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전광역시 인구변화와 대응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전광역시 인구변화와 대응방안"

Copied!
1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책연구보고서 2015-23

대전광역시 인구변화와 대응방안

임 병 호 외

(2)

연구진

연구책임 • 임병호 박사 / 도시기반연구실 책임연구위원 공동연구 • 김용동 박사 / 도시경영연구실 선임연구위원

• 장창수 박사 / 도시경영연구실 책임연구위원

• 김기희 박사 / 도시경영연구실 책임연구위원

• 박노동 박사 / 도시경영연구실 책임연구위원

• 주혜진 박사 / 도시경영연구실 책임연구위원

• 지남석 박사 / 도시기반연구실 연구위원 외부연구진 • 강병주 교수 / 한남대학교

• 전광희 교수 / 충남대학교

• 최문정 교수 / KAIST

(3)

<연구결과 요약>

제 1장 서론

일반적으로 도시인구는 도시의 규모 및 역량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개발의 시기에 있던 우리나라 그리고 우리 나라 도시들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성장하는, 즉 늘어나는 인구를 당연 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발전, 성장(개발)의 시기가 지나면서 서서히 우리나라 인구의 증가추세는 둔화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일부 도시에서 인구의 정체 및 감소현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른 장래 시점에서는 대전시를 포함한 많은 도시에서 이러한 현상의 진행이 확실시 되고 있다.

결국 인구 정체나 감소시대에 지방자치단체는 인구의 자연적, 사회적 증가를 유 도하여 인구의 성장이나 최소한의 감소를 억제하는 정책 또는 감소하는 인구규모 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의 정체 및 감소시대에 대전시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다른 도시들과 유사하게 대전시도 2013년 「인구관리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전시 인구관련자료를 조사·분석하여 대전시 인구정책을 점검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제 2장 대전시 인구규모 및 변화 특성 고찰

1. 총 인구규모 변화

대전시 총 인구규모의 변화를 살펴보면, 1997년 대전시 인구를 100으로 볼 때,

(4)

2014년 116으로 울산시와 동일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대전시 인구가 전국 인 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 정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997년 기준(100) 전국과 주요 도시의 인구규모 비율 변화]

[전국 인구에서 대전시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

2.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사회적 변화

대전시 자연적 인구변화를 천인당 출생자수 및 사망자수에 기초해서 살펴보면, 전국 및 특·광역시와 비교해서 양호한 수준(높은 출생률 및 낮은 사망률)을 나타 내고 있다.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천인당 출생자수]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천인당 사망자수]

(5)

대전시 사회적 인구변화로서 전출입 규모를 살펴보면, 지난 20여년 동안 전입 감소 및 전출 증가현상이 뚜렷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2014년 순이동인구는 –8,838명이다. 전입과 전출에 있어서 대전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은 충청남 도, 서울시, 경기도 등이며, 최근에는 세종시로의 전출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 다. 대전시에서는 2014년 기준, 세종시, 서울시, 제주도, 울산시, 부산시, 경기도 등 총 6개 지역으로 인구유출이 진행되었다.

시·군·구차원의 사회적 인구변화를 살펴본 결과, 2014년 기준 전입·전출에서 대 전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시는 세종시, 청주시, 천안시, 논산시 등이다. 대전시 기준 순이동인구가 +인 도시, 즉 대전시 인구증가에 기여한 도시는 보령시(+241 명), 청주시(+239명), 논산시(+222명), 부여군(+221명) 등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대 전시에서 인구가 유출된 도시는 세종시(-11,350명), 홍성군(-339명), 용인시(-311명), 화성시(-253명), 강남구(-205명)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전시와 세종시간 동별 전 입·전출을 살펴보면, 세종시로의 인구유출은 유성구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주민등록 이전 시 작성하게 되는 자료에 의거, 대전시와 전국·수도권·서울시간 전입·전출 사유를 살펴보면, 직업, 가족, 주택, 교육, 교통, 건강 순으로 비중이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에서 세종시로의 전출은 직업에 의한, 전입은 가족에 의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 전입자, 전출자 및 순이동인구

변화 추이] [대전시 자연증가 및 사회증가 변화]

(6)

제 3장 국내외 사례 분석

1. 국내 사례

국내 사례지역으로는 부산시, 대구시, 강원도, 계룡시 등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많은 도시들이 최근 인구정체 및 감소를 경험하면서, 인구감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다양한 정책을 ‘백화점식’으로 제안하기 보다는 우선순위를 고려한 정책 수립 및 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또한 적절한 목표설정이 필요로 하는 등 ‘스마트한 인구정책’의 추진이 무엇보다도 요구된다.

2. 선진 외국사례

선진 외국의 경우, 일본, 미국,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선진국의 경우, 과거 인구정체 및 감소를 대부분 경험하였으며, 많은 선진국에서 는 이미 인구감소시대(환경)를 당연한 것으로 인지하고,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일본의 경우, 중앙정부는 인구감소 의 심각성을 지방정부에 전파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지침과 지역별 도시 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미국과 독일에서도 축소도시에 대해서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인구감소가 국토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그 영향 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정책과 전략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7)

제 4장 시민 및 분야별 전문가 의식 분석

1. 시민의식 분석

대전시민 711명에 대한 조사 결과, 외부 전입자의 대전시 전입사유는 직업과 가 족이 많았으며, 향후 외부지역으로 이사할 경우, 세종시(63.3%)로 이주하는 비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전시 인구는 정체(34.7%)하거나 감소(48.7%)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인구변화의 이유는 외부여건(국가정책, 주변 신도시건설 등)에 기인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대전시 인구관리 9대 정책과제별 중 요도를 조사한 결과, 일자리 창출이 5점 만점에 4.4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유아 및 고령인구 생활환경 개선은 4.14점 그리고 살고 싶은 정주환경은 4.12점 으로 3순위이다. 또한 정책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 결과, 살고 싶은 정주환경이 5점 만점에 3.19점으로 가장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은 평생교육 으로 3.05점 그리고 지역공동체는 3.00점으로 3순위이다. 결과적으로 정책과제 중 가장 중요한 중점개선 정책은 일자리 창출, 영유아 및 고령인구 생활환경 개선으 로 나타났다.

[대전시 인구관리 9대 정책에 대한 IPA 분석]

(8)

2. 사회 분야별 전문가의식 분석

다양한 사회 분야별 전문가 43명에 대한 조사 결과, 향후 대전시 인구는 150-160 만명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48.8%로 150만명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41.9%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대전시 인구 전개(증가 및 감소) 이유로는 외부 여건변동(국가정책 또는 주변 신도시 건설 등)에 기인할 것이라는 응답이 8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전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전시 인구관리 9대 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복수응답), 1순위는 일자리 창출로 59.5%의 응답률을 나타 냈으며, 2순위로는 수도권 인구유입이 23.8% 그리고 3순위는 살고 싶은 정주환경 조성으로 23.8%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한편 복수응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 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를 종합한 결과, 1순위는 일자리 창출(153점)이며, 2순위 는 살고 싶은 정주환경 조성(84점), 3순위는 수도권 인구유입(44점)인 것으로 나타 났다.

정책 1순위 2순위 3순위

정주환경 10 8 10

일자리 25 8 4

인력유입 2 3 6

지역공동체 2 4 4

문화관광 2 2

영유아 6 6

평생교육 1 2

도시브랜드 1 4

수도권 2 10 4

합 계 42 42 42

순위 정책 합계(점)

1 일자리 153

2 정주환경 84

3 수도권 44

4 지역공동체 26

5 인력유입 25

6 영유아 24

7 문화관광 8

8 평생교육 7

9 도시브랜드 7

(9)

제 5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목표 체계

대전시 인구관련 현황 검토, 국내외 사례 조사·분석 그리고 일반인과 분야별 전 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대전시 인구정책의 비전을

『경쟁력을 갖춘 매력적인 도시, 대전』으로 설정하였다.

전국 및 주요 대도시 인구의 증가 추세, 대전시 인구의 증가 추세 및 향후 예측 치(통계청 예측치)에 대한 검토 그리고 시민 및 다양한 사회분야별 전문가 등에 대한 조사 결과에 기초하며, 또한 대전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인구 (2030년 185만명) 그리고 전문가 토론회 등에서 제시된 내용을 검토하여 본 연구 에서는 2030년 대전시 인구정책의 목표를 「160만명 + α」로 설정하였다.

대전시 인구정책의 추진방향은 도시경쟁력과 매력도 증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또한 대전시 인구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진체계는 정책의 우선 순위 설정, 정책의 공간적 범위 확대 및 전담조직 구성으로 제안하였다.

[대전시 인구정책 목표 설정]

(10)

제 6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방향

1. 대안 설정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인구정책의 방향을 2가지 대안으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기존 대전시 9개 정책과제를 3대 핵심정책, 5대 지원정책, 1개 특수시 책으로 유형화하고 추진하는 방안이다. 3대 핵심정책은 다양한 일자리 창출, 살고 싶은 정주환경 조성, 영유아 및 고령인구 생활환경 개선이며, 5대 지원정책은 고급 인력 유입 촉진, 지역공동체 활성화, 찾고 싶은 문화관광도시 조성, 평생 교육도시 조성, 도시브랜드 구축 및 홍보 강화이며, 1개 특수시책은 수도권 인구유입·국가균 형발전 촉구정책이다.

대안 2는 대전시 인구정책을 2대 핵심정책으로 유형화하는 방안이다. 2대 핵심 정책은 전입증대·전출감소를 위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 정책 그리고 출산률 증 가를 위한 「영유아 생활환경 개선」 정책이다.

2. 대안 1 및 대안 2

□ 대안 1

3대 핵심정책으로 「다양한 일자리 창출」 정책의 중점사업은 기업유치 및 청년 창업지원사업이며, 보완사업은 축적된 기술 및 특허활용 창업기업 지원사업, 창조 경제 일자리 창출지원사업, 스마트청장년 일자리사업 등이다. 「살고 싶은 정주환 경 조성」 정책의 중점사업은 서민주거안정화 방안과 품격 높은 정주환경 조성으 로 설정하였다. 「영유아 및 고령인구 생활환경 개선」 정책의 중점사업은 육아보 육서비스 강화, 노인일자리 창출사업이며, 보완사업은 영유아와 고령자 생활개선 네트워크사업, 아동수당 지급사업, 동네 육아·돌봄 공동체 지원사업, 방과 후 장애 아동 보육지원사업, 직장 어린이집 운영지원사업 등이다.

5대 지원정책과 1개 특수시책의 중점사업과 보완사업은 다음의 표에 제시되어 있다.

(11)

[대안 1의 핵심, 지원, 특수시책별 사업]

구분 정책 중점사업 보완사업

3대 핵심 정책

다양한 일자 리 창출

○기업유치

○청년 창업지원사업

- 축적된 기술 및 특허활용 창업기 업 지원사업

- 창조경제 일자리 창출지원사업 - 스마트청장년 일자리 창출사업 살고 싶은 정

주환경 조성

○서민주거안정화 방안

○품격 높은 정주환경 조성

영유아 및 고령인구 생 활환경 개선

○육아보육서비스 강화

○노인 일자리 창출

- 영유아와 고령자 생활개선 네트 워크사업

- 아동수당 지급사업

- 동네 육아·돌봄 공동체 지원사업 - 방과 후 장애아동 보육지원사업 - 직장 어린이집 운영지원사업

5대 지원 정책

고 급 인 력 유 입 촉진

○우수인력 정착지원

○과학벨트 종사자 등 고급인력 유입 지 역 공 동 체

활성화 ○지역커뮤니티 구축 -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지역공동체 의식 강화사업

찾고 싶은 문 화 관 광 도 시 조성

○문화관광인프라 구축 - 근현대사 인물·사건프로젝트사업

평 생 교 육 도 시 조성

○100세 대비 평생학습 도시 조성

○인재육성 장학금 지 원확충

- 대전시 북부 평생학습생태계 조 성사업

도 시 브 랜 드 구축 및 홍 보 강화

○우리시의 특색 있는 도시이미지 구축

- 시민이 참여하는 도시브랜드 공 모 프로젝트

1개 특수 시책

수 도 권 인 구 유 입·국가균 형발전 촉구

○지역균형발전기구 구 성

○공공기관 유치

- 세종시 입주민을 위한 전략적 홍 보 및 유입 촉진사업

- 인구 100만 대도시 단체장·NGO 네트워크 구축사업

□ 대안 2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점 추진사업은 경제활력 기반구축사업, 지식산업

(12)

분야 여성일자리 확대사업, 고령자 사회참여 확대지원사업이며, 검토사업으로 스마 트 청장년 일자리사업을 제안하였다.

영유아 생활환경개선을 위한 중점 추진사업으로 공공 산후조리지원사업, 다자녀 가정 영유아 보육지원사업을 그리고 검토사업으로 동네 육아돌봄 공동체 지원사 업, 직장 어린이집 운영지원사업을 제안하였다.

[대안 2의 핵심정책별 사업]

정책 중점 추진사업 검토사업

다양한 일자 리 창출

○경제활력 기반구축사업

○지식산업분야 여성일자리 확대사업

○고령자 사회참여 확대지원사업

- 스마트 청장년 일자리 사업

영유아 생활 환경 개선

○공공 산후조리지원사업

○다자녀 가정 영유아 보육지원사업

- 동네 육아돌봄 공동체 지원사업 - 직장 어린이집 운영지원사업

(13)

제 7장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정책은 대전시 모든 실국차원에서 네트워크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단순히 어느 한 실과에서 정책을 추진할 경우,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예측되며, 좀 더 다양한 종합적, 네트워크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전담기구 구성도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9대 대전시 인구관리정책을 단순화, 선택화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2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3대 핵심정책·5대 지원정책·1개 특수시책이 대안 1이며, 2대 핵심정책으로만 구성하는 안이 대안 2이다. 어느 대안 을 선정하더라도 정책의 우선순위적 접근은 필요하다.

셋째, 향후 대전시 인구정책은 기존처럼 대전시 공간적 범위(행정구역)안에서만 한 정하여 추진할 것이 아니라, 인접 시·군이나, 유사한 규모의 대도시들과 공조하여 추 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자치단체장 및 의원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된다.

한편 다음과 같은 향후 연구과제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도시인구 감소(축소도시)에 대응하는 연구 및 계획이 필요하다. 공신력 있 는 통계기관인 통계청에서는 2032년부터 대전시 인구의 절대적 감소가 진행될 것 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감소에 대한 공간적,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가 필 요하며, 그 한 방법이 도시재생적 접근을 통한 도시활성화 및 인구증대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전시 인구의 질적 성장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전시 경쟁력 중 하나인 고급인력(창조계층)의 유인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 며, 이러한 인구의 공간적 분포 및 적절성 등에 대한 연구 역시 지속되어야 한다.

(14)

- 목 차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추진방법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과정

제2장 대전시 인구규모 및 변화 특성 고찰

제1절 총 인구규모 변화

제2절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변화 제3절 대전시 인구의 사회적 변화 제4절 소결 및 과제

제3장 국내외 사례분석

제1절 국내 사례 제2절 선진 외국 동향 제3절 사례종합 및 시사점

제4장 시민 및 분야별 전문가 의식분석

제1절 시민의식 분석

제2절 분야별 전문가의식 분석

제5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목표 체계

제1절 비전 제2절 목표 제3절 전략

(15)

제6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방향

제1절 대안 설정

제2절 대안 1 : 3대 핵심정책·5대 지원정책·1개 특수시책 제3절 대안 2 : 2대 핵심정책

제7장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종합

제2절 정책적 제언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

(16)

- 표 목 차 -

(17)

- 그 림 목 차 -

(18)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추진방법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과정

(19)

간지 뒷면

(20)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일반적으로 도시인구는 도시의 규모 및 역량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인구(人口)의 사전적 의미는 ‘한 나라 또는 일정 지역 안에 사는 사람의 총수’이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개발의 시기에 있던 우리나라 그리고 우리나라 도시들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성장하는, 즉 늘어나는 인구를 당연한 것으로 인식 하고 있었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발전, 성장(개발)의 시기가 지나면서 서서히 우리나 라 인구의 증가추세는 둔화되고 있다. 저출산에 의한 인구증가 둔화라고 할 수 있 다.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령자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시기임을 고려할 때, 인구증가 둔화 및 정체는 더욱더 심각한 저출산의 시기임을 인지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 일부 도시에서 인구의 정체 및 감소현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른 장래 시점에서는 대전시를 포함한 많은 도시에서 이러한 현상의 진행이 확실시 되고 있다. 그동안 대전시는 우리나라 도시 중에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그리고 젊은 층이 두터운 대표적인 성장형 도시의 하나였다. 이러한 대전시의 인 구가 정체 또는 감소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에서 인구가 정체나 감소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결국 인구 정체나 감소시대에 지방자치단체는 인구의 자연적, 사회적 증가를 유 도하여 인구의 성장이나 최소한의 감소를 억제하는 정책 또는 감소하는 인구규모 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의 정체 및 감소시대에 대전시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다른 도시들과 유사하게 대전시도 2013년 「인구관리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전시 인구관련자료를 조사·분석하여 대전시 인구정책을 점검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1)

제 2절 연구의 추진방법

본 연구는 (그림 1- 1)과 같이, 문헌조사, 설문조사 그리고 전문가 자문 등의 방 법으로 추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계획 또는 연구에 대한 고찰과 국내외 사례를 분 석하기 위해서는 문헌고찰 방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통계청 및 대전시 내부자료를 이용한 대전시 인구의 변화 및 특성을 고찰하는 방식도 문헌고찰 등에 의해 진행 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전시민을 대상으로 주거이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대전시 인구정책 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 외에도, 사회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분석의 다양성 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편 대전시 인구정책의 비전, 목표 그리고 추진방식 등은 다양한 전문가의 의 견을 수렴하여 설정하였다.

문헌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 ↓ ↓

선행계획 고찰 및 통계자료 구축

시민 및 분야별 전문가

의견 수렴 대전지역 내 전문가

⇩ ⇩ ⇩

- 선행계획 고찰 - 통계자료 분석 - 국내외 사례 분석

- 인구이동 의향

- 정책 중요도 및 만족도

- 인구정책의 목표체계 - 연구의 방법론 논의

(그림 1- 1) 연구의 진행방법

(22)

제 3절 연구의 내용 및 과정

본 연구의 목차별 주요 내용 및 흐름은 (그림 1- 2)와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에 기초하여 연구목적을 명료하게 설정하였 다. 또한 연구의 방법론과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내용을 제시한다.

제2장 「대전시 인구규모 및 변화특성 고찰」에서는 대전시 총 인구규모의 변화 에 관한 내용과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변화(출생, 사망)와 사회적 변화(전입, 전출) 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제3장 「국내외 사례 분석」에서는 국내 대도시 및 대전 인접 도시의 사례와 함 께 선진 외국의 인구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4장 「시민 및 분야별 전문가 의식 분석」에서는 대전시 일반 시민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며, 또한 사회 분야별 전문가에 대한 의식조 사 결과도 정리한다.

제5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목표 체계」에서는 2030년 기준 대전시 인구정책의 비전, 목표 그리고 전략을 제시토록 한다.

제6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방향」에서는 우선적으로 기존 대전시 인구관리 9대 정책과제의 유형화를 실시하고, 대안 1과 대안 2를 설정한 뒤, 각 대안별 인구정책 의 방향을 제시토록 한다.

제7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향후 정책추진을 위한 제언 및 연 구과제를 제시하였다.

(23)

Ⅰ장

서 론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추진방법

□ 연구의 내용 및 과정

ê

Ⅱ장

대전시 인구규모 및 변화특성 고찰

□ 총 인구규모 변화

□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변화

□ 대전시 인구의 사회적 변화

ê

Ⅲ장

국내외 사례 분석

□ 국내 사례

□ 선진 외국 동향

ê

Ⅳ장

시민 및 분야별 전문가 의식 분석

□ 시민의식 분석

□ 분야별 전문가 의식 분석

ê

Ⅴ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목표 체계

□ 비전, 목표, 전략

ê

Ⅵ장

대전시 인구정책의 방향

□ 대안 설정

□ 대안 1 및 대안 2

ê

Ⅶ장

결 론

□ 연구결과 종합

□ 정책적 제언 및 향후 연구과제

(그림 1- 2) 연구의 목차별 주요 내용 및 흐름

(24)

제 2 장

대전시 인구규모 및 변화특성 고찰

제1절 총 인구규모 변화

제2절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변화 제3절 대전시 인구의 사회적 변화

제4절 소결 및 과제

(25)

간지 뒷면

(26)

제 2장 대전시 인구규모 및 변화특성 고찰

제 1절 총 인구규모 변화

1.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인구규모 변화

전국의 인구는 <표 2-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2년 44,503,200명에서 2014년 51,327,916명으로 15.3% 증가하였다.

서울시의 경우 1992년 10,935,230명에서 2014년 10,103,233명으로 7.6% 감소하였 으며, 부산시도 유사하게 동일기간 동안 9.3% 감소하였다. 반면 인천시의 경우 동 일기간 동안 40.5%로 가장 많은 증가를 보였으며, 대전시의 경우도 동일기간 동안 35.0% 증가하여 인천시 다음으로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표 2- 1>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인구변화

(단위 : 명)

구 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1992년 44,503,200 10,935,230 3,882,389 2,284,191 2,065,866 1,223,784 1,134,843 1993년 45,001,113 10,889,499 3,862,806 2,312,166 2,138,426 1,248,670 1,189,039 1994년 45,416,339 10,759,454 3,839,812 2,342,680 2,200,769 1,272,515 1,232,823 1995년 45,858,029 10,550,871 3,883,880 2,478,589 2,353,073 1,285,633 1,265,081 1996년 46,266,256 10,418,076 3,867,125 2,480,345 2,391,824 1,300,195 1,293,760

1997년 46,684,069 10,336,134 3,851,312 2,488,346 2,445,613 1,323,863 1,318,212 1,009,652 1998년 46,991,171 10,270,506 3,829,098 2,493,440 2,485,199 1,339,441 1,341,413 1,015,249 1999년 47,335,678 10,264,260 3,817,270 2,505,710 2,509,086 1,356,612 1,363,546 1,024,336 2000년 47,732,558 10,311,314 3,796,506 2,524,253 2,545,769 1,371,909 1,385,606 1,040,225 2001년 48,021,543 10,263,336 3,770,536 2,525,109 2,564,598 1,383,765 1,403,164 1,055,618 2002년 48,229,948 10,207,295 3,730,125 2,525,803 2,577,989 1,397,452 1,419,573 1,065,037 2003년 48,386,823 10,174,086 3,691,445 2,529,544 2,570,194 1,395,762 1,432,296 1,072,867 2004년 48,583,805 10,173,162 3,666,345 2,524,712 2,578,817 1,401,172 1,443,471 1,081,453 2005년 48,782,274 10,167,344 3,638,293 2,511,306 2,600,495 1,401,745 1,454,638 1,087,648 2006년 48,991,779 10,181,166 3,611,992 2,496,115 2,624,391 1,407,798 1,466,158 1,092,494 2007년 49,268,928 10,192,710 3,587,439 2,493,261 2,664,576 1,413,444 1,475,659 1,099,995 2008년 49,540,367 10,200,827 3,564,577 2,492,724 2,692,696 1,422,702 1,480,895 1,112,407 2009년 49,773,145 10,208,302 3,543,030 2,489,781 2,710,579 1,433,640 1,484,180 1,114,866 2010년 50,515,666 10,312,545 3,567,910 2,511,676 2,758,296 1,454,636 1,503,664 1,126,298 2011년 50,734,284 10,249,679 3,550,963 2,507,271 2,801,274 1,463,464 1,515,603 1,135,494 2012년 50,948,272 10,195,318 3,538,484 2,505,644 2,843,981 1,469,216 1,524,583 1,147,256 113,117 2013년 51,141,463 10,143,645 3,527,635 2,501,588 2,879,782 1,472,910 1,532,811 1,156,480 122,153 2014년 51,327,916 10,103,233 3,519,401 2,493,264 2,902,608 1,475,884 1,531,809 1,166,377 156,125

증가율(%) 15.3 -7.6 -9.3 9.2 40.5 20.3 35.0 15.5 -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행정구역(시군구)별 총인구, 남자, 여자 인구수」, 1992년~2013년/ 행정자치부(http://www.mogaha.go.kr), 정책자료, 주민등록인구현황, 2014년

(27)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인구를 동일한 기준에서, 명료하게 살펴보기 위해 1997년 인구를 100으로 설정하고, 이후 각 년도별 인구규모를 비율적으로 산출하면 <표 2- 2>와 같다.

<표 2-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7년 전국의 인구를 100으로 보았을 때, 2000년 인구규모는 102, 2010년 인구규모는 108 그리고 2014년 인구규모는 110으 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의 경우 1997년 100에서 2014년 98로 근소한 감소를 보인 반면, 부산시의 경우 2014년 91로 주요 대도시에서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대구시의 경우 1997년 과 2014년 100으로 결과적으로 인구규모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천시의 경우 2014년 119로 주요 대도시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대전시의 경우 1997년 100에서 2014년 116으로 울산시와 동일하게 높은 증가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비율변화를 도식화하면 (그림 2- 1)과 같다.

<표 2- 2> 1997년 기준(100)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인구비율 변화

구 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1997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998년 101 99 99 100 102 101 102 101 1999년 101 99 99 101 103 102 103 101 2000년 102 100 99 101 104 104 105 103 2001년 103 99 98 101 105 105 106 105 2002년 103 99 97 102 105 106 108 105 2003년 104 98 96 102 105 105 109 106 2004년 104 98 95 101 105 106 110 107 2005년 104 98 94 101 106 106 110 108 2006년 105 99 94 100 107 106 111 108 2007년 106 99 93 100 109 107 112 109 2008년 106 99 93 100 110 107 112 110 2009년 107 99 92 100 111 108 113 110 2010년 108 100 93 101 113 110 114 112 2011년 109 99 92 101 115 111 115 112 2012년 109 99 92 101 116 111 116 114 2013년 110 98 92 101 118 111 116 115 2014년 110 98 91 100 119 111 116 116

(28)

(그림 2- 1) 1997년 기준(100) 전국과 주요 도시의 인구규모 비율 변화

(29)

2. 대전시 인구규모 변화

□ 전국 인구에서 대전시 점유비중

대전시 인구는 <표 2- 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2년 약 113만명에서 1994년 120만명을 넘어섰으며, 1997년에는 130만명, 2001년에는 140만명 그리고 2010년에는 150만명을 넘어서는 인구증가를 나타냈다.

2014년 대전시 인구는 1,531,809명으로 2013년에 비해 1,002명이 감소하였으나, 지난 20여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대전시 인구가 전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1992년 2.55%에서 2007년 3.00%로 상승한 이후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점유비중의 변화는 (그림 2- 2)와 같다.

<표 2- 3> 전국과 대전시 인구규모 변화 및 대전시 점유비중 변화 구 분 전국(명) 대전(명) 점유비중(%) 구 분 전국(명) 대전(명) 점유비중(%) 1992년 44,503,200 1,134,843 2.55 2004년 48,583,805 1,443,471 2.97 1993년 45,001,113 1,189,039 2.64 2005년 48,782,274 1,454,638 2.98 1994년 45,416,339 1,232,823 2.71 2006년 48,991,779 1,466,158 2.99 1995년 45,858,029 1,265,081 2.76 2007년 49,268,928 1,475,659 3.00 1996년 46,266,256 1,293,760 2.80 2008년 49,540,367 1,480,895 2.99 1997년 46,684,069 1,318,212 2.82 2009년 49,773,145 1,484,180 2.98 1998년 46,991,171 1,341,413 2.85 2010년 50,515,666 1,503,664 2.98 1999년 47,335,678 1,363,546 2.88 2011년 50,734,284 1,515,603 2.99 2000년 47,732,558 1,385,606 2.90 2012년 50,948,272 1,524,583 2.99 2001년 48,021,543 1,403,164 2.92 2013년 51,141,463 1,532,811 3.00 2002년 48,229,948 1,419,573 2.94 2014년 51,327,916 1,531,809 2.98 2003년 48,386,823 1,432,296 2.96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행정구역(시군구)별 총인구, 남자, 여자 인구수」, 1992년~2013년/ 행정자치부(http://www.mogaha.go.kr), 정책자료, 주민등록인구현황, 2014년

(30)

(그림 2- 2) 전국 인구에서 대전시 인구의 점유비중 변화

□ 대전시 인구증가율

1992년~2014년간 연도별 전국의 인구증가율을 살펴보면, <표 2- 4>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2년 이후 2% 이내의 증가율을 보였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 타낸 시점은 2009년과 2010년간으로 1.49% 증가하였다. 2010년 이후에는 연평균 0.5% 이내의 인구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대전시의 인구증가율을 살펴보면, 1992년에서 1996년까지는 2%의 증가율을 나 타냈으며, 이후 2002년까지는 1%의 인구증가율을 그리고 이후에는 대부분 1% 이 내의 인구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가장 최근 년도인 2013년과 2014년의 경 우 0.07% 감소하였다.

대전시의 인구증가율은 2007년을 기점으로 전국의 인구증가율과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전국과 대전시 인구증가율의 변화는 (그림 2- 3)과 같다.

(31)

<표 2- 4> 전국 및 대전시 인구증가율 변화

구 분

전국 대전

구 분

전국 대전

인구(명) 증가

(%) 인구(명) 증가

(%) 인구(명) 증가

(%) 인구(명) 증가 (%) 1992년 44,503,200 - 1,134,843 - 2004년 48,583,805 0.41 1,443,471 0.78 1993년 45,001,113 1.12 1,189,039 4.78 2005년 48,782,274 0.41 1,454,638 0.77 1994년 45,416,339 0.92 1,232,823 3.68 2006년 48,991,779 0.43 1,466,158 0.79 1995년 45,858,029 0.97 1,265,081 2.62 2007년 49,268,928 0.57 1,475,659 0.65 1996년 46,266,256 0.89 1,293,760 2.27 2008년 49,540,367 0.55 1,480,895 0.35 1997년 46,684,069 0.90 1,318,212 1.89 2009년 49,773,145 0.47 1,484,180 0.22 1998년 46,991,171 0.66 1,341,413 1.76 2010년 50,515,666 1.49 1,503,664 1.31 1999년 47,335,678 0.73 1,363,546 1.65 2011년 50,734,284 0.43 1,515,603 0.79 2000년 47,732,558 0.84 1,385,606 1.62 2012년 50,948,272 0.42 1,524,583 0.59 2001년 48,021,543 0.61 1,403,164 1.27 2013년 51,141,463 0.38 1,532,811 0.54 2002년 48,229,948 0.43 1,419,573 1.17 2014년 51,327,916 0.36 1,531,809 -0.07 2003년 48,386,823 0.33 1,432,296 0.90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행정구역(시군구)별 총인구, 남자, 여자 인구수」, 1992년~2013년/ 행정자치부(http://www.mogaha.go.kr), 정책자료, 주민등록인구현황, 2014년

(그림 2- 3) 전국과 대전시 인구증가율 변화

(32)

제 2절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변화

1. 전국 및 주요 도시 출생자

<표 2- 5>에 제시된 것과 같이, 1992년 전국 총 출생자수는 730,678명이며, 인구 천인당 출생자수는 16.42명이다. 2014년 총 출생자수는 435,300명이며 인구천인당 출생자수는 8.48명으로 1992년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전국 주요 도시들의 출생현황도 유사한데, 1992년 서울시 출생자수는 182,691명 으로 천인당 16.71명이며, 2014년의 경우 출생자수 83,500명 그리고 천인당 8.26명 이다. 2014년 기준 천인당 출생자수가 가장 많은 대도시는 울산시로 9.95명이다.

대전시의 1992년 출생자수는 19,737명, 천인당 출생자수는 17.39명으로 전국 수 준보다 높았다. 2014년 출생자수는 14,000명이며, 천인당 출생자수는 9.14명으로 전 국 출생률보다 높고, 주요 도시에서는 울산시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표 2- 5>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출생자수와 천명당 출생자수

(단위 : 명, (%))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1992년 730,678 182,691 59,714 36,545 42,871 21,942 19,737     (16.42) (16.71) (15.38) (16.00) (20.75) (17.93) (17.39)     1993년 715,826 175,827 56,600 35,950 41,779 22,062 20,157     (15.91) (16.15) (14.65) (15.55) (19.54) (17.67) (16.95)     1994년 721,185 175,707 54,446 36,411 41,733 22,571 21,397     (15.88) (16.33) (14.18) (15.54) (18.96) (17.74) (17.36)     1995년 715,020 166,236 52,615 38,779 41,246 22,907 21,619     (15.59) (15.76) (13.55) (15.65) (17.53) (17.82) (17.09)     1996년 691,226 152,140 50,139 36,954 39,285 21,830 21,039     (14.94) (14.60) (12.97) (14.90) (16.42) (16.79) (16.26)     1997년 668,344 141,204 45,797 34,919 37,788 21,473 20,262 18,151   (14.32) (13.66) (11.89) (14.03) (15.45) (16.22) (15.37) (17.98)   1998년 634,790 133,174 42,772 31,957 35,189 20,594 19,094 16,566   (13.51) (12.97) (11.17) (12.82) (14.16) (15.38) (14.23) (16.32)   1999년 614,233 126,742 40,818 31,054 33,985 19,084 18,526 15,609   (12.98) (12.35) (10.69) (12.39) (13.54) (14.07) (13.59) (15.24)   2000년 634,501 131,935 40,877 32,231 34,143 20,987 19,402 15,734   (13.29) (12.80) (10.77) (12.77) (13.41) (15.30) (14.00) (15.13)   2001년 554,895 113,632 35,481 27,924 30,194 18,055 17,149 13,507   (11.56) (11.07) (9.41) (11.06) (11.77) (13.05) (12.22) (12.80)   2002년 492,111 100,928 30,472 24,047 26,499 15,901 15,509 11,573   (10.20) (9.89) (8.17) (9.52) (10.28) (11.38) (10.93) (10.87)  

(33)

(그림 2- 4)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천인당 출생자수

2003년 490,543 100,137 29,839 24,333 26,593 15,816 15,573 11,650   (10.14) (9.84) (8.08) (9.62) (10.35) (11.33) (10.87) (10.86)   2004년 472,761 98,790 27,993 23,111 24,878 14,621 14,925 11,093   (9.73) (9.71) (7.64) (9.15) (9.65) (10.43) (10.34) (10.26)   2005년 435,031 89,489 25,464 20,677 22,825 13,229 13,863 10,422   (8.92) (8.80) (7.00) (8.23) (8.78) (9.44) (9.53) (9.58)   2006년 448,153 92,885 25,678 20,226 23,544 13,576 14,390 10,685   (9.15) (9.12) (7.11) (8.10) (8.97) (9.64) (9.81) (9.78)   2007년 493,189 100,107 28,223 22,169 26,538 14,735 15,705 11,918   (10.01) (9.82) (7.87) (8.89) (9.96) (10.42) (10.64) (10.83)   2008년 465,892 94,736 26,670 20,562 25,365 13,890 14,856 11,365   (9.40) (9.29) (7.48) (8.25) (9.42) (9.76) (10.03) (10.22)   2009년 444,849 89,595 25,110 19,399 24,379 13,101 13,915 11,033   (8.94) (8.78) (7.09) (7.79) (8.99) (9.14) (9.38) (9.90)   2010년 470,171 93,268 27,414 20,557 25,752 13,979 14,315 11,433   (9.31) (9.04) (7.68) (8.18) (9.34) (9.61) (9.52) (10.15)   2011년 471,265 91,526 27,759 20,758 26,118 13,916 14,808 11,542   (9.29) (8.93) (7.82) (8.28) (9.32) (9.51) (9.77) (10.16)   2012년 484,550 93,914 28,673 21,472 27,781 14,392 15,279 12,160 1,054 (9.51) (9.21) (8.10) (8.57) (9.77) (9.80) (10.02) (10.60) (9.32) 2013년 436,455 84,066 25,831 19,340 25,560 12,729 14,099 11,330 1,111 (8.53) (8.29) (7.32) (7.73) (8.88) (8.64) (9.20) (9.80) (9.10) 2014년 435,300 83,500 26,200 19,400 25,800 12,700 14,000 11,600 1,300 (8.48) (8.26) (7.44) (7.78) (8.89) (8.61) (9.14) (9.95) (8.33)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인구동향조사-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시도/인구동태건수 및 동태 」, 1990년~2013년/ 대전시 자료(2014년)

: ( )안은 천인당 출생자수임

(34)

2. 전국 및 주요 도시 사망자

<표 2- 6>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2년 전국 총 사망자수는 236,162명이 며, 인구천인당 사망자수는 5.3명이다. 2014년 총 사망자수는 268,100명이며 인구천 인당 사망자수는 5.2명으로 1992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전국 주요 도시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1992년 서울시 사망자수는 37,856명으로 천인당 사망자수는 3.5명이며, 2014년의 경우 사망자수는 42,200명 그리고 천인당 사망자수는 4.2명이다. 2014년 기준 천인당 사망자수가 가장 적은 대도시는 울산시 로 사망자수 4,700명에 천인당 사망자수는 4.0명이다.

1992년 대전시 사망자수는 5,027명, 천인당 사망자수는 4.4명으로 전국 수준(5.3 명)보다 낮았다. 2014년의 사망자수는 6,600명이며 천인당 사망자수는 4.3명으로 전국 사망률(5.2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표 2- 6>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사망자수와 천명당 사망자수

(단위 : 명, (%))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1992년 236,162 37,856 16,011 9,466 7,664 5,298 5,027     (5.3) (3.5) (4.1) (4.1) (3.7) (4.3) (4.4)

1993년 234,257 38,213 16,426 9,776 7,915 5,529 4,858     (5.2) (3.5) (4.3) (4.2) (3.7) (4.4) (4.1)

1994년 242,439 39,267 16,847 10,167 8,484 5,647 5,231     (5.3) (3.6) (4.4) (4.3) (3.9) (4.4) (4.2)

1995년 242,838 38,577 17,164 10,951 9,505 5,836 5,465     (5.3) (3.7) (4.4) (4.4) (4.0) (4.5) (4.3)

1996년 241,149 38,612 17,269 10,995 9,662 5,851 5,359     (5.2) (3.7) (4.5) (4.4) (4.0) (4.5) (4.1)

1997년 241,943 37,661 17,800 10,974 10,112 5,680 5,403 3,716   (5.2) (3.6) (4.6) (4.4) (4.1) (4.3) (4.1) (3.7)

1998년 243,193 37,692 17,778 10,971 10,073 5,646 5,443 3,671   (5.2) (3.7) (4.6) (4.4) (4.1) (4.2) (4.1) (3.6)

1999년 245,364 37,596 18,190 11,087 10,268 5,555 5,617 3,844   (5.2) (3.7) (4.8) (4.4) (4.1) (4.1) (4.1) (3.8)

2000년 246,163 38,815 18,177 11,369 10,636 5,812 5,751 3,845   (5.2) (3.8) (4.8) (4.5) (4.2) (4.2) (4.2) (3.7)

2001년 241,521 37,979 18,283 11,315 10,516 5,701 5,704 3,898   (5.0) (3.7) (4.8) (4.5) (4.1) (4.1) (4.1) (3.7)

2002년 245,317 38,491 18,539 11,359 10,669 5,856 5,730 3,934   (5.1) (3.8) (5.0) (4.5) (4.1) (4.2) (4.0) (3.7)

2003년 244,506 37,693 18,401 11,568 10,853 5,887 5,811 4,138   (5.1) (3.7) (5.0) (4.6) (4.2) (4.2) (4.1) (3.9)

(35)

(그림 2- 5) 전국 및 주요 도시의 천인당 사망자수

2004년 244,217 37,872 18,596 11,759 10,966 5,982 5,905 3,941   (5.0) (3.7) (5.1) (4.7) (4.3) (4.3) (4.1) (3.6)

2005년 243,883 38,365 18,727 11,407 11,067 5,885 5,742 4,081   (5.0) (3.8) (5.1) (4.5) (4.3) (4.2) (3.9) (3.8)

2006년 242,266 38,117 18,862 11,254 10,991 5,711 5,909 4,069   (4.9) (3.7) (5.2) (4.5) (4.2) (4.1) (4.0) (3.7)

2007년 244,874 38,645 19,072 11,195 11,315 6,053 5,949 4,107   (5.0) (3.8) (5.3) (4.5) (4.2) (4.3) (4.0) (3.7)

2008년 246,113 38,298 19,385 11,605 11,366 6,132 6,105 4,172   (5.0) (3.8) (5.4) (4.7) (4.2) (4.3) (4.1) (3.8)

2009년 246,942 38,790 18,954 11,741 11,662 6,179 5,949 4,318   (5.0) (3.8) (5.3) (4.7) (4.3) (4.3) (4.0) (3.9)

2010년 255,405 40,130 19,708 12,054 12,087 6,532 6,313 4,328   (5.1) (3.9) (5.5) (4.8) (4.4) (4.5) (4.2) (3.8)

2011년 257,396 40,320 19,643 12,355 12,504 6,593 6,336 4,462   (5.1) (3.9) (5.5) (4.9) (4.5) (4.5) (4.2) (3.9)

2012년 267,221 41,514 20,534 12,352 12,881 6,874 6,580 4,567 820 (5.2) (4.1) (5.8) (4.9) (4.5) (4.7) (4.3) (4.0) (7.2) 2013년 266,257 42,063 20,096 12,531 13,039 6,891 6,634 4,871 812 (5.2) (4.1) (5.7) (5.0) (4.5) (4.7) (4.3) (4.2) (6.6) 2014년 268,100 42,200 20,200 12,700 13,400 7,000 6,600 4,700 900 (5.2) (4.2) (5.7) (5.1) (4.6) (4.7) (4.3) (4.0) (5.8)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인구동향조사-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시도/인구동태건수 및 동태 」, 1990년~2013년/ 대전시 자료(2014년)

: ( )안은 천인당 출생자수임

(36)

3.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변화

<표 2- 7>은 1992년~2014년간 전국 및 주요 도시 인구의 자연증가(전입자-전출 자)를 나타내고 있다.

1992년 전국적으로 494,516명의 자연적 증가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의 자연증가는 167,200명이다.

주요 도시의 자연증가 추세를 살펴보면, 전국과 유사하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92년 서울시 인구의 자연적 증가는 144,835명이었으나, 2014년 41,300명으 로 약 10만명 정도가 감소하였다. 1992년 대전시 인구의 자연적 증가는 14,710명이 었으며, 1994년까지 증가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 자연적 증가는 7,400명이다. 한편 이러한 인구의 자연적 증가분은 서울시와 인천시 다음으로 많은 증가분이다.

<표 2- 7> 전국 및 주요 도시 인구의 자연적 증가

(단위 : 명)

구 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1992년 494,516 144,835 43,703 27,079 35,207 16,644 14,710 1993년 481,569 137,614 40,174 26,174 33,864 16,533 15,299 1994년 478,746 136,440 37,599 26,244 33,249 16,924 16,166 1995년 472,182 127,659 35,451 27,828 31,741 17,071 16,154 1996년 450,077 113,528 32,870 25,959 29,623 15,979 15,680

1997년 426,401 103,543 27,997 23,945 27,676 15,793 14,859 14,435 1998년 391,597 95,482 24,994 20,986 25,116 14,948 13,651 12,895 1999년 368,869 89,146 22,628 19,967 23,717 13,529 12,909 11,765 2000년 388,338 93,120 22,700 20,862 23,507 15,175 13,651 11,889 2001년 313,374 75,653 17,198 16,609 19,678 12,354 11,445 9,609 2002년 246,794 62,437 11,933 12,688 15,830 10,045 9,779 7,639 2003년 246,037 62,444 11,438 12,765 15,740 9,929 9,762 7,512 2004년 228,544 60,918 9,397 11,352 13,912 8,639 9,020 7,152 2005년 191,148 51,124 6,737 9,270 11,758 7,344 8,121 6,341 2006년 205,887 54,768 6,816 8,972 12,553 7,865 8,481 6,616 2007년 248,315 61,462 9,151 10,974 15,223 8,682 9,756 7,811 2008년 219,779 56,438 7,285 8,957 13,999 7,758 8,751 7,193

(37)

<표 2- 7>에 제시된 전국 인구의 자연적 증가분에서 대전시가 차지하는 점유비 율을 도출하면, <표 2- 8>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2년 2.97%에서 이후 지속 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 3.52% 그리고 2014년 점유비율은 4.43%이다. 이러한 대전 시 점유비율의 변화를 도식화하면 (그림 2- 6)과 같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전시는 다른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출생률 과 낮은 사망률로 인해, 전국 인구의 자연적 증가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 아지고 있다.

<표 2- 8> 전국 인구의 자연적 증가에서 대전시 점유비중

구 분 전국(명) 대전시(명) 비율(%) 구 분 전국(명) 대전시(명) 비율(%) 1992년 494,516 14,710 2.97 2004년 228,544 9,020 3.95 1993년 481,569 15,299 3.18 2005년 191,148 8,121 4.25 1994년 478,746 16,166 3.38 2006년 205,887 8,481 4.12 1995년 472,182 16,154 3.42 2007년 248,315 9,756 3.93 1996년 450,077 15,680 3.48 2008년 219,779 8,751 3.98 1997년 426,401 14,859 3.48 2009년 197,907 7,966 4.03 1998년 391,597 13,651 3.49 2010년 214,766 8,002 3.73 1999년 368,869 12,909 3.50 2011년 213,869 8,472 3.96 2000년 388,338 13,651 3.52 2012년 217,329 8,699 4.00 2001년 313,374 11,445 3.65 2013년 170,198 7,465 4.39 2002년 246,794 9,779 3.96 2014년 167,200 7,400 4.43 2003년 246,037 9,762 3.97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인구동향조사-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시도/인구동태건수 및 동태 」, 1990년~2013년 / 대전시 자료(2014년)

2009년 197,907 50,805 6,156 7,658 12,717 6,922 7,966 6,715 2010년 214,766 53,138 7,706 8,503 13,665 7,447 8,002 7,105 2011년 213,869 51,206 8,116 8,403 13,614 7,323 8,472 7,080

2012년 217,329 52,400 8,139 9,120 14,900 7,518 8,699 7,593 234 2013년 170,198 42,003 5,735 6,809 12,521 5,838 7,465 6,459 299 2014년 167,200 41,300 6,000 6,700 12,400 5,700 7,400 6,900 400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인구동향조사-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시도/인구동태건수 및 동태 」, 1990년~2013년 / 대전시 자료(2014년)

(38)

(그림 2- 6) 전국 인구의 자연적 증가분에서 대전시가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39)

제 3절 대전시 인구의 사회적 변화

1.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인구변화

1) 대전시 전출입 인구규모

대전시 전입자는 <표 2- 9>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990년 102,219명에서, 2000년 100,713명 그리고 2014년의 경우 82,598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대전시 전출자는 1990년 68,756명에서, 2000년 92,137명 그리고 2014년에는 91,436명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전입자 감소 및 전출자 증가의 뚜렷한 추세로 인해, 대전시 사회적 순이동인구, 즉 전입자에서 전출자를 제외한 대전시 사회적 순이동인구는 1990년 33,463명에서, 2000년 8,576명 그리고 2014년의 경우 –8,838명으로 지속적으로 감 소하고 있다.

<표 2- 9> 대전시 전입자 및 전출자 규모 변화

(단위 : 명)

구 분 전입자 전출자 순이동 구 분 전입자 전출자 순이동

1990년 102,219 68,756 33,463 2003년 105,035 99,209 5,826 1991년 104,827 68,212 36,615 2004년 99,840 97,224 2,616 1992년 92,580 68,450 24,130 2005년 98,266 95,056 3,210 1993년 103,415 65,385 38,030 2006년 98,073 95,758 2,315 1994년 97,082 66,598 30,484 2007년 96,040 97,088 -1,048 1995년 98,432 80,682 17,750 2008년 88,784 94,394 -5,610 1996년 99,726 84,808 14,918 2009년 85,588 91,346 -5,758 1997년 99,419 89,825 9,594 2010년 86,470 87,515 -1,045 1998년 98,569 86,476 12,093 2011년 88,784 85,440 3,344 1999년 104,189 94,580 9,609 2012년 87,254 86,755 499 2000년 100,713 92,137 8,576 2013년 82,065 81,754 311 2001년 98,856 92,016 6,840 2014년 82,598 91,436 -8,838 2002년 101,366 92,811 8,555

자료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인구이동-국내인구이동통계, 「전출지/전입지(시도)별 이동자수」, 1990년~2014년 주 : 순이동은 전입자-전출자임

(40)

(그림 2- 7) 대전시 전입자, 전출자 및 순이동인구 변화 추이

참조

관련 문서

검토과정에서 정책의 투명성, 국민합의의

중소기업 정책과 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중소기업의 성장이며 중소기업이 공감할 때 정책의 수용성이 높아지고 추진력이 생길 수 있다고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플레이어를 최대 한 자주 죽이면서도 플레이어가 계속 플레이하고 싶게 만드는 것. •

셋째, 농림수산정책의 기초 인프라로써의 통계 데이터 정비이다. 농림업의 생산 및 취업구조나 농산촌지역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정책의 기획 및 입안에

예를 들어, 농민이 정책가에게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인센티브를 부 여하는 incentive-compatible 특징이 정책 프로그램을 만들 때 고려되어야

❍ 식품 정책의 방향 제시와 농업의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가공식품 소비행 태를 다각도에서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관련 연구 및 정책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필요가

3. 정부의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방향을 살펴보면 우선 전통시장의 시설을 현대화하도 록 지원해왔고, 구조를 개선하는 경영선진화를 지원해왔으며, 홍보 및

– 숙련기술장려기본계획에는 (i) 숙련기술 장려에 관한 정책의 기본방향, (ii) 대한민국명장 등 의 선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 (iii) 사업체의 숙련기술 향상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