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3 장 삼국시대의 태권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3 장 삼국시대의 태권도"

Copied!
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3 장 삼국시대의 태권도

(2)

Kwak Jeong Hyeon

BC 18BC 935AD 1392AD 1910AD 1945AD

고대 (ancient)

삼국시대(three kingdoms period) 신라, 백제,

고구려

고려시대 (Koryo Dynasty)

조선시대

(Chosun) 근대 (Modern)

현재 (Present

time)

1. 삼국시대의 역사적 배경

(3)

Kwak Jeong Hyeon

1. 삼국시대의 역사적 배경

(4)

Kwak Jeong Hyeon

1. 삼국시대의 역사적 배경

삼국은…

고구려, 백제, 신라가 고대국가로서 원시사회가 부족세력 을 통합하고 정복하여 군소부족이 국가체제화된 시대

국내외적으로 영토분쟁등으로 항시 전쟁이 일어나고 있었던 시대

우리 민족이 세운 여러 부족국가들은 서기 1세기경부터 차차 고구려, 백제, 신라로 뭉쳐 발전

이들 세나라는 서로 겨루면서 앞으로는 국력을 기르고 밖 으로는 영토를 넓혀갔다.

(5)

Kwak Jeong Hyeon

(Japan)

일본

(China)

(Koguryo)

(Baekje) (Shinla)

1. 삼국시대의 역사적 배경

(6)

Kwak Jeong Hyeon

1. 삼국시대의 역사적 배경

시조 동명왕

태조왕때(1세기경)부터 고대 국가의 기초를 갖춤

5세기인 광개토왕, 장수왕때에 전 성기를 맞이함

고구려

시조 온조왕

고이왕때(3세기경)부터 고대국가의 모습을 갖춤

4세기 근초고왕때에는 고구려의 세력 을 꺾는 한편 지금의 호남지방을 완

전히 차지함

백제

시조 박혁거세왕

삼국가운데서 가장 늦게 발전(4세 기경)

진흥왕때(6세기)부터 밖으로 그 세력 을 떨쳐 한강과 낙동강유역, 그리고 함경도 지방에까지 영토를 넓혀 뒷

날 삼국통일의 토대를 마련

신라

(7)

Kwak Jeong Hyeon

1. 삼국시대의 역사적 배경

고대부족국가의 제천행사로는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와 마한의 무천, 신라의 가배 등이 있고 이러한 종교적 의식에서 체육적인 유희 활동들을 실시 점차 농업위주의 농경시대로 변함에 따라 신에게 제례를 올리게 되고 이러한 제례시

힘과 기술을 겨루는 유희적이고 오락적인 투기로 발전하여 점차 경쟁의식을 갖게 되어 경기로 발전

원시부족국가시대의 생존수단이었던 투기

(8)

Kwak Jeong Hyeon

2. 고구려 (37 B.C~668 A.D)

고 구 려 는 백 제 , 신 라 와 는 달 리 국 경 이 중국대륙의 국가와도 맞닿아 있었던 관계로 많은 외세의 침략을 받아왔다. 그러나 많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한반도를 지켜나갔기에 민 족 의 방 파 제 역 할 을 해 왔 다 고 역 사 는 고구려의 의의를 두고 있다.

고구려는 삼국중 가장 먼저 고대국가로의

모 습 을 갖 추 어 나 갔 으 며 주 위 의 적 인

한족과의 투쟁과정에서 성장, 발달한 관계로

백 제 , 신 라 보 다 기 력 이 있 고 호 전 적 인

국민이었다(김명수, 1992). 또한 대륙과 접해

있었던 관계로 가장 일찍이 대륙문화를 받아

들 였 으 며 주 체 적 역 량 과 자 율 성 을 지 닌

왕권국가로 발전시킨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9)

Kwak Jeong Hyeon

무용총

2. 고구려 (37 B.C~668 A.D)

(10)

Kwak Jeong Hyeon

고구려 시대(37B.C~668A.D)의 고분 벽화에 '태권도의 겨루기를 하고 있는 두 젊은이'가 선명하게 그려져 있는 것이다.

이 벽화가 있는 무용총 고분은 A.D 3년부터 427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던 환도성(현대 만주 통화성 집안현 통구)에 있으므로 인도의 달마 스님이 중국에 오기 훨씬 전에 이미 우리나라는 고유의 무도를 발전시켜 왔음을 증명해 준다.

이 벽화를 보면, 한 젊은이는 왼쪽을 향하며 왼손으로 몸 중심을 방어하는 자세를 취하고, 상대방은 왼쪽 손을 뻗어 공격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2. 고구려 (37 B.C~668 A.D)

(11)

Kwak Jeong Hyeon

소림사를 창건한 달마대사

2. 고구려 (37 B.C~668 A.D)

(12)

Kwak Jeong Hyeon

무용총 벽화

무용총 수렵도

무용총 무용도

2. 고구려 (37 B.C~668 A.D)

(13)

Kwak Jeong Hyeon

약수리 고분 수렵도(평안도) 안악3호분 수박도

기타 고분에 나타난 무예형태

2. 고구려 (37 B.C~668 A.D)

(14)

Kwak Jeong Hyeon

선배(고구려 무사집단)

고구려는 그 지리적 위치가 대부분이 큰 산과 깊은 계곡으로

되 어 있 는 산 악 지 형 인 압 록 강 중 류 지 역 으 로 서 기 름 진 평야지대로 진출할 수 있는 군사요충지대를 형성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좋은 밭이 없어 힘써 일해도 배를 채울 곡식이 없었다. 따라서 주변국으로부터 무력으로서 필요한 물자를 획득하여야 하는 관계로 강력한 무사집단이 필요하였다. 고구려 초기에 국가의 체제를 갖추기 시작한 2세기경 태조대왕과 차대왕의 2대에 걸쳐 선배라는 강력한 무사집단을 형성하였는데 이는 국가의 강성과 중앙집권체제의 강화를 위해 창설될 것으로 풀이된다. 역사책에는 선배를 先人, 仙人, 早衣仙人, 帛衣仙人, 翳屬仙人이라 기록되어 있다.

2. 고구려 (37 B.C~668 A.D)

(15)

Kwak Jeong Hyeon

여기서 선인은 선배의 소리말 ‘仙’이요, 人은

‘선배’의 배의 뜻을 빌려온 이두문이며 백의, 조의는 上首의 옷과 빛깔, 예속은 무사 帽의 깃 折風에서 유래된 것이다.

조 의 , 선 인 을 관 직 으 로 만 보 는 견 해 가 있 으 나 발해사에 선인을 士正兵이라 하고 ‘선비는 싸움에 당하여 물러서지 않는다’한 것으로 보아, 선인이

‘선배’라 부르는 무인임을 추찰할 수 있다.

가무를 연기하여 아름다움과 추함을 보며 大狩獵을 행하여 그 잡은 양의 많고 적음을 보아 그 내기에서 승리한 사람을 선배라 칭하고 선배된 사람에게는 국가에서 녹을 주어 그 처자의 생계를 유지케하여 가실에 누가 없게 하였다.

선배(고구려 무사집단)

2. 고구려 (37 B.C~668 A.D)

(16)

Kwak Jeong Hyeon

선배된 자는 각각 무리를 지어 한 집에서 먹고 자며 앉으며 古事를 외우고 學藝를 익히며 밖에 나가면 山水를 탐험하거나 성곽을 쌓거나 도로를 닦고 군중을 위하여 강습하거나 일신을 국가와 사회에 바쳐 모든 어려움을 사양치 않았다.

고 구 려 당 시 에 는 각 종 지 위 가 출 신 에 의 한 세습제이었으나 오직 선배만은 출신의 미천없이 학문과 기술로 개인의 지위를 정하는 까닭에 인물된 사람이 그 중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이로써 고구려에서는 문과 대등한 무의 위치를 엿볼 수 있고 오히려 무예를 중요시하는 진취적인 상무정신이 더욱 두드러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문무교육은 고구려로 하여금 말기에 이르기까지 강력국가의 위명을 날리게 하였다. 그리하여 고구려 말기 연개소문 때에는 선배가 국운을 좌우할 정도로 강력한 무사단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그러나 선인 즉, 선배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군대의 조직으로 전사단의 역할이 약화되고 국가의 관심도 적어지면서 학문을 하지 못하여 지적 수준이 낮아져 선배의 명칭은 유교도에게 빼앗기게 되었다

선배(고구려 무사집단)

2. 고구려 (37 B.C~668 A.D)

(17)

Kwak Jeong Hyeon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각저총의 주실정벽에 막을 친 실내에서 주인이 접객하고 있는 것, 그 좌벽에는 수렵도, 우벽에는 가무도가 그려져 있으며 남벽에는 수목이 그려져 있고, 현실과 주실천정에는 각각 두 장사가 서로 겨루고 있는 그림, 즉 태권도의 겨루기 자세와 비슷한 그림이 있다.

각저총벽화

2. 고구려 (37 B.C~668 A.D)

(18)

Kwak Jeong Hyeon

중세 조선초, 중기시대와 근대 조선후기의 씨름의 모습

중세, 근세씨름

2. 고구려 (37 B.C~668 A.D)

(19)

Kwak Jeong Hyeon

현대 씨름의 모습

현대씨름

2. 고구려 (37 B.C~668 A.D)

(20)

Kwak Jeong Hyeon

삼국중 동쪽 남단에 위치한 신라는 고조선의 멸망을 전후하여 유이민집단의 일부가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도 지역에 들어와서 경주평야에 위치한 부족국가를 건설하였는데 초기에는 정치제도인 화백제도가 골품계급회의에 따라 시조이후 박, 석, 김 3성 교대로 연맹장을 선출하고 국왕을 추천하며 중 요 행 사 를 회 의 에 부 쳤 다 . 이 처 럼 신 라 는 건국초기에 자유적이고 민주적이며 평화로운 생활을 영위하였으나, 백제의 건국, 고구려의 침입등 세력 팽창과 영토확장을 위한 싸움을 시작하면서 무예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3. 신라 (57 A.D~935 A.D)

(21)

Kwak Jeong Hyeon

화랑이란 역사적 실체로서 6세기부터 10세기까지 신라에 존재하고 있었던 청소년 단체의 장, 혹은 그 단체 전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화랑도는 처음에는 자기의 마을을 지키려는 뜻에서 시작된 젊은이들의 민간수양단체로서 그 우두머리가 처음에는 여자였으나 후에 화랑이라는 남자단장으로 바뀌었고 국가적인 편제로 확립된 것은 진흥왕 때로서이며 귀족 출신의 자제들로만 구성되었는데, 명산대첩을 순례하면서 인격과 무사도를 수양하였다

1) 화랑도

3. 신라 (57 A.D~935 A.D)

(22)

Kwak Jeong Hyeon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는 삼국가운데서 가장 늦게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가장 小勢에 놓인 국력으로 한민족 최초로 국토의 통일을 이룩하고 민족 자주성과 주 체성 을 확립하여 민족문화의 뿌리를 내렸다는 점에서 신라의 화랑은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신라의 화랑은 진흥왕 37년(A.D 576)에 시작되었다고 하며, 이는 고구려의 선배제도를 본뜬 것이며 각종 기예를 연마하고 음악을 익히고 공동으로 일처에 숙식하며, 전장에 나아가 죽음을 영광으로 알아 공익을 위하여 일신을 희생함이 선배와 같다고 하였다.

1) 화랑도

3. 신라 (57 A.D~935 A.D)

(23)

Kwak Jeong Hyeon

화랑도의 사상은 삼국사기에 김유신을 따 르 는 무 리 를 용 화 향 도라 불 렀 고 또 진흥왕 때에 혜량을 승통으로 팔관제와 호국인왕경을 강하는 백좌강회를 행한 것 으 로 보 아 미 륵 신 앙 과 결 부 된 호 국불교 사상이 었으므 로 , 그들이 행한 무술이 불상이나 인왕상의 조각에 나타나 있어 오늘날까지도 생생한 자료로서 전해 내 려 오 고 있 다 . 이 러 한 자 료 는 문헌이상으로 정확하게 당시의 태권을 알려주고 있다.

1) 화랑도

3. 신라 (57 A.D~935 A.D)

(24)

Kwak Jeong Hyeon

세속 오계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

화랑도 마상무예 경주 단석산

(화랑수련장소)

1) 화랑도

3. 신라 (57 A.D~935 A.D)

(25)

Kwak Jeong Hyeon

게임 ‘철권’

철권의 한국인 캐릭터

‘화랑’

화랑의 스승

‘백두산’

1) 화랑도

3. 신라 (57 A.D~935 A.D)

(26)

Kwak Jeong Hyeon

2) 신라시대의 태권도동작 유물

3. 신라 (57 A.D~935 A.D)

(27)

Kwak Jeong Hyeon

2) 신라시대의 태권도동작 유물

3. 신라 (57 A.D~935 A.D)

(28)

Kwak Jeong Hyeon

태껸은 시대의 진전에 따라 발전되어 왔으며 고구려에서 신라로 전해지게 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점에서 그러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첫째, 어원에서 볼때 화랑은 선랑이라고도 했으며 선랑의 ‘선’은 음이요,

‘랑’은 선인, 선배의 사람이라는 뜻을 취한 이두문으로 선배의 배와 같으며 화랑의 연원사를 선사라 함을 보아도 선랑, 화랑, 선배가 다 같은 청년

무사단을 지칭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화랑과는 선배의 조직과 상하 구분이 같다.

셋째, 신수두 경기에서 선배가 태껸을 하였듯이 팔관회나 한가위 같은 모임에서 화랑이 겨룬 경기에 태껸(수박, 덕견이, 택건이)이 포함되었다고 말한 점으로 보아 2세기 경에는 예부터 내려오던 투기가 태껸으로 체계화되어 선배를 무예의 기본으로 행하고, 4세기 경부터는 태학과 경당에서 체계적인 무예를 교육함으로써 더욱 발전하여 무용총 벽화에 나타날 정도로

일반인에게까지 보급되었다고 한다.

또, 태껸은 신라에 전해져 더욱 발전하였으며 손기술과 발기술이 나뉘어져 조직적으로 체계를 이루었다고 한다.

3) 고구려 택견의 신라 전승

3. 신라 (57 A.D~935 A.D)

(29)

Kwak Jeong Hyeon

백제는 부여계의 유이민에 의하여 서기전 18년에 지금의 한강유역에서 건국하였다. 주몽의 아들 온조가 남하하여 세운 백제는 진한과 마한 땅을 공략하여 국가의 기반을 굳혔고 일면 동북 방향에 있는 말갈을 쳐서 세력을 더욱 확장하였다.

백제를 건국한 구성인은 유이민의 결합체였으므로 처음에는 그 힘이 매우 미약하였지만 고구려의 풍속과 문화를 이어받아 굳세고 용맹하였으며, 안으로는 국력의 결속을 다지고 밖으로는 외세의 침공을 방지하는데 온갖 힘을 기울였던 것이다. 북방으로부터 내려온 유이민은 부여계로서 자연 고구려의 기질과 풍습에 익숙했을 것이며 또한 용맹스러웠을 것이다. 여러 문헌에 보듯이 한반도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정립하여 서로 한치의 양보도 없는 끊임없는 싸움이었다.

4. 백제 (18 B.C~660 A.D)

(30)

Kwak Jeong Hyeon

국민들은 말타기와 활쏘기를 즐겼고 격검술이 널리 성행하였다. 특히 고구려에서 힘찬 태동을 본 태권은 백제에 이르러 이웃 신라와 함께 태권의 개화기를 맞게 되고 부락마다 태권에 의한 우열을 가름하는 민속놀이가 유행하였다(이석호, 1973).

백제에서도 무예가 장려되었다는 것은 말등타기, 궁술, 맨손격투 등이 이 시대의 군인이나 평민들 간에 대단한 인기가 있었다고 전하며 예로부터 팔다리를 둘다 사용하는 호신술이 있었다. 고 당시의 기록은 전하고 있다

4. 백제 (18 B.C~660 A.D)

(31)

Kwak Jeong Hyeon

심신수련의 방법과 국력증강을 목적으로 태권을 수련했음이 해동운기에서 수벽타를 기록하고 있음에 알 수 있다.

手癖打

劍術先從手術妙 威將軍已敎兵才 옛 풍습에 手術이 있는데 마치 칼 쓰는 것과 같다.

三節胞如差一節 拳鋒一弊落頭來 두 손이 왔다갔다 할 때 절구에 한절구만 법이 어긋나면 눈깜짝할 사이에 주먹이 머리에 떨어진다.

전라남북도에 십여년 전까지 전해오는 달맞이 집을 살펴보면 전라도 남원과, 지리산 주변에서 성행했다는 편전회 유래를 보면 정월 보름날 이웃 마을간의 젊은이들이 애써 만든 달맞이 집을 달이 뜨기 전에 먼저 몰래 숨어들어가 다른 이웃 마을 달맞이 집에 불을 붙여 낭패를 만드는 짓궂은 놀이가 있었다 한다. 여기에서 불을 당기려는 다른 동네 젊은이들과 달맞이 집을 지키려는 동네 젊은이들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던 것이다.

평소에 잘 수련된 수벽타로 서로 겨루는 실전의 싸움이 벌어지니 싸움도 싸움이려니와 이를 성원하는 남녀노소 앞에서 겨루는 장면은 장관이었다. 이 때 무기와 돌은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있어 맨손과 맨발에 의한 태권이 사용되었다.

이런 치열한 싸움으로 자연히 부상자가 많이 나왔지만 마을을 위한 싸움에서 부상은 자랑스러운 것이었고 부상을 입지 않은 사람은 오히려 부끄러워했다.

4. 백제 (18 B.C~660 A.D)

(32)

Kwak Jeong Hyeon

백제시대의 태권은 기록이나 심증이 희박하여 주로 민속놀이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그 기록은 고증하기에 모호한 점이 적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이웃 나라인 고구려나 신라를 비교해 보면 그 이웃하는 나라인 백제도 태권도가 행해졌을 것은 틀림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백제도 고구려나 신라처럼 젊은 무인들의 단체인 선배제도나 화랑제도 같은 뚜렷한 제도는 사실에서 발견되지는 못한다고 해도 백제도 이웃 신라,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전쟁이 연속되었으므로 이웃나라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고 또 스스로 나라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강력한 군사력이 필요했을 것이다. 강한 군사력을 위해서 그 군사조직을 훈련시키거나 신체단련시 맨손체조가 필요했을 것임을 감안할 때 태권도는 백제에서도 행해졌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4. 백제 (18 B.C~660 A.D)

참조

관련 문서

„ Sender는 메시지의 해시를 구하고 메시지와 해시 모두를 암 호화하여 상대방 Receiver에게 보낸다.. 메시지의 해시를 구하 는

장물수사에 대한

공유결합보다는 약한 이러한 이끌림을 수소결합(hydrogen bond)이라고 한다.. 물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극성화합물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극성 유기화합물이

• 인간의 동기부여의 성격에 관한 문제 미해결-작업자 의 만족이 생산성의 일차적 요인만은 아니었다.즉, 임 금과 같은 작업환경요인도 생산성과 연결될 수 있다.

송도수박이 조선까지 내려왔다하는 기록은 고려의 서울인 송도에서 민속으로 수박경기가 비롯되었음을 말해주며 백성들이 수박으로 돈이나

백제와 고구려의

단 자녀에게 증여한 재산은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