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21년 2월 박사학위 논문

 주역(周易)이 차문화(茶文化)에 끼친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제티앤커피문화학과

배 진 연

[UCI]I804:24011-200000364009

[UCI]I804:24011-200000364009

[UCI]I804:24011-200000364009

(3)

 주역(周易)이 차문화(茶文化)에 끼친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Changes

on the Tea Culture

2021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제티앤커피문화학과

배 진 연

(4)

 주역(周易)이 차문화(茶文化)에 끼친 영향 연구

지도교수 김하림

이 논문을 문학박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20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제티앤커피문화학과

배 진 연

(5)

배진연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황 병 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이 재 영 인 위 원 목포대학교 교 수 조 기 정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허 성 태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 하 림 인

2020년 12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 Ⅴ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현황과 연구방법 ··· 4

1. 연구현황 ··· 4

2. 연구내용과 방법 ··· 7

제2장 다경에 나타난 차문화의 양상 ··· 9

제1절 육우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 9

1. 육우의 생애 ··· 9

2. 시대적 상황과 차문화 ··· 11

제2절 다경에 나타난 차문화와 주역의 상관성 ··· 13

1. 정행검덕(精行儉德) ··· 13

2. 풍로(風爐) ··· 18

3. 음지시(飮之時) ··· 21

제3절 차문화의 정신적 측면 ··· 22

1. 차문화의 핵심 용어 ··· 22

2. 차문화의 사상적 특징 ··· 30

제3장 차문화와 주역의 상관성 ··· 36

제1절 다구(茶具)와 주역의 상관성 ··· 36

(7)

1. 다호(茶壺)와 천택리괘(天澤履卦 ☰

☱) ··· 36

2. 다배(茶杯)와 택지췌괘(澤地萃卦 ☱ ☷) ··· 38

3. 다선(茶船)과 풍수환괘(風水渙卦 ☴ ☵) ··· 39

4. 다해(茶海)와 지수사괘(地水師卦 ☷ ☵) ··· 41

5. 다반(茶盤)과 풍천소축괘(風天小畜卦 ☴ ☰) ··· 42

6. 다건(茶巾)과 산화비괘(山火賁卦 ☶ ☲) ··· 43

7. 다칙(茶則)과 수택절괘(水澤節卦 ☵ ☱ ) ··· 45

제2절 음다(飮茶)와 주역의 상관성 ··· 48

1. 차 감상과 풍지관괘(風地觀卦 ☴ ☷ ) ··· 48

2. 다관 데우기와 화지진괘(火地晋卦 ☲ ☷) ··· 49

3. 찻잎 넣기와 풍산점괘(風山漸卦☴ ☶) ··· 51

4. 찻잎 씻기와 택화혁괘(澤火革卦 ☱ ☲) ··· 52

5. 차 우려내기와 풍택중부괘(風澤中孚卦☴ ☱) ··· 54

6. 차 따르기, 차 권하기, 차 평하기와 산뢰이괘(山雷頤卦 ☶ ☳) ··· 56

7. 찻잎 모양 관찰하기와 풍지관괘(風地觀卦 ☴ ☷) ··· 58

8. 다구 정리하기와 화수미제괘(火水未濟卦 ☲ ☵) ··· 58

제4장 주역 오행론(五行論)이 차문화에 끼친 영향 ··· 60

제1절 주역 오행론의 특징 ··· 62

1. 목(木)과 중풍손괘(重風巽卦 ☴ ☴) ··· 62

2. 화(火)와 중화이괘(重火離卦 ☲ ☲) ··· 63

(8)

3. 토(土)와 중지곤괘(重地坤卦 ☷

☷) ··· 65

4. 금(金)과 화풍정괘(火風鼎卦 ☲ ☴) ··· 67

5. 수(水)와 중수감괘(重水坎卦 ☵ ☵ ) ··· 69

제2절 오행론이 다경에 끼친 영향 ··· 71

1. 목(木) : 차나무 ··· 71

2. 화(火) : 물 끓이기 ··· 72

3. 토(土) : 차의 재배 ··· 72

4. 금(金) : 솥 제조 ··· 73

5. 수(水) : 물의 분류 ··· 74

제5장 조선 후기 다인(茶人)과 주역 ··· 76

제1절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과 주역 ··· 76

1. 다산과 연파 혜장(蓮坡 惠藏) ··· 77

2. 혜장과 지산겸괘(地山謙卦) ··· 78

제2절 초의 의순(草衣 意恂)과 풍택중부괘(風澤中孚卦) ··· 81

1. 자(字) ‘중부(中孚)’의 의미 ··· 81

2. 법호(法號) ‘초의(草衣)’의 유래 ··· 82

제3절 이덕리(李德履)의 동다기(東茶記)와 중뢰진괘(重雷震卦) ··· 83

제6장 결론 ··· 86

참고문헌 ··· 89

부록 <64괘조견표> ··· 93

(9)

<표·그림 목차>

표1. 차문화 도식표 ··· 3

표2. 분야별, 연도별 논문 발표 현황 ··· 4

표3. 오행표 ··· 60

그림1. 육우의 풍로 ··· 19

그림2. 오행의 상생도 ··· 61

그림3. 오행의 상극도 ··· 61

(10)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Changes

on the Tea Culture

Bae Jin-yeon

Advisor : Prof . Kim Ha-Lim, Ph.D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ea and Coffee Cultu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As the processes of LuYu's growth and learning showed, he was not guided by any one thought. When he was a boy, he focused on the Confucian thought, but later he completed the various ideas through exchanges with the Confucian writers and bureaucrats. His various ideas were applied to the process of writing The Book of Tea(茶經). His application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to the production of tea-tools such as chauffer or quoting The Book of Changes when tasting tea wa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tea. This is because LuYu intended to elevate the ‘tea’ that was developed to the level for drinking from medicinal use into the stage of mental and tea culture. In this process, he intended to take advantage of

The Book of Change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intellectuals and apply it to the act of drinking tea.

LuYu learned the Buddhism-related knowledge and also The Book of Changes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Confucian thoughts. His emphasis of the Confucian

value like ‘Jeong(精)・Haeng(行)・Geom(儉)・Deok(德)’ suggested that he was

(11)

influenced by the Confucian thought including The Book of Changes. He advocated key word and idea of tea manner, ‘Jeong・Haeng・Geom・Deok’ first.

He employed the basic Gwe(卦) of The Book of Changes in making chauffer. It is another evidence that he learned and applied The Book of Changes. There was no clear evidence that he learned The Book of Changes or the Five Books of Confucianism, but the investigation of The Book of Tea confirmed that he was much influenced by The Book of Chang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ows.

First, the key ideas of ‘tea culture and tea ceremony’ were defined as Hwa(和)・

Gyeong(敬)・Cheong(淸)・Jeok(寂)・Jin(眞) and Yi(怡),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Book of Changes were reestablished and explained with concrete concepts.

This study described the effects and correlations of

T

he Book of Changes

on the idea of tea ceremony.

Second, while tea culture or tea drinkers mentioned tea ceremony and The Book of Changes through writings or poems, they were not concrete in explaining the associations between tea ceremony and The Book of Changes. This study explained the correlations concretely between tea ceremony and The Book of Changes through various cases.

Third, the element which has the closest relevance with The Book of Tea and the five elements of The Book of Changes was color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applied as Cheongcha [木], Jeokcha [火], Hwangcha [土], Baekcha [金] and Heukcha [水].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Changes on tea culture and tea ceremony thought should be performed in various areas. But,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and materials related to this, so to solve this problem, gathering DB of related materials and papers is needed. As the material culture is developed more, the concerns on mental culture will be greater. Therefore, academic concerns and studies on tea culture, tea ceremony and The Book of Changes will be extended more.

(12)

Key Words: The Book of Changes, The Book of Tea, tea drinking, LuYu, tea ceremony, Hwa.

(13)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육우(陸羽, 733∼847)는 다경(茶經) 「사지기(四之器)」에서 풍로 제작에 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풍로는 동이나 철로 옛[古] 솥[鼎] 모양으로 주조한다. … 다리는 모두 세 개이며, 고 문으로 스물한 글자를 쓴다. 한 다리에 ‘감(坎)괘는 위에, 손(巽)괘는 아래, 가운데는 리 (離)괘’라고 쓰고, 다른 한 다리는 ‘몸의 오행(五行)을 조화롭게 하여 온갖 병을 물리친 다’라고 쓰고, 또 다른 한 다리에는 ‘거룩한 당나라가 오랑캐를 멸망시킨 다음 해에 주 조했다’라고 쓴다.”1)

위 문장에 의하면 육우는 ‘풍로’를 제작할 때 ‘옛 솥’의 모양을 따르되, 풍로의 다리에는

‘감, 손, 리’ 세 괘를 표시하라고 언급했다. 이는 풍로를 제작할 때 철저하게 『주역(周易)』에 기초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감(☵)은 물, 손(☴)은 바람, 리(☲)는 불을 의미함을 충분히 인식했다. 또 그는 오행을 조화롭게 하여 몸의 병을 물리치라는 언급을 통해 ‘오행론’을 풍 로 제작에 접합하였다. 육우가 이처럼 주역과 오행론을 풍로 제작의 기본으로 삼은 이유는 불을 살려 물을 끓이는 도구인 풍로의 기본적 역할과 기능에 우주의 운행 논리와 인간의 건 강,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상호 연계시키려 시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육우는 다경 「일지원(一之源)」에서 ‘정행검덕(精行儉德)’을 주장하였다. ‘정행검덕’

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지만, 그가 이를 「일지원」에서 언급한 것은 음다 행위를 통해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의 수양과 행위의 절제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이는 그가 차의 제조 방법에서부터 음다 행위에 이르기까지 당시 자신이 습득한 다양한 사 1) 근래 국내에 번역된 다경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명배 옮김, 다경, 태평양총서,

1982. 치우치핑 지음, 김봉건 옮김, 다경도설, 이른 아침, 2005. 윤병상, 다도고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김진숙, 다경, 국학자료원, 2009. 육우 지음, 류건집 주해, 다경주해, 이른 아침, 2010. 한유미 주해, 다경주해, 연주출판사, 2013. 짱유화, 『茶經講說』, 삼녕당, 2015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류건집 주해, 다경주해, 이른 아침, 2010을 저본으로 하되 여타의 저작을 참고하였 다. 육우 지음, 류건집 주해, 같은 책, p.139. 일부 수정 “風爐以銅鐵鑄之如古鼎形, … 凡三足古文書 二十一字, 一足云 坎上巽下離於中, 一足云體均五行去百疾, 一足云聖唐滅胡明年鑄”.

(14)

상을 다경에 반영하고자 노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차라는 유형의 생물체가 가공의 과정을 거쳐 인간의 체내에 들어와 몸을 조화롭게 하는 측면을 중시하였으며, 음다를 통해 무형의 정신과 마음이 올바르게 되기를 소망했고, 이 소망을 다경에 담았다고 말할 수 있 다. 그는 타인들도 이런 측면을 확신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주역을 응용하여 다경의 내 용을 기술하였고, 이를 실제로 적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경의 구성체제에서 알 수 있 듯이 육우는 음다행위에 다양한 지식, 역사, 인물, 사상을 총체적으로 담아내고자 노력한 것 이다. 즉 다경을 통해 종래의 차문화를 개혁하여 차와 관련된 새로운 종합적인 차문화를 개진하고 한 차원 높은 차문화를 건설하고자 의도한 것이다.

본 논문은 주역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육우의 다경에 나타난 주역 사상의 내용 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문화의 형성에 주역이 어떻게 적용되었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차문화 발전에 주역의 영향이 존재함을 인 식하고 이를 논의한 국내 논문들이 일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다룬 논문은 아직 부족한 상 황이다.

일반적으로 차문화는 “품차(品茶) 활동을 통하여 일정한 예절, 인품, 미학적 관점, 정신, 의경(意境)을 표현하는 일종의 품차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다예(茶藝)를 통하여 정신 을 표현하는 과정이다.”2)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더 세분하면 차문화는 광의와 협의로 구분 할 수 있다. 광의의 차문화는 인류사회가 창조한 차와 관계되는 물질적인 자원과 정신적인 자산의 총화를 의미한다. 광의의 차문화는 구체적으로 네 부분의 문화를 포괄한다. 첫째, 차 나무의 품종과 재배, 차의 가공과 보존, 차의 성분 분석과 효능, 품차에 필요한 물과 다기, 다정과 다실 등이 포함된 물질문화이다. 둘째, 차의 생산과 소비과정 중에 형성된 사회적 행 위규범인 제도문화이다. 셋째, 차의 생산과 소비과정 중에 사회적 약속으로 형성된 행위문화 이다. 행위문화는 다례, 다속, 다예, 다법 등의 형식으로 표출된다. 넷째, 차를 응용하는 과정 중에 배양된 가치관념, 심미적인 정취, 사유방식 등의 주관적 요소인 정신문화이다. 이중에서 정신문화가 차문화의 핵심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협의의 차문화는 차와 관계되는 물질적인 자원과 정신적인 자산 분야 만을 가리킨다. 때문에 협의의 차문화는 주로 차의 인문학 분야 에 치중하며, 정신과 사회에 대한 차의 기능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차문화는 차에 대한 인문 학적인 내용을 가리키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차문화의 가치기능을 강조한다.3) 차문화를 광 의로 정의하든, 협의로 정의하든 양자에 모두 포함되는 것은 다도라는 개념이다. 여기에서

2) 육우 지음, 김진무·김대영 옮김, 육우 다경, 일빛, 2017, p.75.

3) 차문화의 정의에 관한 부분은 조기정, 한·중 차문화 연구, 학연문화사, 2014, pp.46∼47. 참조.

(15)

말하는 다도는 품차 활동을 통해 정신을 수련하고 표출하는 과정이며, 이는 당대의 전다도 (煎茶道), 송대의 점다도(點茶道), 명대의 포다도(泡茶道 )의 과정을 거쳐 점차 확장되고 심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4) 중국의 다도는 서로 다른 제다법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화 과정 을 거쳐왔으나, 특정 종교의 색채는 짙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가와 도가와 불가의 사상이 상호 융합되어 있다. 차문화를 종합하여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이 그려 볼 수 있다.

표1. 차문화 도식표5)

본 연구는 차문화에 주역이 끼친 영향을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더불어 차문화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다구와 음다에 있어서 주역이 끼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4) 육우 지음, 김진무·김대영 옮김, 앞의 책, PP.74∼75.

5) 같은 책, p.35참조.

(16)

제2절 연구현황과 연구방법

1. 연구현황

1948년부터 2019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차문화 및 다도 관련 학위 논문 637편(석사 546편, 박사 91편)을 대상으로 한국 차문화의 연구현황을 분석하면 다음 표와 같다.6)

연도 분야

1948

∼ 1969

1970

∼ 1979

1980

∼ 1989

1990

∼ 1999

2000

∼ 2004

2005

∼ 2009

2010

∼ 2014

2015

∼ 2019

계(%)

차효능 1 1 5 26 62 49 42 60 246(38.6)

다례 1 2 2 19 54 20 10 108(17.0)

차산업 1 4 5 12 31 9 21 83(13.0)

한국차문화 8 12 30 7 7 64(10.1)

다도구 1 4 10 10 12 8 8 53( 8.3)

예술 9 10 1 20( 3.1)

중국차문화 2 1 8 6 3 20( 3.1)

일본차문화 1 4 9 2 1 17( 2.7)

차문화산업 9 3 3 15( 2.4)

홍차문화 5 2 4 11( 1.7)

계 1 (0.2)

4 (0.6)

15 (2.4)

54 (8.5)

129 (20.3)

217 (34.0)

99 (15.5)

118

(18.5) 637(100) 표2. 분야별, 연도별 논문발표현황(단위:편, 백분율)

연구 논문 편수는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말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2000년부터 대학과 대학원의 개설과 함께 급속도로 증가했다. 1948년부터 2019년까지 10개 분야별 발표 논문 순위는 효능(246)-다례(108)-차산업(83)-한국 차문화(64)-다도구(53)-예술(20)-중국 차문화 (20)-일본 차문화(17)-차문화 산업(15)-홍차 문화(11) 순으로 나타났다.7) 2009년에는 예술 분야와 홍차 문화 분야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었고, 차문화 산업과 차문화 콘텐츠에 대한 연 구도 확대되었다. 차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계속 증가하여 2005년~2009년에는 절정에 도달 6) 조기정, 앞의 책, p.64. 조기정의 이 논문은 2008년까지의 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연구자는 2009

~2019 자료를 국회 전자도서관의 학위논문 DB를 참고하여 추가하였다.

7) 같은 책, p.67.

(17)

하였으나, 2010년~2019년에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차의 효능 분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 며, 한국 차문화 분야에 대한 연구는 90년대부터 시작되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다. 차도구 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었으며, 중국 차문화와 일본 차문화에 대한 연구는 90년대부터 시작되 어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현재는 정체 상태에 있다. 다례 분야 연구는 2010~2019년 사이에 50% 이상 감소했으며, 다른 분야의 연구도 10%~20% 정도 축소되었다. 차문화 및 차문화 산 업에 대한 연구는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분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했고, 차산업 등 특정 분야에 치중된 특징을 나 타내고 있다. 현재 차문화 및 다도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인문학적 연구가 매 우 부족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이 다경과 다도 사상을 연계하며 차문화에 주역이 끼친 영향을 연구하려는 이유도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본 논문이 연구하고자 하는 차문화 및 다도 사상과 주역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는 위 논문 발표 수와 분야별 연구 논문 수에서 살펴보았듯이 그렇게 많지 않다. 이 분야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민은 새로 쓰는 조선의 차문화8)에서 조선 후기 차 문화의 중심 인물인 다산과 초의, 추사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조선 차문화의 발전과정과 차를 통한 초의와 추사의 교류 및 이를 통한 차문화 발전 상황을 설명하였고, 문헌을 중심으로 조선 차문화의 역사와 현황을 세밀하게 고찰하고 있다.

조기정은 「중국 다도의 형성과 변천 고찰」9)에서 중국 다도의 성립과 변천 과정을 고찰하 였다. 특히 다도와 다예 그리고 차문화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다도, 점다도, 포다도로 변천 과정을 거쳤음을 밝히고, 다도의 의미를 광의의 다도와 협의의 다도로 나누었다. 그는 광의의 다도란 음다, 품다, 다예, 다도를 포괄 하며, 협의의 다도란 다도만으로 규정짓고 있다.

염숙은 다도학 입문서10)에서 차에 대한 개요와 종류, 제다 방법, 차의 성분과 효능, 차 의 전파 과정, 실크로드와 차 무역, 세계 각국으로 차의 전파 과정, 세계 주요 차 생산국, 한 국의 차 문화 등을 고찰하였고, 현재 우리의 상황과 앞으로 지향해야 할 차 문화의 연구 방 향을 조망했다. 「한재 이목의 도학 정신과 다도 사상」11)에서 한재 이목의 생애와 도학 정신,

「다부」의 구성과 내용, 「다부」에 나타난 도학 정신과 다도 사상 등을 고찰하였다. 그의 저술 과 논문은 차문화의 개념과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조선 차문화 현황을 문헌 중심으로 서 8) 정민,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김영사, 2011.

9) 조기정, 「중국 다도의 형성과 변천 고찰」, 중국인문과학, 제48집, 2011.

10) 염숙, 다도학 입문서, 국학자료원, 2011.

11) 염숙, 「한재 이목의 도학정신과 다도사상」, 한국차학논집 43호, pp.81~105.

(18)

술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최영성은 「艸衣意恂의 茶道哲學과 韓國思想의 傳統」12)에서 초의선사의 동다송, 이목의

다부와 함께 이덕리의 기다(記茶)는 육우의 다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초의는 장원(張源)의 다록을 초록하며, 핵심 개념을 자기 관점에서 다도철학을 수립하고, 정신과 물질을 나누어 보지 않고 하나로 보는 ‘묘합(妙合)’ 의 원리를 논했는바, 이를 초의의 다도철학이라고 평가했다.

김경희는 「동다송과 남방록의 다도철학 비교연구」13)에서 동다송과 남방록을 자연 관, 초월관, 양생관 및 조화관으로 분석하고 서로 비교하였다. 동다송은 자연합일의 정신, 초월적 자유정신, 중정(中正)의 조화정신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남방록은 와비정신, 주객 일체의 정신, 지행합일의 정신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김경희는 두 권의 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도는 행위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이 합쳐져 인간이 현실적인 삶 속에서 깨달음의 세 계로 이어지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차는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나를 되 돌아보게 하는 자기성찰의 메시지를 품고 있으며 초월로 나아가게 하는 철학의 음료라고 파 악하고 동다송과 남방록은 현대의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힐링, 치유와 명상, 심리, 갈등 해소, 소통의 문제에 적극적인 활용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지침서라는 점을 강조했다.

신성수는 현대주역학개론14)에서 주역학 방법론을 설명하며, 동양 종교철학의 핵심경전으 로서의 주역, 주역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 정의, 주역철학의 흐름 등에 대해 서술하였 다. 또한 태극 양의 사상 팔괘론에서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과 태극음양원리, 사상의 원리, 팔괘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선천팔괘와 후천팔괘론에서 하도와 간지 오행의 원리, 선천팔괘 와 후천팔괘의 원리, 우주변화원리의 원상을 서술하였으며, 64괘 형성론, 대성괘 분석론, 예 측판단론, 주역 체계론을 설명하였다.

장봉혁은 학역종술(學易綜述)15)에서 다경과 주역의 관련성을 다루었다. 그는 「주역 의 이치가 차문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소고」에서 차나무의 기원과 효능, 그리고 차의 문자적 최초 기록을 서술하였다. 이는 다경의 내용을 간추린 것이며, 다경과 초의선사의 글에 나타난 주역의 이치와 일지암의 건축에 나타난 주역의 이치에 대한 언급에서는 초의의 동다 송과 다신전을 분석하고 있다. 그는 끝부분에서 차와 불교, 다서(茶書)와 다시(茶詩)의 예 를 통해 주역이 끼친 다방면에 걸친 영향을 논의하고 있다.

12) 최영성, 「초의의순의 다도철학과 한국사상의 전통」,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3) 김경희, 동다송과 남방록의 다도철학 비교연구, 동의대박사학위논문, 2015.

14) 신성수, 현대 주역학 개론, 대학서림, 2007.

15) 장봉혁, 학역종술(學易綜述), 주역의 이치를 배우는 자의 종합적인 서술, 도서출판 학고방, 1999.

(19)

장영동은 주역, 그리고 다도의 속 멋16)에서 육우와 주역을 설명하며 다성 육우의 출생 부터 성장과정를 풍산점괘로 비교 설명하였고, ‘천지비와 정행검덕’에서는 다경 「일지원」의 정행검덕을 천지비괘로 설명하였다. ‘풍택중부와 초의’에서는 초의의 일생과 그의 자인 중부 에 대해 풍택중부괘로 설명하였다. ‘천화동인’괘에서는 차와 인간과의 관계를 설명했고, ‘산 수몽’괘에서는 물과 찻물에 대해 설명했다. ‘수풍정’괘에서는 샘과 찻샘을 그리고 ‘중화리괘 와 불’, ‘화풍정괘와 차솥’, ‘중뢰진괘와 경뢰소’, ‘수택절괘와 다인의 절도’, ‘천택이괘와 다도 인의 이력’, ‘지산겸괘와 다도의 완성’, ‘택화혁괘와 차 혁명’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상 선행연구 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다도 사상이나 차문화에 관한 논문이나 저술은 비 록 많은 분량은 아니지만 일부 전문가 및 관심 계층에 의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차문화에 대한 서술의 효시인 다경과 주역의 상관성에 관한 논문이나 저술은 주역에 대한 해설서를 제외하면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해설서의 수준이라 할 수 있다.

2. 연구내용과 방법

다도의 개념은 시대별,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고,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 서 다도에 대한 개념도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정영선은 다도철학에서 “다도에는 다도정신, 다도사상, 다도철학이란 용어가 쓰이는데 이런 용어에는 명확한 개념적인 규정의 어려움이 있다. 어느 곳에 어떤 용어가 적합한지에 대한 올바른 정의가 없으면 학문적 성격으로서의 정립이 어렵다. 차 문화는 상술하였듯이 행 위적인 측면과 동시에 정신적인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차를 다루고 끓이고 마시는 바 른 방법이라는 현상적 의미와 바른 다법으로 얻어지는 진리 혹은 지경(至境)을 뜻하는 철학 적 의미가 있다.”17)고 주장하였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다도를 생각한다」에서 다도가 지닌 도의 성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 급하고 있다. “다도는 보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사용하는 것으로 멈추는 것도 아니며 형 식으로 끝나는 것도 아니다. 그것만으로도 남다른 요소이다. 하지만 한층 안으로 다가간다.

궁극까지 이르지 않으면 원래 도가 아니다. 도이기 때문에 적어도 피상적인 것은 아니다. 많 은 사람들이 차를 즐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진정한 다도의 경지에 이를 수 없는 것 은 다도가 너무 심오하기 때문이다.”18)라고 하였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진정한 다도의 어려 16) 장영동, 주역, 그리고 다도의 속멋, 이른아침, 2008.

17) 정영선, 앞의 책, p.264.

(20)

움을 주장하면서 궁극에 이르는 경지에 이르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내면의 충실, 자아의 반성이 다도의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경환은 “다도정신은 다도에 스며들어 있는 정신이며 가장 밑받침에 해당하고 있다. 이 것은 행위를 통해서 밖으로 표출되는 심적인 것과 동시에 현실에 적용되어 이끌어내는 근간 을 말한다.”19)고 주장한다. 그는 내면의 충실함이 외적으로 표출되는 경지까지 이르렀을 때 다도가 완성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제인 다도 사상에 주역이 끼친 영향 연구는 주로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진 행될 예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을 중심으로 다도 사상의 핵심어를 추출하고, 이 핵심 어를 중심으로 다도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차문화와 주역과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 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다도 사상을 고찰하기 위해 다경에 나타난 차문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육우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과 차문화를 살펴보며, 또한 다경에 나타난 주역

의 영향을 정행검덕과 풍로 제작에서 주역의 영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리괘와 손괘와 감괘를 살펴본다. 아울러 차문화의 정신적 측면을 고찰하기 위해 차문화의 핵심 용어를 고찰 하고, 차문화의 사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차문화의 주요 구성 주체인 다구와 주역의 상관성을 다호, 다배, 다선, 다해, 다반, 다건, 다측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음다와 주역의 상관성에 대해서도 차 감상, 다관 데우기, 찻잎 씻기, 찻잎 넣기, 차 우려내기, 차 따르기, 차 권하기, 차 품평하 기, 찻잎 모양 관찰하기, 다구 정리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주역 오행론이 차문화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고, 주역 오행론의 특징과 오행 론이 다경에 끼친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 보고자 한다.

5장에서는 조선 후기의 다인에게 주역이 끼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다산 정약용과 주역, 초의 의순과 풍택중부괘, 그리고 이덕리의 동다기와 중뢰진괘로 분절(分 節)하였다. 제1절에서는 다산과 연파혜장, 혜장과 지산겸괘로 구분하였고, 제2절에서는 주 역 61번째 풍택중부괘, 초의 성명의 유래를 다루고, 끝으로 제3절에서는 이덕리의 동다기

와 중뢰진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다도 사상 형성에 주역이 끼친 영향을 고찰하 여 이를 바탕으로 차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범주의 확대에 일조하고자 하는 데 있다.

18) 구마쿠라 이사오 엮음, 김순희 옮김, 다도와 일본의 미, 도서출판소화, 2004, p.64.

19) 정경환, 다도철학강의, 이경, 2015. 참조.

(21)

제2장 다경에 나타난 차문화의 양상

제1절 육우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1. 육우의 생애

육우는 29세이던 761년, 자신의 삶을 기록한 육문학자전(陸文學自傳)을 서술했다. 그는 72세에 유명을 달리했기 때문에 청년기에 쓴 ‘자전’이라 의아스러운 일이기도 하지만, 고통 과 번민의 나날에서 살아왔던 그동안 삶의 역정을 정리하고자 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육우의 육문학자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육자(陸子)의 이름은 우(羽)이며, 자는 홍점(鴻漸)으로 어디 출신인지 알 수 없다. 3세에 버려진 몸이 되어, 경릉대사 적공의 선원에서 살게 되었다. 9세에 학습을 시작했는데, 적공 은 불서로 출세의 업이 되도록 가르쳤다. 육우는 답하기를 ‘죽을 때까지 형제도 없고, 후사 도 없이 승복을 입고 석씨라 부르게 되면 유자들이 들을 때 이것을 효라고 하겠습니까. 저는 공자의 글을 익히고 싶습니다.’ 적공은 석가의 경전에 뜻을 굽히지 않았고, 나 또한 유가 경 전에 뜻을 굽히지 않았다. 후일 책을 짊어지고 화문산 추부자 별채에 공부하러 갔고, 예부랑 중 최국보가 경릉군에 재직할 때, 그와 함께 도처를 유람하였는데 무릇 3년이라는 세월이었 다. 안록산이 중원을 어지럽힐 때 「사비시」를 지었고, 유전이 강회를 탐냈을 때 「천지미명부

」를 썼다. 저술은 군신계 3권,원해 30권,강표사성보 8권,남북인물지 10권,오 흥역관기 3권,호주자사기 1권,다경 3권,점몽 상중하 3권이 있는데, 모두 갈색 포 대의 서낭에 넣어 두었다. 상원 신축년 자월 가을 29일에 쓴다.”20)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육우는 대략 9세부터 글을 학습하기 시작했다. 지적선사는 어린 육 우에게 불경을 배우도록 하였으나, 육우는 고아인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며 ‘효’에 관심이 커 20) 阮浩耕, 沈冬梅외 中國古代茶葉全書, 浙江撮影出版社, 1998. 文苑英華권793, 陸文學自傳 pp.12~13 에서 재인용. “陸子, 名羽, 字鴻漸, 不知何許人. 始三歲, 惸露, 育於大師積公之禪院. 九歲學屬文,積 公示以佛書出世之業. 予答曰:‘終鮮兄弟, 無復後嗣, 染衣削發, 號爲釋氏, 使儒者聞之, 得稱爲孝乎 羽將效 孔氏之文可乎’ 公曰:公執釋典不屈, 予執儒典不屈. 後負書於火門山鄒夫子墅. 屬禮部郎中崔公國輔出 守竟陵, 因與之遊處, 凡三年. 自祿山亂中原, 爲 四悲詩, 劉展窺江淮, 作 天之未明賦, 著 君臣契

三卷, 源解三十卷, 江表四姓譜八卷, 南北人物志十卷, 吳興曆官記 三卷, 湖州刺史記一卷, 茶 經三卷, 占夢上, 中, 下三卷, 並貯於褐布囊. 上元辛丑歲子月秋二十有九日.”

(22)

서 유가의 학문을 공부하고자 하여 지적선사와의 갈등이 컸음을 알 수 있다. 746년(천보 5 년) 14세 무렵에 경릉태수로 좌천하여 부임한 이제물(李濟物)을 만났다. 이제물은 육우의 재 능을 알아보고 시집을 주며 학습의 길로 인도했다. 이후 15세에 이제물의 도움으로 화문산 추부자(鄒夫子) 별장에서 수년간 학습했는데, 이 시기에 기본적인 지식을 축적하고 본인의 사상을 형성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21) 이 시기에 어떠한 내용의 학문을 습득했는지 명 확하지 않으나, 주로 논어, 맹자, 시경 등 유가 경전을 학습한 것으로 추측된다.22) 추 부자에 관해서도 명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으나, 그 지역에서 서당을 운영하는 ‘유학’에 정통 한 인물이었다고 추측되고 있다.23) 752년 (천보11년) 20세에 강릉태수(江陵太守) 최국보와 교유했다. 이후 3년간 상류층과 교분을 가지면서 차를 학문적으로 공부했다. 최국보에게서 백구, 봉우, 서함을 선물 받고, 하남성 일대와 파산·협주·팽주·금주·노주와 의창 등지를 여행 하며 차를 직접 접하고 물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체험했다.

26세부터 차에 관한 제반 사항들을 수집하고 학습하던 육우는 승려 교연(皎然, 730∼799) 을 사귀게 된다. 교연은 법명이며, 육우보다 세 살 연상이었지만 둘은 평생의 지우로 지냈다.

교연은 속세의 성이 사(謝)씨이다. 남조 시기 산수전원시의 대가인 사령운(謝靈運, 385∼433) 의 10세손으로 이 무렵에 이미 저명한 시인으로 알려진, 차와 불교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이 다.24) 현재 470수의 시가 남아 있기도 하다. 교연과의 교류로 인해 육우는 차와 문학에 대 한 학습이 더 깊어지면서 차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사상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760년 28세에 초계초당에서 다경 초고를 쓰기 시작했다. 저술 년도에 관해서는 ‘풍로’의 제작 연 대를 통해서 인지할 수 있다. 풍로 제작 시기를 “성당멸호명년주(盛唐滅胡明年鑄)”라고 한 점에서, 대략 ‘안사의 난’이 종결된 다음 해(758년)에 제작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물론 29세 에 불과한 젊은 나이에 다경을 저술했다는 점에 의문을 품는 이들도 적지 않으나, 대략적 인 뼈대는 이 시기에 완성했고, 나머지는 후에 지속적으로 수정한 것으로 여겨진다.25) 그는

21) 육우지음, 류건집 주해, 앞의 책, p.500.

22) http://www.baidu.com(2020.11.16.) 23) 앞과 동일

24) 교연은 명산을 찾아다니면서 덕을 수련하고 법석(法席)에 참여하는 등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 는 불전(佛典)을 정성껏 학습했을 뿐만 아니라, 자사경서(子史經書) 등에도 정통했다. 여러 사람들의 숭상을 받았는데, 수도의 왕공(王公)과 대신들도 그에게 예를 다했다고 전한다. 교연은 자주 시우회 (詩友會)를 개최하였는데, 그와 교류한 문인학자들은 안진경, 위응물, 오계덕, 이악, 황보증, 양숙, 최 자향, 양규 등이다. 이러한 교연으로부터 육우가 받은 영향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https://baike. baidu.com/item참조(검색일. 2020.11.03.)

25) 다경의 저술 연대를 761년 초본, 764∼775년 수정본, 780년경 완성본으로 보는 것이 현재 학계의 견해이다. 이에 대해서는 짱유화, 茶經講說, 삼녕당, 2015, pp.14∼15.

(23)

773년 41세에 안진경(颜真卿, 709∼784)의 문하에 들어가서 안진경이 주관한 운해경원(韵 海镜源)의 편집 작업에 참여했다. 안진경은 당시 최고의 서예가이자 학자였고, 오래전부터

운해경원을 편집하고 있었다. 정식 관료도 아닌 육우가 이 작업에 참여한 것은 안진경이 그를 그만큼 높게 평가한 것이기 때문이고, 육우도 이 작업을 통해 다경의 「칠지사」의 많 은 부분을 가필, 보강했다고 할 수 있다. 운해경원은 운서(韻書)에 기초하여 한자를 배열하 고, 그 글자와 숙어의 출전을 기재한 서적이다. 이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서 그는 많은 학자 들과 다양하게 교유하였으며, 모든 분야의 장서를 섭렵해야 했다. 그는 이 과정을 통해 유가 에 대한 자신의 학식과 차문화에 대한 다도 사상을 더욱 깊게 체계화할 수 있었다.

2. 시대적 상황과 차문화

수의 통일제국을 계승한 당은 대외적 영토 확장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이 과정 에서 다양한 외래문화가 유입되었다. 특히 개방적인 대외정책을 추진했던 당은 해외로부터 많은 물자를 수입하여 물적 교류를 추진했을 뿐만 아니라 외국 사신과 유학생과 상인들과의 인적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개방적 외래문화 수용은 당의 문화가 국제적 성격 을 지닐 수 있도록 만들었다.26)

육우가 주로 활동했던 시기는 현종(玄宗)이 통치하던 시기였다. 당 현종은 정치를 쇄신하 고 사회 안정에 힘써서 당 태종의 ‘정관(貞觀)의 치세’에 비길 만한 ‘개원(開元)의 치세’를 열 었으며, 당의 전성기를 이루었던 인물이다. 현종의 치세는 대략 45년간(712∼756) 진행되었 는데, 이 시기에는 당대 문화가 최고의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수도 장안(長安)은 정치·문화의 중심지로서 태평성대를 누렸다. 그러나 이런 경제적 번영은 궁중이나 상류층의 전유물이었으 며, 그 이면에서는 균전제의 모순이 목격되었고, 농민은 변경으로 강제 출병되었으며, 중세로 인해 서민의 생활은 고통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로 인해 현종 말기 천보(天寶)의 시대에는 정권 와해의 징조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안녹산(安祿山, 703∼757)이 일으킨 반란은 사사명 (史思明, ?∼761)에 이어져서 9년 동안 계속되었다. 반란 후 당조의 정치 체제도 변화를 겪 었다. 당의 사회적 성격이 귀족 중심이었기 때문에 문화도 귀족 중심의 문화로 발전되었다.

이런 사회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귀족사회의 발전과 함께 전통문화는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적 내용을 내포하게 되었다. 또한 개방적 국제문화 교류는 당의 사상이나 종교에도 영향 26) 이 부분은 동양사학회 편, 개관 동양사, 지식산업사, 1983, pp.124∼145와 신성곤, 「唐宋變革期論」,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편, 강좌중국사 Ⅲ, 지식산업사, 1989, pp.7∼70을 참조.

(24)

을 끼쳐 다양하고 풍부한 성격의 사상과 종교가 융성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당대의 유학은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당대의 유학사상의 전래양상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공영달(孔穎達, 574∼648)은 태종의 명 을 받아 고전에 대한 주석을 정리하고 종합해서 오경정의(五經正義)를 편찬하였다. 이를 계기로 유학은 통일제국의 기본 이념이 되었다. 공영달의 오경정의는 한나라 이후 유교 경 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하나로 통일한 저작이다. 그리고 오경정의에 의한 유교 경전의 해석만이 과거시험에서 통용되었다. 오경정의가 정규과목으로 채택되면서 당대의 유학은 이후 관학의 길을 걷게 되었다. 특히 공영달의 오경정의가 권위적 해석으로 지배적 위치를 점유한 것은 당이 불교를 종교로 수용했지만 대내적 통치의 기반으로는 한나라의 정통을 계 승했다는 의미를 내포하였다. 이에 따라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와 같은 오 경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사대부 계층에게는 필독서가 되었고, 일반 대중 가운데 문자나 사 상에 관심이 있고, 이를 학습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도 반드시 습득해야 하는 서적이 되었다.

불경보다는 유가 사상에 심취했던 육우도 이러한 과정을 거쳤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주역을 학습했다고 보인다.

한편 국제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과거제도를 통해 등장한 문인 관료가 중용되면서 군사와 관련된 무장들은 점점 쇠퇴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북 방 출신이 정치와 행정의 중심에서 물러나고, 강남 지역 출신의 문인들이 중심을 차지하였음 을 뜻한다. 남방문화가 우대를 받았다는 것은 차문화가 당대의 사회 문화로 자리를 잡기 시 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음다와 차문화는 당나라의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남방의 차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육우와 같은 인물이 차문화에 심취하 고, 다경과 같은 차문화의 진수를 저술하는 분위기가 성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5)

제2절 다경에 나타난 차문화와 주역의 상관성

다경에는 다양한 사상들이 녹아 있다. 앞 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육우는 어린 시절에 는 ‘불교’보다 ‘유가’의 학설에 심취했다. 그는 교연 스님과 교유하면서 적지 않은 불교 관련 지식을 학습하였다고 보이지만, 문인 관료 및 학자들과 교유하면서 유가 학문과 사상에 대한 학식을 더 깊게 축적하였다. 유가 사상의 학습 과정에서 그는 주역을 학습했으며, 주역 사 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할 수 있다. 다경의 차문화와 다도 사상에는 주역

사상의 영향을 받은 흔적들이 나타나 있다.

당나라 시대에 주역이 어느 위치를 점유하였고, 그 영향력이 어떠했는가를 명확하게 밝 히기는 어렵다.27) 육우가 살았던 시대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영달의 오경정의가 유가 해석의 기본으로 확립되었던 시기였다. 이로 인해 주역도 공자의 해석에 따르는 ‘의리역학 (義理易學)’을 기본이념으로 정립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의리역’은 “인간과 사회의 가치체 계를 중시하여 의리와 도덕을 중심으로 주역을 해석하는 것”28)을 의미한다. 육우가 ‘정행검 덕’과 같은 유가적 가치를 강조한 것도 주역을 위시한 유가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 문이다. 한편 민간 사회에서는 이정조(李鼎祚)가 편찬한 주역집해(周易集解)가 더 높게 평 가되었는데,29) 이는 주역집해의 성격이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상수역학(象數易學)’을 중 심으로 저술되었기 때문이었다. 육우는 보편적으로 널리 보급된 공영달의 ‘의리역학’도 습득 했지만, 실천성을 중시하는 자신의 성품으로 볼 때 ‘상수역학’도 습득했다고 볼 수 있다.

1. 정행검덕(精行儉德)

다경 「일지원」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차의 쓰임은 맛이 아주 차기 때문에 음료로서 적당하다. 정신과 행실에 검소한 덕을

27) 중국에서 주역의 성립과 후대의 전파에 관해서는 신성수, 현대주역학개론, 대학서림, 2007, pp.19~30참 조. 저자는 선진시대에는 ‘점서역설(占筮易說)’의 의미가 컸으나, 공자 이후 ‘의리역설(義理易說)이 주를 이루었고, 한대에 이르러 ‘상수역학(象數易學)’이 발전했고, 수당대에는 다시 ‘의리역설’이 발전 했으며, 송원대에는 의리역과 상수역이 함께 발전했다고 주장한다.

28) 같은 책, p.27.

29) 日月洲 注, 茶經, 北京,九州出版社, 2016, p.6.

(26)

갖춘 사람이 열이 오르거나 갈증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여, 머리가 아프거나 눈이 어지럽 고 사지에 기운이 빠지며, 전신의 마디마디가 잘 펴지지 않을 때, 네다섯 모금만 마시면 제호나 감로를 마신 효과에 견줄 만하다.”30)

정행검덕을 해석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정신과 행실에 검소한 덕31) 둘째, 정성스러운 행실과 검소한 덕32)

셋째, 행실이 바르고 단정하고 검소하며 겸허하여 덕망을 갖춤33)이 그것이다.

첫 번째에서는 ‘정행’이 ‘검덕’을 수식하고 있으며, 두 번째에서는 ‘정행과 검덕’ 두 개념이 독자적 의미를 지니며 구분되어 있고, 세 번째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가 모두 포함되어 있 거나 각각의 구절이 독자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정행검덕은 ‘정행’과 ‘검덕’의 합성어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각기 독자적인 의미를 지니면서도 함께 합쳐져 수평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반면에 ‘정행검덕’을 각각의 의미로 해석할 경우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정’은 전심 과 전력을 다해 도덕적 품행을 쌓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다사(茶事)에 있어서 ‘다유구난(茶 有九難)’과 같이 어려운 과정을 정심(精心)으로 전력을 다해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행’은 첫째로는 품행을 올바르게 해야 한다는 의미이고, 둘째로는 다도를 실제로 행함 에 있어서 고상한 품격을 갖추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정행’과 달리 ‘검덕’은 주역의 영향 을 받았다고 말할 수 있다.

주역 천지비괘(天地否卦)의 「상전」에 “하늘과 땅이 사귀지 않는 것이 비니, 군자가 이로 써 덕을 검약하여 어려움을 피해 녹을 받는 것으로써 영화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34)라고 언 급되어 있다. 여기서 ‘검’은 검약한 것을 의미하고, 이 검약을 통해 ‘덕’을 수련할 수 있고, 군자와 같은 고상한 성정(性情)과 기품을 갖출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다인이 인애(仁愛)

30) 육우지음, 류건집 주해, 앞의 책, p.67. “茶之爲用, 味至寒, 爲飮最宜, 精行儉德之人, 若熱渴, 凝悶, 腦疼, 目澁, 四肢煩, 百節不舒, 聊四五啜, 與醍醐, 甘露, 抗衡也.”

31) 누노메 쵸우후우(布目潮風), 이진수 역해, 현대과학으로 읽는 茶經, 이른아침, 2011, p.49.

32) 치우치핑 지음, 김봉건 옮김, 다경도설, 이른아침, 2005, p.40.

33) 짱유화(姜育發), 茶經講說, 도서출판삼녕당, 2015, p.64.

34)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전통문화연구회, 2010, p.358. “天地不交否, 君子以俭德辟难, 不可荣以禄.”

본 논문의 주요 근거인 주역 해석 관련 부분은 대중적으로 인지된 해설서를 바탕으로 주역을 해석 하였다. 여기서는 성백효 주역전의, 김석진대산주역강해, 문명수 주역강좌, 周易 附諺觧중 주요하게는 성백효의 책을 기본으로 하되, 연구자의 개인적 해석을 첨가하고자 한다.

(27)

의 정신과 선한 품성을 갖추어야 하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 해석에 의하면 ‘검덕’의 의 미가 확대되어가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육우가 “황금 가득한 항아리도 부럽지 않고, 백옥으 로 만든 찻잔도 부럽지 않다네, 아침에 조정에 출사하는 것도 부럽지 않고, 저녁에 누대에 올라 경치를 즐기는 것도 부럽지 않다네, 천 번 만 번 부러운 것은 서강의 강물이니, 내 고 향 경릉성을 향해 흘러가네.”35)라고 읊은 것을 참조해보면, 그는 ‘검’의 의미를 충분히 인식 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조정의 부름에도 두 번씩이나 출사하지 않았던 것도, ‘검’이 지니는 의미를 깊이 체득하고 실천하는 행동이었다. 이런 점들을 참고하면서 주역에서는 정·행·검·덕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가. 정(精)

일반적인 ‘정’의 사전적 의미는 ‘찧다, 자세하다, 묘하다, 아름답다, 순수하다, 밝다, 깨끗하 다, 정성스럽다, 익숙하다, 날래다, 심하다, 빛, 정기, 마음, 신령, 정화, 보석, 강하다’ 등이 다. 주역에서도 ‘精·情·正·貞·定’은 같은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주역에서의 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역 1번째 중천건괘(重天乾卦)에는 “위대하다. 건이여. 강건하고 중정하고 순수함이 정 이다.”36)고 언급되어 있다. 여기서 ‘정’은 “순은 음유에 섞이지 않은 것이고, 수는 사악에 섞 이지 않은 것이다. 강건중정함은 지극한 것이고, 정은 또 순수함이 지극한 것이다.”37)는 의 미로 사용되고 있다. 육우가 ‘정’이라는 한 글자를 내세운 것은 다사의 각 방면에도 이러한 기준과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함이었다. ‘다유구난’은 ‘조(造), 별(別), 기 (器), 화(火), 수(水), 적(炙), 말(末), 자(煮), 음(飮)’을 포괄하고 있다. 종차(種茶), 제차(制茶), 감별(鑑別), 자차(煮茶)기구의 올바른 이용법, 불의 조절, 알맞은 물의 온도, 차를 굽는 바른 방법, 음차의 순서 등이 모두 정심과 정성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음차의 진정한 향기에 취하기 위해서는 ‘구난(九難)’의 정을 잊지 않고 언제나 이에 따라 행하여야 한다는 교훈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는 육우가 말한 정(精)의 의미와 일치한다고 간주된다.

35) 阮浩耕, 沈冬梅외 中國古代茶葉全書, 浙江撮影出版社, 1998. 육우의 「육선가(六羨歌)」 “不羨黃金罍 不 羨白玉杯 不羨朝入省 不羨暮入臺 千羨萬羨西江水 曾向竟陵城下來”.

36) 文明洙 譯註, 眞山周易講座 上經, 眞山學會, 1997, p.89. “大哉乾乎剛健中正純粹精也”, “剛은 體 로써 말한 것이다. 健은 用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 中은 그 행실이 과하거나 불급함이 없는 것이다.

正은 그 섬이 치우치지 않은 것이다. 剛·健·中·正 네 가지는 乾의 德이다.”

37)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앞의 책, p.179.

(28)

나. 행(行)

‘행’의 사전적 의미는 “다니다, 가다, 돌다, 흐르다, 지나다, 보내다, 행하다, 길, 서체, 시 이름, 상점, 행실, 품행” 등이다. 다도에서의 ‘행’은 두 가지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첫 번 째는 품행과 같은 의미로 행동거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두 번째는 다도를 행하는 행다 등의 일을 실제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 육우가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품격을 갖춘 고상한 다인들 은 각종 다사를 행하거나 품차의 도를 논하는 행위에서 품행이나 행실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되는 의미를 주역에서 살펴보면, 주역 1번째 중천건괘의 의미를 파악함에 있 어서 “대인은 용덕(龍德)으로 중정한 자이다. 평상시의 말을 믿게 하고, 평상시의 행동을 삼 가 사(邪)를 막고, 성(誠)을 보전하며, 세상을 좋게 하고도 자신의 공로를 자랑하지 않는다.

덕이 넓어 교화하는 자이니, 역(易)에 이르기를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대인을 만나봄이 이롭다고 하였으니, 이는 군주의 덕이다.”38)는 구절이 나온다. 이는 군자의 품행에 대한 해 석으로 평상시의 말을 믿게 하고, 평상시의 행실을 올바르게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육우가 주장한 행의 의미도 여기에서 파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육우는 다인은 대인, 즉 군자와 같 은 행동을 모범으로 삼아야 하고, 일상에서나 음다행위에서 이를 실천해야 한다고 파악한 것 이다.

다. 검(儉)

육우는 ‘검’을 다인이 몸에 익혀야 할 필수적인 요소로 파악함으로써 모든 다사에서 근검 을 앞세우고 사치나 낭비를 경계하였다. 다경 「칠지사」에서 소개된 고대의 다사 중에서 제 나라 재상 안영(安嬰: ?~기원전 500년)의 사례가 있다. 육우는 안영이 재상의 신분이면서도 하루 세 끼 식사에 거친 차와 담백한 소반만을 곁들였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주역 12번째 천지비괘(天地否卦) 「상전」에 “천지가 사귀지 않음이 비이니, 군자가 보고 서 덕을 검약하여 난을 피해서 녹으로써 영화롭게 하지 말아야 한다.”39)고 언급되어 있다.

여기에는 천지가 비색할 때에는 군자의 도가 사라지니, 마땅히 비색한 상을 보고서 그 덕을

38) 文明洙 譯註, 眞山周易講座 下經, 眞山學會, 1997, p.74. “龍德而正中者也 庸言之信 庸行之謹 閑 邪存其誠 善世而不伐 德博而化 易曰見龍在田利見大人 君德也.”

39)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앞의 책, p.358. “天地不交否 君子以 儉德避難 不可榮以祿.”

(29)

검약하고 덜어내어 환난을 피하여 면할 것이요, 영화로운 녹과 지위에 거하면 환난이 반드시 그 몸에 미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마땅히 숨어 궁약(窮約)함에 처해야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주역 60번째 수택절괘(水澤節卦)에 “천지가 절도가 있어 사시가 이 루어지니, 제도로써 절제하여 재물을 상하지 않으며 백성을 해치지 않는다.”40)고 언급되어 있다. 이는 절제는 도를 말하는 것으로, 성인이 제도를 세워 절제하고, 그러므로 재물을 상 (傷)하지 않고 백성을 해치지 않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는 근검은 절약이라는 점 을 주장한 것이다. 여기에서 검은 절(節)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육우가 말한 검의 의미와 일치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검’에 대해 육우는 다경의 여러 부분에서 급철 (急鐵)대신에 낡은 쇠를 사용해도 된다는 언급이나, 낡은 베를 사용하여 차를 제조한다는 등 이 바로 그러하다. 이처럼 실제 물건들의 사용에 있어서 검약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세계, 즉 다도를 구축할 때 생각이나 행동에 검약과 절제가 있어 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라. 덕(德)

육우는 차를 대하는 사람들에게 모든 다사에 있어 특별한 덕행과 품행의 규범을 갖출 것 을 요구하였다. 그는 군자와 같은 고상한 성정과 기품을 갖춘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다인이라고 보았다. 또한 그는 다인은 인애(仁愛)의 정신이나 선행(善行) 등의 도덕적 품성을 갖추고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역 1번째 중천건괘에는 “군자는 덕을 이룸을 행실로 삼으니, 날로 볼 수 있는 것이 행 실이다. 잠(潛)이란 말은 숨어서 나타나지 않으며 행실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이 때문에 군자가 쓰지 않는 것이다.”41)라고 언급되어 있다. 이는 덕이 이루어짐에 그 일을 볼 수 있는 것은 행실이고, 덕이 이루어진 뒤에야 씀에 베풀 수 있는데, 잠기고 숨어서 나타나 지 않아 그 행실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니,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드러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는 군자의 덕은 항상 행실로 수반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육 우가 말한 덕의 의미와 일치한다. 유가 사상의 핵심인 덕은 행동의 기준이자 생각의 근본이 라 할 수 있다. 공자가 강조하는 ‘인’은 결국은 덕을 내면에 축적하기 위한 수련의 과정이라

40) 文明洙 譯註, 앞의 책, p.206. “天地節而四時成 節以制度 不傷財 不害民.”

41)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상, 앞의 책, p.181. “君子以成德爲行 日可見之行也 潛之爲言也 隱而未見 行而未成 是以君子弗用也. ”

(30)

할 수 있다. 육우는 유가학자들과 교류를 통해 유가 사상 덕목들을 습득했고, 그 중에서 덕 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다도에 도입하고 다인들에게 전파하고자 의도했다고 보인다.

2. 풍로(風爐)

차문화에서 위에 언급한 ‘정행검덕’은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이와 함께 ‘정행검덕’을 수행 할 중요한 도구인 다구의 선택도 매우 중요하다. 육우는 다구 가운데 풍로에 대해 많은 관심 을 가지고 있었다. 다경 「사지기」에서 육우는 ‘풍로’를 제작할 때, 주역에 나오는 ‘정괘 (鼎卦)’에서 ‘정’의 모습을 취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위 문장에 의하면, 「사지기」에 나오는 ‘풍 로’를 제작할 때 육우는 ‘옛 솥’의 모습을 따르며, 풍로에는 ‘리, 손, 감’ 세 괘를 표시하라고 하였는데, 이는 풍로가 철저하게 주역에 근거하여 제작되도록 요청한 것이다. 그는 풍로를  주역의 괘에 근거하여 제작함으로써, 구체적 사물에서 추상적 사유로까지 차문화의 의미를 확 장하고 있다. 다경의 ‘솥’에 대해서 살펴보면, ‘솥’은 주역의 ‘화풍정괘’에 등장한다. 정괘 (鼎卦) 「서괘전」에 “물건을 변혁하는 것은 솥 만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정괘로 받았다.”42) 라 하였다. 솥의 쓰임은 물건을 변혁하는 것이니, 날고기를 변하여 익게 하고 단단한 것을 바꾸어 부드럽게 만든다. 물과 불은 함께 할 수 없는데 서로 합하여 쓰임이 되어 서로 해치 지 않게 하면 이는 물건을 변혁하게 하는 것이니, 정괘가 이 때문에 혁괘의 다음이 된 것이 다. 괘의 모습은 위는 리이고 아래는 손이니, 이것이 솥이 된 까닭은 그 상을 취하고 그 뜻 을 취한 것이다. 상을 취한 것이 두 가지가 있으니, 전체로써 말하면 아래에 세워진 것은 발 이 되고 가운데 채워진 것은 배가 되니, 물건을 받아 가운데에 두는 상이요, 위에 대치하고 있는 것은 귀이고 맨 위에 가로 뻗쳐있는 것은 현(鉉)이니 솥의 상이며, 상체와 하체의 상으 로 말하면 가운데 빈 것이 위에 있고 아래에 발이 있어 받드니, 또한 솥의 상이다. 그 뜻을 취하면 나무가 불을 따른 것이다. 손은 들어감이니 순종하는 뜻이다. 나무가 불에 순종함은 불태우는 상이 된다. 불의 쓰임은 오직 굽는 것과 삶는 것인데, 굽는 것은 기물을 필요로 하 지 않으므로 삶는 상을 취하여 솥이라 하였으니, 나무로써 불에 순종함은 삶는 상이다.

현실에서 ‘물과 불’은 상극관계에 있는 사물이다. 이 사물의 특성을 서로 합하여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하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변혁을 도모한다는 것이 주역에서 ‘정’을 해석하는 견해이다. 이는 주역이 ‘정역(正易)이면서 ‘변역(變易)’이라는 점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42) 성백효 역주, 주역전의 하, 전통문화연구회, 2009, p.308. “革物者莫若鼎 故受之以鼎.”

(31)

육우는 풍로를 구상하면서 주역의 ‘정괘’를 깊이 학습하고 응용하였다. 찻잎이라는 유형적 이며 구체적인 사물을 물과 결합하여 ‘마시는 음료’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과정이 필 요한데, 이 과정에 서로 상극적인 요소의 결합 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그는

‘차+물+불+바람’의 결합을 효율적으로 완성할 목적으로 주역 정괘에서 응용하여 풍로를 고 안하였다. 풍로는 도구로 활용되어 이 모든 상 극적인 요소를 하나로 결합하였다. 이는 풍로가 단순한 도구의 의미를 뛰어넘어 새로운 차원으 로의 변화와 변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육우가 이와 같은 풍로를 구 상할 때 주역의 ‘화풍정괘’는 변화와 변혁이 라는 중요한 사상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고 말할 수 있다.

육우는 풍로를 제작하는데 두 번째로 다음의 사항을 강조하고 있다.

“풍로 안에 체얼(墆㙞)을 두는데 세 개의 틀을 만든다. 그 한 틀 위에는 꿩을 그리는데 꿩 은 불과 관계된 새이므로 리괘(☲)를 그리고, 한 틀 위에는 호랑이를 그리는데 호랑이는 바 람과 관계된 짐승이므로 손괘(☴)를 그리고, 한 틀 위에는 물고기를 그리는데 물고기는 물에 관계된 것이므로 감괘(☵)를 그린다. 손괘는 바람을 주재하고, 리괘는 불을 주재하며, 감괘는 물을 주재한다. 바람은 불을 일으키고, 불은 물을 끓이므로 그 세 괘를 갖추도록 한 것이 다.”43)(그림144) 참조)

육우는 풍로를 제작할 때 8괘 중에 바람을 가장 밑에, 그 위에 불, 그 위에 물의 괘를 갖 추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무형의 바람이 유형의 불을 일으켜 물을 데우는 현상을 주역

으로부터 빌어 온 것이다. 그가 인용한 첫 번째 사상은 불에 관련된 괘이다. 불의 괘인 리괘

43) 육우지음, 류건집 주해, 앞의 책, p.140. 일부 수정.

44) 정민 지음,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김영사, 2011, p.158.

그림1. 육우의 풍로

公伊 陸羹 茶氏

참조

관련 문서

• The supply and demand curves cross at the equilibrium price and quantity.. • You can read off approximate equilibrium valu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 there be educational programs for developing personality on the part of juveniles in order to prevent and

In this research, there is no consistent result that the outsourcing can give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but most of hypothesis indicates that

Changes in body, flexibility, and physical strength levels of women participating in Pilat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chan ges.. Summarizing

Moreover, it describes how this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with referring to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book

So this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on the various forms of tag questions is required and English textbooks should include the practical types of

Bacterial and yeast plaque on dentures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etiologic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denture stomatitis. Since these fungi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