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회는 하나의 조직화된 종교의 실천의 장으로서 다른 조직들 과 마찬가지로 성장해가고 새롭게 되며 종교적 삶을 추구하는 개인들의 삶에 관여하여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Moberg, 1984). 그래서 교회를 배경으로 사회사업 실천을 한 다는 것은 우선 이러한 특수한 종교적 조직체의 일부분이 되어 활동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 회가 추구하는 목표와 이상을 함께 소유하는 자여야 하며 동시 에 사회사업의 전문 지식과 가치, 기술 등을 교회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교회가 사람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이러한 욕구가 목회의 도전이자 주요한 교회의 한 사명으로 정의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성도들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이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Garand, 1992).

구체적으로 사회사업 실천을 위해서 실천가가 감당해야 할 특수 한 역할들을 Galand는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회의 신학적 이념과 목회 방향, 교인 들의 성향 등을 세심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자발적인 조직사회이기 때문에 교회사회사업은 아무래도 자원봉사자들이 나 기부 등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교회의 예산을 계획하거나 필요한 자원을 개발하는 데 있어 사회사업 실천가의 설득력과 자원 동원력이 매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교회 조직은 그 안에 많은 작은 조직들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으 므로 이러한 조직들과 협력하여 교회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능 력을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필요한 자원을 요청하거나 사업 계획을 인정받기 위해 사회사업 실천가는 각 선교회의 모임이나 성격을 잘 파악하고 해당 모임에 참석하여 선교회 회원들이 이해 할 수 있는 언어로 사업계획이나 지원요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사회사업 실천가는 교회의 일차적 기능들을 이해하고 존 중하며 목회자나 다른 교회 행정 조력자들과 협력하여야 한다.

사회사업은 교회에서나 예배나 전도, 친교 등 교회의 가장 중요 한 일차적 기능들과 비교하여 볼 때 이차적인 기능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사회사업 실천가는 이웃에 대한 사랑의 실천이 교 회의 중요한 한 과업이며 신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 한 신념을 교회 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셋째, 교회사회사업에서는 평신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인 식해야 한다. Hessel은 사회사업 전문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평신도들이 사회체계나 문제에 깊은 동정심을 가지고 개입할 수 있도록 준비를 시키고 기독교인의 성숙함을 나타내는 타인에 대 한 애정과 보살핌의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Hessel, 1982). 따라서 일반 평신도들로 하여금 사회문제와 지 역사회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가지게 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교회사회사업 실천가의 역할이 된다.

넷째, 사회사업 실천가는 법률, 행정적인 절차와 규범 등을 이해

하고 공적 조직의 운영과 구조, 관리체계 등에 대한 지식을 갖

제 2 절 교회사회사업의 이론적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