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imer 철학의 변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Reimer 철학의 변천"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Reimer 철학의 변천

I.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의 등장과 배경

- Reimer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1970)": 도구주의적 음악교육에서 심미주의로 교율론을 변화시키는 결정적 계기

- Elliot "Music Matters(1995)": 리머철학에 대해 다면적으로 비판 - “음악교육철학”: 1st(1970), 2nd(1989): 심미적 음악교육철학 유지

3rd(2003): 통합적 관점의 경험중심 음악교육(Experience-based) II. 심미적 음악교육 철학

1. 주요원리

1) 절대표현주의 미학: 절대는 음악의 형식적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표현주의는 형식을 통 해 객체화 된 느낌의 세계 의미

- 절대표현주의: 예술 작품은 느낌 형식의 구현

- 예술작품: 변하는 느낌의 흐름이 매체를 통하여 구현된 것 - 표현성: 예술 작품을 통해 객체화 된 역동적 느낌의 형식 2) 예술적 경험

- 지각과 반응의 과정 3) 예술의 의미

- 미적지각의 구성을 통하여 공시적으로 감지됨 - ‘통찰’: 예술작품에 대한 직관적 감지 능력 4) 예술행위

- 창작: 창작자와 매체간의 상호작용

- 연주: 창작자가 매체를 통해 형식화한 표현성을 실현하는 행위

- 감상: 매우 적극적인 참여 행위(리머), 창작자나 연주자의 주관성을 공유할 뿐 아니라, 예 술작품의 ‘열려있는 의미’의 가능성을 계속적으로 탐색

5) 심미적 음악교육

- 음악작품에 내재된 느낌의 세계를 감자하고 그 질을 판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관

6) 실천-심미적 행동의 개발

- 음악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지각행위, 반응행위, 창작행위, 개념화, 분석, 평가, 가치화

⇒ 학교의 음악교육의 목표는 심미적 행동의 개발

III. Reimer의 음악교육철학에 나타난 변화 1. 개괄

- 실천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사고를 음악교육철학에 수용 → 음악적 행위의 중요성 강조,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의 음악적 이해라는 관점

2. 경험중심 음악교육 철학

- 초판과 2판에 예술 일반론적인 논지를 펼쳤던 것에서 후퇴하여 3판에서는 논의의 주제를 음악으로 한정하였다

- 절대표현주의의 특징과 포스트모더니즘 등 현대 철학을 수용하여 변증법적인 종합 시도

(2)

심미적 음악교육 철학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절대표현주의 절충주의

음악적

경험 표현성에 대한 지각-반응 특별함, 비일상적 느낌

음악의 의미

구현적 의미 표현적 상징

미적 지각 구성을 통해 감지

구현적 의미 표현적 상징 의미구성의 다양성 음악적

행위 매체에 느낌의 형식을 부여하는 과정 음악적 역한(지능)의 수행

목적 미적 경험을 통한 자아실현 음악의 다면적 경험을 통한 자신과 타인의 이해

음악적 느낌의 세계에 대한 감수성 음악적 역할 수행능력 1) 절충적 미학

- 절대표현주의를 약화시키고, 형식주의적 관점과 포스트모더니즘적 가치 수용 - music as form

- music as practice - music as social agency - multi-culturalism 수용 2) 음악적 경험

- 특별함의 경험이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기대자체는 보편적 - 특별함의 경험은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지 못한 종류의 경험

3) 음악의 의미

- 음악적인 앎: knowing within, knowing how, knowing about, knowing why

- 음악내적 앎은 음악의 형식을 통해 객관화된 느낌의 세계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 하게 취급

4) 음악적 행위

- 음악적 과정에 대한 앎

- 음악적 창의성을 다양한 musical intelligence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역할수행의 정도로 정 의하고, 모든 사람에게 창의적인 능력이 있다는 점 강조

5) 경험중심 음악교육

-‘특별한 종류의 앎’을 제공하는 음악과의 직접적, 지각적, 다면적 경험을 통하여 인간 삶의

‘특별한 질’을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다른 방식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자신에 대한 발견에 이를 뿐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권, 그리고 보편적인 인간의 삶의 ‘특별한 속성’을 이해하 게 하는 데 있다

6) 음악적 지능

-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개념 차용

- 음악적 지능을 세분화 하여 작곡, 연주, 즉흥연주, 감상, 이론적 이해, 체계적 이해, 음악 교수 등의 지능으로 나눔

- 음악적 역할의 구분과 동일하게 간주

IV. 심미적 음악교육 철학과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비교

(3)

지능 보편적 문화맥락적

실천적 행동

지각 반응 창작 개념화 분석평가

가치화

가창연주 즉흥연주

작곡 편곡 독보, 기보

감상 분석 및 기술

평가

자매예술과의 관계이해 역사 문화적 맥락 이해

* 음악교육의 기초 p.78 참조

Elliot의 실천주의적 음악교육철학

I. 배경

- ‘Music Matters' 출간 ⇒ Reimer의 심미적 음악교육론 비판

1. 음악의 결과만을 중시, 과정적 측면 도외시: 음악의 과정적 특징에 대한 설명 불가 2. 18-19C 순수예술 관련 elitism: 음악을 특정 집단의 지적 욕구 충족의 방편으로 소비 3. 미학과 철학에 대한 혼동: 예술에 대한 철학적 견해의 다양성 무시

4. 현대 음악교육에 있어서의 시사점 - 음악적 행위의 교육적 가치 - 음악 문화에서의 맥락의 중요성 - 비서구음악의 본질적인 가치 발견

II. 전제

1. “행위는 인간의 모든 의식이 나타나는 가장 구체적인 실체이다”

- 언어적 개념 vs 비언어적 개념

- 이원론(dualism) 반박: 행위는 생각하기와 앎의 비언어적 형태. 인간의 정신과 육체가 각 각 별개로 기능한다는 논리 반박. 인간의 행위는 인간의 thingking과 knowing의 비언어적 형태라고 주장, 즉 인간의 행위 속에 인간의 사고와 지식이 함축되어있다.

2. “이 세계에는 다양한 음악이 존재하며 그 각각의 음악은 각기 전통과 문화적 맥락 위에 서 발전해 오고 있다”

- 다문화적 음악론: 음악의 이해에 있어 시대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는 필수, 시대별 음악에 따른 상이한 사회적 관습 및 신념, 가치 반영

- 시대적 속성 → 음악의 특수성

- 각 음악 비교를 위한 보편적 기준 대신 문화적 맥락내에서의 개별적 기준 마련 필요

III. 관점 1. 음악론

(4)

- “정적인 것이 아니라 동적인 것”

- “음악작품이 아니라 음악행위”

- “음악은 다양한 인간의 실행의 일부”

- “음악은 순수 소리예술, 순수 심미예술이 아니라 문화적 특정 음악 실행행위에 기초한 예 술”

2. 음악적 지식

- 과정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

: 음악 행위시 각 과정마다 적합한 의식 등이 시리즈 형태로 나타나는 지식 비언어적, 연속적

ex) 스키타기/ 음악회의 지휘자 - 형식적 지식(formal knowledge)

: 음악교과서에 실린 지식 → 가치와 한계에 대한 분명한 인식 중요 언어적, 개별적

ex) 음악이론, 연주주법 및 악상기호

- 비형식적 지식(informal knowledge), 상황적 지식(situated) : 말, 글, 기호로 설명불가한 지식

비언어적, 경험적 ex) 숙련된 음악가들

- 인상적 지식(impressionistic knowledge), 인지적(cognitive)

: 음악행위시 발생하는 감정 속에 존재하는 지식 → 인간의식, 인지, 신념과 인지발달 과정 간의 긴밀성 주의

직관적, 인지적, 신념적

ex) 일본인에 대한 한국민들의 감정

- 통제적 지식(supervisory knowledge), 상위인지(metacognition) : 행동에 대해 관찰, 평가, 적응, 균형조절, 감독, 통제하는 지식 비언어적, 상황적

ex) 음악연주

3. 음악교육의 목적 1) 음악하기

2) 음악성 발달

- 음악하기 자체가 목적이 되며, 음악성 발달이 동반성취

- 실제 경험 강조: 음악의 다양성, 인간성, 참여성, 사회성, 연주성 직접경험 - 음악적 경험 ≻ 심미적 경험

- 행위의 중요성 역설→감상보다 실기

- 기존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서화 비판, 지식 위주의 자료들의 한계에 대한 분명한 인식

“커리큘럼은 문서화된 계획이 아니라 교사 자신이 되어야 한다.”

Elliot과 Reimer

(5)

- 리머와 엘리엇, 두 학자의 음악교육철학 사이에 틈이 벌어지기 시작하는 부분은 '철학'과 '미학'에 대한 개념, 또는 관점의 차이에서부터라 할 수 있다. 리머와 엘리엇은 그들의 철학 을 전개시키는데 있어 그 전제는 같으나(음악 교육의 본질과 가치는 음악의 본질과 가치에 의한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리머: 철학이 신념체계라 정의 하고, 그의 철학의 기초로 절대표현주의 주장

* 엘리엇: 철학은 비판적이고 체계적인 사고이며 음악교육은 행위와 맥락을 강조하 는 실천 철학에 기초해야 한다고 주장

- 예술의 다차원적 특성: 리머와 엘리엇 같은 의견

* 엘리엇: 예술의 다차원적 특질 자체를 예술의 본질로 여김

* 리머: 다차원적인 것은 인정하지만 그 중 다른 분야와 예술을 구별하게 해 주는 것 즉 예술만의 독특한 본질이 존재하는 것을 강조한다. 그는 예술의 미적 질을 가장 본질 적이고 중요한 위치에 두고 있다.

- '미학' 혹은 '심미적' 이란 용어의 의미·

* 리머: 예술 전반의 본질과 가치에 관련시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온 것 으로 이해

* 엘리엇: 미학의 의미를 시대적, 지역적 특성에 국한하여 이해.- 위와 같은 입장 의 차이는 리머가 미학의 한 입장인 '절대표현주의'를 취하고 있는 것과 엘리엇이 이러한 리머의 미학적 입장을 반박하려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렇게 철 학적 전제가 되는 내용의 차이는 음악 활동 전반에 대한 입장의 차이로 전개된다.

참조

관련 문서

para,klhtoj 는 이제 작별하시는 지상적 예수가 말한 모든 것을 회상케 하며,이를 통하여 예수 자신에 의해 말해진 말씀 이 교회에서 결코 상실되지 않고 항상 변화되지 않고

변수 변수의 변화 수요량의 변화 재산.. 상대적 기대수익률 상대적

다음은 돌턴 원자 모형으로부터 현대 원자 모형까지의 변천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와 여러 과학자의 원자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강원대학교가 효자골에 자리잡은 지 70년, 현재 강원의 영동과 영서를 아우르는 3개 캠퍼스와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지역 거점대학으로

입식, 침대 생활선호, 적극적인 수용태도는 보이지 않음.

- 광고를 현대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문화 적 현상으로 파악하여 광고언어에 나타난 문화에 대해 언급한 논의는 많지 않다... - 광고언어에 나타난 문화에 대한 논의는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