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프가니스탄 아프간근현대사 ➊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아프가니스탄 아프간근현대사 ➊"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2021- 04호

아프가니스탄

2021.7.30.(금)

※ 동 자료는 러시아 기관 공표자료, 언론 등을 정리한 것으로, 외교부 입장과 무관합니다.

최근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NATO군 철수가 가시화되면서 아프간 지역 정세 변화가 감지되는 가운데, 역내 주요국인 러시아도 상황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러시아와 아프가니스탄 관계를 중심으로 ①아프간 근현대사 ②평화 프로세스 ③최근 동향을 살펴본다.

아프간 근현대사

올해 아프가니스탄과 수교 102주년을 맞은 러시아는 한 세기에 걸쳐 아프가니스탄을 무대로 미국, 영국 등 서방과 경쟁하는 가운데, 내부정세에도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며 존재감 부각

대영제국보호국 (아프가니스탄토후국)

(1897~1919)

◦ 19세기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한 대영제국과 중앙·남아시아로 남하하던 러시아제국 간 각축 과정에서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국경 형성

◦ 소련은 1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아프가니스탄과 수교(1919) 이후 산업․농업․자원․교육․군사 등 전 분야에서 對아프간 지원

러시아제국 (1721~1917) 아프가니스탄왕국

(1926~1973)

소비에트연방 (1917~1991) 아프가니스탄공화국

(1973~1978)

◦ 1973년 쿠데타로 왕정을 폐지하고 등장한 아프간 신정부는 對소 의존을 줄이기 위해 소련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외교 시도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1978~1992)

◦ 1978년 親소 공산주의 세력이 쿠데타로 권력 장악 후, 소-아프간 관계 강화

◦ 1979년 이란 이슬람혁명 여파로 발호한 아프간內 반정부 이슬람 세력(무자헤딘) 정부가 충돌하는 가운데 소련의 개입으로 아프간 전쟁(정부(소련)-무자헤딘) 시작

◦ 1988년 「아프간 문제의 정치적 해결에 관한 협약」*에 따라 소련 철군 개시 * UN 중재로 소련·미국 보증 하에 파키스탄과 아프간 정부가 체결한 협약으로, 소련군 철수 등 합의

◦ 1989년 철군완료 후에도 지속된 소련의 對아프간 정부 군사지원이 1992년 중단 되면서, 무자헤딘이 정부군과의 내전에서 승리하며 이슬람국 수립

◦ 이슬람국 수립 후 무자헤딘 파벌 간 내전(1992~1996)이 지속되던 가운데, 1994년 극단주의 무장단체 탈레반이 등장하여 세력 확대

러시아연방 (1991~현재)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1992~1996)

아프가니스탄 이슬람토후국 /북부동맹 (1996~2001)

◦ 1996년 국토 대부분을 점령한 탈레반이 이슬람토후국을 선포하였으며, 이에 무자 헤딘측은 반탈레반 북부동맹*을 결성하고 탈레반과 내전 지속

* 러시아, 러 정부의 체첸반군 소탕(’99) 관련 대러 성전을 선언한(’00) 탈레반의 적인 북부동맹 지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공화국 (2001~현재)

◦ 2001년 9.11 테러 직후 미국-아프간 전쟁*으로 탈레반 정권 전복

* 2001.10월 전쟁개시 후 러시아는 미국과 ‘테러와의 전쟁’을 지지하는 공동성명 채택하고, 2003년 이래 탈레반을 불법 테러단체로 지정 중

◦ 러시아는 군사·교육·인도적 지원* 등 분야에서 아프간 정부와 협력 강화 * 2002~2009년 러시아의 對아프간 군사지원 약 2억 달러, 인도적 지원 약 4천만 달러 상회 /

2007년 러시아는 110억 달러에 이르는 아프가니스탄 채무 탕감

◦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대한 아프간 정부의 지지 표명, 러-아프간 정상 회담* 등을 통해 양국 간 우호 관계 형성 * 2001~2015 다양한 계기 양자정상회담 16회 개최

(2)

2

평 화 프로세스

러시아는 민족자결주의에 입각한 아프간 내부대화를 통해서만 분쟁해소가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평화 프로세스에 기여 중

■ (對아프간 이해관계) 러시아는 아프간 정세불안정이 중앙아시아로

전이·확산될 가능성 경계

○ 아프가니스탄에서 ▴극단주의 ▴난민* ▴마약** 등이 중앙아시아로 유입될 경우 발생하는 정세불안정이 궁극적으로 자국 안보를 위협할 가능성을 우려

* 유엔난민기구(UNHCR), ’21.7월 현재 아프간 국내피난민 약 350만명으로 추정/

타직 정부, 상황 악화시 중앙아로 유입되는 아프간 난민이 수십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2020년도 아프간 내 마약 재배면적이 전년대비

35% 증가(생산량 6.3천톤 추정)

■ 러시아의 아프가니스탄 평화 프로세스 관련 노력 및 성과

노력 성과

2016 ◦ 러시아는 아프간정부-탈레반 간 대화를 요구하는 미국 주도 4자회의(미·아프간·중·파)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평가

▸ 러 주도 6자회의(러·아프간·중·파·이란·인도) 개최 통해 대안 모색 : 모스크바협상포맷 출범

2017

~ 2018

◦ 모스크바협상포맷 개최

- 1차(2017.4월) : 아프간(정·탈) 불참, 11개 관계국 참석 - 2차(2018.11월) : 탈레반 및 미국(옵저버) 참석, 아프간정부 불참

▸ 러시아 중재로 탈레반이 국제회의에 최초로 공식 참석하며, 아프간 평화프로세스 진전의 단초 마련

2019

◦ 러 거주 아프간⼈ 주도*Intra-Afghan 대화 포럼 개최(’19.2월, 모스크바) * 러 정부는 직접 관여 부인

- 아프간 유력정치인* 및 탈레반 대표 참석 / 아프간정부 불참 * 카르자이 전 아프간 대통령 등

▸ 아프간 정치인-탈레반 대표 회동 계기 마련

2019

~ 2021

◦ 최근 3년간 8차례에 걸쳐 개최된 트로이카(러·미·중), 확대트로 이카(+파키스탄)에 적극 참석

▸ 최근 모스크바 개최 확대트로이카(’21.3월)에는 아프간 정부 및 탈레반도 참석(게스트)

▸ 아프간정부-탈레반 평화협상* 3회 개최

* ’20.2월 미국-탈레반 평화약정 체결로 직접협상 개시(’20.9월)

■ 아프간 평화정착 및 경제재건 관련 국제회의에 러시아 참석 동향

○ (중동-이스탄불프로세스*) 최근 동 회의

(’21.3.30.)

에서 도출된 아프간 평화프로세스 지지 공동성명 참여

* 역내안보 및 경제협력에 아프간의 참여 견인을 목표로 2011년 아프가니스탄과 터키 주도 下 출범

○ (상하이협력기구/SCO) 아프간의 정회원 가입을 지지하며, ’19.6월 채택한 「SCO-아프간 접촉그룹* 로드맵」 이행 강조**

* SCO는 2005년부터 아프간의 경제지원, 테러·마약문제 해결 논의를 위한 「SCO-아프간 접촉그룹」을 설치·운영 중 ** 최근 회의(’21.7.14.)에서 동 로드맵 이행 및 아프간 문제 해결 원칙에 관한 공동성명 참여

○ (우즈벡 주최 연계성회의*) TAPI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

가스관 건설에 관심 표명

* 올해 7월 우즈벡이 주최한 고위급 국제회의로, 참석자(러·미·중·EU·이란·인도·중앙아5 등) 간 아프간 경제회복에 공감대 확인

<아프가니스탄 관련 국제·지역기구(회의) 주요국 참여 현황>

아프간 러시아 미국 중국 카자흐 키르기즈 타직 우즈벡 파키 이란 인도

모스크바협상포맷 정+탈 ○ ○ ○ ○ ○ ○ ○ ○ ○ ○

확대트로이카 정+탈 ○ ○ ○ ○

중동-이스탄불프로세스 정 ○ ○ ○ ○ ○ ○ ○ ○ ○

상하이협력기구 정(옵) ○ ○ ○ ○ ○ ○ ○ ○

우즈벡 주최 연계성회의 정 ○ ○ ○ ○ ○ ○ ○

<인접국 지도>

(3)

3

최근 동향

러시아는 미·NATO군 철수에 따라 아프간 정세불안정 심화를 우려하며, 아프간 정부 및 탈레반 모두와 접촉하는 동시에 우방국과 공조하는 등 상황변화에 기민하게 대응 중

■ 아프간 주둔 미·NATO군 철수가 진행됨에 따라, 탈레반이 급격히 세력을 확장하는 추세

<평화약정 이행 경과>

○ (탈레반) 아프가니스탄 전체 영토의 약 85% 통제

(7.9.),

국경 90% 장악

(7.22.)

발표

○ (아프간정부) 상하이협력기구 회의

(7.14)

, 우즈벡 국제회의

(7.15~16.)

등 참석 계기, 탈레반의 적대행위 비판 ○ (평화협상) 최근 개최된 아프간 정부-탈레반 간 평화협상

(7.18~19.)

에서 정전

(停戰)

합의 불발

■ 러시아는 아프간 정세 안정화 및 역내안보 유지를 위해 기민하게 대응 중

○ 러, 아프간 정부 및 탈레반 모두와 접촉을 통해 아프간 정세 안정화 노력

- (對탈레반) 탈레반 대표단 방러

(7.9.)

시, 탈레반의 ▴중앙아 불침 ▴테러세력 제거·위협차단 ▴아프간 내 외교단 안전보장 등의 약속을 견인

- (對아프간정부) 러 외교장관은 아프간 대통령 면담

(7.16.)

시 아프간 북부 국경지역 긴장 고조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아프간 직접협상 가속화 강조

※ 최근 러 카불로프 대통령(아프간문제)특별대표는 카르자이 前아프간대통령과 면담(7.28.) 시, 연립 과도정부 출범을 통한 아프간 문제해결 강조, 카르자이는 평화협상 속개를 위한 확대트로이카 노력지지 및 모스크바협상포맷 중요성 강조

○ 러, 집단안보조약기구

(CSTO)

·상하이협력기구

(SCO)

회원국들과 역내안보 유지를 위한 군사협력 추진 - 러-타직-우즈벡 합동군사훈련

(8.5~10.)

, SCO 회원국 합동군사·대테러 훈련 예정

(9.11~25)

- 러, 타지키스탄*에 양자·CSTO 차원의 국경수비 지원 강화**

* 타직 대통령, 타직-아프간 국경은 완충지로서 CIS 및 EU 국가들에게도 매우 중요함을 강조(7.16)

** 타직 국경 인근에는 러시아의 ‘201 군사기지’가 주둔하며, 현재 「타직-아프간 국경기지 건설 목적 무상지원에 관한 러- 타직 정부간 협정」 체결 준비 중

(4)

4 참 고 문 헌

- kremlin.ru (크레믈) - mid.ru (러시아 외교부) - news.un.org (UN 뉴스) - paodkb.org (집단안보조약기구) - unodc.org (유엔마약범죄예방기구) - sectsco.org (상하이협력기구)

- Joakim Brattvoll(2016), Is Russia Back in Afghanistan?, PRIO Policy Brief, 04/2016 - 서점교(2009),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와 분쟁, 군사연구 제128집

- Талибы объявили России священную войну (탈레반, 러시아에 성전 선언), <lenta.ru>, 2000.2.15., https://lenta.ru/

news/2000/02/15/taliban/

- Афганистан поддержал присоединение Крыма к России (아프가니스탄, 러시아의 크림합병지지), <RBK>, 2014.5.25., https://www.rbc.ru/politics/25/03/2014/57041a0b9a794761c0ce84fa

- Москва поддержит Кабул на пути в ШОС (모스크바는 아프가니스탄의 SCO 가입을 지지할 것), <Известия>, 2017.10.18. https://iz.ru/657685/georgii-asatrian-nataliia-portiakova/rossiia-poberetsia-za-mesto-afganistana-v-shos - Георгий Асатрян, Россия определилась с афганским форматом (러시아, 아프간 포맷 정해), <Известия>,

2017.10.20., https://iz.ru/660507/georgii-asatrian/rossiia

- Московский неформат (모스크바 언포맷), <Коммерсантъ>, 2019.2.6. https://www.kommersant.ru/doc/3874650 - Межафганская конференция в Москве. Большие ожидания и восточный колорит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국제회의,

큰 기대와 동양적 색조), <TASS>, 2019.2.6., https://tass.ru/politika/6081993

- Историческое соглашение: США и талибы договорились о сроках вывода американских войск из Афганистана (역사적 협약: 미국과 탈레반,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 철수기한 합의), <BBC>, 2020.2.29., https://www.bbc.com/russian/ne ws-51674617

- "Талибан" заявил о своем контроле над 85% территории Афганистана (‘탈레반’, 아프가니스탄 영토 85% 통제 발 표, <Interfax>. 2021.7.9., https://www.interfax.ru/world/777174

- Петр Акопов, Что делать Средней Азии с "американскими" афганскими беженцами? (중앙아시아는 ‘아메리칸’

아프간 난민을 어찌할 것인가?), <RIA Novosti>, 2021.7.14., https://ria.ru/20210707/bezhentsy-1740248579.html - Аександр Саможнев, В ООН предупредили о риске массового исхода беженцев из Афганистана (UN은 아프

가니스탄으로부터 대규모 난민 발생 리스크 경고),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2021,7,14, http://rg.ru/2021-07-14/v-oon -predupredili-o-riske-bezhencev-iz-afganistana.html

- Александр Балиьов, Беженцы идут на север: Душанбе укрепляет границу с Афганистаном (북으로 가는 난민 : 두샨베는 아프간 국경 강화), <Vesti.Ru>, 2021.7.16., http://www.vesti.ru/article/2589171

- Участники межафганских переговоров договорились о продолжении диалога (아프간 민족 간 협상 참석자들, 대화 이어가기로 합의, <Известия>, 2021.7.18., https://iz.ru/1194823/2021-07-18/uchastniki-mezhafganskikh-peregovor ov-dogovorilis-o-prodolzhenii-dialoga

- "Талибан"* заявил, что контролирует 90% границы Афганистана (‘탈레반’, 아프가니스탄 국경의 90% 통제 발표),

<RIA Novosti>, 2021.7.22., https://ria.ru/20210722/afganistan-1742384166.html

- Андрей Руденко: Россия поможет укреплять обороноспособность Таджикистана (안드레이 루덴코 : 러시아는 타지키스탄 방위력 강화를 도울 것), <RIA Novosti>, 2021.7.22., https://ria.ru/20210722/rudenko-1742316290.html?in=t

- Александр Хроленко, Талибы наступают, США бомбят города: 100 тысяч беженцев - только начало (탈레반 은 공격, 미국은 폭격: 10만 난민은 시작에 불과), <Sputnik>, 2021.7.27., http://sputnik-ossetia.ru/columnists/2021072 7/12570022/Taliby-nastupayut-SShA-bombyan-goroda-100-tysyach-bezhentsev-tolko-nachalo.html

참조

관련 문서

- 칼리예프 특별 대표는 카자흐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정세 안정화를 돕기 위한 국제 적 노력을 지지하며, UN 후원 하 국제 인도지원의 안전한 전달을 위한 알마티 통 합 국제

The Nepal Electricity Authority (&#34;the Employer&#34;) invites sealed bids from eligible bidders for the construction and completion of Supply, Delivery,

[r]

[r]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Theories and

블록체인 기술은 보안, 금융, 의료 분야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거론되지만 법으로 열거한 신성장 R&amp;D 기술에 해당되지 않아

Measurement device: Continuity test; test current up to 0,1A (option 3A), resistance from 10mOhm Insulation measurement; test voltage up to 750V, resistance up to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