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성들이 말하기를 남성들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여성들이 말하기를 남성들은"

Copied!
6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prache und Geschlecht

Prof. Dr. Kab-Nyun Kim Sprache und Kultur SS 2014

(2)

1. 남자와 여자는 서로 다른

«언어세계»에서 살고 있다

1) 수 천 년 간 모든 사회는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남성들 이 정치, 무역, 학문, 예술 등을 결정했고, 그로써 언어 의 발전도 남성의 전유물이었다.

많은 나라에서 여성들은 공공생활에 참여할 수 없었으 며, 그로써 언어에서도 실존하지 못하였다. 1971년 까 지 예를 들면 스위스에서 여성들이 참정권(선거권)을 갖지 못했으며, 오늘날 많은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들은 공공활동에서 제외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전하는 언어가 특히 내용 측면에서 강하게 남성 중심적 언어가 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 다.

(3)

• Was unterscheidet einen Mann von einer Frau?

• Das Geschlecht, die Kleidung, die Haltung, die Bewegung, der Gang, die Stimme – und wie ist es mit der Sprache?

• Männer und Frauen sind nicht nur anders, sie sprechen und hören auch anders. Was in manchen Situationen, vor allem privaten, spannend, faszinierend und aufregend sein kann, ist für den beruflichen Alltag oft quälend, hemmend und demotivierend.

(4)

2) 언 어 는 다 른 사 회 활 동 형 식 과 마찬가지로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에게 어울리도록 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언어사회에서 남성의 말과 여성의 말이 다르다.

3) 성별에 따른 언어 차이는 지역에 따른 언어변이나 사회계층에 따른 언어변이, 그리고 대화환경에 따른 언어변이 만큼 현저하지는 않지만 사회조직의 한 단면을 정 확 하 게 투 영 하 고 있 다 는 점 에 서 사회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5)

4) 이 와 같 이 성 별 에 따 른 언 어 차 이 가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남 자 와 여 자 는 목 소 리 부 터 다 르 다 . 말 투 에 도 차 이 가 있 다 . 그 래 서 < 꼭 여 자 처 럼 말 한 다 > 고 도 하 고 < 넌 왜 남자처럼 말하니?>라는 말을 듣기도 한다:

“어머, 어머”, “임마!”

(6)

5) 사회의 성별 불평등 현상이 언어에 반영되는 것은 물론, 언어 자체가 성간 불평등을 지속시키는 핵심기제로 작용

6) 여 성 성 / 남 성 성 – 문 화 적 인 구 성 물 (뉴기기의 여자와 남자: 아라페쉬-남녀 모 두 여 성 적 , 먼 더 거 머 - 남 녀 모 두 남성적, 쳄블리-여자가 남성적)

(7)

• Sprache praegt Bewusstsein und ist nicht neutral, wie viele glauben.

• In der Sprache spiegeln sich gesellschaftliche Machtverhaeltnisse und Rollenzuweisungen wider. Sprache ist gepraegt von Wertvorstellungen, Klischees und Vorurteilen, die die Ungleichheit von Frauen und Maennern und die Dominanz von Maennern ueber die Frauen deutlich machen.

(8)
(9)

2. 여성어의 연구영역

2.1 연구의 토대와 소재

• Aries(1976/77)는 남성, 여성, 그리고 혼성 소그 룹 토론 자료를 토대로 각 그룹에서 나타나는 양성의 특징적인 담화행태를 분석했다.

• 최근 연구에서는 담화행태 내지 문체는 각 담 화상황에서 참여자들에게 부여된 지위와 밀접 한 관련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 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10)

• 페미니스트 언어학으로 발전되기까지 언어 사용에 있 어서 성차별과 관련된 논의는 사회언어학의 연구영역 중 `언어와 성(language and gender)'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 20세기 초 성에 따라 나타나는 언어 상의 차이를 기술했 던 데에서 출발해, `언어와 성 '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면 서 연구의 주제와 경향은 좀 더 세분화되었다.

• 특히, 60년대 말, 70년대 초 서구에서 여성운동이 본격 적으로 전개되면서 성차별 문제를 규명하는 한 가지 방 안으로 사회적 관습과 의식을 반영하는 성차별적 언어 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 로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고자 언어 개혁을 하나의 활동 영역으로 채택하였다.

(11)

• 페미니스트 언어학자들은 주로

• 언어 사용에서의 성 차이(sex difference)

• 언어 자체의 성차별주의(sexism)

• 언 어 로 부 터 의 여 성 소 외 를 다 루 어 왔으며, 앞으로의 연구 과제는 언어와 세 계 관 의 관 계 를 조 명 하 는 이 론 의 정교화 작업에 있다(Cameron, 1985).

(12)

2.2 언어와 성 연구 경향

1) 1970년대 이전과 이후로 구분

2) 1970년대 이전: 성별에 따른 어휘적, 음운적, 형태적 차이 기술/성을 독립 변항으로 하여 사 회 적 지 위 , 화 체 , 연 령 , 민 족 성 등 의 변항들과 함께 연구

(13)

3) 1970년대 이후: 여성의 사회적 불리한 역 할 에 집 중 / 성 이 라 는 요 소 가 언 어 행 위 와 의 연 관 에 서 생 물 학 적 변항만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사회학적 변항으로 이해됨.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이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지위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함.

성 이 라 는 요 소 가 유 전 자 적 으 로 확정되는 것은 적은 부분이며 많은 부분이 사회적으로 확정된다는 인식 확산

(14)

4) 우리나라 연구경향: 실증적 연구 결여

(15)
(16)

2.3 연구 주안점

1) 여성과 남성의 언어행위에 차이점 있나?

2) 이러한 차이점의 본질은 무엇인가?

3)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가?

4) 이러한 차이를 어떻게 평가?

(17)

정리:

성차별적 사회 문화의 맥락에서 언어 표현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여성에 대한 차별적 언어 사용으로 인해 여성의 이미지 뿐 아니라 여성의 성격과 능력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나아가 성차별적 언어 사용을 통해 여성의 삶을 제한하는 문화적 정형화와 사회적 제 재 에 저 항 하 기 위 한 대 안 은 현 시점에서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모색

(18)
(19)

3. 여성 성차별 3.1. 여성 성차별

1) 성차별이란?

2) 원인: 가부장제도, 남성들의 고정관념/여 성들의 잘못된 사고

3) 실태: 가정/학교/사회

4) 해결방법: 법/적극적 사회활동/자각

(20)

3. 여성 성차별

3.2.성의 정치학(케이트 밀레트)

성은 때때로 무시당하고 있는 정치적 측면 이 있다는 주장이다. 현대 문학 작품에 있어서 성 행위 자체에 대한 묘사 가운 데 권력과 지배의 개념이 연출되고 있는 역할에 주의하여 저자 밀레트는 이를 예 증하려고 시도했다.

(21)

• 성의 정치, 성관계를 정치적 입장에서 볼 수 있을 것인가?,

• ‘정치’ 개념 정의 - 한 무리의 인간이 다른 무리의 인간을 지배하는 정도를 말한다.

• 이 상 적 정 치 란 타 인 을 지 배 하 는 힘 의 개념과는 아주 거리가 먼 것으로 합리적이고 합의할 만한 기본 원리 위에 세워진 인간 생활의 제도라고 생각

• “부권제 이론에 관한 글” ...

• 성이란 정치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

(22)

• 양성 간의 상황은 현재와 역사를 통하여 막스 베버가 헤어샤프트(Herrschaft)라고 정의한, 지배와 복종의 관계

• 이 러 한 제 도 를 통 하 여 “ 내 부 식 민 지 화 ” 의 가 장 교 묘 한 형 태 가 성취되어 왔다.

• 성의 지배는 아마도 우리 문화 속에 가장 널리 편재해 있는 이념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우리 문화의 가장 기본적인 권력 개념을 부여하고 있다.

(23)

성의 정치 기반

1) 이념적 기반 - 양성 구별

• 성의 정치는 기질, 역할, 지위에 관하여 양성을 기본적인 부권제의 정치 형태로

“사회화”시킴으로써 합의를 얻는다

(24)

2) 생물학적 기반

• 일 반 적 으 로 심 리 적 ( 기 질 ), 사 회 적 ( 역 할 ) 구별은 생물학적 차이에 근거하는 것이라 가정.

• 그 러 나 부 권 제 안 에 서 만 들 어 진 기 질 의 구분(남성적, 여성적)은 인간의 본성에 근거한 것이 아니며, 역할과 지위의 구별은 더욱 인간의 본성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 생물 생식기적 차이를 넘어서 남성과 여성 사이에 어떤 중요한 본래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25)

3) 사회학적 기반

가족, 사회, 국가의 운명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26)

4) 계급적 기반

여 성 도 잉 여 에 의 존 하 여 살 아 가 는 의존적 계급이다

(27)

5) 경제적 교육적 기반

• 여성의 경제에 대한 관계는 대리적

• 여 성 의 종 속 적 지 위 의 큰 요 인 은 부 권 제 가 여 성 에 게 부 과 한 매 우 조직적인 무지에 있다

(28)

6) 폭력의 기반

• 폭력의 지배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불완 전하며 시행될 수 없을 것이다

(29)

7) 인류학적 기반

• 여성의 성기능을 불결하게 여기는 감정 은 전세계적이며 영속적이다. 이러한 증 거를 문학, 신화, 원시생활, 문명생활 등 을 통하여 도처에서 볼 수 있다

• 판도라의 신화와 에덴 신화

(30)

8) 심리학적 기반

• 이전의 7 기반들은 양성의 심리에 영향을 미침. 그 주된 결과는 부권제 이데올로기 의 내면화이다.

• 부권제는 그 자체를 자연적인 것으로 받 아들이게 하는데 성공

(31)
(32)

4. 설문: 다른 성별, 다른 언어?

• 92 von 98 Frauen sagen, dass es mit ganz großer Sicherheit einen Unterschied gibt;

• 3 von 98 Frauen meinen, mit Sicherheit;

• 3 von 98 Frauen sagten eher nein.

(33)

여성들이 말하기를 남성들은

• laut

• Dominant

• aggressiv

• linearer

• einfacher

• nicht umfassend

• länger

(34)

• unterbrechen häufiger

• emotionsloser

• in kürzeren Sätzen

• behauptender, auch wenn ihre Aussage nicht stimmt

• in mehr Imperativformen und Feststellungen

• hierarchisch orientiert

(35)

• 여성들이 말하기를 여성들은

• unüberlegter

• unstrukturierter

• integrativ

• passiv

• vorsichtiger

• benutzen häufiger Wendungen wie

«vielleicht», «eigentlich», «ich würde vorschlagen» und nehmen sich dadurch

• die Überzeugungskraft

(36)

• leiser, in höherer Stimmlage

• offener

• verbindlicher

• andere Gesprächseröffnung

• unterschiedliche inhaltliche Gewichtung

• voller Konjunktive

• mit Rückfragen

• mit Bestätigung anderer

• eher mit unterstützendem Sprachverhalten

(37)

• mit mehr Fragen

• tendenziell unpräzise

• stärker affirmativ

• ohne Verstecken hinter Sachlichkeit

• mit weicherer, gemäßigterer, kindlicherer Ausdrucksweise umfassender im Positiven wie im Negativen Bereich

• ganzheitlicher, emotionaler

• Frauen formulieren ihre Einschätzungen und Meinungen

• so, dass es anderen Personen eher möglich ist

• Gegenpositionen

• zu vertreten

(38)

• zurückhaltender

• weniger dominant

• kommunikationsfördernder

• mit weniger Unterbrechungen von anderen

• hören besser zu ...

(39)

• Ohne Änderung des Kommunikationsstils ist Frauenförderung nicht möglich!

(40)
(41)

5. Hypothesen zur Frauensprache

• 2.1 Defizithypothese (Mautthner, Jespersen)

• 2.2 Differenz

• 2.3 Code-switching

(42)
(43)

6. 성별어 영역

6.1 어형에서 본 성별 차이

- 언어의 모든 영역에서 차이 난다. 가장 극명한 현상은 남성의 어형과 여성의 어 형이 완전히 별개일 경우

- 아버지/어머니/형/누나

(44)

1) 화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

한) 누나/언니, 오빠/형 - 독) Schwester, Bruder

불) i jai (우리 아버지-남) - i supu (여) 일) 남성형 mizu – 여성형 ohiya 물 2) 청자의 성별

여-남 여-여

bardan baren <내가 간다>

(45)

• 6.2 특정언어 상황에서의 차이

1) 여성들의 표준어 사용 경향, 남성 사투리 2) 어휘

- Verniedlichung

- "das ist ja reizend", "das ist ja süß"

- Unschärfermarkierer

- irgendwie, irgendwas, oder so, finde ich, weißt du?

- 상스러운 간투사 회피 Scheiße!

- 감탄사적 형용사 schön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스스로 자신의 발언의 가치를 저평가 -동의를 구함

(46)

6.3 독일어의 성차별적 요소

1) 여성 종속적 표현

- 독일어의 성 차별적 요소는 특히 남, 여, 중성으로 구별되 는 문법적 성의 요소로 인해 한국어나 영어에 비해 두드 러져 보인다.

2) 전통적 여성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표현

- 소위 여성을 남성보다 연약하고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 재로 기술하거나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 내에서만 기술 함으로써 여성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표현들이 있다.

3) 부정적인 함축과 연상의 표현

4) 남성 우선적 어순에 따른 표현(부모, 선남선녀/년놈) 5) 조어 면에서의 차별

6) 총칭으로서의 man과 er

(47)
(48)

7. 성별 방언의 생성에 관한 제 이론(Jespersen 1922)

7.1 금기어(taboo)에 의한 생성 - zuru족: amanzi – amandabi 7.2 여성의 보수성

- 시베리아어: 여성어 모음 간 자음 <n>,

<t> 유지

(49)

7.3 남성본위적 사고

- 볼리비아 Chiquito 인디언: 신, 악마, 남자 -남성 / 동물, 여자 - 여성

7.4 생물학적 환경

- 진화론적 배경, 남성 – 보호자, 사냥꾼, 개 척자 / 여성 – 가사, 육아

7.5 새로운 제안: 생득적, 심리적, 사회문화 적 환경의 총체에서 기인

(50)
(51)

마무리

• 지금까지 언어에서의 남성어와 여성어에 관하여 그 그 발생배경과 차이점, 생성원 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 첫째, 언어에는 필연적으로 성별에 따른 언어 차이가 존재한다.

• 둘째, 여성어가 열등어로 나타난다.

• 셋째, 성별언어는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52)

질문

첫째, 여성들은 일상 언어생활에서 성차별적 의 미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 가

둘째,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표현은 어떤 유형이 대표적인가

셋째, 성차별적 언어 사용으로 인해 여성들이 사 회적으로 겪는 애로점은 어떻게 일상화되는 가 넷째, 여성이 성차별로 인지하는 언어 표현은 주

로 어떤 사회 문화적 관행과 이념에 의해 이루 어지는 가.

(53)
(54)

3. Ergebnisse

• I: Männer benutzen häufiger Nicht-

Standartformen als Frauen  Frauen benutzen häufiger Standartformen (besonders bei formeller Sprechweise)

• II: In der Mehrheit der Sprachänderungen benutzen Frauen häufiger hereinkommende Formen als Männer

(55)

3. Ergebnisse

• Beispiele:

– Standartform: -ing Umgangsform: -in

– Standartform: t Umgangsform: glottal stop – Standartform: interdental

Umgangsform: Affrikate, Plosive

(56)

3. Ergebnisse

• Phänomen am stärksten ausgeprägt bei:

– Frauen aus der zweithöchsten Schicht (unteren Mittelschicht)

• Phänomen nicht/schwach zu beobachten bei:

– Frauen aus der Arbeitsschicht – Frauen aus der obersten Schicht – Frauen in muslimischen Ländern – Männern

(57)

3. Ergebnisse

• Frauen nutzen häufiger neu hereinkommende Prestigeformen als Männer

• Beispiele: Frauen als Initiator

– Vorziehen von /uw/ und /ow/

– Vorziehen von /aeh/ und /oh/

– Zurückziehen von /el/ (belt, help)

• Ausnahme: Männer als Initiator

– Zentralisierung von /ay/ und /aw/

(58)

3. Ergebnisse

• Lautverschiebungen setzen sich in der nächsten Generation stärker durch (auch bei den Männern)

 Lautverschiebung wird fortgesetzt und schließlich vollendet

(59)

4. Erklärungen

• Frauen versuchen sich durch die Sprache einer höheren sozialen Schicht anzuschließen.

Warum durch Sprache?

Da sie häufig wenig materielle Statussymbole besitzen.

Warum ist dieses Phänomen bei Männern schwächer?

Da sie meist materielle Statussymbole besitzen.

(60)

4. Erklärungen

Warum ist das Phänomen in der zweithöchsten Schicht am stärksten?

 Frauen versuchen sich durch ihre Sprechweise der obersten Schicht anzuschließen

• Konsequenz: Beobachtung von Hyperkorrektheit

 Frauen der zweithöchsten Schicht schießen über ihr Ziel hinaus

 sprechen korrekter/formeller als Frauen der obersten Schicht

(61)

4. Erklärungen

Warum tun Frauen aus der Arbeitsschicht das nicht auch?

Vermutlich keine Kenntnis einer formelleren Sprache  somit kein Zugriff möglich

• Frauen aus der obersten Schicht können keiner noch höheren Schicht angehören

• Frauen aus muslimischen Ländern stehen im öffentlichen Leben oft im Hintergrund

 haben somit auch keine Kenntnis bzw. keine Notwendigkeit einer formelleren Sprache

(62)

4. Erklärungen

• Warum verstärkt sich die Lautverschiebung nach einer Generation?

Frauen kümmern sich hauptsächlich um die Kinder

 sprechen am häufigsten mit ihnen

 Kinder übernehmen Sprache der Mutter

 Weiblich dominierte Sprachveränderungen werden begünstig und männlich dominierte werden benachteiligt/verzögert

(63)

Zusammenfassung

• Prinzip 1: Die asymmetrische

Kinderpflegesituation führt in allen sozialen Schichten zu einer Begünstigung

frauendominierter Veränderungen (von oben) und zu einer Benachteiligung männerdominierter

Veränderungen.

• Prinzip 2:Frauen stoßen Sprachveränderungen

(von unten) eher ab als Männer, sobald sie von der Sprachgemeinschaft bemerkt werden.

(64)

Problem

• Unterteilung der Geschlechter durch „sex“ oder

„gender“:

– Sex = biologisches Geschlecht – Gender = soziales Geschlecht

• Biologisches und soziales Geschlecht stimmen nicht immer überein

• Was geschieht in solch einem Fall?

 Kann man bei einem Mann, der sich wie eine Frau verhält, die gleichen sprachlichen

Phänomene beobachten wie bei einer Frau?

(65)

Quelle

Labov, W. ( 1990). The intersection of sex and social class in the course of linguistic change.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2: 205-254.

참조

관련 문서

Ideen zur einer reinen Phänomenologie und phänomenologischen Philosophie.. Zweites Buch : Phänomenologische Untersuchungen

in : Thibaut und Savigny, Ihre programmatischen Schriften mit einer Einführung von Hans Hattenhauser, S... 현행 우리나라

&#34;The Law of Liability and Compensation for Oil Pollution Damage by the ocean ship&#34;(Gesetz über die Haftung und Entschädigung für Ölverschmutzungsschäden

In Deutschland erhöhte sich eine Bedeutung der Genehmigungsfiktion, indem sie durch 4.Novelle des VwVfG, die bei der Umsetzung der Richtlinie 2006/123/EG benötigt wurde,

56) Karl-Jürgen Bieback, “Fünf Jahre SGBϲ und die Besonderhieten der Pflegeversicherung”,.. 11; Manuela Bombeck, Pflegebedürftigkeit bei Kindern - Struktur einer

24) § 91 Alt-VVG (Zahlungsfrist bei Gebäudeversicherung) Bei der Gebäudeversicherung muss die im Fall einer nicht rechtszeitigen Zahlung der Prämien nach § 39 zu

Jörg Ipsen, “Die Kompetenzverteilung zwischen Bund und Ländern nach der Föderalismusnovelle”, NJW 2006, S.2801f. Peter Selmer, “Die Föderalismusreform. Eine

Die Mittel für die Durchsetzung der Aufgaben der Sozialver- sicherung müssen aus verfassungsrechtlich zulässigen Finan- zierungsquellen und in e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