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음의 상징적 표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1)

이음은 이어서 합하는 일 또는 그런 부분으로 건축에서는 두 부재의 끝을 길 게 잇는 일, 그 이음매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음은 공간과 공간을 연 결하는 매개체로 건축이 가지고 있는 건축요소를 회화적 표현인 공간 조형을 통 해 사회와 사회, 인간과 사회의 단절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이음을 통한 소통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징은 그리스어의 Symbolon과 Symbollein의 두 가지 뜻을 지닌다. 앞의

23) , 「도시공간의 이해」, 서울 : 상문당, 2001. p.13.

Symbolon(증표, 표식, 기호)는 작용·요소·질량·관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 용되는 기호, 즉 상징화된 결과이며 Symbollein(집합하다, 비교하다)는 연관·유 사·관습 등에 의해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 즉 상징화의 과정이다.24) 예술적 상 징법의 분석과 해석은 도상학에서 상징의 정신사·문화사·형식사적 연구, 예술 의 정신분석 및 문예학적인 모티브 연구 등을 형성했으며 기호(sign)로서의 상징 은 기호학적 연구에도 영향을 끼쳤다. 미술에서는 전통적인 상징 등이 그대로 쓰 일 뿐 아니라 예술가에 의해 새로운 상징이 창조되기도 한다.25) 예술적인 개념에 서 볼 때 상징은 상상력의 우의가 그 본질이다. 스위스의 비평가 보드머(J.J.

Bodmer)는 “상상력은 모든 세계의 신비를 벗긴다. 그것은 실제를 생생한 이미 지로 우리 눈앞에 가져다주고 멀리 떨어진 사물들을 현존시켜 줄 뿐만 아니라 마법보다도 강력한 힘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잠재성의 상태로부터 끌어내어 거기다가 리얼리티의 외관을 부여함으로써 이는 새로운 창조물을 보고 느끼고 듣게 해준다.”26)고 하였다. 또한 캇시러(E.Cassirer)는 “모든 다른 상징형식처럼 예술도 기성의 주어진 한갓 재현이 아니다. 그것은 사물과 인간생활에 대한 객관 적인 견해에 이르게 하는 여러 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예술은 모방이 아니라 실 제의 발견(a discovery of reality)”27)라고 말하며 예술은 감정의 폭발이 아닌 통 일과 연속을 나타내는 것을 강조했다.

공간 조형은 건축요소의 회화적 의미로 설명 될 수 있다. 공간 조형으로서 계 단, 문, 창문을 기능적, 기호적으로 공간과의 이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그 상 징적 의미로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양면성을 형태와 색채, 구조로 나타나고 있 다. 계단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해 주는 이음의 상징으로 오르내리는, 확장 등 기 능적 의미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호적 형식의 문과 창문, 계단은 기호가 지니고 있는 의식적 상징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본인작품에서 보여 지는 계단은 이음의 상징적 표현이다. 건축에서 공간 과 공간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계단, 문, 창문 등의 건축요소들이 있으며 이 건 축요소들 가운데 계단은 공간 조형으로 순수하게 소통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 24) , 「상징 시학」, 청하, 1985, p.12.

25) 월간미술 엮음, 「세계미술 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p.226-227.

26) 에드워드 루시-스미스, 「상징주의 미술」, 이대일역, 열화당, 1987. p.26.

27) 조요한, 「예술철학」, 경문사, 1991, p.38-39.

한 문과 창문은 단절과 소통의 두 가지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자의 작품 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사회와 인간, 또는 인간과 인간의 소통을 대변하는 직접적 의미를 대입시킬 수 있는 것이 계단이라고 생각했으며 이를 회화로 가져와 재해 석하였다. 그리고 문과 창문은 건축도면기호로서 또 다른 공간으로의 확장인 동 시에 본 연구자의 작업을 연계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위의 내용과 같이 3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지는 조형적 측면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되어 있다. 건축요소로서의 계단과 문 그 리고 창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객관적 내용을 바탕으로 공간 조형 작품의 주 체인 이음이 작업적으로 어떻게 개념화 되어 있는지에 대한 내용과 공간 조형적 회화에서 상징성의 표현에 대한 내용적 측면으로 접근해 이야기하고 있다.

다음 4장 본인작품에 나타난 이음의 표현에서는 공간 조형의 내용적 측면을 더욱 구체적으로 분류해 서술하고자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