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4운동기 해외유학파의 서양학문 수용과 유통* -신문학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5·4운동기 해외유학파의 서양학문 수용과 유통* -신문학을 중심으로-"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4운동기 해외유학파의 서양학문 수용과 유통*

-신문학을 중심으로-

67)

이 재 령**

❙국문초록❙

이 연구는

5·4

운동기 중국의 해외유학출신들에 의해 전개된 신문화운동을 통해 서양학문의 수용 및 확산 과정을 파악하였다

.

청말민초 해외유학을 통해 근대지식을 습득하고 서양문명을 경험한 지식인들이 신해혁명 이후 좌절에 빠진 중국사회에 새로운 돌파구로 신문화운동을 제기하였다

.

그 가운데 문학혁명이 가장 빠르고 구체적으로 전개되었는데 구 봉건문학의 폐해로부터 벗어나 사상혁명과 문자혁명을 통한 평민문학의 건설에 맞추어졌다

.

여기에 동원된 문학 도구는 백화문이었으며

,

창작방법은 서양의 명저를 번역

,

참조하는 것이었다

.

유학파지식인들이 번역한 작품의 선정 기준이나 내용은 문학성

,

오락성보다 중국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계몽 과 혁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

신문학에 따른 번역이나 창작 작품은 인도주의에 의거한

인간의 문학

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그대로 묘사하는

사실주의문학

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

개성해방과 개인주의를 강조했다

.

신문학 의 경향이 계몽성

,

혁명성

,

사실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

,

개성 해방을 고양시킨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다

.

따라서 문학혁명은 문학 자체의 내용과 형식

,

표현수단

,

장르 등의 변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중국인의 윤리의식

,

가치체계

,

물질문명 전반에 변화를 가져온 사상혁명을 병행하였다

.

이렇게 볼 때 해외유학파에 의해 수용된 서양문학은 근대 학문

·

사상의 교두보로서 문학혁명을 폭발시키고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을 확산시킨 원동력이었다

.

그 과정에서 서양으로부터 이식된 자유

·

평등

·

민주

·

과학 등의 개념이 중국사회 전반에 보편 화되었고 근대 지식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

[

주제어

]

유학파

,

서양학문

,

신문화운동

,

신문학

,

문학혁명

,

新靑年

,

胡適

,

陳獨秀

,

魯迅

❘목 차❘

.

머리말

.

유학파의 문학혁명론

.

신문학의 모색

.

신문학의 확산

.

맺음말

*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A2A01063497)

**단국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 jrlee@dankook.ac.kr

(2)

Ⅰ. 머리말

1912

년 辛亥革命으로 淸朝가 무너지고 공화정의 中華民國이 탄생하였다

.

초대 총통에 오른 袁世凱는 개인 적 욕망으로 복고정치를 실시하여 공화혁명이 좌절될 위기에 처하였다

.

이후 중국은 帝制운동과 討袁운동

,

軍閥할거

,

외국 제국주의세력의 팽창 등 혼란과 좌절의 연속이었다

.

공화제의 채택이 가져온 정치적 면모는 국가를 혁신시키기에 역부족이었고

,

국가와 국민을 깨우칠 수 있는 근본적인 의식개조운동이 필요했다

.

이 시기 해외에서 근대 학문

·

사상의 세례를 받은 유학파지식인들이 국민생활과 의식의 철저한 변혁을 제창하 였다

.

그들은 근대 서양을 기준삼아 중국의 전통문화와 정신유산을 새롭게 평가할 것을 호소했고

,

중국의 쇠 락을 초래한 요소들과 기꺼이 결별하려고 했다

.

그리고 서양의 과학과 민주에 기초한 근대성을 받아들여 신 질서의 토대로 삼고자 행동에 나섰다

.

1)

청말민초 유학파지식인들은 봉건체제와 구사상에서 퇴락의 원인을 찾았고

,

서양에 뿌리를 둔 새로운 사 상

·

도덕

·

문화의 수용을 서둘렀다

.

이들은 귀국 후 청말 이래 계속된 경제개혁조치와 정치변혁운동에도 불 구하고 여전히 낙후된 현실에 실망하며 근본적 변화를 모색하였다

.

그들 가운데 일본유학출신은 주로 정치

·

군사 분야에서 종사했고

,

미국유학출신은 교육

·

학술 분야에 활동하면서 서양학문을 이식시켰다

.

2) 해외유학 출신들은 전공으로 배운 학술지식이나 과학기술보다 자유주의

·

사회주의

·

민주주의 등 신사조의 수용과 실 천에 더 큰 관심을 가졌다

.

그 후 이들이 신문화운동과 문학혁명에서 보여준 역할은 기존 사회질서와 지식체 계를 뒤흔들어 놓을 만큼 파급력이 컸으며 한인유학생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

3)

중국에서 西學의 수용과 유통에 관한 연구는 중서문화교류사나 기독교선교사의 활동을 다루면서 주로 검 토되었다

.

그 대상은 漢

·

魏晉南北朝

·

·

唐의 불교와 明

·

淸의 가톨릭처럼 외래종교의 유입에 초점이 맞 추어졌다

.

4)

19

세기 중반 이후로는 洋務自强과 變法維新에 따른 서양문명의 수용 곧

,

근대 서양지식에 대한 전통 중국의 충격과 반응을 중심으로 동서 문화의 교섭을 다루었다

.

5)

개혁

·

개방 이후 중국학계에서는 자유주의

·

과학주의

·

자본주의

·

민주주의 등 근대 서구사상의 수용과 변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였다

.

그 출발점이 근대이행기 서구의 학술지식과 과학기술의 효용성에 대한 평가 로

,

이를 직접 체득하고 중국에 전달했던 유학파지식인의 현지 경험과 지적 활동을 통해 서양 지식의 중국 유입과 적용 및 역할 등을 정리하였다

.

6) 근래는 현대학문의 분과 형성 및 발전 과정을 다루면서 미국유학생

1)이 시기의 사상변혁은 깊이와 범위 면에서 1895~1911년의 변혁을 능가했고, 일부 논자들은 春秋戰國時代(722~221 기원전) 이후, 중국 역사상 이처럼 격렬하고 근본적인 사회 및 사상변혁은 없었다고 주장한다. 郭湛波, 뺷前五十年中國思想史뺸, 重印 本, 香港, 1965, 1쪽; 이매뉴얼 C. Y. 쉬(저), 조윤수·서정희(역), 뺷근-현대중국사-인민의 탄생과 굴기뺸 하(6판), 까치, 2013, 609쪽.

2) 이재령, 「남경국민정부시기 재미중국유학생의 실태와 영향」, 뺷중국사연구뺸 79, 중국사학회, 2012, 281쪽. 3) 장자일, 「北京國立大學 留學時代」, 뺷삼천리뺸 12: 6, 1940, 128~129쪽.

4) 沈福偉, 뺷中西文化交流史뺸, 上海人民出版社, 2006; 張海林 編著, 뺷近代中外文化交流史뺸, 南京大學出版社, 2003, 1~137쪽. 5)양일모, 위의 글, 120~122쪽. 明淸代 서학 수용은 최소자, 뺷동서문화교류사연구:명청대 서학수용뺸 삼영사, 1987; 張海林

編著, 위의 책, 205~374쪽.

6)章開元 余子俠, 뺷中國人留學史뺸 上·下冊,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3; 李喜所 主編, 뺷中國留學通史 民國卷뺸, 廣東敎育出版

(3)

들의 역할

,

영향

,

특성을 세부적으로 검토한 성과가 있다

.

이러한 지적 성찰은 근대중국 지식장의 형성을 주 도했던 유학파지식인에 대한 평가와 함께 중국 본위의 학문지향성을 보여준다

.

그리고 연구범위가 사회 학

·

정치학

·

경제학 등 서양의 근대 사회과학에 집중되어 중국 고유문화의 정체성과 관련된 문학

·

철학 영 역은 다루지 않은 한계를 안고 있다

.

7) 근대 서양학문의 전도자로서 유학생들이 수행한 지적 역할과 학문적 성격을 이해하려면 그 시발점인 신문화운동의 핵심 동력이었던 신문학과 유학생의 상관관계를 추적할 필요 가 있다

.

이와 관련하여 중국현대문학의 前史인 新文學史를 다루는 과정에서 일부 언급되거나

,

8) 陳獨秀

·

胡適

·

蔡元培 등의 개인 연구를 통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

9) 좀 더 상세한 논의는 후스의 신문학에 관한 글들 을 따로 모은 자료집이나 창작 작품을 추려 소개하면서 주요 쟁점들이 검토되었다

.

10) 또한 중국의 근대성 을 읽는 테제로서 뺷新靑年뺸에 실린 신문화운동과 문학혁명에 관한 글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성과도 있 다

.

11)

본 연구는

1910

년대 중반부터 해외유학파에 의해 전개된 신문화운동을 통해 근대 서양학문의 전파 및 확 산과정을 밝히려고 한다

.

세부 방법으로는 동시대 일본과 구미 등지에서 근대 학문을 습득한 중국지식인들이 발표한 신문학 관련 글을 통해 서양문학을 어떻게 인식했고

,

어떤 태도로 수용

,

전파했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

이렇게 일제침략기 중국루트로 유입된 신문학을 비롯한 서양학문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함으로써 한

·

중 지 식교류 및 동아시아의 근대지식장 형성에 관한 인식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社, 2010.

7) 中國 南開大學出版社는 2009년 李喜所의 주도아래 역사학(李春雷)·고고학(徐玲)·심리학(胡廷峰)·신문학(李秀云)·법학 (裵艶)·경제학(李翠蓮)·사회학(陳新華)·교육학(陳志科) 등 근대 학문분야별 형성과정에서 차지하고 있는 미국유학생의 역할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中國學科現代轉型叢書’를 발행하였다. 여기에는 중국 철학, 신문학 혹은 현대문학이 포함되지 않 았는데 자국의 사상과 문학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근대학술 발전에 따른 서양의 역할과 영향을 제한시켜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李喜所 主編, 李春雷, 뺷留美生與中國歷史學뺸, 南開大學出版社, 2009; 李喜所 主編, 陳志科, 뺷留美生與中國考古學뺸, 南開大學出版社, 2009 등 참조.

8) 劉綬松 뺷中國新文學史初稿뺸 上·下卷, 人民文學出版社, 1985; 馬以鑫, 뺷中國現代文學接受史뺸,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98.

9) 민두기, 뺷中國에서의 自由主義의 實驗-胡適(1891~1962)의 思想과 活動뺸, 지식산업사, 1997; 후궈수(저), 강성현(역), 뺷차이 위안페이평전뺸, 김영사, 2009.

10) 姜義華 主編, 뺷胡適學術文集 新文學運動뺸, 中華書局, 1993; 천두슈·후스 외(저), 김수연(편역), 뺷신청년의 신문학론뺸, 한길 사, 2012(이하 뺷新靑年뺸으로 약칭).

11) 정진배는 5·4시기 백화문 전용을 둘러싼 논쟁이 중국 근대 패러다임의 구조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면서 진화 론적 관점으로 파악했다(정진배, 뺷중국현대문학과 현대성 이데올로기뺸, 문학과 지성사, 2001, 47~48쪽). 또한 그는 중국문 학의 근대성 논의에서 ‘중체서용’을 기준으로 루쉰·위다푸·저우쭤런 등의 작품을 분석하고 개인문제가 신문화운동의 주된 명제였으며 ‘근대 자아’를 형성시켰다고 보았다(정진배, 위의 책, 152~175쪽). 김창규는 아편전쟁 이후 ‘전통의 처분과 재구 성’ 방식으로 뺷신청년뺸의 신문화운동과 문학혁명에 주목하고 중국의 근대(성)는 중체서용도 그리고 서체중용도 아닌, “자기 자신을 자발적으로 갱신·활성화시킨 것”으로 해석했다(김창규, 「뺷신청년뺸의 신문학운동과 중국의 근대성」, 뺷역사학연구뺸 59, 호남사학회, 2015). 이런 논의는 신문학을 ‘서학의 수용’보다 ‘전통의 처리’에 맞춘 것으로 서양 학문·사상의 수용과 유 통이란 시각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4)

Ⅱ. 유학파의 문학혁명론

1. 뺷신청년뺸과 문학혁명

청말 이래 해외유학파 지식인들이 중국사회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신문화운동이었다

.

이 운동은 陳獨秀에 의해

1915

9

월 창간된 뺷靑年雜誌뺸의 근대 계몽언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

12)뺷청년잡지뺸는 제

2

호 부터 뺷新靑年뺸으로 題號를 바꾸고 신사상과 신문화를 보급하기 위한 사상문화운동을 주도하였다

.

이 운동은 辛亥革命의 퇴행적 결과에 대한 자기반성과 근본적 변혁을 지향하였다

.

구체적 내용은 전통 윤리도덕의 억압 으로부터 해방된 창조적 자유적 독립적 인격을 가진 중국인을 창출하려는 것이 목표로 서양의 과학과 민주

,

그리고 개인주의를 전면에 내세웠다

.

천두슈는

진정한 혁명이란 대다수 국민들이 역사와 혁명에 대해 각성하고 스스로 역사의 주체임을 자각 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면서 중국인을 각성시킬 계몽운동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

그는 신선하고 활달한 청년들에게 중국사회의 만연한 진부함과 부패를 몰아낼 신진대사의 역할을 기대하면서 이들에게 유 일한 희망을 걸었다

.

아울러 국가와 사회의 흥망을 짊어질 청년들에게 자각과 분투정신을 요구하고 이들이 갖추어야 될 여섯 가지 항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13)

첫째

,

노예적이지 말고 자주적일 것

.

둘째

,

보수적이지 말고 진보적일 것

.

셋째

,

은둔적이지 말고 진 취적일 것

.

넷째

,

쇄국적이지 말고 세계적일 것

.

다섯째

,

형식적이지 말고 실리적일 것

.

여섯째

,

상상적 이지 말고 과학적일 것……

이를 종합해 보면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인격

,

진보적 사상과 진취적인 정신

,

열린 세계관

,

실사구시와 과 학중시의 태도로 요약할 수 있는데

,

14)과거 중국사회를 지배해 온 儒家的 사고와 封建的 행동으로부터 벗어 나는데 초점이 모아졌다

.

1917

년 천두슈가 北京大 교장인 차이위안페이의 초빙으로 베이징대학 문과대학장으로 부임하면서 뺷신청 년뺸은 신문화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

.

15) 천두슈는 미국 유학중이던 후스를 비롯하여 劉半農

·

李大釗

·

高一

12) 천두슈는 1902년과 1906년 두 차례에 걸쳐서 일본 유학을 갔다가 단기간 체류하였고, 1907년 초에는 프랑스로 건너가서 그곳의 정치와 문학에 깊은 영향을 받은 후 1910년 귀국하여 교육활동에 종사하였다. 뒤이어 제2차 혁명에 관련되어 일본 으로 도피했다가 1915년에 귀국하였다(唐寶林·林茂生, 뺷陳獨秀年譜뺸, 上海人民出版社, 1988, 20~70쪽).

13) 뺷新靑年뺸, 13~14쪽. 이 글에서 인용된 뺷新靑年뺸은 汲古書院의 1970년 影印本을 저본으로 삼고, 김수연이 편역한 뺷신청년 의 신문학론뺸의 번역문을 활용하였다.

14) 위의 책, 13~14쪽.

15) 차이위안페이는 1868년 浙江省 紹興 출신으로 1889년 擧人, 1892년 進士에 급제하여 翰林院 編修로 제수되었다. 1907년 5월 독일로 유학을 떠나 이듬해 라이프치히대학의 문명사와 세계사연구소에서 램프리히트 교수의 지도아래 공부하였다. 1911년 신해혁명의 승리 소식을 듣고 러시아를 거쳐 귀국하여 중화민국 임시정부 교육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위안스카이가 총통에 오른 뒤 1912년 여름 다시 독일로 가서 약 1년 동안 머물고 이듬해 프랑스에서 3년 동안 체류하며 勤工儉學을 추진 하였으며, 1916년 귀국하여 이듬해 1월 베이징대학 교장에 취임하였다. 후궈수(저), 강성현(역), 위의 책, 593~597쪽.

(5)

涵 등을 베이징대 문과교수로 추천했는데 서로 다른 사상을 가진 유학파 지식인들이었다

.

16) 그 결과 이전부 터 베이징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던 錢玄同

·

沈尹默

·

魯迅

·

周作人까지 포함하여 다수의 중견작가와 학자들 이 함께 뺷신청년뺸을 중심으로 문필활동을 폈다

.

17)당시 베이징대 교장이던 차이위안페이는 학술적으로 모든 사상을 두루 포용한다는

兼容竝包

정신을 내걸었는데 대학 내에 각종 학파가 병존해야 상생할 수 있고 학술 도 발전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

18) 베이징대학은 국수주의

·

자유주의

·

사회주의

·

무정부주의 등 다 양한 사상을 가진 교수들이 동서양 학문의 혼재 속에 새로운 지적 패러다임을 지향하였다

.

5·4

운동 이전의 신문화운동은 일본 유학출신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

수적으로 압도했기 때문이다

.

19) 이 가운데 리다자오

·

천두슈

·

吳虞

·

錢玄同

·

루쉰

·

저우쭤런 등이 신문화운동을 주도하였다

.

리다자오는

1913

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1916

년 귀국한 후 뺷晨鍾報뺸

·

≪甲寅日刊≫의 主編을 맡아 북양군벌통치와 봉건문 화사상을 공격하는데 앞장섰으며 「청춘」

·

「분투하는 청년」

·

「자연적 윤리관과 공자」 등을 잇달아 발표하며 사상해방을 고취시켰다

.

20) 오우는

1905

년 일본유학 후

1907

년 귀국했는데 뺷신청년뺸을 통해 풍부한 역사지 식과 강렬한 문장으로 구가족제도와 봉건예교를 공격하여 사상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

그는 孔子를

만세에 게 화근을 남긴 盗丘

라고 비판했으며

공자가게를 무너뜨리자

라는 구호까지 서슴지 않았다

.

21)천두슈는 철 저한 반전통주의자로

모든 윤리

·

정치

·

법률

·

사회의 지향

,

국가의 祈求는 개인의 자유

·

권리와 행복을 옹 호하기 위한 것일 뿐

이라면서 사회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가족본위주의를 개인본위주의 로 바꿔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22) 그는 동양의 종법사회에서 가장과 군주를 존경하고 계급을 중시한 나머지 孝와 忠만 교육하고 있다면서 가족본위주의를 타파하여 개인본위주의로 바꾸자는 주장을 폈다

.

23)

이처럼 뺷신청년뺸을 무대삼아 표출된 신문화운동은 중국의 전통적 사유구조와 문화기반에 대한 철저한 비 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

그리고 천두슈와 후스를 비롯한 유학파지식인들에 의해

1917

년부터 서양문학의 영 향을 받은

문학혁명

이 제기되면서 신문학운동으로 구체화되었다

.

중국 현대문학의 뿌리인

신문학

은 형식상 백화문으로 문언문을 대신하는 것이고

,

내용상 서양의 학술

·

사상을 흡수하여 중국의 전통을 전면 부정하는

16) 張曉唯, 뺷蔡元培與胡適(1917~1937)-中國文化人與自由主義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3, 25~41쪽. 劉半農은 1917년 베이 징대학 법과 예과 교수 겸 뺷新靑年뺸 편집진으로 참여하다가 1920년 영국으로 건너가 런던 대학원에서 실험어음학을 공부 하였다. 1921년 프랑스 파리대학으로 옮겨 1925년 문학 박사학위를 획득한 뒤 귀국해 베이징대 국문과 교수로 부임했다 (뺷新靑年뺸, 665쪽).

17) 莊森, 뺷飛揚跋扈爲誰雄:作爲文學社團的新靑年社硏究뺸, 東方出版社, 2006, 110쪽.

18) 梁柱, 「論蔡元培“兼容并包”的辦學思想」, 蔡元培硏究會 編, 뺷論蔡元培뺸, 北京: 旅遊敎育出版社, 1989, 16~37쪽.

19) 무술변법이후 재일 중국유학생이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1901년 272명, 1902년 614명, 1903년 1,242명, 1904년 2,406명, 1905~1906년 1만여 명, 1907년 6,797명, 1908년 5,216명, 1909년 5,266명을 유지하다가 1910년 3,979명, 1911년 3,328 명, 1912년 1,437명으로 일본의 조선병합과 신해혁명을 계기로 대부분 귀국하였다. 陳學恂·田正平 主編, 뺷中國近代敎育史 料滙編 留學敎育뺸, 上海敎育出版社, 2007, 388~389쪽, 714~717쪽.

20) 中共黨史人物硏究會 編. 뺷中共黨史人物傳. Ⅴ. 2뺸, 西安:陝西人民出版社, 1984; 李大釗, 「靑春」, 뺷新靑年뺸 2: 1, 1916. 9.

1; 李大釗, 「奮鬪之靑年」, 뺷晨鍾報뺸 1916. 9. 3; 李大釗, 「自然的倫理觀與孔子」, ≪甲寅日刊≫ 1917. 2. 4.(뺷李大釗文集뺸 上, 人民出版社, 1984, 194~205쪽, 206~211쪽, 263~264쪽).

21) 吳虞, 뺷吳虞文錄뺸. 上海:商務印書館, 1927; 吳虞, 「禮論」, 뺷新靑年뺸 第3卷 第3號, 1917. 5. 1; 「儒家主張階級制度之害」, 뺷新靑年뺸 3: 4, 1917. 6. 1. 참조.

22) 이택후(저), 김형종(역), 뺷중국현대사상사의 굴절뺸, 지식산업사, 1992, 26쪽. 23) 陳獨秀, 「憲法與孔敎」, 뺷陳獨秀著作選뺸, 上海人民出版社, 1993, 164~167쪽.

(6)

사상개조이자 문학혁명이었다

.

24) 여기서 문학혁명은

사유와 문화를 유전시키는 매개이자 도구

로써 사상혁 명보다 앞서 실행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였다

.

25)

신문학과 관련하여 먼저 천두슈가

1915

11

,

뺷청년잡지뺸 제

1

권 제

3

호에 「현대 유럽 문예사론」을 발표 했다

.

그는 유럽의 문예사상이 고전주의로부터 이상주의로 변천해 왔으며

, 19

세기 말 과학이 크게 발전하여 우주와 일생의 진면목이 나날이 밝혀지고 있다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에 주목하였다

.

모든 것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시대 또는 가면을 벗기는 시대가 도래하여

,

예로부터 유럽에 전해지던 구도덕

,

구사상

,

구제도가 모두 파괴되었다

.

문학도 이러한 조류에 부응하여 이상주의에서 사실주의로

,

그리고 다시 자연주의로 나아가고 있다

.

천두슈는

19

세기 프랑스 문단에서 제창된 자연주의파 문예를

자연현상 가운데 예술적 가치가 없는 것이 없으며

,

이상적 인생을 몽상하기보다는 세상사와 인정사태를 진실하게 묘사하여 그 참된 아름다움을 발휘하 는 편이 낫다고 굳게 믿었다

.”

라고 평하면서 찬란한 유럽문학을 중국문학의 모범으로 삼자고 제안하였다

.

26) 그가 철저한 반전통주의를 견지하면서 자연주의에 기초한 근대 서양문학의 수용을 신문학 방향으로 제시한 것이다

.

다음 호인

1

4

호에는 뺷청년잡지뺸의 자연주의 표방여부와 추진방법에 대한 張永言의 질의와 천두슈의 답변이 실렸다

.

천두슈는

우리 중국문예는 아직 고전주의

·

이상주의 시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

이후에는 당 연히 사실주의로 나아가야 합니다

.

문장이 사실기록을 중요하게 여기고

,

회화가 사생을 중하게 여긴다면 오 늘날 공허하고 화려하며 퇴폐적인 악습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27)라고 주장하며 空理

·

空談을 일삼는 구문학을 대신하여 사실주의 문학을 대세로 받아들였다

.

그 후 뺷신청년뺸

2

2

호 통신란에 후스와 천두슈의 서신이 게재되었다

.

28) 후스는 뺷청년잡지뺸

1

3

호에 실린 謝無量의 長篇律詩를

세상에 드문 시

라고 극찬한 천두슈에 대해

고전의 상투적인 어투 백여 가지를 사용하고 있다

면서 지나치게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

그는 천두슈가 앞서 문학을 논할 때 고전주 의는 마땅히 폐지해야 한다고 하면서 유독 고전주의 시를 지나치게 칭찬하는 것은 서로 모순된다고 비판한 것이다

.

그리고 일반사람들이

典故를 인용하거나 상투어를 쓰는 것은 대체로 재능이 없어 새로운 말을 만들 어낼 수 없기 때문

이라면서

어려움은 피하고 쉬운 것만 취하려는 것

을 경멸하였다

.

그는 문학의 타락 원인 에 대해서도

겉모양이 바탕을 능가한다

.”

라는 한마디 말로 포괄할 수 있다면서 문학혁명은 아래의 여덟 가

24) ‘신문학’이란 5·4신문화운동을 통해 형성된 일련의 문학체제와 가치체계를 의미한다(뺷新靑年뺸, 6쪽). 중국의 근대문학은 세계사에 편입되기 시작한 1840년 아편전쟁 이후부터 1917년 문학혁명이 제창되기까지의 문학을 가리키고, 현대문학은 문 학혁명이후 1919년의 5·4운동을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기까지의 문학을 가리키며, 당대문학은 1949년 이 후부터 지금까지의 문학을 가리킨다(홍석표, 위의 책, 2009, 19쪽).

25) 蔡元培 뺷中國新文學大系뺸 良友圖書印刷公司, 1935, 9쪽; 김창규, 위의 글, 203쪽.

26) 陳獨秀, 「現代歐洲文藝史譚」, 뺷靑年雜誌뺸 1: 3, 1915. 11. 15.(이 글은 第1卷 第4號까지 연재되었다); 뺷新靑年뺸, 33~34쪽. 27) 張永言·陳獨秀, 「通信」, 뺷靑年雜誌뺸 1: 4, 1915. 12. 15.

28) 胡適·陳獨秀, 「通信」, 뺷新靑年뺸 2: 2, 1916. 10. 1; 뺷新靑年뺸, 37~47쪽.

(7)

지 항목으로부터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29)

첫째

,

전고를 인용하지 않는다

.

둘째

,

상투어를 쓰지 않는다

.

셋째

,

대구를 따지지 않는다

(

문장은 대구를 없애고 시는 운율을 없애야 한다

).

넷째

,

속자

·

속어를 기피하지 않는다

(

백화로 시사를 창작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

다섯째

,

반드시 문법의 구조를 따져야 한다

.

여섯째

,

병도 없이 신음하는 글을 짓지 않는다

.

일곱째

,

옛사람의 언어를 모방하지 말고 말에는 반드시 자기 자신이 존재해야 한다

.

여덟째

,

말에는 반드시 알맹이가 있어야 한다

.

후스는 위의 항목들을

정신상의 혁명

이라 부르고

,

천두슈가 세계문학의 추세를 통찰하고 있으며 문학개 혁의 큰 포부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기에 자신의 소견을 말씀드린다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일에 추가 하겠다고 밝혔다

.

이에 대해 천두슈는 사실주의를 제창하는 잡지로서 뺷청년잡지뺸에 고전주의 시를 수록하게 된 배경을 설명 하고 오늘날 중국문예계에서 사실적인 작품을 실제로 본적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변하였다

.

그리고 후스가 제 안한 문학혁명의 항목 중 다섯째와 여덟째를 제외한 여섯 항목에 대해 적극적인 찬성을 표시하였다

.

30) 문학 혁명이 현재 중국의 절박한 문제임을 감지하면서도 그때까지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없어 서구의 자연주의 와 사실주의문학의 도입을 막연히 주장하던 천두슈에게 후스의 제안은 현실적 방안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 서 큰 의미가 있다

.

31)

2. 신문학논쟁

천두슈의 격려와 관심에 고무된 후스는

1917

1

월의 뺷신청년뺸

2

5

호에 「文學改良芻議」를 발표하였 다

.

32)여기서 후스는 문학개량에 관한 여덟 가지 주장을 다시 제안하고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

33) 그 내용 은 후스가 앞의 서신에서 이미 밝힌 것으로

,

여덟째 항목을 가장 먼저 언급하며 특별히 강조한 것이 눈에 띠 29) 뺷新靑年뺸, 43~44쪽.

30) 위의 글, 45~47쪽. 31) 뺷新靑年뺸, 21쪽.

32) 후스는 어려서 고전교육과 근대교육을 받은 뒤 공비유학생시험에 합격하여 미국 코넬대학에서 농학을 전공하다가 컬럼비아 대학으로 옮겨 철학을 배웠다. 그는 유학중 존 듀이와 토머스 헉슬리의 영향을 받아 실용주의와 과학적 사유방법 및 진화적 사회개선관을 강렬하게 신봉하였다(이매뉴얼 C. Y. 쉬, 위의 책, 614쪽). 1917년 귀국한 후스는 베이징대학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면서 신문화운동과 문학혁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유학시절부터 중국고문의 개혁을 모색하여 1916년 8월 과 10월에 각각 朱經農과 陳獨秀에게 편지를 보내 문학혁명의 개념과 구문학의 개량을 위한 “여덟 가지 주장”을 처음으로 제안하였고, 이듬해 1월 「문학개량추이」를 통해 적극적으로 ‘문학혁명’을 제시하였다(胡適, 「文學改良芻議」, 뺷新靑年뺸 2: 5, 1917. 1. 1; 뺷新靑年뺸, 55~82쪽).

33) 뺷新靑年뺸, 55~56쪽.

(8)

는 차이점이다

.

그는 문학에 정감과 사상이 없다면

, “

영혼이 없고 두뇌가 없는 미인이 비록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어도 보잘 것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라고 하면서 실제 내용을 중시하였다

.

34) 또한 그는 고문

,

전고

,

상투어

,

대구 등의 형식에 얽매인 구문학의 폐단을 비판하고 언어형식과 문학내용의 전면 쇄신을 요구하였 다

.

이 글에서 주장한 신문학의 내용은 문학이 진실하게 사회현실의 근본문제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과 백화 문체로 써야 한다는 것이었다

.

그는 遼

·

·

元의 지배 아래에 있던 삼백여 년 동안 통속적인 문학이 출현했 는데 현재 시각으로 볼 때 중국문학은 원대에 가장 흥성했고

,

후세에 전할 만한 불후의 명작도 가장 많이 나 왔으며

,

언문일치에 가장 근접하여 백화가 거의 문학 언어로 자리 잡았다고 보았다

.

따라서 그는

백화문학 이 중국문학의 정통이 될 것이며

,

장래 문학이 반드시 써야 할 利器가 될 것

이라고 단언하였다

.

35) 이 글에 서 후스는 봉건문학의 폐해를 공격할 뿐만 아니라

,

내용

·

형식에서 모두 신문학의 요구를 설명했고

,

역사발 전의 관점에서 언어도구 혁명의 필연성을 논증하며 문학혁명의 취지를 밝혔다

.

문학에서 백화문 사용을 언급한 것은 이 글이 효시가 아니지만 이전 시기의 논자들과 비교할 때 후스의 주장은 확실히 좀 더 체계적이며 전폭적인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

또한 古人으로 자신의 주체를 대체하는 비 주체적 글쓰기 행위를 지양하고 작가의 주체가 작품 정면에 부각되는 독립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를 지향하 는 것이 백화문운동의 기본전제였다

.

36)

후스의 「文學改良芻議」가 발표된 이후

,

곧바로 천두슈는 「文學革命論」을 발표하고 적극 호응하였다

.

그는 후스의 주장에 대해

전국의 고리타분한 학자들의 적이 될 것을 무릅쓰고

, ‘

문학혁명군

의 큰 깃발을 높이 치 켜들어 내 친구를 지원하고자 한다

.”

면서 자신의 삼대주의를 더하였다

.

37)

첫째

,

지나치게 수식하고 아첨하는 귀족문학을 타도하고 평이하고 서정적인 국민문학을 건설하자

.

둘째

,

진부하고 과장적인 고전문학을 타도하고 신선하고 진실한 사실문학을 건설하자

.

셋째

,

모호하고 난해한 산림문학을 타도하고 명료하고 통속적인 사회문학을 건설하자

.

여기서 천두슈는 아첨적 과장적 허위적이며 우매한 국민상과 인과관계를 이루고 있는 귀족문학

,

고전문학

,

산림문학을 모두 배척했다

.

중국정치를 혁신하려면 반드시 정치를 운용하는 정신계에 기반하고 있는 문학을 혁신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천두슈는 더욱 분명히 문학혁명과 정치혁명 사이의 상관성을 직시하였고

,

문학혁명이 정치혁명을 추동하기 위한 기본 동력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

천두슈는 언어형식의 개혁에만 한정하지 않고 사상내용의 개혁을 좀 더 적극적으로 제시함으로서 문학혁명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보여준다

.

그의 주장은 문학 언어의 개혁을 통해 언어의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려 했던 후스의 주장과 그 방향을 약간 달리했다

.

후스의 관심이 문학의 표현도구인 언어 자체의 근대화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천두슈의 관심은 문학 이 담아낼 근대적 이념을 확립하는 것이었고 그것을 통해 신사상운동에 기여하는데 있었다

.

요컨대 신문화운 34) 뺷新靑年뺸, 57쪽.

35) 뺷新靑年뺸, 84쪽.

36) 그 전부터 백화문 사용을 주장한 인물로는 黃遵憲, 劉飾培 등이 있다. 정진배, 위의 책, 47쪽. 37) 陳獨秀, 「文學革命論」, 뺷新靑年뺸 2: 6, 1917. 2. 1; 뺷新靑年뺸, 83~90쪽.

(9)

동의 초점을 후스는

신문학

에 맞춘 반면 천두슈는

신사상

에 둔 것이다

.

또한 전통과 현대의 문제가 봉건적 중화중심주의와 보편적 세계주의라는 두 가지 상이한 세계관의 충돌로 재구될 수 있다면 「문학혁명론」의 기 본 논리는 탈중화주의를 통한 보편적 세계주의의 지향이었다

.

38)

그런데

문학혁명

이란 용어는 미국유학 중이던 후스가

1915

9

17

일 梅光迪에게 보낸 송별 시에 처음 등장한다

.

39) 이때에 후스는 친구들과 중국의 언어에 대해 토론하면서 백화를 생명력 있는 문학도구로 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애썼다

.

그는 문학에서 살아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신사상운동의 선결조건으 로 판단했고

,

문학혁명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백화문으로 문언문을 대체하는 것이며

,

신문학의 핵심은 언어 형식의 개혁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

40) 따라서 후스의 문학혁명론은 미국유학과정에서 체득된 자유주의

,

실용 주의를 근간으로 귀족문학에 대항하는 국민의 문학

,

즉 민중의 문학으로 규정할 수 있다

.

41)

신문화운동기의 문학혁명은 처음부터 언어형식적인 면과 사상내용적인 면을 함께 포함했다

.

언어형식의 혁명이란 과거 정통의 지위를 차지하며 군림하던 문언문을 백화문으로 대체하여 언문일치의 문체를 창출함 으로서 근대적 문학 언어를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

사상내용의 혁명은 전통적인 유가

·

도가 등 봉건사상문화 를 비판하고 서양의 근대정신을 수용하여 새로운 문학내용으로 확정지으려는 것이었다

.

42) 이런 주장은 후스 의 유학기간동안 체득된 서양학문의 영향으로

, ‘

현대인

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오늘의 시대정신을 따르 는 것이었다

.

그것은 곧 중국의 시대정신을 동시대 서구의 사회진화론적 사상으로 대체하려는 것이다

.

이 때 문에 그는 서구의 사상체계를

현대적

인 것과 등치시키면서 비진환론적 관점은 폄하하여 전근대적

,

봉건적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

43)

후스와 천두슈는 모두 서양문학을 모델로 삼아 신문학을 제창했는데 후스가

3

대 주의를 문학혁명의 강령 으로 보았다면 천두슈는 철저히 타협하지 않는 혁명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

천두슈가 문학개량을 문학혁명으 로 고쳐 부른 까닭도 공화혁명 이후 암흑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 정신혁명의 부재 때문이라면서 도덕혁명 을 위한 유교 타도와 사상의 표현인 문학을 혁명해야 한다는 취지였다

.

이런 이유로 方孝嶽는

문학혁명의 소리는 후스 군에 의해 제창되었고 천두슈 군에 의해 확산되었다

면서

두 사람 모두 서양문화의 장점을 우 리 중국에 들여오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추세는 이미 큰 조류를 형성하고 있다

라고 평가하였다

.

44)

신문화운동과 병행한 문학혁명은 해외유학출신들의 선행학습과 실제 경험이 결합되어 새로운 문학사상과 구체적인 창작방법을 찾게 된 것으로

,

유학생들이 서양문학과 접촉하면서 유입이 불가피하였다

.

그러나 문학 혁명의 방향에 있어서 백화문의 표현을 강조한 후스와 사상혁명을 중시한 천두슈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

38) 정진배, 위의 책, 51쪽.

39) 張耀杰, 뺷北大敎授與 ≪新靑年≫뺸, 新星出版社, 2014. 125쪽. 40) 홍석표, 같은 책, 74~75쪽.

41) 민두기, 위의 책, 32쪽. 이때부터 중국문학이 전통문학의 구속에서 벗어나 ‘사람의 문학’, 즉 인간의 개성을 존중하며 인간의 가치를 인정하는 새로운 현대문학으로 발전해 나간 것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謝筠, 뺷中國現代文學史敎程뺸, 中國傳媒大學出 版社, 2003. 3쪽.

42) 홍석표, 위의 책, 80쪽. 43) 정진배, 위의 책, 48쪽.

44) 方孝嶽, 「讀者論壇:我之改良文學觀」, 뺷新靑年뺸 3: 2, 1917. 4. 1; 뺷新靑年뺸, 127쪽.

(10)

후스와 천두슈의 문학혁명론은 차이위안페이

·

리다자오

·

오우

·

첸쉬안퉁

·

루쉰

·

저우쭤런 등에 의해 큰 호 응을 얻었다

.

첸쉬안퉁은

우리나라의 문언은 통일되지 않아서 청년학생이

3~5

년이란 짧은 시간만으로 그 문리를 파악하고

,

응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면서 천두슈에게 서신을 보내 뺷신청년뺸부터 백화문과 신식부호 를 사용하도록 건의했다

.

45)또한 그는

아주 오래되고 낡은 집에서 오랫동안 살 수 없다면 반드시 새집을 지 어야 한다

.

헌집에서 살던 자는 새집이 다 지어지기 전에 헌집을 이쪽저쪽 보수하여 비바람을 막지 않을 수 없으나

,

헌집을 보수했다고 해서 새집을 짓지 말아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면서 구문학을 맹렬히 공격하고 언어와 글자의 변천사를 통해 백화의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

46)

첸쉬안퉁은 후스의 「문학개량추이」에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

그는

“‘

전고를 이용하지 말자

라는 주장이 매우 훌륭하여

천년 동안 누적된 부패한 문학의 폐해를 없애기에 충분하다

.”

라고 적극 옹호했다

.

또한 그는

반드시 문법을 중시해야 한다

.’

라는 것도 당시 사람들이 대부분 그렇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사에 이런 병폐 가 많다고 보았다

.

그는 중국소설 중 가치 있는 것으로 施耐庵의 뺷水滸傳뺸

,

曹雪芹의 뺷紅樓夢뺸

,

吳敬梓의 뺷 儒林外史뺸를 들었고

,

동시대는 뺷官場現形記뺸

,

뺷二十年目睹之怪現狀뺸

,

뺷孼海花뺸 등을 높이 평가했다

.

47) 이렇 듯 첸쉬안퉁은 후스의 주장에 포괄적으로 찬성하면서 그 방법과 모델까지 중국의 소설

·

희곡이 아닌 서양문 학에서 찾았다

.

리다자오는 신문학에 대해

사회를 사실대로 묘사하는 문학이고

,

개인의 명성을 쌓기 위해 하는 문학이 아 니다

.

박애심을 기초로 하는 문학이며

,

유명해진 마음을 기초로 하는 문학이 아니다

.

문학을 위해 창조한 문 학이고 문학 이외의 어떤 것을 위해 창조한 문학이 아니다

.”

라고 주장하였다

.

48) 그에 따르면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문학

이란 반드시

심오한 사상

,

학문이론

,

확고한 주의

,

우아한 문예

,

박애정신

의 견실한 토양 위 에 있어야 한다면서 신문학의 방향으로 현실이념에 기초한 사실주의 창작을 제시하였다

.

신문학을 이끈 해외유학파는 동서와 신구의 상이한 문화

,

가치

,

사회체제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중국의

三綱五常

을 기초로 한 봉건문화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졌고 뺷신청년뺸을 무대로 냉정한 비판을 전개하였다

.

이들은 외국의 근대문학을 직접 번역

,

소개하면서 그로부터 많은 자극을 받았다

.

뺷신청년뺸이 창간호부터 투 르게네프

,

오스카 와일드

,

체홉

,

입센 등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및 북유럽 작가의 작품을 번역한 것도 서양 문학으로부터 자극을 받기 위한 시도였다

. 1910

년대 중후반 중국의 문학개혁과 문학혁명론은 해외유학파를 매개로 시작되었고

,

언어를 뺀 내용과 형식면에서 모두 서양의 학술

·

사상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던 것 이다

.

45) 錢玄同, 「寄胡適之」, 뺷新靑年뺸 第3卷 第5號, 1917. 7:뺷新靑年뺸, 103쪽. 그는 1906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 유학중 동맹회에 가입했고, 1910년 귀국하여 1917년 차이위안페이의 초청으로 베이징대학 교수가 되었으며, 이후 신문학을 적극적 으로 제창하였다.

46) 朱經農·胡適·任鴻雋·錢玄同, 「通信:新文學問題之討論」 뺷新靑年뺸 5: 2, 1918. 8. 15; 뺷新靑年뺸, 353쪽. 47) 錢玄同·陳獨秀, 「通信」, 뺷新靑年뺸 3: 1, 1917. 3. 1; 뺷新靑年뺸, 103쪽.

48) 李大釗, 「什麽是新文學」, 뺷星期日週刊뺸 社會問題號(1920. 1. 4); 뺷李大釗文集뺸 下, 人民出版社, 1984. 164쪽.

(11)

Ⅲ. 신문학의 모색

1. 서양문학의 번역

해외유학생들은 수년간의 외국 생활에서 많은 서양 명작들과 접촉할 수 있었고

,

세계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중국문학의 위상을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

이런 경험은 그들에게 서양의 새로운 문학사상과 문예이론을 중국 에 소개해야 될 필요성을 깨닫게 만들었고

,

귀국 후 신문학 건설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껴 스스로 문학혁명에 나섰다

.

그들은 구시대의 봉건문학을 비판하는 동시에

역외 영양을 섭취하는 것

을 긴박한 임무로 받아들였 다

.

곧 신문학을 건설하려면 먼저 서양의 명작을 빠르게 많이 번역하여 중국문학의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본 것이다

.

49)이런 요구에 부응한 해외유학출신들이 외국문학을 번역

,

소개하는 임무를 담당했는데 곧

,

신문 학운동의 중추역할을 맡게 되었다

.

신문학운동의 선구자들이 외국문예 사조와 각종 장르를 수용하여 국내에 이식시키는데 번역을 주요 수단으 로 삼았다

.

후스는 애당초 근대 서양문학을 모범으로 삼자고 주장했는데 신문학을 창조하려면 반드시 고명한 문학방법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면서

많은 서양의 명작을 빨리 번역해서 우리의 모범이 되는 것

이라고 주장 하였다

.

50) 그는 미국 유학중이던

1912

년 프랑스 작가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을 번역했고

, 1914

년 다 른 단편소설을 번역하는 등 직접 백화문으로 외국문학을 번역하는 길을 개척하였다

. 1919

9

월에는 후스의 번역 작품이 전집으로 출판되어 중국문단에 새로운 자극을 주었고

,

현대소설 창작의 참고가 되었다

.

51)

루쉰은 문학혁명의 배경에 대해

사회적 요구가 있었고

,

한편으로는 서양문학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

이라 면서 전통시대의 문화유산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

자신의 입장에서 취사 선택적으로 수용 계승했는데 이 를

拿來主義

라 불렀다

.

52)그는

“(

외국에서

)

가져온 것이 없으면 사람이 스스로 신인으로 될 수 없고

,

문예도 스스로 신문예가 될 수 없다

면서 근대 서양문학을 신문학의 길잡이로 삼았다

.

53)

이후 루쉰은 일생동안 수많은 외국 문학작품을 번역했는데 프랑스

·

러시아

·

일본 및 동유럽의 작품이 비 교적 많았다

.

그의 번역활동은 단순한 작품 소개가 아니라 서양문학의 사상과 이론을 적극 수용하여 중국문 학의 봉건성을 타파하고 신문학의 방법과 혁명적 내용을 담보하려는 목적이었다

.

따라서 그는 외국문학 작품 의 번역

,

소개를

타인의 술잔을 빌린 것

에 불과하다면서 그 한계를 명확히 지적하였다

.

54) 그는 에로센코

(Vasili Eroshenko)

의 작품을 번역하면서도

학대당한 사람들의 고통소리와 강권자에 대한 국민들의 증오와

49) 李喜所 主編, 元靑 等著, 뺷中國留學通史 民國卷뺸, 廣東敎育出版社, 2010. 465쪽. 50) 胡適, 「建設的文學革命論」, 뺷新靑年뺸 4: 4, 1918. 4. 15; 뺷新靑年뺸, 250쪽. 51) 홍석표, 뺷중국의 근대적 문학의식 탄생뺸, 선학사, 2007, 72~73쪽.

52) ‘拿來主義’는 전통시대의 문화유산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입장에 서서 취사 선택적으로 수용·계승하려는 사고 방식으로, 모방과 다른 원본 그대로 복사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루쉰은 서양의학을 배우기 위해 1902년 4월 일본으로 유학 했으나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고 1909년 8월 귀국하여 교육자, 작가의 삶을 보냈다. 전형준 편, 뺷루쉰뺸, 문학과 지성사, 1997. 참조.

53) 李喜所 主編, 元靑 等著, 위의 책, 465쪽. 54) 뺷魯迅全集뺸 第3卷, 357쪽.

(12)

분노를 촉발시키는 것을 전파할 뿐이며

,

무슨

예술의 궁전

에 손을 내밀어 해외의 진귀한 화초를 뽑아 중국 의 예술문단에 이식하려는 것이 아니다

.”

라고 작업 의도를 밝혔다

.

55)그가 번역

,

소개한 일본 문예평론가 厨 川白村의 저작에 대해서는

남의 구속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

이 중국에 결핍된 것을 통절히 비판하려는 취지로

, “

중국의 의기소침한 것

을 공격하여

우리에게 잠복된 병

,

특히 자부하고 있는 이른바 정신문명을 정 통으로 찌르는데 있다

.”

라고 언급하였다

.

56)

저우쭤런도 루쉰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외국문학을 번역

,

소개했는데 그 중 일본작품이 가장 많았다

.

그는 일본의 신문학에 대해

(

서양을

)

곧바로 알맞게 배합하는 것을 바라지 않고 모방만 한 것인데 단지 사유방식 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정신을 자신의 마음속에 혼합한 후 쏟아 내는 것으로 독창적인 좋을 점을 模擬했다

.”

라고 평가하였다

.

이와 마찬가지로 중국문학이 현대화되려면 먼저

다른 사람한테 배우지 않고 타 인이 자신을 모방하기를 원하는 심리장벽부터 타파해야 되고 진심으로 먼저 타인을 모방하는 것이 절실히 필 요하다

라고 보았다

.

57) 따라서 그의 번역은 내용을 강조하면서 작품의 평민성과 목적을 중시했는데 일본문 학의 타인 모방방식을 배워서 중국문학을 개혁하려는 시도였다

.

루쉰과 저우쭤런 이외에도 郭沫若

·

郁達夫

·

成仿吾

·

田漢

·

穆木天 등이 創造社를 성립하여 외국문학을 번역 및 소개하였다

.

이들 중 영향력이 가장 컸던 궈모뤄는 서양 낭만주의의 문학작품과 칸트의 작품을 번 역

·

소개하여 중국문단에서 명성을 떨쳤다

.

미국유학 출신으로 후스 이외에 외국문학을 번역

·

소개하는데 적극적인 인물들로는 徐志摩

·

聞一多

·

梁實秋

·

饒孟侃

·

葉公超

·

余上沅 등이 있다

.

58) 이들은

1923

년 新月 社를 조직하고 여러 장르의 문학작품을 번역

,

소개하였다

.

이외에 유럽에서 공부한 李劼人

·

曹靖華

·

戴望 舒

·

傅雷 등도 외국문학작품을 번역 소개하는데 적극적이었다

.

민국초기 유학파지식인들은 번역활동을 통해 구미

·

일본

·

인도

·

러시아 등의 낯선 문학과 색다른 사상을 소개

,

전파하였다

.

이렇게 유입된 서양문학작품은 중국문단에 새로운 각성과 방향을 제시했고

,

중국작가들의 생각과 창작 기법까지 바꾸어 현대문학의 촉진제가 되었다

.

59) 근대서양문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중국 지식인들은 이전과 전혀 다른 신문학 관념을 가지게 되었다

.

예컨대 전통 중국문학에서는 人性의 자연스런 표현이 늘 억제되었고

,

우주만물의 근원 또는 본체를 가리킨

를 표현할 수 있을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 고 했다

.

그러나 서양문학의 세례를 받은 유학파들은 문학에 담긴 내적 가치에 주목하고

,

인성의 자연스런 표현으로서의 문학관을 갖게 되었다

.

이들이 지향한 신문화운동의 목표가 전통적 사유구조와 문화기반에 대 한 철저한 비판이었던 만큼

,

문학은 더 이상 전통사상을 전달하는 도구가 되지 않아야 했다

.

그 대신 문학은 개인의 정감과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야 마땅했다

.

60)

55) 뺷魯迅全集뺸 第1卷, 274쪽. 56) 뺷魯迅全集뺸 第10卷, 231·251쪽.

57) 周作人, 「日本近三十年小說之發達」, 뺷中國新文學大系, 建設理論集뺸, 上海文藝出版社, 1936. 282쪽.

58) 徐志摩는 1918년 미국으로 건너가 듀크대학 역사학과에 입학하였고, 이듬해 콜롬비아대학 경제학과에 들어가서 석사학위를 공부하였다. 1920년 졸업 후 영국으로 건너가서 런던대학 경제학원에 입학해서 공부하고 이듬해 케임브리지대학으로 전학 하였으며 1922년 귀국하였다. 闻一多는 1922년 미국 시카고미술학원에 입학해서 공부한 후, 문학을 연구했으며, 1925년 5월에 귀국하였다. 梁实秋는 1915년 淸華學校에 입학하여 1923년 졸업 후 미국으로 유학하였다.

59) 李喜所 主編, 위의 책, 470쪽.

(13)

2. 신문학의 방법론

후스가 문학개량을 처음 선언한지 일 년 뒤인

1918

4

월 「건설적 문학혁명론」을 발표하고 신문학 건설 의 필요성을 전면 주장하였다

.

61) 그는 참 문학과 살아있는 문학이 생기면 거짓 문학과 죽은 문학은 자연히 소멸될 것이라면서

국어의 문학

,

문학의 국어

를 신문학 건설의 최종 목표로 내세우고 문학의 자료 수집

,

구조

,

묘사 등 여러 측면에서 신문학의 창작방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

.

그에 따르면 신문학작가들이 사회생 활을 폭넓게 하면서 실제 관찰과 개인 경험을 중시하고

,

서양문학의 방법론을 참고삼아 학습하도록 권장하 였다

.

이때 후스는 과거 문학개량을 위해 제시한 여덟 항목이 소극적이며 파괴적인 구상이었다고 자평하면서 네 가지의 긍정적 어투로 바꾸었다

.

첫째

,

할 말이 있을 때 말을 해라

.

이는

말에 내용이 없는 글을 쓰지 않는다

.”

조항의 변형이다

.

둘 째

,

하고자 하는 말을 하고

,

말하고 싶은 방식으로 써라

.

이는

2, 3, 4, 5, 6

조항들의 변형이다

.

셋째

,

자신의 말을 하고 남의 말을 하지 말라

.

이는

옛사람을 모방하지 않는다

.”

조항의 변형이다

.

넷째

,

자기 시대의 말을 사용하라

.

이는

속어

·

속자를 기피하지 않는다

.”

조항의 변형이다

.

후스는 중국의 이천년 역사 동안

,

진정으로 가치 있고 생명력 있는 문언의 문학이 없었던 이유가 이미 죽 은 언어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이라면서

죽은 문자는 결코 살아있는 문학을 낳을 수 없다

.”

라고 주장하였다

.

따라서 그는

만약 중국에 살아 있는 문학이 있기를 바란다면 반드시 백화를 사용해야 하고

,

반드시 국어를 사용해야 하며

,

반드시 국어의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

.”

라는 논리를 폈다

.

신문학 제창자들에게도 오늘날 중국 에 표준국어가 없는가를 묻지 말고 가능한 백화문학을 창작하려고 애써야 한다면서 뺷수호전뺸

·

뺷서유기뺸

·

뺷홍 루몽뺸

·

뺷유림외사뺸의 백화문을 골라 쓰도록 권유했다

.

그는 현재 신문학에서 사용되는 백화가 바로 미래 중 국의 표준 국어이며

,

미래의 백화문학을 만드는 사람이야말로 표준 국어를 제정하는 사람이라면서 그런 예로 이탈리아와 영국의 문자변화를 들었다

.

후스는 뛰어난 신문학 방법을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

서둘러 서양문학의 명저들을 많이 번역하여 우리의 모범으로 삼는 것

이라고 주장하였다

.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첫째

,

중국문학의 방법이 완비 되어 있지 않아 우리가 모범으로 삼기에 부족하다

.”

는 자책론과

둘째

,

서양문학의 방법은 중국문학에 비해 실제로 많이 완비되어 있고 더 훌륭하여 본보기로 삼지 않을 수 없다

.”

는 현실론을 들었다

.

62)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이제까지 중국에서 번역된 서양문학은 대부분 적절하지 못해 효과가 아주 적다면서 서양명저의 번 역 방법을 다시 제시하였다

.

그것은

첫째

,

저명한 대가의 저작만을 번역하고 이류 이하는 번역하지 않는다

.

둘째

,

모두 백화만을 사용한다

.

운문으로 된 희곡도 백화산문으로 번역한다

.”

라는 것이었다

.

63) 곧 신문학 건 60) 김창규, 위의 글, 207쪽.

61) 胡適, 「建設的文學革命論」, 뺷新靑年뺸 4: 4, 1918. 4. 15; 뺷新靑年뺸, 253~277쪽. 62) 뺷新靑年뺸, 274쪽.

(14)

설의 우선순위로 서양문학의 명저를 백화로 번역하여 중국인에게 많이 읽히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하 였다

.

이렇듯 「건설적 문학혁명론」은 신문학 건설의 방법을 총괄한 것으로 중국뿐 아니라 조선까지 소개되 어 큰 영향을 주었다

.

64)

문학개혁의 순서와 관련하여 후스는 이론상 소학교로부터 착수해야겠지만 실제로는 최고 학부에서 시작해 야 한다는 성자오슝의 의견에 대해 대학개혁은 당장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

몇 사람이 강압적 수단으로 규 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면서 오로지 백화문학을 적극 제창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

그는 먼저 가치 있는 국어문학을 만들고 신문학을 굳게 믿는 국민심리를 키운 후에야 개혁을 확산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보았다

.

만 약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진행해야 한다면 초급단계부터 시작해야 하며

,

그 방법은 소학

·

중학의 교과서를 모 두 국어로 편찬하는 것이었다

.

국어교과서의 편찬은 기존 교과서를 국어로 옮기는 것만이 아니라 교과자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

따라서 소학 교재의 재료는 마땅히 소설 가운데 많이 선택해야 하는 데 아직까지 신문학이 발달하지 못했고 국어교과서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 중

·

소학 학생들에게 백화소 설을 읽도록 격려하는 것만이 유효한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

65)

당시 미국 유학중이던 朱經農은 후스의 「건설적 문학혁명론」에 대해 이전의

八不主義

4

개 조항의 문장 규칙보다 훨씬 치밀하고 완비되어 있다면서 문자혁명의 방법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다

.

그는 백화로 글을 쓰자는 주장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지만

문학적인 국어

는 문언과 백화를 함께 선택해야지 어느 하나를 일방적으로 폐지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

즉 문학적인 국어란 백화도 아니고 문언도 아니라면서

반드시 문언 의 정수를 흡수하고 백화의 찌꺼기를 버려 雅俗을 모두 겸비한 살아있는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

.”

는 논리였 다

.

이에 대해 후스는 매우 모호한 말이라면서 자신이 언급한 문학적인 국어란

, “

오늘날 중국의 비교적 가장 평범한 백화로

,

이러한 국어의 어법

·

문법은 전부 백화의 어법

·

문법을 사용하고

,

언제 어디서나 문언 가운 데 두 음 이상의 글자를 써도 무방하다

고 답변했다

.

또한 그는

백화시에 마땅히 몇 가지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

라는 주징눙의 주장에 대해서도 반대의 뜻을 명확히 밝혔다

.

왜냐하면 신문학에서 백화시를 짓는 기본 취지는

詩體의 해방

을 위한 것으로

, “

어떤 소재가 있으면 그대로 시를 쓰고

,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마음대 로 말하여

,

이전에 정신적 자유를 속박하던 시의 모든 족쇄와 수갑을 벗어던지는 것

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

시의 규칙

을 강력히 반대하였다

.

66)

주징눙과 함께 미국유학 중이던 任鴻雋도 후스와 첸쉬안퉁에게 문학혁명에 관한 질의서를 보냈다

.

67) 그는 문학개량이 실효를 거두려면 반드시 몇 가지 문학작품을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야 하는데 문학창작은 단

63) 뺷新靑年뺸, 276~277쪽.

64) 이 글은 베이징대 한인유학생인 이윤재가 전체 번역하여 1923년 4월 뺷동명뺸 지면에 소개했다. 이윤재는 문학혁명에 대해 중국인들이 “이천년 迷夢을 깨뜨리고 精銳한 步武로 모두 그 혁명의 깃발 아래 몰려들었다.”라고 평가하고 “陳腐舊敗의 死 文學을 숭상하는 우리 조선 사람에게 가장 심각한 자극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윤재, 「胡適氏의 建設的 文學革命論」, 뺷東明뺸 2: 16, 1923, 10쪽.

65) 盛兆熊·胡適, 「通信:論文學改革之進行程序」, 뺷新靑年뺸 4: 5, 1918. 5. 15; 뺷新靑年뺸 301~309쪽.

66) 朱經農·胡適·任鴻雋·錢玄同, 「通信:新文學問題之討論」 뺷新靑年뺸 5: 2, 1918. 8. 15; 뺷新靑年뺸, 327~338쪽. 67) 任鴻雋은 미국유학 중 秉志·周仁·趙元任 등과 함께 1914년 뺷科學뺸이란 잡지를 발간하였고, 이 잡지를 중심으로 1915년

중국과학사가 발족되었다.

(15)

기간에 할 수 없으므로 당연히 서양문학 작품의 번역을 첫걸음으로 삼아야한다고 했다

.

그런데 중국유학생들 이 학업을 핑계로 번역에 참여하길 원하지 않는다고 한탄했다

.

또한 그는 후스의 「건설적 문학혁명론」을 적 극 찬성하지만 문학개량과정에서

도구에 의해 이용당하지 않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는 것과

자 연스러움도 연구해야 한다

.”

는 두 가지를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

전자에 대해서 후스는 문언이 결코 적당한 도구가 될 수 없고

,

백화란 도구에 의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용하려는 것이라고 답했다

.

자연스러움에 대해서는 이전 시대로부터 이후 시대의 자연스러움으로 변한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

68) 이처럼 후스의 신문학 방법론은 전통적인 구문학의 언어표현

,

전개방식

,

형식

·

내용 등과 완전 단절하고 서양문학을 표본삼아 백화문으로 창작하는 것이 기본이었다

.

미국유학생 朱我農도 문학혁신 및 문자개량과 관련하여 백화 문법서의 중요성

,

로마자모의 중국어 병음표 기 가능성

,

뺷신청년뺸의 가로쓰기 사용 등을 제안했고

,

후스가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밝혔다

.

69) 주워농은 자신 의 유학경험을 통해

문언만을 사용하고 백화를 배척하자는 주장이나 백화만 사용하고 문언을 없애자는 주장 은 모두 편파적인 견해

라면서 절충안을 제시하였다

.

그는 지나치게 빠른 문학개량의 진행속도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 1918

4

6

호에 실린 「신문학 및 중국 구극」에서 張厚載는 문학개량 이후 중국문단에 나타난 이점으로 사상을 가로막는 폐해가 없고

,

문학에 대한 생각과 진정한 관념을 갖도록 해주며

,

언문일치 의 좋은 기회 등 세 가지를 들면서 문자개량을 적극 찬성하였다

.

다만 그는 문학개량을 자연의 진화로 생각 하여 모든 시문은 반드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아울러 백화를 중시 하지만 후스의 뺷嘗試集뺸처럼 백화문의 실험적 창작이 너무 가볍게 이루어지는데 의구심을 표시하였다

.

그는 모든 사물의 개혁이 반드시 점진적이어야지 너무 빨라서는 안 된다면서

,

개혁이 지나치게 과격하면 오히려 사회의 믿음을 잃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

이에 대해 후스는 뺷嘗試集뺸의 창작은 백화로 시를 지을 수 있는지

,

백화를 시에 넣으면 어떤 효과가 있을지를 시험해보고 싶었던 것이라면서

가볍게 시도하는 것

을 당연한 실 험으로 여겼다

.

70)

이 시기에 저우쭤런도 신문학의 방법에 대해 서양의 인도주의문학을 모범으로 제시하고

지금 절실한 방 법을 찾는다면

,

그것은 외국 저작을 번역하고 연구할 것을 제창하는 일

이라고 주장하였다

.

그는 「인간의 문 학」

,

「사상혁명」

,

「평민문학」

,

「신문학의 요구」 등을 잇달아 발표하고 문학혁명에 사상혁명과 문자개혁을 포 함하면서 전자를 더 중시했다

.

그가 말한 인도주의 중심의

인간의 문학

은 문학혁명에서 중요한 이론구호가 되었다

.

여기서 인도주의란 흔히 말하는

세상을 비탄하고 백성을 불쌍히 여기는 것

이나

널리 베풀어 중생 을 구제하는 것

과 같은 자선주의가 아니라

개인주의적인 인간본위주의

였다

.

따라서 저우쭤런이 말한 인도 주의는

개인

으로부터 시작되었고

,

이를 근본삼아 인생의 제반문제를 기록

,

연구하는

인간의 문학

이었다

.

71) 또한 저우쭤런은 평민문학의 건설을 주장하면서

보편적 문체로 보편적 사상과 사실을 쓴다

.”, “

영웅호걸의 68) 朱經農·胡適·任鴻雋·錢玄同, 위의 글, 뺷新靑年뺸, 338~344쪽.

69) 朱我農·胡適, 「通信:革新文學及改良文字」, 뺷新靑年뺸 5: 2, 1918. 8. 15; 뺷新靑年뺸, 355~366쪽.

70) 張厚載·胡適·錢玄同·劉半農·陳獨秀, 「通信:新文學及中國舊劇」, 뺷新靑年뺸 4: 6, 1918. 6. 15; 뺷新靑年뺸, 311~326쪽. 71) 周作人, 「人的文學」, 뺷新靑年뺸 5: 6; 뺷新靑年뺸, 462~465쪽. 저우쭤런은 1906년 일본 유학을 떠나 신해혁명 후 귀국하여

베이징대 교수로 활동했다.

(16)

업적이나 才子佳人의 행복을 쓰지 않고 세상에 보통 남녀의 슬픔과 기쁨 그리고 실패를 기록해야 한다

.”

라고 제안하였다

.

이러한 주장은 중국문학의 관념을 봉건전통의 속박에서 해방시켰으며

,

문학내용을 혁신하는데 기여하였다

.

72)

해외유학파에 의해 주도된 문학혁명은 林紓를 비롯한 일부 지식인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쳤다

.

여기에 맞 선 천두슈

·

리다자오

·

루쉰

·

차이위안페이 등이 반박 논리를 펴며 문학혁명을 가속시켰다

.

특히 후스는

역 사적 문학관념

을 강조했는데 시대에 따라 알맞은 문학이 있음으로 시대마다 역사적으로 계승발전이 필요하 지만 완전 모방은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

그 이유는 완전 모방한 것을 진정한 문학이라고 볼 수 없었기 때문 이다

.

따라서 그는

현재의 사람들은 현재 사람들의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

.”

면서 백화문의 통속문학을 억압 하여 고대 문언으로 대체하려던

진정한 고문가

들을 공격하였다

.

73)

후스의 「문학개량추이」와 「건설적 문학혁명론」으로 불붙은 문학혁명론은 그것의 찬반뿐 아니라 진행방법 과 속도

,

내용 등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

이들은 대체로 신문학의 필요성에 대해 지지의사를 보였지만 급격한 변화와 문언의 폐기에 대한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

그러나 후스는 서양문학을 모델로 백화 문을 사용해야 한다는 신문학 방법론과 신속하고 광범위한 문학개혁에 단호한 입장이었고

,

뺷신청년뺸을 중심 으로 해외유학파에 의해 적극 추진되었다

.

Ⅳ. 신문학의 확산

신문화운동시기 해외유학출신들은 문학혁명을 이끌면서 신문학의 이론 정립과 창작 활동을 병행하였다

.

그들은 서양문학이론을 근거로 중국의 구문학을 비판했고

,

서양명저의 번역을 통해 신문학을 모방

,

참조하였 다

.

그 결과

20

세기 초반 중국문학에 질적 변화가 나타나 시가

·

소설

·

산문 등이 새로운 발전단계로 진입했 고 서양문학의 사상과 양식이 빠르게 도입되었다

.

중국에서 신문학 성격을 띤 본격적인 창작활동은 시 분야로부터 시작되었다

.

해외유학출신인 후스

·

궈머 뤄

·

위다푸

·

청팡우

·

冯乃超 등이 新詩의 번역과 창작을 주도했고

,

문학단체의 조직과 운영에 적극 참여하 였다

.

그 대표적 인물인 후스는 서양의 현대 詩論을 토대로 중국시가의 발전 및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

그 는 자신의 생각을 직접 실천에 옮기기 위해 백화시 여덟 편을

1917

2

월 뺷신청년뺸에 발표하였다

.

74) 이후 그는 새로운 시를 계속 창작하여 「嘗試集」이란 제목으로 뺷신청년뺸에 발표하였다

.

여기서 그는

문학이란 사 회생활의 표시로 인생을 위해 작성하는 것이고 어떤 성과도 내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구하고 세상을 구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

이라고 주장하였다

.

75) 그는 詩作 태도에 대해

사실주의 형식으로 인생을 위한 목 72) 巴平 主編, 뺷中國散文鑒賞文庫뺸 現代卷, 百花文藝出版社, 1990, 84쪽.

73) 胡適, 「歷史的文學觀念論」, 뺷新靑年뺸 3: 3, 1917. 5. 1; 뺷新靑年뺸, 167~171쪽. 74) 胡適, 「白話詩八首」, 뺷新靑年뺸 2: 6, 1917. 2.

75) 胡適, 「答覺僧君」, 뺷新靑年뺸 5: 3, 1918. 9.

참조

관련 문서

문을 여닫을 때, 떨어져 다칠 수 있으며 화재, 감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지시사항을 위반하면 사망이나 중상 등의

현재 Display(표시창)의 상태를 알고 싶으시면 아무 버튼이나 누르시면 됩니다.... 풀림상태에서 버튼동작이 60초 이상 없으면

□ EAEU 회원국의 농업 생산은 식량작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요 작물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동해안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최근 많은 관심이 주어지고 있는 LED는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의 약어로, 전기 발광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의 획기 적 발전으로 이제는

지금까지 GVC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제조업 경제에서 주요 무역 대상국이 차지하는 위상을 파악하였다. 더욱 정밀한 GVC 네트워크 분석을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경험을 통해 STEAM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의미 를 느낄 수 있었고,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경험을 통해 STEAM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의미 를 느낄 수 있었고,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