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전 도심부 공원 연계성 확대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전 도심부 공원 연계성 확대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Copied!
13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15-36

대전 도심부 공원 연계성 확대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염인섭, 정경석, 이범규

(2)

연구진

연구책임 •염인섭 / 도시기반연구실 연구위원 공동연구 •이범규 / 도시기반연구실 책임연구위원 •정경석 / 도시기반연구실 책임연구위원 연구보조 •김보은 / 도시기반연구실 위촉연구원 •김연우 / 도시기반연구실 조사원 •이선영 / 도시기반연구실 조사원

(3)

<제목 차례>

제1장 연구의 개요 3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3

1. 연구의 배경 ··· 3

2. 연구의 목적 ··· 4

제2절 연구의 범위 ··· 5

제2장 분석의 틀 설정 9 제1절 기본전제 ··· 9

제2절 분석측면과 분석과정 ···14

1. 분석측면 설정 ···14

2. 분석과정 ···19

제3장 입지여건 및 현황 분석 25 제1절 대상지 개요 ···25

1. 대상지 위치 ···25

2. 대상지 내 근린공원 개요 ···29

제2절 관련 계획검토 ···31

제3절 공원연계성 관련 입지여건 및 현황 ···43

1. 입지여건 검토(접근성 및 기능성 측면) ···43

2. 구역별 현황분석 종합 ···52

1) A구역 : 샘머리 근린공원 ···53

2) B구역 : 둔지미 근린공원 ···67

3) C구역 : 갈마 근린공원 ···83

(4)

제4장 공원연계성 강화전략 구상 93

제1절 기본구상 ···93

1. 기본전제 : 이용행태 분석에 의한 동선패턴 적용 ···93

2. 전략적 접근체계 설정 ···94

1) 공원 간 통합 네트워크 구조 형성(접근성 측면) ···94

2) 다양한 공간체험과 일상생활과의 연계기능 강화(기능성 측면) ···96

제2절 전략적 접근체계 : 동선패턴 반영 ···97

1. 이동경로별 동선패턴 ···97

2. 공원 간 연계 동선유형 ···102

제3절 전략별 시범사업 ···106

1. 사업 추진체계 구상 ···106

2. 시범사업 제안 ···108

1) 동선연계 강화 시범사업 : 공원 간 통합 네트워크 구조 형성에 기여 ···108

2) 기능연계 강화 시범사업 : 다양한 공간체험과 일상생활과의 연계기능 강화 ···114

제5장 연구요약 및 정책건의 12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21

제2절 정책건의 ···124

∙ 참고문헌 ∙ ···127

(5)

<표 차례>

표 1. 샘머리 근린공원(A)의 공원시설 개요 ··· 54

표 2. A1구역의 이동패턴 현황 ··· 56

표 3. A2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60

표 4. A3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64

표 5. 둔지미 근린공원(B)의 공원시설 개요 ··· 68

표 6. B1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70

표 7. B2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73

표 8. B3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76

표 9. B4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80

표 10. 갈마 근린공원(C)의 공원시설 개요 ··· 84

표 11. C구역 공원 이용자의 이동패턴 현황 ··· 86

표 12. 샘머리 근린공원(A1~A3구역)의 이동경로별 통행빈도표 ··· 99

표 13. 둔지미 근린공원(B1~B4구역)의 이동경로별 통행빈도표 ··· 100

표 14. 갈마 근린공원(C구역)의 이동경로별 통행빈도표 ··· 101

표 15. 유형별 동선패턴 분석결과 : A1구역 ··· 103

표 16. 유형별 동선패턴 분석결과 : B1~B4구역 및 C구역 주변 ··· 104

표 17. 유형별 동선패턴 분석결과 : 정부청사역 주변 ··· 105

표 18. 현황분석 결과요약 및 공원구역별 전략적 접근방법 제안 ··· 122

<그림 차례> 그림 1. 대전시 근린공원 유치권 분석도 ··· 3

그림 2. 연구의 공간적 범위 ··· 5

그림 3 공원의 장소성 형성 개념도 ··· 10

그림 4. 서울역 공가 공원화 사업 구상안 ··· 11

그림 5. 선형 공원의 개념적 특성과 관련 사례사진 ··· 12

그림 6. 공원연계성 강화를 위한 분석측면과 주요 분석항목 ··· 18

그림 7. 분석의 틀 ··· 21

그림 8. 대전시 생활권 구상도 ··· 25

그림 9. 대상지 위치도 ··· 26

그림 10. 대상지 주변 보행자전용도로 및 광장 현황도(기준년도:2012년) ··· 27

그림 11. 대상지 주변 보행 연결체계 현황 ··· 28

그림 12. 대상지 주변 황톳길 조성위치 및 현황 ··· 28

그림 13. 대상지 내 근린공원별 구역설정 현황 및 배치도 ··· 29

그림 14. 대상지와 연계 가능한 ‘걷고 싶은 길 12선’ 위치도 및 주요 현황 ··· 30

그림 15. 대전도시기본계획: 경관 및 미관 계획 구상도 ··· 31

그림 16. 대상지 주변 대중교통중심 거점지구 현황 ··· 32

그림 17. 대중교통중심 거점지구(1차, 2차) 선정도 ··· 34

(6)

그림 18. 기존 도시공원 유치권 분석도 ··· 35

그림 19. 공원별 경관조명 계획도 ··· 35

그림 20. 대전광역시 경관관리구역 구상도 ··· 36

그림 21. 정부대전청사 자연마당 조성 기념식 사진(2015.5.11.) ··· 38

그림 22. 도시재해 예방을 위한 친환경 토지이용체계 개념도 예시 ··· 38

그림 23. 대전자연마당 조성을 위한 정부대전청사 광장 종합분석도 ··· 39

그림 24. 생태네트워크 및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지속가능 계획수립 구상도 ··· 40

그림 25. 대전자연마당 주요 공간배치 및 생태서비스 프로그램 구상도 ··· 41

그림 26. 대상지 내 근린공원 유치권 현황 ··· 43

그림 27. 정부대전청사 광장 내 보행자 이동동선 ··· 44

그림 28. 지하보도(폐쇄) 설치전경 ··· 44

그림 29. 정부대전청사 광장과 샘머리 근린공원 간 연결 지하보도 입구의 위치 ··· 44

그림 30. 대상지 내 근린공원들의 10분 이내 도보권역(기준: 네트워크 거리) ··· 45

그림 31. 대상지 내 무인 자전거대여소 위치 및 자전거도로 연결체계 현황 ··· 46

그림 32. 대상지 내 무인 자전거대여소 위치 및 이용률 현황 ··· 46

그림 33. 국내 및 대전지역 여가문화 활동관련 수요분석 결과 ··· 47

그림 34. 대상지 내 문화시설 분포현황 ··· 48

그림 35. 대상지 내 교육시설 분포현황 ··· 48

그림 36. 대상지 내 의료시설 분포현황 ··· 49

그림 37. 대상지 내 주요 근린공원의 일조권 및 소음 현황 ··· 50

그림 38. 대상지 및 주변의 생태현황도 ··· 50

그림 39. 대상지 공원 내 대표적인 식생현황 ··· 50

그림 40. 대상지 내 주요 생물종 분포현황 ··· 51

그림 41. 샘머리 근린공원의 구역별 위치도 및 전경 ··· 53

그림 42. 황토볼장 전경 ··· 54

그림 43. 청소년 종합레포츠 공간(하프파이프, 인공암벽, 인라인스케이트장) 조성현황 ··· 54

그림 44. A1구역의 세대별 공원 이용 비율 ··· 55

그림 45. A1구역 이동수단 비율 ··· 56

그림 46. A1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57

그림 47. A1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57

그림 48. A1구역 내 활동유형 비율 ··· 58

그림 49. A1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 ··· 58

그림 50. A2구역 북서쪽에서 바라본 전경 ··· 59

그림 51. A2구역의 세대별 공원 이용비율 ··· 59

그림 52. A2구역 이동수단 비율 ··· 59

그림 53. A2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61

그림 54. A2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61

그림 55. A2구역 활동유형 비율 ··· 62

그림 56. A2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 ··· 62

그림 57. A3구역의 세대별 공원이용 비율 ··· 63

그림 58. A3구역 음수대(비상급수시설) ··· 63

그림 59. A3구역 이동수단 비율 ··· 63

(7)

그림 60. A3구역에 설치된 조깅트랙 전경 ··· 63

그림 61. A3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65

그림 62. A3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65

그림 63. A3구역 활동유형 비율 ··· 66

그림 64. A3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 ··· 66

그림 65. 둔지미 근린공원의 구역별 위치도 및 전경 ··· 67

그림 66. B1구역 관리시설 및 편익시설 ··· 69

그림 67. B1구역의 세대별 공원 이용 비율 ··· 69

그림 68. B1구역 조깅트랙 및 주변 아파트와 통로 전경 ··· 69

그림 69. B1구역 이동수단 비율 ··· 69

그림 70. B1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71

그림 71. B1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71

그림 72. B1구역 활동유형별 비율 ··· 72

그림 73. B1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 ··· 72

그림 74. B2구역의 세대별 공원이용 비율 ··· 73

그림 75. B2구역 이동수단 비율 ··· 73

그림 76. B2구역 공원내부 전경 ··· 74

그림 77. B2구역 서측 노상주차장 전경 ··· 74

그림 78. B2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74

그림 79. B2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74

그림 80. B3구역의 세대별 공원이용 비율 ··· 75

그림 81. 3.8 민주의거 기념탑 전경 ··· 75

그림 82. B3구역 이동수단 비율 ··· 75

그림 83. B3구역 북서측 입구전경 ··· 76

그림 84. B3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이용자 수 ··· 77

그림 85. B3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77

그림 86. B3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 ··· 78

그림 87. B4구역의 세대별 공원이용 비율 ··· 79

그림 88. B4구역 이동수단 비율 ··· 79

그림 89. B4구역의 대중교통수단 이용여건 ··· 79

그림 90. 도시철도1호선 정부청사역 주변 샛길 사진 ··· 81

그림 91. B4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81

그림 92. B4구역의 시간대별 이용목적 비율 ··· 82

그림 93. B4구역의 활동유형별 비율 ··· 82

그림 94. B4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 ··· 82

그림 95. 갈마 근린공원(C)의 구역별 위치도 및 전경 ··· 83

그림 96. 갈마 근린공원 조성 기념비 ··· 84

그림 97. C구역의 세대별 공원이용 비율 ··· 85

그림 98. C구역 이동수단 비율 ··· 85

그림 99. C구역의 자전거 이용환경 ··· 85

그림 100. C구역 내 주요 접근로 전경 ··· 87

그림 101. C구역의 시간대별 공원이용자 현황 ··· 87

(8)

그림 102. C구역의 활동유형별 비율 ··· 88

그림 103. C구역 내 주요 운동시설 전경 ··· 88

그림 104. C구역 내 주요 공원시설 전경(운동시설 外) ··· 89

그림 105. 공원 간 통합 네트워크 구조 형성을 위한 주요 전략구상도 ··· 94

그림 106. 프랑스 파리 라빌레뜨 공원(Parc de la Villette)의 점-선-면 요소 간 결합개념도 ··· 95

그림 107. 프랑스 파리 라빌레뜨 공원의 일정한 간격(120m)으로 배치된 폴리(folly) 설치사진 ·· 95

그림 108. 대상지 내 공원별 주제공원화 전략구상(안) ··· 96

그림 109. 대상지 공원별 동선패턴 분석 결과 ··· 98

그림 110. 시범사업 추진체계 구상도 ··· 106

그림 111. 공원 간 동선연계/기능연계 강화를 위한 주요 시범사업 위치도 ··· 107

그림 112. 대상지 내 선형공원/가로공원화 시범사업 구상도 ··· 108

그림 113. 대상지 내 보행교 및 보행테크 설치 예상도 및 관련 이미지 ··· 109

그림 114. 입체 보행데크 설치 전후의 시설/녹지 비율 변화와 공원 내외부 동선 구상도 ··· 110

그림 115. 입체 보행데크 배치 구상안 ··· 111

그림 116. 고원식 횡단보도 시공예시 및 조성사진 ··· 112

그림 117. 대상지 내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 후보지 ··· 112

그림 118. 샘머리 근린공원(A1구역)과 정부대전청사 광장(E구역) 간 생태통로 구상(안) ··· 113

그림 119. 테마형 근린공원화 차별화 전략 구상도 ··· 114

그림 120. 독일 Oberhausen에 위치한󰡐Slinky Springs to Fame󰡑전경 ··· 115

그림 121. 대전자연마당 조성사업과 연계한 마을마당 조성위치도 ··· 117

(9)

제 1 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0)
(11)

그림 1. 대전시 근린공원 유치권 분석도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연구의 배경

{ 대전시 근린공원 공원유치권 분석결 과, 가장 뚜렷하게 동서 축이 연결되 어 있는 곳이 대전시 서구 둔산동 일 원에 위치하고 있는 근린공원 즉, 샘 머리 근린공원, 둔지미 근린공원, 갈 마 근린공원 등이 대표적임

{ 대전시 신도심지역인 둔산동 일원에 집중분포하고 있는 근린공원들은 동 서방향 녹지 축(한밭대로)과 남북방 향의 녹지 축(시청사↔정부청사)에 의해 형성된 대전시 중심부에 위치하 고 있음. 또한, 본 지역 내에는 근린 공원 유치권의 교집합 지역이 가장 넓은 지역임. 하지만, 근린공원의 본 래 기능인 지역생활권 거주자들의 보

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보면, 주변 지역의 주민들을 위한 생활권 공원으로써의 기능과 실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 특히, 주변 거주민들에 의한 공원으로의 접근성 문제와 공원 이용자들에 의한 다양한 행위유발 차원에서의 기능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임

- 첫째, 접근성 차원에서는 근린공원들이 연속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보행에 의한 접근의 효율성과 이동의 편리성이 다소 약하고, 다양한 계층을 위한 형평성 확보 차원에서도 미흡한 것으로 확인됨

- 둘째, 기능성 차원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여가문화 수요대응 차원에서 공간에 문화가 포함된 정도가 약하여 고유의 차별성 확보가 어렵고, 공원이용자들 간

(12)

상호작용과 공원 간 기능연계가 다소 미약하여 장소(공원)를 매개로 한 주제와 스토리, 공감대 등 장소의식 공유가 절실한 상황임

{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둔산지역 근린공원 간 연결에 있어서 보행접근이 어렵 고, 이용행태가 단조로우며, 공원에 인접해있으면서 소외지역이 발생하고 있음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대전시 도심지역 중에서 근린공원 유치권의 교집합이 가장 높으나 이용률 이 둔화된 대표적인 지역인 둔산지역의 대표적인 근린공원들을 대상으로 주변 지역 과 연계성 및 주민들의 이용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 이용수요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해 공원 간 연계성 확대방안 및 이용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① 접근성 제고 측면 → 공간의 연속성 ↑: 보다 많고 다양한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원

{ 효율성 문제 :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일상적 이용촉진 { 형평성 문제 : 더 다양한 계층(커뮤니티)을 위한 공원이어야 함. 커뮤니티 증진

② 기능수요 충족 측면 → 연속된 공간의 체험 ↑: 시민들이 직접 느끼고 즐기는 공원

{ 정체성/다양성 문제 : 둔산지역 근린공원은 공간에 문화가 포함된 정도가 약하 다. 고유의 차별성 확보

{ 장소성 문제 : 근린공원별 의미가 부여되었지만, 사람의 활동유발이 약하다. 외 형과 내적 측면 간 상호작용 강화

→ 장소를 매개로 한 주제와 스토리, 공감대 등 장소의식 공유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함

→ 공원을 둘러 싼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공유하고, 커뮤니티 차원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창출해야 함

(13)

제2절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둔산 신도심 지역 중, 대전시 서구 둔산동, 월평동, 갈마동 일원에 강한 녹지 축을 형성하고 있는 근린공원들을 대상으로 함

- 샘머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반경 약 2km 내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남북방향 (둔산대공원~정부대전청사~대전시청)과 동서방향(갑천~은평근린공원~샘머리 근린공원~유등천)의 녹지 축 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근린공원들과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함

- 대상 근린공원 : 샘머리 근린공원, 둔지미 근린공원, 갈마 근린공원, 정부대전청사 광장, 보라매 근린공원, 씨애틀공원 등

그림 2. 연구의 공간적 범위

(14)

□ 시간적 범위

{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우선, 공원연계성 관련 자료수집 및 현황분석을 위한 시점은 2015년 8월을 기준으로 하되, 대상지 공원연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대내외적 입지여건 및 관련 계획이나 사업 등에 의한 잠재적 시간적 범위 또는 영향권 시기는 2030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음

- 2030대전도시기본계획(2012), 대중교통중심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천방안(2013), 2020년 대전 공원녹지종합계획(2009), 대전광역시 기본경관계획(2010) 등 공원 연계성과 관련된 계획들의 목표연도를 고려하여 결정하였음

□ 내용적 범위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이 공원연계성 관련 개념정립 및 선행연구 고찰, 입지여건 및 현황분석, 공원 이용자 추적분석 및 동선패턴 분석, 전략 및 시범사업 도 출 등으로 구성됨

{ 개념정립 및 선행연구 고찰

- 개념정립 : 선형공원, 그린웨이, 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 동선연계, 기능연계 등 - 선행연구 고찰 : 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공원의 장소정체성 분석,

선형공원의 계획방법 등 { 입지여건 및 현황 분석

- 관련계획 검토 : 상위계획, 관련 사업계획 등

- 입지여건 : 보행 접근성 현황(근린공원 유치권 및 도보권 현황), 대중교통 및 자전거의 접근성 현황, 근린공원의 기능수요(여가문화 및 여가활동), 주변 시설과의 기능연계 현황, 일조권 및 소음 환경, 생태현황 등

{ 이용행태 및 추적분석

- 이용행태 분석 : 대상지 내 공원 이용자들의 동선연계성 및 기능연계성 관련된 행동특성 및 활동유형 등을 정리

- 추적분석 : 공원 이용자들의 주요 이동경로에 기초한 다양한 동선패턴에 관한 분석 { 공원연계성 강화 전략 및 시범사업 도출

- 접근성 제고와 기능성 증진을 위한 공원연계성 확대 및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고, 관련 시범사업을 제안

(15)

제 2 장 분석의 틀 설정

제1절 기본 전제

제2절 분석측면과 분석과정

(16)
(17)

제2장 분석의 틀 설정

제1절 기본전제

□ 전제1. 공원의 접근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

{ 연계성(連繫性)의 사전적인 의미는‘어떤 것이 다른 것과 관계를 맺고 있는 성 질’이라고 정의되고 있는바, 공원 간 상호 연계성을 강화시킨다는 개념은 다 음과 같이 크게 2가지 차원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음

- 첫째, 생활권과 인접해 있는 공원들을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행 또는 자전거, 차량 등의 이동수단에 의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물리적 측면에서의 개념임. 즉, 원활한 연결성과 친환경적인 이동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공원으로의 물리적인‘접근성’을 강화시키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음

- 둘째, 공원이라는 장소를 둘러싼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공유함으로써 공원이 제공하는 각종 편익 즉, 건강 효과, 경제적 효과, 환경적 효과, 사회적 효과1) 등을 지역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원복지 차원의 사회문화적 측면의 개념임.

즉, 공원의 장소 정체성과 기능의 다양성을 강조함으로써 공간에 문화를

포함시키고 이용자들의 활동을 유발하는‘기능성’을 강화시키는 개념으로 생활권 차원에서 공동체 간 활동이 증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함

{ 공원 간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는 공원을 둘러싼 내․외부적인 동선의 연속성 및 시각적 연계성 확보, 다양한 공간체험 확대 등을 위한 물리적 환경과 기능 프 로그램이 모두 중요함. 이는 보다 많고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공원’이라는 장소를 매개로 하여 주제와 스토리, 공감대 등 장소의식 공유하고, 다양한 체 험과 일상적인 접근을 강화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보건, 휴양, 정서생활 향상 에 기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함을 의미함

- 예컨대, 우리나라의 도시지역 내 생활권 공원은 도시화 과정 속에서 공원의 질적인

1) Sherer, Paul M.(2006), The Benefits of Parks: Why America Needs More City Parks and Open Space. CA:

The Trust for Public Land; The Council Of Landscape Architectural Registration Boards, 2010, Landscape Architecture And Pulblic Welfare

(18)

측면 보다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1인당 공원면적 확보에만 치중함으로써

일상생활과 괴리되어 있거나 상징성에 중점을 둔 생활권 공원들이 조성되어 왔음.

하지만, 최근에는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시민들이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공원 환경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2)

□ 전제2. 지역생활권 차원 장소정체성을 갖춘 공원의 기능성 강화

{ 생활권 내에 인접하여 분포되어 있는 도시공원들 간 연계성을 강화시키기 위 해서는 근린거주자 또는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 지역생활권 거주자들의 수요 를 반영하여 해당 공원별로 장소 정체성과 고유의 차별성 확보가 필요함 - 공원계획에 있어서도 지역 주민(이용자)의 사회적 특성에 집중하는 사회적

활용성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공원이 지닌 장소성이 공간의 고유한 특성이나 전통의 흔적을 발견시켜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인간의 활동에 의한 사회적 교류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문화를 활성화시켜주는 것이 중요함3)

- 정미강(2010)4)은 장소성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특별하게 변모시키는 특정한 상징이나 의미, 분위기 등 장소의 특징이라고 정의하면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질수록 인간의 공간에 대한 자각과 체험도 특별해진다고 강조하고 있음 { 한편, 프리츠스틸(Fritz Steele; 1981)에 의하면 장소성이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 환경(setting)과 개인의 인지적인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바,

‘공원’에서의 장소성 형성과정도 아래 그림과 같이 도식화 될 수 있음

그림 3 공원의 장소성 형성 개념도

(자료: 프리츠스틸(1981) 및 김한울․안건혁(2011)의 개념도 재인용)

2) 국토연구원(2013), 공원복지 구현을 위한 선형 공원의 조성효과와 공급방향 연구

3) Carmona, Michael et al.(2003), Public Places Urban Spaces – The Dimension of Urban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UK

4) 정미강(2010),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0권 제2호, pp.27~47

(19)

{ 또한, 이무용(2006)도 장소는 물리적 공간 환경과 그 속에 살아가는 사람 및 그들의 활동, 사람과 환경 간의 오랜 상호 작용 속에서 문화적으로 형성된 고 유성, 역사성, 정체성, 다중성을 띤 총체적 실체로 정의하고 있는 바,5) 공원의 연계성 강화측면에서도 지역생활권 내에서 주민들의 일상적 이용수요에 맞게 대응하면서 장소적인 정체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함

□ 전제3. 선적인 요소를 활용한 공원의 접근성 강화6)

{ 본 연구의 목적이 대전시 신도심지역인 둔산동 일원에 인접해 있는 근린공원 들 간 연계성을 강화시키는 것이고, 대상지 자체가 동-서 축으로 약 2km 구간 으로 여러 커뮤니티에 걸쳐 인접해있는 생활권 공원이라는 점에서 도입 가능 한 선형공원(Linear Parks), 그린웨이(Greenways) 등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김재철 외 1인(2013)은 그린웨이가 녹지의 연결 또는 이동에 중점을 둔 반면, 선형공원은 산책·조깅·자전거 등 선적 여가활동을 통한 건강 증진, 다양한 지역주민들 간 교류 활성화, 인접 가로의 유동인구 증대, 바람길·생물이동통로 등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을 전제로 한다는 점(Searn, 1995; Kullmann, 2013) 등을 예로 들면서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린공원의 잠재력을 강조하고 있음

- 다만, 선형공원은 가로, 성곽, 고가도로 철거부지, 하천, 항만, 폐선부지 등 주로 산업화 시대의 네트워크형 도시기반시설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국토연구원, 2014)을 인식하여 연구의 대상지에 적용여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국내의 경우, 서울시(2015)에서는 서울역 고가도로 공원화 조성계획인‘서울역 7017프로젝트7)’구상을 발표하면서 안전문제로 철거논란이 있었던 서울역 고가도로를 선형공원으로 재생시킴으로써 서울의 핵심 문화관광 명소로 조성 중에 있음

{ 한편, 쿨만(Kullmann, 2011), 김재철 외 1인(2013), 국토연구원(2014) 등의 선행 연구에서는 선형공원의 핵심요소를 ‘도시공간(커뮤니티)과의 근접성’과 ‘공

5) 임승빈 외 5인(2012), 공원에서의 장소정체성 분포와 공간요소 만족도의 관련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 토계획 제47권 제7호; 재인용

6) 김재철, 박근현(2013),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48권 제6

7) 교량 노후화로 철거 예정이던 서울역 고가를 공원으로 바꾸는 사업으로 ‘1970년에 만들어진 서울역 고가가 2017 년에 17개의 사람 길로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20)

그림 4. 서울역 공가 공원화 사업 구상안 (국제현상설계공모전 당선작)

간체험의 연속성’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이는 공원연계성의 개념에서도 언 급하였듯이 공원들 간 혹은 공원과 주거지 간 연계성을 맺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음.

- 김재철 외 1인(2013)은 다양한 선적인 여가활동들을 적절히 수용하여 시민의 건강 증진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한편, 여러 커뮤니티에

걸쳐 위치하여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커뮤니티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음 - 즉, 선형공원 속에는 다양한 기능 공간과 용이한 접근체계가 갖춰져 있으면서도

도심부 지역생활권(커뮤니티) 주민들 간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해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임

그림 5. 선형 공원의 개념적 특성과 관련 사례사진

(자료: 박근현 외 2인, 선형공원 조성을 통한 사람 중심의 도시구현,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브리프 제448호, 2014)

(21)

{ 선형공원의 잠재력을 검토하여 정리된 주요 기능들은 근접성(proximity)과 연결 성(connectivity)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음8)

- 다양한 활동 수용 : 일상공간과 긴밀하게 연계된 다양한 유형의 활동이 유발됨 - 건강증진과 일상적 이용 촉진 : 산책, 조깅, 자전거 등 이동 또는 여가 목적의

일상적인 여가활동을 통해 주민들의 건강이 증진됨. 통근, 통학, 산책, 휴식 등 이용자들이 공원을 따라 이동하는 이용자들이 다양한 활동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공원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음

- 경제적 효과 : 선형공원과 인접된 가로의 유동인구 증대로 인해 주변 지역 소매업 등과 연계될 경우 매출증대의 효과도 기대됨

- 커뮤니티 활성화 : 여러 커뮤니티에 걸쳐 위치하는 선형공원은 다양한 지역주민들 간 접촉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커뮤니티 간 사회적 교류가 활발히 진행됨 - 범죄예방의 효과 : 선형공원의 개방성 및 근접성에 의한 주변 가로 이용자의

시선에 노출되어 거리의 시선(eyes on streets)의 작동 및 방어적 공간(defensible space)이 형성

- 도시 내 생태환경 제공 : 공원을 따라 연속적인 바람길, 생물이동통로, 생태습지 등이 제공될 경우, 공원의 쾌적성 확보, 도시 미기후 개선, 열섬효과 완화, 생태계 보전효과 등이 예상됨

{ 선행연구(김재철 외 1인, 2013)에서도 언급되고 있지만, 선형 공공공간의 중요 성이 강조된 통합가로(complete streets, shared streets, livable streets 등)9)의 도입 가능성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 지역생활권 차원에서 다수의 근린공원들이 인접되어 있는 대상지 특성상, 공원들 간 연계성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선적인 요소(도로, 가로 등)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면형 공원들이 도로에 의해 단절됨으로써

이용자들이 연속적인 공간체험이 불가능하거나 공원 간 네트워킹이 약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8) 국토연구원(2014), 김재철 외 1인(2013), Kullmann(2011) 등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였음. 단, 선형공원 의 기능들은 공원에 대한 편리한 접근성과 연속적인 이동의 편의성, 다양한 활동이 보장되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등이 확보되어야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을 것임

9)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면서 기존의 도시기능과 긴밀히 연계된 선형 공공공간의 중요성 강조

(22)

제2절 분석측면과 분석과정

1. 분석측면 설정

지역생활권 내 근린공원들이 인접해 있으면서도 공간체험이 연속적으로 이뤄지는 대 상지의 특성 상 공원을 둘러싼 내․외부적인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 측면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에서 강조하고 있듯이 첫째, 보 다 많은 거주자들이 쉽게 공원을 이용해야 하고(접근성 제고), 둘째, 공원복지 차원에 서 사회적 편익이 제공될 수 있도록 공원 자체의 기능과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기능 성 증진).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3가지 전제들을 바탕으로 공원의 물리적 환경차원 에서는 접근성을 제고시키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이 2가지 분석측면과 분석항목들을 설정하고자 한다.

1) 접근성 측면 : 동선연계성 강화

□ 정의

일반적인 도시계획에서는 접근성(accessibility) 또는 이동성(mobility)의 개념은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접근하는 시간과 속도에 주목하여 효율성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10) 이에 더욱 효과적인 이동수단 또는 접근체계를 갖추어 시간과 에너지 낭비를 줄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공원에서의 접근성 은 쿨만(Karl Kullmann, 2011)의 그린네트워크, 선형공원 등에 관한 연구11) 에서 제시 하고 있는 것처럼 ‘도시공간과의 연계성’ 및 ‘공간체험의 연속성’개념과 긴밀한 연관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쿨만의 연구결과를 재정리하여 김재철 외 1인 (2013)12)은 공원에 대한 접근성을 시민을 대상으로 한 공원서비스 제공의 효율성과 형평성 차원에서‘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더 나은 접근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재해 석하고 있다.

10) Philine Gaffron 외 2인(2005), ECOCITY ‘Urban Devlopment towards Appropriate Structure for Sustainable Transport’(2002-2005), pp.11~12

11) Karl Kullmann(2011), Thin parks / 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infrastructural sit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ume 6, Issue 2, 2011

12) 김재철, 박근현(2013),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48권 제 6호

(23)

본 연구에서의 접근성은 공원 내․외부의 동선 연계성 강화에 필요한 물리적 차원의 계획요소들로 한정하고자 한다. 즉, 공원 이용자들의 동선 연계성 강화에 초점을 맞 추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원으로 접근하거나 이동하여 쾌적하고 편리하게 이용하 는 것을 접근성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접근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대상지 내 공원 이용자들의 동선 연계성에 초점을 둔 행태분석과 현황분석을 위한 항목들을 세분화하였다.

□ 분석항목 1-1. 동선연계(접근의 효율성과 이동의 편리성) 관련 이용행태 분석

• 공원 내․외부에서 이용자의 동선 연계성에 초점을 맞추어 세대별 접근현황 및 이동수 단, 이동패턴을 파악 : 이용행태분석을 위한 조사항목들로 구성

{ 이용세대 : 지역생활권 내 세대별 공원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여 공원 본래 기능(거주자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이 잘 작동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

{ 이동수단 : 대상지 내 공원별 진입동선의 효율성 문제, 보행자의 이동환경 등 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공원 이용자들의 주요 접근수단(도보, 자전거, 차량, 이륜차, 대중교통 등)을 조사 { 이동패턴 : 공원별 이용자들의 이동경로에 기초한 유형별 동선패턴(공원 내․외

부)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내부동선 : 면형공원 내 이용자들의 유형별 이동경로를 파악

- 외부동선 : 근린공원 간 상호 교류를 촉진하고, 선형공원화 가능성 도출

□ 분석항목 1-2. 시각적 개방성과 환경적 쾌적성 확보와 관련된 현황분석

• 시각적 개방성 : 범죄예방, 일상적 이용촉진 등의 효과와 연계

• 환경적 쾌적성 : 도시 내 생태환경을 제공하는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초점

{ 시각적 개방성 : 이용자들의 연속적인 공간체험 및 공원 간 네트워크 형성 여 건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내부동선의 연속성 : 공원 내 녹지와 주요 공원시설 배치 현황 및 특성을 파악 - 외부동선의 연속성 : 공원별 주요 진입부 (출입 공간) 위치와 인접공원 간 연결도로

(24)

및 가로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

{ 환경적 쾌적성 : 공원이용 상의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이 물리적으로 잘 조성되 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분석항목

- 내부공간의 쾌적성 : 녹지 및 공원시설물의 점유비율, 친환경적 동선연계 환경 등 - 외부공간의 쾌적성 : 공원과 공원 간, 공원과 주변 커뮤니티 간 상호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공원시설물 배치여부, 친환경적인 이동성 확보 환경 등

※참고자료1. 공원의 물리적 환경조성을 위한 그린웨이와 선형공원의 잠재력

• 그린웨이(Greenways) : 김기호(2006)는 시민의 이동과 레크리에이션이 가능한 오픈 스페이스나 보행통로, 야생 동식물이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한 생태통로의 의미까지 포함함. 즉, 도시 전체의 공원, 녹지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여러 목적과 다양한 스케일의 선형공원을 통칭하고 있음

• 선형공원(Linear Parks) : 다양한 선적인 여가활동들을 적절히 수용하여 시민의 건강 증진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한편, 여러 커뮤니티에 걸쳐 위치하여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커뮤니티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통로역할 → 활동의 다양성, 일상적 이용촉진 및 건강증진, 사회적 교류증진, 범죄예방, 그리고 공원 접근성 향상 등 공원자체의 근접성과 연결성을 높여주는 선형공원의 기능성을 강조함

→ 공원 간 접근성 및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공원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해야 함

(자료 : 김기호 (2006), 도시설계의 New ParadigmⅡ: 공공영역 설계를 위한 도시 설계, 환경논총 제44권, 서울대학교)

(25)

2) 기능성 측면 : 기능연계성 강화

공원의 기능성 측면은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보건․휴양, 정서생활, 여가문화 증진 등 에 기여하는 근린공원의 기본 기능을 비롯하여 주민들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구사 항들을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프리츠 스틸(Fritz Steele,1982)과 에드워드 랠 프(Edward Relph, 1976), 케빈 린치(Kevin Lynch, 1960), 이한울․안건혁(2011) 등의 연 구에서 강조하는 장소정체성과 사회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공원의 차별화된 장소 (성), 일상적 체험공간으로써의 공원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하였다. 앞서 언급된 공원 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사회적 동기 또는 공원을 이용하 는 목적․의미(meaning)가 반영된 기능 간 연계성도 동시에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차원의 공원 기능 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공 원 내 활동의 다양성을 제공해주면서, 이용자들의 여가문화 증진 및 사회적 상호작 용을 강화시키는 관점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공원별 기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음 과 같이 대상지 내 공원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기능수요와 해당 기능 간 연계성 강화 에 초점을 둔 행태분석과 현황분석을 위한 항목들을 세분화하였다.

□ 분석항목 2-1. 기능연계와 관련된 이용행태 분석

• 기능 간 연계성에 초점을 맞추어 공원별로 이용자들의 행태를 이용시간대, 이용목적 및 동기, 활동유형으로 구분하여 파악 : 이용행태분석을 위한 조사항목들로 구성

{ 이용시간대 : 지역생활권 내 주민들의 공원이용 시간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시간대별(출근, 오전, 점심, 오후, 퇴근 등) 공원별 이용객 수를 조사

{ 이용목적․동기 : 공원 이용자들의 주요 방문목적과 사회적 동기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정서생활 및 여가문화 증진을 위한 공원의 기능적 효용성 파악 : 공원 이용자들의 행태를 관찰하여 휴식, 산책, 통과, 운동, 만남, 기타 등으로 구분 { 활동유형 : 공원별 활동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공원 이용자들이 즐기는 운동유형 및 여가활동 형태 등을 파악 : 일정한 시간에 공원에 체류하면서 관찰되는 이용자들의 운동유형(걷기, 달리기,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보드, 마레트골프, 게이트볼, 우드볼, 개인운동 등)을 구분

(26)

□ 분석항목 2-2. 공원별 차별화된 장소정체성과 활동의 다양성 관련 현황분석

• 장소적 정체성 : 공원별로 차별화된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파악

• 활동의 다양성 : 인접 생활권 거주민의 다양한 기능수요에 대응하고 있는지에 초점 { 장소적 정체성13) : 공원(장소)별 문화적 특성과 고유의 차별성 포함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

- 공원 자체의 문화적 특성을 부여하고, 장소적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있는지를 파악 { 활동의 다양성 : 시민들이 장소를 매개로 하여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항목임

- 시민의 보건, 휴양, 정서생활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수요를 충족여부 파악

그림 6. 공원연계성 강화를 위한 분석측면과 주요 분석항목

13) 물리적인 공간 자체라기보다는 어느 장소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갖고 있는 장소의 총체적 성질 즉, 인간 활동을 수반하는 공간이 고유한 특성을 지닐 때 그 공간을 장소(place)라고 부르며 그 고유한 특성을 의미함.

Relph(1976)는 공간에 문화가 포함되고 활동이 일어나며 의미가 부여될 때 장소가 되고, 이때 형성되는 정체성이 장소성이라고 정의함

(27)

2. 분석과정

1) 분석개요

본 연구에서는 지역생활권 차원의 거주자들을 위한 공원의 연계성 강화를 크게 2가 지 분석측면 즉, 공원 내외부의 접근 및 이동 동선에 관한 연계성과 공원 이용자들을 위한 기능(프로그램) 간 연계성으로 구분하였다. 다만, 동선연계성 및 기능연계성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에 의해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상호 분석측면 간 중복성 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동선연계성은 면형 근린공원 간 선적 연결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 물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공원 내․외부의 원활한 접근동선 연계를 의미하고, 2) 기능연계성은 사회적 요소를 중심으로 공원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유형과 프로그램으 로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상호 연계성 간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과 比물리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실제 대상지 공원의 이용실태 및 현황분석, 이용행태분 석 등을 실시하고, 각각 접근성 측면과 기능성 측면의 용어로 정리하였다.

한편, 선행연구(박근현 외 2인, 2014)에서 기 분석한 면형 근린공원과 선형 공원, 소 공원 등에 관한 공원 형태별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비롯 주요 연구결과들을 참고하 여 대상지 내 근린공원들 간 상호 연계성을 강화할 경우, 크게 3가지 효과들이 예상 된다. 이를 대상지 여건을 반영하여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공원 간 네트워크 강화 효과 : 대상지 내 기존 면형(面形) 근린공원들이 차량 위주의 도로체계(접근성)나 단조로운 프로그램 구성(기능성) 등으로 인해 공원 별 내부동선 확보와 공원시설 배치에 집중된 부분들을 일부 보완할 수 있음

→ 대상지 내에서도 근린공원들이 도로에 의해 단절되어 있고, 소극적인

보행연결체계(일반 횡단보도)를 갖추고 있어 공원 간 연계성이 다소 미약한 편임

→ 둔산신도심 지역의 상징적인 도시공원에 의한 녹지 축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둔산지역에 대한 지속적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음. 다양한 선형자원들과 기존 근린공원들을 보행에 의한 접근성을 높여 줌으로써

친환경적인 공원네트워크의 확대가 가능함

{ 연속된 공간체험의 효과 : 공원 간 동선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새로운 선형자 원을 개발할 경우, 도보권 내 포함되는 공원 서비스 지역의 확대가 예상됨. 이 를 통해 선형의 공간체험 및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환경의 제공이 가능함

(28)

→ 본 연구에서는 선형공원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단위의 근린공원들이 인접되어 있다는 장점을 활용하여 선적요소를 활용한 적극적인 보행연결을 통해 둔산지역의 새로운 선형자원으로 개발하자는 취지임

{ 지역 생활권과의 연계 효과 : 주변 지역과 물리적·시각적 연계성을 확보하고 인접 커뮤니티 또는 이용자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요자 맞춤형 공원의 접근 성을 새롭게 할 수 있음

→ 대상지는 대전 인구의 1/3에 해당하는 약 43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

둔산대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공원이용자 인구가 대전시 인구의 약 1/10에 해당하는 약 145,575명(51,843세대; 2013.12월 현재)임. 또한, 서구 둔산동, 월평동, 갈마동 등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대전시의 시가지 확장(둔산 신도심 개발)으로 인한 주요 택지개발사업(서구 둔산지구, 서구 둔산2지구)에 의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지역임. 대상지에는 주거지를 비롯한 대전시의 주요 업무시설 및 상업시설이 집중 배치된 지역으로 생활권 차원의 공원 서비스 권역을 형성하고 있음. 이에 지역생활권과의 연계성이 매우 중요한 지역에 해당함

※참고자료2. 면형 근린공원, 선형 공원, 소공원 등 공원의 형태에 따른 특성 비교

(자료: 박근현 외 2인, 선형공원 조성을 통한 사람중심의 도시구현,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브리프 제448호, 2014)

(29)

2) 분석의 흐름

그림 7. 분석의 틀

□ 1단계 : 개념정립 , 공감대 형성 등 연구의 필요성 인식

{ 대상지 내 공원 간 연계성을 확대 및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 가능한 전략적 접 근방법을 모색하면서 최근 시민복지 또는 친환경 도시구조 형성 차원에서 공 급되고 있는 선형공원, 그린웨이, 통합가로 등에 관한 잠재력을 파악

{ 공원 간 긴밀한 녹지 네트워크, 연속된 공간체험, 지역생활권 연계 등을 위한 지역생활권 공원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공원 간 또 는 공원 내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는 생활권과의 근접성과 연속성 차원에서 접 근하였음

□ 2단계 : 주요 해결과제 인식

{ 앞서 언급된 근접성과 연속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공원 연계성을 강화시켜주 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차원에서 주요 해결과제

(30)

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

- 첫째, 기존의 면형 근린공원 간 선적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동선 연계성에 기초한 접근성을 제고

- 둘째, 생활권(주민)과 공원의 기능 간 긴밀한 접촉을 강화하기 위해 기능 연계성에 기초한 기능성을 증진

□ 3단계 : 분석측면 설정

{ 대상지를 둘러싼 대내․외적 입지여건 분석은 관련 계획(상위계획, 개발계획 등) 을 검토하되, 접근성과 기능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함

- 관련 계획검토 :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2012), 대중교통중심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천방안(2013), 2020년 대전 공원녹지종합계획(2009), 대전광역시

기본경관계획(2010), 대전 광역건축기본계획(2012) 등

{ 대상지의 현황 분석 및 이용행태 분석 등을 위한 주요 분석측면을 크게 접근 성과 기능성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주요 분석항목을 설정하였음

- 접근성 차원 : ① 공원 내․외부의 동선 효율성과 이동 편리성 강화(이용행태 분석) ② 시각적 개방성과 환경적 쾌적성 확보(현황 분석)

- 기능성 차원 : ① 다양한 활동 및 프로그램 관련 기능연계 강화(이용행태 분석) ② 장소정체성과 활동의 다양성 확보(현황 분석)

□ 4단계 : 기본구상 (공원연계성 강화 전략과 사업 도출)

{ 대전시 둔산 도심부 공원연계성 강화를 위한 기본구상 및 전략 수립 { 기본방향 : 공원의 접근성 제고 및 기능성 증진

{ 추진전략 및 시범사업 도출 : 동선연계성을 위한 접근성 제고 전략과 기능연계 성을 위한 기능성 증진 전략으로 구분

- 접근성 차원 : ① 점-선-면 공원 네트워크 구축 : 보행데크, 고원식 횡단보도 등 ② 면형 근린공원 간 연결성 보완 : 선적요소에 의한 입체적 연결 - 기능성 차원 : ① 세대별 시설수요에 따른 주제공원화 : 대전자연마당과 연계한

마을마당 조성 등

② 지역생활권과 연계한 커뮤니티 활성화 : 생활권 차원의 근린공원의 기능 강화

(31)

제 3 장

입지여건 및 현황 분석

제1절 대상지 개요 제2절 관련 계획검토

제3절 공원연계성 관련 입지여건 및 현황

(32)
(33)

그림 8. 대전시 생활권 구상도

(자료: 대전광역시, 2030대전도시기본계획, 2012)

제3장 입지여건 및 현황 분석

제1절 대상지 개요

1. 대상지 위치

□ 도시공간구조상 위치

{ 대상지는『2030대전도시기본계 획(2012)』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심지체계 상 2핵(도심) 중 하나로 대전시의 주요 거점 역 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둔산 대생활권’에 위치하고 있음14) - 대전시의 대표적인 도심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행정업무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용도지역 상 상업지역을 동서

축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근린공원들이 배치되어 있음

□ 대상지 주변 생활권 환경

{ 대상지 내에 있는 주요 근린공원들(은평, 갈마, 샘머리, 둔지미, 보라매, 씨애틀 등)은 약 368,046㎡의 규모로 조성되어 있음

- 대상인구(공원이용자) : 145,575명(51,843세대; 2013년 12월 현재)

- 1인당 공원면적 : 약 2.53㎡/인(대전시 전체 공원에 대한 1인당 집행면적 평균값 7.8㎡/인15)보다 낮음; 서구의 경우 약 14.4㎡/인)이며, 공원에 도보로 10분 내에

14) 2010년도를 기준으로 설정된 총 6개의 대생활권 중 가장 큰 규모인 둔산대생활권은 연도별 생활권별 인구배분이 434,254명(2010년), 436,000명(2015년), 438,000명(2020년), 439,000명(2025명), 441,000명(2030년)으로 계획 되어 있음(자료출처: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 p.59)

15) 이상민, 심경미(2014), 도시공원 현황진단 및 평가모델의 개발과 활용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아우리브리프 (auribrief No.89, 2014.5.30.)에 게재된 표 재인용; 국토교통부 도시계획현황통계(2012)

(34)

접근할 수 있는 인구비율은 매우 높은 편임

그림 9. 대상지 위치도

{ 샘머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반경 2km이내에 서구 둔산동, 월평동, 만년동, 갈 마동, 탄방동 등 대전시 둔산 도심지역 내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과 주요 업무 시설 및 상업시설 등과 인접해 있음

- 대상지 내 근린공원들은 동-서 축으로 약 2km정도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북측으로는 둔산(대)근린공원(569,340.6㎡), 정부대전청사 등이 위치하고 있음 - 남측으로는 대전시 주요 공공기관 및 업무시설(대전광역시 서구청,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법원, 대전 둔산우체국, 대전광역시청, 대전광역시 교육청)이 보라매

(35)

근린공원을 남-북 축으로 하여 동-서 측에 배치되어 있음

- 대상지 내 근린공원과 인접하여 2곳의 대형할인마트(이마트 둔산점, 홈플러스 대전둔산점)가 위치하고 있음

□ 대상지를 둘러싼 동선연결 체계

{ 한밭대로(동-서 방향)의 남쪽 측면에 인접하고 있는 대상지 내 근린공원들은 주변 생활권과 연결하는 보행자전용도로 및 광장, 완충녹지 등이 조성되어 있 지만, 격자형 도로체계에 의해 서로 단절된 곳이 많음

- 보행안전성 미확보, 불법 점유공간 등으로 인해 공원연계 상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임

그림 10. 대상지 주변 보행자전용도로 및 광장 현황도(기준년도:2012년)

{ 대상지 내 도시철도역사가 2개소가 위치하여 일부 출입구가 공원에 직접적으 로 노출되어 연결되어 있음

- 갈마 근린공원 ↔ 갈마역(1번, 2번 출구), 둔지미 근린공원 ↔ 정부청사역(1번, 2번 출구) { 대상지 내 무인 자전거대여소(타슈 스테이션)는 샘머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반경 2㎞이내에 약 40여 개소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용률도 매우 높은 편임 { 자전거전용도로는 대상지 주변 하천변에 위치하고 있고, 대상지에 인접하고 있

는 한밭도로변 보도에는 보행자겸용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음

(36)

그림 11. 대상지 주변 보행 연결체계 현황

□ 기타여건 : 『대전시 서구의 황톳길 조성사업』

{ 대상지 북측에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아파트 단지16)에는 지역생 활권 주민들의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황톳길이 조성되고 있음(2009년~현재) - 조성규모 : 총 5건 (6,930m) *둔산동(3개소), 월평동 및 만년동 일원(2개소)

그림 12. 대상지 주변 황톳길 조성위치 및 현황

16) 둔산동 가람아파트, 보라아파트, 월평동 무지개~전원아파트 등

(37)

2. 대상지 내 근린공원 개요

{ 본 연구의 대상 근린공원들은 5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석범위를 한정하였음.

다만, A~C구역을 핵심 대상구역으로 설정하고, E구역은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대전자연마당조성사업(2014~2016) 범위를 포함하며 D구역은 보라매 근린공원 중 일부 구간을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함

- A구역 : 샘머리 근린공원(A1, A2, A3 구역) / 면적: 117,306.60㎡

- B구역 : 둔지미 근린공원(B1, B2, B3 구역) / 면적: 59,991.90㎡

- C구역 : 갈마 근린공원(C구역) / 면적: 91,983.10㎡

- D구역 : 보라매 근린공원(D구역) / 면적: 54,466.80㎡

- E구역 : 정부대전청사 광장(E구역) / 면적: 56,860.00㎡

그림 13. 대상지 내 근린공원별 구역설정 현황 및 배치도

(38)

{ 이외에도 대상지 내 근린공원들과 보행 또는 자전거에 의해 긴밀한 연계가 가 능한 관련 보행연결 네트워크 조성여건을 고려하였음

- 걷고 싶은 길17) : 낭만길 코스 중 ‘시청앞 가로수길’이 대상지(샘머리 근린공원, 정부대전청사 광장, 보라매 근린공원)를 포함하고 있음

그림 14. 대상지와 연계 가능한‘걷고 싶은 길 12선’위치도 및 주요 현황 (자료: 대전광역시, http://greencity.daejeon.go.kr/07_work/info/info.asp)

17) 대전시는 2012년 7월부터 시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여가를 활용하여 쉽게 찾을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는 걷고 싶은 길을 총 4개 테마(웰빙길, 낭만길, 역사문화길, 생태환경길)별 12선을 선정하였음

(39)

그림 15. 대전도시기본계획: 경관 및 미관 계획 구상도 (자료: 대전광역시,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 2012)

제2절 관련 계획검토

□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2012), 대전광역시

{ 도심 및 주거환경계획(제4장)에서는 1980년대 개발된 둔산도심 지역의 노후화 대비 도시재생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지속적인 도심관리의 중요 성을 언급하고 있음

{ 또한, 대중교통 주요 결 절점 주변에 인구 및 시설 수요가 증가할 것 으로 예상하면서 역세 권 주변지역의 우선 정 비 및 복합 환승시설 확충 등 대중교통 이용 환경 개선을 위한 계획 방향이 수립되어 있음 { 세부적으로는 경관 및

미관계획(제6장)에서는 상징적인 시가지 경관 관리의 필요성이 언급 되어 있었음

- 대상지는 가로경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랜드마크(landmark)에 대한 조망경관 계획 및 관리, 가로경관의 특성화 및 관리 강화 등의 세부전략 및 시책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40)

□ 대중교통중심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천방안(2013)

{ 대중교통중심 거점지구 : 둔산도심(정부청사역, 시청역, 은하수네거리)

- 대전광역시 교통정비 기본 및 중기계획(2007~2016), 대전광역시 대중교통계획 및 정책 등을 전략적으로 수용하여 설정된 대중교통중심 35개의 거점 중 유형화 작업을 거친 26개의 거점 중 대상지는 도심형 1차 거점지구(2013~2015)에 해당함 - 둔산도심 거점지구에 도입될 예정인 실천방안 중 2개의 선도사업은 도시철도

정부청사역과 연계된 버스정류장 녹색공간 조성사업과 도시철도 시청역과 연계한 지하철역 자전거보관소 확충사업이 있음

-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추후 도시철도 2호선 및 대덕대로 BRT 건설(계획)에 따른 주요 교통결절점인 정부청사역(도시철도 1,2호선)을 중심으로 한 ① 버스정류장 녹색공간 조성사업, ② 지하철역 자전거보관소 확충사업, ③ 캐노피(Canopy) 설치사업을 추진하여 대중교통 환승편의 및 이용편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음

그림 16. 대상지 주변 대중교통중심 거점지구 현황

(자료: 대전광역시, 대중교통중심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천방안, 2013)

(41)

※참고자료3. 둔산 도심형 거점지구 중장기 실천과제 예시도 및 주변 BRT 도입계획

(자료: 대전광역시, 대중교통중심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천방안, 2013)

(42)

그림 17. 대중교통중심 거점지구(1차,2차) 선정도

(자료: 대전광역시, 대중교통중심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천방안, 2013)

(43)

그림 19. 공원별 경관조명 계획도 (자료: 대전광역시, 2020년 대전공원녹지종합계획, 2009)

그림 18. 기존 도시공원 유치권 분석도 (자료: 대전광역시, 2020년 대전공원녹지종합계획, 2009)

□ 2020년 대전 공원녹지종합계획(2009), 대전광역시 { 공원유치권역 분석결과

- 대상지 내 근린공원 유치권 교집합은 매우 뚜렷하게 동서 축 방향으로 주변 생활권을 대상으로 한 공원서비스 권역이 중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다만, 상업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근린공원의 경우 지역생활권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접근성이 불리한 점이 많다고 지적됨

{ 도시공원의 특성화 : 주변지역 및 이용환경에 따른 테마공원화(레포 츠+예술감성)

- 갈마 근린공원 : 청소년문화 / 축구장, 농구장, 배드민턴장 - 샘머리 근린공원 :

청소년문화+육상형레포츠 / 인공암벽, X-게임장

- 보라매 근린공원 : 전통역사 / 전쟁기념비

- 밤과 하늘이 아름다운 ‘blue night’

조성 : 둔산동 중심가 인근공원 연계 - 계절별 특화경관 : 샘머리

근린공원(단풍축제 개최) { 공원 명소화(특화전략)

- 타시군민들도 이용 가능한 공원개발로 관광네트워크 형성 - 시청 남·북 녹지테마공원 조성 :

보라매 근린공원에 의한 남북 녹지축을 활성화

(44)

□ 대전광역시 기본경관계획(2010), 대전광역시

{ 2020년을 목표로 수립된 대전시 기본경관계획에 의하면 대상지 주변에 형성된 상업․업무 경관에 대하여 가로의 연속성이 저해되고 사업지역의 활력과 매력이 부족하다고 지적되고 있음

{ 대상지는 4대 경관권역(도심경관권역, 대덕경관권역, 서남경관권역, 자연경관권 역) 중 ‘도심경관권역’에 속하며 기본관리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음. 또한, 도 심지역 내 녹지경관 축을 형성하고 있음

- 기본경관계획에 의한 도심경관권역 : 도심과 3대하천이 조화를 이루는 매력적인 시가지경관 형성을 목표로 주요 전략이 구성되어 있음

- 대상지의 경우, 시가지와 조화되는 자연경관 보존 및 녹지축 회복을 전략으로 단절된 녹지의 연계 및 기존녹지 보존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음

- 둔산 도심지역의 경우, 주요 녹지 축(유림공원~샘머리, 한밭수목원~탄방지하차도 삼거리) 내 연결성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경관기본관리구역 면적 : 약539.7㎢ (대전시 전역) 경관중점관리구역 면적 : 약65.8㎢ (대전시의 12.2%) 그림 20. 대전광역시 경관관리구역 구상도(자료: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기본경관계획, 2010)

(45)

※참고자료4. 도심경관권역 경관기본관리계획도

(자료: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기본경관계획, 2010)

(46)

그림 21. 정부대전청사 자연마당 조성 기념식 사진(2015.5.11.)

(자료: 환경부)

그림 22. 도시재해 예방을 위한 친환경 토지이용체계 개념도 예시

(자료: 환경부)

□ 대전자연마당 조성사업‘물, 숲 도시에 이는 남실바람’, 환경부(2014) { 사업개요 : 정부대전청사 광장(56,860㎡)은

환경부‘2014 자연마당조성 공모사업’18) 에 선정되어 2016년까지 국비 등 43여억 원을 투입해 2016년까지 생태습지형 저류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임

- 인공포장(기존의 블록, 타일 등) 철거, 토양개량, 수목식재를 통한 생태 숲 조성, 습지조성 등을 통해 다양한 생물

서식여건이 조성될 계획임

- 행정자치부가 대상 부지를 제공하고,

대전광역시가 인공포장 철거비를 지원하는 등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16년까지 추진될 예정임

{ 계획의 주안점

- 생태순환형 저류지 조성 : 과도한 불투수성 포장으로 뒤덮인 광장을 지역생태계를 고려한 자연순환성을 회복시키고, 기후변화에 적응 가능한 대책을 마련하며, 생물종다양성을 위한 생태계 건전성을 확보하도록 계획하고 있음 - 도시재해 예방 : 대상지를 둘러싼 광해, 소음,

홍수, 열섬현상 등의 완화를 위해 원활한

18) 환경부의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도시생태계의 건전성 향상을 목표로 도시 생활권의 훼 손되고 유휴·방치된 공간을 다양한 유형의 생태공간으로 조성하고 도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하는 사업임. 2012 년부터 2015년 3월 현재까지 총 8개 지역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환경부 자연마당 조성현황, 2012~2015)

지 역 위 치 면 적 사업기간

서울 노원 서울 노원구 중계동 67,761㎡ ‘12~’14

부산 이기대 부산 남구 용호동 산196-1 77,536㎡, ‘12~’14

대구 불로 대구 동구 불로동 88,058㎡ ‘12~’14

인천 서구 인천 서구 연희동 산129 71,461㎡ ‘13~’15

전북 익산 전북 익산시 영등동 276 55,000㎡ ‘13~’15

대전 서구 대전 서구 둔산동 930 56,860㎡ ‘14~’16

전북 군산 전북 군산시 해신동 998-1 59,616㎡ ‘14~’16

경북 경산 경북 경산시 중방동 682-1 50,769㎡ ‘14~’16

(47)

표면배수, 광해, 소음 차단 등을 위한 마운딩(mounding) 조성, 저류가 가능한 계류습지, 지하수 함양 및 토양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투수포장, 외곽 도로차량의 소음차단을 위한 차폐 숲 조성 등에 관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 있음

- 생태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 상근자 및 지역주민 등의 이용계층을 고려한 공간을 구성(순환생태계서비스 및 탐방생태계서비스 루트개발)함으로써 보존과 이용이 공존하는 생태 휴식공간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유지관리 프로그램 운영 : 생물종 생활사 보전, 식생관리, 습지관리, 시설물관리 등을 지역업체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모니터링 및 지역커뮤니티 계획을 제시하고 있음

그림 23. 대전자연마당 조성을 위한 정부대전청사 광장 종합분석도(자료: 환경부)

{ 목표 및 전략

- 약화된 생태네트워크 회복 : 생태순환성 회복(그린/블루/화이트/골드 네트워크) - 생물종 다양성을 위한 서식기반 확립 : 토양기능회복, 수생태계복원, 환경복원 숲 조성 - 기후변화 적응력 강화 : 탄소저감 숲 조성, 수 순환체계 개선, 도시열섬 해소 등 - 도심 내 생태환경재해 저감 : 빛 공해 및 소음, 그림자분석 등

(48)

{ 주요 전략구상(예시) : 생태네트워크 구상 및 생태서비스 프로그램

그림 24. 생태네트워크 및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지속가능 계획수립 구상도

(49)

그림 25. 대전자연마당 주요 공간배치 및 생태서비스 프로그램 구상도

(50)

※참고자료5. 대전자연마당 당선작(설계: 삼불건설+(주)송림에코원)

수치

그림  4.  서울역  공가  공원화  사업    구상안 (국제현상설계공모전  당선작)간체험의  연속성’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이는 공원연계성의  개념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공원들  간  혹은 공원과  주거지  간  연계성을 맺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음
그림  8.  대전시  생활권  구상도 (자료:  대전광역시,  2030대전도시기본계획,  2012)제3장 입지여건 및 현황 분석제1절 대상지 개요1. 대상지 위치□ 도시공간구조상 위치{ 대상지는『2030대전도시기본계획(2012)』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심지체계  상  2핵(도심)  중 하나로 대전시의 주요 거점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둔산대생활권’에 위치하고 있음14)- 대전시의 대표적인 도심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행정업무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
그림  11.  대상지  주변  보행  연결체계  현황  □ 기타여건 : 『대전시 서구의 황톳길 조성사업』   { 대상지 북측에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아파트 단지 16) 에는 지역생 활권 주민들의 여가생활을 지원하는 황톳길이 조성되고 있음(2009년~현재) - 조성규모 : 총 5건 (6,930m) *둔산동(3개소), 월평동 및 만년동 일원(2개소)  그림  12
그림  13.  대상지  내  근린공원별  구역설정  현황  및  배치도
+7

참조

관련 문서

 1990년대의 건축에 있어 보수성에 대한 노골적인 증거는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배력임.  미술관은 종교건물, 공원,

셋째, 동일 패널을 대상으로 연속적 조사·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 다. 시계열로 농산어촌 마을 변화 상황에 대한 유의미한 고찰을 할 수 있도록 연속

여자고등학교 제벡 효과와 펠티에 효과에 대한 연구 및 비상용 랜턴 개발 51 대전 대전과학고등학교 사무공간용 이동성 최적화 저소음 바퀴의자 제작

인공지능의 내용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센서들에 대해 알아보고 센서와 인식에 관한 내용, 인공지능 윤리에 관한 내용을 학습 하고

앞서 살펴본 해외 사례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에너지부문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양측의 편익이

무용교육은 본래 예술의 의미에서 기술적 기능,교육적 기능,창조적기능이 함축 되어있다.무용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신체의 조화 있는 육성을 통하여 심신의 건강

심상렬( 200 6) 1 3 ) 은 UNCEFACT,OASI A,W3C등 국제적인 전자무역 표준화 동향 과 국내의 전자무역문서,전자무역인프라 연동기술의 표준화 및 전자무역 인프라 연동기술표준 상호운용성

◦ 1883년 개항이후부터 자연발생적으로 도시가 형성되어, 도시가 건설되는 초기부터 체계적인 공원녹지 확충을 할 수 없었던 동구, 중구, 미추홀구 등의 원도심지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