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음운현상 2: 탈락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음운현상 2: 탈락 3"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2)

1 음운현상 2: 탈락

3

1) 예

 (/ㄴ/ 앞에서의) /ㄹ/ 탈락

㉮ 놀+는 → 노는, 울+니 → 우니

㉯ 솔+나무 → 소나무, 버들+나무→ 버드나무, 아들/딸+님 → 아드님/따님

(3)

1 음운현상 2: 탈락

3

2) (/ㄴ/ 앞에서의) /ㄹ/ 탈락의 내용과 특징

 (/ㄴ/ 앞에서의) /ㄹ/ 탈락

❶ 현상의 내용: /ㄹ/이 /ㄴ/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 용언(동사, 형용사)의 경우로 예외 없이 적용.

: 명사의 경우로 몇몇의 단어에만 나타남.

입력 출력 환경

ø /ㄴ/ 앞

❷ /ㄹ+ㄴ/은 한국어의 말소리 연쇄 제약을 위반.

/ㄹ/ 탈락은 이 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한 음운적 행위.

(4)

생각해 봅시다 (4)

위의 /ㄹ/ 탈락과, /ㄹ/ 다음의 /ㄴ/이 [ㄹ]로 발음되

는 순행적 유음화(예: 달나라 [달라라], 별님 [별림],

줄넘기 [줄럼끼])와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5)

1 음운현상 2: 탈락

3

1) 표준발음법

 /ㅎ/ 탈락

제12항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4.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 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낳은[나은] 놓아[노아] 쌓이다[싸이다]

많아[마ː나] 않은[아는] 닳아[다라]

싫어도[시러도]

(6)

1 음운현상 2: 탈락

3

2) /ㅎ/ 탈락의 내용과 특징

 /ㅎ/ 탈락

❶ 현상의 내용: 용언의 받침 /ㅎ/이 모음 앞에서 탈락 하는 현상.

입력 출력 환경

ø 모음 앞

(7)

1 음운현상 2: 탈락

3

2) /ㅎ/ 탈락의 내용과 특징

 /ㅎ/ 탈락

❷ 용언에서의 /ㅎ/ 탈락 현상은 표준발음으로 인정.

㉮: 유성음(/ㄴ ㄹ ㅁ ㅇ/ & 모든 모음) 사이에서의 현실적 /ㅎ/ 탈락 현상(표준발음으로 인정되지 않음).

㉯: 역사적 변천의 결과.

㉮ 고향~고양, 지혜~지예, 다행~다앵, 결혼~겨론, 은행~으냉, 동화~동와, 감히~감이

㉯ 안해 > 아내, 가히 > 가이 > 개, 올 쪽 > 오른쪽, 방하 > 방아

(8)

생각해 봅시다 (5)

한국어의 ‘ㅎ’은 ‘향기, 힘’과 같이 초성에 나타 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제적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표준발음법> 12항 을 보고 한국어 ‘ㅎ’ 발음을 정리해 보자.

<한국어의 발음>(배주채, 2013: 84)의 “‘ㅎ’의 특수성”을 보고 한국어 ‘ㅎ’의 성격을 다르게 생 각해 보자.

(9)

1 음운현상 2: 탈락

3

1) 예

 /ㅡ/ 탈락

㉮ 끄+어서 → 꺼서, 쓰+어라 →써라,

모으+아서 →모아서(cf. 주+어서 → 줘서)

㉯ 가+으니 → 가니, 울+으면 → 울면,

풀+으라 → 풀라(cf. 감+으면 → 감으면)

㉰ 바다+으로 → 바다로, 들+으로 → 들로 (cf. 집+으로 → 집으로)

(10)

1 음운현상 2: 탈락

3

2) /ㅡ/ 탈락의 내용과 특징

 /ㅡ/ 탈락

❶ 현상의 내용

㉮: 용언의 어간 말음 /ㅡ/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의 탈락

㉯ & ㉰: 모음이나 ‘ㄹ’ 뒤에서의 /ㅡ/ 모음 탈락

입력 출력 환경

ø + 다른 모음

/ㄹ/ 뒤

❷ /ㅡ/의 약모음(弱母音)적 성격

(11)

생각해 봅시다 (6)

<약모음의 특징>

• ① 모음의 높이: 저모음보다 고모음이 약모음의 특징을 갖는다.

• ② 모음의 앞뒤 위치: 전설모음보다 후설모음이 약모음의 특징을 갖는다.

• ③ 입술의 둥근 정도: 원순모음보다 평순모음이 약모음의 특징을 갖는다.

/ㅡ/ 모음은 위의 약모음의 특징 중

몇 가지를 가지고 있는가?

(12)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13)

1 음운현상 3: 첨가

4

1) 표준발음법

 /ㄴ/ 첨가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낱말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낱말 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음을 첨가 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잎[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내:봉냑] 한-여름[한녀름] 남존-여비[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색연필[생년필] 직행-열차[지캥녈차]

늑막-염[능망념] 콩-엿[콩녇] 담-요[담:뇨]

눈-요기[눈뇨기] 영업-용[영엄뇽] 식용-유[시굥뉴]

국민-윤리[궁민뉼리] 밤-윷[밤:뉻]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검열[검:녈/거:멸] 욜랑-욜랑[욜랑뇰랑/욜랑욜랑]

금융[금늉/그뮹]

(14)

1 음운현상 3: 첨가

4

1) 표준발음법

 /ㄴ/ 첨가

[붙임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음은 [ㄹ]로 발음한다.

들-일[들:릴] 솔-잎[솔립] 설-익다[설릭따]

물-약[물략] 불-여우[불려우] 서울-역[서울력]

물-엿[물렫] 휘발-유[휘발류] 유들-유들[유들류들]

[붙임2] 두 낱말을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한 일[한닐] 옷 입다[온닙따] 서른여섯[서른녀섣]

3연대[삼년대] 먹은 엿[머근녇] 할 일[할릴]

잘 입다[잘립따] 스물여섯[스물려섣] 1연대[일련대]

먹을 엿[머글렫]

다만, 다음과 같은 낱말에서는 ‘ㄴ(ㄹ)’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6․25[유기오] 3․1절[사밀절] 송별-연[송:벼련] 등-용문[등용문]

(15)

1 음운현상 3: 첨가

4

2) /ㄴ/ 첨가의 내용과 특징

 /ㄴ/ 첨가

❶ 현상의 내용:

합성어나 파생어

자음으로 끝나는 선행 형태소 뒤

단모음 ‘ㅣ(i)’나 ‘ㅑ(ya) ㅕ(yə) ㅛ(yo) ㅠ(yu)’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입력 출력 환경

ø C + ___ i/y

(16)

1 음운현상 3: 첨가

4

2) /ㄴ/ 첨가의 내용과 특징

 /ㄴ/ 첨가

❷ 단어를 넘어선 구에도 적용 가능(붙임 2).

예: 옷 입다[온닙따] 서른 여섯[서른녀섣]

❸ 동일 환경에서 /ㄴ/ 첨가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예: 그림일기, 첫인사, 역이용

❹ 단어에 따라(위 [다만] 조항), 그리고 표준발음과 관계없이 사람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음

1. 표준어: 금융 [그뮹/금늉] 검열 [거멸/검녈]

서른일곱[서르닐곱/서른닐곱]

2. 비표준어: 절약[저략~절략], 활용[화룡~활룡], 일요일[이료일~일료일]

(17)

1 음운현상 3: 첨가

4

2) /ㄴ/ 첨가의 내용과 특징

 /ㄴ/ 첨가

❺ 추가적인 음운현상으로서의 비음화/유음화 발생 예) 비음화: 꽃잎 → [꼳닙] → [꼰닙]

낯익은 → [낟니근] → [난니근]

유음화: 솔잎 → [솔닙] → [솔립]

서울역 → [서울녁] → [서울력]

(18)

생각해 봅시다 (7)

일반적으로 한글은 읽기 쉽고 쓰기 쉽다고

말한다. ‘꽃잎’ [꼰닙]과 같은 /ㄴ/ 첨가 현상

을 볼 때 과연 그러한 주장이 맞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

(19)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20)

1 음운현상 4: 축약

5

1) 예

 모음축약

아이 → 애, 요사이 → 요새, 어이구 → 에구, 보이다 → 뵈다, 오누이 → 오뉘

2) 모음축약의 내용과 특징

❶ 현상의 내용:

: 연속하는 두 단모음(VV)이 하나의 단모음으로.

: /ㅏ+ㅣ/ → [ㅐ:], /ㅓ+ㅣ/ → [ㅔ:], /ㅗ+ㅣ/ → [ㅚ:], /ㅜ +ㅣ/ → [ㅟ:] 등.

: 단모음 연쇄의 축약은 대부분 형태소 내부에서.

(21)

1 음운현상 4: 축약

5

 모음축약

입력 출력 환경

ㅏ+ㅣ [ㅐ:]

ㅓ+ㅣ [ㅔ:] VV ㅗ+ㅣ [ㅚ:]

ㅜ+ㅣ [ㅟ:]

2) 모음축약의 내용과 특징

❷ 모음축약은 두 모음의 연쇄인 모음충돌(hiatus) 을 피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

(모음충돌 회피는 언어일반적 현상)

(22)

생각해봅시다 (8)

한국어에서 모음충돌은 다음의 4가지로 나타 난다. 모음충돌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어 떤 음운적 행위가 일어나는지 생각해 보자.

➀ 아이 → 애, 사나이 → 사내

➁ 쓰+어 → 써, 바다+으로 → 바다로 ③ 주+어 → 줘, 피+어 → 펴

④ 철수+아 → 철수야, 영희+아 → 영희야 (cf. 영식+아 → 영식아,

아들/딸+아 → 아들/딸아)

(23)

음운현상, 제약, 대치, 탈락, 첨가, 축약, 동화, 비음화,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ㄹ/ 탈락, /ㅎ/ 탈락, /ㅡ/ 탈락, /ㄴ/ 첨가, /ㄷ/ 첨가, 모음축약, 자음축약

1 주요 개념 및 용어

6

(24)

1 참고문헌

강옥미(2011),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김진호(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개정판), 박이정.

박시균(2013), 「한국어 음성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배주채(2013),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신지영(2011),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 교양.

이진호(2014), 「국어음운론강의」, 삼경문화사.

허용·김선정(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 박이정.

Crystal, D.(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Publishing.

(25)

5주차.

한국어 말소리의 체계(2):

한국어 음운현상(2)

(26)

1) 음운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말해 보자.

2) 음운현상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말해 보자.

3) 비음화, 구개음화, /ㄹ/ 탈락, /ㅡ/ 탈락, /ㄴ/ 첨가 등에 대해 현상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해 보자.

1 형성평가

7

참조

관련 문서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산포도는 변량들이 평균 주위에 흩어져 있는 정도를 하나의 수로 나타내는 값이므로 표준편차가 클수록 산포도는 커지고 자료가 평균을 중심으로 멀리 흩어져 있음을

[r]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