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교회의 사회사업은 1880년대부터 외국의 선교사들에 의 해서 소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노상학, 2001: 292).미국에서 들어 온 초기 선교사에 의하여 의료 및 교육사업이 시작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발달에 교회가 차지하는 비중을 알게 해준 다고 볼 수 있다. 교회사회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지역의 풍부 한 자원과 신도들의 헌신적인 자세, 그리고 사회사업의 전문적 기술이 결합하여 양과 질에 있어서 훌륭한 사회봉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회사회사업은 개인적인 욕구를 충 족시키는 직접 서비스, 즉 교육․상담․위기개입 등은 물론 교 인들에게 사회봉사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조개발과 프로그램 평가, 나아가 개인과 집단을 위한 옹호활동까지 시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사업의 전문 적 기술이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되 그 주체가 교 회일 따름이다. 다시 말하면, 교회 사회사업이란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전환시키는 공학이라 할 수도 있 고, 신학과 생활을 연결시키는 구조화 작업이라 할 수도 있다.

교회사회사업은 교회 내외에서 목회자와 교인간에, 신도 상호 간에, 그리고 교회와 사회 간에 이루워지며 전문사회사업가의 개입이나 지도를 받아 전개된다. 교회 사회사업은 기독교 단체, 즉 교회나 교회의 부속기관이 행하는 사회사업활동이지만, 보다 엄밀하게는 기독교 단체에 채용된 사회사업가의 전문적 활동이 라는 의미이다.

교회사회사업은 일반 사회사업과 비교해 볼 때 몇 가지 특징 이 있다(김동배, 1993: 104~107).

첫째, 기독교 사회사업은 인간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어떤 물질적 시혜나 제도의 개선을 통해서가 아니라 고통의 뿌 리인 인간의 죄성과 영혼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는 기독교 전통 적 구원사상에 기초한다. 사실 기독교에서의 봉사(diakonia)는 사회사업이 아니라 구원의 행위이다. 즉 도움을 주고 치료하는 것은 자선을 베푸는 정도의 의미가 아니라 인간의 육체와 정신 을 구원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사업을 한다 는 정신으로 이루어진다(이삼열, 1992: 9~34). 따라서 교회 사 회사업은 하나님 은총에 대한 보답으로서 또한 인간의 죄성으로 부터 도출된 고통의 문제를 같이 해결한다는 차원의 형제 (fellow mortals)와의 나눔의 생활을 실천함으로써 이 세상에 천 국을 실현하고자 하는 사역의 일환으로 이해된다.

둘째, 교회는 긴밀한 개인적 교제와 계속적인 상호부조를 한다 는 측면에서 가족과 유사한 집단이므로 이 안에서는 영속적이고 사적인 지원망 (informal support network)이 형성된다. 내담자 와의 관계에 있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면 관계가 종료하는 일 반 사회사업의 방법론과 차이가 있다. 일반 사회사업은 대체로 내담자에게 어떤 특정한 문제가 발생하여 그의 요청이 있음으로 해서 개시되며, 한 기관의 서비스 종류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제한된다. 그러나 교회 사회사업은 오래 동안, 어떤 경우에는 출 생시 부터 사망까지 개인 및 가족 단위의 관계를 맺으며 제공되

었고 서비스의 종류 또한 광범위하다.

셋째, 교회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권위주의적 제도에 의해 산 출되는 것보다는 교인들에 의한 헌신적인 자원봉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자원봉사는 인간의 다양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 키는 데 있어서 전문가의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까지 전 문가의 보조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기주의가 팽배한 사회 에 자비로운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보다 인간적인 사회를 건설해 나아가는 데 매우 커다란 기여를 하는 사회활동이다. 자원봉사 는 복지사회의 필수적인 요소일 뿐 만 아니라 자원봉사자 개인 의 사회성 개발에도 중요한 공헌을 한다. 교인들에 의한 자원 봉사는 수혜자에게 익숙한 생활공간에서 전문용어가 아닌 일상 적인 용어로 이루어지므로 수혜자는 서비스에 대해 보다 수용적 인 태도를 갖고 부정적 각인(stigma)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일반 사회사업에서도 자원봉사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교 회 사회사업에 있어서는 자원봉사가 필수 적이며 그 의의 또한 매우 크다.

넷째, 인생의 주기에 있어서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들, 예를 들면 유아세례, 결혼, 임신, 은퇴, 장례 등을 교회가 일정한 의식 (ritualization)을 통해 공식화해줌으로 그 사건에 어떤 가치를 부여한다. 독특한 문제, 예를 들면 자녀가 없는 부부, 독신자, 소 년가장들에게는 교회가 대리가족(surrogate family)의 기능을 한 다. 또한 실직, 이혼, 사별, 자살, 낙태, 성폭행 등 위기상황에 처 한 개인과 가족들에게는 위기관리능력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이

교회사회사업은 일상적인 혹은 위기의 사건들에 처한 사람에게 도움을 줌으로써 인생과 세상을 깊게 이해하게 만들며 장래에 있을 사건들을 예견하여 자신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게 만든다 결국 개인의 자긍심을 강화시키는 일을 할 수 있다. 교회는 이 와 같이 어떤 의미체계(meaning system)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교회 사회사업을 통해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을 강화하려 고 할 때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교회 공동체는 그 자체가 봉사 공동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가 사회봉사 를 교회의 한 부수적인 기능으로 간주하여 사회봉사를 전문사회 사업가에게 위탁한다거나 혹은 사회복지기관을 설립하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평신도를 수동적인 위치로 하락시킴 으로써 교회에 해로운 것이 될 것이다.

모든 사람이 봉사를 삶의 고유한 부분으로 여기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최선을 다해서 봉사하기 시작하면 분열과 억압과 죽음이 지배하던 곳이 화해의 형태를 띤 새로운 세계로 변화하 게 될 것이다. 교회는 ‘성장을 위한 봉사’가 아니라 치유, 인간의 완성, 그리고 공동체 전체의 통합을 목표로 하여 자발적이고 종 합적인 봉사를 수행해야 한다(Moltmann, J. 곽숙희 역, 1992:

6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