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珍本 靑丘永言 490- 50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珍本 靑丘永言 490- 501"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珍本 靑丘永言 490- 501

490. 져멋고쟈 져멋고쟈 열 다섯만 져멋고쟈/ 에엿분 얼골이 냇 에 셧 垂楊버드나모 광대 등걸이 되연제고/ 우리도 少年行樂이 어제론 듯 여라

▶ (이미 늙은 몸이지만 마음만은) 젊어지고 싶구나, 젊어지고 싶구나. 열 다섯만 젊어지고 싶구나/ 어여쁜 얼굴이 냇가에 서있는 수양버드나무의 험상궂은 등걸이가 되었구나/ 우리가 소년 적에 놀았던 즐거움이 어제인 듯 하구나

▶져멋고쟈: 젊어지고 싶다. 젊고 싶다.

광대 등걸이: 험상궂은 등걸, 지지리도 못생긴 버드나무의 뿌리부분 少年行樂(소년행락):소년 적에 놀았던 즐거움

어제론 듯 여라: 어제인 것만 같구나

491. 술먹어 病 업 藥과 色 여 長生할 藥을 갑주고 살쟉이면 / 盟誓ㅣ개지 아 모만들 관계 랴 / 갑주고 못 살 藥이니 뉜츼 아라가며 소로소로 여 百年 지 리라

▶술 먹어도 병 없는 약과 여색을 좋아하여도 오래 살 약을 돈주고 살 수 있으면/ 맹세코 아무리 비싼들 관계하겠는가!/ 돈주고 못 살 약이니 눈치 알아가며 조금씩 하여 백년까지 해보세.

▶盟誓(맹서): 맹세 아모만들: 얼마인들

소로소로: 살금살금, 살살, 조용히, 조금씩 갑주고: 돈주고

492. 粉壁紗窓 月三更에 傾國色에 佳人을 만나/ 翡翠衾 나소긋고 琥珀枕 마조볘고 잇 지 서로 즐기 양 一雙鴛鴦之遊綠水之波瀾이로다/ 楚襄王의 巫山仙女會를 부를줄이 이 시랴

▶분벽사창 깊은 달밤에 한 나라를 기울일 만한 미인을 만나/ 비취이불에 들어가 누워 호박베개를 마주 베고 느긋이 서로 즐기는 꼴은 마치 한 쌍의 원앙이 푸른 물결 위에서 노니는 듯 하다/초나라 양왕의 아버지인 훼왕이 무산의 선녀와 만난 것이 부러울 줄이 있으랴.

▶粉壁紗窓(분벽사창): 분통같이 깨끗하고 비단천으로 바른 창문이 나 있는 방 月三更(월삼경): (달이 뜬) 깊은 밤

傾國色에 佳人(경국색에 가인): 한 나라를 기울일만한 아름다운 미인 翡翠衾(비취금): 비취이불

나소긋고: 들어가서 눕다.

琥珀枕(호박침): 호박색의 베개 잇 지: 이와 같이

一雙鴛鴦之遊綠水地波瀾(일쌍원앙지유녹수지파란): 한쌍의 원앙이 푸른 물결을 일으키며 물 위에서 놀다

楚襄王(초양왕): 중국 초나라 37대왕

(2)

巫山仙女會(무산선녀회): 초나라의 양왕의 아버지인 훼왕이 꿈속의 무산에서 선녀를 만났 다는 고사.

493. 柴扉에 개 즛거 님만 너겨 나가 보니/ 님은 아니 오고 明月이 滿庭듸 一陳秋 風에 닙지 소릐로다/ 져 개야 秋風落葉 헛도이 즈저 날 소길 줄 엇졔요

▶사립문에 개가 짖기에 님인가 하여 나가 보니/ 님은 아니 오고 밝은 달이 뜰 안에 가득한 데 한때 불어 치는 가을 바람에 잎 떨어지는 소리로다./ 저 개야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에 헛되이 짖어 날 속이는 건 어째서냐

▶柴扉(시비): 사립문

一陳秋風(일진추풍): 한때에 불어치는 가을 바람 秋風落葉(추풍낙엽):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엽 엇졔요: 어째서냐

494. 새악氏 書房 못마자 애 다가 주근 靈魂 건삼밧 삼되야/ 龍門山 開骨寺에 니 진 늘 근 즁놈 들뵈나 되얏다가/ 잇다감 나 려온제 슬 겨볼가 하노라

▶새악씨 서방을 못 만나 애쓰다가 죽은 뒤 그 영혼 마른 삼밭의 수삼이 되어/ 용문산 개골 사의 이 빠진 늙은 중놈들의 들보나 되었다가/ 이따금 땀나서 가려울 제 슬쩍 비벼나 볼까 하노라

▶ 새악氏(시) 書房(서방) 못마자: 새악씨 서방을 못 얻어서의 옛말

건삼밧 삼되야: 마른 삼포의 굵고 커다란 삼이 되어, 마른 삼밭의 수삼이 되어 *여기서 “삼”은 “베”를 만드는 것이다.

들뵈: 남자들의 성기나 항문에 병이 생겼을 때 부삿에 차는 헝겊.

슬쪄겨볼가 노라: 슬쩍 건 들여 볼까 하노라

495. 靑天 구름 밧긔 노피 白松骨이/ 四方千里를 咫尺만 너기 듸/ 엇더타 싀궁츼 뒤 져 엇먹 올히 제 집 門地方 넘나들기를 百千里만 너기더라

▶푸른하늘 구름밖에 높이 떠서 나는 저 흰 송골매는/ 사방천리를 지척같이 여기는데/ 어찌 해 시궁창 뒤져 먹는 오리는 제 집 문지방 넘나들기를 백리천리 같이 여기느냐

▶白松骨(백송골): 독수리 과에 딸린 새의 하나, 흰 송골매

싀궁츼: 더러운 물이 잘 빠지지 않고 썩어서 질척질척하게 된 도랑, 시궁창 올히: 오리

엇먹: 얻어먹는

496. 기러기 외기러기 너 가 길히로다/ 漢陽城臺에 가셔 져근덧 머므러 웨웨 쳐불러 부듸  말만 傳 야 주렴/ 우리도 밧비 가 길히니 傳할동말동 여라.

▶기러기 외기러기야 네가 가는 길이구나/ 한양성 대궐에 가서 잠깐 머물러 웨웨 소리 쳐 부디 한 말만 전하여 주렴/ 우리도 바삐 가는 길이니 전할동말동 하여라

▶漢陽城臺(한양성대) : 한양성 대궐 져근덧: 잠깐, 잠시 동안

497. 漢武帝의 北斥西擊 諸葛亮의 七縱七擒/ 晋나라의 謝都督 八空山 威嚴으로 四夷戌狄이

(3)

다 러 린 後에/ 漠南에 王庭을 업시 고 凱歌歸來 여 告闕成功 리라

▶한무제가 북쪽의 흉노와 남쪽의 오랑캐를 평정한 일, 제갈량이 맹획을 일곱 번 공격하 고 일곱 번 승리하는 대 승전을 이룩한 일/ 진나라 사도독은 팔공산 싸움에서 오로지 위 엄으로 오랑캐를 다 쓸어버린 후에 /내몽고에 있는 왕정을 없애고 개선가를 부르며 승리해 돌아온 것을 임금에게 고하리라.

▶北斥西擊(북척서격): 북쪽에서 밀어 치고 서쪽에서 공격한다.

七縱七擒(칠종칠금): 일곱 번을 공격하여 일곱 번을 다 이겼다.

謝都督(사도독): 중국 진나라 장수로 인품이 고귀하였다 한다. 사현

*胡(호)나라의 백만 대군이 팔공산 싸움에서 사도독의 위엄을 보고서 싸우지도 못하고 항복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四夷(사이): (1) 중국 사방의 이민족(異民族).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 狄). (2) 야만인의 총칭. 사방의 복종하지 않는 이민족(異民族).

四夷戌狄(사이술적): 오랑캐 漠南 : 중국 내몽고 지역.

王庭(왕정): 임금이 다스리는 조정. 여기서는 胡國(호국, 흉노)의 조정을 말함 凱歌歸來(개가귀래):승리의 노래를 부르며 오다.

告厥成功(고궐성공):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옴을 임금에게 고한다.

498. 陽德 孟山 鐵山 嘉山 린 물이 浮碧樓로 감도라 들고/ 마흐라기 공이소 斗尾 月溪 린 물은 濟天亭으로 도라 든다/ 님 그려 우 눈물은 벼갯모흐로 도라든다

▶양덕, 맹산, 철산, 가산에 흘러내리는 물은 부벽루로 감돌아 들고/ 마흐라기, 공이소, 두미, 월계에 흘러내리는 물은 제천정으로 돌아들고/ 님 그리워 우는 눈물은 베개 속으로 돌아 든다.

浮碧樓(부벽루): 평양 모란봉 밑 절벽에 있는 누각의 이름

濟天亭(제천정): 평양 대동강 주변에 경치가 뛰어난 곳에 있는 정자의 이름

陽德(양덕), 孟山(맹산), 鐵山(철산), 嘉山(가산), 마흐라기 공이소 斗尾(두미), 月溪(월계):

대동간 주변의 지명이며 대동강의 水源(수원)이기도 하다.

감도라 든다: 감아 돌아 흐른다.

499. 고래물혀 채민 바다 宋太組ㅣ金陵치라 도라들제/ 曹彬의 드 칼로 무지게 휘온드시 에후루혀 리 노코/ 그 건너 님이 왓다 면 상금상금 건너리라.

▶고래가 바닷물을 들여 마셨다가 힘차게 뿜어내듯 하는 굳센 힘으로 송태조가 금능을 치러 돌아들 때/ 조빈의 잘 드는 칼을 무지개가 휘어진 듯이 양쪽을 휘어서 다리를 놓고/ 그 건너에 님이 왔다 하면 성큼성큼 건너리라.

▶물혀: 물을 들여 마시다.

채민: 내뿜다.

宋太組(송태조)ㅣ金陵(금능)치라 도라들제: 중국 송나라 송태조가 남송의 서울 남경을 100 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 갈 때.

曺彬(조빈): 송태조의 참모격의 장수로서 힘이 세고 칼을 잘 쓰는 장수였다.

휘온드시: 휜듯이

(4)

- 4 - 에후루혀: 둥글게 휘여

500. 司馬遷의 鳴萬古文章 王逸少의 掃千人筆法/ 劉伶의嗜酒와 杜牧之好色은 百年從事 면 一身兼備 려니와/ 아마도 雙傳키 어려을슨 大舜曾參孝와 龍逄比干忠이로다

▶사마천은 만고에 문장가로 이름이 나있고, 왕일소는 천 사람의 필법을 물리쳤다/ 유령은 술을 즐기었고 두목이 여자를 좋아하는 것은 백년을 따라해야 한 몸에 겸비하려니와/ 아 마도 두 가지를 겸비하기 어려운 것은 순임금과 증자의 효와 용방과 비간의 충성인가 하노라

▶司馬遷(사마천): 중국 前漢(전한)의 역사가이며 이름난 문장가이다.

鳴萬古文章(명만고문장): 만고에 떨친 문장으로서의 명성을 날림 王逸少(왕일소): 진나라의 명필가. 왕희지를 말함.

掃千人筆法(소천인필법): 천명의 사람을 물리칠만한 필법 劉伶(유령)의 嗜酒(기주): 유령은 술을 좋아함

杜牧(두목): 여자들이 그를 너무 좋아하여 두목이 지나가면 여자들이 그의 수레에 귤을 던져 귤이 수레를 다 채웠다는 고사가 있다

杜牧之好色(두목지호색): 두목은 여색을 좋아한다.

雙傳(쌍전)키 어려올슨: 두 가지를 겸하기 어려운 것은

大舜曾參(대순증삼): 순임금과 공자의 제자 증자를 말함. 두 사람은 지극한 효행자이다.

龍逄比干(용방비간): 용방은 하나라 桀 임금의 충신, 비간은 은나라 紂 임금의 숙부로써 주왕의 음란함을 충정 어린 마음으로 간하다가 피살되었다.

501.大川바다 한가온대 中針細針 지거다 / 열나믄 沙工놈이 긋 므된 사엇대를 긋긋치 두러메여 一時에 소릐치고 귀 여 내닷말이 이셔이다 / 님아 님아 온 놈이 온 말은 여도 님이 짐쟉 쇼셔.

▶대천바다 한 가운데 중바늘 세바늘이 빠졌는데 / 열 명이 넘는 사공들이 끝이 무딘 삿대 를 꼿꼿하게 둘러메고 한번에 소리치며 바늘귀에 꿰어 낸다는 말이 있답니다. / 님이시여, 님이시여, 온갖 사람이 온갖 말을 하여도 님이 헤아려 주십시오.

▶ 中針細針(중침세침) : 크기가 중간되는 바늘과 제일 작은(가는)바늘.

지거다 : 빠졌도다.

열나믄 : 열이 넘는. 십여 명.

긋 : 끝

므된 : 무딘. 날카롭지 못한.

사엇대 : 삿대. 상앗대라고도 하며 물 속을 짚어 보는 기다란 대.

긋긋치 : 꼿꼿하게. ‘긋(必)’을 둘 합하여 부사를 만들었다.

귀여 : 바늘귀를 꿰어. ‘여’는 ‘다’에서 온 것이니 ‘다〉다’에서 ‘ㅣ’모음이 탈락한 것이다. ‘다’는 뚫다의 뜻.

내닷말이 : 내었다는 말이 이셔이다 : 있습니까. 있었던가 온 : ‘百’의 고어. 모든 짐쟉쇼셔 : 헤아려 주십시오.

참조

관련 문서

This paper discovered the Korean native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flowed in Japanese, discussing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he standards for judging

구태여

[r]

또한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은행 등과 같은 金融會社일 경우 일반제조・판 매업종의 지배회사는 그 금융업종을 영위하고 있는 종속회사를

自此三國歸於晉帝司馬炎,爲一統之基矣. 此所謂天下大勢, 合久必分, 分久必合者也. 後來後漢 皇帝劉禪亡於晉太始七年,

觀世音의 영험은 七難으로부터 사람들을 구제하는 것으로 발휘된다.. 은 병이 위급해지자 친구의 말대로 불상을 주조했다. 전쟁과 포로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While the villagers in the eastern mountain areas of Liaodong were mobilized to attack Later Han, Koguryo marched onto the heart areas of the Yodong county through the

A large number of manuscripts were produced as the book was quite popular at the time, and these manuscripts came in various types, ranging fr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