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대전시 도심지역 중에서 근린공원 유치권의 교집합이 가장 높으나 이용률 이 둔화된 대표적인 지역인 둔산지역의 대표적인 근린공원들을 대상으로 주변 지역 과 연계성 및 주민들의 이용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 이용수요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해 공원 간 연계성 확대방안 및 이용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① 접근성 제고 측면 → 공간의 연속성 ↑: 보다 많고 다양한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원

{ 효율성 문제 :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일상적 이용촉진 { 형평성 문제 : 더 다양한 계층(커뮤니티)을 위한 공원이어야 함. 커뮤니티 증진

② 기능수요 충족 측면 → 연속된 공간의 체험 ↑: 시민들이 직접 느끼고 즐기는 공원

{ 정체성/다양성 문제 : 둔산지역 근린공원은 공간에 문화가 포함된 정도가 약하 다. 고유의 차별성 확보

{ 장소성 문제 : 근린공원별 의미가 부여되었지만, 사람의 활동유발이 약하다. 외 형과 내적 측면 간 상호작용 강화

→ 장소를 매개로 한 주제와 스토리, 공감대 등 장소의식 공유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함

→ 공원을 둘러 싼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공유하고, 커뮤니티 차원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창출해야 함

제2절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둔산 신도심 지역 중, 대전시 서구 둔산동, 월평동, 갈마동 일원에 강한 녹지 축을 형성하고 있는 근린공원들을 대상으로 함

- 샘머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반경 약 2km 내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남북방향 (둔산대공원~정부대전청사~대전시청)과 동서방향(갑천~은평근린공원~샘머리 근린공원~유등천)의 녹지 축 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근린공원들과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함

- 대상 근린공원 : 샘머리 근린공원, 둔지미 근린공원, 갈마 근린공원, 정부대전청사 광장, 보라매 근린공원, 씨애틀공원 등

그림 2. 연구의 공간적 범위

□ 시간적 범위

제 2 장 분석의 틀 설정

제1절 기본 전제

제2절 분석측면과 분석과정

제2장 분석의 틀 설정

The Trust for Public Land; The Council Of Landscape Architectural Registration Boards, 2010, Landscape Architecture And Pulblic Welfare

측면 보다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1인당 공원면적 확보에만 치중함으로써

{ 또한, 이무용(2006)도 장소는 물리적 공간 환경과 그 속에 살아가는 사람 및

그림 4. 서울역 공가 공원화 사업 구상안 (국제현상설계공모전 당선작)

간체험의 연속성’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이는 공원연계성의 개념에서도 언 급하였듯이 공원들 간 혹은 공원과 주거지 간 연계성을 맺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음.

- 김재철 외 1인(2013)은 다양한 선적인 여가활동들을 적절히 수용하여 시민의 건강 증진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한편, 여러 커뮤니티에

걸쳐 위치하여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커뮤니티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음 - 즉, 선형공원 속에는 다양한 기능 공간과 용이한 접근체계가 갖춰져 있으면서도

도심부 지역생활권(커뮤니티) 주민들 간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해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임

그림 5. 선형 공원의 개념적 특성과 관련 사례사진

(자료: 박근현 외 2인, 선형공원 조성을 통한 사람 중심의 도시구현,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브리프 제448호, 2014)

{ 선형공원의 잠재력을 검토하여 정리된 주요 기능들은 근접성(proximity)과 연결 성이 강조된 통합가로(complete streets, shared streets, livable streets 등)9)의 도입 가능성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제2절 분석측면과 분석과정

10) Philine Gaffron 외 2인(2005), ECOCITY ‘Urban Devlopment towards Appropriate Structure for Sustainable Transport’(2002-2005), pp.11~12

11) Karl Kullmann(2011), Thin parks / 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infrastructural sit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ume 6, Issue 2, 2011

12) 김재철, 박근현(2013),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48권 제 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