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과정,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연구소 교수, 김남희* · 박오장**

A Study on Coronary Artery Restenosis,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Compliance in the Patients received Follow-up Coronary Angiogram after Coronary Intervention

Kim, Nam-Hee* · Park, Oh-Jang**

*Dept. of Nursing, Graduate School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NU

> Abstract <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onary artery restenosis, the knowledge related- disease and compliance after coronary artery interven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151 CDA patients received follow-up coronary angiogram after coronary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terview with questionnaires and the review the medical records from June to August, 2003. Data were analyzed by mean, percent, t-test, ANOVA and Tukey or Sheffe test using SAS program.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in the CDA patients was 25.9 point of 33, and compliance score was 41.6 point of 5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in sex (F = 2.28, p = .024) and education level (F = 4.17, p = .007). Female and higher educate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of male and lower educated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mpliance in age (F = 3.30, p = .013). The patients over 60 age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of 40, 50 and 70 aged. The patients who viewed vascular restenosis were 36.4% and patients who did not view it were 63.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the compliance between having the vascular restenosis or not.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was the highest on the risk factor domain (83.6%) and lowest on the medication (69.2%). The frequency of correct answer on the knowledge

(2)

related-disease was highest in the confrontation method at the cardiac attack (99.3%) and lowest in the possibility of sexual activity after coronary intervention (36.4%).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the compliance according to the vascular restenosis.

Key words: Coronary Artery Restenosis, Knowledge related-Disease, Compliance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서구 선진국에서 조사한 성인 사망 요인 중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고, 최근 들어 우리나라도 생활양식의 서구화 및 비만, 고혈압, 흡연인구 및 스트레스 증가 등에 기인하여 심근경색증을 포함한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율과 이로 인한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통 계청, 2000). 관상동맥 질환이란 심장 근육에서의 산소 요구와 공급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초래 되는 허혈성 심질환의 형태를 말하며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개흉하지 않고 넓힐 수 있는 관상 동맥 중재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그 방법으로는 풍선 확장술, 스텐트 시술, 죽상종 절제술, 레 이저 확장술 등 다양하며, 현재 임상적으로는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확장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및 관상동맥 스텐트 (stent) 시술이 가장 많이 실시되 고 있다 (정명호 등, 1996).

그러나 관상동맥 중재술 후에 따르는 가장 중요하고도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데 그 것은 시술후 6개월 이내에 주로 발생하는 혈관 재협착을 들 수 있다. 재협착률을 줄이기 위하여 새로운 약물요법, 특수 stent 삽입 등의 치료방법이 시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도 재협착율은 30-50%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김유정, 1998).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크게 환자의 특성, 임상인자, 관동맥 조영인자, 시술인자로 분류할 수 있는데, 환자의 특성에 관한 것으 로는 당뇨병, 남성환자, 지속적인 흡연 등의 환자군에서 재협착율이 높다고 이미 보고되었다 (석 준호 등 1998). 그러나 다른 요인으로서 관상동맥질환과 관련된 지식부족이나 일상생활 습관과 관 련되는 환자역할행위 불이행에 대한 규명은 김지영과 박오장(1997)의 연구 외에는 아직 미흡한 실 정이다. 관상동맥 질환은 급성기 치료 후에도 평생동안 재발 및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계속적 인 병원방문, 약물 복용, 금연, 식이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조절 등을 통하여 위험요인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Kinney & Packa, 1996; AACVPR, 1999), 이러한 환자역할행위 이행을 통 하여 재발율을 낮추고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Hamalainen, Luurila,

(3)

Kallio & Knuts, 1995).

따라서 관상동맥질환과 관련된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이 관상동맥 질환자의 혈관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규명할 필요성을 갖게되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환자역할행위 이행과 관 련된 선행연구는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지식정도와 이행정도를 측정한 연구(김유정, 1998; 남명희, 1997)가 다수 보고되었으나 혈관 재협착 여부에 따른 요인규명으로서의 연구는 아니었다.

이에 관상동맥 중재술 후 추적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의 혈관재협착 여부별 환자역할행위 이행과 질병관련 지식의 차이를 규명해 봄으로써 환자역할행위 이행 및 질병관련 지식이 관상동 맥 조영술을 받은 후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환자들의 혈관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 인하고, 대상자에게 부족한 지식과 이행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혈관 재협착 감소를 위한 프 로그램 제작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2. 연구의 목적

관상동맥중재술 후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환자들의 혈관 재협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갖는다.

1)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한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한다.

3) 혈관 재협착 여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한다.

4) 질병관련 지식의 문항별 정답율과 문항별 환자역할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한다.

3. 용어의 정의

1)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중재술이란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관상동맥 스텐트시술(stent), 레이저 혈관성형술, 죽상종 절제 술을 포함한다(정명호,1996).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죽상종 절제술은 제외하였다.

① 경피적 관상동맥 풍선 확장술이란 대퇴동맥이나 상완동맥에 풍선확장도자 (balloon dilatation catheter)를 삽입하여 동맥경화성 죽상종(atheromatous plague) 부위에 놓은 다음 풍선을 2회 이상 부풀려 죽상종을 압박함으로써 혈관을 넓혀 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다 (정명호, 1996).

② 관상동맥 스텐트시술이란 좁아진 혈관에 stent라는 금속철망을 씌워 혈관을 넓히는 시술이다 (정명호, 1996).

③ 레이저 혈관성형술 (laser angioplasty)이란 관동맥내 죽종을 laser로 증발(vaporization)시켜 제 거하는 치료 방법이다(정명호, 1996).

(4)

2) 추적관상동맥 조영술: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이란 대퇴동맥이나 상완동맥에 카테타를 넣어 조영제를 투입하여 관상동 맥을 찰영하는 방법으로 관상동맥 중재술 후 6개월 전후에 혈관 재협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혈 관촬영법이다(김유정 1998).

3) 질병관련 지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 위험요인, 식이, 투약, 운동 등 심장질환에 유익한 일상생활에 관하여 환 자가 알고있는 정도로서 (김인자, 1992; 이윤희, 1992), 본 연구에서는 김인자(1992)가 제작한 관상 동맥질환자의 질병에 대한 지식측정도구를 근거로 연구자가 제작한 도구에 의해 측정된 점수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4) 환자역할행위 이행:

환자 역할행위 이행이란 만성병 환자가 지켜야 할 임상적 처방과 일치하는 행 동을 개인이 행하고 있는 정도로서 (Dracup, 1982), 본 연구에서는 박오장(1997)이 제작한 고혈압환자 역할행위 이행측정도구를 김유정 (1998)이 수정보 완한 관상동맥 질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측정도구로 측정 한 점수를 말한다. 이행점수가 높을수록 이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행동의 범위(Dracup, 1982)로서 박오장 (1997)이 제작한 고혈압 환자 역할행위 이행 측정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한

관 Ⅱ. 연 구 방 법

1. 연구 설계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관상동맥질환자의 혈관재협착 여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및 환 자역할행위 이행의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003년 6월 10일부터 동년 8월 29일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순환기 내과에서 과거에 관상동맥 중 재술을 받고 혈관 재협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술 받은 환자 158명 중 설문지에 응답하지 않는 7명을 제외한 151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만 20세이상인 환자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2)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자

(5)

3)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3. 연구 도구

1) 질병에 대한 지식측정도구

김인자(1992)가 제작한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측정도구를 근거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진․위를 가리는 문제로서 질병의 특성 4문항, 위험요인 8문항, 식이 7문항, 복 약 7문항, 운동과 일상생활 7문항의 총 3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오답과 모른다의 경우 0점, 정답의 경우 1점으로 하여 0점에서 33점까지의 범위로 점수가 높을수록 질병관련 지식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5이었다.

2) 환자역할행위 이행 측정도구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박오장 (1997)이 개발한 환자역할행위 이행 측정도구를 김유정(1998)이 수정한 관상동맥질환자 역할행위 이행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고 재협착을 막기 위해서 지켜야 할 식이, 운동, 약물 요법과 기호식품의 제한, 병원 방문, 체중 관리, 신체적 정신적인 안정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11개 문항의 5점 척도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이행을 잘한다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65이었다.

4.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질병관련 지식과 역 할행위 이행은 평균점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과 역할행위 이 행의 차이,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재협착 여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의 차 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고 Tukey test 또는 S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G시 소재의 일개 3차 종합병원인 C 대학교 병원에서 관상동맥 중재술 후 추적 관상 동맥 조영술을 받은 환자들 중 1개 병동에 입원한 환자로 국한하였음으로 보편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6)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성별에서 남자가 120명 (79.5%) 여자가 31명 (20.5%)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4배가 많았다. 연 령별로는 60-69세가 56명 (40.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0-59세 (29.7%), 70-79세 (14.5%), 49 세 이하 (12.3%), 80세 이상 (2.9%)의 순이었다 (Table 1). 교육정도는 중졸 이상 고졸 이하가 53 명 (41.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초졸이 28명 (22.1%), 대졸 이상이 27명 (21.3%), 무학 19명 (14.9%) 순이었다. 과거병력별로 살펴보면 관상동맥질환에 영향을 주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질혈 증 등이 동반된 대상자가 76명 (50.33%), 동반질환이 없는 대상자가 75명 (49.67%)으로 거의 차이 가 없었다.

2. 일반적 특성별 질병에 대한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의 정도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의 차이 검정은 (Table 1)과 같았다. 전체 대상자의 질병관 련 지식은 총 33점 중 평균 25.9점으로 100점 환산 점수 78.5점을 보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F

= 2.28, p = .024)과 학력 (F = 4.17, p = .0075)이 질병관련 지식에 차이를 보여 Scheffe test로 사 후검정한 결과 대졸 이상이 초․중․고졸이나 무학에서보다 유의한 차이로 질병에 대한 지식이 높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대한 차이검정은 (Table 1)과 같았다. 전 체 대상자의 환자역할행위 이행의 평균점수는 총 55점 중 41.9점으로 100점 환산 점수 76.2점이었 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F = 3.3, p = .013)이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차이를 보여 Tukey test 결과 60대가 49세 이하보다 유의한 차이로 환자역할행위 이행이 높았다.

3. 대상자의 혈관 재협착과 새혈관 협착 여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 역할행위 이행정도의 차이

전체 대상자 중 혈관 재협착이 있는 사람은 55명(36.4%)이었고 재협착이 없는 사람은 96명 (63.6%)이었다. 새혈관이 협착된 사람은 26명 (17.2%)이었고 새혈관의 협착이 없는 사람은 125명 (82.8%)이었다. 혈관 재협착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F = .98, p = .32)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의 정도 (F = 2.39, p = .1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새혈관 협착여부에 따른 질병에 대한 지

(7)

식(F = .18, p = .67)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 (F = .98, p = .32)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2).

4.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에 대한 문항별 정답율

대상자의 문항별 질병에 대한 지식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able 3). 전체 대상자의 평 균 정답율은 77.5%였고, 영역별 정답율은 위험요인 영역에서 83.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운동과 일상생활에 관한 영역 (83.5%), 식이에 관한 영역 (80.3%), 질병의 특성영역 ( 70.9%), 복약에 관 한 영역 (69.2%)의 순으로, 복약에 관한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정답율을 보였다.

문항별 정답율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흉통이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완화되지 않고 30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119 혹은 의사에게 연락한다’ (99.3%)였고, 다음은 ‘약은 매일 일정한 시 간에 먹는다’ (98.7%), ‘적당한 운동은 심장회복에 필요하다’ (98.7%), ‘화를 내거나 흥분하게 되면 심장발작이 올 수 있다’ (96.7%) 순이었고 가장 낮은 정답율을 보인 문항은 ‘심장발작 후에도 성 생활이 가능하다’ (36.4%), ‘니트로글리세린을 먹으면 어지럼증과 저혈압, 가벼운 두통이 올 수 있 다’ (36.4%), ‘강심제를 먹기 전에는 항상 맥박을 잰다 (41.1%), ’통조림, 즉석 냉동식품에 염분이 많이 들어 있다‘ (56.3%)순이었다.

5. 대상자의 문항별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

대상자의 문항별 환자역할행위 이행점수는 평균 3.81점이었다 (Table 4).

이행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약물복용의 규칙성 (4.64점), 담배의 제한 (4.61점)이었고, 이행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체중조절을 위한 식사량의 조절 (2.97점), 염분제한 식이 (3.09점), 매일 10분 이 상의 운동 실천 (3.13점)이었다.

Ⅳ. 논 의

환자역할행위 이행 및 질병관련 지식이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환자들의 혈관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2003년 6월부터 8월까지 G시에 소재한 C 종합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본 연구를 시도하 게 되었다.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79.5%로 여자(20.5%)보다 약 4배정도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윤희 의 1992년도 연구에서 남자가 69.2%, 김인자의 1992년도에 75.4%, 김유정의 1998년도에 78.2%, 정 혜선의 2001도에 77.8%로 성별 분포가 남성이 여성보다 월등히 높았고 점점 증가추세 경향을 보

(8)

인 점이 유사했다. 또한 연령분포는 60대 이상이 58%로 매우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관상 동맥질환 자체가 50대 이상의 연령군에서 많이 발생함으로써 생긴 결과라 사료된다.

혈관 재협착을 보인 대상자는 36.4%로 김유정(1998)의 37.8%와 비슷한 분포를 보였던 것은 김 유정(1998)의 관상동맥 중재술의 합병증 30-50%의 범주에 들어가며 관상동맥중재 시술은 발전하 고 있지만 관상동맥중재술 후 내막증식이나 혈전형성등을 포함한 합병증 발생율을 낮추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혈관 재협착 여부에 따라 질병관련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아, 질병관련 지식이나 환자역할 행위 이행이 혈관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증 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혈관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미 밝혀진 환자의 특 성으로서, 당뇨병, 남성환자, 지속적인 흡연 등(석준호 등 1998)이 그만큼 주요인자임을 알 수 있 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는 정답률이 77.5%로 문미혜(1989)의 63.5%, 정 혜선(2001)의 58%보다 높았고 이윤희(1992)의 73%, 김인자(1992)의 74%와 유사하였다. 질병관련 지식정도에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학력수준으로 나타나 다른 여러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황 경자, 1986; 김인자, 1992; 정혜선, 2001).

정답률이 낮았던 문항을 살펴보면 심장발작과 관련한 성생활, 니트로글리세린의 부작용, 강심 제복용시 주의점, 질병의 만성적 특성, 저장 및 즉석 냉동식품과 식염함유에 관한 문항이었고 정 답율이 높았던 문항으로는 심장발작시의 응급상황 대처, 적당한 운동의 필요성, 규칙적인 약물복 용, 흥분과 심장발작의 관계, 콜레스테롤 함유식품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과 일상생활, 위험요인 에서 지식정도가 높았고 질병의 특성과 투약, 심장발작과 성생활문항에서 낮았다는 정혜선(2001) 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질병의 특성과 투약에서 낮았다는 김인자(199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이는 급성기를 거치고 관상동맥 중재술을 이미 1번이상 받았던 대상자들이었으므로 응 급상황시 대처에 관한 문항이나 규칙적인 약물 복용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인 것은 당연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투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문항에서 정답율이 낮게 나온 것은 비 록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았던 환자라도 이러한 지식을 의료인의 전문영역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습득하는데 적극성을 띄우지 않아 지식정도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정혜선, 2001). 또한 초발 심 근경색증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혜선(2001)보다 전체적인 정답율이 높게 나왔으나 낮은 정답율을 보인 문항들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이미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라도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습득은 어려운 영역으로 생각하고 관심을 두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비록 발병 후 질병기간이 길지만 복약에 대한 지식정도가 낮았는데 투약 이 심장 기능 향상과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저혈압, 서맥, 출혈경향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복용시 주의사항에 대한 지식을 정확히 습득하도 록, 보다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또 대상자마다 질병관련 지식은 차이가 있으므

(9)

로 획일적인 교육보다는 개별화된 교육이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심장발작 후 성생활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성 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올바르게 제공하는 것 또한 절실히 요구된다.

환자역할행위 이행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 대상자의 이행 점수는 55점 만점에 41.9점으로 100점 환산점수로 볼 때 76.2%의 이행률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초발 심근경색증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 혜선(2001)의 건강행위 이행정도 56.7%보다 높게 나왔고 김인자(1992)의 치료지시이행 정도 74.3%보다 약간 높았다. 이것은 이미 연구 대상자들이 응급상황을 거치면서 질환의 위험성을 경 험하였고 관상동맥 질환 자체가 급성기 치료후 자가 관리만 잘하면 재발을 막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질병관련 지식을 많이 습득해서 좀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는 노력이 초발 심근경 색증 환자보다 높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연령별 역할행위 이행점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나이가 젋은층보다 노년층의 이행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로 차이가 있고 연령별로 차이가 없 다는 정혜선(2001)의 연구와 상이한 것으로, 이는 정혜선(2001)의 연구에서는 60대 이하의 대상자 가 34.7%인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58%로 더 많았고 젋은 생산층에 비해 노년층이 업무와 생계유 지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고, 시간적 여유가 많으며, 또한 남은 여생을 건강하게 보내려는 동기부 여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에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체중 조절을 위한 식사량 조절, 식이의 염분 제한, 규칙적인 운동에 관한 문항이었고,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규칙적인 약물 복용행위, 금연, 정기적인 병원방문이었는데, 이는 정혜선(2001)의 금연에서 이행이 높았고, 이윤희(1992)의 저염식 이와 스트레스관리에서, 정혜선(1996)의 퇴원후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스에서, 정혜선(2001)의 규 칙적 운동에서, 김인자(1992)의 운동과 휴식에서 이행 정도가 낮았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했다. 또 한 본 연구에서 식이의 염분제한과 체종조절, 규칙적인 운동정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실생 활에 본인이 알고 있는 질병관련 지식을 제대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추후관리와 운동관련 프로그램을 통한 계속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고경희와 이성 은(1998)의 연구에서 질병발생 전에 운동을 하던 대상자들도 발병후 운동을 그만 두는 경우가 있 다고 하였으나, 의료인의 지시에 따르고 주의사항을 잘 지키면 운동중 합병증 발생은 빈도가 적으 므로 대상자에게 적절한 운동의 종류, 강도, 빈도, 시간과 진행수준 등을 교육하고, 이행을 지지한 다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환자역할행위 이행 및 질병관련 지식이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환자들의 혈관 재협착에

(10)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003년 6월부터 8월까지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고 추후 관상동 맥 조영술을 받기 위해 G시 소재 C대학병원 순환기내과에 입원한 151명의 관상동맥질환자를 대 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의 질병에 대한 지식수준은 총 33점 중 평균 25.7 점이었고 환자역할행위 이행점수는 55점 중 평균 41.9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 중 질병관련 지식점수는 성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F = 2.28, p = .024), 학력에서 대졸이상이 무학이나 초․중․고졸보다 (F = 4.17, p = .0075) 유의하게 더 높았다.

3. 일반적 특성 중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는 연령에서 60대가 다른 연령층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

= 3.3, p = .013).

4. 혈관 재협착이 발생된 사람은 36.4%, 발생되지 않은 사람은 63.6%이었다. 한편 새로운 혈관에 협착이 발생된 사람이 17.2%, 발생되지 않은 사람이 82.8%이었다.

5. 혈관 재협착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F = .98, p = .32)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의 정도 (F = 2.39, p = .1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제 언

이상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관상동맥 중재술 후 심혈관 조영술을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다양한 기질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2. 혈관 재협착여부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및 역할행위 이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세분화 된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과 재협착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반복연구 및 재 협착 의 다른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고경희, 이성은(1998). 일개 종합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관상동맥질환자의 교육연구, 한국보건 교육학회지, 15(2), 143-161

김유정(1998). 관상동맥 중재술후 추적관상동맥중재술 실천에 대한 조사연구,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김인자(1992).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지식정도와 치료지시 이행정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김지영, 박오장(1997). 고혈압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 대한 조사연구, 간호과학논집, 2(1).

(11)

남명희(1997).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신념 및 자기 효능감과 운동 및 식이요법 이행과의 관계, 계 명대 석사학위논문

문미혜(1989). 관상동맥질환자의 지식정도와 치료지시 이행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박오장(1997). 사회적지지가 고혈압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9(2), 175-188

석준호, 김성목, 배성화, 김봉준, 윤지성, 이학준, 신동구, 김영조, 심봉섭(1998). 성공적 경피적 관 상동맥 확장성형술 후 나타나는 재협착과 영향인자, 대한내과학회, 54(5), 684-693

이윤희(1992).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에 대한 교육효과,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정명호(1998). 관상동맥 질환의 내과적 치료, 중재적 시술, 우회로 요법의 치료성적 비교, 순환기, 27, 183-187.

정혜선(1996). 심근경색증 환자의 일반적․의학적 특성과 정서상태에 따른 치료지시 이행정도 ,카 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혜선(2001). 심근경색증 환자의 죽상경화증 위험요인별 질병관련지식과 건강행위이행, 성인간호학회지, 13(4), 529-538.

통계청(2000). 사망원인통계연보-인구동태에 의한 집계

황경자(1986). 허혈성심질환자 환자의 재활 간호를 위한 지식정도와 교육요구 파악에 관한 일 연 구, 연세대학교

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 Pulmonary Rehabilitation(1999). Guidelines for cardiac rehabilitation and secondary preventation program. 3rd. ed.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Dracup, K. A(1982). Compliance an interaction approach, Nursing Research, 31(1). 31-35.

Kinney, M. R., & Packa, D. R. (1996). Comprehensive Cardiac Care. Missouri: The C.V.

Mosby Company

(12)

<Table 1>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the complianc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N=151)

Characteristics

n(%)

Knowledge

related-disease Compliance M±SD t or F

( p ) # M±SD t or F ( p ) ╂ Gender Male

120(79.5)

26.3±4.0 2.28 41.7±5.3 -0.96

Female 31(20.5) 24.5±4.2 (.024) 42.6±4.2 ( .34)

Age Less than 49 17(12.3) 27.3±3.58 4.17 39.2±3.70 3.3 (b) 50 - 59 41(29.7) 26.0±3.86 (.498) 40.9±5.18 (.013) (a,b) 60 - 69 56(40.6) 25.4±4.16 43.3±5.10 (a) 70 - 79 20(14.5) 25.6±5.03 41.3±4.86 (a,b) More than 80 4(2.9) 27.8±4.03 44.8±2.99 (a,b)

Level of Education

None 19(15.0) 24.4±4.75 4.17 (a) 41.8±4.22 .84 Elimentary 28(22.0) 24.9±3.97 (.008) (a) 42.6±4.89 ( .48) Mid-High S. 53(41.7) 25.3±3.62 (a) 41.7±5.11

More college 27(21.3) 27.9±3.49 (b)

40.5±5.34

History of DM, HL, HTN etc.

Have 76(50.3) 26.01±4.2 .26

41.3±5.42

-1.42

Have not 75(49.7) 25.8±4.05 (.796)

42.5±4.71

( .16)

Total 151(100) 25.9±4.1 41.9±5.1

*무응답은 분석에서 제외함. # : Sheffe's multiple range test ╂: Tukey multiple range test

(13)

<Table 2>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the compliance between having the vascular restenosis or not (N=151)

Re-stenosis n (%)

Knowledge related-disease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M±SD t or F p M±SD t or F p Vascular

restenosis Have 55(36.4) 26.4±3.79 .98 .32 41.0±5.31 2.39 .13 Have

not 96(63.6) 25.7±4.94 42.3±4.94 New artery

stenosis Have 26(17.2) 25.6±4.67 .18 .67 41.0±5.57 .98 .32 Have

not 125(82.8) 26.0±3.99 42.0±5.00

(14)

<Table 3> Frequency of correct answer on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Category Item

Correct answer

Incorrect answer n (%) n (%) Nature

of the disease

1. Etiology of coronary artery disease 132 (87.4) 19 (12.6)

2. Function of coronary artery 140 (92.7) 11 ( 7.3)

3. The Purpose of the Blood test 87 (57.6) 64 (42.4)

4. This disease could be cured by only the medication. 69 (45.7) 82 (54.3)

Risk factors

5. The Correlation among Cardiac Attack, Hypertension &

Diabetes Mellitus. 123 (81.5) 28 (18.5) 6.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Attack and Obesity 121 (80.1) 30 (19.9) 7.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ng and Blood Pressure 128 (84.8) 23 (15.2) 8.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Attack and

Hyper-Cholesterolemia

132 (87.4) 19 (12.6)

9.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Arrythmia and

Caffeine. 102 (67.6) 49 (32.4) 10.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Attack and

Emotional upset or Excitement 146 (96.7) 5 ( 3.3) 11.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Attack and Sudden

Temperature Change 126 (83.4) 25 (16.6) 12. The Importance of the Rest 132 (87.4) 19 (12.6)

(15)

Diet

13. Good Foods for Optimal Blood Cholestrol Level 144 (95.4) 7 ( 4.6) 14. Foods of High Cholesterol 135 (89.4) 16 (10.6) 15.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 fat and the Arterio-

Sclerosis 136 (90.1) 15 ( 9.9) 16. The Relationship between Taking the High Fiber Diet

and Prevention of the Arterioscolerosis 128 (84.8) 23 (15.2) 17. Foods of High Sodium 85 (56.3) 66 (43.7)

18. The Relationship between Coffee and Cardiac Vessel 114 (75.5) 37 (24.5)

19. The Benefit of Low Salt Diet for Treatment of

Cardiac Disease 107 (70.9) 44 (29.1) Medica-

tion

20. Correct Medicine on Time 149 (98.7) 2 ( 1.3) 21. Correct Medicine of Dosage 143 (94.7) 8 ( 5.3) 22. Side Effect of Nitroglycerine 55 (36.4) 96 (63.6) 23. Carrying of Nitroglycerine any Time 87 (57.6) 64 (42.4) 24. Always Pulse Check before Using the Digoxine 62 (41.1) 89 (58.9) 25. Drinking is not good before Taking Nitroglycerine 104 (68.8) 47 (31.3)

26. Caution of Nausea, Vomiting and Abnormal Vision after the Medication

132 (87.4) 19 (12.6)

Exercise

& daily activities

27. Adventages of the Proper Daily Exercise for Health

Promotion 149 (98.7) 2 ( 1.3) 28. Possible Time of Sexual Activity after Cardiac Attack 55 (36.4) 96 (63.6) 29. Possibility of Sexual Activity after Drinking or Heavy

Meal 125 (82.8) 26 (17.2)

30. Avoiding Exercise soon after Eating Meal 121 (80.1) 30 (19.9) 31. Avoiding the Long Time Standing or Lifting heavy

things 142 (94.0) 9 ( 6.0)

32. Avoiding the Excessive Physical Activity 141 (93.4) 10 ( 6.6) 33. Call for 119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Cardiac

Attack

150 (99.3) 1 ( .7)

(16)

<Table 4> Mean score of the Compliance by the Questions

Item M±SD

1) Regularity of Hospital Visiting for Health Check 4.50± .85

2) Stop Smoking 4.61± .89

3) Controle of High C

holesterol Food

4.03± .87 4) Meal Control for Body Weight Control 2.97±1.25

5) Abstaining from Coffee 4.05±1.09

6) Abstaining from Alcoholic Drink 4.23± .99 7) Abstaining from High Sodium D

iet

3.09± .84 8) Avoiding of Emotional Upset or Excitement 3.26± .71

9) Avoiding Physical Overwork 3.35± .83

10) Regularity of Daily Exercise 3.13±1.54

11) Correct Medication 4.64± .67

Mean Score 3.81±1.65

참조

관련 문서

DATA 저장/편집 및 결과 Display 안전환경 관련 사규 검색 [분야별] 검색/이용. DATA 저장/편집 및 결과 Display 경미재해 통계 및

시험 이후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 설문지는 교육대상자의 심정지 상황에 대한 경험과 사전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 지식 및 교육 후 심 폐소생술

질병관련 특성과 위험요인에 따른 교육 요구에 대한 인식은 가족력,운동실태 와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심장병 유무,

혈액투석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과 자가간호이행의 차이 는 t 검정과 분산분석을 하였고,우울과 자가간호이행 간의

학술발표회 발표 논문 중 우수한 논문을 각 연구부회에서 추천 받아 학회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을 선정합니다.. 학술발표회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해양기상정보의 상시제공에 대한 요구증대 및 실질적인 현장에 서의 활용성을 갖는 해양기상 서비스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맞춤형 해양기상서비스

학술발표회 종료 후 실시간 발표(구두) 및 발표자료를 업로드(포스터)한 논문에 한해 논문 게재 증명서를 발급합니다. 채택된

학술발표회 종료 후 실시간 발표(구두) 및 발표자료를 업로드(포스터)한 논문에 한해 논문 게재 증명서를 발급합니다. 채택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