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차 세계 대전과 미국교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차 세계 대전과 미국교회"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차 세계 대전과 미국교회

• 1914년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교회는 윌슨의 중립 선언을 지지하고 독일과 그 동맹국들에게 전쟁의 책임이 있다고 보았고 유럽의 물질만능주의, 부 도덕, 영적인 생활 소홀 등을 전쟁발발에 기여했다고 봄

• 1916년 미국 장로교 목회자들은 대다수가 자기 바어를 위한 무장에 찬성 했고 1917년 초부터 교회 안에 기독교 깃발과 국기를 비치

• 교회에서 전쟁을 반대하는 태도나 중립적 태도가 사라지고 전쟁을 인정 하게 되었으며 교회들은 정부의 대리인이 되었다

(2)

2차 세계 대전과 미국교회

• 노르웨이나 네덜란드처럼 추축국에게 점령된 국가의 신자들은 신앙때문 에 고난을 당함

• 교회는 군목을 파견하고 적십자를 지원

(3)

2차 세계 대전과 미국교회

• 노르웨이나 네덜란드처럼 추축국에게 점령된 국가의 신자들은 신앙때문 에 고난을 당함

• 교회는 군목을 파견하고 적십자를 지원

(4)

해방신학

• 1960년대 말기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일어난, 교회가 억압받는 자들을 위해 사회운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교리.

• 따라서 해방신학자들은 종교적 신앙을 정치적·서민적 일상사와 관련시 킴으로써 가난한 자와 억압받는 자를 도와주고자 했다. 사회 불평등을 야 기시킨 사회·정치 구조를 깨닫게 하고, 변화하는 사회구조 속에서 활동 적인 참여를 고양시켰다.

• 해방신학자들은 하느님이 특히 가난한 자를 통해 말씀하며, 성서는 가난 한 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이해될 수 있다고 믿었다.

(5)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 미국의 흑인 침례교 목사.

• 1950년대 중반부터 암살당할 때까지 미국의 민권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1963년 워싱턴에서 있었던 대규모 평화행진과 같은 흑인들의 비폭력적인 투쟁을 주도하기 위해 남부 그리스도교 지도자회의(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SCLC)를 조직하면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1964 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86년 미국 의회는 그를 기리기 위하여 1월 셋째 주 월요일을 국경일로 지정했다

(6)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 1963년 워싱턴을 향한 행진은 시민운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들 가운 데 하나로 꼽힘. 왜냐하면 이 사건의 영향을 받아 궁극적으로 1964년 민 권법과 1965년의 참정법이 통과되었음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그것은 내 어린 네 자녀가 피부색이 아닌 그 들의 인격에 의해 판단되는 나라에서 살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신 앙으로 우리는 절망의 산에서 희망의 돌들을 캐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신앙으로 우리는 이 나라에서 존재하는 시끄러운 불협화음을 형제애라는 아름다운 교향곡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신앙으로 우리는 언 젠가는 자유롭게 될 것이라는 확신아래 함께 일하며, 함께 기도할 수 있 을것입니다.”

(7)

칼 바르트의 신학

• 스위스의 신학자.

• 20세기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서 19세기 자유 주의 신학의 인간중심주의에 대해 '하느님의 전적 인 타자성(他者性)'을 강조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 사상의 근본적인 변화를 주도했다. 독일의 국가사 회주의에 강력히 저항해 본에서 신학회 의장직을 박탈당하기도 했는데, 그 덕분에 바젤에서 기념비 적인 저작 교회교의학 (Kirchliche Dogmatik) 집필 을 계속했고 500회가 넘는 설교를 했다.

•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죄가 하나님의 주권에

(8)

칼 바르트의 신학

• 자연과학의 발전은 인간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심어주었고 인간에 대한 무한한 진보를 믿고 스스로 땅위에 낙원을 건설하려는 오만함은 유토피 아주의로 흐르게 됨. 그러나 1차 대전의 발발은 이 모든 주장에 의문을 제 기

• 칼 바르트는 하나님의 주권과 초월을 강조하며 인간의 타락과 본선이 죄 로 오염되었기 때문에 스스로 하나님의 진리를 발견할 수 없고, 따라서 하나님이 인간에게 계시해야 하며 그 게시가 그리스도라고 강조

(9)

칼 바르트의 신학

• 바르트는 당시 독일 고백교회와 함꼐 나치에 대항했고 바르멘 선언을 통 해 히틀러가 교회를 상대로 저지르는 속임수에 맞서 온 기독교인들이 대 항해야한다고 촉구

• 1935년 독일에서 추방된 바르트는 바젤에서 신학을 가르침. 이 곳에서 교 회교의학 저술

• 바르트의 사상은 신정통주의에 입각해 신학적 자유주의를 배격하고 성경 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점을 비롯해 죄가 하나님의 주권에 심각한 도전 임을 강조

(10)

칼 바르트의 신학

• 바르트는 양차대전으로 피폐해진 세상을 향해 이 세상에서 희망을 찾지 말고 그리스도를 바라봐야한다고 강조.

• 바르트는 능력있는 설교, 진지한 성경연구, 전능하신 하나님에 대한 간구 를 강조함.

(11)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 계몽주의는 인간의 진보를 확신하고 기술과 과학 문명의 발달은 세상의 신비를 하나씩 밝혀냈다. 많은 유럽인들이 과거와 같이 기독교를 의지하 는 대신 지상의 낙원을 스스로 건설하려 했다. 그러나 1차 대전의 발발은 이 모든 주장에 의문을 야기

• 칼 바르트는 전쟁의 잔악함에 직면해 로마서에 관심을 집중. 그가 로마서 에서 발견한 것은 그의 신앙을 변화시켰으며 아우구스티누스,루터, 웨슬 리에 버금갈만한 신학적 업적을 남김

(12)

칼 바르트

• 칼 바르트가 집필한 로마서 강해는 자유주의신학자들의 놀이터에 떨어진 포탄이라고 일컬어졌으며 하나님의 주권과 초월을 강조

• 1930년 신학대학 교수

• 히틀러에 대항

• 1935년 스위스로 추방되어 바젤에서 신학을 가르침

(13)

자유주의 신학

• 20세기 자유주의 운동중 하나는 시카고 학파였다. 이 학파는 대략 1890- 1940년대 사이에 급진적인 미국 개신교 자유주의 신학을 주도

• 시카고 학파는 과학과 경험을 통해서 설명될 수 없는 것은 거부해야 한다 고 믿었다

• 자유주의 복음주의들은 복음주의적 전통내에서 성서의 무오성에 반대해 서, 그리스도 안의 신이 성서속에서 계시되었다는 것, 하나님의 구원하는 사랑, 과학적 탐구의 가치, 사회정의에 대한 헌신을 강조

(14)

라인홀트 니버(Reinhold Niebuhr, 1892-1971)의 신학

• 미국의 신학자.

• 정치사상에도 큰 영향을 끼쳤고, 1920년대에 널리 퍼져 있던 자유주의 신학을 비판하여 미국 개신교 안의 지적 분위기에 영향을 주었다. 디트로이트에서 목사로 일할 때 미국 산업사회의 문제점들을 폭로하고 한동안 사회당 에 몸담아 활동했다. 한때 평화주의자였지만 그리스도인 들을 열심히 설득하여 대(對) 히틀러 전쟁을 지원하도록 했고, 제2차 세계대전 뒤에는 미국 국무부 안에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가장 뛰어난 신학 저서 〈인간의 본성과 운명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은 르네상 스의 통찰력과 종교개혁 신학을 종합하려는 의도에서 썼 다.

(15)

라인홀트 니버(Reinhold Niebuhr, 1892-1971)의 신학

• 1928년까지 디트로이트에서 목회했던 라인홀드 니버는 자유방임적 자본주의야말로 인류의 적이라고 결론 짓고 1930년에는 사회주의 기독자 연맹(Fellowship of Socialist Christians)을 조직

• 그는 아무런 구속장치가 없을 경우, 집단으로서의 사회 는 그 구성원들의 본성보다도 더 윤리적으로 악할 뿐만 아니라 위기적이라고 확신했고 이는 도덕적 인간과 비도 덕적 사회(Moral Man and Immoral Society)에서 이를 설 명

(16)

라인홀트 니버(Reinhold Niebuhr, 1892-1971)의 신학

• 니버는 신학적 자유주의에 대항해 인간의 죄성 및 그 영 향과 은혜의 심오한 이해를 통해 기독교인들이 보다 균 형있는 인간 본성에 관한 평가를 내릴 때가 왔다고 선언 하고 1941년, 1943년에 출판된 두 권의 저서인 인간의 본 성과 운명(The Nature and Destiny of Man)에서 이를 설명

(17)

라인홀트 니버의 신학

• 1928년 목회사역을 그만두고 뉴욕 시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 교수가 되어 1960년 은퇴할 때까지 이 학교의 지적·인격적 기둥 역할을 했다. 신학자 로서는 인간의 삶에 깊이 뿌리박힌 악을 강조한 '기독교 현실주의'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1932))에서 국가와 계급들 즉 집단과 사회의 이기주의와 자만심 및 위선을 비판하였다. 그뒤 이런 것들은 결국 유한한 인간의 지나친 자 기방어와 불안의 산물이라고 보았으며 바로 이것을 ' 원죄'라고 했다. 또 죄는 인간성취의 모든 단계에서, 특히 종교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완전 성이 주장되는 곳에서 파괴적인 교만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강조 했다.

(18)

라인홀트 니버의 신학

• 진보에 대한 희망과 급진적인 유토피아에 대한 희망을 확신하는 자유주 의 신념에 대해 신랄한 논쟁을 벌였는데, 이때문에 그의 다른 가르침, 즉 모든 사람 안에는 죄가 완전히 파괴시킬 수 없는 하느님의 형상이 있다는 가르침과, 공인된 그리스도교의 구원과는 별개로 개인이나 집단의 삶 속 에 '보편적인 은총'이 존재한다는 등 보다 희망적인 가르침은 세간의 주목 을 끌지 못했다. 그는 낙관적인 정치적 행동주의자였고 자만심을 극복하 면 선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의 견해는 다음과 같은 그의 말에 잘 나타나 있다. "성자들은 은총이 계속 풍성하게 내려질 것이라고 보고 싶 어 하는 반면에, 죄인들은 인간 관계를 좀더 견딜 만하고 공정하게 만들 기 위해 고생하면서 땀흘린다." 인간이 역사적인 문제들을 스스로의 힘으 로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고 착각하지 않는 한 역사 속에는 인간의 '형체 가 정해지지 않은 가능성'이 있다고 늘 믿었다.

(19)

라인홀트 니버의 신학

• 비록 죄와 은총을 강조하여 종교개혁 신학(이른바 신정통주의)이 되살아 나도록 많은 격려를 했지만 그의 대표적 신학저서 〈인간의 본성과 운 명〉은 종교개혁과 르네상스의 시각을 종합하려는 계획에서, 특히 르네 상스적 문화의 성취를 기대하면서 썼다.

• 그가 너무나 그리스도 중심적인 형태를 띤 프로테스탄트 신정통주의와 거리를 두었다는 사실은 유대교 공동체를 보는 그의 독특한 시각에서 볼 수 있다. 그는 에큐메니컬 운동에 영향을 끼친 최초의 그리스도교 신학자 로서, 그리스도교와 유대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유대인들을 자신들의 신앙으로 개종시키려 한 것이 부적절했다는 견해를 개진했다.

(20)

틸리히의 신학(Paul Tillich, 1886-1965)

• 독일 태생 미국의 신학자·철학자.

• 신과 신앙에 관한 그의 논의는 전통 그리 스도교의 영역과 현대문화의 영역을 결합 했다. 그의 몇몇 책, 특히 〈존재하려는 용 기 The Courage to Be〉(1952)·〈신앙의 동역학 Dynamics of Faith〉(1957) 등은 평 소 종교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었던 많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였다. 〈조직 신학 Systematic Theology〉(3권, 1951~63)은 신 앙에 대한 각고의 연구 끝에 나온 최고의 역작이다.

(21)

틸리히의 신학

• 폴 틸리히는 온건파 사회주의적 입장을 견지했으며, 이로 인해 히틀러로 부터 탄압을 받았고 라인홀드 니버의 후원으로 1934년 미국으로 망명해 유니언 신학교로 부임

• 폴 틸리히는 문화신학자로서 현대 세계를 향하여 복음과 그 관계성을 해 석하기 위해 실존주의 철학을 이용했던 인물이었음

•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신학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바르트와는 달리 상응 방법론을 주장. 즉 현대인들의 가장 심오한 실존적 질문들인 궁극적 관심 을 찾아내고 복음이 어떻게 이들에게 대응하는가는 보여주는 것

(22)

틸리히의 신학

• 틸리히의 조직신학은 이러한 방법의 기 반위에서 기독교 신학의 중심주제들을 파악하려는 노력이었음

• 또한 사회주의자였던 그는 서구 문명의 결함들을 이해하기 위해 상당한 수정된 형태의 막스주의적 분석을 적용

(23)

고백교회

• 1914~18년의 전쟁은 유럽이 자신의 문명에 대해 품고 있었던 이미 쇠잔해 진 자기만족의 환상을 깨뜨렸다. 이 전쟁은 그리스도교 국가들 사이의 전 쟁이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그리스도교를 약화시켰다. 공식적으로 무 신론을 표방한 정부가 1917년 러시아에서 권력을 장악하자 그리스도 교권 세계에는 새로운 부정적 압력이 가해졌으며 서유럽과 미국에서는 사회적 갈등과 노동계급의 갈등이 첨예화되었다. 그후 40년 동안 개신교 교회들 은 엄청난 손실을 감내해야 하였다.

(24)

고백교회

• 히틀러는 1933년 교황권과 맺은 정교협약에서 교회의 독립밒 로마 가톨 릭 신자들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고 종교 생활을 할 수 있는 자유를 보 장했으나 개신교도들에게는 관대하지 않았음

• 1933년 루드비히 물러를 감독으로 하는 독일 복음주의 교회가 세워짐. 칼 바르트, 마틴 니묄러, 디트리히 본 회퍼 등이 이끈 독일 고백교회는 1934 년 5월에 바르멘 선언을 발표

• 이것은 대부분 칼 바르트가 작성한 것이다. 신앙과 삶의 척도로서의 성서 와 교회내에서의 그리스도의 권위를 재확인하며 국가가 종교생활에서 주 권을 소유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이기를 거부

(25)

고백교회

• 1934년 칼 바르트와 불트만은 히틀러가 개신교회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 책을 정당화하려는데 강력 반발하고 루터교회와 개혁교단 등을 바르멘 에서 회집하여 이른바 증인들의 총회를 개최

• 여기에서 바르멘 선언문을 발표하고 이는 복음의 이름으로 히틀러의 정 책에 대항했던 고백교회의 기본입장이 되었음

(26)

바르멘 선언문

• 바르멘 선언문은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을 제외한 다른 일체의 사건들 과 권력들, 인물들이나 혹은 신조들을 마치 하나님으로부터의 계시인 양 받아들여야 한다는 잘못된 신념”을 거부한다고 밝힘

• 이들은 독일내의 모든 기독교 신자들이 자기들이 주장하는 바가 과연 하 나님의 말씀에합당한가를 먼저 시험해보고, 하나님의 말씀에 합당할 경 우 받아들이도록 요청

• 정부에 비판적이었던 모든 목회자는 강제입영되어 전선으로 보내어졌음.

독일대학교의 모든 교수들에게는 무조건 정부를 지지한다는 서약서에 서 명하도록 했음

(27)

고백교회

• 1933~45년 동안 권력을 장악한 아돌프 히틀러 통치하의 독일은 유럽을 볼셰비즘의 위협으로부터 구원하겠다고 공언하였다. 이 때문에 나치는 초기에 많은 독일 교인들에게 환영을 받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환멸이 그 뒤를 이었다. 1933년 가을부터 교회문제(특히 유대인의 피를 이어받은 사람이 교회에서 직책을 맡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아리안 조항)에 관해 정부와 협력하고자 한 교인들과 마르틴 니묄러의 지도 아래서 교회문제 에 관해 정부와 협력하지 않으려던 교인들 사이에 당파적 분열이 일어났 다. 국가의 보조를 받는 남부(바이에른과 뷔르템베르크) 루터교 교회들의 지원에 힘입어 니묄러 그룹은 고백교회(Confessing Church)를 형성할 수 있었다.

(28)

고백교회

• 고백교회가 1934년 5~6월에 바르멘 노회(老會)를 소집하면서 교단의 분열 은 분명해졌다. 한동안 고백교회는 독일 전역에서 강력한 힘을 갖고 있었 다. 그러나 독일 정부가 교회성 장관 한스 케를 휘하에 공리공론적인 성 격이 적었던 교회 정부를 수립하자 고백교회는 이 정부에 협력하기를 원 하는 사람들과, 교회 정부는 나치 정부가 강제로 세운 것이므로 협력할 수 없다는 니묄러파 사람들로 분열되었다. 바트 왼하우젠 노회(1936. 2)에 서 고백교회는 다시 분열되었으며 다시는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없었다.

(29)

고백교회

• 그후 특히 극단적 나치주의자들이 히틀러 정권의 완전한 통제를 확고히 하였던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에 교회들은 점증하는 압력 아래 놓이 게 되었으며, 말기에 일부지역에서는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하게 되었다.

뷔르템베르크의 주교 테오필 부름은 나치 정권의 비인간적 행위에 저항 한 지도자였다. 하인리히 그뤼버 목사는 체포될 때까지 유대인들을 피난 시키고 보호하는 뷔로 그뤼버(Büro Grüber)를 운영하였다. 몇몇 교회 지 도자들, 특히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는 나치 정권에 대한 저항에 자신의 목숨을 바쳤다.

(30)

니밀러

• 독일의 저명한 반나치 신학자·목사.

• 고백교회의 창설자이며 세계교회협의회 회장을 지냈다. 목사의 아들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해군 장교로 복무하면서 독일 잠수함 함장이 되었고 전쟁이 끝나고 나서는 뮌스터에서 신학공부를 시작했다.

• 1931년 베를린 교외의 유행의 거리 달렘에서 목사가 되었으며, 2년 후 국 가사회주의자들(나치당)이 교회 일에 간섭하는 것에 저항하기 위하여 목 사긴급동맹을 만들었다. 그 그룹은 다른 활동들도 많이 했지만, 점점 늘 어나는 유대계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차별에 맞서 싸우는 활동을 지원하 였다.

(31)

니밀러

• 광범위한 독일 개신교 교회(루터 교회와 개혁교회) 안에서 고백교회의 창 설자이자 핵심요원이었던 니묄러는 나치와 '독일국가교회'(Deutschen Christen)가 독일 교회를 통치하게 하려는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반대운동 을 펴나가는 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고백교회의 저항은 1934년 바르 멘 교회회의에서 공개적으로 선포되고 기반을 굳히게 되었다. 니묄러는 독일 전역을 돌며 설교하다가, 1937년 히틀러의 비밀경찰인 게슈타포에 게 체포되었다.

(32)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

•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

• 에큐메니컬 운동을 지지했으며, 세속세계에서 그리스도교의 역할에 대한 견해로 중요한 인 물이다. 아돌프 히틀러를 타도하려는 계획에 가담했다가 투옥되어 처형당했다. 그가 죽은 뒤인 1951년 출판된 〈옥중 서간 Widerstand und Ergebung〉은 그의 신념이 담긴 가장 심 오한 글이다.

(33)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

• 칼바르트의 제자로서 1933년 히틀러가 정권을 잡았을때 루터교 목사이며 대학 강사였음

• 1935년 본회퍼는 고백교회에서 세운 신학교의 교장으로 취임했으나 1937년 문을 닫았음

• 이후 히틀러에 대한 저항운동을 계속하다 나 치에 의해 투옥

• 제자직의 대가에서 기독교인들에게 자기를 부인하는 엄격한 신앙을 가질 것을 요청. 신앙 에는 희생이 따른다는 점을 강조하고 많은 사 람들이 값싼은혜를 받아들임으로써 쉬운 신

(34)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

• 신약 성경의 윤리적 가르침을 불가능한 이상 으로 생각하지 말고 그렇게 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

• 1945년 4월9일 반역죄로 나치에 의해 교수형 에 처해짐

(35)

에큐메니즘(교회일치운동)

• 범세계적인 그리스도교의 일치와 협력을 지향하는 운동이나 경향.

• 최근에 생겨난 이 용어는 그리스도교 교회들의 보편성을 강조한다. '에큐 메니즘'이라는 용어는 '오이쿠메네'(oikoumen : '사람이 살고 있는 세계') 와 '오이코스'(oikos : '집')에서 유래한 것으로, 그 기원은 예수의 명령·약 속·기도에서 찾을 수 있다. 1910년 에든버러에서 국제선교대회가 열린 뒤 개신교도들은 선교·복음전도·봉사·연합세력 등의 모임을 표현하 는 데 '에큐메니즘'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36)

에큐메니즘(교회일치운동)

•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 진행 기간과 폐회 이후 로마 가톨릭교도들 은 교회 전반의 삶을 쇄신하여 '갈라져나간 교회들'에 대해서 더욱 책임을 지고 세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일을 가리키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다.

에큐메니즘 운동은 다양성 속의 일치를 추구한 초대교회의 사도 의식을 회복하려 하며, 현대 다원주의 세계의 좌절·곤경·모순들과 대결한다.

이 운동은 하나이며 거룩하고 보편적인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적인 교회 의 역사적 근거와 지향점에 대한 생생한 재평가이다.

(37)

에큐메니즘(교회일치운동)

• 에큐메니즘의 자문과 협의 매체로서 민족적·교파적·지역적 신앙고백 단체들과 함께 활동하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WCC) 가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출범했고, 1961년 국제선교협의회가 WCC에 가 입했다. WCC의 지속적인 발전에 반대하는 개신교 운동들도 그들 나름대 로의 에큐메니컬한 구심체를 형성했다. 이 구심체에 참가한 교단들은 스 스로를 '복음주의'라고 했다. 미국에서는 1943년 전국복음주의협회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가 결성되었는데, 이 협회가 결성된 것은 1908년에 시작하여 1950년 전국교회협의회(National Council of Churches)로 재조직된 연방교회협의회(Federal Council of Churches)에 맞 서기 위함이었다. 복음주의 교단들은 구체적인 협력의 통로인 국제적인

(38)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 에큐메니컬 협의체.

•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예수 그리스도 우리의 주를 하느님과 구세주로 받아들이는 교회들의 연대모임'으로 창설되었다. WCC는 교회도 아니고, 교회에 대해 명령이나 지시를 내리는 조직도 아니다. WCC는 교회의 일치 와 갱신을 위해 봉사하고, 교회들이 서로 만나 대화하며 기도하고 관용과 상호 이해의 정신으로 협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9)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 성경은 교회일치를 강조하며 동시에 진리를 굳게 붙잡으라고 권한다. 존 모트를 비롯한 그의 동료들은 효율적인 선교사역을 위해 교회 일치와 협 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 당시 모트는 코넬대학교를 졸업하고 YMCA에 서 사역하고 있었음

• 존 모트는 학생자원운동(SVM)을 통해 선교열기를 고취시켰고 에든버러에 서 국제선교회의(International Missionary Conference)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

• 1910년 국제선교위원회가 세계복음화 전략을 세우기 위해 개최되었고 이

(40)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 존 모트를 주축으로 1000여명의 대표단이 참석해 두개의 조직을 나눔.

• 교회의 신앙과 교리를 담당하는 신앙과 직제운동(the Faith and Order Movement), 선교와 사역을 담당하는 생활실천운동(the Life and Work Movement)으로 나누고 초교파적 운동 실행

• 1937년 두 조직은 통합을 결정했으나 2차 대전으로 인해 중지되었다가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회담에서 두 조직을 하나로 통합해 세계 교회협의회를 구성. 40개국으로부터 모두 135개 교단이 참여

• 기독교 역사상 가장 포괄적 조직이 되었음

(41)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 WCC의 회원으로는 대부분의 개신교 교단과 동방 정교회가 포함되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는 아직 가입하지 않고 있으며, 남침례회 및 미주리 루 터교회도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개신교 교단 가운데 하나이다. WCC의 의사결정기구는 세계 각국의 여러 지역에서 대략 6년마다 모이는 총회이 다. 총회는 중앙위원들을 지명하고, 이 가운데서 26명으로 구성된 실행위 원회를 구성한다.

• 로마 가톨릭의 경우 스스로 교회일치의 핵심이라고 자처하고 있기 때문 에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논의의 여지는 남겼으나 가입하지 않음

(42)

에큐메니컬리즘과 제 2회 바티칸 공의회

• 로마 가톨릭 교회 제21차 에큐메니컬 공의회(1962~65).

• 1959년 1월 25일 교황 요한네스 23세가 교회를 쇄신하고, 로마 가톨릭 교 회와 분리되어 있는 그리스도교도들에게 재연합의 길을 공동모색할 기회 를 주려는 목적으로 소집했다. 교황이 지명한 여러 준비위원회는 의제(議 題)를 마련하고 여러 논제들에 대한 교령 초안(셰마타)을 작성했다. 1962 년 10월 11일 공의회 개회식에서 교황은 공의회 신부들에게 교회에서의 사목(司牧)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도록 권고했다. 공의회에는 모든 가톨릭 주교 및 그외 특정교회 고위성직자들이 소집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분리되어 있는 주요 그리스도교 교회들, 공동체들,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투표권은 없지만 공의회에 참석하도록 초청되었다.

(43)

에큐메니컬리즘과 제 2회 바티칸 공의회

• 1962년 10월 2천명 이상의 추기경과 주교와 수도원장들이 로마에서 회의 교회역사상 가장 규모가 컸음. 2800명의 주교가운데 유럽에서 온 주교는 절반이 안되었다. 명실공히 세계적인 가톨릭 공의회였다.

• 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황만이 사도의 계승자라고 했으나 2차 바키칸 공의회에서는 사도적 권위를 주교들까지 확대

• 전통이 아니라 성경이 진리의 우선적 근거라고 선언

• 다른 기독교 신자들을 가르켜 분리해 나간 형제들이라고 명명

(44)

기독교 사회주의

• 그리스도교 사회윤리를 근대 산업사회에 적용하려는 교의와 운동.

• 19세기에 이 용어는 자유방임적 개인주의를 배격하고 전체의 이익을 위 한 정치·경제 활동을 주장하는 그리스도교인들과 연관되어 있었다. 기 독교 사회주의자들은 공동소유나 생산·교환수단의 통제를 주장하지는 않았다. 예컨대 가톨릭 사회주의의 궁극적인 목표는 신봉건적 협동조합 제도로서, 통상의 사회주의와는 전혀 별개의 질서이다. 오늘날에는 사회 주의의 이상에 그리스도교의 종교적·윤리적 확신을 결합시키려는 운동 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

참조

관련 문서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그리 스도인들이 그러한 하나님의 전능하신 성령의 역사를 위하여 기도할 것을 요청하며, 성령의 모든 열매가 그의 모든 백성에 게 나타나고,

선한 눈물이라 함은, 최근 수년간 그의 내부에서 잠자고 있던 정신적 인격 의 각성에 대한 기쁨의 눈물이었기 때문이고, 악한 눈물이라 함은 그 것이 자기 자신에

1) 1996년 세계 식량정상회의에서는“모든 사람이 항시 건강하고 적극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신의 식품에 대한 수요와 선호를 충족하면서 물리적 경제적으로

활동 초기 도슨트의 전시해설에 대한 뚜렷한 개념이 없었던 양 도슨트는 세계 박 물관인들이 참가하는 세계박물관대회 참여를 통해 도슨트 전시해설에 대해

치주영역에서 MMP와 TIMP유전자 발현에 관련된 임상적 연구를 살펴보면,Al pagot 등 7) 은 치은열구액내에서 MMP-3과 TIMP-1l evel 을 치주염의 예측요소로서

사전검사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과학수업을 생각해볼 때, 과학 관련 직업 희망과 관련된 아래의 각 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

편지들 속에서 키츠는 완전히 비자의식 진지성( 비록 많은 유머의 불꽃이 빛 나지만) 으로,시에 대한,그리고 시인으로서 그 자신의 여러 목적에 대한 그

찰스가 그의 행동에 대한 모든 개인적인 책임을 지고 새러를 찾아 나 서며 수많은 방랑생활 도중 겪게 되는 자아에 대한 각성의 시기와 새러 를 만난 후 마침내 진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