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백제와 고구려의 토기문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백제와 고구려의 토기문화"

Copied!
5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백제와 고구려의 토기문화

(2)

[ 백제토기의 변천과정과 제작기술]

1. 백제토기란? : 백제 권역에서 생성되고 발전된 토기

* 협의의 백제토기 : 중앙 지역에서 생성 발전되고 확산된 양식

* 광의의 백제토기 : 백제 국가의 정치적 영역 내에서 제작 사용된 토기

2. 백제토기 연구사

3. 한성기 백제토기의 양상과 제작기술 1) 중앙양식

2) 4세기대 지역토기 어디부터 백제토기인가?

4. 웅진, 사비기 백제토기의 다양성과 제작기술

(3)

[ 백제토기연구의 획기]

1. 1946 ∼ 1969 년 : 백제토기연구 맹 아기

2. 1970 ∼ 1987 년 : 백제토기연구 형 성기 ( 서울 구의 동유적 백제로 오인)

3. 1988 ∼ 1999 년 : 백제 한성기 토 기연구 시작 ( 몽 촌토성 동남지역 발굴 보고서)

4. 2000 년대 이후 :

제작기술, 편년

등 연구 분야 확

대 활성화

(4)

[서울 구의동유적]

(5)
(6)

[백제토기 형성과정과 시점]

(7)
(8)
(9)

[풍납토성 현대 가-3호주거지]

[서울 가락동 2호분]

(10)

가락동2호분

서울 석촌동고분군

천안 용원리

완주 상운리 서산 부장리

[흑색마연토기]

진천 산수리

(11)

백제 흑색마연토기 기종 각종

SJY2

(12)

슬라이드 11

SJY2 성정용, 2005-05-16

(13)

삼족기와 직구단경호 편년안(박순발)

(14)

신봉동 토기 편년안(성정용)과 須惠器系土器

(15)

논산 표정리고분군 편년안 (성정용)

(16)

고배 제작기법 (몽촌토성)

(17)

황주 토성리

용인수지

몽촌 85-2호저장공 수혜기와 고배

(18)

청주 석소동

(19)

풍납토성

화성 마하리

포천 자작리

하남 미사리

진천 산수리 87-2호주거지

(20)

몽촌토성

하남 미사리

승주 대곡리 포천 자작리

(21)

西晋太康8년 (287)

삼족爐(餘姚市梁輝九頂山)

삼족준(절강 상우 서진요)

東晋永興2년(364) 德淸窯黑釉 삼족반

(22)
(23)

몽촌토성

(24)
(25)

석촌동 진천

화성 마하리 안성 도기동

(26)

공주 수촌리 1호목곽묘

공주 수촌리 3호석곽묘

연대 결정자료

(27)

298年 358 年

393年

433年 5 世紀後半

水村里1號

石村洞86-8號墳

笠店里86-1號墳

武寧王陵

290 369

322 355 366

375 357?

(28)

수촌리 4호석실묘

수촌리 5호석실묘

(29)

368年

421年

461年 367年

366年 368年

361

421年

421年

416年

435年

364年 370年

水村里4號墳

406年

447年

水村里4號墳 341年

461年 368年

龍院里 9號石槨

(30)

삼룡리 88-1호窯 삼룡리 88-1호住

삼룡리 89-1호住 삼룡리 88-2호窯

삼룡리 90가마군

지역토기:

백제토기 범주는?

(31)

삼룡리87-1호窯

산수리87-7호窯

산수리87-6호窯

산수리87-2호住

(32)

청주 봉명동유적 (1∼4 C-31호토광묘, 5 A-26 호토광묘, 6∼8 C-32 토광묘, 9∼11 B-79-2 토광묘, 12∼14 B-37 토광묘, 15∼19 B-52 토광묘

C-31

A-31

B-79-2

B-52

(33)
(34)

[백제 한성기 지방토기 : 청주 신봉동고분군]

(35)

[이천 설성산성]

(36)

안악 3호분

(37)

웅진기 백제토기

(좌:공주 산의리고분,우 :공주 정지산)

(38)

횡혈묘 : 공주 단지리

(39)

[ 사비기토기

부여 동남리건물지

]

(40)
(41)
(42)

[ 사비기 백제토기에 보이는 고구려토기 영향 ]

왜 적대국의 토기문화가 이입되었을까?

서울 구의동

부여 동남리

(43)

구의동

(44)

서천 봉선리석곽과 부여 나성 서울 아차산4보루와 몽촌토성

(45)

평양 석암리219호분, 정백리 19호분 칠기 耳杯

서울 아차산4보루

(46)

부여 출토 암문토기

[고구려토기 이입 이유]

1. 백제토기 계속설

2. 백제 제작공인 귀향설 3. 고구려 주민 참여설

(47)

중국 도자기 금속기의 모방과 녹유도기 생산 실험

齊 永明元年(483)盤口壺

(48)

[ 고구려토기]

1. 제작기술 : 황갈색이나 흑회색 泥質 토기, 표면 마연 無文 위주, 暗文·

波狀文, 銘文 토기

2. 압록강 중류 및 혼강유역 일대 청동시시대 공귀리유형토기 및 미송 리형토기에서 연원 : 재래토기전통 + 전국말∼漢初 회도제작기술, BC 2∼1세기 무렵 고구려 토기 형성 → 노남리형토기

3. 주요 기종 : 광구장경사이옹, 원통형삼족기, 반, 뚜껑, 평저의 동이형 시루, 횡으로 대상파수가 붙은 동이 등

4. 주요 연대 자료 : 평양천도(427년), 서울 몽촌토성, 서울 구의동보루 유적, 청원 남성

(49)

고구려토기편년안(박순발)

(50)

[고구려토기 편년안(최종택)]

[시기별 고구려토기분포]

(51)
(52)
(53)

[평양 지경동 1호분 출토 광구호와 시루]

[미송리형토기]

(54)

몽촌토성

(55)

[서울 구의동유적]

(56)

[서울 구의동유적]

(57)

아차산보루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