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능연계 강화 시범사업 : 다양한 공간체험과 일상생활과의 연계기능 강화

그림 119. 테마형 근린공원화 차별화 전략 구상도

① 테마공원 조성사업 : 새로운 장소정체성 형성

• 개요 : 대상지에 조성예정인 환경부의 대전자연마당 조성사업(2014~2016)과 대전시의 샘 머리 근린공원 일부 저류지공원화 사업(2015~ ) 등의 사업여건을 고려하여 생태 및 자연 형 에너지원을 주제로 한 공원을 특화시킴으로써 장소정체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함 { 생태(테마)공원 : A1구역(저류지)+D구역+E구역(자연마당)

- 개요 : 대상지 공원 중, 상업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샘머리 근린공원 A1구역과 정부대전청사 광장 E구역, 보라매 근린공원 D구역은 지역생활권 거주자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을 위한 생활권 근린공원의 기능보다는 대전 전체 시민의 여가생활 증진과 도시의 재해예방, 기후변화 적응 등 공공성이 강조된 기능으로 재구조화 될 필요가 있음

- 통과위주의 단조로운 기능을 보유한 A1구역의 이용특성을 감안하여 가족단위로 이용 가능한 생태학습 공간으로 활용을 검토

- 기후변화 적응 공원 : 도시미기후조절, 도시열섬현상 완화 등 도심부 지역을 기후변화에 적응시키고, 각종 재해로부터 안전한 공간으로 조성

- 앞서 언급된 입체 보행데크 및 생태통로 조성사업과 연계추진 가능(아래그림 참조)

그림 120. 독일 Oberhausen에 위치한 󰡐Slinky Springs to Fame󰡑전경 : 스프링을 주제로 2개의 공원을 연결하는 보행교(길이:406m)

{ 자연에너지(테마)공원 : B2 + B3구역(태양에너지), A2구역(바람에너지)

- 개요 :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의 전이공간에 위치한 샘머리 근린공원의 A2구역과 둔지미 근린공원의 B2, B3구역 등을 중심으로 생활권 근린공원(갈마공원 C구역, 샘머리공원 A3구역 등)과 앞서 언급한 생태공원(E구역+A1구역+D구역)의

완충공간에 일반시민들이 자연형 에너지원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녹색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테마공원을 조성

- 태양공원 : 넓은 오픈스페이스를 가진 대상지의 특성 상 일사량을 활용한

전기에너지 생산 및 주요 공원시설의 전기공급, 태양광 및 태양열 등을 주제로 한 공원시설 디자인 등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

- 바람공원 : 앞서 현황분석에서 언급한 것처럼 A2구역과 A3구역의 풍속이 매우 높다는 점을 활용하여 바람을 주제로 한 신재생에너지 체험 및

생산(소형풍력발전기 등), 공원시설 디자인 등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 ※참고자료9. 태양과 바람을 주제로 한 공원 구상도

『Audi Urban Future Award 2012』출품작 New Wind : 회전하는 터빈형 인공 나뭇잎

② 마을마당 조성사업 : 도심부 생활권 공원의 기능을 강화

• 개요 : 둔산 도심지역 지역생활권 공원으로써의 역할과 기능에 충실한 갈마 근린공원 C 구역과 둔지미 근린공원 B1구역, 샘머리 근린공원 A3구역을 대상으로 세대별 수요에 적합한 맞춤형 공원으로 재정비하는 사업.‘마을마당’이라는 명칭은 환경부의 대전자 연마당 조성사업과 연계한 정체성 강화전략에 해당함

- 둔산 West Park : C구역 + B1구역 (114,333㎡) / - 둔산 East Park : A3구역 (51,327㎡)

{ 마을마당 1 (가칭‘둔산 West Park’) : 갈마 근린공원 C구역과 둔지미 근린공 원 B1구역을 청소년 문화에 특화된 공원으로써의 정체성을 강화

- C구역의 운동장(농구장, 축구장, 배드민턴장) 및 각종 운동기구,

체육시설(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등의 스포츠 관련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여 특화 - 주민들의 여가활동(산책, 운동, 휴식 등)을 증진시키되, 출퇴근 시간대에 주변 공원

및 생활권으로의 원활한 보행연계가 가능하도록 함

{ 마을마당 2 (가칭‘둔산 East Park’) : 샘머리 근린공원 A2구역과 A3구역의 주 이용세대인 중․장년층(40대 이상)에 특화된 생활권 공원으로 조성

- 게이트볼장(A3구역), 우드볼장(A2구역) 등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레저스포츠 관련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여 공원을 특화시키는 것이 필요함

- 세대분포가 균형적이나 일부 세대에 한정적인 운동시설(마레트 패밀리 골프장, 우드볼 경기장, 게이트볼장 등)에 대한 개방성과 공유공간으로써의 개념을 더욱 부각시킬 필요가 있음

그림 121. 대전자연마당 조성사업과 연계한 마을마당 조성위치도

③ 둔산 대중교통거점지구와 연계한 환승거점 공원 조성사업 : B4구역

• 개요 : 대전광역시 대중교통중심형 도시공간구조 구축 실현방안(2013)에서 설정한 ‘둔산 대중교통거점지구’안에 있는 둔지미 근린공원의 B4구역을 대상으로 추후 건설 예정인 도 시철도 2호선과 광역 BRT노선 등과 긴밀히 연계될 수 있도록 공원을 환승광장으로 조성 하는 사업임 ※주변영향권(자연에너지공원+생태공원+보라매 근린공원) 포함

{ 2030년을 목표로 조성 중인 『둔산 대중교통거점지구』는 대상지 내 주요 도시 철도역사(시청역, 정부청사역, 갈마역 등), 무인 자전거대여소(타슈 스테이션), 시내버스, 광역 BRT 버스 등 주요 대중교통수단이 환승되는 거점으로 차량보 다는 보행권이 우선되는 지역으로 개발될 계획임

- 이에 둔산 도심부 공원 간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이 대중교통수단 이용률 및 분담비율을 높이는 효과도 더욱 높아지리라 예상됨

{ 2015년 현재, 둔산 대중교통거점지구에 계획․추진 중인 선도사업(자전거보관소 확충사업, 버스정류장 녹색공간 조성사업, 캐노피 설치사업 등)의 추진여건을

※참고자료10. 환승광장 예시

고려하여 B4구역의 환승거점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상지 내 주변 공원들과 연계한 오픈스페이스 조성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 도시철도역사 1호선의 정부청사역을 포함하고 있는 B4구역은 대덕대로와 한밭대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대중교통 환승을 위한 보행량이 매우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환승에 편리한 교통광장(교차점 광장 등) 또는 주변 경관을 고려한 경관광장 등으로의

도시계획시설 변경도 검토될 필요가 있음

제 5 장

연구용약 및 정책건의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건의

제5장 연구요약 및 정책건의

지형 저류공원 조성사업으로 인해 대상지 내 근린공원들의 전체적인 시가

{ (전략 및 시범사업도출) 대상지 내 공원연계성 강화전략은 1) 공원 간 통합 네

자연에너지(테마)공원은 대상지의 기후변화 여건을 고려한

이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관리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 (양적/질적 수요조사를 위한 모니터링) 한편, 기존에 이미 활성화되어 이용 중 인 갈마공원(C구역)이나 샘머리공원 일부지역(A3구역)은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여건이나 세대별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공원시설 또는 프로그램(축제 등)이 잘 구성되어 제공되고 있는지 주민 눈높이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작업이 필요 하다. 아울러, 새로운 장소성이 요구되거나 세대별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 는 공원구역들도 단순히 양적으로 신규 공원시설 설치나 공원 리모델링 사업 등을 무리하게 추진할 것이 아니라 이용자 관점에서 양적/질적 수요에 통합적 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 (생활권 공원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 대상지 내 공원들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서구 둔산동 택지개발사업에 의해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고, 관련 지 구단위계획 시행지침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 초기에는 택지개발과 관련하여 도 시생활권의 기반공원 성격으로 근린공원으로 설치되었지만, 둔산 도심부의 중 심상업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일부 공원들의 경우 근린생활권과 다소 연계가 부족하고 실질적인 기능수요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 하고 있는 것처럼 해당 공원별 이용행태에 기초하여 다양한 목적을 가진 주제 공원화하거나 또는 환승거점 역할이나 광장의 기능이 요구되는 곳에는 교통광 장, 경관광장 등으로 조성을 검토하는 등 기존 근린공원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 립과 관련된 사항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

Sherer, Paul M.(2006), The Benefits of Parks: Why America Needs More City Parks and Open Space. CA: The Trust for Public Land; The Council Of Landscape Architectural

Registration Boards, 2010, Landscape Architecture And Pulblic Welfare

Carmona, Michael et al.(2003), Public Places Urban Spaces – The Dimension of Urban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UK

Philine Gaffron 외 2인(2005), ECOCITY ‘Urban Devlopment towards Appropriate Structure for Sustainable Transport’(2002-2005), pp.11~12

Karl Kullmann(2011), Thin parks / 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infrastructural sit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ume 6, Issue 2, 2011 Lynch, Kevin (1960),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U.S.A

Relph, Edward (1976), Place and Placeness; 김덕현 외 공역,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논형(2005) Steele, Fritz (1981), The Sense of Place, Boston; CBI Publishing Company

공공기관 자료 대전광역시청, 숲의 도시 푸른 대전 만들기, http://greencity.daejeon.go.kr/07_work/info/info.asp 대전광역시‘타슈’공식 홈페이지, http://www.tashu.or.kr/

정책연구보고서 2015-36

대전 도심부 공원 연계성 확대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발행인 유 재 일 발행일 2015년 8월 발행처 대전발전연구원

301-763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85 (선화동 287-2) 전화: 042-530-3500 팩스: 042-530-3528

홈페이지 : http://www.djdi.re.kr

인쇄 : 영창당인쇄사 TEL. 042-626-7888 FAX. 042-626-9888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책임자의 견해로서 대전광역시의 정책적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로이 인용할 수 있으나 무단 전재나 복제는 금합니다.

칼라 ( 18페이지) :

P.5, 21, 25, 26, 27, 28, 29, 36, 41, 53, 67, 83, 96, 98, 106, 109,

110,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