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2 장 벽체 설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2 장 벽체 설계"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2 장 벽체 설계

12-1 개요

Ÿ 벽체는 크게 칸막이벽과 외벽 등 구조 기능을 갖지 않는 벽과 내력벽 및 전단벽 등 구조 기능을 갖는 벽으로 나눌 수 있다.

ü 칸막이벽 : 내화 성능을 가지면서 공간을 구획하는 벽 ü 외벽 : 건물의 내외를 구획하는 벽, 장막벽

ü 내력벽(Bearing Wall) : 자중과 더불어 연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기능을 가진 벽, 실용설계법(축하중) 혹은 압축재(축하중+약축 휨모멘 트)로서의 설계

ü 전단벽(Shear Wall) : 철근으로 보강되어 연직하중과 함께 바람,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도 지지할 수 있게 설계된 벽체. 수평하중에 의한 전단력과 휨(강축에 대한)에 대한 설계

비내력벽

내력벽

(2)

2)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

① 지붕이나 각 층 바닥슬래브 또는 벽체에 의하여 지지된 보로부터 전달되는 연직력

② 풍하중, 수압, 토압 등에 의한 수직벽체에 가해지는 면외 횡력

③ 풍하중이나 지진력 등에 의하여 가해지는 면내 횡력

(3)

12-2 내력벽의 설계

내력벽은 구조 기능면에서 기둥과 같이 휨과 압축을 받는 구조부재.

12.2.1 기본 사항

1) 집중하중에 대한 벽체의 유효 수평길이

내력벽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대하여 벽체의 유효 수평길이는 하중 사이의 중심거리나 또 는 지압폭에 벽두께의 4배를 더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길이로 한다.

2) 최소 수직철근비와 최소 수평철근비 ( 벽체의 전단면적에 대해 )

최소 수직철근비 최소 수평철근비

≥  이상인 D16이하 철근 0.0012 0.0020

기타 철근 0.0015 0.0025

(4)

3) 철근배근

① 수직, 수평철근의 배근간격; 벽두께의 3배이하 혹은 450mm이하

② 두께 250mm이상의 벽체의 배근; 각 방향으로 벽면에 평행하게 복배근(2단배근)

4) 벽체의 최소 두께

① 실용설계법으로 설계하는 경우 내력벽의 수직 또는 수평 지점간의 거리 중 작은 값의 1/25이상 또한 100mm이상. 지하실 외벽이나 기초벽체 두께는 200mm이상.

② 압축재 설계법으로 설계하는 경우에는 최소 두께 제한을 받지 않는다.

③ 비내력벽에서는 최소 두께를 100mm이상 또는 이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는 부재 최소 거리의 1/30이상.

5) 개구부 보강

이열 배근된 벽체에서 2개의 D16이상 철근을, 일렬 배근된 벽체에서 한 개의 D16이상 철근 을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 주위에 배치하여야 한다.

(5)

설계 방법

1. 벽체를 띠기둥의 연속으로 생각하여 단위 폭에 대하여 기중과 같이 휨과 축하중을 받는 부재로 설계 하는 방법(편심거리  ≤  인 경우)

2. 설계기준 11.4.2의 실용설계법을 적용하는 방법(편심거리    인 경우)

(6)

12.2.2 실용설계법

1) 적용제한

① 모든 설계하중(수직하중)의 합력이 벽두께의 중앙이내에 위치하는(편심이 이내에 위치) 장방형 단면의 내력벽 : 편심거리 e 가  이내에 위치하면 벽체 단면내에서의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전단면 압축응력이 작용함.

② 실용설계법에 의한 벽체의 최소두께; 수직 혹은 수평지점간의 거리 중 작은 값의 1 25 이 상 또는 100mm이상. 단, 지하실외벽 및 기초벽체의 경우 200mm이상. 압축재 설계방법 으로 설계하는 경우에는 최소두께 제한을 받지 않는다.

(7)

2) 설계규준

≦ 

    

 





,   

0.55 ; 압축재 산정시 축하중에 대한 편심이 인 경우를 고려한 계수 1 - ( klc

32h ) 2 ; 벽체의 세장효과를 고려한 함수 h ; 벽체의 춤(두께)

Ag ; 벽체 전 단면적

lc ; 지점간의 수직길이 (높이)

k ; 압축재의 유효길이 계수 → 벽체양단의 구속조건에 따라

⑴ 횡구속된 벽체 (상하단에서 수평이동이 구속된 벽체)

① 상하 양단에 한쪽 혹은 양쪽의 회전이 구속된 경우; 0.8

② 상하 양단의 회전이 불구속된 경우; 1.0

⑵ 횡구속 되지 않은 벽체 (수평이동이 구속되지 않은 벽체); 2.0

(8)

3) 실용설계법의 설계 방안

① Pu≤ φ Pnw

② 최소 수직철근비, 최소 수평철근비가 모두 만족되도록 설계

③ 최소두께규정

* 계산상 편의를 위해 폭 1m에 대해 산정됨.

Pu ; 벽체 폭 1m 가 부담하는 계수축하중 φPnw ; 벽체 폭 1m 에 대한 축하중 강도식

* Pu

Ag ≤ ΦPnw

Ag 로 검토될 수도 있음.

*최소철근비에 의한 복배근 설계시(폭 1000mm 대해) Asv   × ×h → s  Asv

 ×a복배근

Ash   × ×h → s  Ash

 ×a복배근

(9)

12.2.3 압축재 설계법

∙ 축하중 혹은 축하중과 휨을 받는 내력벽으로서 실용설계법 적용범주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 휨과 축하중을 동시에 받는 압축재(편심과 세장효과 고려)로 설계.

∙ Pu≤ φ Pn , Mu≤ φ Mn

→ 세장효과에 의한 확대 휨모멘트도 고려

(10)

12-3 전단벽 설계

전단벽은 지상에 고정되어 캔틸레버와 같은 거동을 하며, 풍하중이나 지진하중 등 수평하중에 의한 전단력과 휨모멘트 및 중력하중에 의한 축압력을 기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1) 설계시 고려사항

∙전단벽의 역할 : 수평하중에 의한 전단력, 휨모멘트 및 수직하중에 의한 축력에 저항.

∙전단벽의 위치 : 건물의 외벽 또는 구획벽, 설비용core벽(elevator shaft, 계단실 등)

∙전단벽의 배치 : 건물중심과 전단중심(강성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틀림변형이 발 생하므로, 전단벽을 대칭으로 배치하여 비틀림의 영향을 최소화 한다.

[전단벽의 편심 배치에 의한 비틀림]

(11)

[전단벽의 배치]

(12)

∙수평력 분담 : 기둥 및 전단벽으로 이루어진 건물은 슬래브로 서로 연결되어 변위의 적합조 건을 만족하게되어, 기둥과 전단벽의 강성비에 따라 수평력을 분담한다.

[슬래브를 통한 수평력의 전단벽 전달]

(13)

∙ 전단벽 형상에 따른 힘의 조건

① 길이에 비해 높이가 작을 경우 ; 수평전단력 설계가 중요.

② 길이에 비해 높이가 클 경우 ; 휨모멘트 설계가 중요.

[전단벽에 작용하는 힘들]

∙ 저층구조물의 전단벽 설계는 보통 최소 철근비 설계로 무방.

고층구조물의 전단벽 설계는 전단설계 및 휨설계 고려.

․강축에 대한 전단 설계 ; 수직, 수평근 보강.

․강축에 대한 휨 설계 ; 양단부 보강.

(14)

(2) 설계 개념

1) 전단벽과 골조의 상호 작용

․전단벽; 휨변형 모드 거동

․골조; 전단변형 모드 거동

각층에서의 변형이 같으려면 상부에는 인장력, 하부에는 압축력이 발생.

(15)

2) 설계방안

∙전단벽; 횡력(수평하중)부담 골조 ; 수직하중 부담

∙전단벽(가새역할)의 휨강성이 1개층 기둥 휨강성 총합의 6배이상이면 골조는 완전히 버팀지 지 된 것으로 간주됨. 수평하중에 대해선 버팀지지되므로 골조는 수직하중에 대해서만 설계 가능. 즉, slab의 diaphragm거동에 의해 임의 층의 기둥과 전단벽의 변형은 동일하게 거동하 므로,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기둥은 외부수평하중을 거의 안 받는 것으로 가정함.

따로 해석하여 설계함.

(16)

(3) 전단설계

1) 기본 설계식

≦ 

    ≦  

 

 

( h ; 전단벽 두께, d ; 전단벽 유효춤 =0.8lw )

(17)

2) 콘크리트 전단강도 Vc

① 벽체에 압축력 작용시

 

 

② 벽체에 인장력(Nu)작용시

 

  



 

; 계수 인장력 ( - 부호로 계산)

; 벽체 수평단면적

3) 전단검토를 위한 위험단면

; 벽체 밑면에서 lw

2 혹은 hw

2 중 작은값 만큼 위치 (lw ;벽체의 수평길이 , hw ; 벽체높이 )

(18)

4) 수평전단 보강근의 간격  : 다음의 ①,②,③중 최소값

① Vu≥ φ Vn 이면 전단보강 필요

∙수평전단보강근의 공칭전단강도

 



∙수평전단 보강근의 수직간격 

≤ 



   



 ;간격내의 수평전단보강근 단면적→복배근일 경우   

(19)

② 수평전단 보강근의 최소철근비

전체 수직단면적에 대한 수평전단보강근의 철근비

 



≧ min  

∴  ≦ 



( 복배근 경우    )

③ 수평전단보강근의 간격

≤ min

   

(20)

5) 수직전단보강근 설계

① 수직전단보강근이 전체 수평단면적에 대한 철근비 ρn

= 0.0025 + 0.5 ( 2.5 - hw

lw )( ρ - 0.0025 ) ≥ 0.0025

* 폭 1m에 대해   × ×

 

 ×

② 

  

중 최소값

③ 수직전단보강근은 수평전단보강근보다 더 많이 배근할 필요는 없다.

(21)

(4) 휨설계 ( 등간격 배근 경우 )

전단벽의 수직방향 응력은 휨모멘트와 축압축령에 의하여 생기며, 기초에 면한 부분에서 최 대가 된다.

*휨설계방안

① 등간격 철근배근시 ; 설계방안은 간단하나 큰 모멘트를 받는 고층건물엔 비효율적임.

② 양단부 집중배근시 ; 설계방안은 복잡하나 효율적임

→ 이 경우 철근의 정확한 위치와 철근량에 따라 변형도를 계산하여 강도산정.

* 전단벽 휨설계 응력 → 수직근 설계

수직방향응력인 휨응력(휨모멘트)과 축응력(축압축)의 조합설계

(22)

[등간격 배근된 벽체]

[등간격 배근된 벽체의 변형률]

(23)

1) 기본사항

① 작용력 ; 축력 

면내 휨모멘트  ( = ×  )

② 변형도 ; 선형변화 (평면유지 가정)

③ 응력도

콘크리트 응력도

⇒ 보의 등가응력블럭 개념 고려 철근 응력도

중립축에서 βc 이내 부분의 철근은 아직 항복 않음.

중립축에서 βc를 넘는 부분 철근은 모두 항복한 것으로 가정(ε, 에 도달)

(24)

④ 각종 변수 (다음 쪽 그림 참조) c ; 압축단에서 중립축까지 거리 h ; 전단벽 두께

β1 ; 등가응력블럭 계수 lw ; 전단벽 춤

; 수직 철근비 = ASV(수직철근량) lwh

β  ε ε

 

ε

; ( β․c       에서 )

; 철근이 최초로 항복 ( εy에 도달 )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비

(25)

[등간격 배근된 벽체의 내력]

(26)

2)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한 중립축거리 산정

① 콘크리트 압축력 : 보의 등가응력불럭개념 도입

 β  ( 0.85 fck (블럭높이) , β1c (블럭길이) , h (블럭폭) )

② 압축철근 내력 

 ρ   

β ; 수직철근비 ,   

β ; 수직단면적)

③ 인장철근내력 Ts

Ts= ρh(lw-c- βc 2 )fy

④ 수직방향에 대한 힘의 평형조건 적용 Cc+ Cs- Ts- Nu= 0

(27)

0.85fckβ1c h + ρnh(c - βc

2 )fy- ρnh(lw- c - βc

2 )fy- Nu = 0

⑤ c에 관한 방정식 유도

∴ 

   β



; c 산정가능

= w+ α

2w+ 0.85 β1 (w= ρnfy

fck , α = Nu lwh fck )

(28)

3) 단면의 공칭 휨모멘트  산정

     의 중립축에 대한 모멘트 산정 ( 반시계 방향 + )

 

   

  

} : 축하중 에 대한 모멘트

 β     β

: 내력에 대한 모멘트

β    β   

  β

ρ : 내력 에 대한 모멘트

β

    β   

   β

ρ : 내력 에 대한 모멘트

모멘트 평형조건         이고, 이다.

∴  

    β  

  β β

(29)
(30)

∴  

    β  

   β

 β

여기서, 편심이 큰 경우 중립축길이 c 가 작아지므로,

= 0 , β  로 가정

설계모멘트 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31)

4) 설계방안

① 전단설계에서 수직전단 보강근 ρn or Asv 산정

② 수직전단보강근에 의한 설계모멘트  산정

φMn = φ 0.5 (Asvfy+Nu) (lw-c)

③  산정

    또는 해석결과에 의한 적용

④  ≧ 

; 수직전단 보강근만으로도 충분함.

⑤    (설계강도가 소요강도보다 작은 경우 추가 철근배근 → 양단부에 대칭배근) a)  



 

: 약산식임

z ; 양단부 추가철근의 중심사이의 거리 b)   



 

→  →     ( d = 0.8lw )

(32)

→ deep beam으로 설계하면 더 정확.

(33)
(34)

[예제 12-2의 전단벽]

(35)

[예제 12-2의 전단벽의 철근 배근]

참조

관련 문서

장물수사에 대한

• 뇌수막염은 뇌막에 생긴 염증의 원인으로 세균에 의한 것, 바이러스에 의한 것, 결핵균에 의한 것, 곰팡이에 의한 것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어린이나 노인에

현재의 비재무적 성과와 미래의 재무적 성과 사이의“인과관계” 는 명확하지 않으며, 현재의 비재무적 성과를 미래의 재무적 성과로 전환시키는 방법 역 시 기업의

1.3.4 알루미늄 분말을 취급하지 않는 알루미늄 주조, 압연 등의 가공공정은 공정상 함께 사용되는 인화성 및 가연성 액체에 의한 화재위험과 고온작업에 의한

저칼슘혈증은 감각이상, 근육 경련, 후두 경련, 경련 발작 등 신경 및 근육 흥분성에 의한 증상을 보이는데, 이와 같은 신경-근육 과흥분성은 입 주위의 안면

치조골의 상실은 진행된 치주질환,사고로 인한 치조골 손상 및 치아상실,낭종 및 종 양등의 병소,전신질환에 의한 이차적인 치조골 소실등에 의하며 이에 의한 불충분한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글에 의한 정보 전달보다는 이미지와 영상과 같은 시각적 효 과에 기대어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가지는 이성적인 사고

철도차량 바닥 진동 기인에 의한 구조진동음 저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