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맛있게 그림보기] ⑤ 예술가란 무엇인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맛있게 그림보기] ⑤ 예술가란 무엇인가?"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맛있게

그림보기

나는 이 세상의 모든 평범한 자들을 대변한다네. 나는 그들의 챔이언이자, 그들의 후원자이지. 그들을 대신하여 나는 당신의 무자비한 신을 부정하오. 당신의 신은 그들이 절대로 실현할 수 없는 꿈을 꾸게 만들었소. 신은 나 를 용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나는 결코 신을 용서하지 않겠네.

I speak for all mediocrities in the world. I am their champion. I am their patron saint. On their behalf I deny Him, your God of no mercy. Your God who tortures men with longings they can never fulfill. He may forgive me: I shall never forgive Him.

- 영화 <아마데우스 (Amadeus)>, 살리에리의 말 중에서.

(2)

1987년 초였는지도 모르겠다) 대한극장의 모퉁이에 앉아서 보았던 영화 <아마데우스 (Amadeus)>

(1984)의 마지막 장면을 나는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이제 막 이른 사춘기가 시작되던 어린 나이였기에 이 말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었지만, 이 영화는 내게

‘예술가의 삶’을 꿈꾸게 만든 계기가 된 것은 분명했 다 (때문에 한동안 나의 어머니는 내게 이 영화를 보 여주셨던 일을 후회하셨다). 결국 고등학생이 된 나는 하나님을 찬미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이 꿈이라고 벅 벅 우기며 집안의 반대를 무릎쓰고 미대에 가기 위해 화실에 앉아 오롯한 투지를 불태우며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

입시를 불과 한두어 달 앞둔 어느 늦은 가을 날 아 침, 나는 아무도 없는 화실에 앉아 친구가 간밤에 그 려놓고 간 그림 한 장을 보다가 그만 그 자리에서 엉 엉 울어버리고 말았다. 5년 전, 나의 가슴에 문신처럼 남겨져 있던 살리에리의 고백이 결국 나의 것이라는 것을, 나야말로 꿈을 꾸었으되 이룰 수 없고, 신을 찬 미하고프되 신으로부터 저주받은, 헛된 욕망에 배신 당한 채 모든 것이 가난해져버린 예술가 지망생이었 기 때문이다. 친구의 작품에서 나는 모짜르트를 보았 다. 친구는 부모의 권유로 등 떠밀리듯 투덜투덜 화실 로 와서는 빈둥빈둥 한두어 장 그리고는“아, 귀찮아.

나도 너처럼 열심히 해야할 텐데, 영 귀찮아”라는 말 을 농담반 진담반 해댔던 아이였다. 그러나 그의 작품 은 우리 화실에서 항상 최우수 작품에 꼽혔고, 예능계 학교를 다녔던 그의 실기 성적 또한 언제나 최고점이 었다. 요즘 말로 하자면, 미술영재라고 할 수 있는 학 생이었다. 어떤 친구들은 부러움 반, 시기 반으로“저 아이의 그림이 왜 좋은 점수를 받는지 모르겠어. 그냥 평범한거 같은데!”라며 빈축 놓기도 하였다. 나는 내 할일에 마음이 바빠 그 친구의 그림에 대해 그다지 큰 신경을 쓰지 않았다. 그러다가 아무도 없는 빈 화실에 일찍 도착하게 된 그 날, 장비를 풀며 여유로운 마음

닐 것 같은 그 친구의 석고상 데쌩 그림에는, 화실 선 생이 가르쳐준 적 없는 선의 표현, 그리고 당시 입시 미술의 공식화된 명암표현 방식과는 전혀 새로운 방 식의 질감이 표현되어 있었다.

영화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는 모짜르트를 증오 하며 시기하며 교모히 핍박하였지만, 동시에 그이만 큼 모짜르트의 예술을 이해하고 알아보았던 비평가도 없었을 것이다. 내가 여자로 태어난 것, 내가 한국인으 로 태어난 것, 내가 화가를 꿈꾸는 사람으로 태어난 것, 이 모든 것은 내 의지 이전의 운명이다. 여기까지 면 좋으련만, 애석하게도 정작 내 자신에게는‘타고난 천재성’이 없고 오로지‘불타는 열의’만 있는 운명이 었던 것이다. 게다가, 아이러니하게도‘천재’를 알아 보는‘눈’은 다른 사람보다 조금 더 가지고 있는 듯하 니, 나야말로 영화 <아마데우스>의 살리에리의 면면 을 그대로 빼다 박아 놓은 사람이었으니 말이다. 미술 대학에 진학하여 예술가로 육성되기를 바랬던 나는, 그 이후 나 자신이 하나의 그림이 되길 포기하고 그림 을 빛내주는 액자가 되는 길을 선택하였다.

예술, 그 피곤함과 필요성

그러나 당시의 이러한 나의 생각은 상당히 진화되 지 못한 (?) 예술가에 대한 편견이었음을 훨씬 나중 에야 알게 되었다. 나에게는 천재성이 없으니, 예술가 로 성공할 수 없겠다는 생각, 이러한 마음 또한 다소 간 치기어린 감상이었다. 적당한 생존적 경쟁과 치열 한 일상과의 싸움, 심지어 출산의 고통마저 겪고 난 지금에서는, 다시 말해서 삶을 어느정도 살아보고 난 지금에는 저 높은 곳에 있다는 예술의 진지함이 너무 피곤하다. 아무리 수억원을 호가하는 유명 작가의 작 품이 있다해도 모짜르트 앞에 선 살리에리의 감동이 전혀 가지지 못할 수도 있다. 과거 서양 르네상스기에 형성되기 시작했던‘타고난 천재’의 개념은 너도나도 제법 글께나 한다는 20세기에서는 그 권위 또한 약해

(3)

맛있게 그림보기 -

졌다. 본질로서의 본질, 예술을 위한 예술을 주창하며 서로 엇비슷한 말싸움질을 하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 더니즘 논쟁도 듣고 보면 돌고 돈다. 작가는 죽고 작 품만 살았네, 작품은 그저 산물이고 원본으로서의 작 가정신만이 중요하네, 떠들던 20세기의 예술논쟁에 대하여, 혹자는 말 많은 자들의 배부른 잡담이라고 여 길 수도 있겠다. 미술을 두고‘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 으니, 음악에 대한 예리한 귀를 가진 자들과 조형예술 작품에 남다른 식견을 가진 자들을 위해 20세기 이후 의“예술 시장”은 특권의식을 가지면서 자본주의 시 장논리로 성장해왔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21세기형 천재는 IQ 천재가 아니라 다중지능 을 가진, 다방면에서 뛰어나면서 사회적으로 인정 받 는 자들’이라는 말이 번번히 들리고 있다. (『21세기 新천재들』, 동아일보 문화부, 2007 참조) 상황이 이러 하니, 이제는‘타고난 재주’가 갖는 무게감은 확연히

예전의 것보다는 가벼운듯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이란 영역은 뭐랄까, ‘잘 난 것’은 맞다. 동네 유치원에서 그림 한 장을 그린 아 이에게 칭찬과 도닥임을 줄수는 있지만, 크리스티 또 는 소더비에서 고가로 낙찰된 그림을 두고 동네 유치 원 아이의 것과 동급 취급하는 것은‘비문화적’인 행 동인 것이다. 예술을 바라보는 시선이 아무리 피곤하 고 지쳤다해도, 예술은 함부로 대할 수 있는 문제는 분명히 아니다. 만일 그렇다고 한다면, 스페인 알타미 라의 동굴벽화가 주는“인간존재의 의미”를 스스로 폐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지 않은가? 사회구조가 복 잡하지 않던 원시 사회에서도 인간은 스스로를 동물 과 달리 구별하면서 형상으로써 죽음 이후의 불멸을 갈구하였다. 예술이 비단‘배부른 자의 것’만이 아닌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누구의 말대로, 사람 은 빵 만으로는 살 수 없는 것이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의 숫소 그림.

(4)

당히 많은 사람들은 (즉, 살리에리가 칭했던 우리네 범부(凡夫)들은) 천재 예술가들이란 타고난 재주로 시대의 기록에 남는 독창적인 작품을 만드는 사람으 로 이해할 것이다. 서유럽의 경우, 나름의 전통 속에서 예술가들의 지위가 점진적으로 향상되면서 19세기 중 반 이후 대부분의 시민들에게도 예술의 어떤 영역에 대한 구분이 있었으리라 추측한다. 오스트리아의 미 술사학자, 베레네 크리커 (Verna Krieger)가 쓴『예 술가란 무엇인가』(2010, 김정근, 조이한 공역, 휴머니 스트)는 예술가라는 개념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기술 한 책이다. 책에서는 과거 기술수공적인 개념의 예술 이 르네상스를 거쳐 16세기로 넘어오면서 처음으로 천재 예술가의 개념이 시작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저 자는 특히 현대에 이르러‘자유 (freedom)’을 기치로 내세우는 보헤미안적인 예술가의 존재가 부각되었다 고 기술한다. 이러한 서구 예술가의 개념이 어떤 의미 에서‘보편적’인 예술가에 대한 설명일 것이다. 동양 의 경우, 특히 중국, 한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서의 예술가 개념은 오히려 시서화 (詩書畵)에 능했 던‘문인 (文人)’쪽이 서양의 그것과 가깝다 할 수 있다. 동양에서의 그림이나 조각은 서양 문물을 본격

만 유교, 도교 사상과 관련된 문인화의 영역은 과거 서유럽인들의 의식수준과는 다른, 오히려 현재의 서 유럽 지식인들이 열광하는 선(禪, Zen) 개념과 맞물 려 있는 것이라 볼 수도 있다.

이렇듯, 동서양의 예술가 개념에는 다소간의 차이 는 있지만, 지역의 차이가 현대적 예술 개념의 보편성 을 크게 위배하지 않는다고 보았을 때, 어떻든 우리는 예술가들을‘범인(凡人)’이 아닌‘특별한’사람들로 보는 대중적이라 하겠다. 21세기를 살아가는 다양한 직업을 가진 현대인들이 미학서적이나 미술사 관련 논문을 뒤져가며 예술가는 누구인지 고민하기에는 삶 은 너무나 바쁘다. (혹은, 그럴 이유도 없으리라) 따 라서, 대게의 사람들 머리 속에 자리잡은‘예술가’ 대한 의미나 고정관념은 예술가들을 다룬 영화, 소설, 다큐멘터리 등 각종 기타 예술 장르 안에서 확인된 경 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서론의 변

뒤늦게 사실을 고백하자면, 이 글 전체가 서론에 불 과하다. 다음 몇 회 정도에 나누어 영화, 소설, 및 기타 예술 장르 안에서 다루어진 예술가들에 대해 쓰기 전

(5)

맛있게 그림보기 -

에, 몇 마디 한다는 것이 이렇게 깜냥없이 길어졌다.

맨 처음에 밝혔던 낯간지러운 나의 과거사를 굳이 쓴 것은 영화라는 대중매체가 예술에 대해 알려주는 힘 이 얼마나 큰지, 그것이 결국 어떻게 한 개인의 인생 까지 바꾸어 놓았는지‘굳이’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당시 내가‘모짜르트’라고 내 마음대로 이름 붙여버린 그 학생의 그 후가 궁금한 사람들을 위 해‘굳이’밝히자면, 물론 최고의 미술대학에 좋은 성 적으로 입학였으나, 얼마 간의 복잡다난한 개인사를 겪은 후, 세월이 지난 현재는 간간히 그림 재주를 발 휘하면서 가족 사업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고 들었다.

안타깝께도, 내가‘모짜르트’라고 보았는 이는 현재 작가활동을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분명히 단란한 가

정을 가진 행복한‘사람’으로 보이니, 행복한 예술가 임에는 틀림없다.

송주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에서 미술사, 미학, 예술경

영을 배우고 오하이오 주립 대학(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미술교육으로 석사(MA)를 받았다. 수년간

디자인 전문지 기자로 근무하면서 디자인과 예술에 관한 다

양한 저술을 하였고, 서울디자인페스티벌, 디자인코리아 등

다수의 국제 디자인 전시를 기획, 연출하였다. 현재는 예술

관련 서적의 번역과 편집을 하며 프리랜서 저술가로 활동하

고 있다. juilacats@naver.com

참조

관련 문서

교수전략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교수전략을 탐구할 수 있다.. 가르치는 교사의 어떤 교수방법/교수전략이 나의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었는가?..

[r]

이 활동을 통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나의 모습을 상상하고 미래직업과 관련하여 주도적으로 계획을 세 우고 실천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데에 초점을 둔 욕구로 인지적 욕구, 심미적 욕구 등을 포함.. 중요한 존재로

나는 타인의 마음을 통해 나의 마음을 알고 다른 사람은 나의 마음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안다는 것이다.. 마음의 이런 기능 때문에 우리는 다른 사람의

나의 branch에서 작업 전, 원격 저장소의 다른 branch 의 최신 파일 내용을 수정 작업 해야할 경우.. 현재 develop

-따라서 절대 돌려막기를 하지 말고, 차라 리 신용회복지원제도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사채(대부)업자(사금융)에게

그는 성령으로 잉태되어 동정녀 마리아에 게서 나시고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 아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시고 장사된 지. 사흘 만에 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