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예멘 에너지·자원 현황 및 정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예멘 에너지·자원 현황 및 정책"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예멘 에너지·자원 현황 및 정책

2014.10월 / 주예멘대한민국대사관

1. 개관

◦ 예멘의 확인 석유매장량은 30억배럴(세계 30위, 2013년 말 기준)이 나 예멘 정부는 미확인매장량 포함시 총 119억 배럴에 이를 것으 로 추산하고 있음.

◦ 1일 석유생산량은 기존 광구의 생산량 감소 및 2011년 반정부 시 위사태에 따른 치안불안으로 22.8만 배럴로 감소하였으며, 지속적 인 정세불안 및 석유시설 사보타주로 2012년에는 18.0만 배럴, 2013년에는 16.1만 배럴로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임.

◦ 천연가스 매장량은 0.5조 입방미터(16.9조 입방피트, 세계 30위, 2013년 말 기준)로서 2009년부터 생산 및 수출을 개시하여, 2013 년 생산량은 103억 입방미터로 집계됨.

◦ 광물자원은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치안 불안 등 여러 내부적 여건상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 열․풍력․태양열․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개발 잠재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은 개발추진 단계에 있는 상황임.

◦ 전반적으로 에너지 자원 잠재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되나 2011년

‘아랍의 봄’ 반정부 시위사태 이후, 정세불안, 외국인 납치 및 테러 등 정치사회적 문제가 자원 탐사·개발에 걸림돌로 작용하 고 있음.

◦ 2014.1월 UN 및 GCC의 후원하에 각 정파가 참여한 범국민대화회 의가 종료되었으나, 2014년 초 계획되었던 대선이 2015년으로 연

기되고 Saleh 전 대통령 세력의 정치전환 방해활동, 북부 시아파 후티반군 세력의 사나 점령, 알카에다아라비아반도지부(AQAP)의 활동 등으로 치안불안 및 정세 불확실성이 계속됨.

◦ 2015년을 목표로 하는 신정부 출범 후, 정치적·경제적·사회적 불안이 완화되어야 본격적인 에너지 자원 개발 확대가 가능할 것 으로 전망됨.

2. 에너지 자원 보유 현황

가. 석유분야

(1) 개요

◦ 예멘 석유광물부는 미확인 광구를 포함할 경우 예멘의 원유매 장량이 약 119억배럴로 확인매장량 30억배럴에 비해 약 4배 규모라고 추정함.

◦ 예멘은 중동 타 산유국들이 1910-1950년 집중 개발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1980년중반 이전까지 석유개발을 추진하지 못하 였으며, 1984년 미국 Hunt사가 마리브 18광구에서 최초 유전 을 발견한 이후부터 외국기업들이 본격 진출하여 석유탐사를 시작함.

◦ 2014.10월 기준 전체 105개 광구 중 13개 광구에서 석유를 생 산중이며, 발견된 광구들은 모두 마리브 및 마실라 분지 (basin)에 밀집되어 있는 것이 특징임.

(2)

(2) 주요 정부조직

기능 부처

정책 총괄 - Ministry of Oil and Minerals (석유광물부) 오일 탐사․개발,

생산 계약담당 - Petroleum Exploration and Production Authority (석유탐사생산청)

광물 탐사․개발,

생산 계약담당 - Geological Survey and Mineral Resources Board (광물자원청)

6개 오일,가스관련

공사 총괄 관할 - Yemen Corporation for Oil and Gas 18광구 석유개발 - Safer E&P operation company

14광구 석유개발 - PetroMasila

(3) 광구분양 현황

◦ 2014.10월 현재 총 105개의 석유광구 중 생산광구 13개(외국 10개, 국내 2개 등 총 12개 사)는 중동부 마리브 및 중부 마 실라 분지에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탐사광구 20개는 마리브 및 마실라 분지 인근지역에 위치함.

- 2012.9월 총 2만 평방킬로미터 규모의 5개 광구(6, 15, 84, 85, 102)에 대한 입찰(5차)을 공고하였으며, 2013년 7월 84 광구(DNO), 102광구(KUFPEC)는 운영자를 선정 발표

- 2013.3월 20개 석유 광구을 입찰(6차) 공고하였으며, 2013.8 월 입찰에 참여한 45개 외국 기업 중 18개 기업을 입찰 적 격으로 선정하여 입찰을 개시

- 2013년까지 89개의 생산물분배협정(PSA)이 체결되었으며, 제5차 및 6차 광구 입찰 결과에 따라 2014.10월 기준, 3건 의 PSA(제84, 88, 102광구)에 대해 협상 중

<석유광구 분양 현황, 2013.4월>

<예멘 광구분양 현황>

전체 생산광구 탐사광구 승인대기 미분양

105개 13개 20개 3개 69개

◦ 지질측면에서 보면, 예멘내 13개 퇴적분지(Sedimentary Basin) 중 Sab'atayn 퇴적분지(마리브지역) 및 Sayun-Masilah 퇴적분 지(마실라지역) 2개 분지에서 대부분의 생산 및 탐사활동이 추진되고 있음.

(3)

<지질 및 광구 분포 현황>

(4) 생산현황

◦ 확인매장량(Proved crude oil reserves)

- 세계에너지 통계분석(BP, 2014.6월) 자료에 따르면, 예멘의 석유 확인매장량은 30억배럴로 세계 30위 수준임(예멘정 부는 미확인광구를 포함할 경우 총 매장량이 약 4배 많은 119억배럴로 추정).

◦ 석유생산량 추이

- 2003년 일산 45.1만배럴에서 2010년 29.1만배럴로 35% 감 소하였으며, 주 감소요인은 기존 대형광구(18, 14, 5광구) 의 노후화로 인한 자연감소 및 신규 유전 발견 부진.

- 2011년 생산량은 일산 약 25만배럴로 예상되었으나, 기존 광구의 생산량 감소현상과 더불어, 반정부시위사태에 따 른 치안불안으로 마리브-홍해간 송유관 파손 및 외국 기 업들이 직원철수 등 영향으로 일산 22.8만 배럴로 감소.

- 2011년부터 시작된 기존 광구의 생산량 감소 및 반정부 시위사태에 따른 치안불안이 이어져 2013년에는 16.1만 배럴로 감소하였으며, 2014년에는 16.7만 배럴로 전망됨.

<석유 생산량 추이, 2010-2015년>

년도 2010 2011 2012 2013

(예측)

2014 (전망)

2015 (전망)

(천b/d) 291 228 180 161 167 185

◦ 석유생산 현황 (2013.4월, 13개 생산광구)

(4)

- 4광구 한국석유공사(KNOC)는 석유 생산량이 저조하여 2013.9월 광구 반납 및 사업철수를 예멘 정부에 통보하 였으며, 2014.10월 현지법인 청산 절차 진행 중임.

(5) 탐사현황

◦ 석유탐사 현황 (2013.4월 기준)

- 12개사가 20개 석유광구 탐사 중

(6) 석유수출

◦ 예멘 정부 석유수출 수입(oil export revenues)은 2011년 35 억 불, 2012년 36억 불이었으나, 2013년의 경우 전년 대비 22% 감소한 28억 불로 추정되며, 2014년은 23억 불로 전망.

◦ 2014년 1-7월 간 예멘 정부 석유판매 수입(oil revenues)은 전년 동기 대비 4.81억 불 감소한 10.79억 불로 집계

- 같은 기간 중 석유 수출량은 전년 대비 460만 배럴 감소

(5)

한 980만 배럴이었으며, 2014년 상반기 석유 수입액은 이 미 14.77억 불로 2013년 연간 총 석유 수입액 15.95억 불 에 육박

◦ 석유생산 급감의 주요 원인인 석유시설 사보타주 관련, 예 멘 국영기업 Safer 석유공사는 2013년 석유 생산/운송 시설 피습 사건이 41건, 2012년 37건, 2011년 21건 발생했다고 발 표함.

- 2011-2013년 간 석유시설 사보타주로 인한 손실액은 47억 불이었으며, 2014년 상반기 동안 손실액은 약 10억 불로 집계

(7) 송유관 시설

◦ 마실라지역, 마리브지역 및 샤브와지역에서 해안 터미널과 연결된 3개 송유관은 1984년부터 외국회사가 석유수출을 위 해 직접 구축한 것으로 총 수송능력은 107만 b/d이나 실 송 유량은 27만 b/d에 불과함.

- 송유관은 경제동맥과 같은 중요 시설이나 정부통제력이 미치지 않는 지방을 통과하므로, 지방부족 등 불순세력에 의한 사보타주·테러에 노출되어 있으며, 2011년 이후 지 방 부족세력 및 알카에다 세력의 빈번한 송유관 파괴로 인해 석유생산 및 수출에 큰 손실.

- 마리브지역으로 연결된 마리브-Ras Isa 송유관의 경우 2012년 절반 이상 운영을 못해 예멘 국내 석유 수급에 차 질

구분 길이 수송능력 실 송유량

마실라 - Ash Shihr(아덴만) 138Km 40만배럴/일 15만 b/d 마리브 - Rass Issa(홍해) 438Km 40만배럴/일 12만 b/d 샤브아- Bir Ali(아덴만) 204Km 27만배럴/일 100 b/d

(8) 잠재력 평가

◦ 한편, 예멘은 1980년대 중반이후에야 석유개발이 시작되어 전국토의 80%이상이 아직 미개척 단계이며, 일부 기업의 개 발범위 확대 및 유전개발 성공사례를 볼 때 석유개발 잠재 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예멘 정부는 미확인 매장량 포함시 총 119억 배럴 규모의 매장량 이 있는 것으로 추정

◦ 2014.10월 기준, 소코트라, 아덴만 및 홍해 해상분지에 대한 탐사를 본격 추진하고 있는바, 특히 홍해 분지(Basin)에서는 사우디, 이집트 해안 및 수에즈만 등에서 이미 130개 유정 이 발견되어 예멘 해역에서도 탐사 성공 가능성이 높으며

(6)

해저 원유 유출 발견 사례도 있으나 아직 탐사에 성공하지 는 못함.

- 또한 아직 본격 탐사 단계는 아니나, 셰일 가스․석유의 매 장 잠재력도 높은 것으로 판단

◦ 예멘은 재정 수입 확보를 위해 석유 탐사․생산 확대에 노력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 외국 기업 자본․기술 유치 ▲ 노 후 석유시설 현대화 ▲ 법제 정비 및 기술인력 훈련 등에 힘쓰고 있음.

나. 가스분야

(1) 개요

◦ 예멘정부는 1990년대 석유의 대체자원으로 가스개발계획을 수립, 1995년 프랑스 토탈사와 가스개발협정(GDA, Gas Development Agreement)을 체결하고 YLNG 가스개발 프로 젝트를 착수함.

◦ 그러나, 정부의 개발추진 노력에도 불구하고 가스개발 인프 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이에 투자할 해외자본을 확보하지 못하여 YLNG 가스개발 프로젝 트는 2005년까지 진행되지 못함.

◦ 예멘정부는 2005년 한국가스공사(KOGAS), GDF Suez사, Total사 등과 20년간 장기 LNG 구매계약을 체결하였고, 장 기 구매자가 확보되자 해외자금 확보도 용이하게 진행되어 약 45억불이 투입된 YLNG 프로젝트를 착수하여, 2009년 수출을 시작함.

(2) 가스 매장량

◦ 총 확인매장량 : 0.5조 입방미터(16.9조 입방피트)

<광구별 확인 가스매장량>

구분 18광구 5광구 S1광구 S2광구 10광구 9광구 14광구

매장량 14.7 1.3 0.6 0.5 0.4 0.2 0.2

- 세계에너지 통계분석(BP, 2014.6월) 자료에 따르면, 예멘가 스 확인매장량은 16.9조 입방피트이나 예멘 석유광물부는 18.2조 입방피트로 보고함.

(3) LNG 생산 현황

◦ YLNG 프로젝트 기간 및 비용 : 2005.8월-2010.6월(약 5년), 45억불

마리브 가스전 액화공장

프로젝트 내역

확인매장량 9.6조 입 방피트

- 파이프라인 건설 가스전∼액화공장 320km

가스전∼예멘 수도 Sana’a 200km - 액화공장 (6.7백만톤/년) 건설

(3.35백만톤/년×2 Trains)

(7)

<YLNG 가스프로젝트 구성지형도>

◦ 지분구조(%)

- 토탈사(39.6), 헌트사(17.2), 예멘가스공사(16.7), SK이노베이 션(9.6), 한국가스공사(6), 현대종합상사(5.9), 예멘연금보험 공사(5)

◦ LNG 생산능력 : 670만톤/년

- 2009년부터 생산 및 수출을 개시하여, 2009년 8억 입방미 터를 생산하였으며, 연간 생산량은 2012년 76억 입방미터, 2013년 103억 입방미터로 집계

◦ 판매 계약(20년 장기, 2008.12 - 2028.12)

LNG 구입처 판매시장 계약기간 계약물량

Suez 미국 20년 2.55백만톤/년

Total 미국 20년 2.15백만톤/년

한국가스공사 한국 20년 2.00백만톤/년

<LNG 수출액 추이, 2009-2013년>

년도 2009 2010 2011 2012 2013

(mn USD) 66 733 1,254 556 2,054

◦ LNG 수출

- 2009.11.7 첫 선적분을 한국으로 수출한 이래, 아시아, 유 럽, 미국등으로 2009년 6,624만 불을 시작으로, 연간 LNG 수출액은 2012년 5.5억 불, 2013년 20.5억 불로 파악.

◦ 예멘 정부 LNG수출 수입(LNG export revenues)은 2011년 1.8억 불, 2012년 1.6억 불이었으나, 2013년의 경우 전년 대 비 2배 이상 증가한 3.5억 불로 예측되며, 2014년은 6.7억 불로 전망.

- 예멘 정부의 LNG 수출가격 조정·협의에 따라 2013년부 터 LNG 수출액 및 정부수입이 대폭 증가

◦ 예멘 정부는 2013.12월 한국가스공사와의 LNG 수출가격 협 상이 14불/MMbtu 선으로 합의되었다고 밝혔으며, 2014.10월 현재 프랑스 Total사, GDF Suez사 등과 가격조정 협상을 진 행 중

다. 광물분야

(1) 개요

◦ 예멘에는 아연, 은, 금, 구리, 니켈, 플리티늄 등의 금속광물 및 대리석, 석고 등 산업용 석재가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 으며, 해외기업 11개(2개는 예멘)가 진출, 매장량을 조사 중 임.

◦ 대다수 해외기업들이 광물조사 단계이나, 영국 Zincox는 1999

(8)

<주요 아연(납, 은 포함) 광산 현황>

구분 광산 위치 조사 경과 추정 매장량 진출기업

1 Jabal

Salab 사나주 - 1982년 샘플조사 - 2008년 개발시작

12.6백만톤 (아연 8.86%, 납 1.17%, 은 68.2g/t)

ZincOx (영국)

2 Tabaq

샤브와주 (Jabal Salab와

같은 지층)

- 표면샘플 조사 매장량 미조사

(아연 12%, 납 3.8%) 미분양

3

Barran, Al-Kwal Haylan

사나주 (Jabal Salab

인근)

- 표면샘플 조사 매장량 미조사

(아연 16.5%,납 6%) 미분양

4 Wadi Rama

샤브와주

(Tabaq인근) - 표면샘플 조사

매장량 미조사 (아연 7%, 망간 0.4%,

바륨 5%)

미분양

년부터 예멘에 진출하여 2007년 향후 20년간 자발살랍아연광 산의 생산권을 확보함.

◦ 예멘 지질탐사광물청(GSMRB)은 최근 감소중인 석유자원의 대 체자원으로 그간 석유, 가스에 비하여 개발이 뒤처진 광물자 원에 외국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홍보 및 제도정비를 추진 중임.

- 특히, 지방부족의 현장조사 방해 등 지방치안이 불안하고, 개 발된 광물을 해안부두까지 운반할 내륙철도가 없으며 도로도 매우 취약한 점이 해외기업들의 진출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 임.

(2) 광물자원 현황 (금속광물)

◦ 아연(Zn), 납(Pb), 은(Ag)

- 아연(납, 은 포함)은 중부지역 대각선방향으로 광범위하게 발 견되고 있으며, 일부 표면샘플 조사결과 아연성분이 8- 16%

로 품위가 매우 우수.

5 Al-Jubal 샤브와주

(Tabaq인근) - 표면샘플 조사 매장량 미조사

(아연 8.7%, 납 1%) 미분양

6 Dhi Bin 암란주

(예멘 북서부) - 지층 샘플조사 매장량 미조사

(아연 16%, 납 1.11%) 미분양

<주요 구리(니켈, PGE 포함) 광산 현황>

구분 광산 위치 조사 경과 추정 매장량 진출기업

1 Suwar

암란주 (사나 북서쪽

80Km)

- 시추 조사

40백만톤 (구리 2%, 니켈 2%,

소량의 코발트(Co), 팔라듐(Pd), 백금(Pt) )

Cantex (캐나다)

2 Byhan

알베이다주 (Al-Bayda시 북서쪽 60Km)

- 유망지점 조사 (47Km×43Km)

매장량 미조사 (샘플조사 없음)

Ansan (예멘)

3 Al-Ham urah

타이즈주 (남동쪽 50Km)

- 1970년 지질조사 - 1979년

시추조사 - 1997년

시추조사

매장량 미조사 (구리 9.2%, 니켈 0.6%,

코발트 1,080 ppm)

Stone Resource

(중국)

4 Al-Qaby

ta 타이즈주 - 지질 조사 매장량 미조사

(샘플조사 없음) 미분양

5 Qaifa 알베이다주 - 지질 조사 매장량 미조사

(샘플조사 없음) 미분양

6 Wadi

Mabar 사다주 - 표면샘플 조사 매장량 미조사

(Palladium 0.1 -0.3g/t) 미분양

7 Wadi Silbah

사다주 (예멘 북서부)

- 1983년 지질조사 - 표면 샘플조사

매장량 미조사 (구리 69- 214 ppm, 니켈 102- 1,778 ppm,

코발트 64-151 ppm, 크롬 176- 4,736 ppm)

폐쇄 (안전문제)

◦ 구리(Cu), 니켈(Ni), PGE(Platinum Group Elements)

- 구리(니켈, PGE 포함)는 서부 및 남부 다수 지역에서 발 견되고 있으며, 정확한 매장량 및 품위자료 확보를 위한 표층 및 샘플조사가 진행 중.

(9)

<주요 금광산 현황>

구분 광산 위치 조사 경과 추정 매장량 진출기업

1 Wadi

Madan 하드라마우트주 (예멘 중부)

- 1992년 원석조사 - 2008년 시추조사

678,000톤 (금 15g/t, 은

11g/t) Al-Thani사 (UAE)

2 Hiru - 표면샘플 조사 매장량 미조사

(금 50-110g/t)

<주요 철광산 현황>

구분 광산 위치 탐사 경과 매장량 및 품위 진출기업

1 Mukeras 아비안주 (예멘 서남부)

- 매장량 조사 - 예비타당성 조사

(필요시 제공가능)

860 백만톤 (철 15.55%, 티타늄 5.3%, 인광체 3.14%,

바나디움 0.02%)

미분양

2 Al-Than yyah

마리브주 (4개 지점) - Al-Makhab - iQarn Al-Kha

- Banat - Tuba

- 2004년 지질탐사 - 2006년 시추탐사 - 2008년 샘플조사

매장량 미조사 (Al- Makhab의 경우

표면샘플의 철성분(Fe2O3)이

90%이상, 시추샘플의 철성분 80%

이상)

Yemen Iron Steel

◦ 철(Fe)

- 철은 예멘 중부 마리브주 및 남부 아비안주 2개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정확한 매장량 및 품위자료 확보를 위한 샘플조사가 진행 중.

◦ 금(Au)

- 금은 예멘 북부, 중부, 남부 등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정확한 매장량 및 품위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

- UAE Al-Thani사, 캐나다 Cantex사, 싱가포르 CC Mining사 등이 각 하드라마우트주, 하자주, 타이즈주 소재 금광산에 진출하여 개발 중.

<주요 비금속광물 현황>

광물명 매장량(추산) 분포지역 활용분야

석회석, 백운암 (Lime Stone and Dolomite)

135억 입방미터

사나, 타이즈, 호데이다, 바지르,

마리브, 아비얀, 암란, 하드라마우트,

샤브와

시멘트, 유리, 염색제, 철강, 부식제, 세라믹, 건축자재

암염 (Rock Salt)

8억톤 (3억9천만 입방미터)

호데이다, 샤브와,

마리브 식용소금, 유리, 비누, 부식제

석고

(Gypsum) 41억톤

타이즈, 호데이다, 마리브, 샤브와,

하드라마우트, 아비얀

시멘트, 유리, 의료용품, 단열재

대리석 (Marble)

10억입방미터 이상

타이즈, 하짜, 마리브, 아비얀,

사나

건축자재, 장신구, 장식용품, 의료용품, 접착제

장석 (Feldspar)

0.23억 입방미터

이상 하짜, 아비얀 단열재,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고무, 비누, 페인트제품

유리모래 60억 입방미터 사다, 사나, 타이즈, 단열재,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3 Musayani - 미조사 미조사

4 Al-Hariqah 하자주

(예멘 북서부) - 2005년 시추조사 40백만톤 (금 1.5g/t 이상)

Cantex (캐나다)

5 Waraqah 다마르주

(예멘 중서부) - 지층 샘플조사

매장량 미조사 (금 53 - 120

ppb)

미분양

6 Al-Waze'ya ah

타이즈주

(예멘 남서부) - 지층 샘플조사

매장량 미조사 (금 39-108ppb, 아연 1,329ppm)

CC Mining (파나마)

7 Am Surrah 아비안주

(예멘 남서부) - 지층 샘플조사

매장량 미조사 (금 0.7g/t, 55

ppb)

폐쇄 (안전문제)

(3) 광물자원 현황 (비금속광물)

◦ 비금속광물 매장현황 (석회암, 암염, 석고 등 20여 종류)

(10)

(Glass Sand) 이상 라다, 샤브와 고무, 비누, 페인트제품

석영 (Quartz)

0.13억

입방미터 하짜, 사다 광학제품, 전자제품, 태양전지, 고무, 의료용품

점토광물

(Clay Menirals) 1.2억 입방미터

사나, 사다, 이브, 호데이다, 아덴,

아헤이

세라믹, 시멘트, 종이, 고무, 페인트, 벽돌 등

비석 (Zeolite-제올라

이트)

2억 입방미터 타이즈, 이브, 다마르

세제, 경시멘트, 사료, 종이, 오일필터

현무암 (Basalt)

1.21억 입방미터

타이즈, 이브, 다마르, 사나

건축자재, 철로 포장재, 시멘트 제품, 파이프

탈크

(Talc) 상당량 사다, 마리브,

아비얀, 알-달리

종이, 페인트, 화장품류, 농약, 의료용품

화강암 (Granite &

Jappro)

16억 입방미터

사다, 마리브, 알-바이드, 호데이다, 타이즈,

아비얀

건축자재, 철로 포장재

흑사

(Black Sand) 1.05억톤

하드라마우트, 홍해연안지역, 알-마하라,

호데이다

항공기 부품, 페인트, 세라믹, 방음재

고령토 (Kaolin)

0.04억 입방미터

이상 사다, 사나 세라믹, 제지산업, 플라스틱재료

산업, 고무산업

석회화 (Travertine)

50만 입방미터

이상 이브, 사나 석재, 장식용타일, 건축자재

화산재

(Volcanic Ash) 17억 입방미터

다마르, 암란, 마리브, 사나,

샤브와

시멘트, 콘크리트, 방음/방열재, 도로/철로 포장재

경석 (Pumice)

10억 입방미터

이상 다마르, 아덴 연마재, 산업재료, 정수필터,

건축자재

Berlit 3.53억 입방미터 이상

다마르, 아덴, 타이즈

단열재, 경시멘트, 비료, 세제, 본드, 플라스틱

형석 (Fluoride)

0.0072억

입방미터 하바안, 무칼라

금속세제 및 페인트 제거제用 플루오르화산, 우라늄 처리용

유리, 세라믹

응회암 3.45억 입방미터 타이즈, 이브, 장식석, 시멘트, 비료, 세제,

(Tuffs &

Ignimbrite) 다마르, 사나 비누, 정수

번호 광물 기업 국적 지역 면적

1 아연 Zincox 영국 Nehm-Sana'a 18㎢

2 금, 니켈, 백금, 구리

Cantex Mine

Development 캐나다 Hajjah, Saadah 13㎢

3 Thani Dubai

mining UAE Hadramout, Hajjah 1065㎢

4 희귀 금속 Ansan Wikfs Ltd 예멘 Shabwah 3000㎢

5 Volrock Mining UK

Ltd 영국 Ahem 30.4㎢

6 Yemen Iron Steel

Ltd 예멘 Marib 220㎢

7 구리, 니켈,

코발트 Stone Resources 중국 Taiz 200㎢

8 CC Mining S.A

Company 파나마 Dhammar, Taiz 1294㎢

9 마그네사이트 Arab Mining 요르단 Marib -

(4) 예멘진출 광물기업 (11개, 외국 9개, 예멘 2개)

(11)

company

10 석회석 3s minerals Ltd 인도 Hadramout 1.7㎢

11 석회석,

황철광

Naine Minerals

Resources 싱가포르 Hadramout -

라. 재생에너지 분야

(1) 개요

◦ 예멘은 원유와 천연가스(LNG) 중심의 에너지 개발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 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주요 재생에너지 자원으로서는 풍력, 지열, 태양광·태양열 등이 있는바, ▲ 풍력은 해안 및 내륙 고지대 산악지역 중 심으로 풍력발전에 유리한 지형 다대, ▲ 지열은 주요 지각 판의 마찰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지질학적 특성, ▲ 태양 광·태양열은 전국에 걸친 높은 평균 일사량 등으로 인해 유리한 발전자원으로 이용 가능

◦ 예멘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국가전략(2010)’에 따라 2025년 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5%(약 600MW)까지 높인다는 목 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독립민자발전(IPP) 유치를 통해 이 를 달성한다는 전략을 갖고 있음.

- 2011년 반정부 시위사태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중단 또는 무산되었으나, 2014년부터 일부 프로젝트 추진을 재개함.

(2) 추진 정책

◦ 예멘정부는 가스발전소 건설 등을 통해 발전설비 증설을 추진 해오고 있으나, 2025년 최대 전력수요가 3,181MW까지 상승하

여 약 1,177MW ~ 2,158MW 규모의 전력부족분이 발생할 것으 로 예상됨에 따라,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약 600MW의 전력공급능력(풍력 400MW, 지열 160MW, 기타 태양 열 발전설비 확충 등)을 확보한다는 재생에너지 개발전략을 수립함.

◦ 그러나, 예멘정부의 재생에너지 개발은 초기단계로서 풍력, 지열, 태양열 등 우수한 에너지원을 전력자원화하기 위한 국 가적 차원의 구체적인 법적․정책적 기반 및 조직체계를 아직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 신재생에너지개발법 등 관련 법규 미제정, 예멘 전력부내 담당인력은 소수에 불과하며 전문성도 부족한 실정

◦ 예멘은 2013년에 기후투자펀드(CIF) 산하 전략기후펀드(SCF)의

「저소득국가 신재생에너지 확산」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었으 며, 이에 따라 2014.1월 투자계획 관련 컨설팅 서비스 의향서 (EOI) 발급

(3) 분야별 재생에너지 현황

(가) 풍력에너지

【개요】

◦ 예멘은 해안과 산악지형의 독특한 지리적 구조로 인해 해풍 및 계곡풍의 속도와 안정성이 높아 풍력발전에 유리한 것으 로 알려진바, 현재로서 예멘 재생에너지 자원 중 가장 구체적 으로 개발프로젝트가 진행되어온 분야임.

- 홍해 및 아덴만 해안지역에서 풍력발전에 유리한 해풍이 발 생(특히 9월-3월)하고 있으며, 내륙에도 해발 1,200m 이상의

(12)

<풍력 잠재력 분포도>

고지대에서 풍력발전 잠재력을 갖춘 지형 다수 분포

◦ 서부 홍해연안 호데이다와 모카지역에서 4,966MW의 전력생산 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며, 그 외에 아덴만 인근, 타이즈, 라흐 즈 등도 풍력에너지 잠재력이 우수함.

◦ 예멘 정부는 지난 2009년 전력망 기반(grid-based) 및 비전 력망 기반(off-grid)으로 이원화된 재생에너지 개발전략을 수립한바, 전력망 기반 재생에너지는 2025년까지 전체 전력 공급의 15%를 목표로 풍력, 지열, 기타 전력효율화 기술도 입 등을 통해 연간 2,843GWh 생산증대를 추진하며, 비전력 망 기반 재생에너지는 지역별 적정 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을 선정하고 필요 투자재원을 확보하는 장기 전략으로 추진 한다는 것임.

<모카 풍력발전단지 용량 및 규모 추정치>

(용량에 따른 발전량 및 시설규모) 터빈용량

850KW

터빈용량 1,650KM

터빈용량 2,000KW 터빈 유형 Gamesa G-58 Vestas V82 Gamesa G-990

터빈(개) 70 36 30

전력규모(MW) 59.5 59.4 60

라우터 Dimension(M) 58 82 90

타워 높이(M) 55 70 78

【개발현황】

◦ 2010.6월부터 서부 모카(Mokha) 지역에 60MW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추진, 총 소요자금 1.25억불 중 2011년초 90백만 불을 확보하였으나, 이후 정세불안정으로 인해 지연되다가 2013.6월 입찰을 공고함.

- 2013.6월 예멘 전력에너지부는 모카 지역 60MW 풍력발전 프로젝트 입찰을 공고하였으며, 동 프로젝트는 세계은행, OPEC 국제개발기금, 아랍경제사회개발기금 등의 지원을 받 아 추진 중

- 동 프로젝트는 World Bank (2천만불), OPEC 국제개발기금 (2천만불), 아랍경제사회개발기금 (65백만불), 사우디개발기 금 (2천만불) 등이 지원

- 2014.10월 기준, 설계 및 입찰 서류 준비 등 시행자 입찰을 준비 중이며, 당초 2014년 중 시행자 선정 후 2015-2016년 간 프로젝트 착수 예정이었으나, 정세 불안으로 시행자 입 찰 및 프로젝트 착수는 순연됨.

- 이와 함께, 예멘정부는 민자방식(IPP)을 통해 총 340MW 규 모의 풍력발전 건설 추진을 계획하였음.

(13)

연간 총 로딩시간 3,263.33 3,522.42 3,844.27

손실율(%) 3.9 3.3 1.8

공기밀도(KG/M3) 1.152 1.15 1.149

(나) 지열에너지

【개요】

◦ 예멘은 지질학적으로 홍해와 아덴만, 동아프리카 단절층 등을 따라 3개 지각판(tectonic plates)의 마찰경계에 위치하고 있으 며 화산 지역이 다수 분포하는 등 지열 잠재력이 풍부한 것 으로 조사됨.

- 홍해 지역은 지하증온률(geothermal gradient)이 40~77℃/km 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전세계 평균 지하증온률 30℃/km 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

◦ 지질학적으로 볼 때 예멘내 각 지역 퇴적피복층(sedimentary cover areas)에서 저엔탈피(low enthalpy) 지열에너지, 서부 화 산지대에서 중엔탈피(medium enthalpy) 지열에너지, 남부 Dharmar 지역의 화산분기공 및 홍해 등에서 고엔탈피(high enthalpy) 지열에너지 등이 유망함.

- 예멘내 지열에너지의 풍부한 잠재력은 ▲ 3개 지각판 접 촉점에 위치한 근원적 지질요건, ▲ 사나에서 타이즈 남 부 지역으로 이어지는 남북간 화산활동 지대의 존재, ▲ 남부 해안지대에서 북서부 해안연안으로 향하는 지각의 구조적 패턴, ▲ 육지 및 연안의 지진활동 지대 존재, ▲ 열수작용(hydrothermal) 활동 및 다양한 지열 분출 지형물 분포, ▲ 서부 홍해연안지대의 높은 열류 등의 다양한 요 인에서 비롯.

<지열 잠재력 분포도>

- 예멘은 특히 여타국가의 지질구조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지열수 및 가스 분출 특정지가 분포되어있는바, 지난 2001-2006년간 조사활동 결과 전국적으로 총 100여 개의 지열분출 지형을 확인.

◦ 지열에너지는 낮은 유지비로 인한 높은 경제성, 기후 및 날씨 의 영향이 없는 지속가능성 등이 장점이며, 예멘 내 동 에너 지를 이용한 발전시설 건설 뿐 아니라 관광시설, 농업시설 등 으로 활용도 가능함.

【개발현황】

◦ 2014.6월 기준, 예멘 정부는 GEF(Global Environment Facility) 와 Dhamar 주 Alisi-Isbil 지역 지열 탐사공 개발 프로젝트(2백 만불 규모)를 추진 중임.

- 동 지역은 세계은행 후원으로 지열 에너지 심층조사(1984 년)가 실시되어 125-250MW 규모의 지열발전소 건설이 가 능한 것으로 판명되어 지열발전소 건설(총 400만불 규모)이

(14)

<지역별 연간 일사량>

구분 호데이다

(Hodieda)

라흐즈 (Lahj)

사나 (Sana’a)

세이윤 (Saiun)

소코트라섬 (Socotra)

타이즈 (Taiz)

1월 8.9 7.1 8.5 7.5 8.7 7.7

2월 9.1 6.9 7.0 8.7 9.9 8.7

3월 7.2 8.0 9.0 9.2 10.3 9.1

추진되었으나 현지 부족 간 시공지역 토지분쟁 등으로 인 해 프로젝트는 중단

- 예멘정부는 지방치안 안정화시 동 프로젝트 재개를 검토한 다는 방침 아래, 우선 1,500m 깊이까지 정밀 지질탐사를 실 시하고 2013년부터 민자방식으로 본격적인 지열에너지 생 산을 추진하기로 계획하였으나 지연

- 이와 함께, 중남부 Ibb 주 Alqafrgeothermal field, 남부 Lahj 주 Alhoamieor Krishgeothermal fields, 중남부 Taiz 주 Alganadand Almokageothermal fields, 남동부 Hadramawt 주 East Almokalageothermal field 등 지역의 지열 잠재량 높은 것으로 평가

(다) 태양에너지 (태양광 및 태양열)

【개요】

◦ 예멘은 전 지역에 걸쳐 평균 일사량 5.2-6.8 KWh/m2/day로서 소규모의 태양열 발전시스템 또는 가구별 발전설비 운영에 충분한 수준으로 평가됨.

- 연중 일사량 패턴은 1월부터 증가하여 5-6월에 최고조인 7.7 KWh/m2/day까지 상승, 7-8월 적도수렴대(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발생으로 급락 후 9월에 다소 상승한 후 12월에 최저치를 기록

4월 9.1 8.6 6.9 8.7 10.8 9.3

5월 8.8 9.1 9.0 10.0 9.0 9.0

6월 7.6 7.6 7.5 8.8 7.8 7.8

7월 7.1 7.2 5.9 7.8 9.2 6.4

8월 6.6 7.8 6.5 7.9 7.2 7.2

9월 8.0 8.3 7.4 9.2 9.7 7.5

10월 9.9 9.0 9.3 9.5 9.6 9.3

11월 10.0 9.3 9.2 9.2 8.9 9.1

12월 9.1 8.1 7.1 8.7 8.7 8.8

평균 8.4 8.0 7.7 8.7 9.1 8.3

【개발현황】

◦ 예멘정부는 2009-2015년간 국가전력망에 연결되어있지 못한 2 만 가구에 대해 가정용 태양열발전설비를 설치하는 지방 전력 화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음.

- 세계은행, 이슬람개발은행, 독일정부 등의 지원으로 동 사업 예산 9백만불을 기확보, 서부 Hodeida와 남부 Dhamar, Taiz 등 7개 지역에 개별 태양열 발전설비 공급 추진

◦ 2011년 발주가 개시되어 추진 중인 아비얀, 아덴, 라흐즈 등 남부지역 소규모 태양열 발전사업과 추진 예정이던 △아덴 주 Sera 지역 태양열 발전, △소코트라 태양열 발전(아부다 비 개발기금 참여), △12개주 농촌지역 2만가구 태양열 발전 보급, △다마르 Alisi 산악지대 지열발전소 건설 등의 재생에 너지 발전 사업은 연기됨.

◦ 2014년 세계은행 지원으로 총 1.17억 불 규모 지방 에너지 공 급 프로젝트(REAP, Rural Energy Access Project) 추진을 개시 함.

- 2014.7월 태양에너지 홈시스템(Solar Home System) 공급 및 구축(supply and delivery) 용역 입찰을 공고하였으며,

(15)

2013.12월 설계 및 감리 용역 의향서 접수를 공고한바 있 음.

- 2017년까지 총 1.17억 불(2천5백만 불 약정) 지원이 계획된 REAP는 1) 전력망 연계(on-grid) 지방 전력화, 2) 독립 (off-grid) 지방 전력화, 3) 제도 및 기술 지원 등 역량강화 총 3개 분야로 구성됨.

◦ 예멘 산업통상부는 태양광 기술 확산 프로젝트 등 기업의 재생에너지 투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유망한 투자 기 회로 홍보 중임.

- 산업통상부 주도로 정부 각 부처들이 참여하는 태양광 기술 확산 프로젝트는 관공서, 학교, 병원 및 농촌 지역에 우선 태양광 보급을 확대하고 관련 고용을 창출하며, 태양광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관련 금융 및 시장 수요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동 프로젝트 추진을 위하여 농업관개부, 전력에너지부, 기획 국제협력부 등 각 부처가 참여하는 운영위원회를 구성, 산 업통상부가 총괄 역할을 맡고 있으며, 기존 중소기업(SME) 기금에 태양광 관련 리볼빙 펀드를 개설

- 최소 5개 지역에 시범 사업 실시 예정이며, 수혜 대상 확대 를 위해서 공여국의 지원 확보 필요 (독일 GIZ이 시범 사 업에 참여 예정)

◦ 미국 USAID는 사나대 농대와 공동으로‘태양광 펌프 및 관 개시설 활용 영농’시범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는바, 농업 용 수 사용을 1/10으로 줄이면서 수확량은 10배 늘리는 등(온 실 오이 재배 기준) 기술적 효과를 확인하였음.

-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펌프 및 낙수 관개망(drip irrigation), 빗물 저장 탱크 등으로 구성된 동 시스템을 10개 지역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그밖에 4개 학교와 13개 청소년클럽에 도 태양광 발전․빗물 저장 시스템을 설치하여 태양광 에너 지에 대한 인식 제고에도 성과를 거둠.

- 농업분야에서 태양광 전력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민․관 공조로 시장 중심적 접근방식을 통해 태양광 시스템 보급에 대한 민간투자를 촉진시켜야 한다고 분석.

3. 출처

◦ 별도 출처표시가 없는 한 상기 내용은 석유광물부, 석유탐사생산 청, 지질탐사광물청, 전력에너지부, 전력청 등 예멘 정부 제공자료 에 근거함.

/끝/

참조

관련 문서

국내 표고톱밥재배의 현황 및 전망...

- 에너지 가격 상승과 환경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너지 공급 측면 에서는 화석연료의 공급 확대와 청정에너지 개발 노력이 진행. - 기존 화석연료의 공급

사무국 세출결산 현황...

사무국 세출결산 현황...

 러시아의 경우 동북아 슈퍼그리드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에 판매하던 에너지 자원 이외에 한국, 일본, 중국 등에 안정적인 전력 수출 판로가

연도별 환경부문 사업체 현황... 환경산업별 매출분포

에너지 수요 전망(기준안) 에너지 소비 추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디지털화 현황 및 활용 방안7. 로봇스캐너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