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전정보의 전달 및 단백질의 합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유전정보의 전달 및 단백질의 합성"

Copied!
1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유전정보의 전달 및 단백질의 합성

생명과학의 기초 생화학

Chapter 5

(2)

5장의 개요

5.1 전사와 RNA의 가공처리 5.2 유전자코드와 단백질합성 5.3 유전자발현의 조절

(3)

5.1 전사와 RNA의 가공처리

RNA중합효소

- β’-소단위체: DNA주형의 부착

- β–소단위체: 촉매활성부위를 갖고 있음

- σ-소단위체: DNA의 특수부위에서 합성의 개시 - (α2

ββ

’) : 중심효소

- (α2

ββ

’σ) : 완전효소

- 비대칭전사: DNA 중 한 가닥만 전사 - σ 인자와 같이 개시되는 RNA사슬

 특수한 증진자 위치에서 완전효소가 비대칭적 전사

(4)
(5)
(6)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전사

- RNA중합효소: 전사버블(bubble)의 형성 - RNA합성시 프라이머 없이 이중가닥의

DNA주형

- DNA의 특정한 증진자(promoter)지역에서 전사개시

- 증진자 지역

 6~10개 염기쌍의 이중가닥이 풀림

(7)
(8)

1. 개시와 연장과정

- 증진자지역: 시그마인자의 부착

 지역 및 근처의 DNA를 푸는 데 관여

 시그마인자 때문에 읽어야 할 한 가닥을 인식 - -10 ~ -35의 중간 여섯 개의 염기쌍

- 증진자의 염기순서

- 전사조절의 능력: 증진자의 염기순서 효율과 강도에 따라 좌우, -10과 -35는 강력한 증진자

(9)
(10)

- 증진자 사이의 거리: 대부분 17개의 염기쌍 - RNA 5’말단: pppA와 pppG를 갖게 됨으로써

RNA중합효소 α2

ββ

’초기에 ATP와 GTP가 증진자 지역에 부착  σ인자가 보조역할

- RNA의 합성속도 ∝ 개시속도

- 중합효소가 떨어져 나가게 되면 다음 번째의

중합효소분자는 같은 증진자지역에 부착될 수 있고, 효소는 시작되는 지역으로 이동

(11)
(12)

2. 전사의 종결

- 로(ρ)인자(200,000D, 올리고머단백질) 중합효소와 DNA주형에서  합성된 RNA를 배출시키는 기능 - 단일가닥 RNA가 존재할 때 로(ρ) 단백질은 ATP를

가수분해  헬리케이스의 활성 - RNA-DNA혼성 나선의 파괴

(13)
(14)

3. 진핵생물에서 전사

- RNA중합효소 I :

핵소체에 있음. Mn2+,Mg2+ 모두 필요로 함.

500,000~700,000D  라이보솜의 RNA합성

- RNA중합효소 II : 핵 원형질. Mn2+이 필수적. 700,000D.

α-아미니틴에 의해 민감하게 방해  mRNA합성에 관여 - RNA중합효소 III : 핵 원형질, tRNA, 5SRNA의 합성에 관여 - RNA중합효소 IV :

내부 마이토콘드리아막에 위치, DNA의 비대칭전사에 관여 - 전사종결부위가 없음  효소의 RNA절단, 효소작업중지

(15)

전사의 조절

- RNA의 합성조절, 전사 후 가공처리가 진핵세포와 원핵세포가 다름

- 대장균 증진자  -10지점의 여섯 개 서열

 프립노우상자(pribnow box),

TATAAT(앞의 TA와 마지막 T가 보존성) - 대장균에서 전사의 효율

 증진자가 완전효소에 얼마나 안정한 개시복합체를 만드는가에 좌우,

σ인자에 의해서 전사될 유전자 결정

(16)

진핵세포의 전사의 조절 - σ인자 없음

- 구조유전자 전사개시지역 위쪽에

GGGCGG서열을 갖거나 GC상자의 서열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가짐, 원핵세포의 증진자와

유사한 기능을 가짐

- AT가 풍부한 개시지역  25 또는 30bp 떨어진 TATA상자  전사개시지역에서 -27, -10bp에 위치(원핵세포의 TATAAT와 비슷)

- 많은 진핵세포 -70과 -90 사이에

CCAAT(CAT상자)의 보존된 서열을 가짐

 서열이 바뀌면 효율이 크게 감소

(17)

증강인자(enhancer)

- 위치와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전사조절인자

- 전사개시지역으로부터 상부나 하부 쪽으로 수천 염기쌍 떨어져 있어도 효과는 동일

- 증진자와 다른 점:

(1) 부위특이적

(2) 증진자와 연계

(3) 특정조직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18)

전사활성인자(transcription factor) - 진핵세포에서 특정유전자 선택적으로 발현 - 같은 세포의 서로 다른 개체에서 특수한

단백질의 합성은 109배 차이 - 전사활성인자와 관련 단백질

 DNA증진자 지역에서 선택적으로 결합

 전사활성인자 복합체  σ인자의 기능 - 증진자에 처음 결합하는 전사인자

TATA-결합단백질(TBP)

 TATA상자에 결합

 전사개시지역 탐색, TFIIA, TFIIB, TAF, TBP, RNA중합효소II와 개시복합체 형성

(19)
(20)
(21)

중개인자의 발견  콘버그(R. Kornberg) - 20여 개의 단백질 집합체

- 모든 진핵세포에 존재

- DNA에 부착  유전자 특수전사활성인자의

신호를 RNA중합효소와 일반적 전사활성인자에 보내는 역할

- 전사개시 집합체구성:

1. DNA 2. 전사활성인자, TBP, TFIIB, E, F, H 3. 중개인자 4. RNA중합효소II

5. 증강인자

(22)
(23)

전사조절의 중요성 - 전사의 정지: 세포의 생존과 밀접함

 독버섯의 독소, α-아미니틴은 RNA중합효소 II의 강력한 방해제

- DNA  단백질: 전사과정에서만 조절 가능 - 암세포의 성장: 전사과정이 왕성

- 심장병: 전사조절이 문제 - 줄기세포:

각각 다른 기관에서 다른 특수세포로 발전되는 능력  전사조절이 관여

(24)

전사 후 RNA 가공처리

- 진핵세포 핵에서 mRNA의 가공처리, 실제 번역은 세포질에서 일어남

- 5’-5’-삼인산 다리  첫 5’-뉴클레오타이드에

7-메틸구아노신  진핵세포에서 개시지역의 신호로 기능  외부핵산가수분해효소로부터 보호

- 켑의 생성: (1) RNA삼인산가수분해효소에서 5’말단의 첫 번째 인산기의 제거

(2) mRNA 구아닐화로 5’-5’다리 형성

(3) 구아닌 7-메틸전달효소  SAM으로부터 구아닌의 메틸화

(4) 전사체 처음과 두 번째 뉴클레오타이드의 O2-메틸화 - 진핵세포의 mRNA는 3’-말단에 250nt의 폴리A꼬리

(25)
(26)

진핵세포의 유전자 - 발현서열(exon)

- 개재서열(intron, intervening sequence) - 1977년 샤프와 로버츠:

전사초기에는 개재서열을 포함한 전체 유전자의 mRNA가 얻어짐, 그 후에 번역에 필요한

발현서열만으로 mRNA 만듦

(27)
(28)

이어맞추기(splicing) - 성숙된 mRNA

- 발현서열의 이어맞추기

- 발현서열-개재서열 접합부

 5’쪽 경계지점에 GU, 3’쪽에 AG의 구조 - 이 서열은 이어맞추기접합부 인식에 필요

(29)
(30)

개재서열이 제거되는 메커니즘 - 개재서열의 아데노신잔기는 구아노신의

결합으로 절단, 5’ 발현구역의 가닥이 배출 - 발현구역의 3’-OH기는 발현구역의 5’말단

인산기와 인산다이에스터결합 형성 - 개재서열은 올가미형태로 제거

(31)
(32)

스플라이스오솜(spliceosome) - 소핵질 라이보뉴클레오타이드(snRNA)

 유리딘이 많은 U1-snRNA의 5’끝은

5’-이어맞추기접합부의 공통서열과 상보적 - U1-snRNP의 이어맞추기접합부 인식

- mRNA의 이어맞추기에 쓰이는 네 개의 snRNPs는 snRNA중심단백질과 같은 단백질

- 중심단백질은 sn단백질 B,D1,D2,D3,E,F,G로 구성 - snRNA요소  잘 보존된 AAUUUGUGG서열에 결합 - 이 서열은 snRNA 중 U1-, U2-, U4-, U5-에 존재

(33)

구조유전자의 비교 - 원핵세포의 구조유전자

 개재서열이 거의 없음

- 진핵세포에서 개재서열이 없는 유전자

1. 히스톤. 2. 인터페론(항 바이러스 단백질) - 척추동물의 유전자: 발현되지 않은 서열이 80%

(34)

유전자 이어맞추기의 생체에서의 역할 - 단백질의 진화를 빠르게 하는 데 기여.

진핵세포의 많은 단백질  모듈로 구성

 신호전달체계의 단백질들이 SH2, SH3(Src homology domain)를 가짐,

인접한 개재서열 사이에서 재조합을 통하여 발생 - 하나의 유전자에서 기능이 다른 몇 가지 단백질을

만들기 위하여 변형된 이어맞추기 방법이 사용됨

(35)

1. 라이보솜의 RNA 가공처리

- 대장균에서 새로 합성되는 RNA의 40%가 rRNA

- 전사인자 프사이(Ψ)에 의해 rRNA합성 수백배 증가 - 대장균에는 5S, 16S, 23S rRNA

- 가공처리단계에 내부핵산가수분해효소 관여 - 초기에 RNase III, P, E, F

- 성숙된 rRNA  RNaseD, M16, M23, M5

(36)
(37)

진핵성 rRNA의 가공처리 - 45S 일차전사체 가공처리

 18S, 5.8S, 28S rRNA

- 소수의 진핵성 rRNA의 유전자가 개재서열을 가지며, 자기이어맞추기를 통하여 가공

- 1982년 첵(Tomas Cech):

섬모층의 RNA  라이보핵산의 절단기능 발견

(38)

2. 전달RNA의 가공처리

- tRNA의 5’말단생성

 RnaseP(핵단백질)  RNA의 절단

- 진핵세포  일차전사체의 5’말단과 3’-말단 작은 개재서열  가공처리과정에서 제거

- tRNA뉴클레오타이드전달효소

 3’OH말단에 –CCA 한 개씩 첨가

- 여러 변형: SAM tRNA와 mRNA의 염기들에 메틸화 - 일부 황 포함 tRNA  싸이올레이스

-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인산분해효소

 가역반응으로 촉매 RNA합성

(39)
(40)

5.2 유전자코드와 단백질합성

유전자코드

- 네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 20개의 아미노산, 43 = 64개의 코드 - 1961년 니렌버그(Nirenberg)의 실험 - 대장균의 단백질합성체계 사용

 방사성으로 표지된 아미노산과

폴리유리딜산(poly U)의 혼합물 첨가 - 사용된 아미노산들  페닐알라닌

- 세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 최소단위

(41)

- 코라나(Khorana)의 코돈의 합성

 CUC UCU CUC  루신과 세린만 합성 - 61개는 아미노산을 지정

- 3개는 종결코돈: UAA, UAG, UGA  무의미코돈 - 루신: 여섯 개  세 번째 염기의 퇴화

- 페닐알라닌의 코드 UUC, UUU

 세 번째 위치에 들어 맞는 것을 동요(wobble) - 코돈은 XYA 또는 G, XYU 또는 C

- 안티코돈에 I  U, A, C와 모두 수소결합

(42)
(43)
(44)

- AUG코돈:

개시코돈 fMet-tRNAfMet 또는 fMet-tRNAmMet

 메싸이오닌의 운반체, 개시코돈

 개시인자 IF1, IF2, IF3 또는 mRNA의 이차구조가 정확한 AUG를 선택 사용

-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잔기를 갖는 아미노산들은 U나 C를 두 번째 염기로 가짐

 가지사슬의 메틸그룹을 갖는 아미노산은 U를 두 번째 염기로 가짐

 염기성, 산성 아미노산은 A나 G를 두 번째 염기로 가짐

(45)
(46)

tRNA의 아미노아실화

- 활성화된 아미노산

 해당 아미노아실 tRNA합성효소를 인식 - 특수아미노산에 맞는 자신의 해당하는

안티코돈이 mRNA 염기순서에서 정확한 코돈을 인식

- 성장하는 펩타이드사슬

 번역과정의 라이보솜에 부착

(47)

- 아미노산-아데닐산-효소축합체의 형성

 상당한 특이성을 가짐 - 효소의 특이성:

1. 활성화 단계

2. 아미노산 tRNA합성효소단백질

 특수한 아미노산 인식, 특수한 tRNA 인식

(48)
(49)

라이보솜의 구조

- 라이보솜: 세포에서 가장 큰 분자의 단위체인 라이보핵단백질,

세균에서 ~2.5 x 106D,

진핵세포에서 3.9 ~ 4.5 x 106D

- 16S 라이보솜RNA의 이차 구조 30S 와 비슷 - 삼차구조  전자현미경 관찰  직경 250Å

 X-선회절분석으로 삼차구조를 얻기 위하여, 1980년 요나(Yonath)에 의해 결정 얻어짐

(50)
(51)
(52)

원핵세포의 30S와 50S의 라이보솜구조들의 공통점 -16S와 23S의 rRNA구조:

고리형으로 연결된 나선구조

- 30S, 50S의 경계면에 3’ 말단 작은 영역

 50S 거의 고정, 30S 단백질합성기관에 이동

- 대부분 단백질을 소단위체의 옆이나 뒷면에, 앞면은 두 소단위체의 경계면 형성

- 라이보솜단백질의 대부분 둥근 모양

 소단위체 표면에 위치, 이차구조가 없는 긴 분절된 상태로 존재

(53)
(54)

라이보솜의 단백질합성시 기능 - 아미노아실부위(A)

 들어오는 tRNA를 받아들이는 곳 - 펩타이드자리(P)

 성장하는 펩타이드사슬에 결합하는 tRNA 펩타이드-tRNA복합체를 받아들이는 부위 - 출구부위(E)

 밖으로 나가는 탈아실화된 tRNA 결합부위 - 50S 소단위체

 터널 직경 15Å(α-나선 통과 크기)

- 큰 소단위체  폴리펩타이드의 연장반응 촉매 - 작은 소단위체  mRNA, tRNA 인식기능

(55)

단백질의 합성

단백질 합성기구로 중요한 것 - 1. mRNA 2. 라이보솜: 합성장소

3. 아미노아실화된 tRNA

4. 수많은 효소들과 보조인자

- 세포질에서 운영, 소포체(ER)과 밀접하게 관련 - 마이토콘드리아, 엽록체

 독립적인 단백질합성기구

(56)

단백질 합성의 단계 - 아미노산의 활성화

-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합성의 개시 - 사슬의 연장

- 합성의 종결

- 합성 후 변형 및 활성화

(57)

1. 단백질 합성의 개시

- mRNA가 IF-3 존재하에 30S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mRNA-30S-IF3 복합체 형성

- IF-1, IF-2

 fMet-tRNA와 GTP를 30S-mRNA-IF3에 부착

 30s-mRNA-fMet-tRNA-GTP 형성

- 50S 소단위체  복합체 형성  GTP 가수분해

 GDP+Pi, IF1과 IF2로 가수분해, IF3 배출 - 최종생성물

 fMet-tRNA-mRNA를 포함하는 70S 복합체

(58)
(59)
(60)

샤인-달가노 염기순서(Shine Dalgarno sequence) - mRNA에서 개시코돈인 5’-AUG를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

- 5’-개시코돈으로부터 8에서 13번째에 있는 염기

 네 개에서 아홉 개의 퓨린으로 구성된 개시신호

(61)
(62)

- 모든 단백질의 합성과정에서 시작되는 아미노산이 특별한 tRNAfMet와 연결되는 N-포밀메싸이오닌 확인

(63)

- 모든 Met-tRNA가 포밀화되지는 않음

- 약간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는 다음 번째의 Met-tRNAmet이 특수개시 tRNA와 작용

- P지역: fMet-tRNAf가 채워짐

- A지역: AUG근처 코돈에 의해 정해진 아미노아실 tRNA를 수용

(64)

2. 연장단계

(1) 코돈의 지시에 따라 새로운 아미노아실-tRNA가 70s 라이보솜에 부착

(2) P지역에 부착된 tRNA의 펩타이드잔기로부터 펩타이드가 A지역에 새로이 들어오는

아미노아실-tRNA에 이동하여 새로운 펩타이드 형성 (3) A지역으로부터 새로이 형성된 펩타이드의 tRNA가

70s 라이보솜의 mRNA의 특수코돈에 붙은 상태로, mRNA가 5’-3’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70S 라이보솜의 P지역에 이동

(65)

- 1단계: 새로운 아미노아실-tRNA

 A지역의 mRNA에 의해서 결정된 70S 라이보솜의 A지역에 부착

 GTP, EFTu, EFTs 관여

(66)
(67)

- 2단계:

· 새로운 펩타이드결합의 형성은 50S 라이보솜 소단위체에 연결된

특수단백질에 의해서 촉매

· P지역의 tRNA와 연결된 펩타이드부분은 A지역의 아미노아실-tRNA의

아미노그룹으로 이동, P지역의 탈아실화된 tRNA는 떠남

 퓨로마이신은 방해

(68)

- 3단계:

새로운 펩타이드-tRNA를 라이보솜의 A지역에서 배출되는 탈아실화된 tRNA를 가진 P지역으로 이동  이동효소 EF-G

· 진핵세포의 EF-2

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해서 급격히 불활성화

(69)

디프테리아 독소의 기능

- NAD+ 존재하에 EF-2의 급격한 불활성화 - 디프테리아독소는 세포막에 부착

- 라이보솜체계에서 부착된 EF-2는 세포질 안으로 유입되면 주변에 급격히 확산

(70)

3. 종결단계

(1) mRNA에서 종결신호 확인

 RF1, RF2인자 A지역에 부착

(2) 최종의 펩타이드-tRNA의 에스터결합 가수분해 (3) 70S 라이보솜이 30S와 50S 단위체로 분해

IF3는 30S 소단위체  50S 와 30S 재결합 방해 - RF1은 종결코돈 UAA와 UAG인식,

- RF2는 UAA와 UGA 인식,

진핵세포에서는 eRF 한 개의 배출인자 필요 - RF3는 종결코돈의 인식에 도움

(71)
(72)
(73)

번역 후 변형과정과 단백질의 포개짐

(1) 단백질이 실제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체모양으로 포개짐(folding)

(2) 아미노산들의 필요한 변형

(3) 전구상태의 물질이 기능할 수 있는 물질로 변형되기 위한 일부의 제거

(4) 단백질이 기능하는 곳으로 운반되는 일 (5) 단백질이 필요한 곳에 정착되기 위하여

닻(anchor)을 통한 부착

- N-말단의 메싸이오닌이나 f-Met의 제거

(74)

단백질의 활성화

- 전구효소로 만들어진 세린단백질가수분해효소들:

트립시노젠, 카이모트립시노젠, 프로카복시펩티데이스

- 신호펩타이드를 포함한 단백질:

전단백질 전구물질(preproprotein)

- 단백질전구체(preprotein)  신호펩타이드 포함

(75)
(76)

-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

76개 잔기의 단백질  프로테오솜으로 운반 - 막관통단백질과 분비단백질

 N-말단에 신호펩타이드를 가지고

라이보솜에서 나오면 이 신호펩타이드는 신호인식입자(SRP, signal recognition particle)와 결합

(77)

목표찾아가기 및 단백질의 붕괴

- 유비퀴틴: 고등생물의 세포에 존재하는 표지용 단백질

- 잘못 만들어졌거나 수명이 다한 단백질의 폐기장 - 프로테오솜(proteosome)에 이동시킴

- 파괴되어야 할 단백질의 결정은 N-말단 잔기의 구성에 따라 좌우됨  단백질의 반감기 결정 - 기관의 형성:

유전자의 전사, 세포주기의 진행, 부종의 형성, 항체의 기능, 종양억제

(78)
(79)
(80)
(81)
(82)

단백질 파괴와 생체현상 - 식물의 자생수분억제  E3효소가 관여 - 세포주기에 관여단백질

 E3효소 유사분열 중 염색체분리에 관여 - 염색체간의 연결고리 단백질

 부정확한 염색체의 분리 가능

 유산, 악성종양의 원인

- 암억제유전자 p53  세포주기 억제(수선), 세포사멸의 유도, p53의 양은 E3효소에 좌우

(83)

단백질파괴의 응용

- 자궁 경부암 원인균: 파필로마 바이러스 단백질

 유비퀴틴 부착 E3효소의 활성화 - 골수암 치료제 벨케이드(valcade)

 프로테오솜에 작용 기능억제  치료효과 -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 단백질(베타이밀로이드) 제거가능성

(84)

DNA칩과 단백질체학

- 세포의 모든 mRNA 전사체의 확인 및 정량화

 어떤 유전자가 활동적인지 확인 가능 - 유리표면에 부착된 DNA조각을 부착시킨

DNA초미세배열(1cm2의 면적에 수십 만 개의 DNA를 배열)

- DNA  mRNA로부터 PCR증폭으로 얻은 cDNA

 기기를 사용하여 합성한 mRNA - mRNA 형광으로 표지  DNA와 혼성화

 혼성화되지 않은 mRNA 씻어냄

 DNA칩상의 형광의 세기

(85)
(86)

- mRNA가 특정정보의 DNA에 연결하는 정도의 측정 - 종양세포에서 어떤 유전자가 특별히 많이

발현되는지 알 수 있음  정상세포와 비교

 원인물질의 탐색

- 세포가 합성하는 단백질의 완전한 세트

 프로테옴(proteome)

 2차원 전기영동법: 한 방향은 질량의 차이, 수직방향은 등전점

- 단백질체의 연구  단백질체학(proteomics)

(87)

5.3 유전자발현의 조절

유전자발현의 원리

- 유전체학: 생명체의 염색체를 구성하는 DNA의 연구 - 원핵생물인 대장균: ~4,300개

- 사람: 26,383개(32억kb 중 29억kb 해독) 그 중 1.4%만이 단백질을 암호화

- 열린해독틀(open reading frame):

다른 유전자와 비교해서 동일한 코돈의 사용의

선호도를 나타내면서 정지코돈에 끊어지지 않는 서열 - 인간의 유전자 예상 50,000~140,000

 예상보다 많은 선택적 이어맞추기

(88)
(89)

-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 고아유전자 - 인간유전자: 3/4은 다른 종에서 발견됨,

1/4은 다른 척추동물에만,

나머지1/4은 원핵, 진핵생물에도 존재 - 인간의 유전자와 같은 유전자

 효모와 생쥐 등의 모델 생물에서 발견

 기능이 알려진 유전자 10,000개 넘음

- 병의 발생원인: 단일 유전자 때문이 아니고

몇 개의 유전자가 환경적인 요소와 상호작용으로 발생

(90)

단일염기다양성(single polymorphism, SNPs) - 인간과 인간 사이의 DNA 서열의 차이에 대한 목록

 평균 1,250bp마다 한 번씩 나타남 - 질병의 감염에 대한 감수성

- 약물에 대한 부작용, 민감성의 차이 - 현재 200만 SNP가 알려짐

 그 중 단백질변이는 1.0% 미만

(91)

- 유전자 집단(gene cluster): 유전체에서 특정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과 염색체의 다른

조절부위와 체계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유전자 집단을 이룸

- 비전사부위:

대장균 11%, 효모 30%, 인간의 유전체 98%

(92)

반복서열

- 비전사 부위 대부분이 반복서열

- 반수체의 유전체의 사본수가 >106인 것

 고반복서열(highly tandem repeats)

 10bp 길이의 서열, 수천 번 반복

- 초원심분리에서 다른 띠의 형성  위성DNA - 고반복 DNA서열

(짧은 연속 반복, STR, short tandem repeats)

 인간유전체의 3% 고반복 DNA서열

두 염기쌍 (CA)n 과(TA)n이 많이 발견 - STR: 가족관계 확인

(93)

- STR은 DNA 복제 시에 주형이 미끄러짐으로 나타나는 현상

 반복단위가 짧을수록 더 많은 빈도 - 인간집단의 많은 빈도의 길이 다형성이

나타남

- 몇몇 잘 알려진 STRs(다수 종족의 수많은 인간들에서 반복회수가 알려진 것)의

반복횟수를 조사하여 제공자 알 수 있음 - 계통생물학: 복잡하고 정교한 생명현상을

풀기 위한 새로운 분야, 컴퓨터, 통계 이용

(94)
(95)

원핵세포의 유전자발현의 조절

- 여러 개의 유전자의 전사가 한번에 일어남 - 쟈콥(Jacob)과 모노(Monod):

대장균의 유전자발현

 락토스의 분해 β-galactosidase 발현 조절

 글루코스 부족시

- 오페론 체계: 한 번에 여러 개의 유전자를 발현

(96)

- 갈락토스가수분해효소,

갈락토사이드투과효소(젖당을 세포로 수송), 갈락토사이드아세틸교환효소

 1000배 발현의 증가

- Lac 오페론 속에 연속적으로 배열 - I: lac억제자(lac repressor)

- 억제자(I) +작동유전자(O)  발현 억제 - 유도인자(Inducer)  억제인자  증진자

전사활성화

(97)
(98)

- 유도인자: 1,6-알로락토스

- 아이소프로필싸이오갈락토사이드(IPTG)

 알로락토스와 유사구조

 갈락토스 가수분해효소로 분해 안 되는 유도인자

- 젖당대사 생체 외 연구에 사용

(99)
(100)

trp 오페론

- 트립토판이 대량 존재하면 트립토판의 생성을 억제하는 체계가 유전자에 의해서 가동

- trp 오페론: 코리스메이트로부터 트립토판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다섯 개 유전자(두 개는 효소) - trp 억제자

 L-트립토판과 복합체 구성  작동유전자에 결합

 trp 오페론의 발현을 억제  70배 감소

- trp 오페론  최종생성물인 트립토판의 보조인자 - trp 오페론의 작동유전자 하류쪽의 결손된

돌연변이체  trp 오페론의 발현이 여섯 배 증가

(101)

- 조절부위는 trpE의 위쪽으로 -30 ~ 60bp위치가 되며, 162bp의 선도서열, trpL에 해당

- 트립토판이 합성되면 trp 억제자에 결합, trp 오페론 전사의 감소

- trp mRNA 중 trpL에 해당하는 140 bp만을 포함하는 것이 점점 많아지고, trp 오페론의 전사가 조기종결

 이런 효과를 조절하는 부위로 감쇠조절자(attenuator)가 존재

(102)
(103)

진핵세포의 유전자발현의 조절

- 진핵세포의 증진자: -25위치에 TATA상자(원핵 세포의 -10 상자와 유사) - 다른 증진자:

TFIIB인식인자(BRE, recognition element), 개시자(initiator), 아래쪽 증진자인자(DPE, downstream promoter element)

- 증강인자(enhancer):

전사인자가 붙어서 지원  위치의 제약이 없음

(104)
(105)

- 일반적인 전사인자(GTF):

RNA중합효소와 초기개시복합체 구성 - RNA중합효소 II와 관련 GTF

 TFIIA, TFIIB, TFIID, TFIIE, TFIIF, TFIIH - TATA상자 부착단백질(TBP)과

TBF회합인자(TAF)를 포함하고 있는 TFIID가 DNA를 인지하여 부착  TFIIA, TFIIB가 붙은 후 TFIIF가

RNA중합효소와 DNA에 부착

 TFIIE, TFIIH가 붙으면 전사시작

(106)
(107)

전사활성자 - DNA부착부위:

Zn포함 구성단위, 동종부위, bZIP, bHLH - 전사활성부위:

산성부위, 글루타민 풍부부위, 프롤린 풍부부위 - 어떤 전사인자가 활성화되는가에 따라

유전자-특이하게 발현이 조절

- GAL-4, Sp1, NFk-B, Jun, Fos, Myc, Max

(108)
(109)

p53 전사인자

- 암억제, 세포주기조절  대표적인 전사인자 - 세포주기에 문제가 생겼을 때 기능

-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사멸을 유도

- p53에 문제  세포가 비정상적인 성장

(110)

염색질 재모델화(chromatin remodeling) - 염색질구조 변화를 통해 전사 조절

- 진핵세포에서 있는 히스톤 단백질  히스톤코드, 히스톤의 변형, 어떤 효소가 접근하는가에 따라 유전자발현에 차이

- 뉴클레오솜의 재편성  서열특이적 DNA

 표적DNA에 결합하기 전 접근이 용이하여야 함 - 뉴클레오솜 재모델화 가능한 ATP-추진복합체가

염색질에 존재  DNA와 히스톤 상호작용 파괴

 단백질 접근가능

(111)

- 염색질 재모델화 복합체 : 1. 염색질에 유동성 부여 2. DNA포장상태 유지

 일시적으로 인자들의 각 서열에 접근 - 히스톤 아세틸화이동효소(HAT):

히스톤의 음하전  DNA와 결합력이 약화

 전사인자, 중합효소 접근 용이 -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HADC):

1. 히스톤의 아세틸그룹 격리

2. DNA와 히스톤 결합 강화  전사 억제 - 히스톤 메틸이동효소:

1. 히스톤 메틸화

2. 다양한 변형  조절에 문제  암 발생

(112)

진핵세포의 전사조절 - 활성인자와 억제자에 의해서 수행

 조절장소는 증강인자와 침묵인자가 제공 - 인헨소솜: 전사인자 + 건축단백질이 100bp의

증강인자 위에 협동적으로 작용

- 중개인자: DNA결합 전사활성인자들과 RNA중합효소II 사이의 접촉면 제공

 안정한 초기개시인자

- 핵수용체초가족(nuclear receptor superfamily)

 스테로이드, 홀몬, 비타민 등 150개 - 전사활성은 홀몬반응요소(HRE):

DNA부위를 인식  유전자의 전사의 유도 및 억제

(113)

RNA간섭(RNA interference, RNAi)

- 비암호 RNA가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 - 유전자 조절의 간섭  RNA간섭

 저분자 RNA가 mRNA에 결합

 유전자 발현을 억제

- 응용: 1. 유전자 기능의 이해

2. 생쥐에서 간염바이러스의 염증 예방 3. HIV의 복제의 억제

(114)

암의 발생, 세포주기와 세포사멸

- 암: 발암물질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염색체의 이상으로 원발암성유전자가 발암성유전자로 활성화되어 세포성장조절에 이상

- 세포 내부에서 암의 발생 원인

(1) 세포의 성장신호전달체계의 파괴

(2) 암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 및 기능의 상실 (3) 세포사멸 기능의 상실

(4) 세포주기 조절의 파괴  수선기능상실

(115)

원발암성유전자 산물의 신호전달체계에서 역할 (1) 성장인자: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2) 신호의 수용체: 단백질타이로신 인산화효소 (3) 신호의 중간 스위치: G단백질

(4) 인산화효소: 여러 인산화효소들 (5) 전사활성단백질

(116)
(117)

암억제유전자

- 종양의 감시기능을 통하여 암세포화 억제 - 세포주기의 조절체, 세포사멸 유도

- 유비퀴틴-단백질연결효소 Mdm2  과잉 발현 - p53발현의 조절물질인 ARF가 손실되어

종양감시기능이 상실된 상태가 됨

(118)
(119)

세포사멸 - 불필요한 세포, 잘못된 세포 - 마이토콘드리아

 세포사멸 조절단백질 Bcl-2, Bcl-X1

 케스페이스8 활성화  세포사멸 - 사이토크롬

c

배출  통로의 활성화 - 신호전달  ARF/Mdm2 경로 이용

- DAP 인산화효소 활성  세포사멸 유발 - 사람의 암세포  DAPK 발현이 상실

(120)
(121)

세포주기 - 세포주기진입

 사이클린과 사이클린 의존성 단백질인산화효소 - 검색점

 세포주기의 변화의 순서와 시기 조절, DNA복제, 염색체분리기능

 확실하게 조절시키는 기능

- DNA 손상시 검색점이 세포주기 진행을 지연 - 암세포  세포주기 검색점 기능 상실

참조

관련 문서

- 자유주의와 부르주아의 권력 도전을 방어 - 노동계급의 사회주의적 저항과 혁명을 방지 국가가 노동계급의 복지제공자 역할 수행 노동자는 군주에게

생체구성물질의 구조 확인의 연구 탄수화물의 발견, 지질의 구조 확인 단백질의 구조 확인, 핵산의 구조 확인 2.. 신진대사

조합공동사업법인의 업무용 건축물의

검지로 이마 아래쪽 중심부에서 측두와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천천히 3회 반복하여

[r]

1) Okazaki fragment synthesis; replication bubble이 자라면 Pol α가 지연 가닥 주형에 결합하여 initiator DNA를 합성. 이것이 Pol δ와 교환되어 다음 DNA합성.

 사람들이 자신의 동기나 태도를 추론하는 과 정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동기나 태도를 추론하는 과정과 유사. 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가 형성되지

2.6 단백질의 amino acid sequence가 단백질의 3차 구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