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골관절염의 약물 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골관절염의 약물 치료"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ume 13, Number 1, June, 2010

서 론

아직까지 골관절염이 노화 현상일 뿐이라는 이 해 부족과 적절한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골관절염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때보다도 시급하다. 폭발적인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미국의 통계는 최근 정년 퇴임 연령 인 만 65세 이상의 일하는 인구가 10년 전에 비

해 2배로 증가했음을 보고하고 있다. 심장 질환 이나 당뇨가 노인 인구의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질환이라면 골관절염은 노인 인구, 특히 활동적인 노동 인력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이들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질환이 될 수 있 다. 골관절염의 치료는 개념적으로 두 가지 측면 을 생각해야 한다. 첫번째는 통증 완화의 측면이 고 두 번째는 관절 파괴와 변형의 예방 및 치료의

※ 통신저자: 김 현 아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896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류마티스내과

TEL: 031) 380-5928 FAX: 031) 386-2269 E-mail: baladeur@hallym.or.kr 접수일: 2010년 5월 6일, 게재확정일: 2010년 5월 27일

골관절염의 약물 치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현 아

= Abstract =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Osteoarthritis

Hyun Ah Kim, M.D.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Osteoarthritis (OA) is a slowly progressive degenerative disorder of weight-bearing joints, mainly character- ized by joint pain and functional limitation. Current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OA mainly focuses on the alleviation of symptom, with few interventions available for modifying the degeneration of cartilage. In this review, various pharmacological options would be presented with the discussion of treatment efficacy mainly regarding pain control. Evidence for some agents indicating potential prevention of disease progression would also be presented.

Key Words: Osteoarthritis, Pharmacological treatment,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DMOADs, Hyaloronan

(2)

측면이다. 골관절염의 치료 목적은 통증의 경감, 운동성의 유지와 장애의 최소화이다. 통증의 기 전과 연골 대사, 생화학, 분자 생물학적인 지식이 많이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골관절염 이 단순히 연골의 이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관 절의 총체적인 이상이라는 이해가 폭넓게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골관절염의 치료제의 개발은 아직 요원하다. 대부분의 약제들이 골관절염의 질환 경과보다는 염증과 통증의 조절에 주 기능 을 발휘한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아직까지 골관 절염의 치료에서는 비약물적인 치료가 약물적인 치료보다 큰 비중을 갖는다. 골관절염의 치료강 도는 다른 관절염들과 마찬가지로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맞추어져야 한다.

본 론 1) 국소 치료제

붙이거나 바르는 제제의 형태로 개발된 약제들 로 국소 부위 대 전신 약물 농도의 비율을 높여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한다는 이론적인 근거로 사용된다. 전신적인 진통제나 비스테로이 드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 tory drug,NSAID)를 투여하는 경우 부작용이 흔히 발생하고 고령의 골관절염 환자들은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과 같은 동반 질환에 대한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NSAID와 심각한 약제 상 호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소적으 로 바르는 치료제가 바람직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두 종류의 약제는 capsaicin과 NSAID 들이다. Capsaicin은 고추에서 추출한 자극성 성 분으로 작용 기전은 민말이집 C형 구심 신경(un- myelinated type C afferent neuron)의 선택 적인 자극을 통해 substance P를 분비하고 가역 적으로 substance P의 고갈을 일으킴으로 말초 신경 통증 감각을 둔화시키는 것이다. 0.025 혹 은 0.075%의 두가지 농도의 연고가 시판되고 있 고 일일 4회 바르도록 되어 있다. 효과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좋은 효과를 보이는 환자가 있는 반면 약제를 바를때 발생하는 작열감을 견디 지 못하는 환자도 있다. 손 또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가 국소적으로 도포하면 NSAID나 전신적인 진통제를 쓰지 않아도 유의하게 관절통과 압통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된다1). 대개 작열감은 약제 를 지속적으로 바르는 경우 점차 감소하지만 진통 효과는 지속된다. 붙이거나 바르는 형태의 NSAID 제제들도 널리 이용되며 경구 약제보다 는 안전한 약제로 생각되지만 도포 시 전신 흡수 율이나 통증 경감 정도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점이 있다2). 무릎의 골관절염을 대상으로 한 위약 대조 군 시험의 결과는 효과가 없다는 데이터들도 상당 히 있다3).

2) 경구 약물

① NSAIDs와 아세트아미노펜

골관절염의 경구 약물 치료에 앞서 주지할 사실 은 약물 치료가 비약물적인 방법에 보조적으로 사 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아세트아미노펜(parac- etamol)은 무릎, 고관절, 손의 골관절염 환자에 서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진통제이다. 일일 1~4 g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효능이 NSAID와 거의 동등하면서 부작용이 월등히 적기 때문에 NSAID 보다 우선적으로 처방한다4).

NSAIDs는 골관절염 통증 치료에 가장 많이 처 방되는 약물이다. 임상 연구에서 NSAIDs는 고 용량 아세트아미노펜에 비하여 30% 더 통증 호 전 효과가 있다5). 어떤 환자들에서는 NSAID가 현저한 통증 경감 효과를 보이는 반면 어떤 환자 에서는 효과가 없다. 처음 시작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복용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렇게 저용량의 간 헐적인 복용으로도 효과가 높고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간헐적 복용으로 효과가 충분히 나타 나지 않는 경우 항염 용량의 NSAIDs를 매일 복 용해야 한다.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경우 NSAIDs와 동시에 복용하지 않도록 하여 약제 상호 작용을 피한다. NSAIDs에는 중대하고 흔 한 부작용들이 있는데 가장 흔한 것이 상부위장관 부작용으로 소화불량, 오심, 복부 팽만, 위장관출 혈, 궤양 등이 나타난다. 약 30~40%의 환자에 서 상부위장관 부작용이 너무 심하여 약제를 계속 복용하지 못하게 된다. NSAIDs에 의한 부작용 을 피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음과

(3)

같은 방법들이 있다.

- 식후 약제를 복용한다.

- 두 종류의 NSAID사용을 피한다.

- 비교적 안전한 NSAIDs를 사용한다. 위장관 부작용의 경우 메타 분석에서 ibuprofen이나 nabumetone과 같은 비아세틸성 살리실레이 트가 가장 안전한 NSAIDs로 분류되었다.

piroxicam, ketorolac, ketoprofen등은 위 험이 더 높다.

- 위장관 출혈이나 부작용의 위험이 높은 환자 의 경우 위장 보호제를 함께 처방한다.

심각한 NSAID 연관 위장관 부작용은 상부 위 장관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한 연구에서 위장관 출혈로 입원한 환자의 81%가 전구 증상을 가지지 않았다.

다른 흔한 NSAIDs 부작용으로 부종이 있는데 신장의 구심 혈류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 제하기 때문이고 비슷한 이유에서 가역성 신장 부 전이 일어날 위험도 있다. 일부 NSAIDs 치료한 환자에서는 혈압이 경미하게 상승한다.

다른 항염 약제로 COX-2 선택적 저해제를 사용 할 수 있다. 위장관 부작용은 전통적인 NSAIDs 에 비해 낮지만 부종이나 신부전의 위험은 같다.

아울러 특히 고용량 COX-2 길항제를 쓰는 경우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것은 선택적 COX-2 길항제가 혈관 내피에서 프로스타 사이클린의 합성은 감소시키는 반면 혈소판의 트 롬복산의 합성은 억제하지 않아 혈관내 혈전 생성 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NSAIDs는 유의하게 관절통을 감소시키고, 운 동성을 향상시키지만, 그 정도는 경미하여 평균적 으로 통증이 30%, 기능이 15% 향상된다. 최대 용량의 NSAIDs를 복용하는 환자 중 다수에서는 유의하게 관절통이 남는다6).

② 아편유사제(opioid)

골관절염의 통증이 급성으로 악화되고 아세트아 미노펜이나 NSAID가 충분한 효과를 내지 못하 거나 부작용으로 쓸 수 없는 경우 약한 아편 유사 제인 경구 코데인 등을 고려해 볼 만하다. 코데인 은 60 mg 용량으로 단독 투여할 때 650 mg의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보다 효과가 낫지 않

기 때문에 심한 골관절염 통증의 치료에는 이들 약제와 병합하여 사용한다. 아편 유사제가 만성 골관절염의 통증에도 유용할 수 있다. 골관절염의 통증 치료에 장기간 아편 유사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약제의 부작용들이 문제점으로 대두되는데 오심, 구토, 변비, 소변 저류, 혼동, 기면, 호흡 억제 등이 있다. 노인에서 아편 유사제가 중추 신 경계에 갖는 영향(예, 현기증)은 낙상 등의 사고 를 유발하여 심각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고 Tra- madol hydrochloride는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진통제로 μ-opioid 작용과 norepinephrine/

serotonin 재흡수 억제의 두가지 작용기전을 갖 는다. μ-opioid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는 모르핀에 비해 6000배 낮다. NSAIDs와 대조적으로 tra- madol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지 않으 며 따라서 위장관이나 신장, 혈소판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아세트아미노펜이나 저용량의 NSAID가 효과가 없거나 NSAID가 금기인 골관 절염 환자에서 보조 치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만성 관절통 환자에서 1일 200~400 mg 용량의 tramadol의 효과는 1일 1200~2400 mg 의 ibuprofen의 효과와 동등하다7). 장기간 투여 해도 내성이나 의존성이 드물게 발생하며 효능과 부작용 양상은 아세트아미노펜/코데인 병합 요법 과 비슷하나 후자가 훨씬 저렴한다. 일일 25 mg 정도의 저용량으로 치료를 시작해서 며칠에 걸쳐 양을 점차 증량하는 경우 부작용의 빈도와 강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8).

③ 골관절염의 약물 치료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 골관절염의 통증 치료에 하루 4,000 mg/d까지 아세트아미노펜을 우선 처방하는 것이 합리적이 다. 이렇게 해서 적절한 시간안에 증상이 조절되 지 않으면 적은 양의 NSAID (예로, ibuprofen, 1,200 mg/일; naproxen, 500 mg/일)로 대치하 거나 추가할 수 있다. 만약에 심각한 위장관계 부 작용의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 적은 양으로라 도 비선택적 NSAID가 사용된다면, 내시경 검사 상 NSAID 위병증을 막거나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입증된 misoprostol, omeprazole 등의 위장 보호 약제를 같이 처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NSAID 관련 위장관 부작용의 위험은 용량에 비

(4)

례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는 최소 용량의 NSAID 를 사용해야 한다. NSAID가 필요할 때, 하루에 고정된 용량보다는 필요할 때 먹도록 처방하면 통 증조절은 비슷하고 부작용은 감소한다. NSAID 나 단순 진통제를 처방하면 그 치료에 대한 필요 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많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들에서 결국에는 약을 줄이거나 관절 통이 악화되었을 때에만 약을 복용할 수 있다.

3) 관절강 내 주사 치료

① 당류코르티코이드

관절내나 관절주위에 저장형 당류 코르티코이드 를 주사하면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현저한 증상의 호전을 가져온다. 동물 모델 연구는 당류 코르티 코이드가 연골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다량의 당류 코르티코이드를 자주 주사하는 것은 인간의 관절파괴를 유발하기 때문에 같은 관절에 대한 주사는 4~6개월 내에는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 68명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3개월 간격으로 2년간 triamcinole acetonide를 관절내 주사한 결과 생리 식염수 주사 대조군에 비해 통증과 관 절 운동 범위는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방사선 사 진에서 관찰되는 관절강의 협착은 대조군과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절강 당류 코르티코이드 주사의 안전성이 주장된 바 있다9).

② Hyaluronic acid 유도체

Hyaluronic acid는 1-5×106 달턴 정도의 고 분자량 물질로 다양한 길이의 nonsulfated polymeric chain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이다. 그 구성 성분은 N-acetylglucosamine과 glu- curonic acid로 이루어지는데 정상적으로 관절 활액 뿐 아니라 피부, 연골 등 여러 조직의 기질 을 형성한다. 골관절염에서는 염증 반응의 결과로 생기는 분해 효소들의 작용으로 hyaluronic acid의 분해가 촉진되고 활액의 점성이 떨어지면 서 결과적으로 관절 표면의 원활한 운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이것이 하나의 악순환 고리를 형성하 면서 골관절염의 연골 손상을 가중시킬 것으로 생 각하여 외부에서 부족한 hyaluronic acid를 보

충해 주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Hyaluronic acid의 효과는 말과 같은 동물에서의 효과가 먼저 입증되었는데 골관절염의 동물 실험 모델들에서 hyaluronic acid를 외부에서 주입하는 경우 내 인성 hyaluronic acid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연 골 proteoglycan의 합성을 촉진하며 arachido- nate 분비를 억제하고 prostaglandin E2의 생성 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1). 이렇게 외부에서 hyaluronic acid를 보충해주는 방법을 viscosupplementation 이라고 명명하고 최근 비약물적치료와 단순 진통제에 효과가 없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치료로 미국의 FDA에서도 통증 억제제로 인정된 바 있다. Synvisc와 Hyalgan 의 두가지 제제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작용 기전 으로는 항염효과(특히 고분자 화합물의 경우), 단 기간의 관절 윤활유 역할, 활막의 신경 말단을 도 포함으로 갖는 진통 효과, 활막 자극에 의한 정상 적인 hyaluronic acid의 합성 증가 효과 등이 제 시된다. 처치 후에 효과를 보는 기간이 hyaluro- nic acid의 반감기보다 몇 개월을 초과하기도 하 기 때문에, 작용 기전은 분명하지 않다12).

캐나다의 개원가들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field survey에서 hyaluronic acid의 효과는 일반적 으로 80% 정도의 환자에서 나타나고 평균 반응 지속 기간은 8.2개월로 보고되었다. 2.7% 정도 의 환자에서 주사 부위의 국소 반응이 나타났지만 전신 반응은 없었다13).

4) 골관절염의 경과 조절 약제(Disease modi- fying anti-osteoarthritis drug, DMOAD)

약물 치료로 정상적인 연골의 재생을 시도한다 는 생각은 20년 전부터 있어 왔다. DMOAD은 단순한 진통 효과만 있는 기존의 약제와는 달리 동물 실험에서 관절의 재생을 돕거나 관절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작용을 가지는 약제로 정의한다.

원칙적으로 이들 약제의 작용은 서서히 나타나고 그 지속 기간은 약제를 끊어도 수 주-수 개월 이 상 유지되어야 한다.

① Glucosamine, chondroitin sulfate Glucosamine과 chondroitin sulfate는 약

(5)

국, 슈퍼마켓, 건강 식품 판매점 등에서 널리 판 매되고 있으나 미국 식약청에서 골관절염의 치료 로 공인받지는 못했다. Glucosamine은 proteo- glycan이나 glycosaminoglycan과 같은 결합 조 직의 여러 가지 구성 성분의 기본이 되는 아미노 단당류이다. 관절 연골 기질에도 풍부하게 함유되 어 있는 glucosamine은 세포 배양 조건에서 연 골 세포 안으로 함입될 뿐 아니라 연골의 pro- teoglycan의 합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몇 연구에서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glu- cosamine은 위약보다 효능이 우수하고 NSAID 와 효능이 동등하며 NSAID보다 안전하다고 보 고하였다14). 그러나 아직 glucosamine이나 chondroitin sulfate의 효능이 대규모 위약 대조 군 연구에서 증명되지는 않았다. 무작위, 이중맹 검, 위약 대조군 임상 시험의 메타 분석 시 glu- cosamine과 chondroitin sulfate는 위약에 비 해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고 장기간 복용 시 관절 연골 보호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그 효능이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정도인지는 불명확하 다. 또한 대규모 연구나 디자인이 잘된 연구만을 따로 분석하였을 때 glucosamine, chondroitin sulfate 의 효과 크기는 감소하는데 바꾸어 말하 면 디자인이 잘 된 연구일수록 약제의 효과가 적 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근에 시행된 세 개의 무작위, 이중맹검 시험은 제약회사가 데이터 에 접근하거나 분석하지 못하도록 하고 시행되었 는데 결과 glucosamine의 효과는 위약보다 낫지 않았다. glucosamine이 연골을 보호하는지에 대 해서도 논란이 많다. 최근에 발표된 무작위 임상 연구에서 glucosamine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 서 관절통을 호전시킬 뿐 아니라 기립 전후방 무 릎 방사선 촬영에서 분석한 관절강의 폭으로 측정 되는 관절 연골의 손상에도 보호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결과는 유럽에서 나온 보고로 212명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게 1일 1500 mg의 oral glucosamine sulphate를 3년 간 투여한 결과 위약 군에 비교하여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WO- MAC) 척도로 본 증상의 호전과 함께 방사선 상 관절강 협착을 현저히 억제했다는 것이다15). 이것 은 경구 약제로 무릎 골관절염의 연골 보호 효과

를 증명한 최초의 보고인데 연구의 구성이 우수하 고 비교적 많은 수의 환자를 골관절염의 경과를 보기에 적절히 긴 기간 추적한 연구라는 점에 의 의가 있다. 그러나 두 군 사이의 관절강 협착 정 도의 차이가 0.25 mm로 극히 미미한 점에서 실 제적인 효용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퇴행성 관절염 의 경과 조절 약제를 증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 운 작업인지를 실감하게 한다. 또한 방사선 검사 방법 상 통증이 감소한 환자에서는 무릎 관절의 신전이 더 많이 되기 때문에 관절강이 넓어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어 해석에 많은 이견이 있다.

② Diacerhein/Rhein

Diacerhein과 활성 대사물인 rhein은 anth- raqionones 화합물이다. 연골 세포 배양 시 IL- 1이 가지는 연골 분해 기능을 상쇄하는 것이 중요 한 작용 기전으로 알려져 있고 이외에도 TGF-β 의 생성을 촉진하고 개의 퇴행성 관절염 모델에서 연골의 파괴를 현저히 억제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무릎 골관 절염 환자 484명을 대상으로 한 16주간의 무작위 대조군 시험이 가장 최근의 신빙성 있는 결과인데 100 mg/일 용량의 diacerhein을 복용한 환자에 서 위약군에 비해 통증과 기능의 호전이 관찰되었 다. 이 연구에서 50 mg/일이나 150 mg/일의 용 량은 위약군에 비해 호전의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는 점이 흥미롭다16). 연골 보호 효과에 대한 임상 연구로는 507명의 고관절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ECHODI- AH trial이 가장 유명한데 3년간 진행된 이 연구 에서 diacerhein 복용군은 위약군에 비해 관절강 협착이 유의하게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17). 그러 나 47%의 탈락률, 두 군사이의 관절강 협착의 차 이가 0.05 mm로 극히 미미하고 diacerhein이 골관절염의 증상에는 아무런 효과를 보이지 않았 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③ S-adenosyl methionine (SAMe)

Anthraquinone 유도체로 glucosamine처럼 보조 식품으로 시작한 약제이다. 유해 산소 제거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0년대에 무

(6)

릎 골 관절염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임상 연구에 서 NSAID와 비슷한 통증 억제 효능을 보이며 부작용은 적다는 것이 발표되었다18). 토끼의 퇴행 성 관절염 모델에서 연골의 파괴를 억제했다는 보 고가 있으나 사람의 퇴행성 관절염의 경과를 변화 시킨다는 데이터는 없다.

④ Hyaluronic acid 유도체 관절 내 주사의 DMOAD로서의 역할

hyaluronate의 동통과 염증에 대한 임상적 효 과가 어느 정도 인정되고 있는 반면 사람의 골관 절염 연골 보호에 대한 효과는 불투명하다.

Hyaluronate의 효과는 연골 기질에 대한 효과 뿐 아니라 면역 조절의 기능도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는데 단핵 세포의 탐식 작용과 백혈구의 이 동을 억제하며 free radical 제거 기능도 갖는다.

한 연구에서 39명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게 Hyalgan 주사를 1주 간격 3회 주사하는 치료를 3개월 간격으로 3회 반복 실시한 후 1년 후 관절 경 검사로 연골 구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 군에 비해 동통과 보행 기능 등의 임상적 소견 뿐 아니라 관절경으로 관찰한 연골 손상 정도도 적었 다는 것이 보고되어 이 약제가 사람에서 연골 보 호 작용을 할 가능성이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그 러나 이 연구에서 단순 방사선 촬영으로 관찰한 관절강 협착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점과 관절경에 의한 연골 병변 정도 평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이견이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이다19). 다른 연구에서 무릎 골관절염에서 Hyal- gan을 1주 간격 5회 주사한 환자와 steroid 주사 한 환자를 6개월 후 연골 조직 검사로 비교한 결 과 hyaluronate 치료 환자에서 연골 조직의 성 상이 유의하게 우수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최근 의 무작위 이중 맹검 시험에서 273명의 무릎 골 관절염 환자에서 1년간 3회의 hyaluronan주사 를 맞은 경우 생리 식염수 대조군에 비해 관절강 의 협착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고 보고되었으나 사람의 골관절염에서 hyaluronate가 가지는 연 골의 구조 변화 효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서는 장기간에 걸친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20). Hyaluronate의 연골 보호 효과에 대해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1회 주사 후 관절

내 반감기가 17시간-1.5일 정도로 짧고 주사 후 관절액내 농도 증가가 10% 정도에 지나지 않아 장기간의 효과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결 론

골관절염의 치료는 다양한 비약물적, 약물적 치 료 방법이 골고루 이용되며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른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 당장은 증상의 완화 가 목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질환의 진행을 억제 하는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어떤 약제이든 골 관절염의 경과 조절 효능을 입증받기 위해서는 이 중 맹검 위약 대조 임상 시험을 통한 철저한 증명 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많은 약제들이 증상 완화 효능을 가지고 있어 경과 조절 효능이 입증되지 않았더라도 골관절염 환자의 치료제로 처방될 수 있다.

REFERENCES

1) Rains C, Bryson HM: Topical capsaicin.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er- apeutic potential in post-herpetic neuralgia, dia- betic neuropathy and osteoarthritis. Drugs Aging, 7: 317-28, 1995.

2) Altman R, Barkin RL: Topical therapy for osteoarthritis: clinical and pharmacologic per- spectives. Postgrad Med, 121: 139-47, 2009.

3) Rosenstein ED: Topical agents in the treatment of rheumatic disorders. Rheum Dis Clin North Am 25: 899-918, 1999.

4) Bradley JD, Brandt KD, Katz BP, Kalasinski LA, Ryan SI: Comparison of an antiinflammato- ry dose of ibuprofen, an analgesic dose of ibupro- fen, and acetaminophe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N Engl J Med 325: 87-91, 1991.

5) Kean WF, Buchanan WW: The use of NSAIDs in rheumatic disorders 2005: a global perspective.

Inflammopharmacology, 13: 343-70, 2005.

6) Laine L, White WB, Rostom A, Hochberg M:

COX-2 selectiv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7)

osteoarthritis. Semin Arthritis Rheum, 38: 165- 87, 2008.

7) Cepeda MS, Camargo F, Zea C, Valencia L:

Tramadol for osteoarthrit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3: CD005522, 2006.

8) Katz WA: Pharmacology and clinical experience with tramadol in osteoarthritis. Drugs, 52: 39-47, 1996.

9) Wada J, Koshino T, Morii T, Sugimoto K:

Natural course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treat- ed with or without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Bull Hosp Jt Dis, 53: 45-48, 1993.

10) Simon LS: Viscosupplementation therapy with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Rheum Dis Clinics North Am, 25: 345-57, 1999.

11) Dougados M, Nguyen M, Listrat V, Amor B:

High molecular weight sodium hyaluronate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Osteoarthritis Carti- lage, 1: 97-103, 1993.

12) Petrella RJ, DiSilvestro MD, Hildebrand C:

Effects of hyaluronate sodium on pain and physi- cal functioning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Arch Intern Med, 162: 292-8, 2002.

13) Lussier A, Cividino AA, McFarlane CA, Olszynski WP, Potashner WJ, De Me′′dicis R:

Viscosupplementation with hylan for the treat- ment of osteoarthritis: Findings from clinical practice in Canada. J Rheumatol, 23: 1579-85, 1996.

14) Delafuente JC: Glucosamine in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Rheum Dis Clinics North Am, 26:

1-11, 2000.

15) Reginster JY, Deroisy R, Rovati LC et al.:

Long-term effects of glucosamine sulphate on osteoarthritis progression: a randomised, place- bo-controlled clinical trial. Lancet, 357: 251-6, 2001.

16) Pelletier JP, Yaron M, Haraoui B et al.: Effi- cacy and safety of diacerein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Arthritis Rheum, 43: 2339-48, 2000.

17) Dougados M, Nguyen M, Berdah L et al.:

Evaluation of the structure-modifying effects of diacerhein in hip osteoarthritis: ECHODIAH, a three-year, placebo-controlled trial. Arthritis Rheum, 44: 2539-47, 2001.

18) Bradley JD, Flusser D, Katz BP, et al.: A ran- 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intravenous loading with S-adenosylmethionine (SAM) followed by oral SAM therapy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J Rheumatol, 21: 905- 11, 1994.

19) Dougados M: Sodium hyaluranate therapy in osteoarthritis: Arguments for a potential benefi- cial structural effect. Semin Arthritis Rheum, 30:

19-25, 2000.

20) Felson DT, Anderson JJ: Hyaluronate sodium injections for osteoarthritis: hope, hype and hard truths. Arch Intern Med, 162: 245-7, 2002.

참조

관련 문서

특히 방사선 치료는 치료가 힘든 문맥 침범에서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간동맥 화학색전술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치유 효과를 배가

예: 두 물체의 마찰 시 생겨나는 전하는 새로이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이동함에 의하여 나타나는 알짜전하

계획의 목표에 맞게 선행되어진 분석 내용을 상대적 중요 성을 검토하는 개발 및 계획 여건이 가지는 문제점 종합분.. 관광개발

 즉, 보호적 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디자인된 부분이 표현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표현적 목적으로 디자인된 부분이 보호적

프롤린 탈수소효소, 저장 아미노산 분해, 아스코르빈산 생성 관여... 역행성 조절: 핵유전자 발현이 세포 소기관의

탄산 칼슘은 Tums로 알려진 약제의 활성 성분으로 작용 - 염기인 탄산 이온은 하이드로늄 이온을 중화한다. - 적은 양의 탄산 칼슘(분피로 또한

[r]

3.3. 세계 빈곤층의 75%가 농촌에 거주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농촌개발과 개발 혜택을 폭 넓게 공유하는 것이 가난과 식량 부족의 위험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