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첫째, 교회사회사업 연구소 혹은 센타 같은 지역교회의 사회 사업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기관들이 많이 설립되어야 한다. 교 회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과 사회사업 실천방법들을 연구, 수집, 제공하는 서비스기관들이 세워져야 한다. 복지관을 운영하 는 교회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재정적인 지원과 자원 봉 사자를 지원하는 정도이고 교회사회사업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지식․정보 등을 제공하거나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상 호교류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기관들로 하여금 필 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만들어야 한 다. 필요한 경우 전문요원의 지원, 지역사회의 복지욕구 조사, 프로그램의 수립과 진행과정을 담당하게 하면 교회사회사업이 활성화되는 일에 교회가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들 기관들은 사회사업담당자나 목회자를 훈련시키기도 하고 자원봉 사자를 훈련시키는 일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학에서 목회자나 사회사업담당자들을 계속 교육, 훈 련시키는 방안이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실시는 당장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살펴보면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단행본

최성균(2002) ,  기독교사회복지기관의 정체성과 교회의 협 력 과제,「한국기독교 사회복지 세미나」, 한국기독교 사회 복지협의회

한국갤럽조사보고서(1999).  한국 개신교인의 교회활동과 신 앙의식, 두란노 .

한국종교사회연구소(1997).  한국종교연감.

Kahn(1978), Social Policy and Service , New York:

Random House.

이원규(1995). 한국교회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 「기독교와 사회복지」, 한국기독교사회복지회.

이원규(1995). op. cit.

한국사회복지협의회(1999). 한국사회복지총감.

최성재(1993). 봉사사업의 계획과 실천,「예장 사회봉사 총람 심포지움」,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사회부.

김동배(1993). 기독교 사회봉사의 비판적 고찰 그 한계성과 가능성,「연세사회복지연구. 제1권」.

Moltmann . J. 곽숙희 역(1992),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과 제「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기독교 사회연구소 .

이삼열(1992).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과제,「사회봉사의 신 학과 실천」, 숭실대 기독교 사회연구소.

현외성(1997). 중.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 유풍출판사.

박종삼(1996). 교회와 사회복지 선교의 과제「한국교회와 사회복지선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사회복지위원회.

안정열(1999).저소득층을 위한 교회사회사업 프로그램에 관 한 연구, 기독교사회복지 제8호,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사 회 복지연구소.

박영신(1989). 한국근대사회 변동과 기독교,「한국교회와 사회」, 나남 출판사.

고미영(1999) “교회사회사업에 있어 케이스워크의 적용에 대한 고찰”. 기독교사회복지 제8호,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 연구소..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9). 한국교회의 사회복지활동 참여 실 태조사

2. 논문

강혜영(1989).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사업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대 .

김경자(1997).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교회사회사업의 역할.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노상학(2001).한국 기독교 사회복지의 전망과 발전 방향 , 강남대학교 논문집.

Moltmann . J. 곽숙희 역(1992),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과제,”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기독교 사회연구소.

임종운(1999).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강경신(1992).교회사회사업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 문,숭실대학교 통일정책대학원.

이병우(1969).기독교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원,

최가식(2000). 교회의 사회복지 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 구.협성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혜영(1989).한국교회의 사회봉사사업 개발에 관한 기초연 구,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aniel O. Moberg. The Church as a Social Institution.

(Grand Rapids : Baker BookHouse). 1984

Diana S. Richmond Garland (Ed). Church Social Work : Helping the Whole Person inthe Context of the Church.

(ST. Datids, PA : 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sin Social Work). 1992

Doeter T. Hessel. Social Ministry. (Philadelphia : Westminster Press).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