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참고 1"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 2021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4 4 4 4 4 4 4 4 4 4 4 4 4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2021년 4월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러시아 주요 경제동향

2021. 5.

1. 경제성장

구 분 2018 2019

2020 2021

연간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4월 실질 GDP 성장률 2.8 2.0 -3.0 1.4 -7.8 -3.5 -1.8 -1.8 -2.4 0.8 -1.0 10.7

산업생산 성장률 3.5 3.4 -2.6 2.6 -6.7 -4.8 -1.7 -1.9 -3.2 2.3 -0.9 7.2 고정자본투자 증가율 5.4 2.1 -1.4 3.5 -5.3 -5.0 1.2 - - - 2.0 -

소매판매 증가율 2.8 1.9 -3.2 4.9 -15.1 -0.8 -1.7 0.2 -1.5 -3.4 -1.6 34.7

□ (GDP 성장) 러 경제개발부에 따르면 2021.4월 러시아 실질 GDP는 전년 동월대비 10.7% 증가

ㅇ 제조업, 건설, 소비 회복세가 GDP 회복세를 뒷받침

□ (성장전망) 주요 국제기구 및 러시아 기관은 2021년도 러시아 경제성장에 대해 전년 대비 2.9~4.0%대 수준 성장 전망*

* World Bank(‘21.6.8일): 3.2%, OECD(’21.5.31일): 3.5%, IMF(‘21.4.6일): 3.8%, 러시아 중앙은행 (’20.10.23일): 3.0~4.0%, 러시아 경제개발부(‘21.4.22일): 2.9%

ㅇ 세계경제 회복에 따른 수출 회복, OPEC+ 석유 감산 축소 등 가정

<주요 기관별 2021-2022년 러시아 실질GDP 성장률 전망치, %>

2021년 2022년

러 경제 개발부

(‘20.9)

→(‘21.4) 러 중앙

은행 (‘20.10)

세계은행 (‘21.1)

→(‘21.6) IMF (‘21.1)

→(‘21.4) OECD ('20.12)

→(‘21.3)

→(‘21.5) 러 경제

개발부 (‘20.9)

→(‘21.4) 러 중앙

은행 (‘21.2)

세계은행 (‘21.1)

→(‘21.6) IMF (‘21.1)

→(‘21.4) OECD ('20.12)

→(‘21.3)

3.3

→2.9 3.0~4.0 2.6

→3.2 3.0

→3.8 2.8

→2.7

→3.5 3.4

→3.2 2.5~3.5 3.0

→3.2 3.9

→3.8 2.2

→2.6

→2.8

(2)

□ (산업생산) 2021.4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대비 7.2% 증가

ㅇ (제조업) 2021.4월 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월대비 14.2% 증가하였으며 산업생산 회복세를 주도

- 부문별 증가율은 기계(59.5%), 경공업(45.2%), 비금속 광물제품(23.6%), 목세공 (16.6%), 야금(10.8%), 화학(10.5%), 식품(5.4%), 석유제품(4.7%)

ㅇ (광업) 2021.4월 광업 생산은 전년 동월대비 1.8% 감소하여 여전히 감소세이나, 3월(전년 동월대비 –4.6%) 보다는 감소세가 축소

- 석유․천연가스( -5.7%)는 OPEC+ 감산 합의 영향에 따른 감소세가 지속 - 석탄(8.4%) 생산은 증가

ㅇ (전기·가스·증기 공급) 2021.4월 전기․가스․증기 공급은 전년 동월대비 6.2% 증가

ㅇ (급수․하수 및 폐기물처리) 2021.4월 급수․하수 및 폐기물처리는 전년 동월 대비 25.9% 증가

□ (소매 판매) 2021.4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대비 34.7% 증가

□ (건설) 2021.4월 건설 활동은 전년 동월대비 6.9% 증가

□ (농업) 2021.4월 농업 생산은 전년 동월대비 0.1% 감소

참고 1

참고 1 주요 지표

(전년 동월(기)대비, %) 구 분

2019 2020 2021

연간 연간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4월

□ 산업생산 3.4 -2.6 2.6 -6.7 -4.8 -1.7 -1.9 -3.2 2.3 -0.9 7.2 ㅇ 광업 3.4 -6.9 1.0 -9.0 -11.5 -8.1 -7.4 -9.0 -4.6 -6.9 -1.8 ㅇ 제조업 3.6 0.6 5.6 -5.2 -0.1 2.3 -0.2 -1.7 5.4 1.4 14.2

ㅇ 전기․가스·증기 -0.8 -2.4 -4.0 -3.3 -2.5 -0.3 8.7 9.0 11.0 9.6 6.2 ㅇ 급수․하수 및

폐기물 처리 2.9 -3.8 -1.8 -11.9 -5.9 4.7 15.4 10.8 14.7 13.6 25.9

□ 농업 4.3 1.5 3.0 3.1 3.3 -3.0 0.7 0.6 0.1 0.4 -0.1

□ 건설업2) 2.1 0.1 2.8 -3.9 1.1 0.8 0.1 0.0 0.4 0.2 6.9

□ 고정자본투자 2.1 -1.4 3.5 -5.3 -5.0 1.2 - - - 2.0 -

실질가처분소득1) 1.0 -3.0 1.3 -7.5 -5.0 -0.9 - - - -3.6 -

□ 실질임금 4.8 3.8 6.2 -0.1 1.8 2.2 0.1 2.0 1.8 1.6 미발표

□ 소매판매 1.9 -3.2 4.9 -15.1 -0.8 -1.7 0.2 -1.5 -3.4 -1.6 34.7

* 자료출처 : 러 경제개발부, 통계청

1) 분기별 발표 (실질가처분소득은 2019.3월부터 분기별 발표)

(3)

2. 고용 및 임금·소득

(단위 : %, 천명)

구 분 2019 2020 2021

연간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4월 실업률

실업자수 4.6

3,465 5.8 4,321 4.6

3,464 6.0 4,468 6.3

4,772 6.1 4,581 5.8

4,317 5.7 4,244 5.4

4,057 5.6 4,206 5.2

3,898 평균명목임금(루블)

임금상승률(명목) 임금상승률(실질)

47,867 9.5 4.8

51,352 7.3 3.8

48,390 8.8 6.2

50,784 3.0 -0.1

49,021 5.4 1.8

56,044 6.7 2.2

49,516 5.3 0.1

51,229 7.8 2.0

55,208 7.7 1.8

52,143 7.2 1.6

미발표 미발표 미발표 실질가처분소득

증가율1) 1.0 -3.0 1.3 -7.5 -5.0 -0.9 - - - -3.6 -

* 실업률, 실업자수 : 월말 기준, 연/분기는 월평균 / 상승(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자료출처: 러 경개부, 통계청]

1) 분기별 발표

□ (고용) 2021.4월 실업률은 5.2%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

ㅇ 2020년 5월부터 지속적으로 6%대를 상회하며 8월에 2020년 연중 최고치인 6.4%까지 상승한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 추세

□ (임금) 2021.3월 평균 명목임금은 전년 동월대비 7.7% 상승하였고, 평균 실질 임금은 전년 동월대비 1.8% 상승

□ (소득) 2021년도 1/4분기 실질가처분소득은 전년 동기대비 3.6% 감소

3. 물 가

(단위: %)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4월 5월

소비자물가 2.5 4.3 3.0 1.3 2.6 2.9 4.9 0.7 0.8 0.7 2.1 0.6 0.7

식료품 1.1 4.7 2.6 2.2 4.3 3.1 6.7 1.0 1.2 0.8

3.1 0.8 1.0

비식료품 2.8 4.1 3.0 0.8 1.8 3.1 4.8 0.5 0.6 0.7 1.8 0.7 0.7 서비스 4.4 3.9 3.8 0.7 1.4 2.4 2.7 0.4 0.4 0.4 1.2 0.2 0.4

* 월은 전월대비, 연/분기는 전년말 대비 [자료출처: 러 통계청]

□ (소비자 물가) 2021.4월 소비자 물가는 전월 대비 0.6% 상승, 전년도말 대비 2.7% 상승 (연간 기준으로는 5.5% 상승)

※ 4월은 서비스 부분 가격 인상이 다소 둔화되면서 3월에 비해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었으나, 5월부터 다시 증가세*

* 전월 대비 0.7%, 연간기준으로는 6.0% 상승

ㅇ 2021.4월 식료품 물가는 전월 대비 0.8% 상승, 전년도말 대비 3.9% 상승 (연간 기준으로는 6.6% 상승)

* 국제시장 가격 인상에 따른 설탕, 해바라기 오일의 국내가격 인상이 지속되는 가운데(각각 전달 대비 1.9%, 1.4% 인상), 과일․야채(전달 대비 1.0%) 및 계랸(전달 대비 6.8%) 등 가격도 상승세

ㅇ 2021.4월 비식료품 물가는 전월 대비 0.7% 상승, 전년도말 대비 2.5% 상승 (연간 기준으로는 6.2% 상승)

* 가솔린 가격 상승세는 둔화(전달 대비 0.5%, 3월까지 전달 대비 0.9~1.1% 수준)되었으나, 건축 자제(전달 대비 2.5%) 및 주요 수입품목(자동차․TV 등) 가격은 상승세(0.9~1.5%)

ㅇ 2021.4월 서비스 물가는 전월 대비 0.2% 상승, 전년도말 대비 1.4% 상승 (연간 기준으로는 3.3% 상승)

* UAE 등 해외여행(전달 대비 –1.4%), 이동통신 서비스(전달 대비 –0.3%) 가격은 인하되었으나, 의료 서비스(전달 대비 0.6%), 국내 호텔(1~5성급) 숙박(전달 대비 8.4%) 등은 인상

ㅇ 러 중앙은행은 4.23일 개최된 금년도 제3차 이사회에서 지속적인 물가상승 추세와 경제주체의 물가인상 기대를 반영하여 금년도 연간 물가 상승률을 기존 전망치 (2021.2.21.: 3.7%∼4.2%) 보다 1%p 상향한 4.7%∼5.2%로 수정 전망

- 해외여행 제약에 따른 동 수요의 국내 수요로의 대체 등 수요 회복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가운데 일부 원자재 가격(철강, 석유, 목재) 및 밀 등 일부 곡물 가격 인상도 물가상승 압력을 가중

(4)

4. 대외거래

(10억 달러)

구 분 2019 2020 2021

4월 1~4월 4월 1~4월

무역수지 178.4 8.1 44.9 10.2 41.2

- 수출 426.3 25.0 116.3 35.5 129.5

- 수입 248.0 17.0 71.4 25.3 88.3

교역량 674.3 42.0 187.7 60.9 217.8

□ (무역수지) 러 관세청에 따르면 2021.4월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102억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27.0%(22억 달러) 증가하였고, 1~4월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412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8.4%(38억 달러) 감소

ㅇ 4월 수출은 355억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42.1% 증가, 수입은 253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9.3% 증가

ㅇ 1~4월 수출은 1,295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1.3% 증가, 수입은 883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3.7% 증가

□ (교역량) 4월 교역량은 609억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45.0% 증가하였고, 1~4월 전체 교역량은 2,178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6.0% 증가

ㅇ 1∼4월 교역 비중이 큰 나라는 중국(18.1%), 독일(7.6%), 네덜란드(5.7%), 벨라 루스(5.3%), 미국(4.7%), 터키(4.21%), 대한민국(4.18%, 7위), 이탈리아(3.5%), 카자흐스탄(3.4%), 영국(3.3%), 폴란드(2.6%), 프랑스(2.5%), 일본(2.4%) 순임

※ 러측 통계상 2021년 1∼4월 한-러 교역규모는 90.6억 달러(전년 동기대비 34.7% 증가) : 러시아의 대한국 수출(37.0억 달러)은 20.7% 감소, 대한국 수입(53.6억 달러)은

160.5% 증가[대한국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16.6억 달러, 전년 동기에는 26.1억 달러 흑자]

□ (외환보유고) 2021.4월말 기준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은 5,905억 달러로 세계 4위 수준

ㅇ ‘19.6월말부터 금년 2월말까지 세계 4위 수준이었으며 금년 3월말 금 가격 인하 및 보유 외화 환율변동으로 5위로 한 단계 하락 후에 4월말에 4위 수준 회복

ㅇ 금 보유량은 1,309억 달러 규모로 전체 외환보유액 대비 22% 수준

※ 주요국 외환보유액 순위(2020.4월말 기준, 자료 : IMF, 각국 중앙은행) 1위 : 중국 3조 1,982억 달러 6위 : 대만 5,411억 달러 2위 : 일본 1조 3,785억 달러 7위 : 홍콩 4,906억 달러 3위 : 스위스 1조 704억 달러 8위 : 한국 4,523억 달러 4위 : 러시아 5,905억 달러 9위 : 사우디 4,406억 달러 5위 : 인도 5,880억 달러 10위 : 싱가포르 3,857억 달러

<러시아 외환보유액 규모 및 구성 추이>

(억 달러)

구 분 외환보유고

외환보유고 구성

외환보유 금

소계 외환 등 SDRs IMF지분

2018.12월말 4,685 3,816 3,717 67 31 869

2019.6월말 5,184 4,181 4,076 67 37 1,002

2019.12월말 5,544 4,440 4,333 67 40 1,104

2020.1월말 5,623 4,465 4,359 67 40 1,158

2020.3월말 5,635 4,436 4,331 66 39 1,198

2020.6월말 5,689 4,381 4,264 67 48 1,308

2020.9월말 5,834 4,443 4,326 68 48 1,391

2020.10월말 5,828 4,442 4,321 69 51 1,387

2020.11월말 5,827 4,490 4,369 69 52 1,337

2020.12월말 5,958 4,570 4,445 70 55 1,388

2021.1월말 5,907 4,539 4,414 70 55 1,368

2021.2월말 5,863 4,560 4,436 70 53 1,303

2021.3월말 5,733 4,480 4,360 69 52 1,253

2021.4월말 5,905 4,596 4,474 70 52 1,309

2021.5월말 605,232 465,733 453,449 7,018 5,266 139,499

* 자료출처: 러 중앙은행

(5)

5. 외환 및 금융시장

□ (기준금리) 러 중앙은행은 코로나19 대응 등 차원에서 2020년 초 6.25%의 기준 금리를 2020.7.24일까지 4.25%로 인하한 후 동 수준을 유지해 왔으나, 2020년 말부터의 가파른 물가상승 추이를 감안하여 금년도 세 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통해 연 5.5%로 기준금리 인상

* (2020.2.7.일) 6.25%→6.0%, (4.24일) 6.0%→5.5%, (6.19일) 5.5%→4.5%, (7.24일) 4.5%→4.25%, (’2021.3.19일) 4.25%→4.5%, (4.23일) 4.5%→5.0%, (6.11일) 5.0%→5.5%

ㅇ (20.2.7) 2020년도 첫 정기이사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6.25%에서 6.00%로 인하*

* 러시아는 저성장세에 따라 ‘17년에 기준금리를 6차례 인하(10.0% → 7.75%)하였고, ’18년 1/4분기에도 2차례 인하(7.75% → 7.25%)하였으나, 이후 세제개편 등에 따른 물가상승 우려로

‘18년 하반기 2차례 인상(7.25%→7.75%). 그러나 ’19년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면서 6월 (7.50%), 7월(7.25%), 9월(7.00%), 10월(6.50%), 12월(6.25%)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 인하

ㅇ (20.4.24) 주요국의 유동성 확대조치 등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안정되었고 향후 물가상승 압력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대응을 위해 연 6.0%에서 5.50%로 0.5%p 기준금리 인하 결정

ㅇ (20.6.19) 인플레이션 기대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력 저하 등으로 인해 기준금리를 연 5.5%에서 4.5%로 1.0%p 추가 인하 결정*

* ‘15년 6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1%p 이상 인하

ㅇ (20.7.24) 4% 목표 인플레이션을 하회하는 물가 하락 압력으로 인해 기준 금리를 연 4.5%에서 4.25%로 0.25%p 추가 인하 결정

- 경제활동 회복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는 있으나 대내외 수요 감소, 불확실성에 따른 저축 등에 따른 물가 하락 압력을 고려

ㅇ (21.3.19) 국내외 수요 회복 및 경제활동 회복세로 등으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을 감안하여 연 4.25% 기준금리를 4.5%로 조기 인상 결정

- 국내 수요 회복세*, 여타국들의 추가 재정지원 조치 및 코로나 백신 접종 가속 으로 인한 대외 수요 증가, 글로벌 식품가격 인상 등 물가상승 압력을 고려

* 팬데믹 상황에서 취해졌던 제한 조치들의 해제 및 백신 접종 진행으로 인해 점차 일상의 경제활동으로 복귀하는 상황에서 그간 연기되었던 수요(가전제품, 전자기계, 주택개선 등) 실현, 해외여행 수요의 국내 전환(연간 약 2조 루블 수준) 등에 따른 국내 수요 증가

ㅇ (21.4.23) 연 4.5% 기준금리를 5.0%로 0.5%p 인상 결정

- 3.19일 인상 결정과 마찬가지로 국내 수요 회복 및 경제활동 회복 등에 따른 목표 수준(연간 4%)을 상회 하는 물가상승 추세 및 향후 물가상승 압력을 고려

ㅇ (21.6.11) 연 5.0% 기준금리를 5.5%로 0.5%p 인상 결정

- 국내외 수요의 빠른 회복, 국제 원자재 가격 인상 등에 따른 목표 수준(연간 4%)을 상회 하는 물가상승 추세 및 향후 물가상승 압력을 고려

□ (유동성) 21.4월말 기준 시중 통화량 (M2)은 59.2조 루블로 전월대비 1.6% 증가 하였고 전년 동월대비는 11.8% 증가

(단위 : 기말기준, 10억 루블, %)

구 분 18년 19년 20.9월 11월 12월 21.1월 2월 3월 4월

M2 47,109.3 51,660.3 56,023.9 56,112.6 58,652.1 57,598.4 58,178.2 58,261.6 59,206.3

증가율

전월대비 4.9 5.0 1.3 0.4 4.5 -1.8 1.0 0.1 1.6

전년말대비 11.0 9.7 8.4 8.6 13.5 -1.8 -0.8 -0.7 0.9 전년동월비 11.0 9.7 16.1 14.1 13.5 13.8 13.4 11.3 11.8

* 자료출처 : 러 중앙은행

□ (환율) 2021.4월 기간평균 루블화 명목환율은 달러화 대비로는 전월 대비 2.2%

평가절하, 유로화 대비로는 전월 대비 2.3% 평가절하, 실질실효환율은 전월 대비 1.7% 평가절하

구 분 17년 18년 19년 20년 2021년

1월 2월 3월 1/4 4월 5월

명목환율1) 루블/달러 58.33 62.54 64.73 71.94 74.22 74.38 74.41 74.34 76.09 74.04 루블/유로 65.78 73.88 72.49 82.04 90.50 89.94 88.69 89.70 90.81 89.89 명목환율

절상률2)

달러대비 14.7 -6.7 -3.4 -10.0 -0.2 -0.2 0.0 2.5 -2.2 2.8 유로대비 12.6 -11.0 1.9 -11.6 -0.5 0.6 1.4 1.2 -2.3 1.0 실질환율절상률2)

달러대비 16.3 -6.3 -0.9 -7.8 0.1 0.2 0.0 3.6 -2.4 2.7 유로대비 14.8 -9.8 4.7 -9.2 0.0 0.9 1.6 2.7 -2.3 1.3 실질실효환율 절상률 15.9 -7.7 2.5 -7.5 -0.7 0.1 1.8 1.9 -1.7 1.8 1) 기간평균환율, 2) 전기 대비(연간은 전년도 대비, 분기․월은 전분기 전월 대비) [출처 : 러 중앙은행]

(6)

ㅇ 2015년 이후 급격하게 평가 절하되었던 루블화는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라 2017년 이후 강세로 전환, 2018년 1/4분기에 달러당 56루블 수준으로 회복

* ‘18.1.15일 브렌트유가가 배럴당 70.26달러로 ‘14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70달러대 기록

’18.1.27일 러 중앙은행 고시환율 : 55.82(루블/달러)

ㅇ 2018년 4월 이후 미국의 신규 대러 제재 발표 및 추가 제재 가능성, 무역 전쟁, 유가 하락 우려 등으로 루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18년 전체적으로는 달러당 63루블 수준을 시현(‘18년말 기준 달러당 67루블 수준)

* 2018.9월 영국이 전직 러시아 스파이 사건 관련 용의자를 공개하면서 추가 대러 제재 가능성 부각 등으로 루블화가 한 때 달러당 70루블 수준까지 절하되었으나 러 중앙은행의 외환매입 중단,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안정화 (러 중앙은행은 ‘19년 1.15일부터 외환 매입 재개)

ㅇ 2019년 1월 이후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전환됨에 따라 루블화도 강보합세를 보이면서 ‘19.6∼7월에 달러당 62∼63루블 수준을 시현했으나,

- 8월에는 유가하락*,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이 재부각되면서 달러당 66루블 수준으로 평가절하

* 브렌트유가(달러/배럴): (7.31) 65.17 → (8.7) 56.23

- 9월말 이후 국제유가 상승세 및 미중 무역전쟁 긴장감 완화로 2020년 1월까지 루블화는 달러당 61∼62루블 수준으로 평가절상

ㅇ 2020년 3월 OPEC+ 감산 합의 무산(3.6)에 따른 국제유가 폭락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기 둔화로 3월말 달러당 78∼80루블 수준까지 대폭 평가절하 - 4월 OPEC+ 감산 합의(4.12)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4월 평균 루블화 명목환율은 달러당 75.22루블 시현

- 5월 중순부터 유가가 배럴당 30달러대로 회복되고, 6월에는 OPEC+ 감산합의의 7월말까지의 연장 결정(6.6일) 등으로 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6월 평균 루블화 명목환율은 달러당 69.22 루블로 평가 절상

- 7월부터 러 중앙은행/재무부의 외화매각 규모 축소, 그간의 기준금리 3차례 인하 효과, 미 대선 등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인해 루블화 가치가 다시 절하되기 시작하여 11월 초에는 달러당 80.57 루블까지 절하

- 11월 중순 이후 유가 상승과 더불어 루블 환율이 안정되기 시작하여 12월말에 달러당 73 루블대 시현

ㅇ 2021년 루블 환율은 유가 추이, 대러 제재,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주요 변동 요인에 따라 달러당 72~77 루블 수준(1~4월 기간평균: 달러당 74.63루블)

* 브렌트유(월평균, 달러/배럴): (’21.1월) 55.32, (2월) 62.28, (3월) 65.70, (4월) 65.33, (5월) 68.31

- 4월 들어 미국의 대러 추가 제재(4.15일),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지역 갈등 고조로 인해 금년 들어 처음으로 달러당 77루블대로 상승(4.8일: 77.8루블) - 이후, 시장의 불안감 해소, 국경지역 갈등 완화 등으로 4월말부터 환율이 안정

되기 시작하여 6.12일 달러당 71.68 루블까지 하락

- 6.19일 미국의 대러 추가 제재 준비 소식이 전해지면서 6.23일 달러당 73.17 루블로 상승하였으나, 추가 제재의 강도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시장의 반응 등으로 인해 6.29일 현재 달러당 72.18 루블로 하락

[ 루블 환율 추이 ]

(단위: 루블/달러)

(7)

6. 재정

(10억 루블,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연간1) 1~4월 계획2) 1~4월 ㅇ 세입 15,089 19,454 20,188.8 18,722.2 7,002.0 18,765.1 7,486.8

- 석유·가스 부문 5,972 9,018 7,924.3 5,235.2 2,222.5 5,987.2 2,511.4 - 비석유·가스 부문 9,117 10,437 12,264.5 13,486.9 4,779.5 12,777.9 4,975.4 ㅇ 세출 16,420 16,713 18,214.5 22,821.5 6,755.3 21,520.1 7,156.9 ㅇ 수지 -1,331 2,741 1,974.3 -4,099.4 246.7 -2,755.0 329.9 1) 예비치(preliminary data), 2) 2021년 연방예산안, [자료출처 : 러 재무부]

□ (수지) 2021년도 1~4월 세입․세출 추계 결과, 러시아 연방재정은 3,299억 루블 규모의 재정수지 흑자를 기록

ㅇ 2021년 예산안에 따르면 러 정부는 2021년도에 2조 7,550억 루블 (GDP 대비 2.4% 수준, 2020년은 3.8% 수준) 규모의 연방재정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세입) 2021년도 1~4월 세입은 7조 4,868억 루블로 전년 대비 6.9% 증가하 였으며, 연간계획 대비 39.9% 수준

ㅇ 석유․가스 부문 세입은 2조 5,114억 루블로 전체 세입의 33.5%를 차지하였으며, 전년 대비 13.0% 증가

ㅇ 석유․가스 부문 외의 세입은 4조 9,754억 루블로 전년 대비 4.1% 증가

□ (세출) 2021년도 1~4월 세출은 7조 1,569억 루블로 전년 대비 5.9% 증가하였으며, 연간계획 대비 33.3% 수준

□ (국가복지기금) 2021.4월말 국가복지기금(National Wealth Fund) 잔액은 13조 8,254억 루블(미화 약 1,859억 달러)로 GDP 대비 12.0% 수준으로 집계

참고 2

참고 2 러시아 국가복지기금 잔액 추이

※ 유가변동에 따른 급격한 환율 변동 방지, 경기 대응적 재정운용, 연금 지급 보전 등을 위해 재정준칙*에 따라 국가복지기금을 적립․운용 중

*과거 재정예비기금으로 Reserve Fund가 운영되었으나 ‘17년말 소진되어 ’18년부터 국가복지기금(NWF)으로 운영.

국가복지기금은 과거 재정예비기금과 같이 연금기금의 재정 보전 등에 사용되며, 배럴당 유가 40달러 초과 시 (‘17년 기준, 매년 2%씩 기준유가 상승) 발생하는 석유 및 가스 부문 세입으로 충당되고 기준유가 이하 시 기금 보유 외화 매각(환율 안정) 및 석유․가스 부문 세입 부족분 보전(경기 대응) 등으로 사용

구 분

국가복지기금 (National Wealth Fund)

10억 달러 10억 루블 GDP대비 비중(%)

2019년 1.1 58.10 4,036.05 3.7

2019년 3.1 59.13 3,887.88 3.6

2019년 6.1 58.74 3,821.72 3.5

2019년 9.1 122.88 8,170.49 7.5

2019년 12.1 124.00 7,946.22 7.3

2020년 1.1 125.56 7,773.06 6.9

2020년 2.1 124.38 7,840.55 6.9

2020년 3.1 123.14 8,249.59 7.3

2020년 4.1 165.38 12,855.75 11.3

2020년 5.1 168.35 12,405.77 10.9

2020년 6.1 171.89 12,161.48 10.7

2020년 7.1 173.54 12,139.60 10.7

2020년 8.1 176.64 12,958.68 11.4

2020년 9.1 177.61 13,256.66 11,7

2020년 10.1 172.34 13,733.05 12,1

2020년 11.1 167,63 13,298.63 11.7

2020년 12.1 177.39 13,457.02 11.8

2021년 1.1 183.36 13,545.66 11.7

2021년 2.1 179.00 13,649,30 11,8

2021년 3.1 182.06 13,552.05 11.7

2021년 4.1 182.32 13,802.12 11.9

2020년 5.1 185.87 13,825.43 12.0

2020년 6.1 189.41 13,938,08 12.1

* 자료출처 : 러 재무부. 끝.

참조

관련 문서

-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부담을 낮추고,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중장기적으로 축산업 성장 가능 - 주요과제: 가축분뇨 적정 처리, 온실가스 저감, 축산악취 저감

[참고] E-포트폴리오: 소개,

재무제표

&lt;참고&gt; WTO설립을 위한 마라케쉬 협정

다음 매개방정식의 그래프를 그려라... 이를

산불 나도 견디는 나무..

2-x: Constant volume heat addition x-3: Constant pressure heat addition 3-4: Isentropic expansion. 4-5: Constant

A형 간염 바이러스).. 염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