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 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3)

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건축도면기호를 통해 소 통의 개념과 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과 건축요소를 통한 이음의 상징적 표현의 연구 로서 사회적 단절이 가져 온 소통의 부제를 본 연구자는 유(柔)적인 표현의 작품 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도시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들 로서 서로 소통하고 주고받는 삶을 연결시키는 의미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로 얻어진 건축과 회화의 융화적 관계를 표현하고자 한 본 연 구자의 작품 활동으로 인해 사회 내에서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 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를 답습하는 것이 아닌 자기 개발과 본 연 구자만의 표현방법을 체계화하고 확립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 이다.

【참고 도판】

[도판1] 르코르뷔지에, 아르누보풍의 파도 장식스케치 적용 사례, 1905 [도판2] 르코르뷔지에, 유리와 병, 1922

[도판3] 르코르뷔지에, 직각의 時, 1955

[도판4] 미스 반 데 로에, 소도시를 위한 박물관 계획 1943 [도판5] 미스 반 데 로에, 만하임 국립 극장, 1947

[도판6] 루이스 칸, 포르테 델레 토리, 1928 [도판7] 루이스 칸, 어부의 집, 1929

[도판8] 루이스 칸, 산 마르코 바실리카, 1928 [도판9] 루이스 칸,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 1928 [도판10] 루이스 칸, 아크로폴리스, 1951

[도판11] 루이스 칸, 신전 내부, 1951 [도판12] 솔 르윗, 연속 기획안Ⅰ, 1966 [도판13] 솔 르윗, 벽 드로잉 #49, 1970 [도판14] 벽 드로잉 #49 증명서

[도판15] 솔 르윗, 얼룩 #22, 2007

[도판16] 베른트와 힐라 베허, 무명 조각들, 1959-1972 [도판17] 베른트와 힐라 베허, Water Towers, 1980 [도판18] 정직성, 망원동: 연립주택3, 2006

[도판19] 정직성, 삼청동-주택3, 2006 [도판20] 정직성, 후암동-입구들, 2005 [도판21] 정직성, 무정형 구축, 2006 [도판22] 김용관, QUBICT, 2010 [도판23] 김용관, PERSPECTIVE, 2010

[도판24] 김용관, PARALLAX VIEWPORT, 2010 [도판25] 나수빈, 이음, 2015

[도판26] 나수빈, 이음 부분, 2015 [도판27] 나수빈, 공간 제21호, 2016

[도판28] 나수빈, 공간 제21호 부분, 2016 [도판29] 나수빈, 공간발생Ⅰ, 2016 [도판30] 나수빈, 공간발생Ⅱ, 2016 [도판31] 나수빈, 공간발생Ⅲ, 2016 [도판32] 나수빈, ontogenyⅠ, 2016 [도판33] 나수빈, 비밀공간Ⅰ, 2016 [도판34] 나수빈, 비밀공간Ⅱ, 2016 [도판35] 나수빈, 공간기호Ⅰ, 2016 [도판36] 나수빈, 공간기호Ⅱ, 2016 [도판37] 나수빈, 공간기호Ⅲ, 2016

【참고 문헌】

<국내 문헌>

1. 단행본

강태희 외, 미술·진리·과학, 재원, 1996

권영걸, 제7강 한국 문화의 공간기호학적 해석, 월간디자인, 2000 김병억·이웅직, 디자인 개론, 태학원, 1999

김철수, 도시공간의 이해, 서울 : 상문당, 2001 건축설계자료집성 5권 개정판, 건우사, 1982 건축학개론,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1980 김현화, 20C 미술사, 한길아트, 1999

마광수, 상징 시학, 청하, 1985

박대순, 현대 디자인 용어사전, 디자인오피스, 1996

박선의·최호천,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미진사, 1999 봉일범, 가로로 긴 창 사라지다. 시공문화사, 서울, 2001 월간미술 엮음, 세계미술 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6

조요한, 예술철학, 경문사, 1991

주남철, 한국의 문과 창호, 대원사, 2001 한석우, 입체조형, 미진사, 1996

2. 학위논문

강노라, 현대회화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4

김경희, 문을 모티브로 자아의식을 표현한 조각보 형식의 작품 연구 :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김숙영, 솔 르윗(Sol Lewitt)을 통해서 본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의 소고, 성신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성이용, ‘텍스트’로서의 현대 건축에 관한 연구 : 기호론적 관점에서, 연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4

송아름, 기하학 형태의 반복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우승란, 기호적 형상을 통한 상징적 회화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유한주, 회화 공간에서의 사간성에 대한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이윤봉, 현대 건축과 현대 회화의 표현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건축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1996

이화진, 점,선,면의 반복구성을 이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전유미, 기하학 형태 반복성 나타난 작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조은주, 이중적 소통의 장으로서의 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주혜령, 반복·집적·중첩의 조형원리에 의한 종이장신구 연구 : 원의 상징성을 중 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진현아, 사회적 규범이 내재된 기하학적 형태에 관한 연구 : 본인 작업을 중심으 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최정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공간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2

3. 학술논문

김명옥, 현대건축과 현대미술의 상호교류와 접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통권25호, 2000년 12월

박규현, 김민정 생태학적 공간 디자인에서 있어 한국 전통건축의 현대화 응용연구 : 문(門)과 창호(窓戶)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제 15권 제4호 통권50호, 2002년 11월

박여성, 독일문화의 교육을 위한 건축기호학적 시론 : 문과 기둥 및 궁정(宮庭)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독어교육 제36집, 2006년 9월

변태호, 건축의 문화적 현대화에 있어 신화와 기호의 의미에 관한 연구 -철학가 카시러와 기호학자 퍼스의 사유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 사연구 제12권 제4호 통권36호, 2003년 12월

이승우, 계단의 공간적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39호 2003년 6월 전영미, 르코르뷔지에의 회화와 공간디자인의 상호관련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

인학회논문집 제17권 6호 통권17호, 2008년 12월

최영아, 김주성, 이강업, 루이스 칸의 회화에 나타난 건축적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2호 통권55호, 2006년 4월

<국외 문헌>

마르코 메네구초, 대중성과 다양성의 예술 현대미술, 노윤희역, 마로니에북스, 2010 숀홀, 기호학의 입문; 의미와 맥락, 김진실역, 비즈 앤 비즈, 2009

아사꾸라 나오미, 평면구성, 김학성역, 조형사, 1999

에드워드 루시-스미스, 상징주의 미술, 이대일역, 열화당, 1987

ARTHUR DLEXLER, 현대건축의 전화(現代建築의 轉化) (TRANSFORMATION IN MODERN ARCHITRECTURE), 김진일·권태문 공역, 태림문화사, 1987 C.Norberg-Schulz, 실존·공간·건축, 김광현역, 태림문화사, 1991

Donald Judd, Art Year Book 8, The Art Digest, 1965

E.B.Henning, The Trouble with Conceptualism, Art International Vol. ⅩⅩⅡ/8, 1979

Frankl, Paul, Principles of Architectural History : 건축형태의 원리, 김광현역, 기문당, 1990

Hanna, Buczunska-Garewicz, 1984

Harold Osborne, Aesthetics and Art Theory, 서배식역, 대왕사, 1984

Harris, Cyril M, ILLUSTRATED DICTIONARY OF HISTORIC ARCHITECTURE, DOVER, 1983

Louis I. Kahn, The Value and Aim in Sketching, Alessandra Latoured. Louis I.

Kahn: Writings, Lectures, interviews. Rizzoli, 1991

Palladio, Andrea, The Four Books on Architecture, MIT Press, 1997

Pierre Guiraud, “Semiology” London : Routledge & Kegan panl Ltd, 1975

THE NEW OXFORD ILLUSTRATED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Umberto Eco, Function and Sign : The Semiotics of Architecture; Signs, Symbols and Architecture, John Wiley & Son, 1980

Vitruvius,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건축십서, 오덕성역, 기문당, 1988 Werner Blaser, Architecture: Sunopsis of the 5-year curriculum(IIT Bulleti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