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본 인명구조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본 인명구조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0 1 1 2 석사학위논문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본 인명구조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의 학 과

추 대 혁

(2)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본 인명구조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Effectiveness of Basic Life Support Training to Nursing Students

2 0 1 1 2 2 5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의 학 과

추 대 혁

(3)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기본 인명구조술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지 도 교 수 조 수 형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 0 1 0 1 0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의 학 과

추 대 혁

(4)

추대혁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 선대학 교 교수 조 남 수 ( 인 ) 위 원 조 선대학 교 교수 김 선 표 ( 인 ) 위 원 조 선대학 교 교수 조 수 형 ( 인 )

2 0 1 0 1 1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5)

목 차

영문 초록 - - - 1

서론

. - - - 3

대상 및 방법

. - - - 4

결과

. - - - 5

고찰

. - - - 7

결론

. - - - 10

참고문헌 - - - 11

(6)

표 목 차

<Table 1> Question of CPR experience

- - - 13

<Table 2> Opinion of BLS before training

- - - 13

<Table 3> Opinion of BLS training method

- - -- - - 14

<Table 4> Opinion of BLS retraining

- - - - -- - - 14

(7)

- 1 -

Abstract

Study on Effectiveness of Basic Life Support Training to Nursing Students

Choo dae-hyuk

Advisor :Prof. Cho soo hyung, M.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Background : The incidence of cardiac arrest within the hospital is numerou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should be done immediately by the nursing worker at the bed sid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asic life support(BLS) training to nursing students and also contribute to the BLS training course.

Method : Using a questionnaire to 137 nursing students after BLS training by slide show, video, and hands-on practice, CPR experience, opinion about BLS training before and after the course, and opinion regarding retraining were evaluated.

Result: 51% of the nursing students had CPR training. However, only 10% of the nursing students had actual CPR experience. There were many who had seen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AED).

However, there were only a few who had experience with AED. The time of training course was replied as adequate. The students showed most interest in chest compression, and was most confident about chest compression after the course. Most students thought

(8)

- 2 -

that retraining is necessary within one or two years. Various opinions were noted about the retraining course. Most students thought that BLS training should be administered to a lay person.

Conclusion: The students had much interest in CPR training.

However, the ability to perform CPR adequately was assumed to be low. Retraining course for the CPR was deemed necessary, and new courses should be added. Practical training and the capability of administering CPR is necessary.

Key words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basic life support(BLS), students, nursing

(9)

- 3 -

서 론 .

현대 사회의 산업과 사회 생활상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갑작스럽게 발생한 사고, 질병 등에 의한 사망의 위험 요소들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대형사고, 산업재해, 교통사고, 급성 심장 질환 및 순환기계 질환 등이 사망의 중요한 요인을 차지하고 있어 갑작스럽게 발생한 심정지에 대해 심폐소생술의 중요 성은 날로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자동제 세동기 교육 프로그램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다양한 연 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1-3). 또한 신속한 초기 심폐 소생술이 심정지 환자 의 소생 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신경학적 예후도 좋게 한다는 보고는 신속 한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4).

병원내에서 간호 인력은 환자의 가장 가까이에서 환자를 돌보는 위치에 있 어 병원내 응급 상황시 최초 발견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간호 인 력을 대상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저자는 예비 간 호 인력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고 이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사전 교육경험 및 지식과 응급상황 경험, 교육에 대한 만족도, 자신감 등을 비교 연구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10)

- 4 -

대상 및 방법 .

연구 대상 1.

년 조선대학교 병원 기본 인명 구조술 교육센터에서 시행한 심폐소생 2010

술 교육에 참여한 조선대학교 간호대학 3학년 학생으로서 설문지에 응답한 모두 137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2.

대상인원의 교육은 대한 심폐소생협회 기본 인명 구조술 교육 과정에 따라 시행하였고, 하루 18명씩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시행하였으며 1명의 전 문 교사와 학생 3명당 1명씩의 강사가 진행하였다. 이론 교육으로서 미국 심 폐소생협회에서 제공한 비디오를 통한 교육을 시행하였고, 이후 마네킹을 통 한 시뮬레이션 교육 및 직접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보도록 하였으며, 이후 3 번의 각 종목별 실기 시험과 번의 필기 시험을 시행하였다1 .

시험 이후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설문지는 교육대상자의 심정지 상황에 대한 경험과 사전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지식 및 교육 후 심 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평가와 교육 방안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으며 필기 시험지와 함께 제출토록 하였다.

(11)

- 5 -

결 과 .

심폐 소생술 경험에 대한 질문 1.

대상자들의 심폐소생술 경험에 대한 질문으로 현장에서 심정지 환자 목격 여부에 대해 93명(67.9%)이 없다고 대답하였으며 44명(32.1%)이 있다고 답하 였다. 심폐소생술을 해본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14명이 있다고 답하여 전체 중 10.4%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19나 1339에 응 급 상황에 대해 신고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명으로 전체의 6.5%에 불과 하였다. 기본 인명 구조술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해서는 70명이 교육을 받은 적 있으며 전체 중 51%로 교육 받은적 없는 대상자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자동제세동기를 본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120명이 있다고 답하여 전체의 였으나 자동 제세동기 사용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명만 있다고 하여

87.5% 32

전체 23.3%에 불과하였다(Table 1).

교육 이전에 기본 인명 구조술에 대한 의견 2.

교육 이전에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기본 인명 구조술에 대한 의견에 관 한 질문으로 직접 심폐소생술 시행 시 어렵고 두려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흉 부압박이 50명으로 전체 36.4%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 자동제세동기의 부족

명 인공호흡 명 기도유지와 호흡 확인 명 환

26 (36.4%), 23 (16.3%), 21 (15.3%), 자 의식 확인 17 (12.4%)명 순으로 답변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이 낮은 편인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최초 발견자의 무관심이라 고 답변한 사람이 77명으로 56.2%가 답하였으며 병원 전 심폐소생술의 부족

명으로 보였으며 그 뒤 지연출동이 명 자동제세동기의

49 35.7% 119 6 (11.6%),

부족이 4명(2.9%), 병원에서의 심폐소생 능력 부족이 1명(0.7%)으로 답했다. 예비의료인으로서 기본 인명 구조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꼭 해야 한다가 131명으로 95.6%, 원하는 사람만 해야한다가 6명으로 4.3%를 보였으 며 굳이 할 필요 없다는 답변은 없었다(Table 2).

기본 인명 구조술 교육에 대한 의견 3.

기본 인명 구조술 교육 후 교육 시간에 대한 적정성에 대한 물음에 적당한 편이 113명으로 82.4%를 보였고 너무 짧다가 12 (8.7%),명 너무 길다가 2명 를 보여 교육에 대한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교육 후 본인이 미숙하다

(1.4%) .

(12)

- 6 -

고 생각한 부분은 흉부 압박이 50명, 인공호흡이 40명으로 각각 36.5%와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이 명

29.1% 19 (13.8%),

순환 확인이 18 (13.1%),명 호흡 확인이 10 (7.2%)명 을 보였다. 교육 후 가장 자신 있는 부분으로 흉부 압박이 52명, 자동 제세동기 사용이 33명으로 각각

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 호흡확인 명 인공호흡 명

37%, 24% , 26 (18.9%), 19

순환 확인 명 으로 답하였다 교육 후 일반인에 대한 기본 (13.8%), 7 (5.1%) .

인명 구조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꼭 필요하다가 102명으로 74.4%를 보였으 며 원하는 사람만 교육해야 한다가 34명으로 24.8%를 보였고 필요 없다는 1 명(0.7%)에 불과하였다(Table 3).

기본 인명 구조술 재교육에 대한 의견 4.

교육 후 재교육에 대한 의견으로 정기적 재교육 기간에 대한 질문에는 2년 에 1번이 51 , 1명 년에 1번이 59명으로 각각 42.3%, 37.2%를 보였고 3년에 1 번은 24명으로 17.5%였으며 필요 없다는 답변이 2명(1.4%)을 보였다. 추후 추가적인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으로 성인기도 폐쇄 처치가 32 명으로 23.3%, 흉부압박이 26명으로 18.9%, 자동제세동기 사용이 24명으로 였고 그 뒤 순환확인과 영아 심폐소생술이 모두 명 인공호흡

17.5% 16 (11.6%),

명 영아기도 폐쇄 처치 명 호흡확인 명 을 보였

15 (10.9%), 14 (10.2%), 5 (3.6%) 다(Table 4).

(13)

- 7 -

고 찰 .

심정지는 부정맥, 기도폐쇄, 호흡부전, 대량실혈, 쇽, 뇌손상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때 임상적 사망에서 생물학적 사망으로의 진행을 막고 순환을 회복시켜주는 것이 심폐소생술이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더라 도 모든 심정지 환자가 자발순환을 회복하며, 또한 자발순환을 회복하더라도 뇌허혈 손상 등의 합병증을 남기지 않는 것은 아니다5). 심정지 환자의 소생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정지를 유발한 원인질환, 심정지로부터 심폐소생 술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심정지시의 심전도 소견, 전문적 심장소생술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이 포함 된다6). 이와 같은 이유로 목격된 심정지에 있 어서 일반인 및 의료인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 요할 것이다. 이미 초기 응급 처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지각한 선진국에서 심 폐소생술을 포함한 응급 처치법 교육에 대하여 노력을 기울인 결과 사망과 합병증의 예방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성인의 90%가 심폐 소생술 교육을 받고 있다고 한다7,8).

심정지 환자에서 심정지를 발견한 이에 의한 즉각적인 소생술의 시행은 생 존율을 증가시키고 예후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따라서 많은 나라에서 국가적 차원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지원 및 관리하고 있으며 스웨덴

독일 미국 도시지역 뉴질랜드 호주 폴란드

40%, 49%, 51%, 74%, 64%,

로 전후의 교육 보급률을 보이고 있으며

75% 50~70% 9) 본 설문에서 응답자

는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에 대해 51%가 경험이 있다고 하여 위 국가와 비슷 한 비율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직접 심폐소생술을 시행 해본 경험은 10%로 낮았으며 자동제세동기 사용 경험도 23.3%로 적은 수에서 응답하여 실제상 황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교육생은 적을 것으로 생각 되었다 또. 한 교육생들은 우리나라 병원전 심정지 환자 소생률이 낮은 이유에 대해 최 초 발견자의 무관심과 병원전 심폐소생술의 부족 때문이라는 답변에 대다수 가 응답하여 이는 적절한 소생술 교육이 시행된다면 최초 반응자에 의한 심 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육이 끝난 후. 일반인에 대한 기본 인명 구조술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 필요하다는

(14)

- 8 -

답을 하여 교육 확대의 필요성을 뒷받침해주고 있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병원 전 비외상성 급성 심정지 환자의 약 39~75%에 서 최초 심전도 소견으로 심실세동 또는 무맥성 심실빈맥이 관찰 되었으며, 이에 대한 치료는 제세동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14). 또한 심실세동 에 의한 심정지에서 제세동기를 이용해 빨리 제세동을 시행할수록 생존의 가 능성은 커진다15). 본 연구에서 교육생들은 대다수(87.5%)에서 자동제세동기 를 본 경험은 있으나 이를 사용해 본 경험은 23.4%로 이에 대한 교육 확충 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교육생들이 교육 전 어렵다고 생각하였던 교육 내용과 교육 후에도 미숙하 게 생각되는 교육 내용은 흉부 압박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으나 교육 후 가장 자신 있는 부분으로도 흉부 압박을 많은 수에서 선택하여 가장 관심 있 는 교육 내용이었다는 결론을 가질 수 있었다. Swor 등16)의 연구에서 현장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병원 전 심정지 환자들에서 생존 퇴원율이 높았음을 보 고 하였으며 이는 흉부 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설문 결과 교육생들도 이, 를 인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재교육에 대한 의견에 기간은 1에서 2년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보 이고 있어 정기적인 재교육 기간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여러 연. 구에서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모두 동의하였으나 그 기간에 대해 논란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미국심장협회. (American Heart Association)는 2년을 제 시하였고, Choi 등17)은 소방 2급 응급 구조사의 심폐소생술 숙련도를 분석한 논문에서 연 4회 이상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Kang 등18)은 2년의 기 간을 단축해야 하다고 주장하여 대부분 교육기간의 단축을 주장하고 있었다.

재교육시 필요한 교육 내용에는 매우 다양성을 보이고 있어 재교육시 교육 내용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일례로. Smith 등19)은 단계 적인 교육을 통해 술기 유지 능력의 의미 있는 향상을 이룬 연구를 시행하였 으며 보다 다양한 측면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 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1개 대학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여 모집단의 수가 부족하였고 대상자들이 학과의 추천에 의하여 시행한 교육에

(15)

- 9 -

참여한 이들로 자발적인 참여가 부족하여 답변의 부정확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 성공률 및 소생률은 초기에 기본 인명 구조술을 얼마나 빠르게 적절히 시행하느냐에 따라 좌우 될 수 있다 본 조사를 토대. 로 앞으로 보다 적절한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효율 적인 응급의료체계 운영을 통한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 다.

(16)

- 10 -

결 론 .

교육생들의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의지는 매우 높은 편이였으나 실제 수 행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교육생이 많았다. 자동제세동기를 본 적이 있는 교육생은 많은 수를 차지하였으나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교육생은 소수에 불과 하였다. 우리나라 심정지 환자 소생률이 낮은 편인 이유에 대해서도 최 초 반응자의 무관심과 병원 전 심폐소생술의 부족이라는 점에 다수의 의견을 보였다. 또한 재교육 및 일반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데 대다수가 공감 하고 있었으며, 재교육시 추가적인 교육에 대한 관심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보다 실제적인 교육을 통해 실제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을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7)

- 11 -

Reference

1. White RD, Bunch TJ, Hankins DG. Evolution of a community-wide early defibrillation programme experience over 13 years using police/fire personnel and paramedics as responders. Resuscitation 2005;65:279-83.

2. Caffrey SL, Willoughby PJ, Pepe PE, Becker LB. Public us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N Engl J Med 2002;347:1242-7.

3. Holmberg M, Holmberg S, Herlitz J.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2000;47:59-70.

4. Solomon NA, What are representative survival rates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rch Intern Med 1993;153:1218-21.

5. Platz E, Scheatzle MD, Pepe PE, Dearwater SR. Attitudes towards CPR training and performance in family members of patient with heart disease. Resuscitation 2000;47:273-80.

6. Hwang SO,Im KS. CPR and advanced life support. Seoul, Koonja publishing. 2006

7. Hwang JY, Kang KH, Lee SH. First Aid and CPR. Seoul, Hanmi publishing. 2000

8.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medical emergency response plan for schools. Pediatrics 2004;113:155-68.

9. Lee MJ, Park KN, Kim H, Shin JH, Yang HJ, Rho TH.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Reluctance and Attitude tow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Community.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131-6.

10. Cobb LA, Fahrenbruch CE, Olsufka M, Copass MK. Changing incidence of out-of-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1980-2000. JAMA 2002;288:3008-13.

11. Rea TD, Eisenberg MS, Sinibaldi G, White RD. Incidence of EMS-treat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the United States.

Resuscitation 2004;63:17-24.

12. Greene HL. Sudden arrhythmic cardiac death mechanisms, resuscitation and classification: the Seattle perspective. Am J Cardiol

(18)

- 12 - 1990;65:4B-12B.

13. Vaillancourt C, Stiell IG. Cardiac arrest car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Canada. Can J Cardiol 2004;20:1081-90.

14.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ac Care. JAMA 1992;268:2171-302,2905-84.

15. Cummins RO, Ornato JP, Thies WH. Improving survival from sudden cardiac arrest . The “"Chain of Survival”" concept. A statement for health professional from the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ubcommitee and the Emergency Cardiac Care Commite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991;83:1832-47.

16. Swor RA, Jackson RE, Cynar M, Sadler E, Basse E, Boji B, et al.

Bystander CPR,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survival in witnessed, unmonitor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nn Emerg Med 1995;25:780-4.

17. Choi YC, Lee CS, Wang SJ. Analysis of adul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 perform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fire department. T Korean Institute Fire Sci & Eng 2004;18:13-7.

18. Kang KH, Han YS, Hwang JY. A Study of th CPR Training Course for Nurses Teachers and Ambulance Drivers. J Korean Soc Emerg Med 1997;8:353-61.

19. Smith A, Colquhoum M, Wollard M, J. Handley A, Kern KB, Chamberlain D. Trials of teaching methods in basic life support (4): comparison of simulated CPR performance at unannounced home testing after conventional or staged training. Resuscitation 2004;61:41-7.

(19)

- 13 -

<Table 1> Question of CPR experience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LS; basic life support

<Table 2> Opinion of BLS before training

질문 있다 (%) 없다 (%)

현장 심정지 환자 목격 경험 44 (32.1) 93 (67.9) 현장 심폐소생술 경험 14 (10.4) 123 (90.6)

나 응급상황 전화 경험

119 1339 9 (6.5) 128 (93.5)

기본 인명 구조술(BLS) 교육 받은 경험 70 (51.0) 67 (49.0) 자동제세동기 본 경험 120 (87.5) 17 (12.5) 자동제세동기 사용 경험 32 (23.4) 105 (76.6)

질문 답변 명 (%)

현장에서 본인이 직접 BLS 시행시 가장 어렵고 두려운 점

환자 발견 의식확인 17 (12.4) 기도유지와 호흡확인 21 (15.3)

인공호흡 23 (16.3)

흉부압박 50 (36.4)

자동제세동기의 부족 26 (18.9)

우리나라 병원전 심정지 환자 소생 률이 낮은 편인 이유

의 지연출동

119 6 (11.6)

최초 발견자의 무관심 77 (56.2) 병원에서의 소생능력 부족 1 (0.7) 병원전 심폐소생술의 부족 49 (35.7) 자동제세동기의 부족 4 (2.9) 예비의료인으로서 BLS 교육의 필

요성

꼭 해야 한다 131 (95.6)

원하는 사람만 6 (4.3)

굳이 할 필요 없다 0

(20)

- 14 -

<Table 3> Opinion of BLS training method

<Table 4>Opinion of BLS retraining

질문 답변 명 (%)

교육시간의 적절성 BLS

너무 길다 2 (1.4) 적당한 편 113 (82.4) 너무 짧다 12 (8.7)

교육 후 본인이 미숙하다고 생각한 BLS

부분

호흡확인 10 (7.2) 인공호흡 40 (29.1) 순환확인 18 (13.1) 흉부압박 50 (36.5) 자동제세동기 사용 19 (13.8)

교육 종료 후 가장 자신 있는 부분 BLS

호흡확인 26 (18.9) 인공호흡 19 (13.8)

순환확인 7 (5.1)

흉부압박 52 (37.9) 자동제세동기 사용 33 (24.0) 일반인에 대한 BLS 교육의 필요

꼭 필요하다 102 (74.4) 원하는 사람만 교육 34 (24.8) 필요 없다 1 (0.7)

질문 명 (%)

교육의 정기적 재교육 기간 BLS

필요 없다 2 (1.4) 년에 번

1 1 51 (37.2) 년에 번

2 1 59 (42.3) 년에 번

3 1 24 (17.5)

기타 2 (1.4)

교육의 추가적인 재교육이 필요한 부 BLS

호흡확인 5 (3.6) 인공호흡 15 (10.9) 순환확인 16 (11.6) 흉부압박 26 (18.9) 자동제세동기 사용 24 (17.5) 영아 심폐소생술 16 (11.6) 성인기도폐쇄처치 32 (23.3) 영아기도폐쇄처치 14 (10.2)

(21)

학 과 의학과 학 번 20097131 과 정 석사 성

명 한글 추 대 혁 : 한문 : 秋 大 赫 영문 :Choo Dae Hyuk 주

소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롯데 아파트 109 동 701 호 연 락

처 E-MAIL : quasar-dh

@hanmail.net

논문제 목

한글:

예비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

영문:

Study on Effectiveness of Basic Life Support Training to Nursing Students

Ο

참조

관련 문서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교육의 세기 라고 말할 정도로 교육에 대한 관심 ‘ ’ 과 가치가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하지만 모든 교육 기관은

STEAM 교육 및 수업 적용에 대한 연수를 듣고, 매 주 연구회 교사들이 모여 수업 구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교사연구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결론적으로 일부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디브리핑 기법을 활용하여 심폐소생 술 교육을 시행한 결과, 일반 시뮬레이션 교육에 비해 디브리핑 기법을 추가하여

국내·외 STEAM 교육 사례 및 자료 분석을 통한 교육 연구 토대 마련 개정2009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주제 제시 및 적용..

환자 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단순분석 결과 연령,결 혼상태,근무부서,의료정보 보호에 대한 교육 경험 여부와 교육 필요성

이를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 의 심화 보충자료 및 장애이해 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일반학생의 특수교육 대상

본 설문지는 가임기 맞벌이 부부의 남편을 대상으로 모 유수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모유수유 권장 및 모유수유를 위한

앞으로도 교육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교과 융합 수업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교과 지식 습득과 부적응 학생의 학교 적응에 대한 도움, 교사들의 융합 수업에 대한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