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전시 소방력의 효율적인 재배치 방안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전시 소방력의 효율적인 재배치 방안에 관한 연구"

Copied!
1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전시 소방력의 효율적인 재배치 방안에 관한 연구

정 경 석

(2)
(3)

연구자

연구책임 정경석 도시기반연구실 연구위원

(4)

요약 및 정책건의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대전시를 포함한 국내 소방조직 및 인력구성과 소방청사 등의 배분 기준은 대통령령인

「지방소방기관설치에 관한 규정」과 행정안전부령인 「소방력 기준에 관한 규칙」,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등올 준용하여 운영중 에 있음

○ 그러나, 소방청사의 입지 및 소방조직 구성과 관련해서는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산정된 것이 아닌, 해당행정구내의 인구와 면적 등을 기준으로 단순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

○ 사회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속에서 한정된 인적․물적 자원을 이용해 화재 등 각종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대전시의 도시공간 구조 및 소방 환경적 요인에 대한 검토과정를 통해 현행의 인구와 관할면적에 의한 소방력 배치의 비효율 성을 저감한 합리적인 소방력 배치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소방력에 대한 정확한 현황 진단과 소방관서의 입 지분석을 통해 대전시의 소방력에 대한 효율적인 배치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주요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전시의 소방력이 기존의 소방력 배치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여 운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기 위해 현재의 소방력 배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과정을 거쳐 실제 대전시의 소방력 배치 및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찾아보고, 이 러한 변인들이 실제 대전시에서 일어나고 있는 화재․구조․구급활동의 공간적 분포의 변 화 패턴을 얼마나 잘 반영해 내고 있는지를 검증코자 하였음

○ 즉, 대전시에서 발생되고 있는 화재․구조․구급활동의 공간적 변화 양상에 대전시의 소방 력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검중해 보기 위해 대전시의 소 방환경 특성을 분석해 보고, 핫스팟 분석 및 소방관서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그리고

(5)

공간구문분석 등의 다양한 공간통계적 분석기법의 적용을 통해 대전시의 소방력 현황 을 정확히 진단해 내고자 하였음

▒ 대전시의 소방력 수준 및 소방력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본 연구결과, 대전시의 소방력은 충분히 갖추어져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며, 실제 화재․구조․구급 사건들이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핫스팟 지역과 상관없이, 주로 소방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소방청사의 수용규모(소방장비수와 정의 관계)에 따라 장비 및 인력이 배분되어 있는 경향이 강하며, 위험시설물수 보다는 소방점검대상물이 많은 지 역에 소방력이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 특히 소방의 주요한 업무영역이라 할 수 있는 화재발생 진압활동과 관련해서 현재의 소방력 배치는 플래쉬오버(5분내 화재현장으로 출동하여 진압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출동시간과도 통계적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어 대전시 화재발생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는 별다른 상관없이 별개로 소방력이 입지 및 배분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음

○ 이것은 대전시의 소방력이 가외성의 원칙을 따르면서, 소방력을 비교적 균등하게 배분 하여 운영․관리하고 있음을 반증해 주고 있는 결과로서 이러한 방식은 안정성과 형평적 배분을 통해 소방력의 가외성과 상시성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소방조직 및 인력 운영 의 효율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됨

▒ 대전시의 효율적인 소방력 배치 및 배분을 위한 최적 입지 후보지

○ 비상대응에 실패하지 않을 정도의 필요한 최소 또는 탄력적인 조직규모로 재편하고 소방력을 특정 공간에 집중 배치하여 운영해 나가는 방안과 현재의 비교적 균등한 소방력 배분 방식을 유지하는 방안 가운데 어떤 전략 방식이 더 바람직한가에 대한 판단근거로서 본 연구에서는 행정의 효율적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음

○ 다시 말해, 소방활동의 실적 및 업무량이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는 상황

(6)

속에서, 일부 소방관서의 경우에는 업무량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관할구역의 부분적 재조정내지 소방관서의 인력충원을 우선적으로 배분하는 추가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향후 대전시 소방관서의 관할 구역 재조정과 소방관서의 신규 신설 내지 인력의 우선적인 배분이 필요한 지역을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제안코자 하였음

[그림] 대전시의 효율적인 소방력 배분 및 배치를 위한 최적 입지 후보지

○ 향후 대전시의 소방관서 최적입지로는 도시전체 공간으로서의 공간위상이 높은 지역과

(7)

서별 배치 적정성 문제점 해결방안 중부

소방서

-관할구역 북서쪽에 편중 -위치상 취약대상 밀집지역 인근인 원동․대동 및 역세권 개발지가 적지

-출동로 협소 및 청사노후 -판암동 등 동남부지역개발 로 소방서의 주력부대 출동 시간 과다소요(20분)

-역세권 및 신흥동 일대 개발지역 등으로 이전추진

-부지확보 곤란시 현위치에 재건 축검토

서부 소방서

-주요소방대상물 및 아파트 밀집지역임을 고려시 행정중 심 지역인 둔산동 부근이 중 심적지

-갈마2초등학교 설립추진에 따라 교육청 및 갈마주민숙 원사업으로 이전요청 -출동로 협소로 출동장애 및 청사노후

-시차원의 ‘공용의 청사 합리적 인 배치활용방안’에 따라 둔산동 근로자 종합복지관 부지로 이전 논의가 진행되었다가 최근에 이 전안이 백지화 됨

동부 소방서

-관할구역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고, 소방대상물 집중 지역이 문평․덕암지역과 중 리․송촌․대화지역으로 나뉘어 있음

-대화동 부근이 중심적지

-소방서로부터 문평․덕암동 (신탄진지역)의 3,4공단지역 출동시간 과다소요

-대덕테크노밸리 조성에 따 른 소방수요 급증예상

-현 소방서 위치는 1,2공단과 인 접지에 소재하므로 현 위치 유지 -3,4공단 지역 및 향후 송강․관평 동 등의 대덕테크노밸리 조성지역 에 특구소방서 신설추진이 필요

북부 소방서

-남북으로 길게 뻗은 관할구 역(유성구)의 북측에 편중 -구암․봉명동 부근이 중심적

-취약대상이 많은 구암․봉명 동지역으로부터 원거리 소재 -향후 도안신도시 개발시 소 방수요 급증 예상

-도안신도시 개발과 연계하여 유 성 남부지역으로 북부소방서를 이 전하고, 현 구암119안전센터를 신 성지구로 이전

남부 소방서

-가장 최근에 개설(2006년) -현재 입지여건은 양호한 편 -그러나 향후, 도안동과 관 저동 일대의 서남부쪽으로 소방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

-

-시설과 공간이용의 활용도가 높 은 만큼, 인근지역에 다목적훈련 시설의 설치를 통해 연계활용토록

<표> 대전시 소방관서 적절성 평가 및 주요 개선방안

지구 및 생활권 단위에서 공간접근성이 높은 지역, 그리고 주변공간으로의 직접 연계 가 가능한 가로들이 다수 교차함으로서 주변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한 지역, 이와 더 불어 주변지역으로의 접근성에 대한 통제가 용이한 지역, 그리고 신설 및 이전에 필요 한 청사 부지확보가 용이한 지역(시유지) 등을 GIS 및 공간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최적의 입지공간을 찾아내서 시각화된 지도형태로 제시해 내었음

▒ 대전시의 소방관서의 배치 및 배분에 대한 적절성 평가 및 향후 개선방안

○ 한편, 이러한 대전시 공간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대전시 소방관서의 배치 및 배 분에 대한 적절성 평가와 현재의 문제점, 그리고 향후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였음

(8)

▒ 특수소방차량 및 청사공간의 효율적 이용방안

○ 끝으로 특수소방차량의 집중적 배치 운용 방안과 청사공간 이용의 효율화 방안에 대 한 기본적인 정책방향을 제안하였음

○ 특수소방차량을 집중 배치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는 북서부 권역의 서부 (갈마)소방서와 남동부 권역의 중부(삼성)소방서가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지역이라 고 할 수 있으나, 이들 청사공간이 노후화되어 있고, 장소가 협소한 관계로 특수소방 차량을 집중적으로 운용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임

○ 따라서 대전시의 소방환경 현실을 고려했을 때, 접근 가능한 대안으로는 화학차 및 대형사다리차 등의 특수소방차량을 동부소방서와 남부소방서에 집중 배치하여 위험시 설물들이 다수 입지해 있는 전민, 대화, 문평, 덕암 일대는 동부소방서가 전담하여 지 원토록 하고, 그 이외의 지역은 남부소방서가 전담하여 지원토록 하는 투포트(two port) 체계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 필요

구분 공간 설계시 주안점

기본개념

∙공공성확보

∙소방서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동선) 계획

∙지역공동체로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입지성과 상징성 확보

소방서 근무체계

∙내근(본서사무실) : 8시간 근무(주기적인 당직근무 병행 24시간) -비상근무시 전원 상황근무 및 현장출동 근무

∙외근(직할안전센터․구조대) 1일 24시간

-계속근무 ×3교대 반 운영, 비상근무시 전원근무 -화재, 구급, 구조활동, 급수 및 기타 지원

소방서 특성

∙화재․구조․구급․안전사고 출동시 신속한 차고 탈출 -주간 : 약 20초 이내, 야간 : 약 30초 이내 확보

∙화재진압활동 후 목욕․복장 및 장구 등의 세척 시설 필수 -샤워시설 및 공동목욕탕, 사우나 시설 완비

∙24시간 출동대기 소방관의 휴식 및 체력단련 공간 확보

-바닥면적의 협소 시 운동공간이 부족하므로 옥상 등에 체력단련장 등을 고려

∙차고문의 높이는 4.5m이상, 차고는 3~6개 span으로 구획

∙차고의 배기가스가 사무실 및 대기실에 유입되지 않도록 환기 및 배기시설 고려

∙대기실, 체력단련실, 당직실, 구급대기실 등에 냉․난방시설 고려 -24시간과 8시간 존으로 구획 조절 가능한 구조로 계획

<표> 소방관서 신축․증축 시 고려되어야 할 공간계획 전략

○ 한편, 향후 소방관서의 공간구성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중점사항으로는 소방서의 특

(9)

성상 화재, 구급, 구조 등의 소방활동을 위한 신속한 출동이 가능한 동선 및 시설물 배치 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상기의 설계 주안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

▒ 본 연구의 의의 및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는 화재위험지도 및 소방관서의 업무관계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전시의 인력 및 소방관서 등의 합리적인 소방력 재배치 방안을 실증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으며, 대전시의 인구분포 및 관 할면적, 지역 특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소방력 배치기준을 정립하고, 미래 대전시의 발전과 연계한 소방관서간 관할구역의 재조정과 청사의 이전 및 신설을 위 한 정책결정 과정에 참조가 될 수 있는 기초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됨

(10)

목 차

제1장 연구의 개요 ···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4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 6

제2장 대전광역시 소방환경 현황 ··· 9

제1절 대전시 일반현황 ··· 9

1. 인구 및 면적 ··· 9 2. 대전시 토지지목별 면적현황 ··· 10 3. 대전시 산업구조 ··· 12 4. 대전시 건축물 현황 ··· 13 5. 대전시 도시개발사업 현황 ··· 24 제2절 대전시 소방력 및 소방활동 현황 ··· 28 1. 소방조직 및 인력현황 ··· 28 2. 화재․구조․구급 현황 ··· 37

제3장 대전시 소방력 진단 ··· 50 제1절 조직 및 인력 진단 ··· 50 1. 국내 소방력 배치기준 ··· 50 2. 소방력 배치기준에 의한 소방력 진단 ··· 54 3. 대전시 소방력 배분 결정요인 분석 ··· 59 제2절 소방환경 특성 및 입지 분석 ··· 62 1. 소방관서별 소방환경 특성 분석 ··· 62 2. 소방관서별 네트워크 구조 분석 ··· 69

(11)

3. 화재 핫스팟 분석을 통한 소방청사 입지분석 ··· 75

제4장 소방력 재배분 및 청사공간 이용 효율화 방안 ··· 90 제1절 소방력 재배분 방안 ··· 90 1. 소방서 개편 ··· 90 2. 소방관서의 이전 및 신설 ··· 92 3. 소방청사 신설 및 이전부지 검토 제안 ··· 97 제2절 특수소방차량 및 청사공간 이용 효율화 방안 ··· 100 1. 특수소방차량의 효율적 운용 방안 ··· 100 2. 청사공간 이용 효율화를 위한 계획방향 ··· 110

제5장 결론 및 제언 ··· 160

참 고 문 헌 ··· 109

(12)

표 목차

<표 1> 본 과업에서 활용된 현황분석자료 ··· 5

<표 2> 대전시 년도별 인구 및 면적 변화 추이 ··· 9

<표 3> 대전시 고령자 인구 현황 ··· 10

<표 4> 대전시 지목별 토지이용현황 ··· 11

<표 5> 대전시 사업체수 및 종사자 수 ··· 13

<표 6> 대전광역시 건축물구조 및 지붕구조 현황 ··· 14

<표 7> 대전광역시 건축물용도 현황 ··· 15

<표 8> 대전광역시 건축밀도 및 노후도 현황 ··· 16

<표 9> 대전광역시 평균공시지가 현황 ··· 16

<표 10> 대전광역시 특정소방대상물 현황 ··· 18

<표 11> 대전시 총주택수 및 빈집수 현황 ··· 18

<표 12> 2010년 기준 대전시 주택의 종류 및 연면적 현황 ··· 19

<표 13> 2010년 기준 대전시 건축년도별 주택수(빈집 제외) ··· 21

<표 14> 전국 건축물 멸실 주택수 현황 ··· 22

<표 15> 대전시 정비사업 추진현황 ··· 24

<표 16> 대전시 재정비촉진사업 추진현황 ··· 25

<표 17> 대전시 정비예정구역 및 관리대상구역 지정 현황 ··· 26

<표 18> 대전시 산업단지조성 추진현황 ··· 26

<표 19> 대전시 택지개발사업 추진현황 ··· 27

<표 20> 대전시 소방서별 관할구역 ··· 28

<표 21> 대전시 소방관서별 소방공무원 정원 및 근무현황 ··· 30

<표 22> 대전시 소방관서별 소방차량 보유현황 ··· 31

<표 23> 대전광역시 최근 5년간 화재발생 현황 ··· 37

<표 24> 대전광역시 최근 5년간 장소별 화재발생 현황 ··· 38

<표 25> 대전광역시 최근 5년간 요인별 화재발생 현황 ··· 38

(13)

<표 26> 대전광역시 최근 5년간 장소별 인명피해 현황 ··· 39

<표 27> 대전광역시 최근 5년간 요인별 인명피해 현황 ··· 39

<표 28> 대전광역시 최근 5년간 월별․요인별 인명피해 현황 ··· 40

<표 29> 전국대비 대전광역시 구조활동 현황(2011년) ··· 41

<표 30> 전국대비 대전광역시 구급활동 현황(2011년) ··· 41

<표 31> 대전광역시 연도별 구조․구급현황(최근 5년간/2009년 말 기준) ··· 42

<표 32> 소방학교장․소방서장․119안전센터장 등의 직급 규정 ··· 50

<표 33> 소방서 근무요원의 배치기준 ··· 51

<표 34> 119안전센터의 설치기준 ··· 52

<표 35> 119안전센터에 두는 소방자동차 배치기준 ··· 52

<표 36> 119안전센터에 배치되는 소방차량을 기준으로 한 인력 배치 ··· 53

<표 37> 구조대의 인력 배치기준 ··· 53

<표 38> 대전시 소방력(소방장비) 기준에 근거한 소방 인력 소요 인원 추정 ··· 55

<표 39> 각 25개 안전센터간 접근성(거리) ··· 57

<표 40> 회귀분석 결과 ··· 60

<표 41> 각 25개 안전센터별 최근 3년간 화재․구조․구급 활동현황 ··· 63

<표 42> 안전센터별 화재피해 및 소방동원 현황 ··· 67

<표 43> 안전센터별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발생원인 ··· 68

<표 44> 공간구문론지수와 SNA 지수의 비교 ··· 70

<표 45> SNA분석 결과 ··· 71

<표 46> 최근린계층분석 결과 요약표 ··· 81

<표 47> 소방서 입지여건 및 문제점 ··· 91

<표 48> 특구소방서 증설에 따른 관할구역 조정안 ··· 92

<표 49> 119안전센터 이전 및 재건축 계획안 ··· 93

<표 50> 대전시 시유지 현황 ··· 98

<표 51> 소방관서 영역별 공간성격 및 소요면적 배분 ··· 12 0

<표 52> 소방관서 신축․증축 시 고려되어야 할 공간계획 ··· 13 0

(14)

그림 목차

[그림 1] 최근 10년간 대전시 노령화 지수 분포 변화 ··· 10 [그림 2] 대전시 최근 10년간 총사업체수 변화 ··· 13 [그림 3] 대전시 공시지가 분포 현황 ··· 17 [그림 4] 최근 10년간 대전시 총주택수 분포 변화 ··· 19 [그림 5] 대전시 단독주택 분포 현황(2010) ··· 20 [그림 6] 대전시 다세대주택 분포 현황(2010) ··· 20 [그림 7] 대전시 연립주택 분포 현황(2010) ··· 21 [그림 8] 대전시 공동주택 분포 현황(2010) ··· 21 [그림 9] 거주환경 열악한 저층 주거 밀집지역 ··· 22 [그림 10] 노후화 비율이 높은 저층 주거지역 ··· 22 [그림 11] 공동주택 노후도 분포 현황(2012) ··· 23 [그림 12] 대전시 공동주택 동수 분포 현황 ··· 23 [그림 13] 공동주택 세대수 분포 현황 ··· 23 [그림 14] 공동주택 층수 분포 현황 ··· 23 [그림 15] 대전광역시 소방본부 조직구성도 ··· 28 [그림 16] 대전광역시 법정동별 구조인원 실적현황 ··· 43 [그림 17] 대전광역시 법정동별 구급인원 실적현황 ··· 45 [그림 18] 각 안전센터별 관할구역면적 5㎢범위 ··· 58 [그림 19] 각 안전센터별 관할구역면적 20㎢범위 ··· 58 [그림 20] 각 안전센터별 관할구역 인구수 ··· 62 [그림 21] 각 안전센터별 소방대상물수 ··· 62 [그림 22] 각 안전센터별 화재처리건수 ··· 64 [그림 23] 화재출동시간 5분이내비율 ··· 64 [그림 24] 화재출동시간 5분이상비율 ··· 65 [그림 25] 각 안전센터별 구조인원 실적 ··· 65 [그림 26] 각 안전센터별 구급인원 실적 ··· 66 [그림 27] 각 안전센터별 기타소방활동건수 ··· 66

(15)

[그림 28] 각 안전센터별 재산피해현황 ··· 66 [그림 29] 각 안전센터별 소방동원수 ··· 66 [그림 30] 각 안전센터별 유관기관포함총동원수 ··· 67 [그림 31] 각 안전센터별 동원소방장비수 ··· 67 [그림 32] 내향 근접중싱성관계 및 매핑결과 ··· 72 [그림 33] 외향 근접중심성관계 및 매핑결과 ··· 72 [그림 34]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관계 및 매핑결과 ··· 73 [그림 35] 외향 연결정도 중심성관계 및 매핑결과 ··· 73 [그림 36] 매개중심성 관계 및 매핑결과 ··· 74 [그림 37] 3년간 화재발생지점 ··· 75 [그림 38] 3년치 누계 화재발생건수 ··· 75 [그림 39] 1천인당 화재발생율 ··· 76 [그림 40] 소방대상물 1백개소당 화재발생율 ··· 76 [그림 41] 인구대비 상대적 화재발생위험율 ··· 77 [그림 42] 시설물대비 상대적 화재발생위험율 ··· 77 [그림 43] 화재발생 밀도분석결과 ··· 79 [그림 44] 5분이하 출동소요의 화재핫스팟지역 ··· 80 [그림 45] 5분이상 출동소요의 화재핫스팟지역 ··· 80 [그림 46] 최근린계층군집분석결과1(초기값=6) ··· 81 [그림 47] 최근린계층군집분석결과2(초기값=12) ··· 81 [그림 48] 대전시 전역차원에서의 전체통합도 ··· 83 [그림 49] 대전시 국지차원에서의 국부통합도 ··· 83 [그림 50] 대전시 국지차원에서의 연결도 ··· 83 [그림 51] 대전시 국지차원에서의 통제도 ··· 83 [그림 52] 도로망 접근성체계에서 본 소방관서 최적 입지공간축 ··· 85 [그림 53] 소방관서의 신설 내지 이전적지로서 가능한 대전시 시유지 분포 현황 ··· 99 [그림 54] 대전시 주요 소방관서 공간 이용 현황 ··· 120

(16)

제 1 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17)
(18)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최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위기는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의 소 방기관은 오히려 늘어나는 소방수요에 대한 시민안전 확보와 양질의 소방서비스 제 공을 위해 3교대 근무에 의한 인원확보, 시간외근무수당 지급유무와 관련한 갈등, 소 방장비 노후 관련 예산, 구급대원 3인 1조 현실화 등 반드시 확보하여야 할 예산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임

○ 소방행정서비스는 공공재로서 경제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자유재는 아니므로 다른 공 공재와 마찬가지로 소방행정서비스 역시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방행정조직의 단기적 규모 확대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가운 데 소방행정서비스를 질적․양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조직운용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 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자 함

○ 사회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속에서 한정된 인적․물적 자원을 이용해 화재 등 각종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대전시의 도시공간 구조 및 소방 환경적 요인에 대한 검토과정를 통해 현행의 인구와 관할면적에 의한 소방력 배치의 비효율 성을 저감한 합리적인 소방력 배치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소방력에 대한 정확한 현황 진단과 소방관서의 입 지분석을 통해 대전시의 소방력에 대한 효율적인 배치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아울러, 지역적 특성에 따라 활용빈도가 적으면서 동시에 신속성을 기할 필요가 상대 적으로 낮은 특수소방차량을 집중 배치하여 운용하는 방안과 청사공간의 이용 효율 화를 위한 기본계획 방향 등을 제안하고자 함

(19)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시간적 범위는 소방수요의 추이를 살펴보고, 특정소방대상물 현황, 관서별 보유장비 현황 등과 화재 발생빈도와의 상관관계 등을 추론하기 위해 최근 3년치(2007~2009년) 의 화재발생자료와 2011년 말 기준의 소방행정 통계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음

○ 공간적 범위로는 대전광역시 행정구역(539.7㎢)을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함

○ 본 과업의 내용적 범위로는 대전시 소방환경 전반에 대한 현황분석의 일환으로 인구 분포, 관할면적, 도로망, 건축형태, 지역특성 및 소방 수요 등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현재의 획일적인 배치기준 등 비효율적인 소방력 운용에 대한 문제점 등을 진 단하고, 대전시의 합리적인 소방력 재배치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 대전광역시 소방력의 합리적인 재배치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대전시의 소방현황을 정확히 진단해 내는 과정이 요구됨

○ 이를 위해서는 조직 및 인력의 진단뿐만 아니라, 소방환경에 대한 특성파악이 중요하 므로, 계량화가 가능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의 공간통계분석기법 과 공간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대전광역시의 소방력 입지와 배치에 대한 적절성 여부 를 평가하고자 함

○ 또한, 연구 목적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부 특수소방차량의 효율적인 배치장소의 선정 과 남은 공간 및 인력활용에 대한 방안제시를 위해 화재출동 통계, 관리주체의 타당 성, 관서차고지 규모와 지역환경 및 여건 등을 고려하였으며, 소방점검대상물 분포현 황 자료와 소방관서의 보유 장비 현황 및 출동현황, 그리고 부지 매입이 용이한 소 방관서 입지 후보지 등을 고려하였음

○ 따라서, 본 과업은 다음과 같이 통계자료에 기반한 현황조사, 과학적 분석방법을 통 한 문제점 진단,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해법 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 첫째, 현황조사 부문 중 대전광역시의 소방조직 및 인력현황은 ‘지방소방조직편람’

자료와 소방본부 내부자료를 참조하였고, 대전광역시의 소방환경 및 화재발생 현황자 료는 대전시 통계연보와 국가화재정보시스템(http://nfds.go.kr/index.jsf)의 자료 및 소

(20)

방본부 내부자료를 참조하였음

○ 이외, 건축물현황자료는 2010년 대전광역시 과세대장과 지난 10여년간의 인구주택총 조사 자료, 그리고 소방본부에서 별도로 관리하고 있는 특정소방점검대상물 자료를 참조하여 정리하였음

지역특성변수 세부조사항목 출처

소방력 변인 조직 및 인력, 안전센터 운용현황

대전시 소방본부 내부자료 지방소방조직편람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인구통계학적 변인 인구, 인구밀도, 세대당인구 등 대전시 통계연보

인구주택총조사

물리․환경적 변인

면적, 지목현황(26개군), 건축물현황(건축 구조, 지붕구조, 건축용도, 연면적, 층수, 건축노후도 등), 도시개발사업 현황, 특 정소방점검대상물 현황(총 38,793개)

대전시 통계연보

대전시 과세대장(총917,810호) 대전시 내부자료

대전시 소방본부 내부자료

사회․경제적 변인 사업체수, 종사자수, 공시지가 등

대전시 통계연보

대전시 과세대장(총917,810호) 인구주택총조자

접근성 변인 기본도면, 도로망현황 안전센터별 거리 등

대전시 수치지도 대전시 KLIS자료

<표 1> 본 과업에서 활용된 현황분석자료

○ 둘째, 문제점 진단 부문 중 조직 및 인력에 대한 진단은 현행 소방력 배치기준을 근 거로 해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소방환경 및 소방관서의 입지적 특성은 최근 3년치 (2007~2009) 대전광역시 화재발생현황자료(총 4,457건)를 소방본부로부터 제공받아 핫 스팟분석을 통해 화재위험지도를 작성하였음

○ 또한, 소방력의 입지 및 배치에 대한 적절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해 화재발생현황자료 와 앞서 수집․정리된 지역특성 변수들간의 상관관계에 기반하여 소방인력 배치에 영 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검증해 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시도하였음

○ 셋째, 대전시의 합리적인 소방력 재배치 방안을 제시하는 부분으로서 안전센터별 인

(21)

력 및 장비 배치기준 등의 차등화 내지 출동체계의 재편방향과 청사의 입지 재배분 및 청사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기본방향을 제안함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 인구분포 및 관할면적, 지역특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전시의 효율적인 소방력 배치 기준을 정립하고, 미래 대전시 발전과 연계한 소방관서간 관할구역의 재조정 및 소방 청사 입지 결정 과정에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소방관서간 관할구역의 재조정과 청사공간의 이용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본방 향을 제시해 줌으로서 향후 대전시 소방관서의 이전 및 신설, 그리고 청사공간을 계 획할 시에 참고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22)

제 2 장

대전광역시 소방환경 현황

제1절 대전시 일반현황

제2절 대전시 소방력 및 소방활동 현황

(23)
(24)

제2장 대전광역시 소방환경 현황

제1절 대전시 일반현황

1. 인구 및 면적

○ 대전시 면적은 1999년 539.73㎢에서 2011년 539.97㎢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 나 인구규모는 1999년 1,368,287명에서 20011년 1,515,603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연 도 세대(가구) 총인구(인) 면적(㎢) 인구밀도

(인/㎢)

세대당인구 (인/가구)

1999 427,152 1,368,287 539.73 2,535 3.20

2000 439,312 1,390,510 539.83 2,576 3.17

2001 450,489 1,408,809 539.84 2,609 3.13

2002 463,270 1,424,844 539.71 2,640 3.08

2003 479,916 1,438,778 539.64 2,666 3.00

2004 492,068 1,450,750 539.59 2,689 2.95

2005 505,650 1,462,535 539.78 2,709 2.89

2006 518,039 1,475,961 539.79 2,734 2.85

2007 525,880 1,487,836 539.64 2,757 2.83

2008 531,682 1,495,048 539.84 2,769 2.81

2009 538,100 1,484,180 539.86 2,749 2.76

2010 555,768 1,503,664 539.90 2,785 2.71

2011 566,324 1,515,603 539.97 2,807 2.68

<표 2> 대전시 년도별 인구 및 면적 변화 추이

○ 세대수 역시 1999년 427,152가구에서 20118년 566,324가구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구밀도 또한 1999년 2,535명에서 2011년 2,807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세대당 가구원수는 1999년 약 3.2명에서 2011년에는 약 2.68명으 로 점차 감소하고 있음

(25)

○ 특히, 고령자인구는 131,015명으로 전체 인구의 8.8%를 차지하면서 급속한 증가 추세 를 보이고 있으며, 원도심지역에서의 인구구조 노쇠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

구 분 대전시

인구(명)

고령자 인구 (명)(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구성비율(%)

고령자 인구 연평균증가율(%)

1990년 1,049,122 42,189 4.0 -

1995년 1,270,873 57,592 4.5 7.3

2000년 1,365,961 74,734 5.5 6.0

2005년 1,438,551 100,905 7.0 7.0

2010년 1,490,158 131,015 8.8 6.6

출처 : 『인구주택총조사』, 각 연도,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 : 인구 및 고령인구수는 외국인수 제외, 주민등록상인구와 실거주인구수와 다를 수 있음

<표 3> 대전시 고령자 인구 현황

[그림 1] 최근 10년간 대전시 노령화 지수 분포 변화

2. 대전시 토지지목별 면적현황

○ 대전시 지목현황자료는 2011년 기준으로 임야가 52.41%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 며, 다음으로 대지(11.59%), 답(6.84%), 도로(6.63%), 전(5.8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번수로는 대지가 4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로(14.72%), 전(11.08%), 답 (10.79%) 순서를 보임

(26)

지목 구분 2009 2010 2011 비율(%) 계 면적 539,862,175 539,903,765 539,966,056 100

지번수 297,866 295,722 292,836 100 전 면적 32,878,273 32,680,240 31,705,613 5.87

지번수 33,514 33,289 32,455 11.08 답 면적 39,885,165 39,445,699 36,907,102 6.84

지번수 33,934 33,454 31,590 10.97 과수원 면적 2,392,503 2,416,860 2,443,984 0.45

지번수 1,590 1,597 1,593 0.54 목장용지 면적 319,051 320,174 318,226 0.06

지번수 206 206 207 0.07

임야 면적 285,766,968 284,718,977 282,992,308 52.41 지번수 19,122 19,092 18,852 6.44

광천지 면적 68 68 68 0.00

지번수 12 12 12 0.00

염전 면적 - - - 0.00

지번수 - - - 0.99

대 면적 60,160,384 60,307,714 62,572,051 11.59 지번수 137,296 135,999 136,125 46.49 공장용지 면적 7,778,122 7,803,147 7,820,691 1.45

지번수 1,685 1,714 1,754 0.60 학교용지 면적 8,821,750 8,816,465 9,037,789 1.67

지번수 956 948 914 0.31

주차장 면적 442,220 454,369 535,232 0.10

지번수 367 389 467 0.16

주유소용지 면적 318,322 326,482 341,263 0.06

지번수 410 419 432 0.15

창고용지 면적 225,269 232,632 238,951 0.04

지번수 380 400 423 0.14

도로 면적 34,031,262 34,472,124 35,801,782 6.63 지번수 43,611 43,332 43,120 14.72 철도용지 면적 3,618,887 3,615,765 3,634,059 0.67

지번수 1,633 1,621 1,618 0.55 제방 면적 978,968 979,393 944,762 0.17 지번수 1,882 1,871 1,827 0.62

<표 4> 대전시 지목별 토지이용현황

○ 대체로, 전, 답, 과수원, 임야 등의 면적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27)

지목 구분 2009 2010 2011 비율(%) 하천 면적 19,050,807 19,048,187 19,090,892 3.54

지번수 6,888 6,858 6,810 2.33 구거 면적 7,697,685 7,696,116 7,477,433 1.38 지번수 7,587 7,631 7,412 2.53 유지 면적 20,704,041 20,698,525 20,786,555 3.85 지번수 2,265 2,250 2,251 0.77

양어장 면적 7,729 7,729 7,729 0.00

지번수 4 4 6 0.00

수도용지 면적 655,860 1,024,631 1,030,859 0.19

지번수 135 225 225 0.08

공원 면적 5,952,239 6,644,755 7,955,785 1.47 지번수 1,017 1,035 1,324 0.45 체육용지 면적 1,933,142 1,967,130 1,982,737 0.37

지번수 164 171 179 0.06

유원지 면적 26,811 16,352 16,352 0.00

지번수 23 9 9 0.00

종교용지 면적 606,473 607,639 665,421 0.12

지번수 482 486 504 0.17

사적지 면적 79,432 79,432 80,155 0.01

지번수 22 22 22 0.01

묘지 면적 1,289,313 1,287,887 1,285,552 0.24

지번수 411 407 397 0.14

잡종지 면적 4,241,432 4,235,274 4,292,706 0.79 지번수 2,270 2,281 2,308 0.79

3. 대전시 산업구조

○ 대전시 사업체수는 서구가 30.4%(29,051개)로 가장 많고, 이어 중구 19.2%(18,350개), 동구 17.9%(17,091개), 대덕구 16.6%(15,831개), 유성구 16.0%(15,327) 순으로 나타남

○ 종사자수 역시 서구(30.8%)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며, 이어 유성구(22.1%), 대덕구 (17.0%), 중구(16.9%), 동구(13.3%) 순으로 나타남

○ 그러나 지난 10여년간의 대전시 총사업체수 변화 분포를 살펴보면, 사업체수는 점차 감 소하는 대신 특정 지역으로의 집적 패턴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음

(28)

[그림 2] 대전시 최근 10년간 총사업체수 변화

구분 사업체수 종사자수

2009년 2010년 증감률 2009년 2010년 증감률

합 계 93,176 95,650 2.7 468,501 492,722 5.2 (100.0) (100.0) (100.0) (100.0)

동 구 16,774 17,091 1.9 61,175 65,390 6.9 (18.0) (17.9) (-0.1) (13.1) (13.3) (0.2) 중 구 18,288 18,350 0.3 80,834 83,149 2.9 (19.6) (19.2) (-0.4) (17.3) (16.9) (-0.4) 서 구 28,116 29,051 3.3 146,849 151,526 3.2 (30.2) (30.4) (0.2) (31.3) (30.8) (-0.5) 유 성 구 14,409 15,327 6.4 99,930 109,048 9.1 (15.5) (16.0) (0.5) (21.3) (22.1) (0.8) 대 덕 구 15,589 15,831 1.6 79,713 83,609 4.9 (16.7) (16.6) (-0.1) (17.0) (17.0) (0.0)

<표 5> 대전시 사업체수 및 종사자 수

4. 대전시 건축물 현황

1) 건축물 구조 및 지붕구조

○ 대전의 건축물수는 2010년 기준 과세대장상에 총 917,810채로 서구가 29,289채로 가 장 많으며, 다음으로 동구(171,524채), 중구(163,312), 유성구(162,640채), 대덕구 (126,145채) 순으로 나타남

(29)

구분 대전시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건축물수 917,810 100.00 171,524 18.69 163,212 17.78 294,289 32.06 162,640 17.72 126,145 13.74

철골철근콘크리트 및

라멘조 663,742 72.32 100,672 10.97 101,941 11.11 238,789 26.02 137,442 14.97 84,898 9.25 경량철골조 18,360 2.00 3,458 0.38 3,020 0.33 3,129 0.34 3,436 0.37 5,317 0.58 연와조 92,723 10.10 26,400 2.88 19,355 2.11 24,746 2.70 5,700 0.62 16,522 1.80 시멘트벽돌 및 블럭조 114,027 12.42 31,683 3.45 32,963 3.59 24,380 2.66 9,764 1.06 15,237 1.66 목조 15,086 1.64 6,414 0.70 3,647 0.40 1,130 0.12 2,770 0.30 1,125 0.12 석회 및 흙혼합벽돌조,

흙벽돌조 6,812 0.74 1,439 0.16 954 0.10 1,079 0.12 2,362 0.26 978 0.11 기타(컨테이너,철파이프

, 패널, 판넬) 7,060 0.77 1,458 0.16 1,332 0.15 1,036 0.11 1,166 0.13 2,068 0.23

슬라브 818,129 89.14 145,394 15.84 142,634 15.54 281,233 30.64 140,649 15.32 108,219 11.79 토기와 692 0.08 192 0.02 99 0.01 124 0.01 172 0.02 105 0.01 시멘트기와 24,065 2.62 8,708 0.95 8,109 0.88 2,507 0.27 2,335 0.25 2,406 0.26 스레이트 42,786 4.66 11,371 1.24 5,271 0.57 6,437 0.70 9,808 1.07 9,899 1.08 함석 6,082 0.66 2,285 0.25 1,558 0.17 1,132 0.12 634 0.07 473 0.05 기타 26,060 2.84 3,574 0.39 5,545 0.60 2,856 0.31 9,042 0.99 5,043 0.55

<표 6> 대전광역시 건축물구조 및 지붕구조 현황

○ 대전의 건축물 구조를 살펴보면, 철골․철근콘크리트 및 라멘조가 72.32%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시멘트벽돌 및 블록조(12.42%), 연와조(10.10%)를 차지하 고 있음

○ 지붕구조는 대부분이 슬라브가 89.14%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스레 이트(4.66%), 기타(2.84%)의 순으로 나타남

2) 건축물 용도

○ 건축물 용도별로 살펴보면, 공동주택이 31.9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다세대다가구(22.38%), 단독주택(15.31%), 기타근린시설(11.12%), 그리고 업

(30)

구분 대전시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합계 비율

건축물수 917,810 100.00 171,524 18.69 163,212 17.78 294,289 32.06 162,640 17.72 126,145 13.74 단독주택 140,556 15.31 50,893 5.55 28,818 3.14 31,655 3.45 15,435 1.68 13,755 1.50 다세대다가구 205,419 22.38 33,497 3.65 41,160 4.48 65,415 7.13 31,041 3.38 34,306 3.74

연립 10,986 1.20 1,557 0.17 1,679 0.18 2,802 0.31 3,384 0.37 1,564 0.17 공동주택 292,820 31.90 41,355 4.51 45,984 5.01 106,782 11.63 61,593 6.71 37,106 4.04 식품위생시설 19,005 2.07 4,199 0.46 4,840 0.53 4,362 0.48 3,116 0.34 2,488 0.27 숙박 6,111 0.67 1,214 0.13 2,464 0.27 583 0.06 1,516 0.17 334 0.04 판매시설 11,233 1.22 3,669 0.40 670 0.07 4,856 0.53 1,891 0.21 147 0.02 의료시설

(병의원) 5,082 0.55 992 0.11 1,405 0.15 1,360 0.15 738 0.08 587 0.06 업무시설 40,621 4.43 6,356 0.69 7,773 0.85 15,784 1.72 5,235 0.57 5,473 0.60 교육시설 13,007 1.42 2,098 0.23 1,896 0.21 2,420 0.26 5,476 0.60 1,117 0.12 공중위생시설 1,552 0.17 362 0.04 457 0.05 351 0.04 162 0.02 220 0.02 교통시설 31,698 3.45 1,042 0.11 3,730 0.41 16,129 1.76 8,070 0.88 2,727 0.30 공공시설 3,981 0.43 746 0.08 907 0.10 1,063 0.12 746 0.08 519 0.06 종교시설 5,043 0.55 1,150 0.13 1,340 0.15 1,077 0.12 715 0.08 761 0.08

산업 및

생산시설 28,607 3.12 7,803 0.85 1,480 0.16 4,799 0.52 6,010 0.65 8,515 0.93 기타근린시설 102,089 11.12 14,591 1.59 18,609 2.03 34,851 3.80 17,512 1.91 16,526 1.80

<표 7> 대전광역시 건축물용도 현황

무시설(4.43%) 순으로 나타남

○ 동구는 단독주택의 비율이, 중구는 식품위생시설, 숙박시설, 의료시설, 공중위생시설, 종교시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성구는 교육시설이, 대덕 구는 산업 및 생산시설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서구는 단독주택을 제외한 모든 주거시설과 판매 및 의료, 업무시설, 교통 및 공공시 설, 그리고 기타 근린시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3) 건축밀도 및 노후도

○ 대전시 건물의 평균연면적은 104.68㎡이며, 유성구가 148.45㎡로 가장 높으며, 대덕구 (114.00㎡), 중구(92.70㎡), 서구(92.70㎡), 동구(75.56㎡) 순으로 나타남

(31)

대전시 평균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평균연면적(㎡) 104.68 75.56 92.70 92.70 148.45 114.00

평균지상층(층) 7.08 5.56 6.15 8.39 9.10 6.20

평균지하층(층) 0.32 0.29 0.37 0.41 0.26 0.27

건축노후도(년) 16.05 20.66 20.04 14.95 11.72 12.88

<표 8> 대전광역시 건축밀도 및 노후도 현황

대전시 평균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평균공시지가(원/㎡) 767,405 640,521 779,550 973,192 940,659 503,105

5만원이하(개) 3,152 619 248 743 743 799

20만원이하(개) 26,047 6,281 2,798 4,976 8,107 3,885 50만원이하(개) 239,764 45,292 45,430 54,112 24,529 70,401 80만원이하(개) 334,882 88,169 72,770 79,723 54,442 39,778 120만원이하(개) 184,669 16,899 23,157 88,486 48,110 8,017 200만원이하(개) 65,299 8,144 13,178 28,007 13,153 2,817 300만원이하(개) 63,238 3,930 2,074 48,027 8,789 418 500만원이하(개) 25,094 1,902 1,065 17,333 4,764 30

<표 9> 대전광역시 평균공시지가 현황

○ 대전시 건물의 평균 지상층은 7.08층으로 유성구가 9.10층으로 가장 높으며, 서구 (8.39층), 대덕구(6.20층), 중구(6.15층), 동구(5.56층) 순으로 나타남

○ 대전시의 건축평균 노후도는 16.05년이며, 동구가 20.66년으로 가장 오래되었으며, 중 구(20.04년), 서구(14.95년), 대덕구(12.88년), 유성구(11.72년) 순으로 나타남

4) 공시지가 현황

○ 대전시의 평균 공시지가는 767,405원/㎡이며, 서구가 973,192원/㎡로 가장 비싸며, 유 성구(940,659원/㎡), 중구(779,550원/㎡), 동구(640,521원/㎡), 대덕구(503,105원/㎡)순으 로 나타남

○ 1㎡당 20만원 이하의 필지는 주로 유성구와 동구에 주로 분포하고 있고, 50만원 이하 는 대덕구에, 80만원 이하는 동구, 서구, 중구 등에, 그리고 80만원이상 7000만원 이 하는 주로 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700만원 이상 필지는 주로 중구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32)

700만원이하(개) 2,894 286 826 1,782 0 0

1000만원이하(개) 1,671 2 1,666 0 3 0

[그림 3] 대전시 공시지가 분포 현황

5) 대전시 특정소방대상물 현황

○ 2010년 기준으로 대전시의 특정소방대상물은 총 38,793개소이며, 동구 4,955개소, 중 구 7,103개소, 서구 9,210개소, 유성구 9,554개소, 대덕구 7,971개소가 있음

(33)

○ 특정소방대상물이 가장 많은 법정동은 오정동(1,340개소), 월평동(1,059개소), 가양동 과 탄방동(973개소), 둔산동(967개소), 중리동(933개소) 순으로 나타남

구별 철근콘

크리트

벽돌,블

록,석조 목조 기타 지상층 지하층 대지

면적 연면적

동구 4,955 3,415 597 111 832 2.48 0.4 5,327.05 8,797.39 중구 7,103 5,092 865 158 984 2.38 0.40 7,048.10 2,057.52 서구 9,210 6,646 323 77 2,164 2.75 0.40 3,057.09 3,312.33 유성구 9,554 7,668 354 144 1,384 2.54 0.28 56,206.53 2,549.37 대덕구 7,971 5,449 895 197 1,430 2.08 0.39 3,406.16 2,700.27

<표 10> 대전광역시 특정소방대상물 현황

6) 대전시 주거환경 현황

○ 2010년 기준으로 대전시 총주택수는 421,620호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총주택

2000 11,472,401 1,973,179 830,243 545,012 632,134 338,078 333,537 239,031 2005 13,222,641 2,321,949 967,138 608,926 723,601 379,308 379,897 276,578 2010 14,677,419 2,525,210 1,031,331 691,702 822,552 443,925 421,620 310,952

빈집수

2000 513,059 56,642 25,031 14,223 18,053 13,741 12,814 9673 2005 727,814 79,800 53,651 18,192 36,049 12,993 16,267 14,017 2010 793,848 78,702 40,957 29,766 41,437 17,534 17,279 15,646 출처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표 11> 대전시 총주택수 및 빈집수 현황

(34)

[그림 4] 최근 10년간 대전시 총주택수 분포 변화

○ 대전시의 빈 집수 역시 2010년 기준으로 약 17,279호의 공가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 어 이들 빈집의 화재발생 우범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

○ 대전시 주택유형은 공동주택 비율(70.2%)이 가장 높고, 단독주택(19.5%), 다세대주택 (6.7%), 연립주택(2.6%), 비거주용 건물내 주택(1.0%) 순으로 나타남

○ 주택종류별 연면적은 60㎡~85㎡ 크기의 주택 비율(38.2%)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주택종류별

연면적 전국 총 주 택 수

(빈집 제외) 단독주택 공동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거주용 건

물내 주택 13,883,571 404,341 78,985 283,832 10,510 27,157 3,857

20㎡이하 26,008 473 221 106 13 28 105

20㎡~40㎡ 1,241,183 32,682 2,590 26,660 324 2,653 455 40㎡~60㎡ 4,080,204 101,811 6,816 78,713 4,151 11,662 469 60㎡~85㎡ 4,881,601 154,579 17,029 123,222 4,206 9,415 707 85㎡~100㎡ 1,018,083 24,137 11,123 9,266 826 2,285 637 100㎡~130㎡ 1,204,192 42,088 10,933 28,959 567 1,017 612 130㎡~165㎡ 829,434 28,281 12,779 14,753 183 65 501 165㎡~230㎡ 355,061 9,519 7,116 1,921 240 32 210 230㎡초과 247,805 10,771 10,378 232 - - 161 출처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010년

<표 12> 2010년 기준 대전시 주택의 종류 및 연면적 현황

○ 대전시의 단독주택은 주로 동구와 중구, 그리고 서구의 갈마동, 괴정동, 내동, 가장 동, 변동, 도마동 일대에서 주로 분포

(35)

○ 다세대주택 역시 단독주택의 입지 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면서 단독주택과의 주 거혼재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연립주택의 경우, 대덕구 덕암동 및 비래동 일대, 동구 가양동 일대, 중구 산성동 일 대, 서구 갈마동 일대, 그리고 유성구 온천1동 일대에 주로 집중하여 분포하고 있음

○ 공동주택은 서구 둔산동 일대와 중구 태평 및 문화동 일대, 대덕구 송촌동 일대, 동 구 판암 및 가오동 일대, 그리고 유성구의 노은, 진잠, 관평동 일대에 주로 입지하고 있음

○ 최근의 멸실 주택수 현황을 살펴보면, 타 도시들에 비해, 다소 멸실율이 높은 편으로 주로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의 멸실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이는 주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 사업과 주택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멸실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그림 5] 대전시 단독주택 분포 현황(2010) [그림 6] 대전시 다세대주택 분포 현황(2010)

(36)

주택 유형 합계 2010년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1995

~2004년 1980

~1994년

1979년 이전

13,883,571 205,476 347,381 407,692 385,733 382,879 444,999 5,383,734 4,976,596 1,349,081 단독주택 3,797,112 35,391 46,175 51,969 51,667 44,699 72,049 876,094 1,455,633 1,163,435 아파트 8,185,063 155,385 271,236 313,593 311,883 320,070 347,061 3,652,353 2,690,159 123,323 연립주택 503,630 1,762 4,332 4,970 2,895 2,649 3,947 146,533 303,181 33,361 다세대주택 1,246,486 11,527 23,583 34,431 16,633 13,020 17,734 658,668 462,913 7,977

비거주용 151,280 1,411 2,055 2,729 2,655 2,441 4,208 50,086 64,710 20,985

404,341 6,373 3,175 7,544 10,139 17,511 15,569 130,837 186,316 26,877 단독주택 78,985 950 812 817 706 718 1,316 16,160 34,726 22,780 아파트 283,832 5,369 2,233 6,637 9,088 16,603 13,551 100,060 127,604 2,687 연립주택 10,510 - 4 8 154 22 64 2,480 7,095 683 다세대주택 27,157 32 96 37 155 121 553 10,900 15,068 195 비거주용 3,857 22 30 45 36 47 85 1,237 1,823 532 출처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010년

<표 13> 2010년 기준 대전시 건축년도별 주택수(빈집 제외)

[그림 7] 대전시 연립주택 분포 현황(2010) [그림 8] 대전시 공동주택 분포 현황(2010)

(37)

구분 단독 다가구 연립 다세대 아파트 2010 2011 2010 2011 2010 2011 2010 2011 2010 2011 2010 2011 전국 62,485 76,662 44,981 48,885 7,327 13,882 1,704 2,660 1,349 3,936 7,124 7,299 수도권 23,762 37,501 15,214 16,062 5,016 9,993 1,421 2,324 985 3,434 1,126 5,688 지방 38,723 39,161 29,767 32,823 2,311 3,889 283 336 364 502 5,998 1,611 서울 12,571 22,626 6,970 8,151 3,036 6,382 932 1,746 727 2,207 906 4,140 부산 5,885 4,988 3,540 3,155 200 629 113 54 13 214 2,019 936 대구 3,451 3,332 1,720 1,967 763 1,071 24 - 34 39 910 255 인천 2,007 3,047 1,148 1,682 303 595 205 110 171 555 180 105 광주 1,524 1,265 1,406 1,204 104 35 - 4 14 22 - - 대전 2,894 1,851 1,777 964 806 836 65 2 - 49 246 - 울산 1,595 1,395 575 1,234 61 119 3 40 16 2 940 - 출처 : 통계청,『주택통계 월보』, 2012.8월 기준

<표 14> 전국 건축물 멸실 주택수 현황

[그림 9] 거주환경 열악한 저층 주거 밀집지역 [그림 10] 노후화 비율이 높은 저층 주거지역

(38)

[그림 11] 공동주택 노후도 분포 현황(2012) [그림 12] 대전시 공동주택 동수 분포 현황

[그림 13] 공동주택 세대수 분포 현황 [그림 14] 공동주택 층수 분포 현황

○ 특히 그림 8과 그림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량한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한 화재예방

(39)

활동의 강화가 필요

○ 또한, 최근 원도심 지역의 공동주택 노후화 현상 가속화 및 탑상형 고층 공동주택 유형의 일반화, 그리고 유성구와 서구 일대의 나홀로형 입지 형태를 보이고 있는 도시형생활주택 에 대한 화재점검 및 예방활동 강화 노력이 필요

5. 대전시 도시개발사업 현황

1) 주거환경정비사업 및 도시재정비 촉진사업 추진현황

○ 2010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지정된 총 202개 구역 중 정비사업이 추 진 중인 구역은 71개 구역으로 전체의 35%에 그치고 있고, 재정비 촉진지구 편입은 49개 구역으로 24%만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미추진 구역은 82개소로 전체의 41%

에 달하고 있으며, 재정비촉진지구의 경우 2010년 12월 현재 총 9개 지구로 면적은 11.3㎢에 이르고 있음

사업별 합계

추진 구역

촉진 지구

미추진 소계 추진위 구역

원회 구역 지정

조합 설립

시행

인가 공사중 준공

합계 202 71(35%) 25(12%) 46개소(23%)

49(24%) 82(41%)

30 4 5 3 4

도시환경정비 35 8(23%) 5 2 - 1 - - 12(34%) 15(43%)

소계 167 63(38%) 20 28 4 4 3 4 37(22%) 67(40%)

주거 환경 정비

주택재개발 76 24(31%) 6 14 3 1 - - 14(18%) 38(50%)

단독재건축 55 17(31%) 7 9 - 1 - - 20(36%) 18(33%)

공동재건축 23 10(43%) 7 - 1 1 1 - 3(13%) 10(43%)

주거환경개선 13 12(92%) - 5 - 1 2 4 - 1(8%)

출처 : 2020 대전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2010.

<표 15> 대전시 정비사업 추진현황

수치

[그림  2]  대전시  최근  10년간  총사업체수  변화구분사업체수 종사자수2009년2010년증감률2009년 2010년 증감률합    계93,176 95,650 2.7  468,501 492,722  5.2  (100.0) (100.0) (100.0) (100.0) 동    구16,774 17,091 1.9 61,175 65,390 6.9 (18.0) (17.9) (-0.1)(13.1) (13.3) (0.2)중    구18,288 18,350 0.3
[그림  4]  최근  10년간  대전시  총주택수  분포  변화 ○ 대전시의 빈 집수 역시 2010년 기준으로 약 17,279호의 공가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 어  이들  빈집의  화재발생  우범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 ○ 대전시 주택유형은 공동주택 비율(70.2%)이 가장 높고, 단독주택(19.5%), 다세대주택 (6.7%),  연립주택(2.6%),  비거주용  건물내  주택(1.0%)  순으로  나타남 ○ 주택종류별 연면적은 60㎡~85㎡
[그림  11]  공동주택  노후도  분포  현황(2012) [그림  12]  대전시  공동주택  동수  분포  현황
[그림  24]  화재출동시간  5분이상비율 [그림  25]  각  안전센터별  구조인원  실적 ○ 소방동원수에 있어서는 갈마(12,220명), 삼성(7,608명), 복수(7,542명), 구암(5,685명),  송촌(5,540명), 탄방(5,520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소방동원수는 문평(28.1명), 태 평(28명), 월평(26.4명), 삼성(25.8명), 갈마(25.6명), 부사(25.5명), 복수(25.3명), 탄방 (25.1명)순으로  나타났음
+7

참조

관련 문서

At first, I arrang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 in the port of Busan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study on the function

아울러, 부산시는 한일 정기해상여객운송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원조례를 제 정하여, 현재 부산시가 지원하고 있는 타교통수단에 대한 재정지원이나

Secondly, the important factors to attract T/S cargo at Kwangyang Port are geographical location, promotion activity to introduce Port and expansion of

Table 4.16 Fuel consumption changes data according to change of electric load · · · ·41 Table 4.17 Fuel consumption changes according to change of electric load · · · ·42

가상공간을 아용한 사기 사례는 전자무역을 활성화하는데 장애요인이 될 수 있 다. 왜냐하면 각국들이 전자무역의 기반인 신뢰성이 확보되지 못한다고 인식할 경

Diehl-Leistner, Internationales Factoring, Europä isches Wirtschaftsrecht, (Munich, Germany), Bd... 단순히 자금융통을 위하여 발행되는

중국 기업과 경쟁심화,원가 부담 증가 등 중국 사업에 있어 직면하게 될 리스 크는 해를 거듭할수록 커질 전망이다.특히 중국 사업 관련 리스크는 정부의 정책

전자무역의 가상공간에서도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기업의 성패와 전자무 역 발전을 가늠한다. 소비자들이 두 번째로 크게 지적한의 바로 전자무역 회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