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주 용천수의 변화와 제주인의 삶의 변화를 탐구한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주 용천수의 변화와 제주인의 삶의 변화를 탐구한다"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개요

□ 연구목적 ○ 연구 동기

제주 용천수(湧泉水)는 1980년대 이전까지 식수원으로서 뿐만 아 니라 생활 및 농업용수로 이용되어 제주도민의 생활의 근거가 되었 으나, 상하수도 보급 후 제주도의 물이용 문화가 용천수에서 상수 도로 바뀌면서 용천수의 관심도 하락, 각종 개발 사업으로 인해 용 천수의 매립 및 훼손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개발에 따른 용천수 주변 환경이 변화 함에 따라 나타난 용천수의 수질 변화 등을 연구하고, 용천수의 중 요성을 홍보하며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연구의 필요성

- 제주 용천수의 분포와 개발에 따른 수질 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용천수의 중요성을 홍보할 필요가 있음.

- 제주 용천수의 보전에 있어 기초자료 확보와 가이드라인 제시 ○ 연구목적

- 제주 용천수의 수질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구한다.

- 제주 용천수에 의해 형성된 하천 주변의 생태 환경을 탐구한다.

- 제주 용천수의 변화와 제주인의 삶의 변화를 탐구한다.

- 제주 용천수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구한다.

- 학교에 보급된 MBL 기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 지역 특성 및 학교 여건

- 본교는 제주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및 과학 중점학교로써 다양한 탐구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였음.

- R&E 프로그램이 과학고와 영재고 위주로 운영되어 인문고가 그 동안 소외되었는데, 과학중점고가 포함되어 R&E 활동을 통 한 다양한 탐구 활동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됨.

(2)

□ 연구 범위

○ 연구 분야 및 범위

- 용천수가 용출되는 지점에 대한 지질학적인 조사

- 용천수의 수질 측정 : 공인 기관(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센터), MBL(Vernier 제품) 이온 선택성 센서, 두 값을 비교 연구

- 용천수의 수질 변화 : 조사 지역에서 올해 측정된 값과 1999년 조사 시 측정된 값을 비교 분석

- 용천수의 변천에 따른 제주인의 삶의 변화를 조사하고 용천수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는 홍보 리플렛을 제작하여 배포

○ 탐구계획의 수립 및 추진일정

일 정 수행내용

추 진 일 정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탐구계획 확정 및 선행연구 조사

제주 용천수의 분포와 용출량에 대한 선행 연구 조사

제주 용천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제주 용천수에 대한 현장 답사 및 채수 수질 측정, 동, 식물 생태 환경 조사 제주 용천수에 대한 현장 답사 및 채수 수질 측정, 동, 식물 생태 환경 조사 제주 용천수에 대한 현장 답사 및 채수 수질 측정, 동, 식물 생태 환경 조사

연구 조사된 자료 분석 및 결과 보고서 작

○ 팀원별 역할 분담

제주 용천수(湧泉水)의 수질변화와 생태환경 및 제주인의 삶 교사 이은주

교사 이은주 수자원본부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교사 이재선

학생 이영지 자료 협조 및 자문

이학박사 김태정 고현지

학생 고규예 이현희

학생 고지수 리플렛 디자인

구상 탐구 실행 및 자료

정리

(3)

2. 연구 수행 내용

□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용천수(湧泉水)의 개요

- 용천수(湧泉水)란 대수층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가 암석이나 지 층의 틈을 통해 지표면으로 자연스럽게 솟아나는 지점을 용천 (spring, 涌泉)이라 하고, 이 물을 용천수라 한다.

○ 제주 용천수(湧泉水)와 제주인의 삶

- 해발 200m 이하에 분포하는 해안 지역에 용천수가 가장 많으 며, 이것이 오늘날 제주도의 마을이 해안 지역을 따라 환상(環 狀)의 형태로 만들어낸 원동력이 되었다.

- 제주 용천수는 제주도에 상수도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던 1980년대 이전까지 식수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생활 및 농업용 수로 이용되어 제주도민의 생활의 근거가 되었다.

○ 제주 용천수(湧泉水)의 보존의 필요성

- 상하수도 보급 후 제주도의 물 이용문화가 용천수에서 상수도로 바뀌면서 용천수의 관심도 하락, 도시화, 도로와 지하수의 개발 등으로 용출량이 감소하고 용천수의 수가 날로 감소하고 있음.

○ 제주도 용천수의 선행연구 조사

- 1937년 일본중앙공업시험소에 의해 처음으로 용천수 및 정호 63개소에 대한 근대적인 수질조사가 실시되었다.

- 1960년대 이후 1998년까지 국립지질조사소(현 한국자원연구 소), 건설부, (주)한국지하자원조사소 등에 의해 용천수와 지하 수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연구가 실시되었다.

- 제주도에서는 1998년 2월~1999년 12월까지 제주도에 분포하 는 용천수에 대한 전수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 총 911개의 용천수 중 638개소는 보존상태가 양호하지만 274개소는 수량 부족하며 제대로 보존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

(4)

□ 연구주제의 선정

○ 학생들의 연구주제 선정 과정

- 학생들에게 STEAM R&E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 도록 하여 주제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 각 주제에 대한 학생들과 지도교사와의 토론 결과

· DSLR과 천체망원경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 망원경에 광센서를 장착하여 별빛을 음악으로 만들자는 아이디어는 좋으나 실현 가능 성이 낮다고 판단됨.

· 제주 용천수와 제주인의 삶과의 관계 : 제주 용천수가 제주인의 생명수와 같은 역할을 했으므로 과학적인 측면 뿐 만 아니라 인문, 사회학적인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함.

· 제주도의 화산 지형과 제주인의 삶의 변화 : 제주도의 독특한 화산 지형이 제주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사회, 문화적인 관점에 서 연구할 수 있는 주제임. 그러나 연구의 범위가 너무 광범위함.

○ 외부전문가 자문

- 1980년대 이전까지 제주의 생명수와 같았던 용천수가 최근 각종 개발로 오염되어 사라져가고 있어 이번 연구와 1999년의 연구 결과 를 비교해 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조언함.

- 용천수 복원 가이드라인 제정 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

- 더불어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제주의 소중한 자원인 용천수의 중요 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조언함.

○ 연구 주제의 선정 : ‘제주 용천수(湧泉水)의 수질변화와 생태환 경 및 제주인의 삶’으로 연구주제를 최종 선정함.

□ 연구 방법

○ 연구대상 용천수 선정

- 외부자문가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역과 환경 조건에 따 른 용천수의 수질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제주 지역을 동, 서, 남, 북 4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조사대상 용천수를 선정하기로 결정함.

(5)

- 조사대상 용천수는 2005년 제주발전연구원에서 펴낸 ‘제주의 명수 이용과 보전방안(II)’에서 제시된 보전대상 용천수 중 9곳 을 선정하기로 함.

○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용천수 9곳

- 북부 2곳 : 제주시 용담동 엉물, 삼양동 큰물

- 서부 3곳 : 한림읍 문두물, 대정읍 할망물, 예지물 - 남부 1곳 : 서귀포시 서홍동 지장샘

- 동부 3곳 : 조천읍 동아치물, 성산읍 탕탕물, 족지물 ○ 연구 대상 지역 9곳의 위치

[그림 1 ] 조사 대상 지역

○ 연구 대상 용천수에 대한 지질학적 용출 조건 탐구

- 용천수가 용출되는 대부분의 지점에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어 용 천수가 용출되는 원형을 관찰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용천수의 지질학적 용출형태의 분류는 선행연구에 의존함.

○ 연구 대상 용천수에 대한 수질 변화 측정

- 선정된 9곳의 용천수를 약 1개월 간격을 두고 3차례에 걸쳐 채 수하여 수질 검사를 실시한 후 과거의 자료와 비교 분석.

○ 공인전문기관 수질검사 의뢰 :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6)

- 측정항목(13항목) : Na, K, Mg , NH, Ca , NO, Cl, SO , CO , 대장균군수, 전기전도도, pH, 탁도

○ 현장답사 측정항목(3항목) : MBL 센서(이하 Vernier사) - 측정항목 : 수온, pH, 전기전도도 측정

○ MBL 이온선택성 센서를 활용한 수질 측정(7항목) : 생산된 센 서 종류의 한계로 7가지 항목만 측정함.

- 측정항목 : Ca , NH, NO,Cl,전기전도도, pH, 탁도

○ 공인기관에서 측정된 값과 MBL 이온 선택성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된 값을 비교

- 학교에 보급되고 있는 MBL 이온 선택성 센서가 수질조사에 활 용될 수 있는지 신뢰도를 조사함.

○ 현장답사를 통해 용천수가 용출되는 주변 환경의 생태 환경 조사 ○ 용천수와 제주인의 삶과의 관계 조사 : 인터뷰 및 자료조사 ○ 제주 용천수의 중요성을 홍보할 수 있는 리플렛 제작

-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리플렛을 제작하여 도내 중, 고등학교 의 21개 과학반에 우편 발송, 학교 학급 게시판 게시

○ 외부전문가의 자문 : 수질측정기관 선정(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 술혁신센터 의뢰) 자문, 수질검사 항목 자문, 용천수와 제주인의 삶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 자문(마을지, 인터뷰 등)

□ 연구 활동 및 과정

○ 가설설정

- 지질학적인 요인과 환경 변화가 용천수의 수질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각종 개발에 따라 용천수의 수질이 과거보다 악화되었을 것이다.

- MBL 센서를 활용하여 수질 조사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용천수의 활용도에 따라 주변의 취락 분포가 달라졌을 것이다.

- 용천수의 특성을 활용하여 용천수를 자원화 할 수 있을 것이다.

(7)

○ 실험설계

- 용천수의 지질학적 특성 : 현장조사 및 선행연구 조사

- 용천수의 수질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수질조사를 3회 실시 한 평균값과 과거의 자료와 비교 분석

- 용천수 주변의 생태 환경 조사 : 현장 조사

- 용천수의 변천 과정과 취락 구조의 변화 : 인터뷰 및 자료 조사 - 용천수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법 제시 : 선행연구 조사 및 제안

○ 실험과정

- 제주 용천수의 지질학적 특성 : 현장 조사를 실시해 본 결과 대 부분의 용천수에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어 정확한 용출지점을 확 인하기 어려워 자료조사를 실시함.

- 용천수의 수질 측정

․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9곳을 1개월 간격으로 3회 현장 답사하여 무균채수병을 사용하여 채수함.

․ 현장답사 시 조사 항목 : MBL 센서를 이용하여 수온, pH, 전기 전도도를 측정함.

․ 현장답사에 의해 채수된 물을 전문기관(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 혁신센터)에 의뢰하여 수질을 3회 측정한 후 그 평균값과 1999 년의 측정값을 비교 분석함.

․ 현장답사에 의해 채수된 물을 MBL 센서를 사용하여 수질을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전문기관의 값과 비교 분석한 후 학교 현 장에서 수질을 분석하는데 MBL 센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 조사 - 용천수 주변의 생태 환경 조사 : 용천수의 용출점 주변에 서식하

고 있는 동, 식물들의 종류를 조사

- 용천수의 변천 과정과 취락 구조의 변화 : 전화인터뷰, 인터넷 검색, 마을지 검색

- 용천수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법 제시 : 지금까지 연구된 용천 수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 새로운 방법을 제안함.

(8)

추진실적 외부전문가 자문 비고 5월 ․ 팀원별 역할 분담

․ 탐구 설계 및 탐구 계획 확정

․ 연구의 진행을 위해 월 2회(매 월 1, 3주 금요일 19시) 이상 과 학실에서 팀원 회의를 갖도록 함.

․ 연구대상지역 선정 : 9곳(엉물, 문두물, 할망물, 예지물, 지장샘, 큰물, 동아치물, 탕탕물, 족지물)

․ 지역에 따른 용천수의 수질 차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도 동, 서, 남, 북의 각 지역을 선정하 는 것이 좋다는 조언.

․ 수질검사의 신뢰도를 얻기 위해 서는 공인된 전문기관에 의뢰하 는 것이 좋다는 조언

교사2 자문1 학생5

6월 ․ 제주발전연구원의 연구 자료를 참조하기로 함.

- 제주도, 1999, 제주의 물, 용 천수, p.1~92. 외 5종

․ 선정된 조사 지역의 현장 답사 계획 수립 : 8월, 9월, 10월 각 1회씩 답사하여 채수함.

․ 과거의 수질측정 자료와 연구에 의해 측정된 자료를 비교 분석 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좋 을 것이라는 조언

- 제주도, 1999, 제주의 물, 용 천수, p.1~92. 외 5종을 소개해

교사2 자문1 학생5

7월 ․ 현장 답사 시 측정해야 될 항목 을 결정 : 수온, 전기전도도, pH

․ 현장 답사에 따른 측정 방법 교 육 : MBL 사용법 교육

․ 7월 28일 1차 답사 지역 5곳을 현장 답사하고 시료를 채수하여 수질 분석 의뢰함.

․ 현장 답사 시 반드시 측정해야 될 항목을 조언

․ 현장 답사 시 측정해야 될 항목 을 학생들에게 교육함.

․ 수질 분석 전문 기관인 제주대 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를 소개함.

교사2 자문1 학생5

8월 ․ 8월 11일 답사하지 못한 나머지 4곳에 대한 1차 현장 답사 후 채수 및 수질 분석 의뢰

․ MBL 장비를 활용한 수질 분석 에 필요한 내용을 교육함.

․ 8월 11일 현장 답사 시 동행하 여 반드시 조사해야 할 사항을 조언

․ 기타 마을 노인들의 인터뷰가 필요함을 조언

교사2 자문1 학생5

9월 ․ 9월 9일 2개 팀으로 나눠 2차 현장 답사 후 채수하여 수질 분 석 의뢰․

․ 1팀 : 이은주 외 학생 3명, 2팀

․ MBL 장비로 측정된 값의 신뢰 도가 낮으므로 전문기관의 값을 참고하여 보정해 사용해 볼 것 을 조언

교사2 자문1 학생5

○ 시행착오 및 극복

- MBL(Vernier 제품) 이온 선택성 센서는 전문기관의 수질검사 결과와 많은 차이가 발생하여 보정하여 사용하기로 하였으나 외 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본 결과 보정값도 신뢰할 수 없다는 결 론을 얻음.

- MBL 센서를 활용한 연구의 방향을 학교 현장에서 수질 검사 시 MBL센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기로 결정하 고, 수질검사는 공인된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기로 함.

○ 월별 연구 추진 실적

(9)

이재선 외 학생 2명 ․ 전문기관의 장비와 MBL 장비의 차이점을 학생들에게 교육함.

10월 ․ 10월 14일 3차 현장 답사 후 채수하여 수질 분석 의뢰

․ 9월 9일에 채수한 용천수를 MBL 장비를 이용하여 수질 분 석을 실시함.

․ 1, 2, 3차 수질 분석된 자료와 선행연구를 비교하여 자료의 분 석 방향을 조언

․ 용천수의 중요성에 대해 홍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리플렛 제작 을 조언

교사2 자문1 학생5

11월 ․ 전문기관에 의한 3회의 수질검 사 자료를 분석하여 용천수 홍 보용 리플렛 제작 및 발송

․ 보고서 작성

․ 수질검사 자료를 토대로 홍보용 리플렛에 어떤 자료를 넣을지 조언

․ 보고서의 작성 방향 조언

교사2 자문1 학생5

○ 연구비 사용 내역

예산계정 지출내역 단가 금액

기자재 및 시설비

MBL 센서 구입(GPS 센서) 1개 154,000

1,750,600 MBL 센서 구입(염화이온 센서) 1개 396,000

MBL 센서 구입(질산이온 센서) 1개 396,000 MBL 센서 구입(암모늄이온 센서) 1개 396,000 MBL 센서 구입(유속 센서) 1개 302,000 채수병 보관용 아이스박스 1개 33,000 MBL Lap Quest 단말기 야외용 배터리 49,600

선택성 센서 보관병 24,000

재료비 및 시료분 석비

무균채수병 구입(1L, 880*20) 17,600

2,144,600

용천수 수질분석(1) 389,000

무균채수병 구입(1L, 880*30) 26,400

용천수 수질분석(1) 311,200

용천수 수질분석(2) 700,200

용천수 수질분석(3) 700,200

인쇄비 및 발송비

용천수 홍보용 리플렛 제작비(컬러 양면

×300부) 800,000

817,640 용천수 홍보용 리플렛 우편발송비(200

부) 17,640

여비 야외 답사에 따른 차량 대여비 192,000

503,310

답사 여비 311,310

기술정보활동비

7월 간식비 및 회의비(15,000원×3회×8명) 287,790

1,283,850 8월 간식비 및 회의비(15,000원×3회×8명) 278,100

9월 간식비 및 회의비(15,000원×3회×8명) 197,760 10월 간식비 및 회의비(15,000원×3회×8명) 246,000 11월 간식비 및 회의비(15,000원×3회×8명) 274,200 연구수당

책임지도교사 수당(200,000원*7회) 1,400,000

3,100,000 공동지도교사 수당(100,000원*7회) 700,000

외부전문가 수당(100,000원*10회) 1,000,000

간접비 행정처리비용 400,000 400,000

합 계  10,000,000 10,000,000

(10)

3. 연구 결과 및 시사점

□ 연구 결과

○ 용천수 주변 환경 조사 결과

- 조사 대상 9곳 모두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어 용천수의 용출지 점을 직접 관찰할 수 없었음.

[그림 2 ] 엉물 [그림 3 ] 예지물 [그림 4 ] 지장샘

○ 용천수의 수질 측정 현장 답사(1차~3차)

- 2012년 7월 28일 : 엉물, 문두물, 할망물, 예지물, 지장샘(1차) - 2012년 8월 11일 : 큰물, 동아치물, 탕탕물, 족지물(1차)

- 2012년 9월 09일(2차)

․ 1팀(엉물, 문두물, 할망물, 예지물, 지장샘) ․ 2팀(큰물, 동아치물, 탕탕물, 족지물)

- 2012년 10월 14일(3차)

․ 1팀(엉물, 문두물, 할망물, 예지물, 지장샘) ․ 2팀(큰물, 동아치물, 탕탕물, 족지물)

[그림 5 ] 큰물 채수 [그림 6 ] 문두물 채수 [그림 7 ] 동아치물 채수

○ 용천수의 일반적 수질특성과 지질구조

- 연구대상 용천수의 표고, 지질구조, 수온, 전기전도도, 용도

(11)

용천수 위치 표고(m) 지질구조 수온(℃) 전기전도도(μs/cm) 1999년 2012년 1999년 2012년 용도

엉물 북부 0.6 용암류경계형 16.0 15.3 535 305 생활용 큰물 북부 1.2 용암류경계형 14.9 14.9 152.3 166 생활용

동아치물 북부 0 용암류경계형 14.8 14.9 568 334 생활용

문두물 서부 6.4 용암류경계형 16.0 15.3 237 309 생활용 할망물 서부 3.7 용암류경계형 14.5 15.4 615 218 생활용 예지물 서부 0.1 용암류경계형 14.0 14.5 687 283 미이용 지장샘 남부 97.7 용암류경계형 16.0 15.4 262 117 생활용 탕탕물 동부 4.3 용암류경계형 15.5 16.0 3290 3480 생활용 족지물 동부 1.2 용암류경계형 17.6 17.0 1618 4643 생활용

<표 1> 연구대상 용천수의 지질구조와 수질특성 및 용도 비교

13 14 15 16 17 18

1999년 2012년

[그림 8] 연구대상 용천수의 수온 비교

0 1200 2400 3600 4800 6000

1999년 2012년

[그림 9] 연구대상 용천수의 전기전도도 비교

․ 조사지역 용천수의 지질구조는 모두 ‘용암류경계형’으로 중력의 영향으로 지하로 흐르던 지하수가 지형의 변화로 지하수면이 지 표로 노출된 용암의 말단부 근처에서 용출되고 있었음.

․ 1999년과 2012년의 수온은 14℃~18℃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로 동부지역 용천수의 수온이 높았음.

․ 제주 지역 용천수의 평균 전기전도도는 152㎲/㎝를 나타내는데, 이는 용천수가 지질층에서 유동하는 시간이 짧아 지층내의 미 네랄을 녹여낼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사 지역의 용천수는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 해수 침투가 일어나 전기전도도가 평균보다 높았으며, 표고가 가장 높은 ‘지장샘’의 전기전도도가 가장 낮았음.

․ 전기전도도는 1999년과 2012년 모두 동부지역의 용천수에서 특 히 높았는데, 이는 동부지역이 지질학적으로 해수 침투가 많이

(12)

일어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더구나 ‘족지물’ 주변에서는 하수관거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이때 흘러나온 오염물질이 지하 로 침투되어 전기전도도의 값이 더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 조사지역의 용천수는 1999년에는 모두 생활용으로 이용되고 있 었으나, 2012년의 ‘예지물’은 생활용으로도 이용할 수 없는 상 태로 방치되고 있었다. 용천수 주변에는 쓰레기가 방치되어 있 었고, 용출량도 적어 거의 보전되고 있지 않았다.

[그림 10 ] 예지물의 현장 조사

[그림 11 ] 예지물의 쓰레기들

․ 연구대상 용천수의 pH : 제주지역 용천수의 pH 평균값은 6.3인 데, 조사지역 용천수의 평균값은 7.5였다. 이는 조사지역 용천수 의 대부분이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 해수침투가 일어나 평균값 보다 높은 값을 보인다고 생각되며, 해수 침투의 영향이 가장 적은 고지대에 있는 ‘지장샘(97.7m)’은 7.3으로 가장 낮았다.

용천수 pH 엉물 7.6 큰물 7.6 동아치물 7.7 문두물 7.5 할망물 7.3 예지물 7.4 지장샘 7.3 탕탕물 7.5 족지물 7.4

7 7.5

8

pH

7.6 7.6

7.7 7.5

7.3 7.4

7.3 7.5

7.4

[그림 12 ] 연구대상 용천수의 pH

○ 용천수의 성분별 분포 특성

- 자연수(용천수, 지하수)의 8가지 주요성분 수질 측정

․ 양이온 :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 마그네슘(Mg ) ․ 음이온 : 염소(Cl), 중탄산염(HCO), 황산(SO ), 탄산(CO )

(13)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5.51 12.99 9.56 21 16.4910.6941.94

421.15 585.43

[그림 13 ] 연구 대상 용천수의 Na농도

0 10 20 30 40

3 3.06 5.06 4.4 3.68 4.33 4.04

24.1 32.85

[그림 14 ] 연구 대상 용천수의 K농도

- 연구 대상 용천수의 주요성분 8가지 수질 측정 결과

시료이름 Na

(mg/L) K

(mg/L) Ca 

(mg/L) Mg 

(mg/L) Cl (mg/L)

HCO (mg/L)

SO  (mg/L)

CO  (mg/L) 지장샘 5.51 3.00 5.95 3.19 8.0 41.9 2.7 불검출 큰물 12.99 3.06 5.93 6.86 12.3 64.7 5.7 불검출 할망물 9.56 5.06 10.12 7.21 15.3 57.4 10.3 불검출 예지물 21.00 4.40 7.17 7.71 40.0 54.9 11.3 불검출 엉물 16.49 3.68 11.66 9.80 29.3 80.2 12.3 불검출 문두물 10.69 4.33 11.27 13.16 19.0 67.0 12.7 불검출 동아치물 41.94 4.04 3.05 4.58 55.7 56.6 13.0 불검출 탕탕물 421.15 24.10 23.98 61.03 935.3 67.9 126.3 불검출 족지물 585.43 32.85 30.13 85.77 1378.7 69.1 180.3 불검출

- 나트륨(Na) : 자연수 중의 나 트륨은 암석의 변질 또는 풍화 작용으로부터 유래되지만, 제주 도와 같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 역은 해수의 영향에 의해 농도 가 높을 수 있다. 조사지역의 동부지역인 ‘족지물’과 ‘탕탕물’

의 나트륨 이온 농도가 가장 높았는데, 제주도 동부지역은 용천 수와 지하수가 해수 침투 영향을 많이 받을 뿐 만 아니라, 주변 지역의 하수관거 공사로 인해 오염물질이 지하로 침투되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 칼륨(K) : 칼륨이온도 나트륨 이온처럼 암석의 풍화작용으로 부터 유래되지만, 생활하수 등 각종 오, 폐수나 농업용 비료로 부터도 유입될 수 있다. 일반적 인 제주도 지하수의 칼륨이온 함량은 평균 4.39±1.58mgL로,

(14)

0 5 10 15 20 25 30 35

5.95 5.9310.12

7.1711.6611.27 3.05

23.98 30.13

[그림 15 ] 연구 대상 용천수의 Ca 농도

0 20 40 60 80 100

3.19 6.86 7.21 7.71 9.8 13.16 4.58

61.03 85.77

[그림 16 ] 연구 대상 용천수의 Mg 농도

조사지역 용천수는 대부분 제주도 지하수의 평균 농도에 가까 웠으나 동부 지역의 ‘탕탕물’과 ‘족지물’은 그 농도가 매우 높았 다. 역시 오, 폐수나 농업용 비료의 성분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 로 생각된다.

- 칼슘(Ca ) : 일반적으로 지하수 중에 용존되어 있는 칼슘이온의 농도는 100mgL 이하이다. 조 사지역의 대부분의 용천수들은 모두 100mgL이하의 값을 보여 주었으나 동부지역의 ‘탕탕물’과

‘족지물’은 다른 지역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것 역시 용천수 주변 또는 상류 지역에 위 치한 오염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표고가 높고 잘 보전되고 있는 지장샘은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 마그네슘(Mg ) : 제주도는 알 칼리계열의 현무암과 조면암으 로 구성되어 있어 용천수에 마 그네슘이 용존 될 수 있는 좋 은 조건을 지니고 있다. 제주도 지하수의 마그네슘의 평균 함 량은 6.28±4.15mgL로 연구

대상 용천수의 대부분에서 제주도 지하수의 평균값을 보여주 었다. 그러나 동부지역의 ‘탕탕물’과 ‘족지물’은 특히, 높은 값 을 보여 여러 가지 오, 폐수가 지하로 침투되고 있음을 보여주 었다. 또한 남부지역에 위치한 ‘지장샘’은 마그네슘 이온의 농 도가 특히 낮아 지하수의 순환 속도가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 다 빠르다는 1999년의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15)

0 500 1000 1500 2000

8 12.3 15.3 40 29.3 19 55.7

935.3 1378.7

[그림 17 ] 연구 대상 용천수의 Cl농도

0 20 40 60 80 100

41.9

64.757.4 54.9 80.2

67 56.667.9 69.1

[그림 18 ] 연구 대상 용천수의 HCO농도

0 62.5

125 187.5

250

2.7 5.7 10.3 11.3 12.3 12.7 13

126.3 180.3

[그림 19 ] 연구 대상 용천수의 SO 농도

- 염소(Cl) : 1999년 조사에 의하 면 제주 지역 용천수의 염화이온 의 평균 함량은 동부지역이 가장 높고 남부지역이 최저치를 보였 다. 이번 조사지역에서도 해수 침투가 많이 되고 있는 동부지역 의 염화이온 농도가 특히 높았으

며, 가장 표고가 높은 ‘지장샘’의 농도가 가장 낮았다. 이것은 고 지대로 갈수록 염화이온의 농도가 낮아지는 결과와 잘 일치한다.

- 중탄산염(HCO), 탄산염(CO ) : 중탄산염과 탄산염은 지하수에 녹은 이산화탄소에 의해 형성된 다. 물의 알칼리성은 중탄산염에 의한 것이며 강한 산성을 띠는 물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연수에는 10~800mgL 사이

의 중탄산염과 탄산염을 포함하고 있다. 조사지역 용천수의 중 탄산염도 자연수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며, 탄산염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 황산(SO ) : 자연수에 용존되어 있는 농도는 대체로 300mgL 이하이며, 조사지역 용천수도 모 두 300mgL이하 였다. 황산이 온의 농도가 250mgL 정도이면 공업용수로 이용하기가 곤란하다 고 하는데, 동부지역의 ‘탕탕물’

과 ‘족지물’도 농도는 그 이하였다.

(16)

0 2 4 6 8 10 12

3.8 3.1

5.2 4.2 4 10.9

3.1 9.1

7.3

[그림 20 ] 연구 대상 용천수의 NO농도

시료이름 총용존고형물

(mg/L) 대장균군수 (MPN/100mL)

지장샘 46.7 860

큰물 66.7 575

할망물 83.3 >16000 예지물 110.0 297

엉물 113.3 5613 문두물 116.7 670

동아치물 101.3 77

탕탕물 1626.7 88 족지물 2283.3 >16000

<표 8> 연구 대상 용천수의 총용존고형물 (TDS)과 대장균군수

- 질산성질소(NO) : 일반적으로 질산성질소는 화학비료, 축산시 설의 분뇨 및 폐수, 생활하수, 부 패된 음식물 등으로부터 생겨나 는 유기성 질소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오염원으로부 터 발생한 유기질소는 대체로

NH→NO로 변환된다. 따라서 지하수나 용천수중의 질산성질 소의 농도는 오염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어 오염원에서 떨어진 하류 쪽에서 높은 함량치를 나타낸다.

조사지역 용천수 중 ‘문두물’에서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는데, 마을 주민들에 의하면 주변에 하수관이 설치되 어 있는데 관에 균열이 생겨 오염물질이 침투되어 먹을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용천수 주변의 어느 곳에서 오염물질이 침투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있 을 것이라고 생각된 ‘탕탕물’과 ‘족지물’에서도 다른 지역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 용천수의 음용수 가능성에 대한 조사 - 총용존고형물(TDS) : 용존고형물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물은 그 목적 에 따라 사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고형물이 500mgL 이 하이면 식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1,000 mgL 이상이면 가정 용수로 적합 하지 않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볼 때 ‘탕탕

(17)

0 6.25 12.5 18.75

25

전문 MBL

[그림 21 ] NO의 측정값 비교

물’과 ‘족지물’은 총용존고형물의 함량이 1000mgL 이상을 보여 가정용수로 적합하지 않았고, 오염물질이 많이 침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잘 보존되고 있는 제주시 삼양동의 ‘큰물’과 서귀포시 서홍동의 ‘지장샘’은 총용존고형물의 함량이 매우 낮아 상대적으로 매우 깨끗함을 알 수 있었다.

- 대장균군수 : 연구 대상의 모든 용천수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음용 수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과거에 제주인의 생명수인 식수로 사용되 었던 용천수가 이번 조사에서 모두 음용수로써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 가 나왔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용천수의 관리와 보전의 필요성을 더욱 느끼게 되었다.

○ 수질검사에 있어 MBL 센서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논의 - 이온선택성 센서(NO, NH, Ca , Cl)의 활용 가능성 : 전문 기관에서 측정한 값과 MBL 이온 선택성 센서로 측정한 값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인 변화

경향은 일치하였다. 따라서 MBL 이온선택성 센서를 이용하 여 각 시료간의 상대적인 비교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 히, 염화이온의 경우 전문기관에 서 측정된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0 10 20 30 40

전문 MBL

[그림 22 ] Ca 의 측정값 비교

0 500 1000 1500 2000

전문 MBL

[그림 23 ] Cl의 측정값 비교

(18)

0 2000 4000 6000

전문 MBL

[그림 24 ] 전기전도도의 측정값 비교

- 전기전도도, pH, 총용존고형물 비교 : pH는 전문기관의 값과 거의 유사함을 보였으나, 전기전

도도와 총용존고형물은 각각 1000μs/cm, 1000NTU 이상의 값에서 많은 차이를 보여주어 실제 사용시에는 높은 값을 측 정하고자 할 때 보정 기준을 변 경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었다.

7 8

전문 MBL

[그림 25 ] pH의 측정값 비교

0 1000 2000 3000

전문 MBL

[그림 26 ] 총용존고형물(TDS)의 측정값 비교

○ 용천수 주변의 생태 환경 조사 결과 - 동물 : 물고기(망둑), 갯강구, 게

[그림 27 ] 망둑(족지물, 탕탕물)

[그림 28 ] 갯강구(엉물, 예지물, 큰물)

[

그림 29 ] 바위게(엉물, 예지물, 큰물, 족지물)

- 식물 : 이끼, 파래 등

[그림 30 ] 이끼(문두물)

[그림 31 ] 파래(동아치물)

[그림 32 ] 수중이끼(족지물)

(19)

○ 용천수의 변천 과정과 취락 구조의 변화 조사 결과

- 문두물 : 동명리 일대 10만평에 달하는 지역이 동명답이라 하 여 논농사의 중심이었으며 특히 진근동 일대에서 나는 쌀은 윤 기가 나고 맛이 좋아 한림 오일장에서 그 인기가 최고였다고 한다. 1970년대 후반까지 이 지역 농가소득의 구심점 역할을 했었지만 지금은 논이 없다.

- 동아치물 : 밀물이 되어도 짠물이 단물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두 개의 원형 물통의 높이가 다르게 되어있었다. 이는 식수로 사용 하고 나서 넘치는 물로 허드렛물로 사용하려는 지혜로 보인다.

지금은 식수로는 사용할 수 없고 생활용수나 목욕하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 엉물 : 엉물이 지금과 같이 반듯하게 울타리가 둘러지고, 시멘 트로 물 솟는 것을 사각으로 에워싸서 보호하게 된 것은 1930 년 웃통물이 생기면서이다. 현재는 생활용수로만 사용되고 있었 으며 주변에는 쓰레기가 방치되고 있었다.

- 예지물 : 예지물은 과거 윗칸이 식수로 사용될 정도로 보전상태 가 양호하였으나, 현재는 용출량도 적고 보전되지 않아 쓰레기 가 방치되어 있는 등 보전대책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 족지물 : 과거 주변 마을의 식수로 사용되었으나 주변에 보를 쌓으면서 차츰 변질되었고, 현재는 생활용수로 사용되고 있었 다. 더구나 물에 짠기가 있어서 음료수로는 부적당했다.

- 지장샘 : 서홍동은 천혜의 용천수인 ‘지장샘’이 있어서 일찍이 취락이 이루어져 지방의 중심 마을로 발전되어 왔다. 오래되지 않는 60년대까지도 지장샘 한곳의 물만으로 마을 주민들의 생 활식수로 부족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유수를 이용하여 논을 만 들기도 했다. 현재는 지장샘의 물로 미나리를 기르고 있었다.

- 큰물 : 삼양동은 2006. 7. 1 이전까지는 북제주군과 경계를 이 루었던 마을로, 삼양동 해안 용천수는 제주시민들의 상수원으로

(20)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물이 깨끗한 지역으로 유명하다. 특히, 큰물은 현재에도 남자 목욕탕, 여자 목욕탕, 빨래터로 구분돼 주민들이 중요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 탕탕물 : 20~30년 전 돌을 파내다가 물이 솟아나자 우물로 만들었는데 용출량이 풍부하여 논농사가 가능했다고 한다. 탕탕 물은 마을과 근접해 있어 주민들의 식수와 생활용수로 사용되 었으며 현재는 생활용수와 어린이들의 물놀이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 할망물 : 이 지역은 대정읍에서 가장 식수가 풍부한 마을이었으 나 서림 수원지의 개발로 할망물의 용출량은 매우 적어 주민들 이 걱정하고 있었다. 빨래와 같은 생활용수로 이용되고 있었다.

○ 용천수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법 조사 결과

- 용천수의 낮은 수온을 이용한 여름철 중앙집중식 냉방 방안을 제안

- 깨끗한 용천수를 물이 부족한 국가에 수출할 수 있는 방법 제안 - 제주의 명수를 선정하여 용천수만을 탐방하며 걸을 수 있는 올

레 코스 개발함.

- 용천수를 자연 학습장으로 꾸며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제주 용 천수의 중요성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조성함.

○ 연구결론

- 보전이 잘 되고 있는 용천수 : 큰물, 지장샘(일본 명수와 비교됨) - 보전이 양호한 용천수 : 엉물, 문두물, 동아치물, 탕탕물

- 보전이 시급한 용천수 : 할망물, 예지물, 족지물

- MBL 이온선택성 센서를 활용한 용존 이온의 측정 시 측정하고 자 하는 값의 범위에 따라 적당한 보정이 필요함.

- 제주 용천수의 보전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

- 제주 용천수를 자원화 할 수 있는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함.

(21)

□ 시사점

○ 연구 활동을 통해 얻은 학습 효과

- 제주 용천수의 보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됨.

- 용천수에 용존되어 있는 이온을 측정하는 방법을 습득

- 용존 이온의 측정에 있어 측정 범위에 따라 다른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보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됨.

- 센서를 보정할 수 있는 표준 보정 용액을 제조 방법 습득 - 효과적인 리플렛 디자인 방법에 대해 탐구하게 됨.

○ 개선점

- 제주 용천수에 대해 긴 기간 동안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함.

4. 홍보 및 사후 활용

□ 연구 성과의 게시

○ 학교 논총의 발간 시 연구 성과 게재

○ 후속연구 추진 : 각 용천수를 추후 과학 동아리 탐구 주제로 선정하여 연구를 계속할 예정임

○ 연구 성과의 확산 : 용천수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리플렛을 제작하 여 21개 학교의 과학반에 우편 발송함. 교내의 모든 학급 게시판에 리플렛을 부착하여 홍보함.

5. 참고문헌

- 제주도, 1999, 제주의 물, 용천수, p.1~92.

- 제주발전연구원, 2004, 제주의 명수 이용과 보전방안(I), 정책연 구, p.1~72.

- 제주발전연구원, 2005, 제주의 명수 이용과 보전방안(II), 정책연 구, p.1~122.

- 제주발전연구원, 2009, 제주지역 용수수요 전망과 수자원 보전, 관리 계획에 관한 연구, p.1~161

(22)

※ 부록

시료이름 NO(mg/L) NH(mg/L) Ca (mg/L)

채수단계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채수일자 7.28 평균

8.11 9.9 10.14 7.28

8.11 9.9 10.14 7.28

8.11 9.9 10.14

엉물 4.2 4.1 3.8 4.0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9.72 12.43 12.82 11.66 문두물 11.2 11.4 10.2 10.9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7 14.35 12.47 11.27 족지물 14.8 3.3 3.8 7.3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41.2 24.75 24.43 30.13 탕탕물 15.9 5.2 6.1 9.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29.48 22.31 20.14 23.98 동아치물 3.6 2.5 3.2 3.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2.42 2.7 4.02 3.05

큰물 2.9 2.7 3.8 3.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4.66 6.56 6.58 5.93 할망물 4.4 6.3 5 5.2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6.93 13.42 10 10.12 예지물 3.9 4 4.8 4.2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5.53 6.96 9.03 7.17 지장샘 5 3.6 2.7 3.8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5.72 6.53 5.61 5.95

<표 1>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의뢰 용천수 수질 측정값(1)

시료이름 Cl(mg/L) SO (mg/L) HCO(mg/L)

채수단계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채수일자 7.28 평균

8.11 9.9 10.14 7.28

8.11 9.9 10.14 7.28

8.11 9.9 10.14

엉물 31 31 26 29.3 12 13 12 12.3 76.9 83 80.6 80.2

문두물 20 19 18 19.0 12 14 12 12.7 65.9 69.3 65.9 67.0 족지물 1425 854 1857 1378.7 192 116 233 180.3 78.1 68.3 61 69.1 탕탕물 1106 746 954 935.3 154 104 121 126.3 75.7 65.9 62.2 67.9 동아치물 74 64 29 55.7 15 14 10 13.0 65.9 52.5 51.3 56.6 큰물 14 11 12 12.3 5 6.1 6 5.7 70.8 63.5 59.8 64.7 할망물 12 21 13 15.3 9 13 9 10.3 52.5 61 58.6 57.4 예지물 40 23 57 40.0 11 9 14 11.3 51.3 58.6 54.9 54.9

지장샘 9 8 7 8.0 3 3 2 2.7 48.8 40.3 36.6 41.9

<표 2>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의뢰 용천수 수질 측정값(2)

시료이름 CO (mg/L) K(mg/L) Mg (mg/L)

채수단계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채수일자 7.28 평균

8.11 9.9 10.14 7.28

8.11 9.9 10.14 7.28

8.11 9.9 10.14

엉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3.83 3.56 3.66 3.68 8.17 10.63 10.61 9.80 문두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4.57 4.61 3.81 4.33 11.63 15.34 12.52 13.16 족지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36.53 25.9 36.13 32.85 81.24 61.76 114.3 85.77 탕탕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28.29 20.9 23.12 24.10 62.24 53.65 67.2 61.03 동아치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4.78 4.11 3.24 4.04 4.37 4.54 4.82 4.58

큰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3.3 2.82 3.06 3.06 4.69 8.06 7.83 6.86 할망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3.97 6.1 5.1 5.06 5.21 8.92 7.5 7.21 예지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4.06 4.19 4.94 4.40 5.84 7.2 10.09 7.71 지장샘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2.89 3.42 2.68 3.00 2.95 3.43 3.18 3.19

<표 3>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의뢰 용천수 수질 측정값(3)

(23)

시료이름 Na(mg/L) 대장균군수(MPN/100mL) 전기전도도(μs/cm)

채수단계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채수일자 7.28 평균

8.11 9.9 10.14 7.28

8.11 9.9 10.14 7.28

8.11 9.9 10.14

엉물 11.13 18.48 19.86 16.49 49 790 16000 5613 274 367 274 305.0 문두물 7.38 13.05 11.65 10.69 79 630 1300 670 289 351 287 309.0 족지물 671.3 404.6 680.4 585.43 >16000 >16000 >16000 >16000 4200 3520 6210 4643.3 탕탕물 528.66 336.2 398.6 421.15 170 49 45 88 3850 3200 3390 3480.0 동아치물 52.68 43.86 29.27 41.94 49 13 170 77 377 398 228 334.3 큰물 13.43 9.02 16.52 12.99 49 1100 >16000 575 152 175 170 165.7 할망물 5.09 12.13 11.46 9.56 1100 16000 >16000 8550 171 293 190 218.0 예지물 13.21 17.01 32.77 21.00 79 23 790 297 256 247 346 283.0 지장샘 3.56 7.07 5.89 5.51 490 1300 790 860 121 132 97 116.7

<표 4>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의뢰 용천수 수질 측정값(4)

시료이름 pH 총용존고형물(mg/L)

채수단계 1차 2차 3차

평균

1차 2차 3차

채수일자 7.28 평균

8.11 9.9 10.14 7.28

8.11 9.9 10.14

엉물 7.4 7.7 7.6 7.6 110 120 110 113.3

문두물 7.4 7.6 7.6 7.5 110 130 110 116.7 족지물 7.3 7.3 7.5 7.4 2500 1550 2800 2283.3 탕탕물 7.6 7.4 7.5 7.5 2000 1380 1500 1626.7 동아치물 7.9 7.6 7.7 7.7 74 140 90 101.3

큰물 7.6 7.6 7.6 7.6 60 70 70 66.7

할망물 7.4 7.2 7.4 7.3 70 100 80 83.3

예지물 7.4 7.4 7.5 7.4 100 90 140 110.0

지장샘 7.2 7.2 7.4 7.3 50 50 40 46.7

<표 5>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의뢰 용천수 수질 측정값(5)

시료 이름

NO (mg/L)

NH (mg/L)

Ca 

(m/L) Cl (mg/L)

전기전도도

(μs/cm) pH TDS

측정기관 전문 MBL 전문 MBL 전문 MBL 전문 MBL 전문 MBL 전문 MBL 전문 MBL

지장샘 3.8 5.9 × 0.1 5.95 6.4 8.0 6.5 116.7 104.0 7.3 7.4 46.7 116.6 큰물 3.1 5.7 × 0.1 5.93 5.8 12.3 10.3 165.7 147.0 7.6 7.5 66.7 116.4 할망물 5.2 9.7 × 0.0 10.1 10.4 15.3 15.2 218.0 184.0 7.3 7.5 83.3 116.2 예지물 4.2 7.4 × 0.2 7.1 6.8 40.0 36.3 283.0 225.8 7.4 7.6 110.0 116.8 엉물 4.0 7.7 × 0.1 11.7 12.9 29.3 31.3 305.0 242.9 7.6 7.5 113.3 114.6 문두물 10.9 18.0 × 0.2 11.3 13.3 19.0 18.6 309.0 245.5 7.5 7.4 116.7 116.7 동아치물 3.1 5.6 × 0.1 3.05 1.9 55.7 43.0 334.3 237.3 7.7 7.7 101.3 116.7 탕탕물 9.1 14.6 × 0.3 23.0 16.5 935.3 879.3 3480.0 291.0 7.5 7.5 1626.7 116.6 족지물 7.3 13.4 × 0.8 30.1 23.9 1378.7 1322.3 4643.3 294.6 7.4 7.5 2283.3 115.9

<표 6> 조사대상 용천수의 전문기관과 MBL 센서의 측정값 비교

※“전문”은 “전문기관” 의뢰임, “×”는 “불검출”임.

참조

관련 문서

x를 먼저 간단히 한다..

비염의 염증반응은 기관지천식에 서 기관지점막의 염증반응과 비슷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에도 비반세포 로부터 유리되는 매체가 관여하는데 다만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표본의 크기가 일정할 때, 신뢰도가 높아지면 k의 값이 커지므 '¶n 로 신뢰구간의

3% 더 중독위험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다음으로 대상자별 중독군 비율에 있어 인터넷 중독군은 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세 집단에서

가축매몰지 환경지침에서는 매몰지 주변 30 0m 이내에 위치하는 이용 중인 지하 수 관정,매몰지 필지 및 이와 경계한 인접 필지 내에 위치한 지하수 관정,상수원

- 비가 올 때 땅위의 오염물질이 지하수 배관 등을 타고 스며드는 경우 - 주변 정화조나 간이화장실에 균열이 생겨 오염물질이 새어나온 경우 -

삶의 질의 신체영역, 정서영역, 사회영역, 학업영역을 합한 전체의 삶의 질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