 의사당(Chandigarh Secretariat, 1956)에서 볼 수 있 다.

4) , 「가로로 긴 창 사라지다」, 시공문화사, 서울, 2001, p.35.

(16)

[도판-3] 직각의 時, 르코르뷔지에, 1955

이와 같이 르 코르뷔지에는 회화작업을 건축 설계 시 적극 활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아르누보 시대 때에는 지역적 자연을 모티브로 한 회화를 공간디자인에 장 식적으로 나타내고 미적인 면과 동시에 기능적인 것도 담고 있으며, 1920년부터 순수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기하하적 형태의 회화를 기하학적 평면과 다양한 시 점변화, 투명성과 중첩, 그리고 다색채의 개념을 건축에 접목시켰다. 1947년부터 기호적 모티브를 가지고 7년 동안 제작한 판화집을 통해 기하학적 특징과 더불 어 신성성과 영원성이 가미된 건축을 선보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르 코르뷔지에의 회화작업과 공간디자인의 관계에 대해 정리하면 [표-2]와 같다.

아르누보 (Art Nouveau)

순수주의 (Purism)

초현실주의 (Surrealism)

회화의 특징 지역적 자연 모티브 기하학적인 형태 기호적 모티브

공간디자인 과의 관계

장식적, 기능적, 미적

a. 기하학적 평면 b. 다양한 시점변화 c. 투명성과 중첩 d. 다색채 개념

연금술, 점성술, 그리스 신화 등을 바탕으로 한

신성함 및 영원함

건축적용

사례 팔레주택 외관장식

a. 빌라 스타인 b,c. 빌라 사보아 d. 롱샹성당

롱샹성당 찬디가르 의사당

[표-2] 르 코르뷔지에의 회화작업과 공간디자인의 관계

(17)

(2) 미스 반 데 로에 (Mies van der Rohe 1886-1969)

미스의 건축에서 입체파 회화의 의미를 갖는 콜라주는 설계 매체로서 도입하 여 활용 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의 건축 파빌리온5)은 독일 시절부 터 사용했던 투시도와는 다른 방식을 콜라주를 통해 보여 주었다. 미스는 정치, 경제, 문화적 조건을 반영한 창조적인 작업을 위한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건축의 5가지 기본 원리6)를 제시하였다.[표-3]참조

건축의 5가지 기본 원리

건축적인 요인으로서의 구조: 그 가능성과 한계

(The structure as an architectural factor;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건축적인 문제로서의 공간

(Space as an architectural problem) 건축적인 표현의 수단으로서의 비례

(Proportion as a means of architectural expression) 재료의 표현 가치

(The expression value of materials) 건축에 관계하는 회화와 건축

(Painting and Sculpture in their relationship to architecture) [표-3] 미스 반 데 로에의 건축의 5가지 기본원리

이 중 마지막 기본 원리인‘건축에 관계하는 회화와 그 조각’은 회화와 조 각이 예술의 영역 안에서 각각의 고유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건축 요소 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매개가 필요하다. 미스는 이를 콜라주로 활용하였다.

5) 파빌리온(Barcelona Pavilion): 스페인 바르셀로나 에서 1929년 열린 만국박람회 (International Exposition)의 독일관으로 지어졌으며 공식 개막식이 이곳에서 열렸고 대리석과 석 회암 등의 건축재를 사용해 단순한 건축 형태로서 근대주의 건축물 중 하나이다.

6) Werner Blaser, Architecture: Sunopsis of the 5-year curriculum(IIT Bulletin 1944-45), in After Mies: Mies van der Rohe-Teaching and Principle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1977, p.33.

(18)

피카소의 ‘게르니카(Guernica)’를 활용한 소도시를 위한 박물관 계획 (Museum for a Small City Prohect)[도판-4]의 콜라주에는 실제 공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건축적인 요소는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도판-4] 소도시를 위한 박물관 계획, 미스 반 데 로에, 1943

만하임 국립 극장(Manngeim National Theater)[도판-5]의 콜라주는 텍스츄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촉감, 색채, 형태, 위치 등을 결합하여 표현하였다.

[도판-5] 만하임 국립 극장, 미스 반 데 로에, 1947

(19)

(3) 루이스 칸 (Louis Kahn 1901-1974)

루이스 칸은 건축이 아닌 회화를 먼저 시작한 건축가이다. 다작의 여행스케치 는 건축 초기에 완성한 것으로 평면적이고 불투명한 중량감이 있는 이태리 고딕 건축을 선호했다. 그는“스케치는 단순히 대상을 묘사하거나 대상에 종속적인 것 이 아닌 느낌으로부터 나온 생명력이 있는 것이다.”7)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1919년 윌리엄 F. 그레이의 건축사 수업으로 건축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칸 의 초기 회화의 특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큐비즘적 경향으로 포르 테 델레 토리(Plnte Delle Torri)[도판-6]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순수 기하하적 형 상과 반 중력적 효과를 볼 수 있다. 어부의 집(Fisherman's House)[도판-7]은 목 탄과 수채화, 유화를 사용한 연작으로 시간의 변화를 보여주면서 큐비즘적 경향 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판-6] 포르테 델레 토리(Plnte Delle Torri), 루이스 칸, 1928 [도판-7] 어부의 집(Fisherman's House), 루이스 칸, 1929

7) Louis I. Kahn, The Value and Aim in Sketching, Alessandra Latoured. Louis I. Kahn: Writings, Lectures, interviews. Rizzoli, 1991, p.11.

(20)

둘째, 목탄화 산 마르코 바실리카(Basilica Di Marco from Piazzeta)[도판-8] 와 수채화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Santa Maria Della Salute)[도판-9]에서 존재의 목적을 이해하는 경험적 표현에서 인상주의적 경향을 들 수 있다.

[도판-8] 산 마르코 바실리카(Basilica Di Marco from Piazzeta), 루이스 칸, 1928 [도판-9]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Santa Maria Della Salute), 루이스 칸, 1928

산 마르코 바실리카[도판-8]에서 검은색으로 흐릿하게 처리되어 있는 사람들의 모습은 표현하고자 한 것이 아닌, 교회 표면의 빛의 효과를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도판-9]에서의 흐릿한 돔의 형태를 번짐 기법을 사용해 표현하여 추상적인 그림으로 바뀌었다.

칸의 후기 회화의 특징은 두 번째 유럽 여행에서 그려진 스케치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로마 건축의 폐허의 이미지와 이집트 건축과 그리스 건축의 비대칭과 추상성을 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설(institution)의 개념을 확립하게 된다.

[도판-10] 아크로폴리스, 루이스 칸, 1951 [도판-11] 신전 내부, 루이스 칸, 1951

아크로폴리스[도판-10]와 같이 로마 건축 폐허의 그림을 통해 벽체가 건물을 둘러싸는 기법과 빛에 의한 명암대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신전 내부[도판 -11]의 이집트 건축과 그리스 건축 그림에서와 같이 일관성 있는 색채의 감각과

(21)

비대칭성 및 추상적 경향이 건축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앞의 조사한 3명의 건축가 외에도 회화를 건축에 접목시킨 건축가는 많이 있 다. 그 중 대표적으로 회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건축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 저 르 코르뷔지에는 본명으로 회화작가활동을 할 정도로 회화에 조예가 깊었으 며 본인만의 작품세계가 확고했다. 건축의 내·외부의 모든 공간에 접목시킬 정 도로 회화를 중요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회화적 특징은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기호적 특징으로서 건축에 그대로 접목시켰다.

두 번째로 건축가 미스 반 데 로에는 설계 매체로서 콜라주를 활용하였는데 이 는 콜라주가 가진 매체 자체의 예술적인 면이 실제화 된 건축에 이질감을 없애 고자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콜라주에 사용된 여러 이미지들의 중첩을 통 해 3차원에 대해 짐작할 수 있게끔 하고자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루이스 칸은 처음부터 회화작가였으며 그의 초기 작품부터 살펴보면 건축을 소재로 한 스케 치 작품이 대부분이다. 칸에게 회화는 공간의 느낌들을 표현하는 수단이었으며 스케치를 통해 건축공간에 대한 표현을 엿볼 수 있다. 3명의 건축가가 회화를 접 목시킨 건축이 연구자 작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는 아래 [표-4]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르 코르뷔지에 미스 반 데 로에 루이스 칸

회화의 특징 기하학적 형태 매체 자체의 예술적

의미 다양한 재료 사용

회화와 건축

매개체 기호적 회화 콜라주 스케치

연구자 작업과의

관계성

기하학적 · 기호적

표현 중첩을 통한 공간감 건축을 소재로 한 작업

[표-4] 회화를 접목시킨 건축가와 연구자 작업과의 관계

(22)

2. 회화에 나타난 건축

1) 솔 르윗 (Sol Le Witt 1928-2007)

1928년 코네티컷 주 하트퍼드(Connecticut Hartford) 출생으로 생계유지를 위해 건축 도면가로 활동했으며 그는 1960년에서 1965년까지 뉴욕현대미술관(MOMA) 에서 일하면서 로버트 라이먼(Robert Ryman), 댄 플래빈(Dan Flavin), 로버트 맨 골드(Robert Mangold)등과 교류하였다. 이때에 솔 르윗은 1965년 미니멀한 나무 조각을 전시하면서 작가로 전향하였다. 작가의 성격이나 기분에 좌우되지 않는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객관적인 형태를 기본으로 삼아 어느 누구라도 제작할 수 있어야 하는 특성을 지녀야 하며 기획과 고안 작이야말로 예술작품을 형성하는 필수불가결한 중심축이 된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미니멀리즘적인 형태로부 터 영향을 받은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8)

[도판-12] 연속 기획안Ⅰ, 솔 르윗, 1966

8) 메네구초, 「대중성과 다양성의 예술 현대미술」, 노윤희역, 마로니에북스, 2010, p.285.

(23)

[도판-13] 벽 드로잉(Wall Drawing) #49, 솔 르윗, 1970

[도판-14] 벽 드로잉(Wall Drawing) #49 증명서

그는 1968년부터 벽 드로잉(Wall Drawing)[도판-13] 연작을 통해 지시문만을 제 작하고 실제 작품은 제도사라 칭하는 조수가 직접 벽에 그림으로서 개념주의 (Conceptualism)작품 성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판화, 출판, 사진 등의 다양한 작 업을 해 왔으며 그 중 구조 작품이 미니멀리즘과 가장 연관성이 두드러진다. 구 조작품은 수학적 논리의 체계를 사용한 구성주의 방식과 국제 건축양식의 도시

(24)

건축물의 형식과 닮아 있다. 1990년부터 기하학적 형상과 제한된 색채로 표현된 작품세계로 부정형 조각인 얼룩(Splotch)[도판-15] 연작을 선보였다. 자유로운 형 태와 빨강, 파랑, 노랑, 흰색, 검정 등의 기본적인 색채와 선과 같은 최소한의 요 소들로만 활용해 유연한 곡선을 통해 작품의 생기를 불어 넣었다.

[도판-15] 얼룩(Splotch) #22, 솔 르윗, 2007

솔 르윗의 미술 이론은 여러 경향의 미국미술 중 개념미술의 연속성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물질성을 강조한 추상표현주의와 관념적 태도의 다다 운동의 반동 적 시도로서 물질적인 것의 비물질화, 시각적인 것의 비시각화 과정으로의 이행 으로 볼 수 있다. 미술작품의 본질은 개념이며 미술 자체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 으로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일어나는 선이나 이념 등에 관계하여 미적 가치 를 지닌 형식으로 보다 개념, 정보, 사건, 기록으로서 고려된다.9) 물질적 대상화 를 거부하지 않으면 개념만으로도 좋은 미술로 정의할 수 있다.

9) E.B.Henning, The Trouble with Conceptualism, Art International Vol. ⅩⅩⅡ/8, 1979, p.53.

(25)

2) 베른트와 힐라 베허 (Bernd and Hilla Becher 1931-2007/1934-)

뒤셀도르프(Düsseldorf)에서 주요 활동하는 베른트와 힐라 베허 부부는 1950년 대 말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 주변에 있는 무명 건축물을 대상으로 사진작품을 제작해 건축물이 아닌 일종의 조각품으로 간주하였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장식성 이 완전히 결여된 사진기법을 사용해 먼 거리를 유지하도록 만들어 새로운 관점 에서 건축물들을 살펴 볼 수 있게 하였다. 산업지대에 대한 일종의 미학을 강조 하며 반세기 이전 아우구스트 잔더(August Sander)가 독일인의 분류를 목적으로 시도 했던 작업과 동일한 취지에서 하나의 목록을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도판-16] 무명 조각들, 베른트와 힐라 베허,1959-1972

무명 조각들[도판-16]은 15년간 제작된 연작 중 하나이며 산업용 냉각탑을 소 재로 건축물의 설계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산업 시설 조각 작품으로 인식해 개념 미술로의 예술작품으로 인정한다. 형태적인 유사성과 강한 상징성을 강조하였으 며 작가의 색인적인 특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감정적인 접근을 배제해 주제에만 집중되도록 했다.

(26)

[도판-17] Water Towers, 베른트와 힐라 베허, 1980

(27)

3) 정직성

골목길 다세대주택을 주제로 골목길 기록의 연작을 작업하는 정직성 작가의 작품은 사회적 의미를 동반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사 중 소시민의 일상적 생활 터전을 예술적으로 기록하였다. 골목길의 다세대 주택과 단독주택은 아파트와 다 른 새로운 질서체계이며 조금씩 형성되어가는 변화이다. 정직성 작가의 작품은 창과 지붕, 계단의 기준으로 다세대 주택을 형태성의 개념으로 단순화시킨다. 또 한 골목길은 상대주의 공간의 집결체로 수직이동을 동반한다. 이는 외부에서 옥 외 계단을 통해 공간을 수직으로 옮겨 왔으며 다세대 주택의 형태와 같이 옥외 계단도 유형-변형 방식을 형성한다. 계단 자체는 일차적 공간 단위이며 유형 단 위로 수직 형태를 가져오기 때문에 골목길의 상대주의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형태와 공간이 하나로 합쳐 있다는 것이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최 대 장점이다. 건축에서는 형태와 윤곽이 없이는 공간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 다.

[도판-18] 망원동: 연립주택 3 Mangwon-dong: Semidetached Houses 3, 2006 [도판-19] 삼청동-주택 3 Samcheong-dong: Houses 3, 2006

서양은 안과 밖을 다른 것으로 보는 이분법적 사고와는 달리 동양은 둘을 같 은 것으로 보려는 사상을 정직성 작가는 새롭게 해석해 안을 기준으로 한 외부 공간과의 연속성과 밖을 기준으로 한 골목길의 상대주의 공간, 다세대 주택의 옥 외 계단을 형태와 공간 사이의 동체를 통해 공간적 표현방식을 제시하였다. 회백 색과 어두운 적색 톤의 제한적 색을 사용하여 공간적 통일감을 보여준다.

(28)

[도판-20] 후암동-입구들 Huam-dong; Entrances, 정직성, 2005

[도판-21] 무정형 구축 Amorphous Construction, 정직성, 2006

(29)

4) 김용관

qubit와 cubic의 합성어인 QUBICT를 통해 시차적 표시 영역으로서 재구성된 시점의 공간을 표현하였다. 평면과 입체가 가진 속성으로 가상의 단위를 여러 시 점을 통해 복수적으로 보여 지는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착시효과를 통해 원근을 제거함으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관계를 허물고자하였으며 우리가 포 착하기 어려운 다양한 각도에서 물체를 동시에 보는 시점을 작품으로 담아 가상 세계 체험을 상상이 아닌 가능한 장면과 경험으로서 선사한다. 또한 역사가 진행 되는 과정 중 발생하는 무수한 가치들이 필연적이지 않으며 앞뒤의 구분이 명확 해 마치 당위적으로 이루어져 위장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적 구조에 작가는 의문 을 가지고 가치를 수평으로 재배열하였다. 이는 이율배반적인 가상의 입자로 시 각언어가 풀어내지 못하는 개념의 생성을 하나의 구조 속에서 인식과 지각의 영 역에 대해 고민하여 서구적 원근법 안에서 선택되지 못한 다른 시점, 가능한 모 든 시점들을 병렬식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지식적이고 개념적이며 시각예술의 미적 감각을 표현하고자 한 평면과 입체의 공존은 회화의 평면에서 그 한계를 드러내고 동시에 회화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 여 주어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가상의 세계를 꿈꾼다.

[도판-22] QUBICT, 김용관, 2010

(30)

[도판-23] PERSPECTIVE,김용관, 2010

[도판-24] PARALLAX VIEWPORT, 김용관, 2010

(31)

위에서 언급한 건축을 주제로 한 회화 중 솔 르윗의 작품들은 개념을 중요시 한 것을 볼 수 있다. 건축에서도 컨셉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이 진행 되어진다. 건축을 먼저 시작한 솔 르윗은 건축적 형태를 단순하고 반복적으로 작 업을 시작하였으며 작가 본인은 기획과 고안으로 개념만을 추구하여 누구나 제 작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후기의 작품들은 선과 색채를 최소한으로 사용한 것 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작업 방식들은 본 연구자의 작업과 비슷하다 말할 수 있 다. 정형화되고 단순화 된 형태의 사각형들과 계단을 통한 상징적 표현, 그리고 건축도면기호가 가지고 있는 개념을 바탕으로 단절과 소통에 대해 논하고 있다.

‘무명의 조각들’이라는 작업을 통해 산업사회가 가져온 폐해를 미학적으로 풀 어 이를 고스란히 사진에 담은 베른트와 힐라 베허의 작업에서는 통일성을 엿볼 수 있다. 같은 기능을 지닌 것들이지만 자세히 보면 각각 다른 형태들의 모임이 며 이것들 모두 건축의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또한 정직성의 작품들은 시각적 으로 건축이 주제임을 알 수 있다. 다세대 주택을 통해 사회적 의미를 담고 있으 며 소시민의 일상적 생활 터전을 예술로서 풀어내었다. 김용관의 작품은 착시를 통한 훼기를 회화로서 보여주고자 하였다. 의미의 직렬방식을 거부하고 가치생산 적인 수평적, 병렬적인 반복적 선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이로서 평면과 입체의 공존을 회화의 평면에서 한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무한한 가능성을 긍정하고 있 다. 연구자의 작품 또한 사회적 의미를 유(柔)로서 표현하고 있다. 또한 반복적 형태, 색채를 통한 통일성 등 앞서 말한 작가들의 작품에서 보인 내용들과 유사 하다. 4명의 작가의 작품과 본 연구자의 작업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표 -5]참조

솔 르윗 베른트와

힐라 베허 정직성 김용관

회화의 특징 개념주의 미술 사회적 의미를 담고 있는 작품 착시를 통한 훼기 연구자

작업과의 유사성

상징을 통한 개념 전달

반복적 형태 및 건축의 상징성

건축을 주제로 한 작업

반복적 선을 통한 공간형성

[표-5] 건축을 주제로 한 작가의 작품과의 유사성

(32)

Ⅲ. 공간조형과 이음의 상징적 표현

1. 건축요소의 상징적 의미

1) 계단

1-1) 계단의 미술사적 의의

계단은 수직방향으로 공간의 연결 또는 상하 통행의 스페이스이며 층의 구성 에 있어서 계단의 위치와 그 취급은 공간 구성상의 중요한 열쇠이다.10) 혹은 계 단이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레벨이나 층을 이동하기 위한 단들의 연속체 및 구조체이다.11)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단의 유래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높이가 서로 다른 공간을 가장 짧게 연결하는 사다리의 변형으로서 고대인들이 전쟁에서 싸울 때 성벽을 오르는 장대 혹은 사다리로 볼 수 있으며 둘째, 건축물의 토대가 되는 기단에서 발생한 것으로 이는 전망을 가지는 구성적 측면과 높여진 수평면의 장소로서의 기단으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계단의 역사 는 르네상스 이전과 이후로 나눠 볼 수 있다.

a. 르네상스 이전

계단은 오래 전부터 있었으나 그리스시기까지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 지 확실하지 않다. 중세시대에는 계단을 중요시하지 않았으며 이론적 자료도 거 의 없어 확인이 불가한 실정이다. 순수하게 건물의 실용적인 부분으로서 가능한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와선계단이 지배적이었으며, 13세기 이후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기보다 커뮤니케이션과 장식적 의미가 더 강했다. B.C. 1세기 로마의 건축 가 비트루비우스(Marcus Vitruvius polio)의 건축서적 De Architectura 10권(건축 10서) 중 3권과 6권에서 계단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져 있다. 3권에서“정면의 계단 수는 오른발로 계단을 오르기 시작하였을 때 성소에 오른발로 디딜 수 있 도록 홀수로 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6권에서 사람이 통과하는 복도나 계단 등 10) 건축설계자료집성 5권 개정판」, 건우사, 1982, p.42.

11) Harris, Cyril M, ILLUSTRATED DICTIONARY OF HISTORIC ARCHITECTURE, DOVER, 1983, p.503.

(33)

은 서로 마주쳐 충돌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채광에 유의하라고 적혀 있다.12) b. 르네상스 이후

르네상스 건축의 표준 형태는 먼저 계단을 올라가서 솔리드 벽 사이의 계단참 을 180도로 돌아 양쪽이 유동적인 2개의 층대이다. 그러나 프란세스코 디 죠르죠 (Francesco di Giogio)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e Vinci)같은 유명한 몇몇 건축가들은 혁신적인 타입을 발견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계단실과 빛의 관 계는 이전부터 언급된 사실이지만 특이한 것은 계단실과 화장실이 인접해야 한 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코어 개념이 서서히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13) 바로크 독일의 노이만(Johann Balthasar Neumann)에 의한 계단은 가운데가 비어 있는 중공계단이 대부분이며 T형 계단이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패턴인 제국양 식의 계단이 새롭게 나타났다. 18세기에는 대칭을 이루며 둘로 갈라지는 계단이 성행하였으며 모든 연속단의 배열법을 자유로이 고안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때 뿐이었다. 이 시기에만 건물 전체를 통합하는 요소로서 계단공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14) 20세기 건축에서는 공간 흐름의 표현으로서 건물 안의 요소로 중요성을 띄었으며 공간-구조-미학의 오브제로 탐구되어 졌다. 계단 의 기호론적 의미는 “건축적 코드의 분류에 의하면, 의미적 코드(semantic codes)와 외연적 및 내포적 의미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진 관계에 관한 것에서 1차 적 기능을 외연적으로 지시하는 단위에 속한다.”15)고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는 말했다.

1-2) 계단의 공간 조형적 특성

계단이 가지고 있는 속성은 수직성, 경로성, 형태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직 성은 계단을 통해 영적인 공간으로의 이동적 의미를 통해 신성함을 지니고 있으 며 경로성은 공간과 장소를 확장하고 연속적으로 이어주며 계단을 통해 공간을

12) Vitruvius,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 오덕성역, 기문당, 1988, p.100, 196.

13) Palladio, Andrea, The Four Books on Architecture, MIT Press, 1997, p.66-67.

14) Frankl, Paul, Principles of Architectural History : 건축형태의 원리, 김광현역, 기문당, 1990, p.148.

15) Umberto Eco, Function and Sign : The Semiotics of Architecture; Signs, Symbols and Architecture, John Wiley & Son, 1980, p.39.

(34)

이동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또한 형태성은 조각적 의미와 장식적 요소 를 가지고 있으며 힘을 상징하는 정치적 목적을 표현하기도 한다. [표-6]참조

수직성 경로성 형태성

상승적(신성, 이동) 확장, 연속, 이동(수평) 조각적 및 장식적, 정치적

[표-6] 계단의 속성

위의 계단이 지닌 3가지 현상적 성질을 바탕으로 계단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a. 계단의 시지각적

시지각적 특성은 계단 형태 본연으로 어떻게 인식되어 보이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좁은 계단은 사적이며 넓은 계단은 공적인 성격을 지니고 폭넓은 계단은 기념비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좁은 계단은 선적이며 반대로 넓은 계단은 면적인 성격을 갖게 되고 경사는 시각적 긴장을 준다. 폭이 넓고 좁은 계단은 방 향성이 없으며 움직임에 대한 속도만 가지고 있다. 그러나 경사를 고려했을 때 얕은 계단은 오르내리기 쉬움을, 가파른 계단은 어려움을 시지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b. 계단과 공간구성요소

계단이 기둥과 접촉되어 있을 경우 폐쇄적이고 분리되면 개방적인 느낌을 가져다주며 시각적 체험을 할 수 있다. 바닥에서 계단이 삭제되었을 때 내부 공간을 조절하고 돌출된 형태에 대한 영향을 가져온다. 전체 면에 폐쇄된 형 태의 계단은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반 개방되었을 때 내·외부에 대 한 시각적 체험을 가져다준다. 또한 전체 면에 개방된 계단은 오브제적 형태 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c. 공간 연결로서의 계단

슐츠는 “도시 속의 계단은 때때로 정상에 있는 성역과 사람들이 붐비는 아래 쪽의 광장을 연결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와 같이 계단은 하나의 실존적

(35)

인 관계로부터 또 다른 실존적인 계단으로의 전이를 구체화하고 있는 것이다 .”16)라고 하였다. 이는 수직공간과의 연결성을 가진 계단만이 아닌 공간과 공간 또는 건축물과 건축물, 외부공간과의 연결을 위한 매개체의 역할로서 계단인 것 이다.

d. 공간 분할로서의 계단

일반적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건축의 요소는 벽이다. 벽은 물리적으로 내부와 외부,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선으로 다른 장소 혹은 공간 영역을 창조한 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물리적인 벽일 뿐만 아니라 존재 방법에 따라 질이 높은 공간을 분리하고 창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 계단을 통한 레벨차로 공간과 공간을 한정하거나 분할할 수 있다. 내부 분할 축 으로서 사용은 통로의 한 부분으로 계단이 내부 공간을 절단함으로서 공간을 다 양한 패턴으로 창출할 수 있다.17)

e. 폐쇄와 개방

건축공간에서 벽이 가지고 있는 기능은 외부의 자연적 환경공간을 차단하는데 있으며 창문은 빛과 공기 등 자연환경을 안으로 끌어들여 내부를 개방하는데 있 다. 계단은 공간을 분할 또는 연결하는 요소로서 자체의 개방과 폐쇄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계단의 폐쇄는 엄격한 분리를 통해 공간의 영역성을 분명하게 부여 하고 내부공간을 세분화하여 장소성의 개념을 주입시킨다. 또한 외부환경을 통한 자극을 차단시킴으로 내부공간의 안정감을 공간에서 경험할 수 있다. 계단의 개 방성은 내부와 외부를 시각적, 기능적으로 연결시켜 확장할 뿐 아니라 공간의 변 화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면서 시선을 차단하여 공간의 인식을 높여준다. 특히 계 단 자체로 벽면을 처리하거나 난간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계단의 효율적인 형 태를 도입시켜 시각적인 확장을 부여한다. 즉 계단을 통해 공간과 공간의 상호연 결 또는 관통, 합류하려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단은 시각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보이는지에 대한 시지각적 특성 과 공간구성요소로서 오브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공간과의 연결 또는 분할을 통 해 공간을 개방하기도 하며 반대로 폐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16) C. Norberg-Schulz, 실존·공간·건축」, 김광현역, 1991, 태림문화사, p.101-112.

17) 이승우, 「계단의 공간적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9호 2003년 6월, p.42.

(36)

2) 문과 창문

2-1) 문과 창문의 공간 조형적 특성

문(門)이란 건물의 출입구로 시작과 끝의 이중적인 공간이다. 외부로부터 심리 적, 시각적으로 구획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적 -험악한 날씨, 적이 있는 사람 등- 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시설물이다.18) 또 드나들거나 통할 수 있 도록 만들어 놓은 설비, 넓은 뜻으로는 사물이 출입, 경유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 다.19) 건물이 드나들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이 문이며 건물의 내부 공간에 빛과 공기를 받아들이고 또 조망을 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이 창이다.20) 문의 개념은 서양의 경우 창(window)과 출입구(door)로 그 기능과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있 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에서는 문과 창의 명확한 구분이 없었으며 한국 건축에서 창과 문이 혼합된 창호(窓戶)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21) 문과 창문 은 건축 요소의 하나로 외부와 내부, 내부와 내부의 연결 역할을 하고 있다. 벽 을 세워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서 공간과 공간을 이어준다. 문과 창문의 경우 외부와 내부의 차단과 개방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창문은 간접적 역할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전통적으로 문과 창문은 공기의 흐름을 이용한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하여 개 폐의 변화와 창호지를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며 일조량을 고려해 배치 하여 방음 및 단열을 조절한다. 또한 수려한 자연환경을 풍류적으로 끌어들이고 자 하였으며 공간의 활용도의 변화에 용이하도록 개폐방식이 자유로웠고 자연 친화적 소재를 사용해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외부 환경의 오염으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자연조절을 통한 배치보다는 환기 및 통풍, 채광 등 인공적인 조절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처음 정해진 배치로 고정되어 공간의 활용도가 전통의 문과 창문의 활용도에 비해 미흡한 것을 볼 수 있다.

18) THE NEW OXFORD ILLUSTRATED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496.

19) ,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6, P.3569.

20) 주남철, 「한국의 문과 창호」, 대원사, 2001, p.10.

21) 조은주, 「이중적 소통의 장으로서의 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p.8.

(37)

2-2) 문과 창문의 상징성

문과 창문은 건축적 구조물이면서 때로 사람의 마음을 상징하기도 하고 건물 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함이나 기념적인 의미를 지닌 문도 있다. 우리 조상들은 문을 모든 복이 들어오는 곳이라 생각하고 입춘날 두짝 대문에 입춘대길 건양다 경(立春大吉 建陽多慶) 이라 쓴 춘첩자를 붙여놓기도 하였으며22) 한국 문화적 의 미로 효, 충, 열녀 등 표창을 보호하기 위한 정려문도 있다. 또한 우리말에 입춘 (立春), 출산(出産), 출세(出稅), 입학(入學) 등 새롭게 어떤 것을 시작하거나 일정 한 과정을 거치게 되는 입출(入出)의 표현으로도 쓰이며 이는 출입현상을 상징적 으로 표현한 것이다. 인간의 삶을 문의 의미로서 상징화하면 수없이 선택하고 통 과의 연속일 것이다. 출생을 통해 세상 안으로 들어와 경험들을 통과하고 결혼을 통해 새로운 개체로서 분리와 전환을 하며 마지막으로 죽음의 문을 통과해 인간 으로서의 삶을 이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상징적 의 미로 발전해 왔으며 시간과 공간의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문은 인간이 실내·외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창은 채광, 환기 및 통 풍 등을 통한 실내 온·습도의 조절을 하고 문과 창문으로 인간의 생활에 있어 개체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소통과 차단의 역할을 한다. 또한 기념비적 상징 적 의미로도 해석 될 수 있다. 계단 그리고 문과 창문은 건축요소로서 공통의 역 할을 가지고 있다 말할 수 있겠다. 공간과 공간의 이음으로서 확장 또는 개방의 역할도 하며 단절을 통해 분리와 폐쇄의 역할을 한다. 이는 본 연구자의 작업 개 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아래의 건축요소의 이음이 주는 상징적 의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22) , 「제7강 한국 문화의 공간기호학적 해석」, 월간디자인, 2000년 7월, p.143.

(38)

2. 공간조형의 이음이 주는 상징적 의미

1) 공간의 회화적 의미

공간의 일반적인 의미는 아무것도 없는 빈 곳으로 물리적이나 심리적으로 널 리 퍼져 있는 범위이며 어떤 물체나 물질이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자리이다. 물리적 의미로서의 공간은 물질이 존재하고 여러 가지 현상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시간과 함께 세계를 성립시키는 기본 형식의 철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공간이란 보통의 물리적인 의미의 공간 또는 시간의 개념이 아닌 공간과 시간이 밀접하게 결합되고 다시 인간의 감정이 작용된 공+간의 합 일 속에서만 오늘날 진정한 공간의 의미를 가진다.23) 회화에서의 공간은 시대 변 화에 따라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어 왔으며 평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형 성되는 공간이다.

본인의 회화에서의 공간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밑바탕 즉 Ground이다. 두 번째로 조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현존하 는 도시의 모습을 가장 기본적 형태로 표현한 사각형으로 아무것도 없는 빈 곳 에 새로운 공간을 채움으로서 또 다른 공간이 나타난다. 이는 우연성이 아닌 과 거와 현재의 시간이 축적된 흔적이다. Ground에 건축물을 형상화한 사각형의 공 간에 깊이 감을 더하여 화면을 확장시키기도 한다.

2) 이음의 상징적 표현

이음은 이어서 합하는 일 또는 그런 부분으로 건축에서는 두 부재의 끝을 길 게 잇는 일, 그 이음매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음은 공간과 공간을 연 결하는 매개체로 건축이 가지고 있는 건축요소를 회화적 표현인 공간 조형을 통 해 사회와 사회, 인간과 사회의 단절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이음을 통한 소통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징은 그리스어의 Symbolon과 Symbollein의 두 가지 뜻을 지닌다. 앞의

23) , 「도시공간의 이해」, 서울 : 상문당, 2001. p.13.

(39)

Symbolon(증표, 표식, 기호)는 작용·요소·질량·관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 용되는 기호, 즉 상징화된 결과이며 Symbollein(집합하다, 비교하다)는 연관·유 사·관습 등에 의해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 즉 상징화의 과정이다.24) 예술적 상 징법의 분석과 해석은 도상학에서 상징의 정신사·문화사·형식사적 연구, 예술 의 정신분석 및 문예학적인 모티브 연구 등을 형성했으며 기호(sign)로서의 상징 은 기호학적 연구에도 영향을 끼쳤다. 미술에서는 전통적인 상징 등이 그대로 쓰 일 뿐 아니라 예술가에 의해 새로운 상징이 창조되기도 한다.25) 예술적인 개념에 서 볼 때 상징은 상상력의 우의가 그 본질이다. 스위스의 비평가 보드머(J.J.

Bodmer)는 “상상력은 모든 세계의 신비를 벗긴다. 그것은 실제를 생생한 이미 지로 우리 눈앞에 가져다주고 멀리 떨어진 사물들을 현존시켜 줄 뿐만 아니라 마법보다도 강력한 힘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잠재성의 상태로부터 끌어내어 거기다가 리얼리티의 외관을 부여함으로써 이는 새로운 창조물을 보고 느끼고 듣게 해준다.”26)고 하였다. 또한 캇시러(E.Cassirer)는 “모든 다른 상징형식처럼 예술도 기성의 주어진 한갓 재현이 아니다. 그것은 사물과 인간생활에 대한 객관 적인 견해에 이르게 하는 여러 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예술은 모방이 아니라 실 제의 발견(a discovery of reality)”27)라고 말하며 예술은 감정의 폭발이 아닌 통 일과 연속을 나타내는 것을 강조했다.

공간 조형은 건축요소의 회화적 의미로 설명 될 수 있다. 공간 조형으로서 계 단, 문, 창문을 기능적, 기호적으로 공간과의 이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그 상 징적 의미로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양면성을 형태와 색채, 구조로 나타나고 있 다. 계단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해 주는 이음의 상징으로 오르내리는, 확장 등 기 능적 의미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호적 형식의 문과 창문, 계단은 기호가 지니고 있는 의식적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본인작품에서 보여 지는 계단은 이음의 상징적 표현이다. 건축에서 공간 과 공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계단, 문, 창문 등의 건축요소들이 있으며 이 건 축요소들 가운데 계단은 공간 조형으로 순수하게 소통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24) , 「상징 시학」, 청하, 1985, p.12.

25) 월간미술 엮음, 「세계미술 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p.226-227.

26) 에드워드 루시-스미스, 「상징주의 미술」, 이대일역, 열화당, 1987. p.26.

27) 조요한, 「예술철학」, 경문사, 1991, p.38-39.

(40)

한 문과 창문은 단절과 소통의 두 가지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자의 작품 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사회와 인간, 또는 인간과 인간의 소통을 대변하는 직접적 의미를 대입시킬 수 있는 것이 계단이라고 생각했으며 이를 회화로 가져와 재해 석하였다. 그리고 문과 창문은 건축도면기호로서 또 다른 공간으로의 확장인 동 시에 본 연구자의 작업을 연계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위의 내용과 같이 3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지는 조형적 측면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되어 있다. 건축요소로서의 계단과 문 그 리고 창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객관적 내용을 바탕으로 공간 조형 작품의 주 체인 이음이 작업적으로 어떻게 개념화 되어 있는지에 대한 내용과 공간 조형적 회화에서 상징성의 표현에 대한 내용적 측면으로 접근해 이야기하고 있다.

다음 4장 본인작품에 나타난 이음의 표현에서는 공간 조형의 내용적 측면을 더욱 구체적으로 분류해 서술하고자 한다.

(41)

Ⅳ. 본인작품에 나타난 이음의 표현

1. 기하학적 구조의 다양성

기하학(geometry)은 그리스어 geometrein으로부터 유래되었고, ‘geo’는 땅, 토지, 지구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metry’는 측량의 의미를 가진 연결어이 다. 기하학적 구조의 특징은 첫째로 단순성을 들 수 있다. 기하학적 형태는 수학 적 법칙과 함께 뚜렷한 질서를 가지고 있다. 이는 규칙이며 단순 명료한 감각을 주는 것으로 이러한 형태가 취하는 근본 입장은 자연적 형태에서 파생되긴 하였 으나 철저하게 논리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자연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생각되어진 다.28) 복잡한 도시의 형태를 간결한 형태인 사각형으로 재현하며 극도로 단순화 된 순수한 형태는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이고 이는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준 다. 둘째로 반복성이다. 반복성은 산업사회의 도래로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이 이 루어지면서 나타난 것으로 현대 산업사회의 지배적인 대중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기계를 통해 물건을 대량생산하는 산업사회와 소비사회에서 다수로 존재하 는 사물의 존재방식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그리고 반복이 지닌 평범하고 비개 성적인 특징은 대중사회의 모습이라 할 수 있으며 대중문화와 산업사회의 반복 적인 대량생산을 인식하게 한다.29)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공간들과 이를 연결하는 계단들의 파생으로 다양한 화면 구성을 엿볼 수 있다.

이음[도판-25]은 형태와 색채, 배치 이 세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형태를 살펴보면 무수한 사각형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단순히 시각적으로만 인지되는 도시의 모습을 재해석한 것이며 사각형은 건축물을 표현하는 가장 단순한 모양 이다. 또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내적인 부분을 대변하고 있다. 정치, 환경, 인권 문제 등 사회가 가지고 있는 불편한 진실들은 날카롭게 날이 선 사각형으로, 도 시의 복잡하고 어지러움을 기하학적 구조와 배치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 회 문제들이 단독성이 아닌 서로 얽혀있음을 계단의 연결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28) , 「입체조형」, 미진사, 1996, p.86.

29) 송아름, 「기하학 형태의 반복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13.

(42)

이음 부분[도판-26]에서 볼 수 있듯이 원색을 사용해 색채가 지니고 있는 강렬 함을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효과를 통해 앞서 언급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내적 인 부분과 반대인 인간이 가진 본연의 유(柔)함을 표현해 줌으로서 사회적 소통 으로까지 이끌어 내고자 한 것이다.

[도판-25] 이음, 나수빈, 2015

[도판-26] 이음 부분, 나수빈, 2015

(43)

공간 제21호[도판-27]는 Ground 자체를 작업에 활용한 것으로 21개의 다양한 크기의 캔버스(Canvas)는 각각의 공간이며 그 공간 안에 또 다른 여러 개의 공간 들이 표현되어 중첩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전체적인 계단의 형상으로도 표현되어지고 있다. 색채의 대비를 통해 사회의 이중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사 회의 어두운 이면(裏面)과 시간성을 배경의 색채를 통해 드러내고 있으며, 도시 의 화려함과 인간이 가진 개성의 다양성을 수많은 공간의 여러 색채들로 표현하 고자 한 것이다. 앞의 [도판-25] 이음과 같이 산업사회의 기계화로 인한 대량생 산을 반복적 형태를 통해 보여 지고 있으나 기하학적 구조의 다양성을 표현함으 로서 이중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계단을 통한 이음의 상징과 각 공간 면의 연결에서 소통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도판-27] 공간 제21호, 나수빈, 2016

(44)

[도판-28] 공간 제21호 부분, 나수빈, 2016

(45)

2. 반복적 행위로서의 중첩

반복이란 사전적 의미로 동일한 요소나 대상을 단위로 하여 둘 이상 배열하는 것이다.30) 도널드 저드(Donald Judd)는 반복적 특성에 대해“그 질서는 합리적이 며 내재적인 법칙이 아니라 하나 뒤에 다른 것이 따르면서 연속되는 단순한 순 서와 같은 것”31) 이라고 했다. 현대미술에서 반복은 20세기 중반 이후에 팝아트 (Pop Art), 옵아트(Optical Art), 미니멀아트(Minimal Art)에서 나타났다. 팝아트는 1956년 영국 출신 작가 해밀턴의 작품에 처음‘POP'라는 글씨로 나타났으며 영 국에서 탄생했으나 북미대륙에서 일어난 역사상 최초의 독립적인 예술경향이다.

풍요로운 미국사회의 이상주의적 세계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옵아트는 1965년 에 탄생했으며 일반적으로 기이한 시각 현상을 강조한 추상미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20년대에 감지나 인식에 바탕을 둔 과학적 예술경향으로 이미 발생했 으며 1950년대에 이르러 더욱더 강하게 발전했다. 미니멀아트는 미국의 사적이나 우발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절대적인 형태, 즉 이 세상과 인간으로부터 동떨어져 있는 형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으며 1963년부터 1970년대 전반에 전성기를 누렸다.32)

중첩은 여러 층이 겹쳐져 있는 형태를 말한다. 회화에서는 콜라주(Collage), 파 피에 콜레(Papier Collè), 앗상블라주(Assemblage)에 나타난 표현이며 건축에서는 동시성, 침투성, 투명성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33) 이는 형태의 겹쳐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형태가 다른 형태위에 겹쳐질 때 두 형태 사이에는 전후관계가 생기게 되고34) 이로 인해 공간성이 표현된다. 반복과 중첩은 필연적 관계로 화면 속 공간의 통일된 패턴 안에서 규칙적 리듬감을 만들어내고 자유로운 형태로서 유동적인 공간을 형성하면서 차단의 효과를 가져 오기도 한다.

30) , 「현대 디자인 용어사전」, 디자인오피스, 1996, p.124.

31) Donald Judd, Art Year Book 8, The Art Digest, 1965, p.82.

32) 마르코 메네구초, 「대중성과 다양성의 예술 현대미술」, 노윤희 역, 마로니에북스, 2010, p.73 33) 주혜령, 「반복·집적·중첩의 조형원리에 의한 종이장신구 연구 : 원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p.9.

34) 아사꾸라 나오미, 「평면구성」, 김학성역, 조형사, 1999, p.114.

(46)

[도판-29] 공간발생Ⅰ, 나수빈, 2016

[도판-30] 공간발생Ⅱ, 나수빈, 2016

(47)

[도판-31] 공간발생Ⅲ, 나수빈, 2016

[도판-32] ontogenyⅠ, 나수빈, 2016

(48)

공간발생Ⅰ[도판-29], 공간발생Ⅱ[도판-30], 공간발생Ⅲ[도판-31]은 새로운 공간 이 나타나면서 원래 있던 공간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중첩되고 이로 인해 뒤의 공간들은 가려져 희미하게 나타나거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극변하는 사회에 서 건축물들의 새로 생김과 사라짐을 표현하고 있으며 사회의 단절을 단편적으 로 보여주고 반복적 행위를 통해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위의 작품에서와 같이 재료적인 측면으로 목탄은 인간이 처음 사용했던 미술 재료로서 흑백의 명암 조절이 용이해 밝음과 어두움의 사이에서 톤과 밀도의 조 절이 가능해 다양한 색조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목탄을 사용한 모노톤 계열의 작업은 다른 색채들과 달리 한 가지에 시선을 집중시킨다. 중첩된 공간과 계단의 모습에서 사라짐과 중복됨, 그리고 새로 나타남을 뚜렷하게 표현 하고자 했으며 모노톤을 통해 삭막한 사회의 회색 도시의 모습을 대변해 주고자 한다.

ontogenyⅠ[도판-32]에서 사용한 재료는 파스텔로서 공간발생Ⅰ,Ⅱ,Ⅲ에서 보이 는 목탄의 거친 느낌과는 반대로 파스텔이 가지고 있는 성질인 부드러움을 그대 로 적용한 작업이다. 또한 색채가 가지고 있는 색의 의미를 통해 내용적 측면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흑백의 강렬한 대비가 보이는 공간발생 시리즈는 검정이 가 지고 있는 권력, 공격성, 저항 등의 부정적인 사회적 의미를 극대화하고자 하였 으며 ontogenyⅠ에서는 갈색 계열의 색채를 사용함으로 차분함과 포용력의 느낌 을 통해 소통의 의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자계에 의해 생기는 자기모멘트의 방향이 강자성체와 반대방향으로 생기며, 자석에 대해서 약한 반발력을 나타내는 물질을

그리고 이러한 표현 법은 입자크기 구간 별로 서로 연속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별 수적 분포가 크기별로 연속적으로

불안정한 대기에서는 단열 냉각이 상승 운동에 미치는 효과 또는 단열 승 온이 하강 운동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불안정은 오메가(상승 과 하강

위상이동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In-line과 Off-axis 홀로그래피의 구성이 가지는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Yamaguchi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이동 거리에 따른 간섭 이미지에 서

일반적으로 합금의 전해질에 대한 저항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분극에 대한 저항의 값을 얼마나 받느냐가 중요하다.Tabl e4는 분극저항(R p ) 값을 나타낸

잡음을 제거하고 심전도 신호 의 형태학적 특징들을 일치시키기 위해 기존 정규화 방법은 정적인 상태에서 측정된 심전도를 위한 적응형 정규화 방법이며, 인식

• 성숙란은 일반적으로 저온과 건조에 저항성이 강해서대변에서 300일 정도 견디며 감염능을 지님.. • 성숙란은 일반적으로 저온과 건조에 저항성이

① 직선형 : 유수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보하류를 변화시키지 않아 서 하도 유지상 적당하고, 공사비도 저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채택 하는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