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apter 4. 적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Chapter 4. 적분"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apter 4. 적분

이문배

건국대학교 수학과

(2)

Chapter 4. 적분

Contents

4.2 정적분

4.3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

4.4 부정적분과 순변환정리

4.5 치환법

(3)

Definition (정적분)

함수 f 가 구간 a ≤ x ≤ b 위에서 정의되어 있을 때, 구간 [a, b]를 동일한 폭

∆x = (b–a)/n을 갖는 n개의 부분 구간들로 분할하자. 이들 부분구간들의 끝점들을 x0(= a), x1, x2, · · · , xn(= b)로 놓자. 이 부분구간들에서 표본점 x1, x2, . . . ., xn를임의로 선택하자. 만약 오른쪽 식의 극한이 존재하면 a 로부터 b까지 f 의정적분은

Zb a

f (x) dx = lim

n→∞

n

X

i=1

f (xi

)∆x

이고 f 는 [a, b]에서적분 가능하다고 말한다.

f (x) : 피적분함수

a, b : 적분 영역의 끝값 또는 적분의 한계

dx : 변수 x는 적분값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Z b a

f (x)dx = Z b

a

f (t)dt = Zb

a

f (r)dr

(4)

Chapter 4. 적분 4.2 정적분

다음 합

n

X

i=1

f (xi

)∆x 을Riemann 의 부분합이라 한다.

만약 f 가 양 또는 음수값을 가질 때 Riemann 합은 x−축 위쪽 부분의 면적에 x−축 아래쪽 부분의 면적을 뺀 것이다.

(5)

정적분은 다음 두 영역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

Z b a

f (x) dx = A1− A2

A1: x−축 윗 부분의 영역

A2: x−축아래 부분의 영역

앞의 정의에서 구간 [a, b]를 동일하게 나눈 사각형들의 극한으로 적분을 정의하였으나, 균등분할을 하지 않아도 된다

(6)

Chapter 4. 적분 4.2 정적분

Theorem

함수 f 가 구간 [a, b]에서 연속이거나 유한개의 불연속점을 가지면 f 가 구간 [a, b]에서 적분가능하다. 즉, 정적분

Z b a

f (x) dx 가 존재한다.

Theorem

구간 [a, b]에서 f 가 적분가능이면, Z b

a

f (x) dx = lim

n→∞

n

X

i=1

f (xi) ∆x

단,

∆x =b − a

n and xi= a + i ∆x

(7)

복습 Xn

i=1

i = n(n + 1) 2

n

X

i=1

i2= n(n + 1)(2n + 1) 6

n

X

i=1

i3= n(n + 1) 2

2

Example 적분

Z 3 0

(x3− 6x)dx은 두 영역의 차이 A1–A2로이해할 수 있다.

(8)

Chapter 4. 적분 4.2 정적분

Z 3 0

(x3− 6x)dx = lim

n→∞

n

X

i=1

f (xi)∆x = lim

n→∞

n

X

i=1

f 3i n

 3 n

= lim

n→∞

3 n

n

X

i=1

"

 3i n

3

− 6 3i n

#

= lim

n→∞

3 n

n

X

i=1

 27 n3i3−18

ni



= lim

n→∞

"

81 n4

n

X

i=1

i3−54 n2

n

X

i=1

i

#

= lim

n→∞

(81 n4

 n(n + 1) 2

2

−54 n2

n(n + 1) 2

)

= lim

n→∞

"

81 4

 1 + 1

n

2

− 27

 1 +1

n

#

= 81

4 − 27 = −27

4 = −6.75

(9)

Theorem (적분의 성질) 1.

Z b a

f (x) dx = − Z a

b

f (x) dx, Z a

a

f (x) dx = 0

2.

Z b a

c dx = c(b − a), c는 임의의 상수

3.

Z b a

[f (x) ± g(x)] dx = Z b

a

f (x) dx ± Z b

a

g(x) dx

4.

Z b a

cf (x) dx = c Z b

a

f (x) dx, c는 임의의 상수

5. 만일 a ≤ x ≤ b인 x에 대하여 f (x) ≥ 0이면, Z b

a

f (x) dx ≥ 0

6. 만일 a ≤ x ≤ b인 x에 대하여 f (x) ≥ g(x)이면, Z b

a

f (x) dx ≥ Z b

a

g(x) dx 7. 만일 a ≤ x ≤ b인 x에 대하여 m ≤ f (x) ≤ M 이면,

m(b − a) ≤ Zb

a

f (x) dx ≤M (b − a)

(10)

Chapter 4. 적분 4.3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는 미분적분학의 두 분야 : 미분학과 적분학 사이의 연관성을 확립하고 있다. 미분학은 접선문제로부터 탄생하였으며, 그 반면에 적분학은 면적 문제로부터 탄생하였다.

Remark

f (x) ≥ 0를 만족하는 임의의 연속함수 f 를 생각하자. 그러면 g(x) =

Zx a

f (t) dt 는 a부터 x까지 함수 f 의 그래프 아래에 있는 영역의 면적이다.

매우 작은 h에 대하여, 아래 그림의 빗금 쳐진 영역의 크기는 g(x + h) − g(x) ≈ hf (x)

따라서,

g(x + h) − g(x) h ≈ f (x)

(11)

Theorem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1) 만일 함수 f 가 구간 [a, b] 위에서 연속이면,

g(x) = Z x

a

f (t) dt, a ≤ x ≤ b

에 의하여 정의된 함수 g는 구간 [a, b] 위에서 연속이고 구간 (a, b) 위에서 미분가능하며, g(x) = f (x)이다.

증명.

(12)

Chapter 4. 적분 4.3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

Example 함수 g(x) =

Z x 0

p1 + t2dt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풀이.

Example d dx

Z x4 1

sec tdt를 계산하여라.

풀이.

(13)

Theorem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2) 만일 함수 f 가 구간 [a, b] 위에서 연속이면,

Z b a

f (x) dx = F (b) − F (a)

여기서 F 는 임의의 f 의 역도함수(antiderivative), 즉 F= f 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증명.

(14)

Chapter 4. 적분 4.3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

Example

다음의 계산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Z 3

−1

1

x2dx =hx−1

−1 i3

−1= −1

3− 1 = −4 3 풀이.

Theorem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함수 f 가 구간 [a, b] 위에서 연속이라고 가정하자.

1. 만일 g(x) = Z x

a

f (t) dt이면 g(x) = f (x) 이다.

2.

Z b a

f (x) dx = F (b) − F (a), 여기에서 F 는 임의의 f 의 역도함수이다.

(15)

부정적분의 표 Z

cf (x) dx = c Z

f (x) dx Z

[f (x) + g(x)] dx = Z

f (x) dx + Z

g(x) dx Z

k dx = kx + C

Z

xndx = xn+1

n + 1+ C (n ̸= −1) Z

sin x dx = − cos x + C Z

cos x dx = sin x + C Z

sec2x dx = tan x + C Z

csc2x dx = − cot x + C Z

sec x tan x dx = sec x + C Z

csc x cot x dx = − csc x + C

(16)

Chapter 4. 적분 4.5 치환법

치환법칙

만약 u = g(x)가 미분가능한 함수이고, 그의 치역이 구간 I이며 f 가 I위에서 연속함수이면,

Z

f (g(x))g(x)dx = Z

f (u)du 이다.

치환법칙은연쇄법칙 d

dx[F (g(x))] = F(g(x))g(x)

에 의하여 얻어진다. 변수변환을 하면 즉, ‘치환’ u = g(x)을 이용한다면, Z

F(g(x))g(x) dx = F (g(x)) + C = F (u) + C

= Z

F(u) du F= f 로 표기함으로써 위의 치환법칙을 얻을 수 있다.

(17)

Example Z

x3cos(x4+ 2)dx를 구하여라.

풀이.

Example

Z x

√1 − 4x2dx를 구하여라.

풀이.

(18)

Chapter 4. 적분 4.5 치환법

정적분에 대한 치환법칙

만익 g이 구간 [a, b]에서 연속함수이고, f 가 u = g(x)의 치역 위에서 연속함수이면

Z b a

f (g(x))g(x)dx = Z g(b)

g(a)

f (u)du 이다.

증명. 함수 F 를 f 의 역도함수라하자. 그러면, F (g(x))는 f (g(x))g(x)의 역도함수이며, 따라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2에 의해

Zb a

f (g(x))g(x)dx = F (g(x))ib a

= F (g(b)) − F (g(a)) 이다. 그러나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2 를 다시 적용함으로써

Z g(b) g(a)

f (u) du = F (u) ig(b)

g(a)= F (g(b)) − F (g(a)) 를 얻는다.

(19)

Example Z2

1

dx

(3 − 5x)2를 계산하여라.

풀이.

(20)

Chapter 4. 적분 4.5 치환법

대칭함수의 적분

f 가 구간 [–a, a]위에서 연속함수라고 가정하자.

1. 만일 f 가 우함수 [f (–x) = f (x)]이면, Z a

−a

f (x) dx = 2 Z a

0

f (x) dx 2. 만일 f 가 기함수 [f (–x) = −f (x)]이면,

Z a

−a

f (x) dx = 0

참조

관련 문서

– 두 사람의 질량이 다른 상황에서 한 사람이 힘을 작용하는 경우 그 힘을 두 사람의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하기보 다는 힘을 받는 대상의 질량이 다르기 때문에

For nongyroscopic conservative systems and for those of the purely and completely dissipative type, P 1 still marks the transition between the stable

5 Chapter 4: The Service Encounter Presentation / workshop 6 Chapter 5: Supporting Facility and Process Flows Presentation / workshop 7 Chapter 6: Service Quality

따라서, 삼각비의 값들은 모두 같아질 것이므로 위의 식들은 굳이 증명하거나 외울 필요가 없다... (p+q )는 제3 사분면에 위치하고 제4 사분면에서는

A Friendly Introduction for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s SECOND

이때 벽은 주위와 열적평형을 이루었다고 하며 더 이상 온도차가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열전달은 정지된다.. 그러나 벽과 표면근처는 주위 매체와

여기에서는 미성년자와 피한정후견인의 경 우에 한정하고 피성년후견인은 제외시키고 있다... 공시최고

심폐지구력/근력운동프로그램의 실제와 적용 Chapter 4. 유연성/이완 운동프로그램의 실제와 적용 Chapter 5. 영양과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실제와 적용 Chap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