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참고 1"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년 3 3 3 3 3 3 3 3 3 3 3 3 3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2020년 3월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주요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경제동향 러시아 주요 경제동향

2020. 5.

1. 경제성장

(전년동기대비, %)

구 분 2017 2018 2019 2020

연간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실질 GDP성장률 1.8 2.5 1.3 0.5 0.9 1.7 2.1 1.7 2.8 0.9 1.8 산업생산 성장률 2.1 2.9 2.3 2.4 2.0 3.1 1.8 1.1 3.3 0.3 1.5

고정자본투자 증가율 4.8 4.3 1.7 0.5 0.6 0.8 2.3 - - - -

소매거래량 증가율 1.3 2.8 1.6 1.9 1.6 0.9 2.0 2.7 4.7 5.6 4.3

* 자료출처: 러 경제개발부, 통계청

□ (GDP 성장) 러 경제개발부에 따르면 2020년 3월 러시아 실질 GDP는 전년 동월대비 0.9% 증가한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1/4분기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ㅇ 3월은 주요 교역국의 코로나19 제한조치 등에 따른 대내외상황 악화로 상대적 으로 성장세가 미약*

* 3월 GDP 기여도 측면에서는 운송 및 창고업 감소, 산업생산(제조업·광업·에너지)과 건설은 정체된 가운데 식료품 및 생필품 등 수요증가로 인한 도소매 판매가 3월 성장을 견인 ㅇ 1/4분기 성장은 도소매거래와 제조업이 견인(각각 1.0, 0.4 %p 기여)

□ (성장전망) 당초, ‘19년말~’20.1월 대부분 전문가들은 금년도 러시아 경제가 전년도에 비해 상승한* 1.5∼2.0%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복지정책 및 국책사업에 대한 재정지출 증대와 석유·가스 생산의 안정적 증가세가 2020년 성장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

ㅇ 그러나 3월부터 급격히 전개된 코로나19 및 국제유가 폭락 등 여파로 IMF, 세계은행 등 주요기관은 최근 금년도 러시아 성장전망을 하향 조정*

* IMF(4.14일): -5.5%, World Bank(4.8일) : -(1.0~2.2%)

ㅇ 러 중앙은행도 4.24일 정기이사회에서 금년도 성장전망을 전년대비 –4~-6%로 하향 조정*

* 코로나19에 따른 제한조치, 유가 하락, 글로벌 수요 감소로 금년도 -4~-6% 역성장 후 ‘21년 2.8~4.8%, ’22년 1.5~3.5% 전망 (우랄산 원유가격 배럴당 $27(‘20), $35(’21), $45(‘22) 가정)

(2)

- GDP 감소의 주된 요인은 수출 감소(전년대비 10.6~14.6% 감소 전망)이며, 고정 자본투자 또한 상당한 감소 전망(전년대비 5.6~9.6% 감소)

- GDP 감소는 2분기 집중*되며, 6월부터 경제활동 제한조치 완화를 가정할 때 유가 추이 및 세계경제 회복과 연계하여 점진적인 회복 전망

* 2분기 전넌동기대비 8% GDP 감소가 예상되며, 3·4분기는 2분기 수준보다는 증가가 예상 되나 전년도 대비 여전히 마이너스 성장 예상

<주요 기관별 2020-2021년 러시아 실질GDP 성장률 전망치, %>

2020년 2021년

러 경제 개발부

(‘20.1)

러 중앙 은행 (‘19.12⇒

‘’20.4)

세계은행 (‘20.1⇒

‘’20.4) IMF (‘20.1

⇒’20.4) OECD ('19.11

⇒‘20.3)

러 경제 개발부

(‘20.1)

러 중앙 은행 (‘19.12⇒

‘’20.4)

세계은행 (‘20.1

⇒’20.4) IMF (‘20.1

⇒’20.4) OECD ('19.11

⇒‘20.3) 1.9 1.5~2.0

→ -(4~6) 1.6→

-(1.0~2.2)1.9→-5.5 1.6→1.2 - 1.5~2.5

→2.8~4.8 1.8→

1.6~1.8 2.0→3.5 1.4→1.3

* 러 경제개발부는 중국경제가 1분기말까지 회복될 것이라는 전제 하의 기존 전망(1.9% 성장)을 수정할 예정이나, 당초 수정전망 발표 일정(4.9일)을 추후 연기

□ (산업생산) 2020년 3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0.3% 증가로 급격히 둔화 되였 으며, 1/4분기 전체로는 1.5% 증가

ㅇ 3월 산업생산은 제조업 증가세 둔화, 광업 생산 감소, 에너지 공급 등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증가율이 0.3%로 급격히 둔화

- 1/4분기 전체로는 제조업(3.8%)이 산업생산을 견인한 반면, 전기․가스 등 공급 (-2.4%) 및 상수도 등 공급(-3.1%)은 마이너스 성장세 시현

ㅇ (제조업) 3월 제조업 분야는 증가세는 둔화 되었으나 전년동월대비 2.6% 증가 하여 3월 산업생산을 견인하였으며, 1/4분기 전체로는 전년동기대비 3.8% 증가 - 3월은 의료품 생산 증가에 따른 화학 분야(9.1%) 및 식품(7.7%)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시현하였으나, 글로벌 자동차 산업 악화로 엔지니어링 분야(-10.7%)는 마이너스 성장세 시현

- 1분기 전체로도 전년동기대비 화학(7.8%), 식품(8.5%)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시현한 반면, 엔지니어링(-0.5%)은 마이너스 성장세 시현

ㅇ (광업) 3월 광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7% 감소하였으며, 1/4분기 전체적으로는 전년동기 수준으로 정체(0.0%)

- 3월은 주요국의 코로나19 제한 조치로 인한 해외수요 감소로 석탄 부문이 급격히 (-8.1%) 감소하였으며, 예년보다 따뜻했던 3월 유럽 날씨로 인해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1.6%) 또한 감소세 시현

- 1분기 전체로는 석탄부문이 급격히 감소(-7.5%)한 가운데, 금속(1.3%) 및 원유 및 천연가스 부문은 소폭 증가(0.3%)

ㅇ (전력.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예년보다 따뜻했던 유럽 날씨로 인해 3월 전력.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부문은 전년동월대비 2.2% 감소하였으며, 1/4분기 전체적으로도 전년동기대비 2.4% 감소

ㅇ (상수도.위생.폐기물처리) 3월 상수도.위생.폐기물처리 부문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3.1% 감소하였으며, 1/4분기 전체적으로는 1.2% 감소*

* 예년보다 따뜻했던 유럽날씨가 상수도 공급 부분 등에도 영향

□ (소매거래) 3월 소매거래는 전년동월대비 5.6%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1/4분기 전체적으로도 전년동기대비 4.3% 증가로 높은 증가세 시현

ㅇ 3월 소매거래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식료품 등 수요 증가, 환율 인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 등으로 인해 대폭 증가(‘14년 12월(5.3%) 이후 최고 수준) - 1분기 전체적으로도 낮은 물가상승률, 지속적인 임금 증가, 낮은 실업률 등으로

인해 높은 증가세 시현

□ (건설) 3월 건설은 전년동월대비 0.1% 소폭 증가하였으며, 1/4분기 전체적으로는 1.1% 증가

ㅇ ‘19년도 정체*를 벗어나 1~2월에 성장세를 시현(1월: 1.0%. 2월: 2.3%) 하였으나, 3월은 전년동월 수준으로(0.1%) 정체

* (‘19년, 전년동월비, %) (9월) 0.8→ (10월) 1.1→ (11월) 0.3→ (12월) 0.4 / (’19년 연간 0.6%)

□ (농업생산) 3월 농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3.0% 증가하였으며, 1/4분기 전체적 으로도 3.0% 증가

(3)

참고 1

참고 1 주요 지표

(전년동기대비, %)

* 자료출처 : 러 경제개발부, 통계청

1) 산업생산은 기준년도 변경(2010년→2018년)으로 이전 지수값 조정 2) 분기별 발표

3) 2019.3월부터 분기별 발표 4) 3월 수치 미발표

구 분

2018 2019 2020

연간 연간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 산업생산1) 3.5 2.3 2.4 2.0 3.1 1.8 1.1 3.3 0.3 1.5

ㅇ 광업 3.8 2.5 5.2 3.4 1.8 0.0 -0.4 2.3 -1.7 0.0

ㅇ 제조업 3.6 2.6 0.8 1.0 4.4 3.9 3.9 5.0 2.6 3.8 ㅇ 전기․가스·

증기·공기조절 2.2 0.0 -1.1 1.3 1.9 -0.9 -4.7 -0.2 -2.2 -2.4 ㅇ 상수도.위생.

페기물 처리 2.9 -5.2 -1.1 -2.0 -4.9 -11.7 1.0 -1.4 -3.1 -1.2

□ 농업 -0.2 4.0 1.0 1.0 5.0 5.3 2.9 3.1 3.0 3.0

□ 건설업 5.3 0.6 0.1 0.2 0.5 0.9 1.0 2.3 0.1 1.1

□ 고정자본투자2) 5.4 1.7 0.9 1.2 1.7 2.3 - - - -

실질가처분소득3) 0.1 0.8 -1.8 1.0 3.1 1.1 - - - -0.2

□ 실질임금4) 8.5 2.9 1.3 2.6 3.0 4.6 6.5 5.7 - -

□ 소매거래량 2.8 1.6 1.9 1.6 0.9 2.0 2.6 4.6 5.6 4.3

2. 고용 및 소득

(단위 : %, 천명)

구 분 2018 2019 2020

연간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실업률

실업자수 4.8

3,659 4.6 3,465 4.8

3,613 4.6 3,430 4.4

3,331 4.6 3,485 4.7

3,482 4.6 3,425 4.7

3,485 4.6 3,464 평균명목임금(루블)

임금상승률(명목) 임금상승률(실질)

43,724 11.6

8.5

47,468 7.5 2.9

43,944 6.5 1.3

48,453 7.7 2.6

45,726 7.4 3.0

51,684 8.2 4.6

46,674 9.1 6.5

47,257 8.1 5.7

2) 2) 2)

2) 2) 2)

실질가처분소득

증가율1) 0.1 1.0 -1.6 1.0 2.9 1.8 - - - -0.2

* 실업률, 실업자수 : 월말 기준, 연/분기는 월평균,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자료출처: 러 경개부, 통계청]

1) 2019년 1월 수치(-1.3) 발표 이후 러 언론 등에서는 실질가처분소득이 2014년부터 지속 저조하다고 비평

→ 실루아노프 재무부 장관은 통계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비판(2.20)→ 러 통계청은 실질가처분 소득 통계 작성방법을 재정비하고, 월별 통계 대신 분기별 통계만 발표하기로 함 (3.20)

2) 3월 임금 수치 미발표

□ (고용) 2020년 3월 실업률은 4.7%로 1월 수준으로 상승(2월: 4.6%) 하였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1/4분기 평균으로는 4.6%를 기록

*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경제활동인구가 지속하여 감소하는 추세

□ (임금) 낮은 실업률 등으로 인해 1월에 이어 2월에도 임금 상승세가 지속

ㅇ 2020년 2월 명목임금은 1월 9.1%에 이어 전년동월대비 8.1% 상승, 2월 실질 임금은 1월 6,5%에 이어 전년동월대비 5.7% 상승

□ (소득) 2020년 1/4분기 실질가처분소득은 전년동기대비 0.2% 감소

ㅇ 임금 상승에도 불구하고 조세 및 이자 부담 등으로 3분기 연속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전환

(4)

3. 물 가

(단위: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4월 소비자물가 5.4 2.5 4.3 1.8 2.5 2.3 3.0 0.4 0.3 0.6 1.3 0.8 식료품 4.6 1.1 4.7 2.6 3.0 1.3 2.6 0.7 0.6 1.0 2.2 1.7 비식료품 6.5 2.8 4.1 1.2 1.7 2.3 3.0 0.2 0.0 0.5 0.8 0.4 서비스 4.9 4.4 3.9 1.5 2.7 3.6 3.8 0.2 0.4 0.1 0.7 0.1

* 월은 전월대비, 연/분기는 전년말대비 [자료출처: 러 통계청]

□ (소비자 물가) 3월 소비자 물가는 루블 환율 상승, 식품 가격 인상 등으로 인해 전월대비 0.6%로 1·2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시현*하였고, 연초부터 1/4분기말까지는 1.3% 상승

* 4월에도 식품부문(전달대비 1.7% 상승)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 시현(전달대비 0.8% 상승)

ㅇ 식료품 부문은 전월 대비 1.0% 상승 (1/4분기말까지 2.2% 상승)

ㅇ 비식료품 부문은 전월 대비 0.5% 상승 (1/4분기말까지 0.8% 상승)

ㅇ 서비스 부문은 전월 대비 0.1% 상승 (1/4분기말까지 0.7% 상승)

ㅇ 러 중앙은행은 당초(‘19.12월) 금년도 물가상승률이 3.5∼4.0% 수준을 보일 것 으로 전망하였으나,

- 3월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루블화 약세 등을 감안시 금년도에 4%를 넘을 수도 있을 것이라 언급(Elvira Nabiullina 의장, 3.20일 이사회)

- 4.24일 이사회에서는 환율 인상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총체적인 수요감소로 일정부분 상쇄되면서 금년도 물가상승률이 3.8-4.8%

수준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 수정*

* 2021년도부터는 목표수준인 4% 대로 안정될 것으로 전망

4. 대외거래

(억 달러)

구 분 2018 2019 2020

연간 3월 1~3월 3월 1~3월

무역수지 2,109 1,772 168 511 105 355

- 수출 4,518 4,246 368 1,052 297 895

- 수입 2,408 2,474 200 541 192 540

* 자료출처: 러 관세청

□ (무역수지) 러 관세청에 따르면 2020년 3월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105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37.7% 감소한 수준으로 집계되었으며, 1∼3월 누계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355억 달러로서 전년동기대비 30.6% 감소

ㅇ 1∼3월 누계 기준 수출이 89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5.1% 감소하였고, 수입은 54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0.4% 감소

- 전년대비 수출 감소가 큰 가운데 수입은 소폭 감소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

ㅇ 1∼3월 누계 교역량(1,435억 달러)도 큰 폭의 수출 감소로 인해 전년동기대비 10.1% 감소

- 1∼3월 누계 기준 교역 비중이 큰 나라는 중국(17.3%), 독일(7.6%), 네덜란드 (6.2%), 미국(4.7%), 벨라루스(4.3%), 터키(3.9%), 이탈리아(3.8%), 대한민국 (3.5%, 8위), 영국(3.0%), 일본(3.0%), 카자흐스탄(3.0%), 폴란드(2.8%), 순임

※ 러측 통계상 ‘20년 1∼3월 한러 교역규모(49.6억불)는 전년동기대비 20.5% 감소 하였는바, 러시아의 대한국 수출(34.0억불)은 20.6% 감소하였고 대한국 수입(15.5억불)은 20.3% 감소. [동 기간 대한국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18.5억불 수준으로 전년동기대비 21.0% 감소]

(5)

□ (외환보유고) 2020년 3월말 기준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은 5,635억 달러로서 세계 4위 수준

ㅇ 외환보유액 증가에 따라 세계 5위 수준(‘18년 11월~)에서 ‘19년 6월말 이후 세계 4위 수준으로 상승하여 유지 중

ㅇ 금보유량은 1,198억 달러 규모로 전체 외환보유액 대비 21% 수준

※ 주요국 외환보유액 순위(2020.3월말 기준, 자료 : IMF, 각국 중앙은행) 1위 : 중국 3조 1,606억 달러 6위 : 인도 4,778억 달러 2위 : 일본 1조 3,662억 달러 7위 : 사우디 4,725억 달러 3위 : 스위스 8,507억 달러 8위 : 홍콩 4,376억 달러 4위 : 러시아 5,635억 달러 9위 : 한국 4,002억 달러 5위 : 대만 4,804억 달러 10위 : 브라질 3,432억 달러

<러시아 외환보유액 규모 및 구성 추이>

(억 달러)

구 분 외환보유고

외환보유고 구성

외환보유 금

소계 외환 등 SDRs IMF지분

2015.12월말 3,684 3,198 3,094 78 26 486

2016.12월말 3,777 3,175 3,080 65 30 602

2017.12월말 4,327 3,561 3,465 69 27 766

2018.12월말 4,685 3,816 3,717 67 31 869

2019.1월말 4,759 3,865 3,766 68 31 895

2019.3월말 4,878 3,978 3,877 67 34 900

2019.6월말 5,184 4,181 4,076 67 37 1,002

2019.9월말 5,309 4,231 4,125 66 40 1,078

2019.12월말 5,544 4,440 4,333 67 40 1,104

2020.1월말 5,623 4,465 4,359 67 40 1,158

2020.2월말 5,704 4,506 4,400 67 39 1,198

2020.3월말 5,635 4,436 4,331 66 39 1,198

2020.4월말 5,660 4,399 4,292 66 41 1,261

* 자료출처: 러 중앙은행

5. 외환 및 금융시장

□ (금리) 러 중앙은행은 4.24일 정기이사회에서 금년 2.7일 이후 연이율 6.00%로 동결하여 왔던 기준금리를 5.50%로 50 bp 인하 결정

ㅇ 러 중앙은행은 금년도 2.7일 첫 정기이사회에서 기준금리를 6.25%에서 6.00%로 추가 인하*하였으며, 향후 물가상승률 및 대내외 금융환경 등을 고려 하여 지속하여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 러시아는 저성장세에 따라 ‘17년에 기준금리를 6차례 인하(10.0% → 7.75%)하였고, ’18년 1/4분기에도 2차례 인하(7.75% → 7.25%)하였으나, 이후 세제개편 등에 따른 물가상승 우려로

‘18년 하반기 2차례 인상(7.25%→7.75%). 그러나 ’19년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면서 6월 (7.50%), 7월(7.25%), 9월(7.00%), 10월(6.50%), 12월(6.25%)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 인하

ㅇ 그러나, 3.20일 정기이사회에서는 루블화의 절하(금리인상 요인)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장기적 수요 감소(금리인하 요인)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6.00%로 동결

ㅇ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이 최근 안정된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대응을 위해 4.24일 이사회에서 양적완화(기준금리 인하) 결정*

* 추후 전개상황(세계경제 침체, 유가 하락, 러시아내 경제활동 제한조치)을 감안하여 추가 인하 가능성 언급

□ (유동성) 2020년 3월말 기준 시중 통화량 (M2)은 52.3조 루블로 전월대비 2.0% 증가하였고 전년동월대비는 13.4% 증가한 수준으로 집계

(단위 : 기말기준, 10억 루블, %)

구 분 17년 18년 19.8월 10월 11월 12월 20.1월 2월 3월

M2 42,442.1 47,109.3 47,585.3 48,083.0 49,195.3 51,660.3 50,662.9 51,314.252,327.0 증가율

전월대비 5.8 4.9 0.5 -0.4 2.3 5.1 -2.0 1.4 2.0

전년말대비 10.5 11.0 1.0 2.1 4.4 9.7 -2.0 -0.7 1.3

전년동월비 10.5 11.0 7.2 8.7 9.6 9.7 10.7 11.0 13.4

* 자료출처 : 러 중앙은행

(6)

□ (환율) 2020년 3월 기간평균환율 기준 루블화 명목환율은 유가 폭락 등 충격 으로 달러화 대비 12.7%, 유로화 대비 13.9.% 평가절하되었고, 실질실효환율은 달러대비 11.1% 평가절하

(루블, %)

구 분 '15년 '16년 '17년 18년 2019년 2020

1/4 2/4 3/4 4/4 1월 2월 3월 1/4 4월

명목환율1)

루블/달러 60.88 67.04 58.34 62.66 66.11 64.55 64.56 63.72 61.78 63.88 73.15 66.09 75.22 루블/유로 67.67 74.24 65.86 73.92 75.14 72.52 71.82 70.54 68.72 69.69 80.91 72.91 81.92 명목환율절상률2)

달러대비 -37.4 -9.3 14.7 -6.7 0.6 2.4 -0.0 1.3 1.9 -3.3 -12.7 -3.6 -2.8 유로대비 -25.2 -9.0 12.6 -11.0 1.0 3.6 1.0 1.8 1.7 -1.4 -13.9 -3.2 -1.2

실질환율 절상률2)

달러대비 -27.2 -4.0 16.3 -6.3 2.3 2.0 -0.2 1.3 1.9 -3.1 -11.8 -2.7 -1.6 유로대비 -13.6 -2.7 14.8 -9.8 3.1 3.3 0.7 2.1 2.4 -1.3 -13.4 -1.9 -0.6

실질실효환율 절상률 -16.5 -0.4 15.9 -7.7 1.6 3.3 0.2 1.0 1.5 -1.7 -11.1 -2.3 0.1 1) 기간평균환율, 2) 전기 대비(연간은 전년도 대비, 분기․월은 전분기 전월 대비) [출처 : 러 중앙은행]

ㅇ 2015년 이후 급격하게 평가절하 되었던 루블화는 국제유가 상승 등에 따라 2017년 이후 강세로 전환, 2018년 1/4분기에 달러당 56루블 수준으로 회복

* ‘18.1.15일 브렌트유가가 배럴당 70.26달러로 ‘14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70달러대 기록

’18.1.27일 러 중앙은행 고시환율 : 55.82(루블/달러)

ㅇ 2018년 4월 이후 미국의 신규 대러제재 발표 및 추가 대러제재 가능성, 무역 전쟁, 유가 하락 우려 등으로 루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18년 전체적으로는 달러당 63루블 수준을 시현(‘18년말 기준 달러당 67루블 수준)

* 2018.9월 영국이 전직 러시아 스파이 사건 관련 용의자를 공개하면서 추가 대러제재 가능성 부각 등으로 루블화가 한 때 달러당 70루블 수준까지 절하되었으나 러 중앙은행의 외환매입 중단,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안정화 (러 중앙은행은 ‘19년 1.15일부터 외환 매입 재개) ㅇ 2019년 1월 이후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전환됨에 따라 루블화도 강보합세를

보이면서 ‘19.6∼7월에 달러당 62∼63루블 수준을 시현했으나,

- 8월에는 유가하락*,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이 재부각되면서 달러당 66루블 수준으로 절하

* 브렌트유가(달러/배럴): (7.31) 65.17 → (8.7) 56.23

- 9월말 이후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미중 무역전쟁 긴장감이 완화로 루블화는 2020년 1월까지 달러당 61∼62루블 수준으로 절상

ㅇ 2020년 1월말 이후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이 부각되면서 2월 중순 달러당 63∼64루블 수준으로 절하되었고,

- 3월에는 OPEC+ 감산 합의 실패(3.6)에 따른 국제유가 폭락과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3월말 달러당 78∼80루블 수준으로 대폭 절하

- 4월에는 OPEC+ 감산 합의(4.12)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하락세가 지속 되면서 4월말 달러당 74∼75루블대 시현

- 5월 중순경부터 유가가 배럴당 30달러대로 회복하면서 5월말 현재 달러당 70~72루블대로 전월대비 평가절상

* 브렌트(평균, 달러/배럴): (‘20.1월) 63.67, (2월) 55.48, (3월) 33.73, (4월) 26.63, (5.22) 35.13

** 고시환율(평균, 루블/달러): (‘20.1월) 61.78, (2월) 63.88, (3월) 73.15, (4월) 75.22, (5.22) 70.9 ㅇ 러 중앙은행은 외화매입 중단(3.9∼) 및 국가복지기금 보유 외화 매각(3.10∼) 등

환율안정을 위해 대응 중*

* 원유가격 하락과 연동한 재정준칙 작동으로 유가가 배럴당 $42 이하시, 정부/중앙은행 보유 외화 매각. (추가적으로) 배럴당 $25 이하시 중앙은행 소유의 스베르뱅크 매각과 연동하여 외화 매각

6. 재정

(10억 루블,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연간 1~3월 계획1) 1~3월2) ㅇ 세입 13,460 15,089 19,454 20,188 4,590.0 20,593.6 4,731.3

- 석유·가스 부문 4,884 5,972 9,018 7,924 1,993.4 7,523.8 1,787.9 - 비석유·가스 부문 8,616 9,117 10,437 12,264 2,596.6 13,069.8 2,943.4 ㅇ 세출 16,416 16,420 16,713 18,220 3,924.1 19,665.9 4,618.0

ㅇ 수지 -2,956 -1,331 2,741 1,968 665.9 927.6 113.4

1) 2020년 연방예산안, 2) 예비치(preliminary data) [자료출처 : 러 재무부, 경제개발부]

(7)

□ (수지) 2020년 1/4분기 세입․세출 잠정추계결과 러시아 연방재정은 1,134억 루블 규모의 흑자*를 기록

* 흑자 규모가 전년동기대비 83.0% 가량 대폭 축소

ㅇ 2020년 예산안에 의하면 러 정부는 2020년도에 9,276억 루블 (GDP 대비 0.8%) 규모의 연방재정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그러나 코로나19 대응(세금납부 유예 및 관련 재정집행 강화 등), 저유가로 인한 재정수입 감소 예상으로 중앙은행은 GDP의 5~6% 수준, 재무부(Anton Siluanov 장관)는 GDP의 4% 수준의 금년도 재정적자를 예상

→ 재무부는 국가복지기금(National Wealth Fund)과 차입을 활용하여 부족한 재원을 충당할 계획

□ (세입) 1/4분기 세입은 4조 7,313억 루블로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하였으며, 연간계획(20조 5,936억 루블) 대비 23% 수준

ㅇ 석유 및 가스 부문 세입이 1조 7,879억 루블로 전체 세입의 37.8%를 차지하였 으며, 전년동기대비 10.3% 감소

□ (세출) 1/4분기 세출은 4조 6,180억 루블로 전년동기대비 17.7% 증가하였으며, 연간계획 대비 23% 수준 집행

□ 2020년 4.1일 국가복지기금(National Wealth Fund) 잔액은 12조 8,557억 루블 (미화 약 1,654억 달러)로 GDP 대비 11.3% 수준으로 집계

ㅇ 금년 3월에 재정준칙에 따라 2019년도 석유/가스 수입의 일부*가 국가복지기금 으로 추가 적립 (3.1일 GDP 대비 7.3%에서 4.0%p 증가)

* 유가가 기준가격(‘19년도는 배럴당 41.6달러) 이상일 때 발생하는 석유/가스 부분 재정 수입

참고 2

참고 2 러시아 국가복지기금 잔액 추이

* 과거 재정예비기금으로 Reserve Fund가 운영되었으나 ‘17년말 소진되어 ’18년부터 국가복지기금(NWF)으로 운영.

국가복지기금은 과거 재정예비기금과 같이 연금기금의 재정 보전 등에 사용되며, 배럴당 유가 40달러 초과 시 (‘17년 기준, 매년 2%씩 기준유가 상승) 발생하는 석유 및 가스 수입으로 충당됨)

* 자료출처 : 러 재무부. 끝.

구 분

재정예비기금 (Reserve Fund)

국가복지기금 (National Wealth Fund) 10억 달러 10억 루블 GDP대비

비중(%) 10억 달러 10억 루블 GDP대비 비중(%) 2013년 1.1 62.08 1,885.68 2.8 88.59 2,690.63 3.9 2014년 1.1 87.38 2,859.72 3.9 88.63 2,900.64 4.0 2015년 1.1 87.91 4,945.49 5.9 78.00 4,388.09 5.3 2016년 1.1 49.95 3,640.57 4.2 71.72 5,227.18 6.1

2017년 1.1 16.03 972.13 1.1 71.87 4,359.16 4.7

2018년 1.1 0.00 0.00 0.0 65.15 3,752.94 3.6

2018년 2.1 - - - 66.26 3729.71 3.6

2018년 3.1 - - - 66.44 3,698.96 3.6

2018년 4.1 - - - 65.88 3,772.83 3.6

2018년 5.1 - - - 63.91 3,962.67 3.8

2018년 6.1 - - - 62.75 3,927.58 3.8

2018년 7.1 - - - 77.11 4,839.26 4.7

2018년 8.1 - - - 77.16 4,844.38 4.7

2018년 9.1 - - - 75.79 5,160.28 5.3

2018년 10.1 - - - 76.30 5,004.49 4.8

2018년 11.1 - - - 75.60 4,972.45 4.8

2018년 12.1 - - - 68.55 4,567.75 4.4

2019년 1.1 - - - 58.10 4,036.05 3.7

2019년 2.1 - - - 59.06 3,903.50 3.6

2019년 3.1 - - - 59.13 3,887.88 3.6

2019년 4.1 - - - 59.14 3,828.25 3.5

2019년 5.1 - - - 58.96 3,814.44 3.5

2019년 6.1 - - - 58.74 3,821.72 3.5

2019년 7.1 - - - 59.66 3,762.96 3.4

2019년 8.1 - - - 124.14 7,867.70 7.2

2019년 9.1 - - - 122.88 8,170.49 7.5

2019년 10.1 - - - 123.07 7,927.69 7.3

2019년 11.1 - - - 124.46 7,949.61 7.3

2019년 12.1 - - - 124.00 7,946.22 7.3

2019년 1.1 - - - 125.56 7,773.06 6.9

2020년 2.1 - - - 124.38 7,840.55 6.9

2020년 3.1 - - - 123.14 8,249.59 7.3

2020년 4.1 - - - 165.38 12,855.75 11.3

참조

관련 문서

재무제표

&lt;참고&gt; WTO설립을 위한 마라케쉬 협정

다음 매개방정식의 그래프를 그려라... 이를

산불 나도 견디는 나무..

2-x: Constant volume heat addition x-3: Constant pressure heat addition 3-4: Isentropic expansion. 4-5: Constant

A형 간염 바이러스).. 염증과

-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부담을 낮추고,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중장기적으로 축산업 성장 가능 - 주요과제: 가축분뇨 적정 처리, 온실가스 저감, 축산악취 저감

Our analysis has shown that automation is already widespread among both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in Vietnam, and that both groups plan to continue investing