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韓國 敎會의 社會事業 參與實態 分析 및 活成化 方案에 관한硏究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韓國 敎會의 社會事業 參與實態 分析 및 活成化 方案에 관한硏究"

Copied!
10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碩士學位論文

韓國 敎會의 社會事業 參與實態 分析 및 活成化 方案에 관한硏究

-首都圈地域 基督敎 敎會를 中心으로-

The Study of Korean Churches' Social Welfare Participation Reality and of Promoting Program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行政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安 維 新

2 0 0 2

(2)

韓國 敎會의 社會事業 參與實態 分析 및 活成化 方案에 관한硏究

-首都圈地域 基督敎 敎會를 中心으로-

The Study of Korean Churches' Social Welfare Participation Reality and of Promoting Program

指導敎授 : 洪 性 傑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함 2002年 6月 日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行政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安 維 新

2 0 0 2

(3)

安維新의 碩士學位 請求論文을 認准함

2002年 6月 日

審査 委員長 審 査 委 員 審 査 委 員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4)

[국문초록]

한국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 전공 안 유 신

이 논문에서의 교회는 그 기초를 그리스도와 성경에 두고 있으며, 교회의 사회사업은 예수의 삶을 본 받아 닮는 생활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회의 사명은 예배, 교육, 전도와 봉 사, 말씀, 선교 또는 선포, 그리고 친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실태를 분석하고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교 회사회사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 적을 두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통해 기독교 일부 교회의 복지활동 및 봉사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서 사회사업 참여 및 실태를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실 증 연구로서 수도권 지역의 기독교 교회 200개소의 목회자 및 교회관계자를 대상으로 방문 및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통

(5)

하여 참여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목회자 및 교 회의 일반적 특성 ,교회의 재정, 자원 등에 관한 53개의 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그 연구결과는 설문에 참여한 목회자 및 교회관계자들은 기독교 사회복지 사상에 대한 대부분이 인지하고 있었다. 그 러나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는 소극 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를 바탕으로 하 는 사회복지 관련단체들의 활동은 사회복지계에 지대한 영향 을 미치고 있으나 정작 지역교회의 목회자들은 교회의 역할 과 사명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분석 결과로는 교회의 사회사업참여를 활성화시키 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목회자의 성 별, 목회자의 전공, 교단,학력, 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기분석결과로는 교회의 사회사업참여를 활성화시키 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목회자의 성별, 목회자의 전 공, 교회의 사회복지 예산액,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예측변인 으로 나타났다. 즉, 목회자가 남성인 경우, 목회자의 전공이 신학일 경우, 예산이 많을수록,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을수 록 교회의 사회사업의 참여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예측변인으 로 나타났다.

(6)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요약해 보면, 첫 째,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선행 되야 할 것은 사회사업에 대한 목회자의 의식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또한 종교지도자나 사회복지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목회자 및 교회관계자의 의식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 다고 본다. 또한 목회자는 교회의 역할이 지역사회복지 증진 을 위한 교회중심의 사회사업의 전개임을 신도들에게 분명하 게 전달하여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해야 하겠다. 둘째,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활성화를 위해서는 개 교회의 사회복지에 대한 전문가의 확보가 시급한 문제라고 본다. 교회관계자를 중심 으로 하여 일반적인 수준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은 가능 할 수있으나 보다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사회복지를 전공한 전문가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교회의 사회사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는 교회가 가진 다양한 가용자원의 적극적인 활용방법에 대 한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지역의 특성과 교회의 내부적 여건을 고려한 사회사업의 전개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철저한 지역특성을 바탕으로한 욕구조사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

(7)

목 차

[국문초록]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방법, 범위 ···4

1. 연구의 방법 ···4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교회사회사업의 개념 과 의의 ···7

1. 교회사회사업의 개념 ···7

2. 교회사회사업의 중요성 ···10

3. 교회사회사업의 특징 ···14

4. 교회사회사업의 역할 ···18

제2절 교회사회사업의 이론적 근거 ···21

1. 사회사업의 성서적 근거 ···21

제3절 교회사회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 ····24

1. 지역사회와 교회사회복지 ···24

제4절 교회사회사업의 역사 ···26

제5절 한국교회 사회사업의 실태 ···30

제 3 장 연구가설 및 연구의 틀 ···37

제1절 주요연구개념의 조작적 정의 ···37

(8)

제2절 연구의 모형 ···39

제3절 가설의 설정 ···41

제 4 장 연구방법 및 절차 ···42

제1절 조사도구 ···44

제2절 자료수집 방법 ···46

제4절 조사분석 방법 ···47

제 5 장 조사결과의 분석 ···48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8

1. 주요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8

2. 조사대상 교회의 일반적 특성 ···52

제2절 사회사업참여실태 조사결과 ···53

제3절 가설의검증 ···68

제4절 사회사업참여 활성화에 미치는 요인 ···74

제 6 장 결 론 ···76

제1절 요약 및 결론 ···76

제2절 연구의 한계 ···78

제3절 교회의 사회사업참여활성화를 위한 제언 ···79

[참 고 문 헌] ···82

[부 록] 설문지 ···85

(9)

표 목 차

<표2-1>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참여활동 ···33

<표3-1> 교회사회사업참여도 영향요인 분석모형 ···40

<표4-1> 조사도구의 문항내용 및 문항수 ···45

<표5-1> 주요대상자의 통계학적 특성 ···49

<표5-2> 조사대상 교회의 일반적인 특성 ···50

<표5-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2

<표5-4> 교회의 재정과 목회자의 연령과의 관계 ···53

<표5-5> 교회의 재정과 목회자의 학력과의 관계 ···54

<표5-6> 교회의 재정과 사역기간과의 관계 ···55

<표5-7> 교회의 재정과 생활수준과의 관계 ···56

<표5-8> 교회의 재정과 소속교단과의 관계 ···57

<표5-9> 교회의 재정과 교인수와의 관계 ···58

<표5-10>교회의 재정과 교인분포과의 관계 ···59

<표5-11> 사회복지전담부서와 지역과의 관계 ···60

<표5-12> 사회복지전담부서와 직분과의 관계 ···61

<표5-13> 사회복지전답부서와 예산비중과의 관계 ··· 62

<표5-14> 사회복지전답부서와 교인의성별과의 관계 ··· 62

<표5-15>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연령과의 관계 ···· 63

<표5-16>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학력과의 관계 ···· 64

<표5-17>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직분과의 관계 ···· 65

<표5-18>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전공과의 관계 ···· 65

<표5-19>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사역기간의관계 ·· 66

<표5-20>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설립기간의관계 ·· 67

<표5-21> 사회복지관련 교육훈련여부와 교인수의 관계 ···· 67

<표5-22> 자발적 사회사업 참여도와 성별과의 관계 ··· 68

<표5-23>자발적 사회사업 참여도와 학력과의 관계 ··· 69

(10)

<표5-24> 자발적 사회사업 참여도와 직분과의 관계 ··· 70

<표5-25> 자발적 사회사업 참여도와 전공과의 관계 ··· 71

<표5-26> 자발적 사회사업 참여도와 지역과의 관계 ··· 72

<표5-27> 자발적 사회사업 참여도와 소속교단과의 관계 ·· 73

(1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1세기에는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해서 민간단체 및 지역 교 회의 연대적 힘이 요청된다. 또한 이제는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공의 힘만으로 는 해결이 불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목회자의 의식을 조사 하여 교회사회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교회는 선교 1세기를 거치는 동안 국가발전을 위한 다양 한 활동을 전개하여 왔다.1) 하지만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과 역 할인 사회봉사 보다는 외적 성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지 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사회사업의 참여는 미흡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목회자 및 교인들의 대부분은 복음전도와 영혼구원 을 교회의 일차적 목적이라 생각해왔다. 그러므로 교회의 사회 사업 참여는 이차적 목적으로 수행되어 왔음은 분명하다. 하지 만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과 역할은 이웃사랑 실천을 통한 그리

1) 한국교회는 선교 1세기를 거치는 동안 평등사상의 고취로 봉건주의를 타파하고, 서구문화 전달을 통해 근대화에 앞장섰으며, 신교육을 통한 국 민의식개혁운동과 의료사업진료활동, 성경을 기초로한 문맹퇴치, 신앙부흥 운동, 일본제국주의 에 대한 저항운동 및 많은 역할을 해왔다.

(12)

스도의 복음전파를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주민 및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사회사업의 전개를 통해 지역복지를 증 진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교회가 수행하는 사회사업의 정도에 따라 교회의 건전성과 건강성을 판단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갤럽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기독교 교인은 총 인구 약 4천6백만 명중 970만 명이고, (한국갤럽조사보고서 , 1999: 153) 전국적인 교회 수는 46,603 개소이며, 성직자는 5만 1천8백명으로 집계되었다.(한국종교사회연구소, 1997: 312)

이러한 차원에서 민간부문의 사회복지활동이 매우 중요시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사회복지계에 기독교가 끼친 영향력과 기여는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최성균, 2002)

김홍권(1997)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복지기관․시설 운영을 통 한 종교의 사회복지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 법인 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독교가 461개로 가장 많았고, 가톨 릭이 112개 ,불교가 37개인 것으로 나타나 국내 대표적 종교 3 대 종파 중 기독교가 가장 높은 참여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한국교회는 조직적 역량이 크고 인적, 물적 자원의 동원이 용이하며 사회사업을 활발하게 전개 할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사회봉사활동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교회의 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천하는데 소극적인 목회자의 자세 때문이라 할 수있다. 따라 서 본 논문을 통하여 비교적 인적․물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

(13)

에도 이처럼 사회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와 교 회사회사업의 활성화에 있어서 목회자의 역할은 무엇이며, 긍극 적으로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 활 성화 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목회자의 의지에 비하여 실천에 있어서의 문제점 은 미온적인 대응자세와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사회사업 실천방 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자선적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 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제는 교회도 사회사업에 대하여 보다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준비와 실천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 회가 마땅히 해야할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사회사업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의지가 요청되는 시기이다. 이에 본 연 구는 목회자 및 교회의 특성에 따라 교회사회사업에 대한 참여 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교회사회사업 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회를 중심 으로한 사회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목회자, 교인들의 개별적 특성이 교회사회사업 참여 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둘째, 목회자 및 교인들의 사회사업에 대한 의식을 조사한다.

셋째,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실태를 조사하여 교회사회사업의 활 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기존의 선행된 연 구를 통한 문헌연구와 목회자들에 대한 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 하여 현실적이고 실증적인 근거 자료를 마련한다.

(14)

제 2 절 연구의 방법, 범위 1.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문헌적 자료를 활용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및 직 접 면접을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적 연구의 수집은 기존 국내․외의 관계 서적 및 각종 학위논문, 학술보고서, 인터 넷 등의 자료나 통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검증자료를 위해서 신학전공 및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기독교사회복지단체 에 근무하는 목회자2), 사회사업가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 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는 설문지에 의거한 반응조사로 자료 를 수집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지에 포함된 내용을 살펴보면, 목 회자의 개인특성 7개 문항 과 교회의 일반적 특성요인 10개 문 항, 교회의 사회사업에 관한 문항 20개 문항, 교인들의 사회사업 의식에 대한 문항이 15개로 총 52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용하게 된 이유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기존의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설문을 통하여 목회자와 교인들의 개별적인 특성요인 과 교회의 특성이 교회사회사업 참여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2) 목회자가 근무하는 기독교 사회복지단체로는 월드비전, 한국이웃사랑회,영락사회복지재단,YMCA,YWCA, 등이 있다.

(15)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조사기 간은 2002년 4월 20일~4월 30일까지로 하였으며, 둘째, 조사지 역은 전체 공간 중에서 수도권으로 국한하였다.3) 셋째, 조사대 상은 기독교 교회(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로 국한하였 고, 이를 다시 목사, 전도사, 장로, 평신도, 4개 대상으로 구분하 였다.

한편 본문의 전체 구성을 보면, 제1장에서는 서론 분야를 다 루면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교회사회사업에 대한 개념 및 의의 ,교회사회사업 의 이론적 근거, 교회사회사업의 역사 그리고 우리나라 교회사 회사업의 실태 및 현황을 소개하였다. 특히 사회사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독교단체 및 기독교인의 활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역 할수행이 미흡한 한국교회의 사회사업 참여도 및 실태에 대하여 다루었다.

즉, 교회사회사업과 관련된 연구결과 와 한국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실태 등을 검토하였다.

제3장 과 제4장, 5장에서는 본론에 해당하는 분야로써, 교회사회 사업 참여도의 실증적 분석을 위한 연구의 모형과 분석의 틀,

3) 조사지역을 수도권지역으로 국한하게 된 이유는 본 연구자가 거주하고 있는 곳이 수도권 지역이며, 도시지역이 지방 중․소도시 보다 사회봉사 의 의지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선정하게 되었다.

(16)

가설의 설정 및 분석결과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설문대상으 로 선정한 수도권 지역 기독교 교회 목회자 및 교회관계자의 설 문조사를 기준으로 분석되었다.

제6장에서는 결론분야로써 지금까지 논의된 연구결과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았으며, 끝으로 분석결 과를 기준으로 문제점 및 개선, 활성화방안에 대한 제언을 함으 로서 본 연구 논문을 끝맺었다.

(17)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교회사회사업의 개념과 의의 1. 교회사회사업의 개념

사회복지라 함은 사회구성원들이 기존의 사회제도를 통하여 자신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어 려움이 예상 될 때,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 하는 조직화된 사회적 활동의 총체라 정의한다.4)

오늘날의 사회복지는 과거의 자선이나 박애사업의 개념에서 시민권에 의한 사회보장 또는 인간복지 등으로 정의한다. 또한 보완적인 개념에서 제도적인 개념으로 확대되었으며, 자발성에 서 공공성으로, 최저조건에서 최적조건으로, 빈민복지에서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복지사회 구현의 넓은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노 상학, 2001: 293).

사회복지라는 개념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그 대상, 목적, 제 도, 기술, 사회․경제적 생활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그 정의도 변 해간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개념은 절대적이 아니고 상황에 따

4) 장인협 외 2인 ,사회복지학 , 서울대학교 , 2000. 사회복지는 조직화된 공식적 활동이다 비공식적이고 개별적이고 자의적인 활동과는 구별된다.

생활이 어려운 노인이나 장애인, 고아를 가까운 친척이나 친구, 이웃, 교 우나 직장동료가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도움을 주는 일은 인류 역사상 늘 있어 왔던 일이다.

(18)

라서 변하고 발전함으로 상대적 개념으로 해석된다.

교회사회사업의 개념은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봉사활동 및 사회복지사업이라 정의 할 수 있다. 교회는 복음의 선포, 교육, 성도의 교제와 함께 이웃에 대한 봉사를 기독교인이 행할 의무 로 여겨왔다. 이러한 4가지 기능 중에서 봉사라는 말속에는 교 회사회사업에 의미가 집약적으로 담겨있다. 교회의 고전적인 정 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회의 고전적 정의는 예배(Kerygma), 친교( Koinonia), 봉사 (Diakonia)의 공동체를 의미한다. 예배란 하늘나라의 실현을 말 씀을 통해 선포하는 것이고, 친교란 성령의 역사를 통해 믿음, 소망, 사랑을 가꾸어 가는 교우 관계이고, 봉사란 세상을 섬기는 신자들의 생활을 말한다. 세상을 섬긴다는 것은 세상을 변화시 키기 위한 독특한 방법으로서 자신을 헌신하여 종의 자세 (Servanthood)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독교에서 의 사회봉사는 교회 안에서 소일거리나 교회 행사에 시간을 내 어 돕는 정도의 소극적인 의미가 아니다.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해서 자신을 헌신하는 넓은 의미의 봉사라고 할 수 있다.

교회사회사업의 정의에 대하여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경자(1997)는 교회사회사업은 교회라는 민간 종교단체를 매 개로 하여 사람들과 그들의 사회환경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치 료,예방할 뿐 아니라 사람들 스스로 그 문제를 대처,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원조하고, 이를 위해 자원, 서비스 및

(19)

기회를 제공하거나 이것들을 제공해 주는 체계에 사람들을 연결 시켜 주는 활동이라고도 하였다

안정열(1999)은 교회사회사업이란 이웃사랑의 실천을 위하여 전문적 사회사업의 기술을 교회에 도입하고 자원을 활용하여 가 난하고 소외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실천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한일장신대학교의 이병진, 김덕환 교수는기독교 사회복지는 지역사회 내의 사회문제를 교회의 선교적 출발점으로 받아드리 고 교회가 주체가 되어 사회복지(봉사)의 프로그램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실천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이병진, 김덕환 1997).

앞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교회사회사업의 개념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자가 생각하는 교회사회사업의 정의를 내리면 다음과 같다.

교회사회사업이란 이웃사랑의 실천을 위하여 교회의 가용한 인적․물적 자원과 전문적 사회사업의 실천방법이 결합하여 가 난하고 소외된 지역주민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 할 수 있다.

(20)

2. 교회사회사업의 중요성

교회 사회사업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기 전에 먼저 주목해야 할 사실은 기독교의 전래나 근대 전문사회사업의 도입이 모두 미국을 통해서 주로 이루어 졌다는 사실이다. 이 결과 우리나라 의 교회사회사업을 이해함에 있어서 미국의 경험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미국의 사회사업서비스의 기원은 종교기관에서 찾을 수 있다. 존슨 (Johnson, 1994)은 교회가 사회사업의 모 체(mother of social work)라고 칭하였다. 전문사회사업이 나 타나기 오래 전부터 가난한 자, 핍박받은 자, 소외된 자 등 인간 의 절박한 요구에 대처해 왔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 나라의 기 독교도 교회의 전통으로 이어져 왔다. 교회사회사업의 중요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믿음의 실천: 교회내부로부터의 요구

교회는 기독교인들이 모여 예배드리는 건물이며, 기독교인들 의 조직화된 집단을 말한다. 기독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가 르침에 따라 살고자 하는 신앙인 들이요 교회는 그들의 공동체 이다. 예수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을 살펴보면 그는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복음을 전파하고 백성 중에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 을 고치시며(마 4: 23). 천국복음에 대한 선교와 가난한 사람들 을 위한 복지사업을 수행하신 분이셨다.

(21)

예수는 이사야의 글을 인용하여 그의 삶의 목적을 ‘주의 성령 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 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 사 포로된 자들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여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누가 4: 18~19).라고 설명하셨다(노상학, 2001: 287). 따라서 기독교의 본질은 “마음 과 목숨과 힘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몸 과 같이 사랑하라(누가 10: 27)”는 예수님 의 말씀을 믿을 뿐만 아니라 실천을 하는 데 있다.

1970년대 들어 와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과 교회성장으로 축척된 조직, 시설, 재정, 인적자원, 등을 사용 할 수 있는 기회 를 갖게 되었다.

교회성장제일주의에서 서서히 사회봉사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또한 지난 수년동안에는 기독교 사회복지, 기독교 사회봉사, 교회사회사업, 사회선교, 등 많은 새로운 신학 적 이론 그리고 실천모델과 구체적인 실천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박종삼, 1996: 6-8).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회와 사회복지간의 관계는 사회의 변화와 함께 역동적으로 변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교회가 국가보다 더 사회복지의 주체가 되었던 때가 있었던가 하면 국 가의 협조자로, 보완 자로 역할을 해온 때가 있었다. 구제가 구 원의 조건이었던 때도 있었고 구원후의 하나님의 주신 축복에 대한 반응이었던 때도 있었다. 전도와 사회참여가 상반된 것으

(22)

로 본 때도 있었고 함께 추구되어야 하는 것으로 본 때도 있었 다. 그러나 이러한 교회와 사회복지와의 관계 속에서의 교회 내 부로부터의 믿음의 실천과 관련된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는 교회 가 실천해 온 사회복지를 일반사회복지와 구별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이다.

2) 교회환경의 변화: 사회로부터의 요구

근대 국가이후로 국가의 권력이 강해지고 사회권의 등장으로 국가의 시민 사회복지에 대한 책임이 증대되면서 교회를 비롯한 민간단체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이것은 산업화, 도시화, 고령화, 핵가족화 등의 사회변화로 인한 사회문제의 복 잡성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민간의 한계를 일깨워 주 는데 기여하였다. 사회보험의 실시와 확대, 공공부조와 각종 사 회복지서비스제도의 정립과 확대를 통하여 사회복지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던 190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사회복지의 팽창이 지속되면서 복지국가가 등장하였다. 복지국 가는 질병, 실업, 장애나 사고, 사망, 은퇴 등으로 인한 빈곤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의 최저생활 또는 그 이상이 보장되는 국 가로서 국가가 사회복지의 핵심주체로 역할을 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빈민들의 최후의 보루였던 공공부조 제도도 더 이상 빈민들이 영원히 안주할 수 있는 제도 가 되어주지 못했다. 미국이나 영국의 새로운 공공부조제도는

(23)

일하는 복지(“workfare")를 강조하여 빈민들은 국가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보호를 받은 후에는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박 탈 당하고, 일을 하여도 저임금으로 여전히 빈곤한 노동자로 지 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선진 복지국가에서는 새로운 빈민의 발견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빈민을 위한 국가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 타 민간기관을 비 롯한 교회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기에 와 있는 것이다.

앞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이제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공의 힘을 제외한 민간단체 및 교회단체들의 연대적 힘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가 왔다고 본다. 그러므로 풍부한 인적․물적 가용자원을 가진 교회의 사회사업참여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24)

3. 교회사회사업의 특징

한국 교회의 사회사업은 1880년대부터 외국의 선교사들에 의 해서 소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노상학, 2001: 292).미국에서 들어 온 초기 선교사에 의하여 의료 및 교육사업이 시작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발달에 교회가 차지하는 비중을 알게 해준 다고 볼 수 있다. 교회사회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지역의 풍부 한 자원과 신도들의 헌신적인 자세, 그리고 사회사업의 전문적 기술이 결합하여 양과 질에 있어서 훌륭한 사회봉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회사회사업은 개인적인 욕구를 충 족시키는 직접 서비스, 즉 교육․상담․위기개입 등은 물론 교 인들에게 사회봉사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조개발과 프로그램 평가, 나아가 개인과 집단을 위한 옹호활동까지 시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사업의 전문 적 기술이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되 그 주체가 교 회일 따름이다. 다시 말하면, 교회 사회사업이란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전환시키는 공학이라 할 수도 있 고, 신학과 생활을 연결시키는 구조화 작업이라 할 수도 있다.

교회사회사업은 교회 내외에서 목회자와 교인간에, 신도 상호 간에, 그리고 교회와 사회 간에 이루워지며 전문사회사업가의 개입이나 지도를 받아 전개된다. 교회 사회사업은 기독교 단체, 즉 교회나 교회의 부속기관이 행하는 사회사업활동이지만, 보다 엄밀하게는 기독교 단체에 채용된 사회사업가의 전문적 활동이 라는 의미이다.

(25)

교회사회사업은 일반 사회사업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특징 이 있다(김동배, 1993: 104~107).

첫째, 기독교 사회사업은 인간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어떤 물질적 시혜나 제도의 개선을 통해서가 아니라 고통의 뿌 리인 인간의 죄성과 영혼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는 기독교 전통 적 구원사상에 기초한다. 사실 기독교에서의 봉사(diakonia)는 사회사업이 아니라 구원의 행위이다. 즉 도움을 주고 치료하는 것은 자선을 베푸는 정도의 의미가 아니라 인간의 육체와 정신 을 구원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사업을 한다 는 정신으로 이루어진다(이삼열, 1992: 9~34). 따라서 교회 사 회사업은 하나님 은총에 대한 보답으로서 또한 인간의 죄성으로 부터 도출된 고통의 문제를 같이 해결한다는 차원의 형제 (fellow mortals)와의 나눔의 생활을 실천함으로써 이 세상에 천 국을 실현하고자 하는 사역의 일환으로 이해된다.

둘째, 교회는 긴밀한 개인적 교제와 계속적인 상호부조를 한다 는 측면에서 가족과 유사한 집단이므로 이 안에서는 영속적이고 사적인 지원망 (informal support network)이 형성된다. 내담자 와의 관계에 있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면 관계가 종료하는 일 반 사회사업의 방법론과 차이가 있다. 일반 사회사업은 대체로 내담자에게 어떤 특정한 문제가 발생하여 그의 요청이 있음으로 해서 개시되며, 한 기관의 서비스 종류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제한된다. 그러나 교회 사회사업은 오래 동안, 어떤 경우에는 출 생시 부터 사망까지 개인 및 가족 단위의 관계를 맺으며 제공되

(26)

었고 서비스의 종류 또한 광범위하다.

셋째, 교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권위주의적 제도에 의해 산 출되는 것보다는 교인들에 의한 헌신적인 자원봉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자원봉사는 인간의 다양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 키는 데 있어서 전문가의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까지 전 문가의 보조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기주의가 팽배한 사회 에 자비로운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보다 인간적인 사회를 건설해 나아가는 데 매우 커다란 기여를 하는 사회활동이다. 자원봉사 는 복지사회의 필수적인 요소일 뿐 만 아니라 자원봉사자 개인 의 사회성 개발에도 중요한 공헌을 한다. 교인들에 의한 자원 봉사는 수혜자에게 익숙한 생활공간에서 전문용어가 아닌 일상 적인 용어로 이루어지므로 수혜자는 서비스에 대해 보다 수용적 인 태도를 갖고 부정적 각인(stigma)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일반 사회사업에서도 자원봉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교 회 사회사업에 있어서는 자원봉사가 필수 적이며 그 의의 또한 매우 크다.

넷째, 인생의 주기에 있어서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들, 예를 들면 유아세례, 결혼, 임신, 은퇴, 장례 등을 교회가 일정한 의식 (ritualization)을 통해 공식화해줌으로 그 사건에 어떤 가치를 부여한다. 독특한 문제, 예를 들면 자녀가 없는 부부, 독신자, 소 년가장들에게는 교회가 대리가족(surrogate family)의 기능을 한 다. 또한 실직, 이혼, 사별, 자살, 낙태, 성폭행 등 위기상황에 처 한 개인과 가족들에게는 위기관리능력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이

(27)

교회사회사업은 일상적인 혹은 위기의 사건들에 처한 사람에게 도움을 줌으로써 인생과 세상을 깊게 이해하게 만들며 장래에 있을 사건들을 예견하여 자신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만든다 결국 개인의 자긍심을 강화시키는 일을 할 수 있다. 교회는 이 와 같이 어떤 의미체계(meaning system)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교회 사회사업을 통해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을 강화하려 고 할 때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교회 공동체는 그 자체가 봉사 공동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가 사회봉사 를 교회의 한 부수적인 기능으로 간주하여 사회봉사를 전문사회 사업가에게 위탁한다거나 혹은 사회복지기관을 설립하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평신도를 수동적인 위치로 하락시킴 으로써 교회에 해로운 것이 될 것이다.

모든 사람이 봉사를 삶의 고유한 부분으로 여기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최선을 다해서 봉사하기 시작하면 분열과 억압과 죽음이 지배하던 곳이 화해의 형태를 띤 새로운 세계로 변화하 게 될 것이다. 교회는 ‘성장을 위한 봉사’가 아니라 치유, 인간의 완성, 그리고 공동체 전체의 통합을 목표로 하여 자발적이고 종 합적인 봉사를 수행해야 한다(Moltmann, J. 곽숙희 역, 1992:

68-90).

(28)

4. 교회사회사업의 역할

교회는 하나의 조직화된 종교의 실천의 장으로서 다른 조직들 과 마찬가지로 성장해가고 새롭게 되며 종교적 삶을 추구하는 개인들의 삶에 관여하여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Moberg, 1984). 그래서 교회를 배경으로 사회사업 실천을 한 다는 것은 우선 이러한 특수한 종교적 조직체의 일부분이 되어 활동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 회가 추구하는 목표와 이상을 함께 소유하는 자여야 하며 동시 에 사회사업의 전문 지식과 가치, 기술 등을 교회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교회가 사람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이러한 욕구가 목회의 도전이자 주요한 교회의 한 사명으로 정의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성도들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이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Garand, 1992).

구체적으로 사회사업 실천을 위해서 실천가가 감당해야 할 특수 한 역할들을 Galand는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회의 신학적 이념과 목회 방향, 교인 들의 성향 등을 세심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자발적인 조직사회이기 때문에 교회사회사업은 아무래도 자원봉사자들이 나 기부 등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교회의 예산을 계획하거나 필요한 자원을 개발하는 데 있어 사회사업 실천가의 설득력과 자원 동원력이 매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29)

교회 조직은 그 안에 많은 작은 조직들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으 므로 이러한 조직들과 협력하여 교회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능 력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필요한 자원을 요청하거나 사업 계획을 인정받기 위해 사회사업 실천가는 각 선교회의 모임이나 성격을 잘 파악하고 해당 모임에 참석하여 선교회 회원들이 이해 할 수 있는 언어로 사업계획이나 지원요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회의 일차적 기능들을 이해하고 존 중하며 목회자나 다른 교회 행정 조력자들과 협력하여야 한다.

사회사업은 교회에서나 예배나 전도, 친교 등 교회의 가장 중요 한 일차적 기능들과 비교하여 볼 때 이차적인 기능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사회사업 실천가는 이웃에 대한 사랑의 실천이 교 회의 중요한 한 과업이며 신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 한 신념을 교회 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셋째, 교회사회사업에서는 평신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인 식해야 한다. Hessel은 사회사업 전문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평신도들이 사회체계나 문제에 깊은 동정심을 가지고 개입할 수 있도록 준비를 시키고 기독교인의 성숙함을 나타내는 타인에 대 한 애정과 보살핌의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Hessel, 1982). 따라서 일반 평신도들로 하여금 사회문제와 지 역사회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가지게 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교회사회사업 실천가의 역할이 된다.

넷째, 사회사업 실천가는 법률, 행정적인 절차와 규범 등을 이해

(30)

하고 공적 조직의 운영과 구조, 관리체계 등에 대한 지식을 갖 추어 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는 가족과 같이 거대한 사회로부터 개인들을 보호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해야한다. 개인 이나 가족을 미시체계로 보고 정부조직이나 사회를 거시체계로 볼 때 교회는 양자 사이의 중간에 있는 중간체계로서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개인이 혼자서 감당할 수 없는 문제를 교회는 중간체계로서 거시체계로부터 개인을 보호하고 개인의 이익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 의사 결정의 과정이나 교회 구조와 위계 질서의 구성 등이 그 교회의 역사와 정체성, 교단과 목회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 태를 띤다. 따라서 교회 안에서 일하는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회 공동체의 언어와 일 처리 방식 등을 잘 파악하고 이해하여 효과 적인 실천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Garland, 1992).

교회는 믿음의 공동체로서 나름대로의 정체성과 사명을 띠고 있다. 따라서 교회사회사업은 교회라는 실천의 장을 먼저 잘 이 해하고 교회의 성격과 그 교회가 위치한 지역사회와의 원활하고 바람직한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가교로서의 역할을 감당해 나아 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회사회사업 실천가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자질뿐 아니라 교회의 특 성과 기본적 신앙의 방향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교회 의 이러한 사명과 일치할 때 비로서 교회를 터전으로 사회사업 을 실천하는 활로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고미영, 1999).

(31)

제 2 절 교회사회사업의 이론적 근거 1. 사회사업의 성서적 근거

구약성경의 사회복지 정신은위로는 하나님을 사랑하고(신 명기 6: 5). 아래로는 이웃을 사랑하라(레위기 19: 18).는 모세율 법에 기초를 두고 있다(임종운, 1999: 18). 다른 구약성경에 기 록된 것을 보면 유대인들은 그리이스나 로마의 정치적 자선 사 상과는 달리 종교적인 신앙심에 바탕을 두고 총괄적인 복지국가 로 이스라엘의 발전시키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약성경 곳 곳에서 우리는 가난한 사람, 병든 사람, 압제 당하는 사람들에 대한 하나님의 깊은 관심을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애 굽기에서는 고아와 과부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을 섬기고 도와 주라는 하나님의 명령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너는 고 아와 과부를 해롭게 하지 말라. 네가 만일 그들을 해롭게 하므 로 그들이 내게 부르짖으면 내가 반드시 그 부르짖음을 들을지 라. 나의 노가 맹렬하므로 내가 칼로 너희를 죽이리니 너희 아 내는 과부가 되고 너희 자녀는 고아가 되리라 가난한 자에게 돈 을 꾸이거든 너는 그에게 채주같이 하지 말며 변리를 받지 말 것이며… 이웃의 옷을 전당 잡히거든 해가 지기 전에 그에게 돌 려보내라(출애굽기, 22: 23-26).

이러한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법이나 가르침의 내용을 간추려

(32)

본다면, 종에게는 될 수 있는 대로 자유를 주되 그 자신과 그 가족의 생계를 보장해 주고 그 결혼 문제에 있어서도 인간적인 대접을 하고(출애굽기, 21: 2-11). 떠돌이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 는 억울하게 짓누르거나 해치지 말고(출애굽기, 22:20-24).그들 이 법정에 서게 되었을 때는 힘이 없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주고 (이사야, 1:17). 가난한 사람을 고리채나 전당 제도로 괴롭히지 말고(출애굽기, 22: 25-27).날품팔이꾼들의 품삯은 날이 저물기 전에 주라(신명기, 24: 14-15).(레위기, 19: 34)는 법률적, 경제적, 문화적 곧 인간 생활의 모든 면에 있어서 힘이 없거나 약한 사 람을 잘 받들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구약 성경은 이러한 봉사를 통해서 이스라엘 민족이 지향한 사회가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봉사를 의무로 생각해야 하는 가장 큰 의미는 예수 그리스도가 봉사하는 자로 살았으며 봉사의 교훈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웃사람에 대한 사랑을 계명과 복음의 핵심으로 가 르치고, 실천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사랑의 행위로 나타나는 모 든 실천을 봉사(diakonia)라는 말로 일반화 시켜 표현했다(이삼 열, 1992: 12).

이스라엘은 구약 성경에 나타나 있는 사회복지 사상과 이념은 신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더욱 보완 적이며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예수는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 하라 하셨으니, 아가페(Agape)적 사랑을 의미하는 종교적 특성 을 내포하고 있었다. 신약 성경의 사회복지의 대상은 가난한자,

(33)

병든자,죄인,굶주린자,고아,과부,자비를 배풀어야할 자등 소외 받 고 열악한 처지에서 고통받는 자들이다.

마태복음 서에는 병든 자와 가난한자, 주린 자, 나그네, 헐벗 은 자와 같은 고통 속에 신음하는 자들에 대한 사랑에 실천이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과 더불어 영생의 조건임을 명시해 주고 있다. 이웃에 대한 사랑을 계명과 복음의 핵심으로 가르치 고 실천한 예수의 행위는 교훈과 실천을 봉사라는 개념으로 일 반화시킬 수 있다(이삼열, 1992: 11-12). 예수는 자신을 섬기는 자 곧 봉사자로 여기며 섬기는 것을 사명으로 여겼다. 복지적 요구를 가진 모든 사람들을 원조해야할 대상으로 성경은 말하고 있다. 기독교 사회복지의 실천성을 구약성경에서와 같이 신약성 경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궁극적이 목적 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한다. 인간은 죄로 인해 타락되고 고 통받는 존재로 묘사되고 있으며 예수를 믿음으로 인하여 구원을 받는다.

(34)

제 3 절 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지역사회와 교회 사회복지

교회가 지니고 있는 사회복지 기능은 지역사회를 통합하기 위 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교회는 바로 이 역할을 통하여 지역사 회 안에서 주민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과 주민 상호간의 신뢰 감을 회복하고 상부상조의 협동정신을 고양시킴으로써 주민들의 일체감을 형성하는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

현대사회는 교회의 총체적인 사회참여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창조적인 활 동을 요구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사실은 교회가 사회봉사를 함 에 있어 교회만의 독단적인 계획과 고립적인 태도나, 지나치게 그 누구를 위해서 뭔가를 한다는 일방적이고도 시혜 적인 태도 를 가져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복지를 수행하는 교 회는 특히 유의할 점이 있다. 전통적으로 교회가 수행해온 단순 한 구호나 구제활동으로서의 사회봉사라든가 교회가 갖고 있는 잉여자원을 지역사회에 나누어준다는 시혜적의미의 봉사활동으 로는 현대 사회에서 수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내에는 교회 이외에도 다양한 집단과 단체가 존재한 다. 또한 지역사회 복지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과 시설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효율적으로 사회복지기능을 수 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기관이나 시설과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확

(35)

립하고 상호협력 하에 기능적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공동으로 지 역사회를 위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려는 노력과 의지가 필요하 다. 교회도 지역사회내의 일원으로서 주어진 사명이 있으며, 교 회 사회복지는 바로 교회가 지역사회내에서 맡은 바 사명을 완 수하기 위한 활동이라는 사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하여 교회 사회복지가 주민과의 공동체적 의식을 형성하고 진정으로 지역사회의 복리증진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지역사회의 교회화를 이룰 수 있고, 지 역사회를 하나님의 복음이 구현된 성스러운 속세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회 사회복지는 교인 중심이고, 프로그램 이 기독교적 성격을 지녀야 한다는 특수성과 독자성을 지니고 있으나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행정기관이나 민간 단 체의 사회복지 정책과의 연계하에 사회복지사업의 방향과 내용 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 교회 사회복지는 정부 의 복지정책의 단순한 연계나 추종보다는 정부나 민간의 사회복 지정책 방향과 내용을 건강하게 비판하고 견제할 수 있는 입장 에서 사회복지정책의 변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회 사회복지와 지역복지센터의 협력체 계의 모형을 만들어야 하겠다. 이 모형은 교회와 지역복지센터 가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협력체계 하에 지역사회의 욕구와 문제 해결를 위해서 지역사회의 모든 복지역 량을 모아 낼 수 있는 방향으로 만들어져야만 하겠다. 이와 같 이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는 교회 사회복지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회가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명확한 인식의 정리와 함 께, 실행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겠다.

(36)

제 4 절 교회사회사업의 역사

5)

구한말 정치질서의 몰락과 봉건주의 경제질서의 붕괴 그리고 가치갈등과 계급갈등으로 인하여 한국사회는 커다란 위기를 맞 게 되었다. 무지와 미신, 빈곤과 질병, 계급차별과 성차별이 만 연하고 있을 때 들어온 개신교는 한국사회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원동력이 되었다. 즉 선교 초기의 한국교회는 한국사회의 개화 와 근대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다(이원규, 1995:

34).

기독교와 함께 들어온 기독교의 사회복지 사상이 한국사회에 심어지면서 한국사회에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였다. 가는 곳마다 근대 건물을 짓고 근대 교육을 실천함으로 누구나 평등한 권리 로써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회 균등을 베풀어 교육혁명을 일 으켰고, 의료기관을 세워 현대의학을 소개하고 환자를 치료하여 누구나 건강할 권리를 부여해 줌과 동시에 건강을 사회로 환원 할 수 있는 민주참여의 길에 서도록 했다. 한글을 교육시킴으로 써 문맹을 퇴치하고 대중을 계몽하여 낡은 전통의 옷을 벗게 하 였다. 당시는 정치 사회적으로 사대주의와 봉건적 계급사회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관존 민비, 남존여비 사상이 사회발전은 물 론 인격과 지식의 발전에도 크게 장애가 되었다.

이런 사회에 기독교는 자유, 자립, 박애정신, 휴머니즘과 민주정 신을 불어넣어 사대주의와 봉건제도를 무너뜨리는데 일조를 하

5) 이부분은 강경신(1997:27~30)의 내용을 발췌․요약하였다.

(37)

였다(이병우, 1969: 134~135). 여성해방운동, 절제운동, 농촌운 동과 같은 광범위한 사회운동들이 교회에 의하여 주도되었고 의 료사업․복지사업을 통한 사회봉사를 폭넓게 전개하였으며 YMCA 등을 통해 건전하고 새로운 문화활동을 소개하였다(이 원규, 1995: 35). 신 체육의 불모지인 이 땅에 배구, 농구, 야구, 체조등 신 체육을 도입하는데 기여했으며, 정신 교육적으로는 사회적으로 천시 당했던 여성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음으로 남녀 평등사상을 가르쳤고, 기술교육을 시킴으로 이 나라 근대화 과 정에 활력소가 되었다. 매스컴을 통한 사회교육도 활발하여 사 회 정화운동에 이바지하였다(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666). 나 아가서 기독교는 개인의 존엄성, 인간의 권리와 자유, 평등과, 정의와 같은 전통적인 유교가치에서 찾아보기 힘든 새로운 가치 들을 소개하고 교육시킴으로 한국사회의 개화와 근대화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한국교회는 나아가서 초기에 민족의식을 고취시 키고 독립운동을 전개하며, 사람들에게 사회의식과 역사의식을 일깨워 주기도 했던 것이다(박영신, 1989: 300~304).

2차대전의 종식에 뒤따른 민족의 대이동, 남북 분단, 한국 동 란에 뒤따른 민족의 참상 속에서 교회는 서구 여러 나라의 교 회․선교단체 들과 함께 사회봉사를 수행함으로써 봉사기관으로 서의 역할을 잘 감당하였다. 그러나 60년대 군사 독재정권의 출 현과 급속한 경제개발정책(사회개발정책을 희생 제물로 삼고)에 뒤따른 경제 부흥이 외국 원조기관들을 한국에서 철수하게 만들 었다. 이때부터 국가는 재정적 책임을 담당하고 민간이나 사회

(38)

봉사기관이 사회복지재단을 설립하여 사회봉사 프로그램을 위탁 운영하는 복지정책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외국 교회나 선 교 단체와 손잡고 열심히 사회봉사에 힘써왔던 교회는 서서히 사회봉사의 현장에서 뒤로 물러나게 되었다.

70년대 중반에 이르러 한국 사회복지의 주역은 정부와 민간 사회복지단체들 뿐이었고 한국교회는 더 이상 복지사업의 중요 한 역할을 감당하지 않는 것으로 일반사회나 교회 내부에서 인 식하게 되었다. 이 당시 교인들의 사회봉사는 공식적인 교회나 교단의 사회봉사, 사회선교와는 동떨어진 정부나 민간단체의 사 회사업기관에서의 봉사였다. 결국 한국교회는 가난한 민중과 함 께 하는 사회봉사의 현장에서 교인들의 신앙과 생활을 통합시켜 주는 영적 역할을 감당하지 못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70년대 후반에 이르러 민중과 교회 내의 일부교인들 사이에서 교회가 사회문제들(노동문제, 빈곤문제, 여성문제, 대기업 윤리 문제, 인권문제, 장애인문제 등)에 대하여 예언자적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 날카로운 도전과 비난을 하는 목소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교회는 지 역 주민들의 삶의 아픔에 동참하여야 한다는 교회 내의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하였다.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사업의 역사는 1880년대부터 외국의 선 교사들에 의하여 소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에서 들어온 초 기 선교사들은 당시 한국사회의 보건, 교육분야의 열악함을 참 작하여 의료사업과 교육사업을 시작하였다. 비록 복음 전파를

(39)

위한 수단이었지만 한국 백성의 질병치료를 위한 의료사업과 무 지를 개몽 하기 위한 학교를 설립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를 제공함은 한국 사회복지 발전에 기폭제가 되었으며, 기독교 선교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기회가 되었다.

1980년대에 이르러 우리사회에서 일어난 군사 독재정부의 타 도와 민주화 운동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복지 등 전 분야에 서 놀라운 개혁을 초래하게 되었고 한국교회도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성경적․신학적 차원에서 재정립하는 과정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다행히 한국교회의 교회성장은 축적된 조직․ 시설․

재정․인적자원 등을 사회봉사를 위해 사용 할 수 있는 기반으 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교회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로 소 사회봉사에 대한 뚜렷한 의식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교회성장 제일주의에서 서서히 사회봉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지난 수 년 동안에는 기독교 사회복지, 기독교 사회봉 사, 교회사회사업, 사회선교 등 많은 새로운 신학적 이론 그리고 실천 모델과 구체적인 실천 프로그램들이 우후죽순 식으로 나타 나게 되었다(박종삼, 1996: 6~8).

(40)

제 5 절 한국교회 사회사업의 실태

6)

근대사회의 모든 사회복지 서비스의 근원은 교회에서 유래되 었으며, 특히 서구사회의 경우 기독교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일찍이 라인홀드니버가 그의 저서 「사회사업에 대한 종 교의 공헌」(The contribution of religion to social work)에서 "

교회는 사회복지를 낳고 길러 준 어머니” 라고 표명한 것처럼, 오늘날의 사회사업은 기독교의 자선사업으로부터 출발하여 여러 가지형태의 구빈 사업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 기독교는 근대사 회복지의 철학, 이념, 정책은 물론 사회봉사의 여러 가지 기초적 유형을 발전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지난 90년 초기 지역사회복지관이 국가의 예산에 의하여 대대적으로 건립되기 이전까지는 사회사업 기관 의 90%이상이 종교단체들(특히 개신교, 구교)에 의하여 운영되 어 왔으며, 사회복지 시설 책임자 및 종사자들의 80%이상이 기 독교인들이었다. 현재 50여 개에 달하는 사회사업학과, 사회복지 학과들 중 절반 이상이 개신 교회, 카톨릭교회(재단, 기관 단체) 와 관계가 있으며, 사회사업(사회복지) 전문교육자의 50%이상이 기독교 신자들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한국의 사회사업과 기독교 의 밀접한 관계를 잘 설명해 주고 있으며, 교회사회사업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었다. 지금까지 교회사회사업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회사회사업의 역사와 기독교 복지사상 등

6) 이부분은 강경신(1997:30~33)의내용을 발췌․요약하였다.

(41)

이 정리되었으며7), 한국교회의 사회사업실태가 조사되었고8), 사 회복지에 있어서 교회자원의 활용9), 사회사업가의 필요성10), 교 회지도자들의 복지의식향상을 위한 연구11) 등이 폭넓게 논의되

7) 이에 대한 연구논문으로는 김용섭, “기독교의 사회복지사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8).우진환, “기독교 사회 복지사상과 한국교회의 역할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대 학원, 1989). 백윤희, “기독교의 전래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이 화여대 대학원, 1986). 이 있다.

8) 최해경, “한국기독교의 사회적 서비스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대학원, 1983).김장, “한국기독교회의 구제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대학원, 1984). 한국자원봉사능력개발 연구 회, 「한국교회 사회봉사사업 조사연구」,(서울: 한국자원봉사능력개발연구회, 1990). 임은영,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사업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 대학원, 1991). 이민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의 역할연구,” (석 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1992).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사회 부, 「예장 사회봉사총람」, (대한 예수교장로회 총회 사회부, 1993).

9) 서창호, “한국교회자원의 사회복지활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대학원, 1983).이 영환,“한국교회의 사회적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감신대, 1984). 송영숙, “한국개신교의 사회복지비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대학원, 1989). 심우태, “지역사회봉사를 위한 교회의 실천적 역할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 대학원, 1993). 박성혜, “천주 교 평신도사도직단체의 사회봉사활동에 관한 교회사회사업적 고찰,” (석사학 위논문: 숭실대 대학원, 1994),이미옥, “교회 여전도회 봉사 프로그램 실태분 석과 새로운 방향의 모색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 대학원, 1994). 백남영, “부랑인 을 위한 교회의 그룹 홈 설립과 운영에 관한 연구,”

10) 강혜영,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사업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전문사회 사업가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여대, 1989).

11) 박창빈, “한국교회 지도자의 사회개발훈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숭실대 대학원, 1984). 이기순, “기독교 목회자의 복지의 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1993).

(42)

었다. 여기서 지적되고 있는 한국 교회사회사업의 현실은 첫째, 교회의 본질이 「봉사」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비하여 봉사활동 은 소극적이며 극히 미비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회사회사업을 실시하고 있다고 해도 그 방법이 무차별 구제인 자선 적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 회사업의 실천방법이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을 통해서 형성, 발전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자신이 낳은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사회사업 실천방법을 활용하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그러나 이 러한 연구들이 학문체계와 이론체계가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교회사회사업을 학문으로 성숙시켜 가고 있다. 사회복지학은 학 문형성의 초기 경험주의 방법을 기반으로 하다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실증주의와 결합하게 되었지만, 한국의 사회복지학은 초 기부터 미국의 사회 사업학을 받아들여 학문의 기초를 성립하였 다. 이후 대륙 학문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오다가 이제는 통합적 접근방법에 의한 우리실정에 맞는 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다 (강 혜 영 ,1989).

한국의 사회복지는 초창기 종교단체의 구제활동으로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사회복지는 국가 의 정책과 민간활동이 연계하여 수행되어 왔다. 특히 경제위기 상황에서 복지재정이 삭감될 때에는 민간 비영리기관의 복지활 동 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현재의 비

정은혁, “한국신학교육에 있어서 사회사업 관련 교과 과목개설의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 대학원, 1994).

(43)

영리 사회사업활동은 국가가 지원하고 민간단체가 운영해 왔다 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부분이 종교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종교 기관에는 인적 ,물적 자원과 아울러 사회 복지활동을 강권하는 교리 또는 복지사상이 보급되어 있기 때문 이다. 또한 기독교 개교회의 사회복지 활동도 빈곤가족 지원, 불 우이웃 돕기, 장학금 지급, 고아원 등 생활시설 방문 및 지원 등 지역사회 대상의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 을 하였다. 그 활동들을 살펴보면 <표 2-1> 과 같다.

<표 2-1> 한국교회의 사회복지활동 내용

사회복지활동의 내용 빈 도 %

빈곤가족의 지원 266 77.3

수재민 돕기,불우이웃돕기 273 79.4

무료유아원, 탁아소 운영 32 9.3

장학급 지급 220 64.0

노인대학 운영 21 6.1

지역사회를 위한 독서실 운영 24 7.0

고아원, 양로원, 재활원 방문 및 지원 213 63.7

근로청소년을 위한 야간학교 운영 13 3.8

의료 봉사팀 운영 27 7.8

장애인 지원사업 93 27.0

탁아소 및 경로당지원사업 88 25.6

교도소 방문 113 2.0

호스피스 7 13.1

사회봉사를 위한 교육사업 45 45

기타 21 21

*자료 : 성규탁 외 (1991: pp-33).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 지원과 같은 일시적 구호나 노력봉사 등으로는 개인과 가정의 복지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

(44)

사실이다. 따라서 소외계층 혹은 지역사회 주민의 욕구에 대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교회가 성장 하여 규모가 크고 인력, 시설, 재정적인 면에서 안정적인 교회들 이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을 설립하여 기독교사회복지기 관이나 봉사 관을 운영하면서 사회사업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도 하여 사회복지 서비스를 실시하게 되었다. 현실적으로 한국의 많은 사회복지시설이나 프로그램들은 종교와 관련된 사회복지법 인이나 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다(최성균, 2002).

1999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한국 교회의 사회복지활동 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신교 7개교단(예수 장로회 통합 외 6개교단)을 중심으로 전국 1,531개의 교회의 목회자를 대상 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

첫째, 교회의 사회복지에 관한 사명의식에 대한 내용으로 조 사한 결과 응답자의 85.9%는 사회복지가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 이라 동의하고 ,나머지 14.1%는 동의하지 않았다. 사회복지(봉 사)가 교회의 사명이라는 견해에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동의하였 으며 그 중에서도 예장통합측 목회자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 타났다.

둘째,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참여도를 조사한 결 과 응답자의 15.2%가 참여도가 높다 였으며, 저조하다는 비율

(45)

은 57.2%이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교회에서 사회복 지 활동의 참여가 부족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즉 대부분의 교 회들은 당위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교회의 사회복지 활 동의 참여는 매우 저조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교회가 실시하는 각종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서비스 이 용대상자들에 관한 질문에 응답자들의 84.2%가 지역주민이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15.8%는 교회 사회복지활동이 오직 교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넷째, 교회는 사회복지 활동을 위하여 주로 예배당 건물 및 교회 부대시설을 이용하고 있어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복지 프 로그램을 위한 공간이 부족(81.7%)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회 의 본당이나 교육관, 식당 등은 주로 교회자체의 활동을 위하여 사용되고,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시설 이나 공간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이다.

다섯째, 교회사회사업을 수행하는 인적자원에 대한 질문에는 목회자가 (59.0)%가 제일 많았고, 다음으로 선교회 직원(18.5%) ,사회복지분과 직원(7.5%),일반교인(7.5%) 등으로 나타났고 전문 사회복지사의 경우는 2.8%에 불과 하였다.

여섯째, 교회에서 운영하는 사회복지활동비에 대한 질문에는 교회헌금(56.4%) 이며, 개인 후원금(26.6%) 과 공동모금(7.8%)

(46)

도 중요한 몫을 하고 있었으며, 정부 지원금(5.5%)은 얼마 되지 않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사회복지활동 경비의 대부분이 교회재정에서 충당되기 때문에 교회예산의 얼마 정도를 지역사회복지증진을 위해 투입하는 가 를 물었을 때 전체 예산의 3%에서 5% 사이가 응답자의 30.1%

가 되었으며, 다음으로 6%에서 10%가 응답자의 23.4%, 1%에서 2%가 응답자의 22.6%로 나타났다.

(47)

제 3 장 연구가설 및 연구의 틀 제 1 절 주요 연구개념의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지는 주요 개념들을 다음과 같이 조작적 정의에 의해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1. 교회사회사업

지역주민에게 사회적 서비스(Social service)를 제공하는 것에서 부터 사회개혁과 발전을 위한 사회행동(social action)에 참여하 는 것에 이르기까지 교회의 사회적 책임이행에 목적을 둔 제반 활동

2. 교회사회복지

기독교 정신에 기반을 두고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사회복지 방 법론을 활용하여 교회라는 실천현장에서 개인과 집단 그리고 지 역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문제해결을 원조하는 제반 활동과 제도 및 서비스.

3. 목회자

현재 교회에 재직하고 있는 전도사, 목사 등의 교역자.

(48)

4. 교회 성도수

등록교인수가 아니라 현재교회에서 정기적으로 출석하고 있 는 성도의 수.

5. 사회봉사예산

교회 전체 예산 중 사회봉사 활동을 지원할 목적으로만 사용 되는 예산액.

6 사회봉사 조직 및 부서

봉사부,사회봉사부,사회선교부,구제부등 교회 내․외부의 사회봉 사활동에 대한 계획과 집행을 전담하는 조직과 부서.

7. 교회의 사회사업

사회복지기관에서 보편적으로 실천에 옮겨지고 있는 전문 사회 복지 프로그램 중 교회가 주체가 되어 교회의 인적, 물적 자원 을 활용하는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

8. 교회의 사회사업 참여도

교회에서 실시하는 사회사업 프로그램 의 지속성 과 활성화 여 부를 가늠하는 척도.

(49)

제 2 절 연구의 모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사회사업 참여실태 및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목회자 개별요인, 교회의 개별용인, 교회의 재정 및 활용자원 등 기타요 인, 3가지의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3가지 요인들 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교회 사회사업의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력을 미치며 ,개별요인이 지니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그 림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그림 3-1> 교회사회사업 참여도 영향요인 분석모형>

(50)

목회자의 요인 교회의 일반적 특성

성 별 연 령 직 위 전 공 사역기간 전 문 성 교회의 재정적 지원

생활수준 사회봉사예산액

참여도 증가 활성화 모색

교회의 환경적 요인 교 단 설립역사

지역사회연게 와 사회사업전문성 사회사업의 의식 및 참여실태

교회의 조직 및 시설자원

교인구성 및 수 교회시설의 규모

참조

관련 문서

The basic goals of the capital system is to maintain the capital of corporations strictly in order to protect creditors of the corporation. Such capital

* 韓國法制硏究院

In introducing the autonomy police system into this country, it is required 1) to adopt the metropolitan autonomy police system in which the central

본 논문에서는 슈베르트의 작품 중 고전주의적 형식과 낭만주의적 경향을 모두 포 함하고 있는 피아노 작품 “Wanderer Fantasie Op.15”를 분석 연구하여

The construction of Electric motor propulsion system are presumed arrangement of boat and compared The engine fuel of cost with battery charge of cost .The Model

族의 言語外에 다릎 數個語에 서 補充짜加하고 있다.. ;韓國語와 Indogerman語 ; 韓國語의 Indogerman語族에 所屬에 關한 田:. 究) (Heidelberg , Julius Groo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cheme for growth, management rationalization and reform measure of domestic coastal shipping companies, and Ihope that this will be

Lacey., Implementing an effective response management system: a white paper for 1995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작업부는 방제작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