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박 홍 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박 홍 식"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일본의 독자적 사상가들

대구한의대학교

박 홍 식

(2)

일본 사상가 1호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 이하 일본 사상가의 내용은, 『일본사상 이야기 40』

(나가오 다케시 지음/박규태 옮김/ 예문서원)을 주로 참고하였음

(3)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 앞의 초상화는 일본 법륭사(法隆寺)의 쇼토쿠태자 초상화.

 阿佐太子御影이라고도 불린다.

 백제 아좌태자(阿佐太子, 572년~645년)가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원본은 1949년의 대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현재 작품은 원래의 그 림을 모사(模寫)한 것이라 한다.

<30여 년간의 섭정>

 31대 요메이 천황의 장남. 생전에는 우마야도(廐戶)황자라 불렸다.

 33대 女帝 스이코(推古)천황의 시대에 20세가 되었을 때부터 천황 대신에 정치를 섭정하여 30여 년간 정치가로 활동하였다. 당시 정 권을 장악한 소가 씨(蘇我氏)는 자기 집안의 황녀를 스이코(推古) 천황으로 내세우고, 사위인 쇼토쿠 태자에게 섭정을 맡긴 것이다.

(4)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 <왕권 강화, 중앙집권적 국가의 기초 완성>

- 일본 최초의 성문법인 「헙법 17조」를 제정

- 내정과 외교뿐만이 아니라 불교문화의 융성에도 기여하였다.

- 그는 왕권을 강화하고, 중앙집권적 국가의 기초를 이루었다.

그가 활약한 시기는 아스카시대((飛鳥 時代, 593년 ~ 622년)에 해당한다.

 <'관위 12계(冠位十二階)' 제도의 제정>

- 쇼토쿠 태자는 603년 씨족 문벌 정치를 청산하고 뛰어난 인물을 등용하기 위하여 '관위 12계(冠位十二階)' 제도를 제정하였다.

- 관위 12계는 개인의 재능과 공적에 따라 지위를 정하고 그 상징으로 관(冠)을 수여하는 제도다.

- 관위 수여는 일대에 한정하여 세습적인 관위제도를 방지하기 위한 혁신적인 정치 시스템이었다.

(5)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쇼토쿠 태자의 사상적 특징>

- ‘천황’이라는 요소를 사회적 정의의 중심에 놓았다.

- ‘화 和’를 사회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았다.

- 불교와 유교를 받아들여 일본식의 독자적인 사상을 만들어 냈다.

<불교와 유교의 수용>

- 쇼토쿠 태자에게 불교와 유교를 가르친 스승은 당시 일본에 귀화한 도래인이었다.

- 쇼토쿠태자는 불교를 고구려 출신 혜자慧慈스님에게 배웠고, 유교는 백제의 학자인 박사 각가覺哿에게서 배웠다.

- 쇼토쿠 태자는 小野妹子(오노노 이모코) 등 많은 유학생들을

다섯 차례 중국 수나라에 파견(遣隋使)해 중국 문화를 받아들였다.

607년 수나라로 파견된 견수사 오노노 이모코(小野妹子)가 수나라 황실에 건넨 국서에는 '해 뜨는 곳의 천자가 국서를 해 지는 곳의 천자에게 보내니 별일 없는지'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6)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헌법 17조에 나타난 일본 사상의 원형>

 오늘날 의미의 헌법이 아니라 호족과 관료들에 대한 도덕적 훈계를 말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 유교와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 불교와 유교의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일본서기』 스이코 천황 12년(604년)조 기사에 전문(全文)이 처음으로 인용되어 실려 있다.

 “和를 귀하게 생각하여 다투지 않을 것을 항상 마음에 새겨 두어라. 사람은 모두 도당을 만들려고 하며 사물을 공평하게 보려는 자가 적다. 때문에 분쟁이 생기는 것이다. 하지만 윗 사람이든 아랫사람이든 서로 마음을 온화하게 가지고자 애 쓰고 화목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올바른 도리가 저절 로 통할 것이다. 그러면 어떤 문제라도 해결될 것이다.”

(제1조)

(7)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 “마음의 분노를 다스려 겉으로 튀어나오는 성마름을 버리고, 상대방의 잘못에 대해 성을 내서는 안된다. 사람은 모두가 자 기 생각이 있고 거기에 잡착하기 마련이다. 자신이 옳다고 생 각하면 상대방을 틀리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자신이 항 상 성인일 수 없고, 상대방이 항상 어리석은 것만도 아니다.

사람은 모두가 ‘범인凡人’이다. 옳으냐 그르냐는 어느 누구도 정할 수 없다. 그러니까 상대방이 화를 내면 오히려 내게 어 떤 오류가 있지는 않은지를 생각해 보아야한다. 또한 나만이 옳다고 생각되더라도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잘 듣고 보조를 맞추어 행동하도록 하라.” (제10조)

 “삼보三寶를 깊이 숭경하라. 삼보란 불佛 · 법法 · 승僧을 가 리킨다. 이는 존재하는 모든 것이 귀의할 곳이며, 모든 나라 의 근간이다. 어떤 시대도 어떤 장소의 사람도 이 불법을 존 숭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제2조)

(8)

쇼토쿠 태자 (聖德太子, 574~622)

 이 밖에 제4조에서는 예禮를 강조하였고, 제 9조에서는 신의 信義 를 중시하여 유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 <불교에서 마음의 평안을 찾다>

그는 불교 교전의 주석서로서 승만(勝鬘) · 유마(維摩) · 법화(

法華 ) 3경의 의소(義疏, 주석서)곧 삼경의소 (『三經義疏』)를 저술 하여 불교의 이해와 보급에 힘썼다. 그가 건립한 절은 호류지(法 隆寺 )를 비롯하여 일곱 군데(열한 군데라는 설도 있다)이다.

 - 쇼토쿠 태자의 유언

“세간은 가상이고, 오직 부처만이 참이다.”

(9)

조닌(町人) 사상가

 조닌(町人) 사상가 *조닌이란

일본 에도 시대(도쿠가와 시대)의 경제 번영을 토대로 17세기에 등장하여 빠르게 성장한 사회 계층이다. 도시에 거주했으며 대부분 상인과 수공업자들이었다. 무사로부터 신분적 차별을 받는 아래 계층이었으나 부를 축적하면서 그 위신을 높이고 일본의 사회, 경제, 문화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두산백과)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 1685~1744)>

 비사무라이 출신의 대표적 사상가.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교토의 상가에서 일하였다. 독학으로 공부하여 틈만 나면 독서하였다고 한다. 43세 때 상가 일을 그만두고 45세 때 처음으로 공개 강의를 시작하였다. 이 강의를 듣고자 많은 제자들이 모여들었고, 이 제자들에 의해 그의 사상이

전국적으로 퍼졌다.

(10)

조닌(町人) 사상가

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은 11살 때 교토의 포목점에서 수습 점원으로 일하였다. 4년이 지나 포목점은 망하였다.문을 닫 는다. 이시다 바이간은 고향으로 돌아갔다.

23세때 또 교토의 기모노집에 수습점원으로 취업하였다.

이곳에서 17년간 일하면서 독학으로 공부였으며 오구리료운 (小栗了雲)이란 스님을 만나 선(禪)의 세계에 입문하였다.

 상공업인들의 상도덕 윤리를 적은《도비문답, 都鄙問答》은 일본뿐만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도 주목을 받고 많은 사람들 이 읽고 있다.

(11)

조닌(町人) 사상가

 “사농공사 중 하나라도 없으면 사회가 지탱되지 않는다. 사 농공상은 똑 같이 군주의 통치를 받고 군주를 돕는다. 사무라 이는 위계를 가진 신하이고 농민은 자연 속에서 일하는 신하 이고 공상은 거리에서 일하는 신하이다, 상인이 돈을 모으고 직인은 임금을 타는 것도 농민이 작물을 재배하여 그 대가를 취하는 것도 사무라이가 봉록을 받는 것과 다 같은 것이다.”

( 이시다 바이간, 『都鄙問答』)

 이러한 사고는 상하관계에 의해 사회질서를 표방하는 주자 학자 들에게는 문화적 충격이었다.

 도덕과 사상에 관해 사색하고 인도를 추구하는 일은 비록 사

무라이가 아니라 누구라도 해야만 하는 결론에 이른다. 이것

이 바이간 사상의 최종 도달점이었다. 그는 서민 교화를 적극

추구했다. 그의 자택에서 공개 강의가 있는 날에는 ‘청강 자

유, 입장 무료’ 라는 간판이 걸렸다고 한다.

(12)

조닌(町人) 사상가

 그는 서민들이 주체적으로 살 것을 가르쳤다. 그는 ‘정직’을 실천을 사람다운 길로 강조했다.

-정직론-

“담배곽 하나라도 상품의 좋고 나쁨을 바로 알 수 있는 법이다.

이것을 요리조리 속이려 한다면 나쁜 상인이다. 그 가격을 있는 그대로 말하는 것이 좋은 상인이다. 다른 사람의 눈에는 자신의 성실과 불성실이 바로 비쳐 보인다는 것을 잊고 사는 사람이 많다.

정직이야말로 사람의 신뢰를 받고 성공하는 비결이다.”

( 이시다 바이간, 『都鄙問答』)

 신분의 상하관계를 부정한(신분제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직분 론은 당시 무사층에게 천시당하고 자신감을 상실했던 서민층에게 그들의 정체성을 확인시켜준 가르침이었다.

 그의 사상은 心學으로 불리며 뒤에는 상급 무사 층에게까지 널리

(13)

13

조닌(町人) 사상가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 1685~1744)

- 상인출신으로서 유학을 공부하여 상인정신을 고취한 사상가로 유상(儒商) 이라고 할 수 있다.

- 그의 마음공부는 불교의 마음공부를 수용하여 그의 학문을 心學(石門心學)이라고 불린다.

- 그는 일본 오사카 상인들의 상도(商道)에 유학사상과

불교를 접목시켜 상인정신을 체계화시킨 사상가라고 할 수 있다.

- 그는 현재까지도 일본에서는 상인들의 귀감으로 여겨지고 있다.

임상옥 (林尙沃, 1779~1855) - 평안북도 의주에서 출신.

- 1796년 상업에 종사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국경지방 인삼의 무역권을 독점하였다.

- 빈민구제와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냈다.

- 저서에 『적중일기(寂中日記) 』 와『가포집』이 있다.

- 최인호의 소설 『商道』의 주인공이다.

(14)

조닌(町人) 사상가

<야마가타 반토(山片蟠桃, 1748~1821)와 자본주의 맹아>

 상인 출신의 서민 사상가. 유통과 금융에 뛰어난 사상을 전개했다.

철저한 현실적 합리주의자.

 “물가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으로 정해진다.”

 “높은 가격으로 흥정된 상품은 거기에 맞는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 문에 가격이 비싼 것이므로 그 자체를 나쁘게 보아서는 안된다.”( 『 유메노시로[夢の代]』)

 그의 투철한 시선은 시공을 종횡으로 뛰어다닌다. 천문, 지리, 역사, 경제 등 장대한 우주관이 그의 저서 『유메노시로[夢の代]』 속에 잘 펼쳐져 있다.

 오사카부는 그 공적을 칭송하여, 해외에서 간행된 일본문화 연구서 와 저자를 표창하는 「야마가타 반토상」을 창설했다.

(15)

조닌(町人) 사상가

<야마가타 반토(山片蟠桃, 1748~1821)와 자본주의 맹아>

 당시 일본인의 일반적 정서와 비교해보면 그는 놀라울 정도로 미신 을 믿지 않았다.

 반토는 영혼이라든가 귀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무혼론 無魂論’을 주 장했다. 반면 그는 유교 윤리를 신봉하는 입장에서 예의를 중시했 고 사자死者 공양을 중시했다. 이것은 ‘죽은 자와의 생전의 약속을 지키는’태도의 표현이었으며, 신비적 의미를 지닌 것은 아니었다.

 “지옥은 없다. 극락도 없다. 자아도 없다. 다만 존재하는 것은 인간 과 만물뿐이다. 신불神佛도 없고 귀신도 없다. 세상에 기기묘묘하고 불가사의한 것은 더 더욱 없다.”

(『유메노시로(夢の代)』)

(16)

18-19세기 사무라이에 의해 주창된 중상주의

<혼다 도시아키(本多利明, 1743~1820)>

- 관영무역 제창, 무역 진흥의 중요성을 일깨움

 저서: 『경세비책 經世秘策』 『西域物語서역이야기』 『경제방언』

『도해 일기』 『장기론』 등.

 “잘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는 것이지만, 한 국가가 국토 내에서의 생 산물만으로 전체 국민을 먹여 살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부족하게 된 다. 즉 해외의 생산물을 수입하지 않는다면 나라가 발전적으로 뻗 어 나갈 수 없다. 따라서 교역이 불가결하다. 그런 항해술의 습득에 는 천문학과 지리학이 불가결하며, 그 학문들은 모두 수학을 기본 으로 한다. 그러므로 수학이란 국가를 지탱해주는 모든 것의 기본 이다.” (『西域物語』)

 “천하를 손에 넣은 은의 탕왕과 주의 무왕을 이상으로 삼는 일은 미친 짓이다.”

 “사무라이의 아이덴티라는 것 때문에 본래 국민들 모두에게 골고루 분배되어야 할 부富가 극소수의 상인들에게 독점되고 있고, 많은 서민(연공을 바치는 농민)들이 고통을 받는다.”( 『경세비책 經世秘

』)

참조

관련 문서

20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손 네 손 가락을 전류의 방향으로 감아쥘 때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며,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어떤 자연수의 약수의 개수는 하나로 정해지기

 전류가 흐르는 코일에 작용하는 토크는 자기쌍극자 모멘트와 자기장의 벡터곱이다..  토크는 자기쌍극자 모멘트와

• 영구전류: 초전도체에서 전자가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저항이 없으므로 영원히 전류가 흐른다. • 보통의 금속에서는 저항으로 인한

Lapio 는 배가 고팠고 현자에게 음식을 나눠 달라고 간청했지만 그는 Lapio 가 그랬던 것처럼

내원 당시의 고막은 정상이었으며, 좌측으로 향하 는 안구진탕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시 순음청력검사

[r]

본 연구는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함은 물론 , 기존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깊이 있는 연구를 더해갈 것이다.. 고전문학의 연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